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412U -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 Google Patents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412U
KR20230002412U KR2020220001433U KR20220001433U KR20230002412U KR 20230002412 U KR20230002412 U KR 20230002412U KR 2020220001433 U KR2020220001433 U KR 2020220001433U KR 20220001433 U KR20220001433 U KR 20220001433U KR 20230002412 U KR20230002412 U KR 202300024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height adjustment
fastening hole
pane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8032Y1 (ko
Inventor
김우석
최낙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Priority to KR2020220001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032Y1/ko
Publication of KR20230002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4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0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조절장치를 통해 조립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고 정밀하게 선반패널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하면으로부터 함입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선반패널; 상기 선반패널을 지지하는 브라켓; 상판과 측판으로 둘러싸인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 배치되는 높이조절캡;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패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볼트; 및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캡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A prefabricated shelf which is easy to level}
본 고안은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조절장치를 통해 조립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고 정밀하게 선반패널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선반은 다양한 물건을 장식하거나 수납하기 위한 가구로, 용이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고, 수납공간을 확장하거나 형태를 변경할 수도 있는 조립식 선반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선반은 벽면에 설치되거나 자립하는 다수 개의 지주들 사이에 선반패널을 지지하는 브라켓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브라켓이 지주 없이 벽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책장과 같이 측판에 브라켓 역할을 하는 다보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기도 한다.
다만, 조립식 선반은 설치되는 벽면이나 바닥이 평평하지 않으면 선반패널의 수평을 맞추기가 어려우며, 벽면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진 경우에는 정밀한 수평조절을 위해 조립된 선반을 철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주에 해당하는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벽면에 밀착한 수직조절나사를 통해 수직프레임의 수직을 조절하고, 수직조절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바닥에 밀착한 높낮이 조절나사를 통해 수직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브라켓에 해당하는 수평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수직프레임의 전면에 밀착한 수평조절나사를 통해 수평프레임의 수평을 조절하는 선반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0415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에 개시된 선반은 수직프레임의 조절나사들이 벽면이나 바닥에 근접한 위치에 있어 조작이 불편하고, 수평조절나사만 조작할 경우 수평프레임이 전체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양측면에 결합된 두 개의 선반패널이 동시에 움직이는 구조이므로 선반패널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하기 어렵다. 또한, 조절나사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를 사용하고, 밀착판을 통해 조절나사와 벽면 등과의 밀착 면적을 넓히고 있으나 이들을 조립하는 과정이 복잡하다. 나아가, 다수의 조절나사들이 외부로 노출되어 선반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0415호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된 상태에서 용이하고 정밀하게 선반패널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평조절 후 용이하고 견고하게 선반패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구성이 뛰어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관이 미려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은 하면으로부터 함입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선반패널; 상기 선반패널을 지지하는 브라켓; 상판과 측판으로 둘러싸인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 배치되는 높이조절캡;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패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볼트; 및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캡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삽입공 및 제1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삽입공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체결공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공간부가 배치되는 제1 장착홈; 및 상기 제1 장착홈보다 폭이 좁고, 제1 장착홈 상에서 함입된 제2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캡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공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지는 결합부; 및 상기 측판의 하단부에서 상기 공간부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장착홈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장착홈에 접하여 상기 선반패널의 하중을 1차로 분산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선반패널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선반패널의 하중을 2차로 분산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은 그 하단으로부터 함입된 제1 렌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제2 체결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제2 체결공은 상기 결합부의 상면부터 상기 제1 렌치홈까지 상기 높이조절캡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볼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몸통부; 및 상기 조절몸통부의 상단에 배치된 조절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머리부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상판에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공 위로 노출된 상기 높이조절볼트는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몸통부는 그 하단으로부터 함입된 제2 렌치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과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몸통부; 및 상기 고정몸통부의 하단에 배치된 