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535A -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535A
KR20230002535A KR1020227037883A KR20227037883A KR20230002535A KR 20230002535 A KR20230002535 A KR 20230002535A KR 1020227037883 A KR1020227037883 A KR 1020227037883A KR 20227037883 A KR20227037883 A KR 20227037883A KR 20230002535 A KR20230002535 A KR 20230002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arizing plate
polarizer
protective layer
retar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카미조
카즈야 미와
다이스케 하마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02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an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우 얇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구성 및 우수한 굴곡성을 갖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한쪽 측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이,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층의 유리전이온도가 95℃ 이상이고, 총 두께가 20㎛ 이하이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본 발명은,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 장치(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에는, 그의 화상 형성 방식에 기인하여, 대부분의 경우, 표시 셀의 적어도 한쪽 측에 편광판이 배치되어 있다. 근래,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 및 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편광판의 박형화도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편광판을 얇게 하면 할수록, 가열 가습 환경 하에서의 광학 특성이 저하한다는 내구성의 문제가 현저해진다.
근래, 만곡한 화상 표시 장치 및/또는 절곡 또는 절첩 가능한 화상 표시 장치에 대한 요망이 높아지고 있는 것에 따라, 편광판(결과로서,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에 대해서도 기계적 특성으로서의 우수한 굴곡성 및 굴곡에 의해 광학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성을 만족하는 편광판(결과로서,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은, 실용화를 위하여 검토의 여지가 남아 있다. 또한, 내굴곡성을 향상시킨 경우, 편광판의 강도가 저하하고, 물리적인 내구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5-21047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의 주된 목적은, 매우 얇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구성과 우수한 굴곡성을 양립하는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와, 해당 편광자의 한쪽 측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한다. 이 보호층은,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되어 있고, 해당 보호층의 유리전이온도가 95℃ 이상이다. 이 편광판의 총 두께는 2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1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10㎛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는, 락톤환 단위, 무수 글루타르산 단위, 글루타르이미드 단위, 무수 말레산 단위 및 말레이미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이 제공된다. 이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은, 상기 편광판과, 상기 편광자의 상기 보호층과 반대 측에 배치된 광학 기능층을 포함하고, 총 두께가 25㎛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광학 기능층은, 상기 보호층과는 다른 보호층으로서 기능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광학 기능층은, 원편광 기능 또는 타원편광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매우 얇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구성과 우수한 굴곡성을 양립하는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보호층을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하고, 그의 유리전이온도를 소정값 이상으로 한다.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과 우수한 굴곡성을 양립한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서의 가열 롤을 이용한 건조 수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용어 및 기호의 정의)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하기와 같다.
(1) 굴절률(nx, ny, nz)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2) 면내 위상차(Re)
'Re(λ)'는, 23℃에서의 파장 λ㎚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예컨대, 'Re(550)'는, 23℃에서의 파장 550㎚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Re(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로 하였을 때, 식: Re(λ)=(nx-ny)×d에 의해 구할 수 있다.
(3)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
'Rth(λ)'는, 23℃에서의 파장 λ㎚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예컨대, 'Rth(550)'는, 23℃에서의 파장 550㎚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로 하였을 때, 식: Rth(λ)=(nx-nz)×d에 의해 구할 수 있다.
(4) Nz 계수
Nz 계수는, Nz=Rth/Re에 의해 구할 수 있다.
(5) 각도
본 명세서에서 각도를 언급할 때는, 당해 각도는 기준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쪽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컨대 '45°'는 ±45°를 의미한다.
A.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의 개요
A-1. 편광판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편광판(100)은, 편광자(10)와, 편광자(10)의 한쪽 측에 배치된 보호층(20)을 포함한다. 편광판(100)의 총 두께는 20㎛ 이하이다. 보호층(20)은,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되고, 그의 유리전이온도는 95℃ 이상이다. 편광판(100)이 이와 같은 보호층을 가짐으로써, 매우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내구성과 우수한 굴곡성을 양립하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편광자(1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또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보호층(20)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편광판(100)의 총 두께는 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판의 총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여도 우수한 내구성과 우수한 굴곡성을 양립하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편광판의 총 두께는, 예컨대, 5㎛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보호층(20)의 유리전이온도(Tg)는 9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이다. 보호층의 Tg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보호층을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한 효과와의 상승적인 효과에 의해, 매우 얇음에도 불구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결과로서,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가습 환경 하에서도 광학 특성의 저하가 억제된 편광판(결과로서,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보호층의 Tg는,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이다. 보호층의 Tg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성형성이 우수할 수 있다.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 또는 광학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접착층을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다. 접착층으로서는, 접착제층,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층이 적합하게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편광판의 가일층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는, 대표적으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편광판의 두께는 극히 얇아질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한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화상 표시 장치는, 만곡한 형상(실질적으로는, 만곡한 표시 화면)을 갖고/갖거나, 굴곡 또는 절곡 가능하다.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 장치(예컨대, 유기 EL 표시 장치, 무기 EL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말할 것도 없이,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편광판이 통상적인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A-2.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의 개요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110)은, 편광자(10)와, 편광자의 한쪽 측에 배치된 보호층(20)과, 편광자의 다른 한쪽 측에 배치된 광학 기능층(30)을 포함한다.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의 총 두께는 25㎛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편광자(10)와, 보호층(20)으로서, 상기 편광판(100)이 이용된다.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110)의 총 두께는 2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광판의 총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하여도 우수한 내구성과 우수한 굴곡성을 양립하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의 총 두께는, 예컨대, 10㎛ 이상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기능층은, 보호층(20)과는 다른 보호층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보호층은, 소정의 위상차 및 광학 특성을 갖는 위상차층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광학 기능층은, 원편광 기능 또는 타원편광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이다. 이와 같은 위상차층은,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이 위상차층인 경우,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층은 액정 화합물의 배향 고화층이다. 위상차층은, 배향 고화층의 단일층이어도 되고, 제1 배향 고화층과 제2 배향 고화층과의 적층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하, 광학 기능층이 위상차층인 편광판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 또는 광학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접착층을 개재하여 첩합되어 있다. 접착층으로서는, 접착제층,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층이 적합하게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의 가일층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는, 대표적으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위상차층으로서 기능하는 광학 기능층을 구비한 편광판은, 다른 위상차층이 추가로 마련되어도 된다. 다른 위상차층은, 대표적으로는, 광학 기능층(위상차층)(30)의 외측(편광자(10)와 반대 측)에 마련된다. 다른 위상차층은, 대표적으로는, 굴절률 특성이 nz>nx=ny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다른 위상차층은, 바람직하게는, 위상차층이 배향 고화층의 단일층인 경우에 마련된다. 또한, 편의상, 광학 기능층(위상차층)(30)을 제1 위상차층이라고 칭하고, 다른 위상차층을 제2 위상차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은, 그 밖의 위상차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위상차층의 광학적 특성(예컨대, 굴절률 특성, 면내 위상차, Nz 계수, 광탄성 계수), 두께, 배치 위치 등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에는, 도전층 또는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가 마련되어도 된다. 도전층 또는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는, 대표적으로는, 광학 기능층(30)의 외측(편광자(10)와 반대 측)에 마련된다. 편광판이 위상차층과 다른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인 경우에는, 다른 위상차층 및 도전층 또는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는, 대표적으로는, 위상차층(광학 기능층)(30) 측으로부터 이 순서대로 마련된다. 도전층 또는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가 마련되는 경우, 편광판 또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은, 화상 표시 셀(예컨대, 유기 EL 셀)과 편광판 사이에 터치 센서가 내장된, 이른바 이너 터치 패널형 입력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층을,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하고, 그의 유리전이온도를 95℃ 이상으로 함으로써, 매우 얇음에도 불구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가습 환경 하에서도 광학 특성의 저하가 억제된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85℃ 및 85% RH의 환경 하에서 48시간 방치한 후의 단체 투과율(Ts)의 변화량(ΔTs) 및 편광도(P)의 변화량(ΔP)이, 각각 매우 작다. 단체 투과율(Ts)은, 예컨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니혼분코사 제조, 제품명 'V7100')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편광도(P)는,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단체 투과율(Ts), 평행 투과율(Tp) 및 직교 투과율(Tc)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산출된다.
