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827A -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부직포 - Google Patents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827A
KR20230002827A KR1020227040216A KR20227040216A KR20230002827A KR 20230002827 A KR20230002827 A KR 20230002827A KR 1020227040216 A KR1020227040216 A KR 1020227040216A KR 20227040216 A KR20227040216 A KR 20227040216A KR 20230002827 A KR20230002827 A KR 20230002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nonwoven fabric
rims
corrugations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지베르거
Original Assignee
이레마-필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레마-필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레마-필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02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1Making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01D46/52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with means for maintaining spacing between the pleats or fol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forming webs during fibre formation, e.g. flash-spi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27Spun-bo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5More than one layer present in the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2Special parameters characterising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1291Other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5/00Filter media structures for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5/10Multiple lay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4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직포는 용융 방사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이러한 방법은 다음의 작업 단계를 포함한다. 폴딩 디바이스(folding device)를 통해 부직포를 접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다수의 주름이 생성되고, 생성된 주름이 부직포를 제1 림과 제2 림으로 분할하기 때문에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부직포가 형성되며; 이어서 열-접촉 웰딩 공정(thermal-contact welding process)을 통해 주름의 제1 림의 웰딩 영역을 주름의 제2 림의 웰딩 영역과 웰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웰딩 조인트가 주름 림(limb)의 두 개의 마주 보는 측부들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것에 대응하는 장치 및 대응하는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부직포
본 발명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터용 부직포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직포는 신선한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해 건물의 환기 시스템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로부터 미립자를 분리시키도록 설계된 소위 미립자 필터가 전술한 것에 해당한다.
유입된 주위 공기로부터 예를 들어, 꽃가루 또는 알레르겐(allergen)이 그로 인해 여과되어서 낮은 농도의 꽃가루 또는 알레르겐만이 건물 안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직포는 상이한 특성을 띠며, 이것은 용도에 따라 최적화된 필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부직포는 소위 용융-방사 방법(melt-spinning method), 예컨대 스펀-본드 방법(spun-bond method), 또는 멜트-취입 방법(melt-blown method)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좁은 공간에서 넓은 표면적을 갖는 필터를 생산하기 위해 필터 재료를 접어서 지그재그 구조를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것은 또한 주름 구조(pleated structure)라고도 불린다.
선행 기술 DE 40 04 079 A1은 돌출부 및 부착 코팅에 의해 필터의 주름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공지하고 있다. 선행 기술 DE 100 10 505 A1은 서로 접착된 대향하는 주름(fold)의 양각된 홈 및 돌출부로부터 스페이서(spacer)가 형성되는 것을 공지하고 있다. 선행 기술 DE 10 2014 117 506 A1은 비접착식 접합에 의해 엠보싱(embossing)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공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를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높은 안정성의 필터용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따른 부직포, 부직포의 가공 방법 및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실시예들은 종속항에서 청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직포는 용융-방사 방법(melt-spinning process)을 통해 제조되고 이러한 방법은 아래의 작업 단계, 즉:
폴딩 디바이스(folding device)에 의해 부직포의 주름을 접는 단계 - 이때 다수의 주름이 생성되고, 상기 주름이 부직포를 제1 림(first limb)과 제2 림(second limb)으로 분할하여 부직포가 지그재그 형태로 폴딩됨 -; 그리고 이어서 플라스틱 웰딩 방법(plastic-welding method)으로 주름의 제1 림의 한 웰딩 영역을 주름의 제2 림의 적어도 한 웰딩 영역과 웰딩하는 단계 - 이때 웰딩 조인트가 주름의 림(limb)의 두 마주보는 측부들 사이에 형성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 특히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른 부직포의 제조 및/또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부직포를 제1 림과 제2 림으로 분할하여 부직포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지게 하는 다수의 주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폴딩 디바이스(folding device); 및
플라스틱 웰딩 공정에 의해 폴딩 상태에서 주름의 여러 림들 사이에서 한 주름의 제 1림의 웰딩 영역을 한 주름의 제 2림의 적어도 하나의 웰딩 영역을 웰딩하는바, 웰딩 조인트가 주름의 림의 두 마주보는 측부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 웰딩 디바이스(welding devic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측면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직포는 부직포를 제1 림과 제2 림으로 분할하는 다수의 주름을 포함하고, 제1 림을 제2 림과 연결하는 재료적으로 접합된 웰딩 조인트가 각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웰딩 영역에서 주름의 제1 림과 제2 림 사이에 배열되고, 이때 주름의 림의 마주보는 측부들의 적어도 웰딩 영역의 표면은 상기 웰딩 조인트에 의해 변화되고 상기 웰딩 영역으로부터 대향에 있는 주름의 림의 측부 표면은 상기 웰딩 조인트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주름의 림들을 함께 웰딩하는 것에 의해서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를 제조하는 시도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로 인해 높은 필터 미디엄(filter medium) 안정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웰딩 동안에 부직포의 한 측부로부터 부직포를 단지 가공하기 위해 열 접촉 웰딩 공정(thermal-contact welding process)을 제공한다. 하나의 웰딩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내측 림 측부상의 접합 표면들이 가열되어 부직포가 웰딩 영역의 표면상에 가소화된다. 이어서, 상기 접합 표면들은 접촉하여 웰딩 조인트가 웰딩 영역에 형성되고, 그것에 의해 주름의 림이 파괴되지 않고서는 서로 더 이상 분리될 수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 접촉은 필터 미디엄의 한 측부를 단지 웰딩한다. 웰딩 카운터포인트(counterpoint)는 필요하지 않다. 한편, 이러한 방식은 그러한 부직포를 제조할 때에 낮은 비용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비용과 연관될 수 있는 접착제 또는 다른 고정 수단의 사용이 생략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웰딩은 실질적인 필터 면적에 어떤 충격도 주지 않는다. 