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219Y1 - 저부(低部)와 갑부(甲部)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 - Google Patents

저부(低部)와 갑부(甲部)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219Y1
KR200238219Y1 KR2020010006857U KR20010006857U KR200238219Y1 KR 200238219 Y1 KR200238219 Y1 KR 200238219Y1 KR 2020010006857 U KR2020010006857 U KR 2020010006857U KR 20010006857 U KR20010006857 U KR 20010006857U KR 200238219 Y1 KR200238219 Y1 KR 200238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andal
insole
present
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천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천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천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10006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2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219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갑부(甲部)가 바닥창과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로서, 소비자 취향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패턴, 색채로 디자인한 갑부(甲部)를 자유롭게 바닥창과 결합시켜 손쉽게 교체 사용하므로서 소비자가 직접 독창적인 멋을 연출할 수 있는 구성이며 특히 발바닥이 직접 접촉되는 부분은 천연 콜크재의 안창이 발바닥 모양과 대응 밀착되게 형성되므로서 착화시 가볍고 촉감과 통기성이 좋으며 내충격성이 있어서 피로를 최소화시키는 건강샌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측으로 건강한 사람의 발바닥 굴곡에 맞춰서 아치형(ARCH)의 중앙부가 올라오고 뒤축 후반부가 오목하게 내려앉은 굴곡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거기에 천연콜크 분말판이 깔려있다. 콜크재(21)의 가장자리에는 탄성이 있는 EVA발포재(22)로 혼합 성형된 안창(20)이 깔려 있고, 바닥창(10)에는 발의 외곽주변을 덮어주는 벽(WALL)(10a)이 형성되며 바닥창(10)과 갑부(30)가 상호 착탈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저부(低部)와 갑부(甲部)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Upper seperation type multi purpose sandal}
본 고안은 갑부(甲部)가 저부(低部)바닥창과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로서, 더욱 자세히는 발등을 덮는 갑부와 접지부분의 저부 바닥창을 분리시킨 상태의 상품으로 소비자 취향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디자인, 색채로 만들어진 갑부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자유롭게 바닥창과 결합시켜 신고 다닐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가 직접 독창적인 멋을 연출할 수 있는 신개념의 샌달이다.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는 안창은 천연 콜크재로 발바닥 모양과 대응 밀착되게 형성되므로서 착화시 가볍고 촉감과 통기성이 좋으며, 내충격성이 있어서 피로를 최소화시키는 건강구두샌달에 관한 것이다.
샌달은 샌달(SANDALION)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기원전 이집트인들이 파필리우수(풀잎)을 이용하여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고안된 가장 오래된 신발로서, 발등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발등끈(샌들끈)을 바닥창과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그후 그리스, 로마에서 사용하였으며 로마에서는 장식(裝飾)이나 방한防寒)을 목적으로 샌들끈 대신에 갑피를 씌워서 슬리퍼와 단화의 순으로 발전하여 왔다. 