편광도(P)(%)={(Tp-Tc)/(Tp+Tc)}1/2×100
또한, 상기 Ts, Tp 및 Tc는, JIS Z 8701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해 측정하고, 시감도 보정을 행한 Y값이다. 또한, Ts 및 P는, 실질적으로는 편광자의 특성이다. ΔTs 및 ΔP는, 각각 하기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ΔTs(%)=Ts48-Ts0
ΔP(%)=P48-P0
여기에서, Ts0 방치 전(초기)의 단체 투과율이고, Ts48은 방치 후의 단체 투과율이며, P0은 방치 전(초기)의 편광도이고, P48은 방치 후의 편광도이다. ΔTs는,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4% 이하이다. ΔP는, 바람직하게는 -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이다.
실용적으로는, 광학 기능층의 편광자와 반대 측에는 점착제층(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고, 편광판은 화상 표시 셀에 첩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편광판이 사용에 제공될 때까지, 박리 필름이 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 필름을 가착함으로써, 점착제층을 보호함과 함께, 롤 형성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은, 매엽상이어도 되고 장척상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장척상'이란, 폭에 대하여 길이가 충분히 긴 세장 형상을 의미하고, 예컨대, 폭에 대하여 길이가 10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20배 이상인 세장 형상을 포함한다. 장척상의 편광판은, 롤상으로 권회 가능하다.
이하,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B. 편광자
편광자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2층 이상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F항에서 후술한다.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이다.
편광자의 붕산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중량%∼25중량%이다. 편광자의 붕산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후술하는 요오드 함유량과의 상승적인 효과에 의해, 첩합 시의 컬 조정의 용이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또한, 가열 시의 컬을 양호하게 억제하면서, 가열 시의 외관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붕산 함유량은, 예컨대, 중화법으로부터 하기 식을 이용하여, 단위 중량당의 편광자에 포함되는 붕산량으로서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10중량%이다.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상기의 붕산 함유량과의 상승적인 효과에 의해, 첩합 시의 컬 조정의 용이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또한, 가열 시의 컬을 양호하게 억제하면서, 가열 시의 외관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요오드 함유량'이란, 편광자(PVA계 수지 필름) 중에 포함되는 모든 요오드의 양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광자 중에서 요오드는 요오드 이온(I-), 요오드 분자(I2), 폴리요오드 이온(I3 -, I5 -)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데, 본 명세서에서의 요오드 함유량은, 이들 형태를 모두 포함한 요오드의 양을 의미한다. 요오드 함유량은, 예컨대, 형광 X선 분석의 검량선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요오드 이온은, 편광자 중에서 PVA-요오드 착체를 형성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착체가 형성됨으로써, 가시광의 파장 범위에서 흡수 이색성이 발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VA와 3요오드화물 이온과의 착체(PVA·I3 -)는 470㎚ 부근에 흡광 피크를 갖고, PVA와 5요오드화물 이온과의 착체(PVA·I5 -)는 600㎚ 부근에 흡광 피크를 갖는다. 결과로서, 폴리요오드 이온은, 그의 형태에 따라 가시광의 폭넓은 범위에서 광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요오드 이온(I-)은 230㎚ 부근에 흡광 피크를 갖고, 가시광의 흡수에는 실질적으로는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PVA와의 착체의 상태로 존재하는 폴리요오드 이온이, 주로 편광자의 흡수 성능에 관여할 수 있다.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780㎚의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Ts)은, 바람직하게는 40%∼4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46%이다. 편광자의 편광도(P)는, 바람직하게는 9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다.
C. 보호층
보호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이하, 단순히 아크릴계 수지라고 칭함)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보호층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어서, 보호층의 특성을 설명한다.
C-1.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후술하는 바와 같이, 2종 이상의 아크릴계 수지의 블렌드 및 아크릴계 수지와 다른 수지와의 블렌드를 포함)의 Tg는, 보호층에 관하여 상기 A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아크릴계 수지로서는, 상기와 같은 Tg를 갖는 한에서, 임의의 적절한 아크릴계 수지가 채용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대표적으로는, 모노머 단위(반복 단위)로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아크릴계 수지의 주골격을 구성하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의 탄소수 1∼18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에는, 임의의 적절한 공중합 모노머를 공중합에 의해 도입하여도 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반복 단위는, 대표적으로는, 하기 일반식 (1)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일반식 (1)에서, R4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원자, 혹은,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수 1∼6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치환기로서는, 예컨대, 할로겐, 수산기를 들 수 있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n-헥실,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벤질, (메트)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 (메트)아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메트)아크릴산클로로메틸, (메트)아크릴산2-클로로에틸, (메트)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3-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2,3,4,5,6-펜타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2,3,4,5-테트라히드록시펜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메틸,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에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산메틸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에서, R5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메틸 또는 메타크릴산메틸이다.
아크릴계 수지는, 단일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일반식 (1)에서의 R4 및 R5가 상이한 복수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수지에서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0몰%∼98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몰%∼98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몰%∼98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65몰%∼98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몰%∼97몰%이다. 함유 비율이 50몰%보다 적으면,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에서 유래되어 발현되는 효과(예컨대,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함유 비율이 98몰%보다도 많으면, 수지가 물러져서 깨지기 쉬워져, 높은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해, 생산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환 구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를 갖는다. 환 구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로서는, 락톤환 단위, 무수 글루타르산 단위, 글루타르이미드 단위, 무수 말레산 단위, 말레이미드(N-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들 수 있다. 환 구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는, 1종류만이 아크릴계 수지의 반복 단위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2종류 이상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락톤환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2)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일반식 (2)에서,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유기 잔기를 나타낸다. 또한, 유기 잔기는 산소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아크릴계 수지에는, 단일의 락톤환 단위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일반식 (2)에서의 R1, R2 및 R3이 상이한 복수의 락톤환 단위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락톤환 단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8-181078호에 기재되어 있고, 당해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3)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일반식 (3)에서,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3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10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일반식 (3)에서, 바람직하게는,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13은 수소, 메틸기, 부틸기 또는 시클로헥실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11은 메틸기이고, R12 수소이며, R13은 메틸기이다. 아크릴계 수지에는, 단일의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만이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일반식 (3)에서의 R11, R12 및 R13이 상이한 복수의 글루타르이미드 단위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090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175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283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3749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3749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374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37569호에 기재되어 있고, 당해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또한, 무수 글루타르산 단위에 대해서는, 상기 일반식 (3)에서의 R13으로 치환된 질소 원자가 산소 원자가 되는 것 이외에는, 글루타르이미드 단위에 관한 상기의 설명이 적용된다.