특히, 림들이 접착 비드에 의해 함께 조인되고 그리고 이격가능한 필터 재료와 비교하여, 비용이 5%까지 절감되고, 중랭을 3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웰딩 영역이 배열되어 있는 대향 측부상의 주름의 림 측부는 일반적으로 웰딩 조인트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부직포의 기능, 즉, 특히 액체 및/또는 가스 또는 가스 혼합물의 필터링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웰딩 조인트는 웰딩 영역의 의도치 안은 분리를 방지하고, 사용시 부직포의 지그재그 주름 형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전술한 부직포는 내구성이 있을뿐 아니라 매우 안정적이고 따라서 여러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 적합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름이 형성된 후까지는 부직포가 웰딩되지 않는 것, 즉, 주름의 두 림이 주름 에지(folded edge)를 따라 이미 폴딩될 때까지는 웰딩 영역 표면의 가소화(plasticizing)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본 발명에 대해 특별한 중요성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웰딩 영역이 있는 림의 두 개의 대향하는 표면들은 서로 매우 인접하게 되거나 또는 서로 경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서로 마주보는 표면들의 웰딩 영역은 웰딩 디바이스를 통해 서로 인접한 상태에서 가소화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웰딩 디바이스가 가소화된 지점을 벗어난 직후에 웰딩 영역이 이 위치에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것은 상기 웰딩 영역 사이의 접합 공정의 매우 우수한 콘트롤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 가소화를 위해 사용된 에너지는 상기 림 사이의 웰딩 조인트 또는 웰딩 이음부를 형성하는데 최소까지 충분히 감소될 수 있다. 도입되는 상기 에너지를 계량할 때에, 허용오차(allowance)는 웰딩 영역 냉각 단계에 대해서는 이루어질 필요가 없거나, 또는 약간만 이루어 지는데, 이미 상기 두 개의 림이 공간적으로 서로 인접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웰딩 영역으로부터 대향하는 표면은 웰딩 또는 웰딩 조인트에 의해 도입되는 (열) 에너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것은 웰딩 공정 동안 이미 존재하는 주름에 의해 특별히 낮은 계량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에 근거한다.
또한, 주름진 상태에서 또는 돌출된 주름으로, 가소화 직후에 웰딩되는 림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단지 적은 열 에너지만 선택적으로 공급될 필요가 있고, 조인되는 표면 또는 웰딩 영역이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안정되고 작은 웰딩 이음부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웰딩 이음부는 스레드(thread)를 통해 생성된 이음부에 대응하는 강도 값을 달성할 수 있다.
이미 주름진 상태의 림에 플라스틱 웰딩 공정을 실시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는 공지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주름의 길이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주름의 폴딩 에지를 따라 연장되 것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벌지(bulge)는 바람직하게는 초기 편평한 부직포에서 돌출한 부분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벌지는 양각(embossment)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표면의 웰딩 조인트 유발 변화(weld joint-induced change)는 웰딩 영역의 외부 표면과 비교했을 때 웰딩 영역 표면의 적어도 한 부분의 구조 및/또는 표면 특성의 변화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발열 엘리먼트(heating element) 또는 다수의 발열 엘리먼트가 주름의 림 사이에 유입되어 웰딩 영역을 가열하며, 이러한 웰딩 영역은 상기 발열 엘리먼트가 접근할 때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적어도 하나의 웰딩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발열 엘리먼트의 사용은 특히 잘 계량된 열이 상기 웰딩 영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발열 엘리먼트는 열 에너지를 인가하는 작용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 엘리먼트는 열 접촉-웰딩, 초음파 웰딩, 적외선 웰딩 및/또는 레이저 웰딩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름은 부직포의 양측부상에서 웰딩된다. 이로 인해, 평평한 필터 구성에서 특히 높은 부직포 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강도가 중요하지 않을 경우,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주름은 부직포의 한쪽 측부에서만 웰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부직포에 의해 드럼 필터 구성이 실현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의 또 다른 작업 단계, 즉, 서로 각각 마주보는 주름의 제1 림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 및/또는 제2 림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를 엠보싱(emboss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 엘리먼트는 상기 부직포의 제조 방향에 대해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상기 림들 사이에 유입되고, 상기 발열 엘리먼트의 이동 속도의 평균 값은 제조 방향에서 이미 폴딩된 부직포의 이동 속도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100배 더 크다. 이로 인해, 큰 장력(tension) 없이 가장 청결하고 직접적인 웰딩 조인트 생산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발열 엘리먼트는 추가로 상기 부직포의 제조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 엘리먼트는 전체적으로 원운동(circular movement) 또는 편심 운동(eccentric movement)을 구현한다. 이로 인해, 제조 방향에서 폴딩된 부직포의 높은 운반 속도 및 따라서 높은 제조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 및 이러한 첫 번째 측면의 특징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솔한 특징과 장점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측면 및 세 번째 측면과 이러한 두 번째 및 세 번째 측면의 특징적인 실시예에도 적용되고 역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웰딩 디바이스(welding device)는 림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웰딩 영역을 가열하는 발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영역은 상기 발열 엘리먼트가 접근할 때 접촉하여 하나의 웰딩 영역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웰딩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웰딩 영역을 상기 발열 엘리먼트와 함께 감싸도록 인접해 있는 주름의 림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카운터-웰딩 엘리먼트(counter=welding element), 특히 웰딩 앤빌(welding anvil)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이로 인해, 확실하고 정확한 웰딩을 가능하게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장치는 제2 웰딩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두 개의 웰딩 디바이스의 발열 엘리먼트가 부직포의 양 측부로부터의 림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제2 웰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은 대향으로 정향된 주름이 동시에 웰딩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또한, 벌지가 서로 마주보도록 주름의 제1 림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 및/또는 제2 림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를 엠보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 디바이스(embossing device)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웰딩 디바이스는 부직포의 제조 방향으로 발열 엘리먼트를 이동시키도록 또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높은 제조 속도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름의 두 개의 림을 연결하는 웰딩 조인트는 웰딩 영역의 외부 표면과 비교할 때, 주름의 림의 마주보는 측부상의 표면 구조를 단지 변화시킨다.
