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549A -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과 무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과 무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549A
KR20230002549A KR1020227038189A KR20227038189A KR20230002549A KR 20230002549 A KR20230002549 A KR 20230002549A KR 1020227038189 A KR1020227038189 A KR 1020227038189A KR 20227038189 A KR20227038189 A KR 20227038189A KR 20230002549 A KR20230002549 A KR 20230002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hole
passage
guide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핑 천
Original Assignee
썬전 화청다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화청다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화청다 프리시젼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0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Landscapes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화 어셈블리는 하우징(2), 상부 커버(3) 및 에어통로에 우회하는 무화 유닛(1)을 포함한다.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1)은 베이스(12), 외부 덮개(11), 액체 가이드 바디(13), 지지체(14), 발열체(15)를 포함하고, 베이스(12)에는 제1 에어 홀(12a)과 제2 에어 홀(12b)를 포함하고, 제1 에어 홀(12a)과 제2 에어 홀(12b)이 연통되고; 외부 덮개(11)에는 제3 에어 홀(11a)이 설치되고; 액체 가이드 바디(13)에는 양측을 연결하는 수용 캐비티(131)가 설치되고; 지지체(14)의 외측에는 오목 홈(141)이 설치되고, 제2 에어 홀(12b)이 지지체(14)의 바닥면을 향하고; 지지체(14)는 발열체(15)가 액체 가이드 바디(13)의 내측에 접합하도록 지지하고, 오목 홈(141)과 발열체(15)가 통기(ventilation) 통로(14b)의 범위를 규정하고, 통기 통로(14b)와 제3 에어 홀(11a)은 연통되고; 지지체(14)의 적어도 일부 바닥면과 베이스(12)가 통기 공간(14a)의 범위를 규정한다.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1)과 무화 어셈블리는 액체 가이드 바디(13), 지지체(14), 발열체(15)를 외부 덮개(11)에 통합하고, 제1 에어 홀(12a), 제2 에어 홀(12b), 통기 공간(14a), 통기 통로(14b), 제3 에어 홀(11a)이 우회된 기류 통로를 형성하여 에어통로에서 형성되는 응축액 또는 기타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과 무화 어셈블리
본 발명은 무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과 무화 어셈블리에 관한 내용이다.
발열체를 포함하는 무화 유닛은 발열체를 통해 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지만, 에어통로로 들어간 액체 또는 에어통로에서 생성된 응축액이 쉽게 누출되어 사용 효과에 지장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해야될 기술 문제는 위의 기술적 결함에 초점을 맞추어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과 무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러한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에 있어서,
바닥면에 제1 에어 홀이 설치되고, 꼭대기면에는 제2 에어 홀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에어 홀과 상기 제2 에어 홀이 연통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제3 에어 홀이 설치되는 외부 덮개;
상기 외부 덮개에 설치되고, 이에 양측을 연통하는 수용 캐비티가 설치되는 액체 가이드 바디;
상기 수용 캐비티에 설치되고, 이의 외측에는 오목 홈이 설치되며, 바닥면을 향하는 상기 제2 에어 홀이 있는 지지체;
및, 상기 수용 캐비티에 설치되고,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체가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의 내측에 접합하도록 지지하여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에 의해 액체를 전도받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가 상기 지지체의 상기 오목 홈을 커버하여 상기 오목 홈과 상기 발열체가 통기(ventilation) 통로의 범위를 규정하고, 상기 통기 통로와 상기 제3 에어 홀이 연통되고;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일부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가 통기 공간의 범위를 규정하고, 상기 통기 공간이 상기 제2 에어 홀과 상기 통기 통로에 연통되어, 기류가 상기 제1 에어 홀, 상기 제2 에어 홀, 상기 통기 공간, 상기 통기 통로, 상기 제3 에어 홀 순서대로 통과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덮개에는 외측에서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로 통하는 액체유입 홀이 설치되고, 상기 외부 덮개 내부에는 상기 액체유입 홀이 상기 통기 통로, 상기 통기 공간과 분리되어 상기 외부 덮개 밖에 있는 액체와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를 접촉시켜,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를 거쳐 상기 발열체로 전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유입 홀이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와 상기 외부 