무수 말레산 단위 및 말레이미드(N-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에 대해서는, 명칭으로부터 구조가 특정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크릴계 수지에서의 환 구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1몰%∼5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몰%∼4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30몰%이다. 함유 비율이 지나치게 적으면, Tg가 110℃ 미만이 되는 경우가 있고, 얻어지는 보호층의 내열성, 내용제성 및 표면 경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함유 비율이 지나치게 많으면, 성형성 및 투명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환 구조를 포함하는 반복 단위 이외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와 같은 반복 단위로서는, 상기의 단위를 구성하는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유래의 반복 단위(다른 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다른 비닐계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2-(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아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아크릴산아미노에틸, 아크릴산프로필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산에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아미노에틸, N-비닐디에틸아민, N-아세틸비닐아민, 알릴아민, 메타알릴아민, N-메틸알릴아민, 2-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 2-비닐-옥사졸린, 2-아크로일-옥사졸린, N-페닐말레이미드, 메타크릴산페닐아미노에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글리시딜스티렌, p-아미노스티렌, 2-스티릴-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병용하여도 된다. 다른 비닐계 단량체 단위의 종류, 수, 조합, 함유 비율 등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20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10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500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0∼500000, 가장 바람직하게는 60000∼150000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컨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프(GPC 시스템, 도소 제조)를 이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용제로서는 테트라히드로퓨란이 이용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의 단량체 단위를 적절히 조합하여 이용하여, 임의의 적절한 중합 방법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상이한 단량체 단위를 갖는 2종 이상의 아크릴계 수지를 블렌드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아크릴계 수지와 다른 수지를 병용하여도 된다. 즉, 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과 다른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을 공중합하여, 당해 공중합체를 후술하는 보호층의 성형에 제공하여도 되고; 아크릴계 수지와 다른 수지와의 블렌드를 보호층의 성형에 제공하여도 된다. 다른 수지로서는, 예컨대,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스테르,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병용하는 수지의 종류 및 배합량은, 목적 및 얻어지는 필름에 소망되는 특성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스티렌계 수지(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는, 위상차 제어제로서 병용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와 다른 수지를 병용하는 경우, 아크릴계 수지와 다른 수지와의 블렌드에서의 아크릴계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10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100중량%이다. 함유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아크릴계 수지가 본래 갖는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C-2. 보호층의 구성 및 특성
보호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포막의 고화물이면, 압출 성형 필름에 비하여 두께를 현격하게 얇게 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는, 상기한 바와 같이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7㎛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보호층의 두께의 하한은, 예컨대 1㎛일 수 있다. 또한, 이론적으로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와 같은 도포막의 고화물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예컨대, 자외선 경화성 수지)의 경화물에 비하여 필름 성형 시의 수축이 작고, 또한, 잔존 모노머 등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 자체의 열화가 억제되며, 또한, 잔존 모노머 등에 기인하는 편광판(편광자)에 대한 악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수용액 또는 수분산체와 같은 수계의 도포막의 고화물에 비하여 흡습성 및 투습성이 작기 때문에 가습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 결과, 가열 가습 환경 하에서도 광학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결과로서,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보호층의 Tg는, 상기 A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보호층의 요오드 흡착량은,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며,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하이다. 요오드 흡착량은 작을수록 바람직하고, 그의 하한은 예컨대 0.1중량%일 수 있다. 요오드 흡착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더욱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편광판(결과로서,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이 얻어질 수 있다. 요오드 흡착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보호층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갖는다'란, 면내 위상차 Re(550)가 0㎚∼10㎚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가 -20㎚∼+10㎚인 것을 말한다. 면내 위상차 Re(550)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2㎚이다.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3㎚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2㎚이다. 보호층의 Re(550) 및 Rth(550)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당해 보호층을 포함하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표시 특성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 3㎛에서의 380㎚에서의 광선 투과율은, 높으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광선 투과율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소망하는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광선 투과율은, 예컨대 ASTM-D-1003에 준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보호층의 헤이즈는, 낮으면 낮을수록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헤이즈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이다. 헤이즈가 5% 이하이면, 필름에 양호한 클리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 측에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표시 내용을 양호하게 시인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 3㎛에서의 YI는, 바람직하게는 1.27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이다. YI가 1.3을 초과하면, 광학적 투명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YI는, 예컨대, 고속 적분구식 분광 투과율 측정기(상품명 DOT-3C: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 제조)를 이용한 측정으로 얻어지는 색의 삼자극치(X, Y, Z)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YI=[(1.28X-1.06Z)/Y]×100
보호층의 두께 3㎛에서의 b값(헌터의 표색계에 준한 색상의 척도)은,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b값이 1.5 이상인 경우, 소망하지 않는 색감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 또한, b값은, 예컨대, 보호층을 구성하는 필름의 샘플을 3㎝□으로 재단하고, 고속 적분구식 분광 투과율 측정기(상품명 DOT-3C: 무라카미 색채기술연구소 제조)를 이용하여 색상을 측정하고, 당해 색상을 헌터의 표색계에 준하여 평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보호층(도포막의 고화물)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의 구체예로서는, 자외선 흡수제; 레벨링제; 힌더드 페놀계, 인계,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 내광 안정제, 내후 안정제, 열 안정제 등의 안정제;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의 보강재; 근적외선 흡수제; 트리스(디브로모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알릴포스페이트, 산화안티몬 등의 난연제;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의 계면활성제 등의 대전 방지제;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유기 필러 또는 무기 필러; 수지 개질제; 유기 충전제나 무기 충전제; 가소제; 활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첨가제는 아크릴계 수지의 중합 시에 첨가되어도 되고, 필름 형성 시에 용액에 첨가되어도 된다. 첨가제의 종류, 수, 조합, 첨가량 등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보호층의 편광자 측에는, 이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접착층은, 예컨대, 수계 폴리우레탄과 옥사졸린계 가교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이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보호층과 편광자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호층에는, 하드코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드코트층은, 보호층이 시인 측 편광판의 시인 측의 보호층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이접착층 및 하드코트층의 양쪽이 형성되는 경우, 대표적으로는, 이들은 각각 보호층의 상이한 측에 형성될 수 있다.
D. 광학 기능층
D-1. 보호층인 광학 기능층
광학 기능층(30)이 보호층(20)과는 다른 보호층으로서 기능하는 경우, 당해 보호층은, 바람직하게는 두께 20㎛ 이하의 박형 보호층이다. 보호층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보호층의 두께는, 예컨대 1㎛ 이상일 수 있다.
보호층(광학 기능층)은,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도포막의 고화물은, 예컨대, 소정의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 또는, 에폭시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일 수 있다. 보호층이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되는 경우, 수지 필름에 비하여 두께를 현격하게 얇게 할 수 있다.
도포막의 고화물인 보호층이 에폭시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인 경우, 에폭시 수지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가 90℃ 이상인 에폭시 수지가 이용된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분자 구조 내에 방향족환을 갖는 에폭시 수지가 이용된다. 방향족환을 갖는 에폭시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Tg를 갖는 에폭시 수지가 얻어질 수 있다. 분자 구조 내에 방향족환을 갖는 에폭시 수지에서의 방향족환으로서는, 예컨대, 벤젠환, 나프탈렌환, 플루오렌환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1종만을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2종 이상의 에폭시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방향족환을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와, 방향족환을 포함하지 않는 에폭시 수지를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보호층(광학 기능층)은, 대표적으로는, 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화상 표시 셀 측에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보호층은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이다'란, 면내 위상차 Re(550)가 0㎚∼10㎚이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가 -10㎚∼+10㎚인 것을 말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보호층은, 임의의 적절한 위상차값을 갖는 위상차층이어도 된다. 이 경우, 보호층(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예컨대 110㎚∼150㎚이다.
D-2. 원편광 기능 또는 타원편광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인 광학 기능층
광학 기능층(30)이 원편광 기능 또는 타원편광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인 경우, 당해 위상차층은, 수지 필름의 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액정 화합물의 배향 고화층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액정 화합물의 배향 고화층이다. 액정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위상차층의 nx와 ny와의 차를 비액정 재료에 비하여 현격하게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망하는 면내 위상차를 얻기 위한 위상차층의 두께를 연신 필름에 비하여 현격하게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가일층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극히 우수한 굴곡성을 갖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액정 화합물의 배향 고화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수지 필름의 연신 필름으로 구성되는 위상차층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7-540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60014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배향 고화층'이란, 액정 화합물이 층 내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하고, 그 배향 상태가 고정되어 있는 층을 말한다. 또한, '배향 고화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정 모노머를 경화시켜 얻어지는 배향 경화층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표적으로는, 막대 형상의 액정 화합물이 제1 위상차층의 지상축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배향하고 있다(호모지니어스 배향).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액정상이 네마틱상인 액정 화합물(네마틱 액정)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액정 폴리머나 액정 모노머가 사용 가능하다. 액정 화합물의 액정성의 발현 기구는, 리오트로픽이어도 서모트로픽이어도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액정 폴리머 및 액정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조합하여도 된다.