따라서, 웰딩 조인트가 형성되는 부직포 측부상의 부직포의 구조만이 영향을 받는다. 상기 웰딩은 웰딩 영역으로부터 떨어져 마주보는 주름 림의 측부 영역은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것은 따라서 영향을 받지 않는 부직포의 필터링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웰딩 영역이 형성되는 부직포의 영역만이 필터링 작용의 관점에서 영향을 받게 된다.
상기 부직포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직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은 마름모꼴 형태 및/또는 벌집(honeycomb) 형태를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웰딩 조인트를 생성하는데 유용하다. 더욱이, 상기 구조는 부직포를 보강한다. 예를 들어, 결정체의 경우처럼 격자 형태의 그리드(grid)에 의해 부직포의 추가된 보강이 가능할 것 이다. 특히, 마름모꼴 형태, 벌집 형태 및 일반적으로 다각형 구조가 특히 안정적인 구조로서 입증되고 있다.
상기 부직포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해진 길이의 그리고 주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적어도 수직인 다수의 웰딩 영역이 주름의 림들 사이에 형성된다.
이것은 추가적인 필터 중공 및 필터 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주름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횡 방향으로도 필터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효과적인 필터링이 달성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필터링 될 액체 또는 가스/가스 혼합물이 다중 유동 방향에서 필터링 될 수 있다. 특히, 최적화된 필터링과 관련하여 필터링 될 액체 또는 가스/가스 혼합물이 흐르는 유동 방향은 무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플라스틱 웰딩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국부적 가소화(local plasticizing) 그리고 이어서 연결되는 플라스틱 구조의 큰 면적의 조인닝 표면을 접촉시키는 것에 의한 웰딩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웰딩 공정을 통해 생성된 웰딩 조인트가 형성되어 함께 웰딩되는 두 구조체는 비-파괴적으로 분리될 수 없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가소화는 열-접촉 웰딩, 레이저 웰딩, 초음파 웰딩 또는 적외선 웰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웰딩 영역은 주름의 제1 림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 및/또는 제2 림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에 배열되며, 이러한 벌지는 서로 마주본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직포로 인해 웰딩 영역의 웰딩 조인트상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tensile load) 및/또는 압축 하중(compressive load)을 감소, 특히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하중들은 웰딩 조인트에 의해 야기된 부직포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벌지 또는 다중 벌지가 부직포의 단지 제1 측부에만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및/또는 추가로, 상기 하나의 벌지 또는 다중 벌지가 제1 측부에 대향하는 부직포의 제2 측부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지는 부직포의 제1 및 제2 측부에 교대로 배열되거나, 또는 완전히 다른 유형으로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벌지의 무작위 배열(random arrangement)도 가능하며, 이것은 예를 들어 상기 벌지의 균등한 배열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부직포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름의 제1 림 및/또는 제2 림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는 정해진 길이 및 적어도 일반적으로 주름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특히 인장 하중 및/또는 압축 하중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웰딩 영역이 벌지에 및 벌지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주름의 제1 림의 벌지 및 제2 림의 벌지가 서로 대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부직포의 기하학적 구조로부터 초래되는 인장 하중 및/또는 압축 하중을 감소, 특히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벌지가 서로 대향으로 있는 경우에는, 벌지가 서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을 경우보다 각 주름의 보다 둔한 앵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액체 및/또는 가스 및 가스 혼합물의 필터링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름의 제1 림의 벌지 및/또는 제2 림의 벌지는 주름을 기점으로, 특히 연속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돌출하고,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1 림 및/또는 제2 림의 벌지의 돌출부는 일반적으로 주름에서 가장 낮다.
한편, 벌지상에 배열된 웰딩 영역이 인장 하중 및/또는 압축 하중을 받지 않거나 또는 단지 적은 하중을 받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 작용이 더욱 개선될 수 있는데, 또 다른 유동 공간이 형성되고 따라서 필터링 될 가스 또는 액체의 유동 방향이 최적화 필터링 관점에서 덜 관련되기 때문이다.