기존의 모든 구두(신발)는 접지부분의 바닥창재와 발등부분을 덮는 갑재의 번두리를 서로 결합하여, 바닥재와 갑재의 공간속에 발을 넣어 신고 보행할 때 발을 보호하도록 한 단일 구조물이며, 그 중에 샌달은 한여름의 남녀화 신발로 간편하게 신고 외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의 구조체로 된 신발(샌달) 대신에 다양한 변화와 개인의 차별화를 추구하는 현대인에게는 유행성이 있고 라이프사이클이 짧아진 이 시대에 그 목적이나 용도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디자인으로 변모할 수 있도록하나의 저부 바닥창에 준비된 여러 모양의 갑부재로 교체하면서 스스로 패션을 창출하는 기쁨과 샌달을 신는 즐거움을 동시에 같이 갖게 하는 것이 요청되며, 또한 기존의 샌달 깔창은 PVC, 폴리우리탄 등 합성수지재를 저발포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비연속성의 단위기공의 집합체로 되어 있어 통기성이 없으며 땀의 흡수가 어려워서 세균 등 곰팡이류의 번식환경을 갖게하고 발의 위생상 문제점과 충격방지능력이 부족한 단점이 있었으며 발바닥 접촉면은 자연적인 발바닥의 굴곡형태와는 관계없이 태반이 평면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장시간 착용시에는 발이 불편하고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발등을 덮는 갑부와 접지부분의 바닥창을 분리가 가능하게 형성하므로서 소비자 취향에 따라 다양한 소재, 디자인과 색채로 갖추어진 갑부를 선택하여 자유롭게 바닥창과 결합시켜서 신을 수 있게 하여 소비자가 직접 세퍼레이트 룩(SEPERATE LOOK)의 독창적인 멋을 연출할 수 있는 갑재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행공학적인 설계로 발이 편안하며, 피로감을 경감시키고 위생적이면서도 건강에 도움이 되는 다용도 샌달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바닥창 10a:벽
11:끈구멍 20:안창
21:콜크재 22:EVA발포재
30A:갑부(甲部) 30B:갑부(甲部)
31:신발끈 32:접착테이프
33:끈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바닥창(10)과 갑부(甲部)(30)가 분리된 샌달로서, 발바닥과의 접촉면은 사람의 발바닥 굴곡에 맞쳐서 아치형(ARCH)과 컵(CUP), 홀(HOLE) 등의 굴곡으로 형성되고, 안창은 천연콜크 분말로 된 콜크재(21)와 가장자리에는 탄성이 있는 EVA발포재(22)로 혼합 성형된 판상의 안창(20)이 깔리게 되고 바닥창(10)의 가장자리에는 발외곽을 감싸는 벽(10a)이 형성되고 그 벽(10a)에 갑부(30a)와 바닥창(10)을 결합시키는 끈구멍(11)이 형성되어 바닥창(10)과 갑부(30)가 상호 착탈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안창(20)을 발바닥과 밀착되게 아치형의 중앙부가 돌출되고 후반부의 뒷꿈치가 오목하게 굴곡 형성된 것은 발바닥이 안창(20)과 밀착되게 접촉하므로서 중골부분에 안창(20)의 아치형 둔턱의 중앙부를 접지시켜 발바닥의 뒷꿈치에 걸리는 사용자의 체중부하를 분산시키므로서 보행기능 이론에 의하여 장시간 걸었을 때에도 발이 편안하고 피로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바닥창(10)의 외주에 형성된 벽(10a)에 뚫린 끈구멍(11)으로 갑부(30)에 형성된 다수개의 결착밴드(31)를 삽입시키고 결착수단인 벨크로 테이프(32)로착탈시키므로서 갑부(30)와 바닥창(10)을 상호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본 고안에 있어 결착밴드(31)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수단은 상기한 실시예의 벨크로 테이프(32)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암수가 상호 결합하는 원터치식 버튼이나 버클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오픈(OPEN)된 밴드형 갑부(30)도 발등과 발목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숙녀화의 여름용 샌달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열과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갑재가 막힌 형상의 갑부나 소재를 변형하여 망사나 끈 등을 적의 선택하여 교체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안창(20)의 천연 콜크재(21)는 착화시 가볍고 탄력성이 있어 촉감이 좋고 충격방지효과가 있고 통기성, 보온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신고 걸을 때 다공질 세포로 발바닥 세포가 커져서 모세혈관의 기능이 확대되어 따뜻하면서도 적당한 땀을 배출시켜서 인체의 혈액순환을 도와주고 몸안의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시키고 발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발건강과 위생에 유익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갑재로 끈(33)을 사용하여 갑부(30B)를 형성하는 것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최근의 추세가 여름에 탈착이 편리한 샌달을 선호하고 있으며 여성이 여름에 스타킹을 신지 않고도 바닥창(10)의 끈구멍(11)에 신발끈(33)을 삽입하고 양쪽에서 교차하여 발등부분을 조여서 바닥창이 발에 밀착되게 하고 발목위로도 엇갈리게 다리를 휘감아 신발끈을 매면 한 여름 발을 노출시켜 시원하고 장식성이 우수하여 멋과 건강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샌달구실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나일론 스타킹을 신고 구두를 착용하였을때 나일론이 발에 꼭 조이면서 피부호흡을 방해하고 체열발산을 막아서 따뜻하고 습기 많은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유발하며 작은 상처를 잘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을 