액정 화합물이 액정 모노머인 경우, 당해 액정 모노머는, 중합성 모노머 및 가교성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모노머를 중합 또는 가교(즉, 경화)시킴으로써, 액정 모노머의 배향 상태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액정 모노머를 배향시킨 후에, 예컨대, 액정 모노머끼리를 중합 또는 가교시키면, 그에 의해 상기 배향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합에 의해 폴리머가 형성되고, 가교에 의해 3차원 망목 구조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들은 비액정성이다. 따라서, 형성된 제1 위상차층은, 예컨대, 액정성 화합물에 특유의 온도 변화에 의한 액정상, 유리상, 결정상으로의 전이가 일어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제1 위상차층은,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극히 안정성이 우수한 위상차층이 된다.
액정 모노머가 액정성을 나타내는 온도 범위는, 그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온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40℃∼1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0℃∼90℃이다.
상기 액정 모노머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액정 모노머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출원공표 제2002-533742(WO00/37585)호, EP358208(US5211877), EP66137(US4388453), WO93/22397, EP0261712, DE19504224, DE4408171, 및 GB2280445 등에 기재된 중합성 메소겐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합성 메소겐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바스프(BASF)사의 상품명 LC242, 머크(Merck)사의 상품명 E7, 와커-캠(Wacker-Chem)사의 상품명 LC-Sillicon-CC3767을 들 수 있다. 액정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네마틱성 액정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의 배향 고화층은, 소정의 기재의 표면에 배향 처리를 실시하고, 당해 표면에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도공하여 당해 액정 화합물을 상기 배향 처리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향시켜, 당해 배향 상태를 고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기재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이고, 당해 기재 위에 형성된 배향 고화층은, 편광자(10)의 표면에 전사될 수 있다.
상기 배향 처리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배향 처리가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적인 배향 처리, 물리적인 배향 처리, 화학적인 배향 처리를 들 수 있다. 기계적인 배향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러빙 처리, 연신 처리를 들 수 있다. 물리적인 배향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자장 배향 처리, 전장 배향 처리를 들 수 있다. 화학적인 배향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사방(斜方) 증착법, 광 배향 처리를 들 수 있다. 각종 배향 처리의 처리 조건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조건이 채용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의 배향은, 액정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에서 처리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온도 처리를 행함으로써, 액정 화합물이 액정 상태를 취하고, 기재 표면의 배향 처리 방향에 따라 당해 액정 화합물이 배향한다.
배향 상태의 고정은,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배향한 액정 화합물을 냉각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액정 화합물이 중합성 모노머 또는 가교성 모노머인 경우에는, 배향 상태의 고정은, 상기와 같이 배향한 액정 화합물에 중합 처리 또는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액정 화합물의 구체예 및 배향 고화층의 형성 방법의 상세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163343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배향 고화층의 다른 예로서는,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이, 수직 배향, 하이브리드 배향 및 경사 배향의 어느 하나의 상태로 배향하고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은, 대표적으로는,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의 원반면이 제1 위상차층의 필름 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하고 있다.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이 실질적으로 수직이란, 필름 면과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의 원반면이 이루는 각도의 평균값이 바람직하게는 70°∼9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5°∼90°인 것을 의미한다.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이란, 일반적으로는, 벤젠, 1,3,5-트리아진, 칼릭스아렌 등과 같은 환상 모핵을 분자의 중심에 배치하고, 직쇄의 알킬기, 알콕시기, 치환 벤조일옥시기 등이 그의 측쇄로서 방사상으로 치환된 원반상의 분자 구조를 갖는 액정 화합물을 말한다. 디스코틱 액정의 대표예로서는, 씨.디스트레이드(C.Destrade)의 연구 보고, Mol.Cryst.Liq.Cryst.71권, 111페페이지(1981년)에 기재되어 있는, 벤젠 유도체, 트리페닐렌 유도체, 트룩센 유도체, 프탈로시아닌 유도체나, 비.콘(B.Kohne)의 연구 보고, Angew.Chem.96권, 70페이지(1984년)에 기재되어 있는 시클로헥산 유도체, 및 제이.엠.렌(J.M.Lehn)의 연구 보고, J.Chem.Soc.Chem.Co㎜un., 1794페이지(1985년), 제이.장(J.Zhang)의 연구 보고, J.Am.Chem.Soc, 116권, 2655페이지(1994년)에 기재되어 있는 아자크라운계나 페닐아세틸렌계의 매크로 사이클을 들 수 있다. 디스코틱 액정 화합물의 또다른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1336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10873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244038호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문헌 및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위상차층(광학 기능층)(30)은, 액정 화합물의 배향 고화층의 단일층이다. 위상차층(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위상차층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액정 화합물의 배향 고화층의 단일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7㎛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이다. 액정 화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수지 필름보다도 현격하게 얇은 두께로 수지 필름과 동등한 면내 위상차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위상차층은, 대표적으로는, 굴절률 특성이 nx>ny=nz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1 위상차층은, 대표적으로는 편광판에 반사 방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마련되고, 제1 위상차층이 배향 고화층의 단일층인 경우에는 λ/4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바람직하게는 100㎚∼19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70㎚,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160㎚이다. 또한, 여기에서 'ny=nz'는 ny와 nz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ny>nz 또는 ny<nz가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제1 위상차층의 Nz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0.9∼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1.3이다. 이와 같은 관계를 충족함으로써, 얻어지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한 경우에, 매우 우수한 반사 색상을 달성할 수 있다.
제1 위상차층은,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커지는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내도 되고,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따라 작아지는 양의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도 되며, 위상차값이 측정광의 파장에 의해서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 플랫한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도 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위상차층은, 역분산 파장 특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위상차층의 Re(450)/Re(550)는,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0.95 이하이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매우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위상차층의 지상축과 편광자(10)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θ)는, 바람직하게는 40°∼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2°∼4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이다. 각도(θ)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상기와 같이 제1 위상차층을 λ/4판으로 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원편광 특성(결과로서, 매우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갖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이 얻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위상차층은, 제1 배향 고화층과 제2 배향 고화층과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배향 고화층 및 제2 배향 고화층의 어느 한쪽이 λ/4판으로서 기능하고, 다른 쪽이 λ/2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향 고화층 및 제2 배향 고화층의 두께는, λ/4판 또는 λ/2판의 소망하는 면내 위상차가 얻어지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배향 고화층이 λ/2판으로서 기능하고, 제2 배향 고화층이 λ/4판으로서 기능하는 경우, 제1 배향 고화층의 두께는 예컨대 2.0㎛∼3.0㎛이고, 제2 배향 고화층의 두께는 예컨대 1.0㎛∼2.0㎛이다. 이 경우, 제1 배향 고화층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바람직하게는 200㎚∼3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29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280㎚이다. 제2 배향 고화층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단일층의 배향 고화층에 관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배향 고화층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10°∼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이다. 제2 배향 고화층의 지상축과 편광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70°∼8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2°∼7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이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이상적인 역파장 분산 특성에 가까운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로서, 매우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배향 고화층 및 제2 배향 고화층을 구성하는 액정 화합물, 제1 배향 고화층 및 제2 배향 고화층의 형성 방법, 광학 특성 등에 대해서는, 단일층의 배향 고화층에 관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2 위상차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굴절률 특성이 nz>nx=ny의 관계를 나타내는, 이른바 포지티브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 위상차층으로서 포지티브 C 플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경사 방향의 반사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어, 반사 방지 기능의 광시야각화가 가능해진다. 제2 위상차층은, 바람직하게는, 제1 위상차층이 배향 고화층의 단일층인 경우에 마련된다. 제2 위상차층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는, 바람직하게는 -50㎚∼-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25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180㎚이다. 여기에서, 'nx=ny'는, nx와 ny가 엄밀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nx와 ny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즉, 제2 위상차층의 면내 위상차 Re(550)는 10㎚ 미만일 수 있다.
nz>nx=ny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제2 위상차층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 될 수 있다. 제2 위상차층은, 바람직하게는, 호메오트로픽 배향으로 고정된 액정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킬 수 있는 액정 재료(액정 화합물)는, 액정 모노머이어도 액정 폴리머이어도 된다. 당해 액정 화합물 및 당해 위상차층의 형성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33642호의 [0020]∼[0028]에 기재된 액정 화합물 및 당해 위상차층의 형성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위상차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8㎛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5㎛이다.