상기 부직포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름 림의 마주보는 측부의 웰딩 영역의 적어도 그 표면과 웰딩 영역으로부터 대향의 주름 림 측부 영역의 적어도 그 표면은 상이한 구조를 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웰딩 영역으로서 디자인된 이들 영역은 웰딩 조인트를 위해 최적화된 부직포 섬유 구조를 갖는다. 이와 반대로 웰딩 영역으로부터 대향 측부상에 배열된 영역의 표면은 특히 필터링을 위해 최적화되어 있고, 따러서 상이한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부직포는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가스의 필터링을 위한 유동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필터링 될 액체 또는 가스의 최소 투과 가능 입자 크기와 같은 또 다른 필터 특성이 전술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부직포는 적어도 두 개의 층(layer)으로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부직포는 주름 림의 마주보는 측부의 표면이 웰딩 조인트를 위해 최적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층의 필터링 특성이 필터링을 위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장점 및 가능한 구현은 적용 가능성은 아래의 도면 설명과 관련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되며, 상기 도면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본 발명의 동일한 구성엘리먼트 또는 서로 대응하는 구성엘리먼트를 위해 사용된 것이다. 도면 설명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도 1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의 또 다른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의 실시예를 상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그리고
도 5는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1)의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스펀-본드 방법(spun-bond-method) 또는 용융-취입 방법(melt-blown-method)과 같은 소위 용융 방사 방법(melting spinning process)을 통해 제조되어 왔던 부직포(1)는 복수의 주름들(2a, 2b, 2c)을 나타내며, 이 주름들은 부직포(1)를 제1 림(3a, 3b)과 제2 림(4a, 4b)으로 분할한다.
상기 주름(2a, 2b, 2c)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부직포(1)의 형태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주름(2a, 2b, 2c)은 대향으로 위치된 주름 에지에서 교대로 폴딩된다. 이로 인해, 아코디언 형태 및 지그재그 형태의 부직포(1) 형태가 달성된다.
상기 주름(2a, 2b, 2c)의 각각의 제1 림(3a, 3b)과 제2 림(4a, 4b) 사이에서는 재료적으로 접합된 연결부가 적어도 하나의 웰딩 영역(5a, 5b)에 배열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웰딩 영역(5a, 5b)은 주름(2a, 2b, 2c)의 림(3a, 3b, 4a, 4b) 사이에서 주름(2a, 2b, 2c)의 림(3a, 3b, 4a, 4b)의 마주보는 측부에 형성된다.
특히, 주름(2a, 2b, 2c)의 림(3a, 3b, 4a, 4b)의 마주보는 표면은 재료적으로 접합된 연결에 의해 국부적으로 웰딩되며, 웰딩 영역(5a, 5b)으로부터 먼 측부상의 영역은 웰딩으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알 수 있듯이 주름(2c) 및 웰딩 영역(5a)의 상단 영역에 벌지(8a, 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벌지(8a)는 주름(2c)의 제1 림(3a)에 그리고 상기 벌지(9a)는 제2 림(4a)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벌지(8a, 9a)는 서로 같은 방향 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름(5c)의 제1 림(3a)의 벌지(8a) 및/또는 제2 림(4a)의 벌지(9a)는 주름(2c)을 기점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전술한 제1 림(3a) 및/또는 제2 림(4a)의 벌지(8a, 9a)의 돌출된 부위는 일반적으로 주름(2c)에서 가장 낮거나 또는 가장 작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벌지(8a, 9a)는 부직포(1)의 한 층으로부터 형성된 플래토(plateau)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층은 부직포(1)의 또 다른 층들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층은 부직포의 한 측부 또는 두 측부의 전체 표면을 커버 할 수 있다.
도 2는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1)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비교할 때, 주름(2b, 2c)의 제1 림(3a, 3b)과 제2 림(4a, 4b)을 웰딩을 통해 영구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벌지(8b, 9b)가 하단에 배열된 주름(2b, 2c)에 또한 배열된다는 점이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부직포(1)는 벌지(8a, 8b, 9a 9b)가 주름(2a, 2b, 2c)의 두 개의 림(3a, 3b, 4a, 4b) 가운데 하나의 림에 단지 배열되도록 디자인 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은 상기 벌지(8a, 8b, 9a 9b)를 생성하기 위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
웰딩 영역(5a, 5b)에서 주름(2a, 2b, 2c)의 림(3a, 3b, 4a, 4b)의 서로 마주보는 측부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과 웰딩 영역(5a, 5b)으로부터 대향하는 주름(2a, 2b, 2c)의 림(3a, 3b, 4a, 4b) 측부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영역은 서로 다른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웰딩 영역(5a, 5b)으로부터 대향하는 주름(2a, 2b, 2c)의 림(3a, 3b, 4a, 4b)의 면의 적어도 하나의 측부 영역은 그리드(grid)를 포함한다. 상기 그리드는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형태다. 상기 그리드는 마름모꼴 형태 및 특히 벌집 형태의 형상이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입증되어 있다.