덮개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면서, 상기 액체유입 홀은 상기 제3 에어 홀의 외곽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의 꼭대기면에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에어 홀이 상기 돌출부의 꼭대기면 및/또는 측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오목 부위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 부위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는 간격이 설치되어 기류가 통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 홈은 종방향으로 상기 지지체의 바닥면에서 꼭대기면으로 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체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방출 홈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덮개에는 상기 베이스에 세워진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의 상부 가장자리와 연결되면서 내부로 연장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이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의 꼭대기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3 에어 홀이 상기 제2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액체유입 홀이 상기 제1 부분 및/또는 상기 제2 부분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덮개는 상기 제2 부분에 세워져있는 상기 제3 에어 홀을 둘러싸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가 링 형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이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무화 어셈블리는 하우징, 상부 커버 및 상술한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액체 저장 캐비티와 에어 배출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제4 에어 홀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3 에어 홀을 커버하고, 상기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과 상기 상부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에어 홀과 상기 에어 배출 통로가 연통되며,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와 상기 액체유입 홀이 연통되어 기류가 상기 제1 에어 홀, 상기 제2 에어 홀, 상기 통기 공간, 상기 제3 에어 홀, 상기 제4 에어 홀, 상기 에어 배출 통로 순서대로 통과한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을 실시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과 무화 어셈블리는 액체 가이드 바디, 지지체, 발열체를 외부 덮개에 통합하고, 제1 에어 홀, 제2 에어 홀, 통기(ventilation) 공간, 통기 통로, 제3 에어 홀이 우회된 기류 통로를 형성하여 에어통로에서 형성되는 응축액 또는 기타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는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을 서술하는 데 필요한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아래 서술에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만 해당하는 것으로, 통상의 기술자는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은 전제 하에 아래 도면들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무화 유닛을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화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화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무화 유닛이 도 2의 A-A 위치에 있는 단면도(화살표는 기류 방향을 나타낸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무화 유닛의 외부 덮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무화 유닛이 도 2의 A-A 위치에 있는 단면도(화살표는 기류 방향을 나타낸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무화 유닛의 외부 덮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무화 유닛이 도 2의 A-A 위치에 있는 단면도(화살표는 기류 방향을 나타낸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무화 유닛의 외부 덮개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10은 도 1에서 무화 유닛의 지지체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무화 유닛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무화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무화 유닛이 C-C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서 무화 유닛의 지지체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B-B 위치의 단면도(화살표는 기류 방향을 나타낸다)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특징, 목적 및 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설명 내용에서 "전", "후", "상", "하", "좌", "우", "종", "횡", "수직", "수평", "꼭대기", "바닥", "내", "외", "헤드", "꼬리" 등 같은 