E. 도전층 또는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
도전층은, 임의의 적절한 성막 방법(예컨대,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CVD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프레이법 등)에 의해, 임의의 적절한 기재 위에, 금속 산화물막을 성막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컨대, 산화 인듐,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 주석-안티몬 복합 산화물, 아연-알루미늄 복합 산화물, 인듐-아연 복합 산화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ITO)이다.
도전층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도전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도전층의 두께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이다.
도전층은, 상기 기재로부터 광학 기능층(또는,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 위상차층)에 전사되어 도전층 단독으로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구성층으로 되어도 되고, 재료와의 적층체(도전층 부착 기재)로서 광학 기능층(또는,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 위상차층)에 적층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이고, 따라서, 도전층은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로서 편광판에 이용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기재(등방성 기재)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등방성 기재를 채용할 수 있다. 등방성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노보넨계 수지나 올레핀계 수지 등의 공액계를 갖지 않는 수지를 주골격으로 하고 있는 재료, 락톤환이나 글루타르이미드환 등의 환상 구조를 아크릴계 수지의 주쇄 중에 갖는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면, 등방성 기재를 형성하였을 때에, 분자쇄의 배향에 따른 위상차의 발현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등방성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등방성 기재의 두께는, 예컨대 20㎛ 이상이다.
상기 도전층 및/또는 상기 도전층 부착 등방성 기재의 도전층은, 필요에 따라 패턴화될 수 있다. 패턴화에 의해, 도통부와 절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로서,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은, 터치 패널로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 전극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패터닝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패터닝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웨트에칭법, 스크린 인쇄법을 들 수 있다.
F. 편광판의 제조 방법
F-1. 편광자의 제조 방법
상기 B항에 기재된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장척상의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편측에, 할로겐화물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로 하는 것, 및, 적층체에, 공중 보조 연신 처리와, 염색 처리와, 수중 연신 처리와, 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가열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2% 이상 수축시키는 건조 수축 처리를 이 순서대로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PVA계 수지층에서의 할로겐화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PVA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20중량부이다. 건조 수축 처리는, 가열 롤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열 롤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120℃이다. 이와 같은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할로겐화물을 포함하는 PVA계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작하고, 상기 적층체의 연신을 공중 보조 연신 및 수중 연신을 포함하는 다단계 연신으로 하여, 연신 후의 적층체를 가열 롤로 가열함으로써, 우수한 광학 특성(대표적으로는, 단체 투과율 및 편광도)을 가짐과 함께, 광학 특성의 편차가 억제된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수축 처리 공정에서 가열 롤을 이용함으로써, 적층체를 반송하면서, 적층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수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얻어지는 편광자의 광학 특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학 특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 편광자의 광학 특성(특히, 단체 투과율)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할로겐화물 및 건조 수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이외의 제조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73580호 및 일본특허 제6470455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는, 그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F-1-1. 할로겐화물
할로겐화물과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PVA계 수지층은, 할로겐화물과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열가소성 수지 기재 위에 도포하고, 도포막을 건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포액은, 대표적으로는, 상기 할로겐화물 및 상기 PVA계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이다. 용매로서는, 예컨대, 물,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각종 글리콜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류,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등의 아민류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용액의 PVA계 수지 농도는,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20중량부이다. 이와 같은 수지 농도이면,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밀착된 균일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할로겐화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할로겐화물이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요오드화물 및 염화나트륨을 들 수 있다. 요오드화물로서는, 예컨대,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나트륨, 및 요오드화 리튬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요오드화 칼륨이다.
도포액에서의 할로겐화물의 양은, PVA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20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15중량부이다. 할로겐화물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할로겐화물이 블리드 아웃(bleed out)하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자가 백탁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PVA계 수지층이 연신됨으로써, PVA계 수지 중의 폴리비닐알코올 분자의 배향성이 높아지지만, 연신 후의 PVA계 수지층을, 물을 포함하는 액체에 침지하면, 폴리비닐알코올 분자의 배향이 흐트러져, 배향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붕산수 중 연신하는 경우에서,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연신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상기 적층체를 붕산수 중에서 연신하는 경우, 상기 배향도 저하의 경향이 현저하다. 예컨대, PVA 필름 단체의 붕산수 중에서의 연신이 60℃에서 행하여지는 것이 일반적인 것에 비하여, A-PET(열가소성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의 연신은 70℃ 전후의 온도라고 하는 높은 온도에서 행하여지고, 이 경우, 연신 초기의 PVA의 배향성이 수중 연신에 의해 오르기 전의 단계에서 저하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할로겐화물을 포함하는 PVA계 수지층과 열가소성 수지 기재와의 적층체를 제작하고, 적층체를 붕산수 중에서 연신하기 전에 공기 중에서 고온 연신(보조 연신)함으로써, 보조 연신 후의 적층체의 PVA계 수지층 중의 PVA계 수지의 결정화가 촉진될 수 있다. 그 결과, PVA계 수지층을 액체에 침지한 경우에서, PVA계 수지층이 할로겐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폴리비닐알코올 분자의 배향의 흐트러짐, 및 배향성의 저하가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염색 처리 및 수중 연신 처리 등, 적층체를 액체에 침지하여 행하는 처리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편광자의 광학 특성이 향상할 수 있다.
F-1-2. 건조 수축 처리
건조 수축 처리는, 존 전체를 가열하여 행하는 존 가열에 의해 행하여도 되고, 반송 롤을 가열(이른바 가열 롤을 이용)함으로써 행할(가열 롤 건조 방식)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의 양쪽을 이용한다. 가열 롤을 이용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적층체의 가열 컬을 억제하여, 외관이 우수한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롤에 적층체를 따르게 한 상태에서 건조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결정화를 효율적으로 촉진시켜 결정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비교적 낮은 건조 온도이어도,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결정화도를 양호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열가소성 수지 기재는, 그의 강성이 증가하여, 건조에 의한 PVA계 수지층의 수축에 견딜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컬이 억제된다. 또한, 가열 롤을 이용함으로써, 적층체를 평평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컬뿐만 아니라 주름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적층체는, 건조 수축 처리에 의해 폭 방향으로 수축시킴으로써, 광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VA 및 PVA/요오드 착체의 배향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건조 수축 처리에 의한 적층체의 폭 방향의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2%∼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8%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4%∼6%이다. 가열 롤을 이용함으로써, 적층체를 반송하면서 연속적으로 폭 방향으로 수축시킬 수 있어, 높은 생산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3은, 건조 수축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건조 수축 처리에서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반송 롤(R1∼R6)과, 가이드 롤(G1∼G4)에 의해, 적층체(200)를 반송하면서 건조시킨다. 도시예에서는, PVA 수지층의 면과 열가소성 수지 기재의 면을 교대로 연속 가열하도록 반송 롤(R1∼R6)이 배치되어 있지만, 예컨대, 적층체(200)의 한쪽 면(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기재면)만을 연속적으로 가열하도록 반송 롤(R1∼R6)을 배치하여도 된다.