특히, 그리드 형태 디자인이고 제1 표면(6)으로부터 대향에 있는 제2 표면(7)과 상이한 제1 표면(6)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부직포(1)는 적어도 두 개의 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1 층은 제1 표면(6)을 형성하고, 제2 층은 제1 표면(6)으로부터 대향에 있는 부직포(1)의 제2 표면(7)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인접한 주름들(2a, 2b, 2c)은 적어도 대략 10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략 14mm,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대략 17mm,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20mm로 이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거리는 더 클 수 있는데, 대략 30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인접한 주름들(2a, 2b, 2c)사이의 거리는 서로에 대해서 불규칙적일 수도 있다.
평평한 필터를 제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부직포(1)의 또 다른 측부상의 웰딩 영역(5b)의 표면들뿐 아니라 부직포(1)의 한 측부상의 웰딩 영역(5a)의 표면들이 함께 웰딩된다. 그러나, 개별적인 용도에 따라 단지 하나의 웰딩 영역(5a 또는 5b)을 형성하는 것도 그러한 필터의 강도에 대해서 충분할 수 있다. 주름진 부직포(1)가 환상 배열로 되어 있는 드럼 필터를 생산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웰딩 영역(5a 또는 5b)의 단지 한 형태가 형성된다.
도 3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1)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벌지(8a, 8b, 9a, 9b)는 웰딩 영역(5a, 5b), 특히 웰딩 조인트가 벌지(8a, 8b, 9a, 9b) 영역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웰딩 조인트상의 인장 하중 및 압축 하중을 감소시키는데, 주름(2a, 2b, 2c)의 제1 및 제2 림(3a, 3b, 4a, 4b)이 서로에 대해 추가적으로 변형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벌지(8a, 8b, 9a, 9b), 웰딩 영역(5a, 5b) 또는 주름(2a, 2b, 2c)은 일반적으로 균일한 분포로 형성된다. 그러나 벌지(8a, 8b, 9a, 9b) 및/또는 웰딩 영역(5a, 5b) 및/또는 주름(2a, 2b, 2c)이 불균칙한 분포일 수도 있다. 특히, 주름(2a, 2b, 2)의 서로 각각에 대한 비대칭 배열도 또한 가능하다.
예시적으로, 제1 벌지(8a)가 가장 위쪽에 도시된 제1 주름(2a)의 하단에 형성되고, 그 대향으로 제2 벌지(9a)가 도시된 제3 주름(2c) 상단에 형성된다. 제1 벌지(8a)는 주름(2a)의 제1 림(3a)상에 형성되고, 제2 벌지(9a)는 제3 주름(2c)의 제2 림(4a)상에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웰딩 영역(5a)이 제1 벌지(8a)와 제2 벌지(9a)의 접촉 영역에 배열되고, 이러한 웰딩 영역에서 웰딩 조인트가 제1 벌지(8a)를 제2 벌지(9a)에 재료적으로 접합시킨다.
파선으로 도시된 제2 주름(2b)이 제1 주름(2a)과 제3 주름(2c)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주름은 제1 주름(2a) 및 제3 주름(2c)에 대해 대향으로 접히거나 꺾인(creased)다. 부직포(1)의 이러한 상면도에서 부직포(1)의 단지 제1 측부 또는 표면만이 식별 가능하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두 개의 인접한 주름(2a, 2b, 2c)의 유사한 구성이 제1 주름(2a)과 제3 주름(2c) 사이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부직포(1)의 또 다른 측부/표면 상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 이다.
정해진 길이의 그리고 주름(2a, 2b, 2c)의 길이 방향(L)에 대해 적어도 수직인 복수의 웰딩 영역(5a, 5b)이 주름(2a, 2b, 2c)의 림(3a, 3b, 4a, 4b) 사이에 바람직하게 또한 형성되는데, 그러한 구성은 본 상면도에서 식별할 수 없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주름(2a, 2b, 2c)의 제1 림(3a, 3b) 및/또는 제2 림(4a, 4b)의 벌지(8a, 8b, 9a, 9b)도 마찬가지로 정해진 길이로 그리고 적어도 주름(2a, 2b, 2c)의 길이 방향(L)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화살표(H)는 주름진 부직포의 일반적인 제조 방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롤된(rolled)) 제품으로 보관되는 부직포는 제조 방향(H)을 나타내는 생산 라인을 따르는 두 개의 에지들에 대해 횡 방향으로 주름이 잡힌다.
도 4는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1)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따른 블록선도뿐 아니라 이러한 장치(10)는, 주름의 림들이 재료적으로 접합된 웰딩 조인트에 의해 서로 각각 고정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주름진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10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제조 방법(100) 동안에, 부직포(1)는 장치(10)의 개별 단계를 제조 방향(H)으로 연속적으로 통과한다. 상기 방법(100)은 폴딩(102) 및 웰딩/접합(103)의 적어도 연속적인 작업 단계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100)은 폴딩전에 부직포(1)의 엠보싱 작업 단계(101)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는 특히 주름이 접히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벌지(8a, 8b)를 주름(2a, 2b, 2c)의 제1 림(3a, 3b)에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벌지(9a, 9b)를 제2 림(4a, 4b)에 엠보싱하도록(101) 구성된 엠보싱 디바이스(11)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림(3a, 3b)은 제2 림(4a, 4b)을 향해 마주 본다. 부직포(1)에 하나 이상의 벌지(8a, 8b, 9a, 9b)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부직포(1)는 바람직하게는 평평한 상태로 상기 엠보싱 디바이스(11)내로 유입된다.
