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640A -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640A
KR20230002640A KR1020227039427A KR20227039427A KR20230002640A KR 20230002640 A KR20230002640 A KR 20230002640A KR 1020227039427 A KR1020227039427 A KR 1020227039427A KR 20227039427 A KR20227039427 A KR 20227039427A KR 20230002640 A KR20230002640 A KR 20230002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let
hole
cavity
passage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청 랴오
싱푸 장
Original Assignee
센젠 메리트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메리트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센젠 메리트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3000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원 어셈블리 및 무화기를 포함하는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화기는 상기 전원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 어셈블리와 가까운 일단에 기체 유입통로가 배치된다. 상기 무화기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를 수용 가능한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 내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가 배치된다. 상기 기체 유입통로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의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외부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수용부재를 관통한다.

Description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본 출원은 2020년 4월 16일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20205620711이고, 명칭이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여기서 모든 내용은 참고용으로 원용된다.
본 출원은 에어로졸 형성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는 궐련과 같은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비연소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는 연기를 생성할 수 있다.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원 어셈블리, 가열부재 및 수용부재를 포함하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수용부재에 수용되고, 전원 어셈블리는 가열부재에 전력을 공급하며, 가열부재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열을 흡수하여 무화됨으로써 연기를 형성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는 전원 어셈블리 내에 기체 유입통로가 배치되고, 외부 기체는 상기 기체 유입통로를 통해 수용부재 내로 유입됨으로써 연기를 운반하여 사용자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나, 기체 유입통로의 경로가 길어 막힘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의 구조 설계가 복잡해진다.
본 출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기 위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는,
전원 어셈블리; 및
상기 전원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 어셈블리와 가까운 일단에 기체 유입통로가 배치된 무화기를 포함하되, 상기 무화기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를 수용 가능한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 내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가 배치되고, 상기 기체 유입통로는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수용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수용 캐비티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외부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화기는 상기 수용 캐비티를 둘러싸며 배치된 차폐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차폐 커버를 더 수용하며, 상기 기체 유입통로는 상기 차폐 커버를 더 관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재는 서로 연결된 외측 슬리브와 내측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튜브는 상기 외측 슬리브 내에 수용되며, 상기 수용 캐비티는 상기 내측 튜브 내에 형성되고, 상기 차폐 커버 내에는 상기 내측 튜브와 정합되는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슬리브와 상기 내측 튜브 사이의 공간은 상기 차폐 커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화기는 상기 전원 어셈블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발열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튜브는 서로 연결되는 측면 관 및 밑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관과 상기 밑판에 의해 상기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밑판에는 상기 수용 캐비티와 연통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체는 자체의 일부가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삽입홀에 삽입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 커버와 상기 내측 튜브 사이에는 완충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 통로는 상기 기체 유입통로과 상기 삽입홀을 연통시키며, 상기 기체 유입통로로 유입되는 외부 기체는 순차적으로 상기 완충 통로 및 삽입홀을 통과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 내로 유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밑판은 상기 측면 관에 의해 둘러싸인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밑판에 의해 상기 캐비티는 완충 캐비티와 수용 캐비티로 분할되고, 상기 측면 관에는 상기 기체 유입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 커버는 상기 측면 관에 맞닿아 상기 완충 캐비티를 밀폐시켜 상기 완충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체 유입홀 내의 외부 기체는 상기 완충 통로로 유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밑판의 표면에는 홈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삽입홀과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밑판은 상기 측면 관에 의해 둘러싸인 캐비티 전체가 상기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면 관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 튜브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위치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상기 돌기와 맞닿아 상기 수용 캐비티의 일부를 밀폐시켜 완충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관에는 상기 기체 유입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 통로는 상기 제1 기체 유입홀과 상기 삽입홀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1 기체 유입홀로 유입되는 외부 기체는 직접 상기 완충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 내로 유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밑판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밑판의 표면에 대해 돌출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화기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 커버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배치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장착홀이 밀봉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충진되어 있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밀봉부재에 관통하여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관에는 제1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슬리브에는 제2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 커버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는 제3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4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기체 유입홀, 제2 기체 유입홀, 제3 기체 유입홀 및 제4 기체 유입홀은 함께 기체 유입통로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폐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재 내에 수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홀의 바닥면은 상기 내측 튜브의 상기 측면 관과 맞닿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화기는 상기 장착홀의 아래에 위치하는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고정 홀더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전원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출원에 따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에서, 기체 유입통로는 전원 어셈블리에 근접하게 배치되므로, 외부 기체가 기체 유입통로를 통해 수용 캐비티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까지 도달하는 흐름경로가 상대적으로 짧아, 기체 유입통로에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고,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전체의 구조 설계를 더 단순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요지를 제시하는 목적으로 제공된 것으로서, 실제 크기에 따라 의도적으로 축척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의 사시도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에 궐련이 구비된 경우의 단면을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에 궐련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의 단면을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의 다른 시야각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에 궐련이 구비된 경우의 단면을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에 궐련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의 단면을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 대하여 보다 전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개시 내용을 보다 철저하고 전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제공된다.