반송 롤의 가열 온도(가열 롤의 온도), 가열 롤의 수, 가열 롤과의 접촉 시간 등을 조정함으로써, 건조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가열 롤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1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5℃∼1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0℃∼80℃이다. 열가소성 수지의 결정화도를 양호하게 증가시켜, 컬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내구성이 극히 우수한 광학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가열 롤의 온도는, 접촉식 온도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도시예에서는, 6개의 반송 롤이 마련되어 있지만, 반송 롤은 복수 개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반송 롤은, 통상적으로 2개∼40개, 바람직하게는 4개∼30개 마련된다. 적층체와 가열 롤과의 접촉 시간(총 접촉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초∼300초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초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초이다.
가열 롤은, 가열로(예컨대, 오븐) 내에 마련하여도 되고, 통상의 제조 라인(실온 환경 하)에 마련하여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송풍 수단을 구비하는 가열로 내에 마련된다. 가열 롤에 의한 건조와 열풍 건조를 병용함으로써, 가열 롤 사이에서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폭 방향의 수축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열풍 건조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30℃∼100℃이다. 또한, 열풍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초∼300초이다. 열풍의 풍속은, 바람직하게는 10m/s∼30m/s 정도이다. 또한, 당해 풍속은 가열로 내에서의 풍속이고, 미니베인형 디지털 풍속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중 연신 처리 후, 건조 수축 처리 전에, 세정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세정 처리는, 대표적으로는,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에 PVA계 수지층을 침지시킴으로써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열가소성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F-2. 편광판의 제조 방법
상기 F-1항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편광자 측 표면에,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하고, 당해 도포막을 고화시킴으로써 보호층이 형성된다.
아크릴계 수지에 대해서는, 상기 C-1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유기 용매로서는, 아크릴계 수지를 용해 또는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유기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의 구체예로서는, 초산에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을 들 수 있다.
용액의 아크릴계 수지 농도는,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20중량부이다. 이와 같은 수지 농도이면, 편광자에 밀착된 균일한 도포막을 형성할 수 있다.
용액은, 임의의 적절한 기재에 도포하여도 되고, 편광자에 도포하여도 된다. 용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기재 위에 형성된 도포막의 고화물이 편광자에 전사된다. 용액을 편광자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도포막을 건조(고화)시킴으로써, 편광자 위에 보호층이 직접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용액은 편광자에 도포되고, 편광자 위에 보호층이 직접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전사에 필요한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용액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롤 코트법, 스핀 코트법, 와이어 바 코트법, 딥 코트법, 다이 코트법, 커튼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콤마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용액의 도포막을 건조(고화)시킴으로써,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70℃이다. 건조 온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편광자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건조 시간은, 건조 온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예컨대 1분∼10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보호층이 형성되고, 결과로서, 열가소성 수지 기재/편광자/보호층의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 적층체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기재를 박리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편광자(10)와 보호층(20)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혹은, 열가소성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의 편광자 표면에 다른 보호층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을 첩합하고, 이어서 열가소성 수지 기재를 박리하여, 당해 박리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다른 보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G.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F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편광판을 제작하고, 해당 편광판의 편광자 측에 임의의 적절한 광학 기능층을 적층 또는 전사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은 편광자에 임의의 적절한 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하여도 되고, 편광자에 직접 형성하여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실시예에서의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다.
(1) 유리전이온도(Tg)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보호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소정의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기재(PET 필름)에 도포하고, 60℃에서 건조하여 도막(두께 40㎛)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도막을 기재로부터 박리하고, 스트립 형상으로 절취하여 측정 시료로 하였다. 당해 측정 시료를 DMA 측정에 제공하고, Tg를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 및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았다.
(측정 장치)
SII 나노테크놀로지사 제조, 'DMS6100'
(측정 조건)
·측정 온도 범위: -80℃∼150℃
·승강온 속도: 2℃/분
·측정 시료 폭: 10㎜
·척간 거리: 20㎜
·측정 주파수: 1㎐
·변형 진폭: 10㎛
·측정 분위기: N2(250mL/분)
(2) 요오드 흡착량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보호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소정의 용매에 용해한 용액을,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기재(PET 필름)에 도포하고, 60℃에서 건조하여 도막(두께 40㎛)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도막을 기재로부터 박리하고, 1㎝×1㎝(1㎠)로 절취하여 측정 시료로 하였다. 당해 측정 시료를 연소 IC법에 제공하고, 시료 중의 요오드량을 정량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다. 측정 시료를 헤드스페이스 바이알(20mL 용량)에 채취 및 칭량하였다. 다음으로, 요오드 수용액 (요오드 농도 1중량%, 요오드화 칼륨 농도 7중량%) 1mL를 넣은 바이알 병(2mL 용량)을, 이 헤드스페이스 바이알에 넣고, 밀전(密栓)하였다. 그 후, 이 헤드스페이스 바이알을 건조기로 65℃·6시간 가열하고, 가열 후의 시료를 세라믹 포트에 채취하여 자동 연소 장치를 이용하여 연소시켜, 발생한 가스를 흡수액에 포집 후, 정량 분석을 행하고, 흡착된 요오드의 중량%를 구하였다. 또한, 사용한 장치는 이하와 같았다.
·자동 시료 연소 장치: 미쓰비시화학 애널리틱사 제조, 'AQF-2100H'
·IC(음이온): 써모 피쳐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사 제조, 'ICS-3000'
(3) 단체 투과율 및 편광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으로부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및 흡수축 방향을 각각 대향하는 두 변으로 하는 시험편(50㎜×50㎜)을 절취하였다. 보호층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 점착제로 시험편을 무알칼리 유리판에 첩합하여 시험 샘플로 하고, 당해 시험 샘플에 대해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일본분광사 제조, 제품명 'V7100')를 이용하여, 단체 투과율(Ts), 평행 투과율(Tp) 및 직교 투과율(Tc)을 측정하고, 편광도(P)를 다음 식에 의해 구하였다. 이때, 측정 광은 보호층 측으로부터 입사시켰다.
편광도(P)(%)={(Tp-Tc)/(Tp+Tc)}1/2×100
또한, 상기 Ts, Tp 및 Tc는, JIS Z 8701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해 측정하고, 시감도 보정을 행한 Y값이다. 또한, Ts 및 P는, 실질적으로는 편광자의 특성이다.
다음으로,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을 85℃ 및 85% RH의 오븐 내에서 48시간 방치하여 가열 가습하고(가열 시험), 가열 시험 전의 단체 투과율(Ts0) 및 가열 시험 후의 단체 투과율(Ts48)로부터, 하기 식을 이용하여 단체 투과율 변화량(ΔTs)을 구하였다.
ΔTs(%)=Ts48-Ts0
마찬가지로, 가열 시험 전의 편광도(P0) 및 가열 시험 후의 편광도(P48)로부터, 하기 식을 이용하여 편광도 변화량(ΔP)을 구하였다.
ΔP(%)=P48-P0
또한, 가열 시험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으로부터,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및 흡수축 방향을 각각 대향하는 두 변으로 하는 시험편(50㎜×50㎜)을 절취하고, 보호층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 점착제로 시험편을 무알칼리 유리판에 첩합하여 시험 샘플로 하였다.
얻어진 ΔTs 및 ΔP의 결과로부터,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양호: ΔTs: 3.0% 미만, ΔP: -0.1%∼0%
가능: ΔTs: 3.0% 이상 5.0% 미만, ΔP: -1.0% 이상 -0.1% 미만
불량: ΔTs: 5% 이상, ΔP: -1.0% 미만, 또는, 전체에 색빠짐
(4) 절곡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을 30㎜(편광자의 흡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120㎜(흡수축 방향)의 사이즈로 절취하여, 측정 시료로 하였다. 이 측정 시료에 대해서, 무부하 U자 신축 모드의 연속 절곡 시험 장치(유아사시스템기기사 제조, 제품명 'DLDMLH-FS')를 이용하여 연속 절곡 시험을 행하였다. 절곡 속도는 60rpm, 절곡의 진폭은 20㎜, 절곡의 곡률 반경은 0.5㎜, 절곡 횟수는 50000회이었다. 또한, 절곡은, 측정 시료의 긴 방향 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당해 파지부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측정 시료의 광학 기능층 또는 위상차층이 내측이 되도록 하여 행하였다.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양호: 50000회의 절곡으로 균열이 생기지 않았다
불량: 50000회 미만의 절곡으로 구성 요소의 어느 하나에 균열 및/또는 접힘 자국이 생겼다
또한, 측정 시료에 균열이 생기는 경우, 당해 균열은 흡수축과 직교하는 방향(측정 시료의 폭 방향)에 따른 것이었다.