상기 부직포(1)는 작업 단계(102)에서 폴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10)는, 부직포(1)에 서로 각각 평행하게 이어지는 다수의 다수의 주름(2a, 2b, 2c)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폴딩 디바이스(12)를 포함한다. 상기 주름(2a, 2b, 2c)은 상기 부직포(1)를 제1 림(3a, 3b)과 제2 림(4a, 4b)으로 분할하며, 이것에 의해 상기 부직포(1)는 부직포(1)의 지그재그 구성을 만들기 위해서 폴딩된다.
마지막 작업 단계(103)에서, 제1 림(3a, 3b)의 적어도 한 영역은 웰딩 영역(5a, 5b)의 형성에 의해서 주름(2a, 2b, 2c)의 제2 림(4a, 4b)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재료적으로 접합된다. 이것은 상기 장치(10)에서 웰딩 디바이스(13)에 의해 실시되는바, 웰딩 영역(5a, 5b)이 주름(2a, 2b, 2c)의 림(3a, 3b, 4a, 4b)의 마주보는 측부에서만 형성되도록, 즉, 웰딩으로부터 서로 각각 떨어진 주름(2a, 2b, 2c)의 림(3a, 3b, 4a, 4b)의 측부 표면에는 어떤 구조적 변화가 없도록 상기 웰딩 디바이스(13)가 디자인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웰딩 영역들이 벌지에 또는 벌지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웰딩 디바이스(13)는 웰딩을 위해 림(3a, 4a; 3b, 4b) 사이로 유입되고 웰딩 영역(5a, 5b)의 부직포(1)표면을 가열하는 발열 엘리먼트(14)를 포함하는데, 상기 발열 엘리먼트(14)가 회수될 때 상기 웰딩 영역(5a, 5b)이 접촉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웰딩 조인트, 특히 웰딩 이음부를 형성한다. 상기 발열 엘리먼트(14)는 부직포(1)의 표면을 가소화시킬 수 있도록 열 에너지를 인가하도록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 엘리먼트(14)는 열-접촉 웰딩, 초음파 웰딩, 적외선 웰딩 및/또는 레이저 웰딩용으로 구성된다. 열-접촉 웰딩의 경우, 상기 발열 엘리먼트는 가열 로드 또는 열선으로서 디자인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발열 엘리먼트(14)는 림 사이에 스폿(spot) 조인트 또는 긴 조인트를 형성하도록 디자인된다.
웰딩 영역(5a, 5b)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발열 엘리먼트(14)는 바람직하게 인접한 림(3a, 4a; 3b, 4b) 사이로 또는 그들이 각각 형성하는 주름(2a, 2b, 2c)내로 삽입되고 그리고 다시 추출되며, 주름의 웰딩 영역(5a, 5b)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엘리먼트(14)의 이동 방향(B)은 제조 방향(H)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수직으로 정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동 방향(B)은 제조 방향(H)에 대해 적어도 평행하게 배열된 컴포넌트(component)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조 속도, 즉, 부직포(1)가 상기 웰딩 디바이스(13) 영역에서 제조 방향(H)으로 이동하는 속도를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단지 보호 범위, 실시 및 구성을 어떤 방식으로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고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오히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에게 적어도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것이고, 그러므로 청구범위 및 특징들의 균등적 조합으로부터의 보호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특히 전술한 성분들의 기능 및 배열에 관해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부직포
2a, 2b, 2c 주름
3a, 3b 제1 림
4a, 4b 제2 림
5a, 5b 웰딩 영역
6 제1 측부
7 제2 측부
8a, 8b 제1 벌지
9a, 9b 제2 벌지
10 장치
11 엠보싱 디바이스
12 폴딩 디바이스
13 웰딩 디바이스
14 발열 엘리먼트
L 주름의 길이 방향
H 제조 방향
B 이동 방향

Claims (23)

  1. 지그재그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100)으로서, 상기 부직포는 용융 방사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 폴딩 디바이스(12)에 의해 부직포(1)의 주름을 접는 단계(102) ― 여기서 다수의 주름들(2a, 2b, 2c)이 생성되고, 생성된 주름들(2a, 2b, 2c)이 부직포(1)를 제1 림(3a, 3b)과 제2 림(4a, 4b)으로 분할하여 상기 부직포(1)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지게 됨 ―; 그리고 이어서
    - 플라스틱 웰딩 공정으로 주름(2a, 2b, 2c)의 제1 림(3a, 3b)의 웰딩 영역(5a, 5b)을 주름(2a, 2b, 2c)의 제2 림(4a, 4b)의 적어도 하나의 웰딩 영역(5a, 5b)에 웰딩하는 단계 ― 여기서 주름(2a, 2b, 2c)의 림들(3a, 4a; 3b, 4b)의 두 개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 사이에는 웰딩 조인트가 형성됨 ―;
    을 포함하는, 방법(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웰딩하는 단계 동안에, 하나의 발열 엘리먼트 또는 다수의 발열 엘리먼트들이 주름의 림들(3a 4a; 3b, 4b) 사이에 유입되어 웰딩 영역(5a, 5b)들을 가열하며, 그로 인해 상기 웰딩 영역(5a, 5b)들이 상기 발열 엘리먼트가 회수될 때 접촉하여 적어도 하나의 웰딩 조인트, 특히 웰딩 이음부를 형성하는, 방법(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름이 상기 부직포의 양 측면 상에서 웰딩되는, 방법(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벌지들(8a, 9a; 8b, 9b)이 서로 마주하도록 주름들(2a, 2b, 2c)의 제1 림(3a, 3b)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벌지(8a, 8b) 및/또는 제2 림(4a, 4b)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벌지(9a, 9b)를 엠보싱하는 단계(101)를 더 포함하는, 방법(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엘리먼트는 부직포의 제조 방향에 대해 적어도 수직 방향으로 상기 림들(3a, 4a; 3b, 4b)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발열 엘리먼트의 평균 이동 속도 값은 제조 방향의 이미 주름진 부직포의 이동 속도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10배 내지 100배 더 큰, 방법(1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엘리먼트는 부직포의 제조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하는, 방법(100).