요소가 다른 요소에 "고정"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 요소는 다른 요소 위에 직접 존재하거나, 또는 중간에 또 다른 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 요소는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중간에 또 다른 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내", "외”, "좌", "우”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유일한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항목에 대한 임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1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무화시키도록 구성되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상기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10)와 세트로 사용되는 궐련(20)일 수 있고, 상기 궐련(20)은 일상생활에서 피우는 담배와 구조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10)는 전원 어셈블리(12) 및 무화기(11)를 포함하고, 전원 어셈블리(12)는 무화기(11)에 전력을 공급하며, 무화기(11)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열을 흡수하여 무화됨으로써 연기를 형성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3, 도 4 및 도 5를 동시에 참조하면, 무화기(11)는 상부 커버(100), 수용부재(200), 차폐 커버(300), 밀봉부재(400) 및 발열체(510)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100)는 차폐 커버(300)와 수용부재(20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부 커버(100)는 단열 성능이 좋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커버(100)는 대략적으로 통 모양의 구조를 가지며, 상부 커버(100)의 단면은 대략적으로 트랙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커버(100)는 하나의 일면이 개방된 개방 챔버(120)를 둘러싸며 형성하고, 상부 커버(100)에는 개방 챔버(120)와 연통되는 개구(130)가 더 구비되며, 궐련(20)은 상기 개구(130)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커버(100)와 수용부재(20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존재할 수 있고, 즉, 수용부재(200)는 상부 커버(100)의 상단벽 내면에서 하단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수용부재(200)는 외측 슬리브(210)와 내측 튜브(220)를 포함하고, 외측 슬리브(210)와 내측 튜브(220)는 서로 연결되며, 수용부재(200)는 단열 성능이 좋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측 슬리브(210)는 상부 커버(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통 모양의 구조로 구성되고, 외측 슬리브(210)는 상부 커버(100)의 개방 챔버(120)에 수용되며, 내측 튜브(220)는 외측 슬리브(210) 내에 수용된다. 내측 튜브(220)는 측면 관(221)과 밑판(222)을 포함한다. 측면 관(221)은 하나의 원기둥 모양의 캐비티를 둘러싸며 형성하고, 밑판(222)은 측면 관(221)의 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밑판(222)은 측면 관(221)의 내벽에 연결되며 측면 관(221)의 캐비티 내에 위치한다. 밑판(222)은 측면 관(221)에 의해 둘러싸인 캐비티를 상부와 하부의 두 부분으로 분할하며, 캐비티의 상부는 수용 캐비티(223)를 형성하고 캐비티의 하부는 완충 캐비티(224)를 형성한다. 상기 수용 캐비티(223)는 궐련(2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궐련(20)이 상기 수용 캐비티(223)에 위치할 때, 궐련(20)의 단부는 밑판(222)의 상면에 맞닿고, 상기 밑판(222)의 상면에는 또한 삽입홀(222c)과 홈(22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222c)은 밑판(222)의 상면 및 하면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홀(222c)에 의해 완충 캐비티(224)와 수용 캐비티(223)가 연통되도록 한다. 홈(222b)은 상면의 일부가 완충 캐비티(224)를 향한 하단으로 일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홈(222b)은 밑판(222)의 하면을 관통하지 않는다. 또한, 홈(222b)은 삽입홀(222c)까지 연장됨으로써, 홈(222b)이 상기 삽입홀(222c)과 연통된다. 홈(222b)의 개수는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홈(222b)은 삽입홀(222c)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분포될 수 있다. 궐련(20)이 밑판(222)의 상면에 접촉되면, 삽입홀(222c)로 유입된 외부 기체가 상기 홈(222b)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외부 기체는 삽입홀(222c)을 통해 궐련(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홈(222b)을 통해 궐련(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 궐련(20)과 외부 기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킨다.