지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전문 용어는 도면에서 나타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인한 것으로, 특정한 방향으로 구성 및 조작되어, 본 발명 내용을 편리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모든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한 방향을 구비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서술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하고 한정한 것을 제외하고, 하기 설명 내용에서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 "설치" 등과 같은 전문 용어는 폭넓게 이해해야 함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될 수 있고, 탈부착이 가능하여 연결되거나,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또한 직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중간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두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수도 있다. 하나의 소자가 다른 하나의 소자에서 "상" 또는 "하"로 일컬어질 경우, 해당 소자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다른 소자에 위치되거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사이에 있는 소자가 존재할 수도 있다. 하기 설명에서 전문 용어인 "제1", "제2", "제3" 등이 쓰일 경우, 이는 본 기술 방안을 편리하게 설명하기 위할 뿐,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및 암시하거나 지시하는 기술 특징의 수량을 은연중에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제1", "제2", "제3" 등의 특징은 하나 이상의 특징을 명시하거나 은연중에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해 상기 전문용어가 본 발명 내용에서 쓰인 구체적인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아래 서술 내용에는, 제한하는 것이 아닌 설명하기 위해 특정 시스템 구조, 기술 등과 같은 특정한 세부 정보가 제시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특정한 세부 정보가 없는 기타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확하게 알아야 한다. 기타 상황에서, 이미 알려진 시스템, 장치, 회로 및 방법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 불필요한 세부 정보가 본 발명의 서술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은,
바닥면에 제1 에어 홀(12a)이 설치되고, 꼭대기면에는 제2 에어 홀(12b)이 설치되어, 제1 에어 홀(12a)과 제2 에어 홀(12b)이 연통되는 베이스(12);
베이스(12)에 설치되고, 제3 에어 홀(11a)이 설치되는 외부 덮개(11);
외부 덮개(11)에 설치되고, 이에 종방향으로 상하 양측을 연결하는 수용 캐비티(131)가 설치되는 액체 가이드 바디(13);
수용 캐비티(131)에 설치되고, 이의 외측에는 종방향인 오목 홈(141)이 설치되며, 바닥면을 향하는 제2 에어 홀(12b)이 있는 지지체(14);
및, 수용 캐비티(131)에 설치되고, 액체 가이드 바디(13)와 지지체(14) 사이에 위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발열체(15)가 시트형이고, 지지체(14)에 의해 액체 가이드 바디(13)의 내측에 접합하도록 지지되어 액체 가이드 바디(13)에 의해 액체를 전도받는 발열체(15)를 포함하고; 발열체(15)가 지지체(14)의 오목 홈(141)을 커버하여 오목 홈(141)과 발열체(15)가 통기(ventilation) 통로(14b)의 범위를 규정하고, 통기 통로(14b)와 제3 에어 홀(11a)이 연통되고;
지지체(14)의 적어도 일부 바닥면이 베이스(12)와 분리되거나, 일단의 거리를 유지하여 통기 공간(14a)의 범위를 규정하고, 통기 공간(14a)이 제2 에어 홀(12b)과 통기 통로(14b)에 연통되어, 기류가 제1 에어 홀(12a), 제2 에어 홀(12b), 통기 공간(14a), 통기 통로(14b), 제3 에어 홀(11a) 순서대로 통과됨으로써 기류가 발열체(15)를 가열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을 배출할 수 있다.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이 액체 가이드 바디(13), 지지체(14), 발열체(15)를 외부 덮개(11)에 통합하고, 제1 에어 홀(12a), 제2 에어 홀(12b), 통기 공간(14a), 통기 통로(14b), 제3 에어 홀(11a)이 우회된 기류 통로를 형성하여 에어통로에서 형성되는 응축액 또는 기타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 덮개(11)에는 외측에서 액체 가이드 바디(13)로 통하는 액체유입 홀(11b)이 설치되고, 외부 덮개(11) 내부에는 액체유입 홀(11b)이 통기 통로(14b), 통기 공간(14a)과 분리되어 외부 덮개(11) 밖에 있는 액체와 액체 가이드 바디(13)를 접촉시켜, 액체 가이드 바디(13)를 거쳐 발열체(15)로 전도된다. 액체유입 홀(11b)이 액체 가이드 바디(13)와 외부 덮개(11)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액체유입 홀(11b)이 제3 에어 홀(11a)의 외곽에 설치된다. 외부 덮개(11)는 다공성 액체 가이드 재료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며, 액체유입구는 액체유입 양을 통제하여 액체가 과도하게 많아 쉽게 누출되거나 액체가 과도하게 적어 쉽게 온도가 높아지면서 연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체는 외부 덮개(11)의 액체유입구로부터 유입되고, 다공성 액체 가이드 바디(13)를 거쳐 발열체(15)로 전도되며, 발열체(15)에 전원이 켜지면 발열체(15)는 발열을 시작하여, 발열 시트에 접합된 액체 가이드 바디(13)에 있는 액체가 무화 및 증발되어 에어로졸이 되고, 기류가 베이스(12)의 제1 에어 홀(12a)로부터 유입되고, 우회된 기류 통로를 거쳐 에어로졸을 배출한다.