  7. 지그재그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1), 특히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포(1)를 제조 및/또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10)로서:
    - 상기 부직포(1)를 제1 림(3a, 3b)과 제2 림(4a, 4b)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주름들(2a, 2b, 2c)을 형성하여 상기 부직포(1)가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지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폴딩 디바이스(12); 및
    - 플라스틱 웰딩 공정에 의해 주름(2a, 2b, 2c)의 림(3a, 4a; 3b, 4b)들 사이에서 주름(2a, 2b, 2c)의 제1 림(3a, 3b)의 웰딩 영역(5a, 5b)을 주름(2a, 2b, 2c)의 제2 림(4a, 4b)의 적어도 하나의 웰딩 영역(5a, 5b)에 주름진 상태에서 웰딩하고, 웰딩 조인트가 주름(2a, 2b, 2c)의 림(3a, 4a; 3b, 4b)들의 두 마주보는 측면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웰딩 디바이스(13)을 포함하는, 장치(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웰딩 디바이스는, 상기 림(3a, 4a; 3b, 4b)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웰딩 영역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발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웰딩 영역은 상기 발열 엘리먼트가 회수될 때 접촉하여 웰딩 영역(5a, 5b)을 형성하는, 장치(10).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웰딩 디바이스는, 상기 발열 엘리먼트와 카운터-웰딩 엘리먼트가 적어도 하나의 웰딩 영역을 감싸도록 인접한 주름의 림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된 카운터 웰딩 엘리먼트, 특히 웰딩 앤빌(anvil)을 더 포함하는, 장치(10).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2 웰딩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두 개의 웰딩 디바이스의 발열 엘리먼트들이 부직포의 대향 사이들로부터 림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디자인되어 있는, 장치(10).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벌지들(8a, 9a; 8b, 9b)이 서로 마주 향하도록 주름(2a, 2b, 2c)의 제1 림(3a, 3b)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8a, 8b) 및/또는 제2 림(4a, 4b)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9a, 9b)를 엠보싱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엠보싱 디바이스(11)를 더 포함하는, 장치(10).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웰딩 디바이스는 상기 발열 엘리먼트를 부직포의 제조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또한 구성되는, 장치(10).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100)을 통해 제조되고, 부직포(1)를 제1 림(3a, 3b)과 제2 림(4a, 4b)으로 분할하는 복수의 주름들(2a, 2b, 2c)을 갖는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필터용 부직포(1)로서,
    상기 제1 림(3a, 3b)을 상기 제2 림(4a, 4b)에 연결하는 재료적으로 접합된 웰딩 조인트가 적어도 하나의 웰딩 영역(5a, 5b)에서 주름(2a, 2b, 2c)의 제1 림(3a, 3b)과 제2 림(4a, 4b) 사이에 각각 배열되고, 그로 인해 주름(2a, 2b, 2c)의 두 개의 림들(3a, 4a; 3b, 4b)을 연결하는 웰딩 영역(5a, 5b)이 그 주름(2a, 2b, 2c)의 림들(3a, 4a; 3b, 4b)의 마주보는 측면에만 형성되는바, 적어도 주름(2a, 2b, 2c)의 림(3a, 4a; 3b, 4b)의 마주 보는 측면들의 웰딩 영역(5a, 5b)에서 표면은 웰딩 조인트에 의해 변화되고, 웰딩 영역(5a, 5b)으로부터 대향하는 주름(2a; 2b; 2c)의 림(3a, 4a; 3b, 4b)의 측면의 표면은 상기 웰딩 조인트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 부직포(1).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웰딩 영역(5a, 5b)의 표면에 대향하는 부직포(1)의 림들의 측면들은 특히 마름모꼴 및/또는 벌집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직포(1).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복수의 웰딩 영역(5a, 5b)이 주름(2a, 2b, 2c)의 길이 방향(L)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주름(2a, 2b, 2c)의 림(3a, 3b, 4a, 4b)들 사이에 형성되는, 부직포(1).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웰딩 영역(5a, 5b)은 주름(2a, 2b, 2c)의 제1 림(3a, 3b)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8a, 8b) 및/또는 제2 림(4a, 4b)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9a, 9b)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벌지들은(8a, 9a; 8b, 9b)는 서로 마주보는, 부직포(1).