차폐 커버(300)의 형상은 상부 커버(100)의 개방 챔버(120)의 형상에 맞추어져 형성되고, 외측 슬리브(210)와 내측 튜브(220) 사이의 공간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장착시 차폐 커버(300)의 일부는 기본적으로 수용공간 전체를 채울 수 있고, 즉 차폐 커버(300)의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다. 차폐 커버(300) 내에는 장착홀(310)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홀(3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장착홀(310)의 형상은 내측 튜브(220)의 형상에 맞추어져 형성되고, 즉 장착홀(310)은 원형홀로 형성되며, 장착시 수용부재(200)의 내측 튜브(220)는 상기 장착홀(310)에 삽입되고, 내측 튜브(220)와 상기 장착홀(310)은 헐거운 끼워맞춤 관계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차폐 커버(300) 전체는 내측 튜브(220)를 감싸고 있으므로 수용 캐비티(223)도 감싸고 있다. 또한, 장착홀(310)의 바닥면은 내측 튜브(220)의 측면 관(221)에 맞닿아 있어, 장착홀(310)의 바닥면은 완충 캐비티(224)의 하단 개구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완충 캐비티(224)를 밀봉하여 하나의 완충 통로(224a)를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완충 통로(224a)와 삽입홀(222c)은 서로 연통된다. 차폐 커버(300)는 단열 성능이 좋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폐 커버(300)에는 또한 관통공(3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2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통공(320)과 장착홀(310)은 연통되고, 상기 관통공(320) 내에 밀봉부재(400)가 채워져 있으며, 밀봉부재(400)와 관통공(320)은 억지끼워맞춤 관계를 이룬다. 밀봉부재(400)는 플렉서블 실리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부재(400)가 상기 관통공(320)과 조합됨으로써, 밀봉부재(400)는 장착홀(310)에 대한 우수한 밀봉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장착홀(310) 내의 기체가 관통공(320)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열체(510)는 대략적으로 시트형 구조를 가지며 상하로 배치되고, 발열체(510)의 하부는 상기 밀봉부재(400)에 삽입되고, 발열체(510)의 상부는 완충 캐비티(224) 및 밑판(222)의 삽입홀(222c)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223)에 수용되며, 발열체(510)의 선단은 뾰족하게 형성된다. 발열체(510)는 본체와 발열 필름을 포함하고, 발열 필름은 본체에 실크스크린 인쇄 또는 코팅되며, 즉 본체는 발열 필름을 지지하는 캐리어로 사용될 수 있고, 발열 필름은 전기 저항이 낮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 필름은 전원 어셈블리(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어셈블리(12)가 발열 필름에 전력을 공급하면 발열 필름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킨다. 궐련(20)은 발열 필름의 열에너지를 흡수하여 무화됨으로써 연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 도 5 및 도 6을 동시에 참조하면, 무화기(11)는 고정 홀더(5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 홀더(520)는 장착홀(310)의 아래에 위치하며, 발열체(510)의 본체는 상기 고정 홀더(520)에 삽입되고, 발열체(510)의 본체는 전도성 전극을 통해 전원 어셈블리(12)에 연결될 수 있어, 전원 어셈블리(12)는 전도성 전극을 통해 발열체(5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밀봉부재(400)는 차폐 커버(300)의 관통공(320)에만 채워질 수 있다. 물론, 밀봉부재(400)의 장착 안정성과 장착홀(310)에 대한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밀봉부재(400)의 하부는 고정 홀더(520)에 직접 고정될 수 있고, 따라서 밀봉부재(400)가 관통공(320)에서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밀봉부재(400)와 관통공(320)이 항상 억지끼워맞춤 관계를 유지하도록 확보한다.
