KR20170108625A - 운동용 신발 - Google Patents

운동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8625A
KR20170108625A KR1020160032823A KR20160032823A KR20170108625A KR 20170108625 A KR20170108625 A KR 20170108625A KR 1020160032823 A KR1020160032823 A KR 1020160032823A KR 20160032823 A KR20160032823 A KR 20160032823A KR 20170108625 A KR20170108625 A KR 20170108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heel
present
sol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구
Original Assignee
홍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구 filed Critical 홍순구
Priority to KR1020160032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08625A/ko
Publication of KR2017010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8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20Heel-less 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선안은 발꿈치는 들고 발가락과 발 볼만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서거나 뛰면서 운동할 수 있어 계단을 오르거나 등산을 한것과 같은 효과가 발휘될 수 있어 운동량이 극대화될 수 있고, 그리고 다양한 관절과 척추에 자극이 될 수 있어 키 성장에 유리하고, 각선미가 가꾸어지는 등 교정효과가 있으며, 뇌 자극으로 인해 두뇌 발달 및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며, 또한 솔의 두께에 의해서 발꿈치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항시 발꿈치를 든 자세를 유지해야 함에 따라 집중력 있는 운동이 가능하여 부상 발생 가능성이 낮고, 긴장감이 유지될 수 있어 올바른 자세유지에 효과적인 운동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신발은 착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어퍼와, 상기 어퍼의 하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바닥이 보호되는 솔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발 볼 부위는 내부에 수용되고 발꿈치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어퍼와 솔의 후방이 제거된 신발 본체와, 상기 신발 본체의 후방 양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발꿈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신발 본체가 착용자의 발에서 임의로 벗겨지지 않게 하는 고정밴드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운동용 신발{ATHLETIC FOOTWEAR}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운동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운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고 다양한 신체 유익 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발은 땅을 딛고 서거나 걷고 뛸 때 발에 신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서, 발이 수용되는 어퍼(upper)와 발 바닥을 보호하는 솔(sole)로 이루어진다. 신발의 대분류로는 구두, 운동화, 슬리퍼, 부츠 등이 있고 소분류로는 정장화, 군화, 등산화, 테니스화, 장화, 안전화 등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신발은 그 목적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되는데, 격식을 갖추어야 하는 자리에서는 롱 윙이나 로퍼, 하이힐과 같은 구두를 착용하고, 운동이나 각종 야외활동에는 운동화나 슬리퍼를 착용하며, 작업시에는 장화나 안전화 등을 착용한다.
특히 운동화는 종목에 따라서 전문적으로 제작된 것을 착용하는데 예를 들면 테니스화에는 발이 뒤틀리거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아웃 솔(out-sole)이 사용되고, 축구화에는 다양한 종류의 스터드(stud)가 장착되며, 농구화는 발목 부위가 보호될 수 있도록 어퍼(upper)의 발목 부위가 연장 형성된 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특수 목적에 맞는 신발이 제조되기도 하는데,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아웃 솔(out-sole)이 라운드 형상으로 제조된 마사이족 신발이나, 발 볼 부위만 지면에 닿고 발꿈치는 지면에서 떨어지도록 발꿈치 부위가 생략된 슬리퍼 등이 그것이다.
이 중에서 발꿈치 부위가 생략된 슬리퍼는 실내에서 하이힐을 신는 것과 같은 효과가 제공되어 각선미를 가꾸고 다이어트 효과를 기대하는 여성에 의해 착용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슬리퍼는 앞 굽을 3cm 내지 5cm 정도로 두껍게 만들어 발꿈치가 자연스럽게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그 착용장소가 집 안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로 제한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발을 헛 딛거나 빠른 걸음으로 걸을 때 자칫 슬리퍼가 발에서 벗겨질 수 있고 이때 발목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등 부상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038052호(2011.05.24)
2. 한국 특허공개 제10-2009-0051360호(2009.05.22)
3. 한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2-0000954호(2012.02.08)
착용자에게 운동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고, 발꿈치를 들고 발가락과 발 볼만으로 지면을 딛고 서거나 뛰면서 운동할 수 있어 부상발생의 위험이 낮고 다양한 신체 유익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개선안으로서 운동용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개선안은 착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어퍼와, 상기 어퍼의 하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바닥이 보호되는 솔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발 볼 부위는 내부에 수용되고 발꿈치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어퍼와 솔의 후방이 제거된 신발 본체와, 신발 본체가 임의로 벗겨지지 않게 하는 고정밴드가 구비된 운동용 신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고정밴드는 신발 본체의 후방 양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발꿈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신발 본체가 착용자의 발에서 임의로 벗겨지지 않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운동용 신발은 발꿈치는 들고 발가락과 발 볼만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서거나 뛰면서 운동할 수 있어 계단을 오르거나 등산을 한것과 같은 효과가 발휘될 수 있어 운동량이 극대화될 수 있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다양한 관절과 척추에 자극이 될 수 있어 키 성장에 유리하고, 각선미가 가꾸어지는 등 교정효과가 있으며, 뇌 자극으로 인해 두뇌 발달 및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다.