고정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머리부의 직경은 상기 삽입공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체결공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머리부는 상기 고정몸통부가 상기 제2 체결공에 조여지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높이조절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밀착되어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머리부는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머리부는 그 하단으로부터 함입된 제3 렌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은: 벽면에 서로 이격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지주; 및 인접한 상기 두 지주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벽면을 가리는 마감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는: 상기 지주의 전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후단에 배치된 걸림돌기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공; 상기 걸림공의 양측에서 상기 벽면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사이에 상기 브라켓이 끼워지는 브라켓 지지부; 상기 브라켓 지지부의 전단에서 상기 브라켓 지지부 사이의 공간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그 전면에 상기 마감패널의 배면이 접하는 마감패널 지지부; 및 상기 지주의 양측 단부에서 상기 벽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으되, 상기 측벽부는 전단이 상기 마감패널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공으로 렌치를 삽입하여 제1 체결공에 결합된 높이조절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선반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높이조절캡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된 상태에서 용이하고 정밀하게 선반패널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삽입공으로 렌치를 삽입하여 삽입공과 높이조절볼트의 내부를 통과한 고정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제2 체결공에 결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수평조절 후 용이하고 견고하게 선반패널을 고정시킬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높이조절캡의 구조에 의해 하중이 분산됨으로써 선반패널의 휨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높이조절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수 번 반복적으로 수평을 조절하더라도 선반패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이 뛰어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높이조절볼트와 고정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벽면에 설치되는 지주와 마감패널을 통해 형성된 공간에 전선 등을 수납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조립식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조립식 선반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표현된 A 부분의 분해 사시도로,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선반패널의 일부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브라켓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현된 D 부분의 확대도로,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캡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6a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b는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볼트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7a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b는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표현된 B 부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고정볼트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고정볼트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표현된 B 부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고정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에 표현된 B 부분의 확대도로,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지주의 일부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마감패널과 선반을 지지하는 브라켓이 벽면에 고정된 지주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표현된 C 부분의 확대도로,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선반이 조립되었을 때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정의된 것으로써, 예를 들어, 바닥에 가까우면 하부로, 바닥을 바라보는 면은 하면으로, 벽면을 바라보는 면은 배면으로 정의된다. 다만, 이하의 실시 예에서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들 “상부”, “중간” 및 “하부” 등과 같은 용어는 “제1”, “제2” 및 “제3” 등의 다른 용어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에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조립식 선반(10)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표현된 A 부분의 분해 사시도로,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선반(10)은 하면으로부터 함입된 장착부(110)를 가지는 선반패널(100), 선반패널(100)을 지지하는 브라켓(200), 상판(301)과 측판(302)으로 둘러싸인 공간부(310)를 포함하고, 장착부(110)에 배치되는 높이조절캡(300), 브라켓(200)에 결합되어 선반패널(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볼트(400) 및 높이조절볼트(400)를 관통하여 높이조절캡(300)을 브라켓(200)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립식 선반(10)은 선반패널(10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선반패널(100)과 브라켓(200) 사이에 배치되어 선반패널(100)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부품인 높이조절캡(300), 높이조절볼트(400) 및 고정볼트(500)를 높이조절장치로 정의하며, 높이조절장치의 구체적인 구조 및 효과는 추후 본 명세서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선반패널(10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반패널(100)은 하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 장착부(110)에 높이조절장치가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선반(10)은 하부가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떠받쳐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브라켓(200)에 결합된 높이조절볼트(400)를 조이거나 풀어주면 선반패널(100)도 함께 밀려 올라가거나 내려가면서 수직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선반패널(100) 하단에 다수 개의 장착부(110)를 형성하면 높이조절장치를 통해 정밀하게 선반패널(1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장착부(110)는 선반패널(100)의 하면으로부터 함입되기만 한다면 위치와 숫자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데, 지나치게 많은 장착부(110)를 형성할 경우 불필요한 제조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조립의 용이성도 떨어질 수 있고, 지나치게 적은 장착부(110)를 형성할 경우 정밀한 수평조절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직관적이고 세밀하게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반패널(100) 하단의 모서리 4곳에 장착부(1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선반패널(100)의 일부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착부(110)는 공간부(310)가 배치되는 제1 장착홈(111) 및 제1 장착홈(111)보다 폭이 좁고, 제1 장착홈(111) 상에서 함입된 제2 장착홈(112)을 포함할 수 있으되, 제2 장착홈(112)에는 결합부(320, 도 6a 참조)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장착홈(112)은 표면에 나사산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목재로 만든 선반패널(100)을 고려하여 도면을 작성했기 때문이다. 