측면 관(221)에는 또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기체 유입홀(221a)이 형성되며, 제1 기체 유입홀(221a)은 전원 어셈블리(12)와 가까운 측면 관(221)의 일단에 위치하고, 제1 기체 유입홀(221a)은 반경방향을 따라 측면 관(221) 전체를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기체 유입홀(221a)이 상기 완충 통로(224a)와 연통되도록 한다. 밀봉부재(400)의 밀봉 효과로 인해 완충 통로(224a) 내의 기체는 관통공(320)으로부터 누출될 수 없게 된다. 전원 어셈블리(12)와 가까운 외측 슬리브(210)의 일단에는 제2 기체 유입홀(211)이 형성되고, 제2 기체 유입홀(211)은 수평으로 배치된다. 차폐 커버(300)에는 제3 기체 유입홀(330)이 형성되고, 제3 기체 유입홀(330)은 전원 어셈블리(12)와 가까운 차폐 커버(300)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3 기체 유입홀(330)은 장착홀(310)과 연통되고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부 커버(100)에는 제4 기체 유입홀(110)이 형성되고, 제4 기체 유입홀(110)은 전원 어셈블리(12)와 가까운 상부 커버(100)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4 기체 유입홀(110)에 의해 외부와 개방 챔버(120)는 연통되고, 제4 기체 유입홀(110)도 수평으로 배치된다. 제1 기체 유입홀(221a), 제2 기체 유입홀(211), 제3 기체 유입홀(330) 및 제4 기체 유입홀(110)은 모두 전원 어셈블리(12)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수평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1 기체 유입홀(221a), 제2 기체 유입홀(211), 제3 기체 유입홀(330) 및 제4 기체 유입홀(110)은 함께 기체 유입통로(101)를 형성하고, 상기 기체 유입통로(101)는 전원 어셈블리(12)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수평으로 배치되므로, 외부 기체는 전원 어셈블리(12)와 가까운 무화기(11)의 일단으로부터 무화기(11) 내부로 유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체 유입통로(101)는 외부와 완충 통로(224a)를 연통시킨다.
궐련(20)을 사용하여 흡입하는 경우, 궐련(20)은 상부 커버(100)의 개구(130)로부터 아래에 있는 내측 튜브(220)의 수용 캐비티(223) 내로 삽입될 수 있고, 발열체(510)의 뾰족하게 형성된 선단으로 인해 발열체(510)는 궐련(20)의 내부에 삽입된다. 궐련(20)의 하단이 밑판(222)의 상면에 접촉되면, 궐련(20)은 내측 튜브(220)에 대해 더 이상 아래로 이동할 수 없고 궐련(20)의 일부가 무화기(11)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며, 이때, 밑판(222)은 궐련(20)을 지지하고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는 무화기(11)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접촉하여 흡입을 할 수 있다. 흡입하는 과정에서, 발열체(510)가 발열하여 적절한 온도를 형성하고, 발열체(510)가 궐련(20)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궐련(20)은 발열체(510)의 열을 빠르게 흡수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하며, 상기 열에 의해 조성된 온도에서 궐련(20)은 연소하지 않으므로 연소하는 궐련(20)에 의한 많은 유해 물질을 피하는 동시에, 발열체(510)에 의해 조성된 온도는 궐련(20)이 효과적으로 무화되어 연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흡입하면, 외부 기체는 기체 유입통로(101) 및 완충 통로(224a)를 차례로 통과하여 삽입홀(222c)로 유입되고, 삽입홀(222c)로 유입된 기체의 일부는 중간 부분으로부터 궐련(20) 내부로 유입되며, 삽입홀(222c)로 유입된 기체의 다른 일부는 홈(222b)으로 유입되어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궐련(20) 내부로 유입되고, 궐련(20) 내부로 유입된 기체는 연기를 운반하여 사용자가 흡수하도록 한다.
상기 차폐 커버(300)의 일부가 외측 슬리브(210)와 내측 튜브(22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차폐 커버(300)를 배치하고, 차폐 커버(300)는 수용 캐비티(223)의 외부에 위치하여 내측 튜브(220)를 둘러싸도록 배치함으로써, 발열체(510)에서 열을 발생시키면, 수용 캐비티(223) 내의 열은 필연적으로 내측 튜브(220), 차폐 커버(300) 및 외측 슬리브(210)를 차례로 거쳐 상부 커버(100)로 전달된 후, 상부 커버(100)로부터 외부로 전달된다. 내측 튜브(220), 차폐 커버(300) 및 외측 슬리브(210)는 많은 열을 흡수하였으므로 상부 커버(100)로 전달되는 열은 상대적으로 적어, 외부와 직접 접촉하는 상부 커버(100)의 외표면은 낮은 온도를 확보하고, 사용자가 높은 온도의 상부 커버(100)에 접촉하여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 커버(100)를 통해 외부로 직접 전달되는 열이 크게 감소되어, 일부 열은 내측 튜브(220), 차폐 커버(300) 및 외측 슬리브(210)에 저장되고, 즉 내측 튜브(220), 차폐 커버(300) 및 외측 슬리브(210)는 일정한 보온 역할을 하여 수용 캐비티(223) 내에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다시 흡입을 할 때 궐련(20)은 수용 캐비티(223) 내의 잔열을 흡수하여 신속하게 무화될 수 있어 에너지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기체 유입통로(101)는 전원 어셈블리(12)에 근접하게 배치되므로, 외부 기체가 기체 유입통로(101), 완충 통로(224a) 및 삽입홀(222c)을 통해 궐련(20)까지 도달하는 흐름경로가 단축되어, 기체 유입통로(101), 완충 통로(224a) 및 삽입홀(222c)에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고,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10) 전체의 구조 설계를 더 단순하게 만든다.