  17. 제16항에 있어서,
    주름(2a, 2b, 2c)의 제1 림(3a, 3b) 및/또는 제2 림(4a, 4b)의 적어도 하나의 벌지(8a, 8b; 9a, 9b)는 상기 주름(2a, 2b, 2c)의 길이 방향(L)에 적어도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부직포(1).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2a, 2b, 2c)의 제1 림(3a, 3b)의 벌지(8a, 8b) 및/또는 제2 림(4a, 4b)의 벌지(9a, 9b)는 일반적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는, 부직포(1).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2a, 2b, 2c)의 제1 림(3a, 3b)의 벌지(8a, 8b) 및/또는 제2 림(4a, 4b)의 벌지(9a, 9b)는 상기 주름(2a, 2b, 2c)을 기점으로, 특히 연속적으로 또는 점진적으로 돌출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림(3a, 3b) 및/또는 제2 림(4a, 4b)의 벌지(8a, 8b, 9a, 9b)의 돌출부는 주름(2a, 2b, 2c)에서 실질적으로 가장 낮은, 부직포(1).
  20.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1)는 적어도 두 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부직포(1).
  21. 다수 층을 갖는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포로서,
    제1 층은 웰딩될 부직포 표면상에 제2 층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상이한 중합체 또는 상이한 중합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부직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웰딩을 적용하기 위해, 특히 대략 1mm 내지 5mm 두께의 플래토(plateau)를 나타내는, 부직포.
  23. 제13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포(1)를 갖는, 필터.
KR1020227040216A 2020-04-24 2021-04-23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부직포 KR202300028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05247.6A DE102020205247A1 (de) 2020-04-24 2020-04-24 Zickzack-gefaltetes vliesmaterial
DE102020205247.6 2020-04-24
PCT/EP2021/060741 WO2021214324A1 (de) 2020-04-24 2021-04-23 Zickzack-gefaltetes vlies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827A true KR20230002827A (ko) 2023-01-05

Family

ID=7591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216A KR20230002827A (ko) 2020-04-24 2021-04-23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부직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241541A1 (ko)
EP (1) EP4139024A1 (ko)
KR (1) KR20230002827A (ko)
CN (1) CN115916374A (ko)
BR (1) BR112022021185A2 (ko)
DE (1) DE102020205247A1 (ko)
MX (1) MX2022013167A (ko)
WO (1) WO2021214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0695B2 (ja) * 2018-10-17 2023-10-30 日本無機株式会社 フィルタパック、及びエア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4079A1 (de) 1990-02-08 1991-08-14 Lippold Hans Joachim Filtereinsatz
DE19941029C2 (de) * 1999-08-28 2001-07-26 Freudenberg Carl Fa Filtereinsatz aus einem zickzackförmig gefalteten Faltenpack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019505A1 (de) * 2000-04-19 2001-10-31 Jacobi Systemtechnik Gmbh Fluidfilterelemen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WO2015060364A1 (ja) * 2013-10-23 2015-04-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エンボス加工されたエアフィルタ用濾材、フィルタパック、エア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エンボス加工されたエアフィルタ用濾材の製造方法
JP2016052644A (ja) * 2014-09-04 2016-04-1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リーツフィルター、プリーツフィルターカートリッジ、それを用いた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の処理方法
DE102014117506A1 (de) 2014-11-28 2016-06-02 Filta Co., Ltd Filtermedium mit großem Faltenab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21185A2 (pt) 2022-12-27
US20230241541A1 (en) 2023-08-03
DE102020205247A1 (de) 2021-10-28
CN115916374A (zh) 2023-04-04
WO2021214324A1 (de) 2021-10-28
MX2022013167A (es) 2023-02-09
EP4139024A1 (de)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665B2 (en) Nestable framed pleated air filter and method of making
US9486719B2 (en) Filter element, device for folding a filter medium web and process for producing a zigzag-folded filter element
US6758878B2 (en) Thermobondable filter medium and border frame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859137C (en) Framed pleated air filter with upstream bridging filaments
KR101739734B1 (ko) 양각된 유체 여과용 엘리먼트
JP2698984B2 (ja) 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
US5868889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fluid filter
CA2342835C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pleatable fleece filter material
US10486094B2 (en) Collapsable V-bank filter
KR101513761B1 (ko) 결합 필터매체 주름팩
JPH03137909A (ja) フイルタ挿入体
KR20080081834A (ko) 복합 필터 매질 및 제조 방법
JP5722910B2 (ja) フィルターマットの形成方法
CN107106944B (zh) 具有大褶皱间距的过滤介质
MXPA02006767A (es) Materiales no tejidos de estructura regular, metodo para su produccion y su uso.
KR20230002827A (ko) 지그재그 형태로 주름진 부직포
JP3217994B2 (ja) フィルタパッド、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6585838B1 (en) Enhanced pleatability of meltblown media by ultrasonic processing
TWI641412B (zh) 過濾器濾材及過濾器濾材之製造方法
JP4566333B2 (ja) エアフィルタ用ろ材の加工方法
JPH0214709A (ja) エアフイルタ媒質を形成する方法
JPH1043534A (ja) エア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75732Y2 (ja) フィルター材
JPH0544218U (ja) フイルター材
JPH0471609A (ja) フィルターおよび濾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