[실시예 1]
1. 편광자/수지 기재의 적층체의 제작
수지 기재로서, 장척상이고, 흡수율 0.75%, Tg 약 75℃인, 비정질의 이소프탈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100㎛)을 이용하였다. 수지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몰%)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미쓰비시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고세화이머 Z410')를 9:1로 혼합한 PVA계 수지 100중량부에, 요오드화 칼륨 13중량부를 첨가하여, PVA 수용액(도포액)을 조제하였다.
수지 기재의 코로나 처리면에, 상기 PVA 수용액을 도포하여 60℃에서 건조함으로써, 두께 13㎛의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130℃의 오븐 내에서 원주 속도가 상이한 롤 사이에서 종방향(긴 방향)으로 2.4배로 자유단 1축 연신하였다(공중 보조 연신 처리).
이어서, 적층체를, 액체 온도 40℃의 불용화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불용화 처리).
이어서, 액체 온도 30℃의 염색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와 요오드화 칼륨을 1:7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Ts)이 41.5%±0.1%가 되도록 농도를 조정하면서 60초간 침지시켰다(염색 처리).
이어서, 액체 온도 40℃의 가교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3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5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가교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체 온도 70℃의 붕산 수용액(붕산 농도 4.0중량%)에 침지시키면서, 원주 속도가 상이한 롤 사이에서 종방향(긴 방향)으로 총 연신 배율이 5.5배가 되도록 1축 연신을 행하였다(수중 연신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체 온도 20℃의 세정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4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에 침지시켰다(세정 처리).
그 후, 90℃로 유지된 오븐 중에서 건조하면서, 표면 온도가 75℃로 유지된 SUS제의 가열 롤에 약 2초 접촉시켰다(건조 수축 처리). 건조 수축 처리에 의한 적층체의 폭 방향의 수축률은 5.2%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수지 기재 위에 두께 5㎛의 편광자를 형성하고, 편광자/수지 기재의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초기 단체 투과율)(Ts0)은 41.2%이고, 편광도(초기 편광도)(P0)는 99.996%이었다.
2. 위상차층을 구성하는 제1 배향 고화층 및 제2 배향 고화층의 제작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바스프사 제조: 상품명 'Paliocolor LC242', 하기 식으로 나타냄) 10g과, 당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에 대한 광중합 개시제(바스프사 제조: 상품명 '이루가큐어 907') 3g을, 톨루엔 40g에 용해하여, 액정 조성물(도공액)을 조제하였다.
Figure pct00005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38㎛) 표면을, 러빙 천을 이용하여 러빙하여, 배향 처리를 실시하였다. 배향 처리의 방향은, 편광판에 첩합할 때에 편광자의 흡수축의 방향에 대하여 시인 측으로부터 보아 15° 방향이 되도록 하였다. 이 배향 처리 표면에, 상기 액정 도공액을 바 코터에 의해 도공하고, 90℃에서 2분간 가열 건조함으로써 액정 화합물을 배향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액정층에, 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100mJ/㎠의 광을 조사하고, 당해 액정층을 경화시킴으로써, PET 필름 위에 액정 배향 고화층 A를 형성하였다. 액정 배향 고화층 A의 두께는 2.5㎛, 면내 위상차 Re(550)는 270㎚이었다. 또한, 액정 배향 고화층 A는,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냈다.
도공 두께를 변경한 것, 및, 배향 처리 방향을 편광자의 흡수축의 방향에 대하여 시인 측으로부터 보아 75° 방향이 되도록 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PET 필름 위에 액정 배향 고화층 B를 형성하였다. 액정 배향 고화층 B의 두께는 1.3㎛, 면내 위상차 Re(550)는 140㎚이었다. 또한, 액정 배향 고화층 B는,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냈다.
3.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제작
상기 1.에서 얻어진 편광자/수지 기재의 적층체의 편광자 표면에, 상기 2.에서 얻어진 액정 배향 고화층 A 및 액정 배향 고화층 B를 이 순서대로 전사하였다. 이때, 편광자의 흡수축과 배향 고화층 A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15°, 편광자의 흡수축과 배향 고화층 B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75°가 되도록 하여 전사(첩합)를 행하였다. 또한, 각각의 전사(첩합)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두께 1.0㎛)를 개재하여 행하였다. 이어서, 보강을 위하여 점착제 부착 기재를 배향 고화층 B의 표면에 첩합하였다. 이어서,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편광자/접착층/위상차층(제1 배향 고화층/접착층/제2 배향 고화층)/점착제 부착 기재의 구성을 갖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4. 이접착층의 형성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의 편광자 면에, 이접착층으로서 폴리우레탄계의 수계 분산 수지(제1공업제약사 제조, 제품명: 슈퍼플렉스 SF210)를 두께가 0.1㎛가 되도록 도포하여, 이접착층을 형성하였다.
5. 보호층의 제작
10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아크릴계 수지(쿠스모토가세이사 제조, 제품명: B-728) 20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 80중량부에 용해하여, 아크릴계 수지 용액(20%)을 얻었다. 이 아크릴계 수지 용액을,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자 표면에 와이어 바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도포막을 60℃에서 5분간 건조하여, 도포막의 고화물로서 구성되는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보호층의 두께는 3㎛이고, Tg는 116℃이며, 요오드 흡착량은 0.34중량%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보호층(도포막의 고화물)/편광자/위상차층의 구성을 갖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상기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실시예 2]
보호층 두께를 2㎛로 한 것, 및, 보호층의 이접착층과 반대의 면에 추가로 하드코트층(두께 3㎛)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또한, 하드코트층은,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공영사화학 제조, 상품명: 라이트아크릴레이트 DCP-A) 70중량부,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공영사화학 제조, 상품명: 라이트아크릴레이트 IB-XA) 20중량부,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공영사화학 제조, 상품명: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1.9NA-A) 10중량부, 추가로, 광중합 개시제(바스프사 제조, 상품명: 이르가큐어 907) 3중량부를, 적당한 용매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얻어진 도공액을, 경화 후에 3㎛가 되도록 보호층면 위에 도포하고, 이어서, 용매를 건조시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적산 광량 300mJ/㎠이 되도록 자외선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조사함으로써 형성하였다.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상기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실시예 3]
광학 기능층으로서 위상차층 대신에 다른 보호층으로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COP) 필름(두께 13㎛)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보호층(도포막의 고화층)/편광자/보호층(COP 필름))을 제작하였다. 편광판의 총 두께는 22㎛이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상기 1.에서 얻어진 편광자/수지 기재의 적층체의 편광자에 보호층 형성 조성물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보호층(도포막의 고화층)/편광자))을 제작하였다. 편광판의 총 두께는 8㎛이었다. 얻어진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10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아크릴계 수지 대신에, 락톤환 단위를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아크릴계 수지(락톤환 단위 30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층(도포막의 고화물)/편광자/위상차층의 구성을 갖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상기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실시예 6]
10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아크릴계 수지 대신에, 글루타르이미드환 단위를 갖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아크릴계 수지(글루타르이미드환 단위 4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층(도포막의 고화물)/편광자/위상차층의 구성을 갖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상기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실시예 7]
10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아크릴계 수지 대신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몰비 80/20)의 공중합체인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층(도포막의 고화물)/편광자/위상차층의 구성을 갖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상기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비교예 1)
10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아크릴계 수지 대신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몰비 55/45)의 공중합체인 아크릴계 수지(쿠스모토가세이사 제조, 제품명 'B-72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층(도포막의 고화물)/편광자/위상차층의 구성을 갖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가열 가습 환경 하에 두었더니 색빠짐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단체 투과율 및 편광도의 평가는 행하지 않았다.