<제2 실시예>
도 7, 도 8 및 도 9를 동시에 참조하면,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주요 차이점은 내측 튜브(220)의 구조 및 완충 통로(224a)의 위치에 있으며, 그 외 동일한 점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한다.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내측 튜브(220)는 측면 관(221), 밑판(222) 및 돌기(230)를 포함한다. 밑판(222)은 측면 관(221)의 하단에 연결되어, 측면 관(221)에 의해 둘러싸인 캐비티의 하단 개구를 밑판(222)이 밀폐시키도록 함으로써, 측면 관(221)에 의해 둘러싸인 캐비티 전체가 수용 캐비티(223)을 형성하게 된다. 밑판(222)에는 삽입홀(222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222c)은 밑판(222)의 상면 및 하면을 동시에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성되고, 발열체(510)는 상기 삽입홀(222c)을 통과하여 수용 캐비티(223) 내에 위치한다. 돌기(230)는 밑판(222)의 상면과 연결되어 수용 캐비티(223) 내에 위치하며, 돌기(230)는 밑판(222)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하여 형성된다. 물론, 돌기(230)는 밑판(222)과 연결되지 않고, 측면 관(221)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궐련(20)을 상부 커버(100)의 개구(130)로부터 아래에 있는 내측 튜브(220)의 수용 캐비티(223) 내로 삽입하는 경우, 궐련(20)의 하단이 돌기(230)의 표면에 접촉되면, 궐련(20)은 내측 튜브(220)에 대해 더 이상 아래로 이동할 수 없고 궐련(20)의 일부가 무화기(11)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며, 이때, 돌기(230)는 궐련(20)을 지지하고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궐련(20)은 수용 캐비티(223)에서 궐련(20)과 밑판(222) 사이의 부분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부분은 완충 통로(224a)를 형성하며, 상기 완충 통로(224a)는 삽입홀(222c)과 연통된다. 내측 튜브(220)가 차폐 커버(300)의 장착홀(310)에 삽입되는 경우, 밑판(222)의 하면과 장착홀(310)의 바닥면은 밀착됨으로써,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장착홀(310)의 바닥면과 밑판(222)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완충 통로(224a)(제1 수용 캐비티(223) 외부에 위치)를 제거하고, 또한 돌기(230)를 배치하여 상기 제2 실시예의 완충 통로(224a)는 수용 캐비티(223) 내에 위치하도록 한다.
내측 튜브(220)의 측면 관(221)에는 제1 기체 유입홀(221a)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기체 유입홀(221a)은 원형홀로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체 유입홀(221a)은 완충 통로(224a)와 서로 연통된다. 사용자가 흡입을 하면, 제1 기체 유입홀(221a)로 유입된 외부 기체는 차례로 완충 통로(224a)를 통해 궐련(20) 내부로 유입되며, 제1 실시예와 같이 삽입홀(222c)을 통해 궐련(20) 내부로 유입될 필요가 없다. 외부 기체가 제1 기체 유입홀(221a)을 통해 완충 통로(224a)로 유입된 후, 완충 통로(224a) 내의 외부 기체는 궐련(20)의 단부 표면과 거의 완전한 접촉 관계를 이루어, 외부 기체와 궐련(20) 사이에 넓은 접촉 면적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외부 기체가 궐련(20) 내부로 유입되어 연기를 운반한다. 궐련(2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기체는 삽입홀(222c)을 통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때 삽입홀(222c)은 발열체(510)를 삽입시키는 역할만 하며, 제1 실시예와 같은 기체 전도 기능은 없다.