베이스(12)의 꼭대기면에는 돌출부(121)가 설치되며, 이는 원뿔대, 각뿔대, 원통형 또는 각기둥 형상일 수도 있고, 제2 에어 홀(12b)이 돌출부(121)의 꼭대기면 및/또는 측면에 설치되고, 개수는 적어도 하나이며;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제2 에어 홀(12b)은 복수개이고, 돌출부(121)의 측면을 따라 원주형으로 분포되고, 돌출부(121)는 원뿔대 형상을 나타낸다. 돌출부(121)는 에어통로에 형성된 응축액 또는 기타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지체(14)의 바닥면에는 돌출부(121)와 대응되는 오목 부위(142)가 설치되고, 오목 부위(142)와 돌출부(121) 사이에는 간격이 설치되어 기류가 통과될 수 있다. 오목 홈(141)은 종방향으로 지지체(14)의 바닥면에서 꼭대기면으로 통할 수 있다. 오목 홈(141)의 수량이 적어도 두개이면서 원주 방향을 따라 분포되고, 지지체(14) 측면의 돌출 부분은 발열체(15)와 접촉되는 지지 부분으로 지지체(14)가 기어 형상으로 나타난다. 액체 가이드 바디(13)는 다공성 세라믹 재료 등과 같은 다공성 재료로 만들어진 액체 가이드 바디(13)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14)가 200도 이상인 내열성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 발열 시트는 지지체(14)에 의해 지지되므로 고온 또는 기타 원인으로 휘어져서 액체 가이드 바디(13)에 접촉 불량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체(14)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방출 홈(143)이 설치되어 발열체(15)가 열을 발산하는 데 도움이 되고, 열방출 홈(143)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이고, 적어도 두개의 열방출 홈(143)이 축방향을 따라 배열 및 분포될 수도 있다.
외부 덮개(11)에는 베이스(12)에 세워진 제1 부분(111) 및 제1 부분(111)의 상부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횡방향으로 내부로 연장되는 제2 부분(112)을 포함하고, 제1 부분(1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액체 가이드 바디(13)의 측면을 둘러싸고, 제2 부분(112)이 액체 가이드 바디(13)의 꼭대기면을 커버하고, 제3 에어 홀(11a)이 제2 부분(112)에 설치되고, 액체 가이드 바디(13)의 적어도 일부분의 외측면이 외부 덮개(11)에 있는 제1 부분(111)의 내측면에 접합되고, 액체 가이드 바디(13)의 적어도 일부분의 꼭대기면은 외부 덮개(11)에 있는 제2 부분(112)의 내측면에 접합되고; 액체유입 홀(11b)이 제1 부분(111) 및/또는 제2 부분(112)에 설치되고; 도 6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 액체유입 홀(11b)이 제1 부분(111)에 설치되고, 도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액체유입 홀(11b)이 제2 부분(112)에 설치되고; 도 8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 액체유입 홀(11b)이 제1 부분(111)과 제2 부분(112)에 설치된다.
외부 덮개(11)는 제2 부분(112)에 세워져있는 제3 에어 홀(11a)을 둘러싸는 제3 부분(113)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부분(111), 제2 부분(112) 및/또는 제3 부분(113)이 링 형상을 나타낸다.
액체 가이드 바디(13)가 링 형상을 나타내고, 외부 덮개(11)는 액체 가이드 바디(13)를 고정시키고 액체 가이드 바디(13)를 완전하게 랩핑한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무화 어셈블리는 하우징(2), 상부 커버(3) 및 상술한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1)을 포함하고, 상부 커버(3)에는 액체 저장 캐비티(2b)와 에어 배출 통로(2a)가 설치되고, 상부 커버(3)에는 제4 에어 홀(3a)이 설치되며, 상부 커버(3)는 무화 유닛과 연결되면서 제3 에어 홀(11a)을 커버하고,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1)과 상부 커버(3)가 하우징(2)에 설치되고, 제4 에어 홀(3a)과 에어 배출 통로(2a)가 연통되며, 액체 저장 캐비티(2b)와 액체유입 홀(11b)이 연통되어 액체 저장 캐비티(2b)에 있는 액체가 액체유입 홀(11b)을 거쳐 액체 가이드 바디(13)와 접촉되고, 액체 가이드 바디(13)를 거쳐 발열체(15)로 전도되고, 발열체(15)는 액체를 가열 및 무화시키고, 기류는 제1 에어 홀(12a), 제2 에어 홀(12b), 통기 공간(14a), 제3 에어 홀(11a), 제4 에어 홀(3a), 에어 배출 통로(2a) 순서대로 통과됨으로써 발열체(15)를 가열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을 배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커버(3)의 하단 개구와 외부 덮개(11)의 제3 부분(113)이 결합되고, 도 9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서, 결합 방식은 삽입 연결 방식일 수 있다.