본 고안의 분리식 다용도 샌달이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닥창(10)에 갑부(30A)의 결착밴드(31)를 끈구멍(11)에 삽입하고끝부분에 붙여진 벨크로 테이프(32)의 결합수단을 결착하면 손쉽게 바닥창(10)과 갑부(30A)가 결합되며 사용자가 본 고안의 신발을 신으면 발바닥의 중앙아치에 대응하는 안창(20)의 아치형의 중앙부 둔턱과 오목한 뒷꿈치에 밀착되며, 보행을 하게 되면 발바닥의 뒷꿈치에 집중되는 체중을 돌출 아치형 중앙부에서 분산시키게 되어 발의 피로를 경감시키며 안창(20)의 다공질 세포로된 콜크재(21)가 땀의 흡수와 혈액순환을 도와주며 발건강의 기능성을 동시에 달성하여 주는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전술한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갑부와 바닥창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서 소비자가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다양한 소재, 디자인, 칼라의 갑부를 취사 선택하여 바닥창에 결합하므로서 세퍼레이트 룩의 독창적인 멋을 연출할 수 있고 안창이 발바닥의 굴곡형태에 따라 형성되므로서 발바닥과 신발이 밀착되어서 체중이 분산되어 신기 편하고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천연콜크재로서 가볍고 충격이 흡수되며 미끄럼 방지 효과가 있어 건강과 멋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바닥창(10)과 갑부(甲部)(30)로 이루어진 통상의 샌달에 있어서, 바닥창(10)외주에 벽(10a)이 형성되고 그 벽(10a)에 다수개의 끈구멍(11)이 형성되어 바닥창(10)과 갑부(30)가 상호 착탈되게 분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부(低部)와 갑부(甲部)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
KR2020010006857U 2001-03-14 2001-03-14 저부(低部)와 갑부(甲部)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 KR200238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57U KR200238219Y1 (ko) 2001-03-14 2001-03-14 저부(低部)와 갑부(甲部)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57U KR200238219Y1 (ko) 2001-03-14 2001-03-14 저부(低部)와 갑부(甲部)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219Y1 true KR200238219Y1 (ko) 2001-10-08

Family

ID=7309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857U KR200238219Y1 (ko) 2001-03-14 2001-03-14 저부(低部)와 갑부(甲部)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2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440B2 (en) Shoe with anatomical protection
US20080189984A1 (en) Convertible Sandal
EP0298721A1 (en) Article of footwear
US8959795B2 (en) Flip flop and slipper in one/convertible sandal slipper
US20060248748A1 (en) Footwear combination
US20120304493A1 (en) Fashion Shoe Having A Removable Insole and Footbed Cover
US20170086530A1 (en) Ultra light all-purpose breathable shoe
US20140082970A1 (en) Footwear with charcoal systems
US20080092408A1 (en) Two-use-shoes
US20020069558A1 (en) Flexible non-restrictive toe structure for shoes
US20180168275A1 (en) Interchangeable Shoe System
KR20090110968A (ko) 샌들 겸용 운동화
KR20090085381A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CN207306192U (zh) 一种居家两用的新型拖鞋
KR200238219Y1 (ko) 저부(低部)와 갑부(甲部)가 분리되는 다용도 샌달
US20140144046A1 (en) Footwear
CA2498564A1 (en) Interchangeable footwear comprising multiple shoe inserts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KR101157454B1 (ko)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US20180332899A1 (en) Padded Sock
KR200440891Y1 (ko) 덧버선
KR200281351Y1 (ko) 갑피 및 장식의 탈, 부착이 가능한 신발
KR200462706Y1 (ko) 발목밑까지 오는 구두용 양말
KR200314694Y1 (ko) 슬리퍼 기능을 갖는 구두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