제2 기체 유입홀(211), 제3 기체 유입홀(330) 및 제4 기체 유입홀(110)의 위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즉 제1 기체 유입홀(221a), 제2 기체 유입홀(211), 제3 기체 유입홀(330) 및 제4 기체 유입홀(110)에 의해 기체 유입통로(101)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흡입하면 외부 기체는 기체 유입통로(101) 및 완충 통로(224a)를 차례로 경과하여 궐련(20) 내부로 유입되어 연기를 운반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차폐 커버(300)의 일부가 외측 슬리브(210)와 내측 튜브(220)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도록 차폐 커버(300)를 배치함으로써, 발열체(510)에서 열을 발생시키면, 수용 캐비티(223) 내의 열은 필연적으로 내측 튜브(220), 차폐 커버(300) 및 외측 슬리브(210)를 차례로 거쳐 상부 커버(100)로 전달된 후, 상부 커버(100)로부터 외부로 전달된다. 내측 튜브(220), 차폐 커버(300) 및 외측 슬리브(210)는 많은 열을 흡수하였으므로 상부 커버(100)로 전달되는 열은 상대적으로 적어, 외부와 직접 접촉하는 상부 커버(100)의 외표면은 낮은 온도를 확보하고, 사용자가 높은 온도의 상부 커버(100)에 접촉하여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 커버(100)를 통해 외부로 직접 전달되는 열이 크게 감소되어, 일부 열은 내측 튜브(220), 차폐 커버(300) 및 외측 슬리브(210)에 저장되고, 즉 내측 튜브(220), 차폐 커버(300) 및 외측 슬리브(210)는 일정한 보온 역할을 하여 수용 캐비티(223) 내에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다시 흡입을 할 때 궐련(20)은 수용 캐비티(223) 내의 잔열을 흡수하여 신속하게 무화될 수 있어 에너지 이용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기체 유입통로(101)는 전원 어셈블리(12)에 근접하게 배치되므로, 외부 기체가 기체 유입통로(101) 및 완충 통로(224a)를 통해 궐련(20)까지 도달하는 흐름경로가 단축되어, 기체 유입통로(101)와 완충 통로(224a)에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이고,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10) 전체의 구조 설계를 더 단순하게 만든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기술적 구성들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고,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적 구성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은 서술되지 않았지만, 이들의 기술적 구성의 조합 간에 모순이 없는 한, 본 명세서의 기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전술한 상기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개선을 행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4)

  1.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로서,
    전원 어셈블리; 및 상기 전원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 어셈블리와 가까운 일단에 기체 유입통로가 배치된 무화기를 포함하되,
    상기 무화기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를 수용 가능한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 내에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가 배치되고,
    상기 기체 유입통로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의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외부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수용부재를 관통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기는 상기 수용 캐비티를 둘러싸며 배치된 차폐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차폐 커버를 더 수용하며, 상기 기체 유입통로는 상기 차폐 커버를 더 관통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서로 연결된 외측 슬리브와 내측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튜브는 상기 외측 슬리브 내에 수용되며, 상기 수용 캐비티는 상기 내측 튜브 내에 형성되고, 상기 차폐 커버 내에는 상기 내측 튜브와 정합되는 장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 슬리브와 상기 내측 튜브 사이의 공간은 상기 차폐 커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기는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발열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 튜브는 서로 연결되는 측면 관 및 밑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관과 상기 밑판에 의해 상기 수용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밑판에는 상기 수용 캐비티와 연통되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발열체는 자체의 일부가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삽입홀에 삽입 배치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커버와 상기 내측 튜브 사이에는 완충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 통로는 상기 기체 유입통로와 상기 삽입홀을 연통시키며, 상기 기체 유입통로로 유입되는 외부 기체는 순차적으로 상기 완충 통로 및 상기 삽입홀을 통과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 내로 유입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은 상기 측면 관에 의해 둘러싸인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밑판에 의해 상기 캐비티는 완충 캐비티와 수용 캐비티로 분할되고, 상기 측면 관에는 상기 기체 유입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 커버는 상기 측면 관에 맞닿아 상기 완충 캐비티를 밀폐시켜 상기 완충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체 유입홀 내의 외부 기체는 상기 완충 통로로 유입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밑판의 표면에는 홈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은 상기 측면 관에 의해 둘러싸인 캐비티 전체가 상기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면 관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 튜브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위치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상기 돌기와 맞닿아 상기 수용 캐비티의 일부를 밀폐시켜 완충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측면 관에는 상기 기체 유입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완충 통로는 상기 제1 기체 유입홀과 상기 삽입홀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1 기체 유입홀로 유입되는 외부 기체는 직접 상기 완충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 