(비교예 2)
10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아크릴계 수지 대신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틸메타크릴레이트(몰비 35/65)의 공중합체인 아크릴계 수지(쿠스모토가세이사 제조, 제품명 'B-734')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층(도포막의 고화물)/편광자/위상차층의 구성을 갖는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가열 가습 환경 하에 두었더니 색빠짐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단체 투과율 및 편광도의 평가는 행하지 않았다.
(비교예 3)
이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았던(즉 편광자에 직접 보호층을 형성한) 것,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수지(공영사화학 제조, 제품명 '라이트아크릴레이트 HPP-A', 히드록시피바린산네오펜틸글리콜아크릴산 부가물)를 이용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층(경화물)을 형성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아크릴계 수지 97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이르가큐어 907, 바스프사 제조) 3중량%를 배합한 조성물을 편광자 위에 도포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적산 광량 300mJ/㎠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층(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4)
이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았던(즉 편광자에 직접 보호층을 형성한) 것,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계 수지(다이셀사 제조, 제품명 '셀록사이드 2021P')를 이용하여 보호층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층(경화물)을 형성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에폭시계 수지 95중량% 및 광중합 개시제(CPI-100P, 산아프로사 제조) 5중량%를 배합한 조성물을 편광자 위에 도포하고, 공기 분위기 하에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적산 광량 500mJ/㎠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층(보호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5)
이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았던(즉 편광자에 직접 보호층을 형성한) 것, 수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일본합성화학사 제조, 제품명 '폴리에스터 WR905')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층(도포막의 고화물)을 형성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가열 가습 환경 하에 두었더니 색빠짐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단체 투과율 및 편광도의 평가는 행하지 않았다.
(비교예 6)
이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았던(즉 편광자에 직접 보호층을 형성한) 것, 수계 폴리우레탄계 수지(제일공업제약사 제조, 제품명 '슈퍼플렉스 SF210')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층(도포막의 고화물)을 형성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가열 가습 환경 하에 두었더니 색빠짐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단체 투과율 및 편광도의 평가는 행하지 않았다.
(비교예 7)
이접착층을 형성하지 않았던 것, 편면에 이접착 처리를 한 아크릴계 필름(굴절률: 1.50, 두께: 20㎛)을, 자외선 경화 접착제를 개재하여 편광자 면에 직접 첩합시켰다. 구체적으로는, 경화형 접착제의 총 두께가 1.0㎛이 되도록 도공하고, 롤기를 사용하여 첩합하였다. 그 후, UV 광선을 아크릴 필름 측으로부터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보호층을 적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비교예 8)
아크릴계 필름의 두께를 40㎛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7과 마찬가지로 하여,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편광판의 두께는 51㎛이었다. 얻어진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6
<평가>
표 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은, 매우 얇음에도 불구하고, 가열 가습 환경 하에서도 광학 특성의 저하가 억제되어,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또한, 굴곡성도 우수하고, 우수한 내구성과 우수한 굴곡성을 양립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화상 표시 장치로서는, 예컨대, 휴대 정보 단말(PDA), 스마트폰, 휴대전화, 시계, 디지털 카메라, 휴대 게임기 등의 휴대 기기; PC 모니터, 노트북, 복사기 등의 OA 기기; 비디오 카메라, TV, 전자레인지 등의 가정용 전기 기기; 백 모니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용 모니터, 카 오디오 등의 차재용 기기; 디지털 사이니지, 상업 점포용 인포메이션용 모니터 등의 전시 기기; 감시용 모니터 등의 경비 기기; 간호용 모니터, 의료용 모니터 등의 간호·의료 기기를 들 수 있다.
10: 편광자
20: 보호층
30: 위상차층
100: 편광판
110: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Claims (7)

  1.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한쪽 측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이,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의 유기 용매 용액의 도포막의 고화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호층의 유리전이온도가 95℃ 이상이고,
    총 두께가 20㎛ 이하인,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의 두께가 10㎛ 이하인, 편광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10㎛ 이하인, 편광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아크릴계 수지가, 락톤환 단위, 무수 글루타르산 단위, 글루타르이미드 단위, 무수 말레산 단위 및 말레이미드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편광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판과, 상기 편광자의 상기 보호층과 반대 측에 배치된 광학 기능층을 포함하고, 총 두께가 25㎛ 이하인,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이, 상기 보호층과는 다른 보호층으로서 기능하는,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이, 원편광 기능 또는 타원편광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인,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KR1020227037883A 2020-04-30 2021-04-05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KR20230002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80789 2020-04-30
JP2020080789A JP2021173982A (ja) 2020-04-30 2020-04-30 偏光板および光学機能層付偏光板
PCT/JP2021/014526 WO2021220729A1 (ja) 2020-04-30 2021-04-05 偏光板および光学機能層付偏光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535A true KR20230002535A (ko) 2023-01-05

Family

ID=7828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883A KR20230002535A (ko) 2020-04-30 2021-04-05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1173982A (ko)
KR (1) KR20230002535A (ko)
CN (1) CN115461660A (ko)
TW (1) TW202146547A (ko)
WO (1) WO2021220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4089A1 (ja) 2021-10-25 2023-05-04 旭化成株式会社 ブロック共重合体、アスファルト組成物、及び改質アスファルト混合物
TWI823316B (zh) * 2022-03-30 2023-11-21 占暉光學股份有限公司 強化結構之彩色光學透鏡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0474A (ja) 2014-04-30 2015-11-24 株式会社カネカ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66B1 (ko) * 2012-10-22 2016-10-04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터치 패널이 달린 표시 장치
JP2014206725A (ja) * 2013-03-19 2014-10-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WO2014203637A1 (ja) * 2013-06-17 2017-02-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637082B1 (ko) * 2013-09-30 2016-07-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6232072B2 (ja) * 2013-11-01 2017-11-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ドープ組成物、偏光板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JP2015132661A (ja) * 2014-01-10 2015-07-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790358B2 (ja) * 2015-12-28 2020-11-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WO2018190176A1 (ja) * 2017-04-10 2020-02-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903906B1 (ko) * 2017-09-22 2018-10-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보호층용 무용제형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JP7149067B2 (ja) * 2017-12-05 2022-10-0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9200413A (ja) * 2018-05-11 2019-11-2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10474A (ja) 2014-04-30 2015-11-24 株式会社カネカ 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73982A (ja) 2021-11-01
WO2021220729A1 (ja) 2021-11-04
CN115461660A (zh) 2022-12-09
TW202146547A (zh)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92130B (zh) 带光学补偿层的偏振片及使用了其的有机el面板
KR20230002535A (ko)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TWI835966B (zh) 偏光板及偏光板捲材
JP7242884B2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21177229A (ja) 偏光板および光学機能層付偏光板
CN116848443A (zh) 圆偏振片及使用了其的图像显示装置
KR20230028728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21177230A (ja) 偏光板および位相差層付偏光板
KR20210148166A (ko) 편광판
TWI839433B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
KR20230002504A (ko) 편광판 및 광학 기능층 부착 편광판
WO2021220741A1 (ja) 偏光板および位相差層付偏光板
WO2020138368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
TWI842922B (zh) 附相位差層之偏光板及使用其之影像顯示裝置
WO2020138329A1 (ja) 偏光板および偏光板ロール
KR20230056666A (ko) 편광판,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23075748A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15190980A (zh) 偏光板及带相位差层的偏光板以及使用它们的图像显示装置
CN115004066A (zh) 带相位差层的偏光板及使用其的图像显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