무화 어셈블리는 상술한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1)을 채택하여 제1 에어 홀(12a), 제2 에어 홀(12b), 통기 공간(14a), 통기 통로(14b), 제3 에어 홀(11a)이 우회된 기류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에어통로에서 형성되는 응축액 또는 기타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화 어셈블리가 전자 담배에 응용되는 경우, 액체 저장 캐비티(2b)에는 담배 액상이 저장되고, 이 무화 어셈블리가 담배 액상을 가열하여 연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방법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화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수정, 등가치환, 개선등은 발명의 청구항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면의 부호는 다음과 같다.
1: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11: 외부 덮개
111: 제1 부분
112: 제2 부분
113: 제3 부분
11a: 제3 에어 홀
11b: 액체유입 홀
12: 베이스
12a: 제1 에어 홀
12b: 제2 에어 홀
121: 돌출부
13: 액체 가이드 바디
131: 수용 캐비티
14: 지지체
141: 오목 홈
142: 오목 부위
143: 열방출 홈
14a: 통기(ventilation) 공간
14b: 통기 통로
15: 발열체
2: 하우징
2a: 에어 배출 통로
2b: 액체 저장 캐비티
3: 상부 커버
3a: 제4 에어 홀

Claims (11)

  1.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에 있어서,
    바닥면에 제1 에어 홀(12a)이 설치되고, 꼭대기면에는 제2 에어 홀(12b)이 설치되어, 상기 제1 에어 홀(12a)과 상기 제2 에어 홀(12b)이 연통되는 베이스(12);
    상기 베이스(12)에 설치되고, 제3 에어 홀(11a)이 설치되는 외부 덮개(11);
    상기 외부 덮개(11)에 설치되고, 이에 양측을 연통하는 수용 캐비티(131)가 설치되는 액체 가이드 바디(13);
    상기 수용 캐비티(131)에 설치되고, 이의 외측에는 오목 홈(141)이 설치되며, 바닥면을 향하는 상기 제2 에어 홀(12b)이 있는 지지체(14);
    및, 상기 수용 캐비티(131)에 설치되고,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13)와 상기 지지체(14)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체(14)가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13)의 내측에 접합하도록 지지하여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13)에 의해 액체를 전도받는 발열체(15)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15)가 상기 지지체(14)의 상기 오목 홈(141)을 커버하여 상기 오목 홈(141)과 상기 발열체(15)가 통기(ventilation) 통로(14b)를 규정하고, 상기 통기 통로(14b)와 상기 제3 에어 홀(11a)이 연통되고;
    상기 지지체(14)의 적어도 일부 바닥면과 상기 베이스(12)가 통기 공간(14a)을 규정하고, 상기 통기 공간(14a)이 상기 제2 에어 홀(12b)과 상기 통기 통로(14b)에 연통되어, 기류가 상기 제1 에어 홀(12a), 상기 제2 에어 홀(12b), 상기 통기 공간(14a), 상기 통기 통로(14b), 상기 제3 에어 홀(11a) 순서대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덮개(11)에는 외측에서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13)로 통하는 액체유입 홀(11b)이 설치되고, 상기 외부 덮개(11) 내부에는 상기 액체유입 홀(11b)이 상기 통기 통로(14b), 상기 통기 공간(14a)과 분리되어 상기 외부 덮개(11) 밖에 있는 액체와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13)를 접촉시켜,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13)를 거쳐 상기 발열체(15)로 전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유입 홀(11b)이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13)와 상기 외부 덮개(11)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면서, 상기 액체유입 홀(11b)은 상기 제3 에어 홀(11a)의 외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2)의 꼭대기면에는 돌출부(12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에어 홀(12b)이 상기 돌출부(121)의 꼭대기면 및/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4)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121)와 대응되는 오목 부위(142)가 설치되고, 상기 오목 부위(142)와 상기 돌출부(121) 사이에는 간격이 설치되어 기류가 통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홈(141)은 종방향으로 상기 지지체(14)의 바닥면에서 꼭대기면으로 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4)에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방출 홈(14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덮개(11)에는 상기 베이스(12)에 세워진 제1 부분(111) 및 상기 제1 부분(111)의 상부 가장자리와 연결되면서 내부로 연장된 제2 부분(1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111)이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13)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부분(112)이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13)의 꼭대기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3 에어 홀(11a)이 상기 제2 부분(112)에 설치되고; 상기 액체유입 홀(11b)이 상기 제1 부분(111) 및/또는 상기 제2 부분(11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덮개(11)는 상기 제2 부분(112)에 세워져있는 상기 제3 에어 홀(11a)을 둘러싸는 제3 부분(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가이드 바디(13)가 링 형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
  11. 무화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우징(2), 상부 커버(3) 및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1)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커버(3)에는 액체 저장 캐비티(2b)와 에어 배출 통로(2a)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커버(3)에는 제4 에어 홀(3a)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커버(3)는 상기 제3 에어 홀(11a)을 커버하고, 상기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1)과 상기 상부 커버(3)가 상기 하우징(2)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에어 홀(3a)과 상기 에어 배출 통로(2a)가 연통되며, 상기 액체 저장 캐비티(2b)와 상기 액체유입 홀(11b)이 연통되어 기류가 상기 제1 에어 홀(12a), 상기 제2 에어 홀(12b), 상기 통기 공간(14a), 상기 제3 에어 홀(11a), 상기 제4 에어 홀(3a), 상기 에어 배출 통로(2a) 순서대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화 어셈블리.