또한 솔의 두께에 의해서 발꿈치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항시 발꿈치를 든 자세를 유지해야 함에 따라 집중력 있는 운동이 가능하여 부상 발생 가능성이 낮고, 긴장감이 유지될 수 있어 올바른 자세유지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신발의 작동도.
도 3은 본 개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신발의 사용상태도.
본 개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개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신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작동도이며, 도 3은 사용상태도이다.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신발은 착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어퍼와, 상기 어퍼의 하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바닥이 보호되는 솔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발 볼 부위는 내부에 수용되고 발꿈치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어퍼와 솔의 후방이 제거된 신발 본체와, 상기 신발 본체의 후방 양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발꿈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신발 본체가 착용자의 발에서 임의로 벗겨지지 않게 하는 고정밴드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신발(1)의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본체(10)는 발 볼 부위가 그 내부에 수용되고 발꿈치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어퍼(upper, 10a)와 솔(sole, 10b)의 후방이 제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신발 착용자의 발 중에서 발꿈치를 제외한 발가락과 발 볼과 같은 전방 부분만이 수용되기 위한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발꿈치를 들고 발 볼 부위만으로 지면을 딛고 서거나 뛸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발꿈치를 든 자세로 착용 되어야 하기 때문에 신발 본체(10)는 편안한 착용감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합성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퍼(10a)와 솔(10b)이 각각 제조된 후 접착 및 재봉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지만, 장시간 착용에도 발에 무리가 가지 않고 편안한 착용감이 제공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발 본체(10)의 후방 양측에는 슬릿(11)이 형성되는데, 전술한 슬릿(11)은 발꿈치를 든 자세에서 착용자의 발등이 갑피에 과도하게 압박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개선안에서는 신발 본체(10)에 이러한 기능이 부여될 수 있도록 슬릿(11)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슬릿(11) 대신 해당 위치에 신축성을 갖는 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신발 본체(10)의 발등 부위에는 다수의 통기 홀(12)이 구비되어 운동시 발에서 발생되는 열기와 땀, 그리고 냄새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 항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신발 본체(10)의 발등 부위에 슈 레이스(shoe lace)나 벨크로(velcro)와 같이 착용자의 발 크기에 맞게 조여질 수 있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신발 본체(10)의 후방 양측에는 고정밴드(20)가 구비되는데, 전술한 고정밴드(20)는 착용자의 발꿈치 상부에 지지되어 신발 본체(10)가 착용자의 발에서 임의로 벗겨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20)는 그 양단이 신발 본체(10) 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21) 연결되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밴드(20)는 착용자가 신발 본체(10)를 착용할 때 하측으로 회동되며, 착용이 완료된 후에는 힘을 가해 잡아당긴 상태에서 발꿈치 상부에 지지되게 회동시킨다. 이때 고정밴드(20)가 탄력있게 지지되지 않을 경우 신발 본체(10)가 임의로 벗겨지거나 발에서 헛돌 수 있어 부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착용 후에는 착용자의 사이즈에 맞게 그 길이를 조절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선안에서는 고정밴드(20) 양단이 신발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 일단이 신발 본체(10)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고, 고정밴드(20) 중앙 측이 벨크로나 스냅단추 등에 의해 고정 및 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개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신발(1)은, 발꿈치는 들고 발가락과 발 볼만이 지면에 지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서거나 뛰면서 운동할 수 있어 계단을 오르거나 등산을 한 것과 같은 효과가 발휘될 수 있어 운동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관절과 척추에 자극이 될 수 있어 키 성장에 유리하고, 각선미가 가꾸어지는 등 교정효과가 있으며, 뇌 자극으로 인해 두뇌 발달 및 치매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솔(10b)의 두께에 의해서 발꿈치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항시 발꿈치를 든 자세를 유지해야 함에 따라 집중력 있는 운동이 가능해 부상발생 가능성이 낮고, 긴장감이 유지될 수 있어 부상방지가 가능하다.
게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운동용 신발
10 : 신발 본체
10a : 어퍼
10b : 솔
11 : 슬릿
12 : 통기 홀
20 : 고정밴드
21 : 힌지