내로 유입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밑판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밑판의 표면에 대해 돌출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기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 커버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배치되며,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장착홀이 밀봉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충진되어 있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밀봉부재에 관통하여 배치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관에는 제1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 슬리브에는 제2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 커버에는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는 제3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4 기체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기체 유입홀, 제2 기체 유입홀, 제3 기체 유입홀 및 제4 기체 유입홀은 함께 기체 유입통로를 형성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부재 내에 수용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의 바닥면은 상기 내측 튜브의 상기 측면 관과 맞닿아 있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화기는 상기 장착홀의 아래에 위치하는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고정 홀더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전원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인,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KR1020227039427A 2020-04-16 2021-03-30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KR202300026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20562071.1 2020-04-16
CN202020562071.1U CN212852497U (zh) 2020-04-16 2020-04-16 电加热气溶胶形成装置
PCT/CN2021/083744 WO2021208714A1 (zh) 2020-04-16 2021-03-30 电加热气溶胶形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640A true KR20230002640A (ko) 2023-01-05

Family

ID=75186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427A KR20230002640A (ko) 2020-04-16 2021-03-30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136989A4 (ko)
JP (1) JP7487332B2 (ko)
KR (1) KR20230002640A (ko)
CN (1) CN212852497U (ko)
WO (1) WO2021208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8787A (zh) * 2021-12-06 2022-03-11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雾化系统及其气溶胶形成装置
WO2024039138A1 (en) * 2022-08-17 2024-02-22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WO2024049224A1 (en) * 2022-09-01 2024-03-07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7699B (en) * 2016-02-26 2021-09-22 Nerudia Ltd Aerosol delivery system
CN207836767U (zh) * 2016-12-16 2018-09-11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产生设备
CN110494053B (zh) * 2017-04-11 2022-05-31 韩国烟草人参公社 气溶胶生成装置
CN206923683U (zh) * 2017-06-02 2018-01-26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低温烟具
CN108323823A (zh) * 2018-04-17 2018-07-27 威滔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改进气流的气溶胶发生系统和气溶胶发生装置
CN208259009U (zh) * 2018-04-24 2018-12-21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低温烟及其低温烟具
CN108813737A (zh) * 2018-07-11 2018-11-16 威滔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具备能量回收的气溶胶发生装置及系统
CN110574968A (zh) * 2019-06-18 2019-12-17 筑思有限公司 电子烘烤装置及其加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36989A4 (en) 2024-06-05
EP4136989A1 (en) 2023-02-22
JP7487332B2 (ja) 2024-05-20
JP2023520438A (ja) 2023-05-17
WO2021208714A1 (zh) 2021-10-21
CN212852497U (zh)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2640A (ko)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형성 장치
US11122838B2 (en) Electronic cigarette
JP6621154B2 (ja) 蒸気供給デバイス
EP3420828B1 (en) Cigarette cartridge and electronic cigarette using same
JP6507248B2 (ja) エアロゾル供給装置
RU27419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аэрозоля с нагревом излучением
KR101736445B1 (ko) 전자담배
US12035751B2 (en) Atomizing head,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UA123674C2 (uk) Пристрій для утворення пари
US11918045B2 (en) Electronic cigarette with optimised vaporisation
US20180310627A1 (en) Atomizing head,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EP4133953A1 (en)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WO2014101059A1 (zh) 电子烟及其吸嘴
KR20230167703A (ko) 발열 모듈, 무화 어셈블리 및 전자 무화기
WO2022068889A1 (zh) 电子烟烟弹及电子烟
WO2019157877A1 (zh) 抛弃式气溶胶生成制品及气溶胶生成系统
WO2019157876A1 (zh) 抛弃式气溶胶生成制品及气溶胶生成系统
CN112826142A (zh) 雾化芯、雾化装置及气溶胶产生装置
CN216088899U (zh) 雾化芯组件、电子烟雾化装置及电子烟
CN213215348U (zh) 储液组件、雾化器及其气溶胶发生装置
US20210244093A1 (en) Cartridge and electronic cigarette
WO2019157875A1 (zh) 抛弃式气溶胶生成制品及气溶胶生成系统
CN110973703A (zh) 带凸起式雾化芯的烟弹和电子烟
WO2023143066A1 (zh) 气溶胶生成装置
CN210782908U (zh) 雾化器及电子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