KR1020227038189A 2020-08-25 2020-08-25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과 무화 어셈블리 KR202300025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11129 WO2022040930A1 (zh) 2020-08-25 2020-08-25 迂回气道的雾化单元和雾化组件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549A true KR20230002549A (ko) 2023-01-05

Family

ID=8035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8189A KR20230002549A (ko) 2020-08-25 2020-08-25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과 무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04390A1 (ko)
EP (1) EP3987953B1 (ko)
KR (1) KR20230002549A (ko)
CA (1) CA3170928A1 (ko)
ES (1) ES2965016T3 (ko)
WO (1) WO20220409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0813B2 (en) * 2014-02-11 2016-07-05 Timothy McCullough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6710684B2 (ja) * 2014-11-17 2020-06-17 マクニール アーベーMcneil Ab 電子ニコチン送達システムで使用するためのディスポーザブルカートリッジ
CN106136331A (zh) * 2016-08-09 2016-11-23 卓尔悦欧洲控股有限公司 一种雾化器及其电子烟
CN207784289U (zh) * 2018-01-25 2018-08-31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烟雾化器及该电子烟
CN208144423U (zh) * 2018-02-26 2018-11-27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烤烟加热件、烟锅装置及电子烟
CN208550033U (zh) * 2018-06-22 2019-03-01 徐云林 陶瓷雾化芯、雾化器和电子烟
CN209594748U (zh) * 2018-10-19 2019-11-08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雾化装置和电子烟
US10357064B1 (en) * 2019-03-12 2019-07-23 Bongo Manufacturing, Llc Personal vaporizer and aromatherapy diffu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87953A4 (en) 2022-08-10
EP3987953B1 (en) 2023-07-12
CA3170928A1 (en) 2022-03-03
EP3987953A1 (en) 2022-04-27
US20220304390A1 (en) 2022-09-29
ES2965016T3 (es) 2024-04-10
WO2022040930A1 (zh)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89106A (zh) 迂回气道的雾化单元和雾化组件
CN211379632U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US20210106061A1 (en) Vaporization device
CN112493546A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CN216292995U (zh) 电子烟雾化组件及电子烟
CN111109677A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和雾化组件
CN113100485A (zh) 雾化组件及设有其的雾化装置
CN215347068U (zh) 雾化器及气溶胶生成装置
CN110613170A (zh) 一种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CN114468357A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CN114259084A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WO2021248334A1 (zh) 液体回收利用雾化装置
CN115413828A (zh) 雾化结构、雾化器及电子雾化装置
KR20230002549A (ko) 에어통로를 우회하는 무화 유닛과 무화 어셈블리
WO2021063268A1 (zh) 气流传感器及电子烟
CN217958731U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CN114468386B (zh) 发热装置及低温不燃烧烟具
CN213785373U (zh) 迂回气道的雾化单元和雾化组件
CN114468358A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CN114468368A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CN214431802U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CN115088875A (zh) 电子雾化装置及雾化器
WO2023102742A1 (zh) 雾化芯及其电子雾化装置
RU2802364C1 (ru) Распыляющий блок электронной сигареты с окружным воздушным каналом и распылительный узел электронной сигареты
CN218650319U (zh) 雾化芯及气溶胶生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