Claims (5)

  1. 착용자의 발이 수용되는 어퍼와, 상기 어퍼의 하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발바닥이 보호되는 솔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발 볼 부위는 내부에 수용되고 발꿈치 부위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어퍼와 솔의 후방이 제거된 신발 본체; 및
    상기 신발 본체의 후방 양측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발꿈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신발 본체가 착용자의 발에서 임의로 벗겨지지 않게 하는 고정밴드;가 포함되는 운동용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본체는 상기 어퍼와 솔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합성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발 본체의 후방 양측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양단은 상기 신발 본체 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는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KR1020160032823A 2016-03-18 2016-03-18 운동용 신발 KR20170108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823A KR20170108625A (ko) 2016-03-18 2016-03-18 운동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823A KR20170108625A (ko) 2016-03-18 2016-03-18 운동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625A true KR20170108625A (ko) 2017-09-27

Family

ID=60036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823A KR20170108625A (ko) 2016-03-18 2016-03-18 운동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086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753205T3 (en) BARFODSSKO
US9565889B2 (en) Shoe
US7370442B2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US20090100715A1 (en) Shoe
US6944976B2 (en) Protective and/or decorative shoe cover
KR100720751B1 (ko) 신발에 부착하는 발목지지대 및 그러한 발목지지대가부착된 신발
US20070113427A1 (en) Multipurpose Athletic Shoe
US20050120592A1 (en) Footwear combining comfort with fashion
US20140144046A1 (en) Footwear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KR20170108625A (ko) 운동용 신발
US20180332899A1 (en) Padded Sock
US20080010862A1 (en) Circulation shoe
KR20200072698A (ko) 벗겨짐 방지 기능을 갖는 덧신양말
CN212036272U (zh) 一种保健鞋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KR200343114Y1 (ko) 아킬레스건 신장구
KR101174748B1 (ko) 연장포켓부가 구비된 접이식 신발
US8512270B2 (en) Dynamic foot-arch support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s
KR20120093456A (ko) 바닥이 얇은 신발
KR200457108Y1 (ko) 실내용 덧버선
US20130212910A1 (en) Flexible and precisely fitting ski boot for maximum efficiency and foot and leg health during nordic skiing
US20190335855A1 (en) Widened heel
WO2019166896A1 (en) A sock with a reinforced stepping layer
KR200238219Y1 (ko) 저부(低部)와 갑부(甲部)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