즉, 외주면에 나사산(321)을 가지는 결합부(320, 도 6a 참조)는 선반패널(100) 보다 강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표면에 나사산이 없는 제2 장작홈(112)에도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패널(100)을 금속으로 만들 경우 제2 장착홈(112)은 표면에 나사산을 가져야 결합부가(320, 도 6a 참조)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장착부(110)에 높이조절캡(30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되어야 하중을 분산시켜 선반패널(100)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 장착홈(111)의 형태와 크기는 상판(301)과 측판(302)으로 둘러싸인 공간부(310)의 외형에 대응되고, 제2 장착홈(112)의 형태와 크기는 결합부(320, 도 6a 참조)의 외형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패널(100)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 및 결합부(320, 도 6a 참조)의 구조는 추후 본 명세서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선반패널(100)은 형태 및 재질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 플레이트나 반구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목재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선반패널(100)이 사용될 경우 각각의 크기나 형태는 상호 동일하거나 상호 다르게 만들어져도 무방하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브라켓(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브라켓(200)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표현된 D 부분의 확대도로,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이며, 도 8은 도 1에 표현된 B 부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고정볼트(5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브라켓(230)은 삽입공(221) 및 제1 체결공(231)을 포함할 수 있으되, 삽입공(221)의 상단에는 제1 체결공(231)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장치가 제1 체결공(231)에 결합될 경우 삽입공(221)을 통해 높이조절장치의 조작에 관여할 수 있으므로, 조립된 상태에서 높이조절장치를 조작하여 선반패널(1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선반(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선반패널(100)의 측면에 접하고, 선반패널(100)의 측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210), 바디부(21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삽입공(221)을 가지는 받침부(220) 및 받침부(22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체결공(231)을 가지는 돌출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되, 삽입공(221)의 상단에는 제1 체결공(231)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브라켓(200)은 바디부(210)가 선반패널(100)의 측면에 배치되더라도 받침부(220)를 통해 높이조절장치가 안정적으로 선반패널(100)의 하부를 떠받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체결공(231)에는 높이조절볼트(400)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돌출부(230)는 제1 체결공(231)에 결합된 높이조절볼트(400)가 조이거나 풀리면서 상하로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부(210)의 양측면에 받침부(220)와 돌출부(230)가 형성됨으로써 동시에 두 개의 선반패널(100)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선반(10) 조립에 필요한 브라켓(200)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용이하게 선반(10)을 조립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바디부(210)가 선반패널(100)의 측면에 배치되므로 선반패널(100)의 하부에 넓은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바디부(21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줄여 선반(1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바디부(210)의 일측면부터 타측면까지 폭을 가능한 좁게 만든다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선반패널(100) 사이에 위치하는 바디부(210)가 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선반(10)의 일체감과 미감을 더욱 뛰어나게 만들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브라켓(200)은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210)가 선반의 하단에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선반을 떠받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더라도 바디부(210)에 상하로 배치된 제1 체결공(231)과 삽입공(221)을 형성함으로써 조립된 상태에서 선반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책장과 같은 가구의 측판에 결합되어 브라켓(200) 역할을 하는 다보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일정 두께를 가지는 받침부(220)에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더라도, 이 구멍을 삽입공(221)과 제1 체결공(231)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면 조립된 상태에서 선반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브라켓(200)과 같이 돌출부(230)를 통해 제1 체결공(231)을 별도로 형성한다면, 공간부(310)는 제1 체결공(231)에 결합된 높이조절볼트(4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선반(10)의 외관을 미려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높이조절볼트(4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에 대해서는 추후 본 명세서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브라켓(200)은 후단에 걸림돌기(240)를 가지고, 이 걸림돌기(240)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벽면(W)에 고정된 지주(6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브라켓(200)이 벽면(W)에 고정되는 방식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고, 브라켓(200)이 벽면(W)에 고정되는 방식은 선반패널(100)의 수평을 조절하는 것과 무관하므로 브라켓(200)은 알려진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형태의 지주(600)에 결합할 수 있고, 벽면(W)에 직접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브라켓(200)은 재질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선반패널(100)과의 일체감을 주기 위해 목재로 만들 수 있으나, 선반패널(10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반복되는 높이조절볼트(400)의 조작에도 제1 체결공(231)이 마모되지 않을 수 있는 강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늄 소재를 활용한 금속을 활용하여 더 가볍고 미감이 뛰어난 브라켓(200)을 만들 수도 있다. 다만, 금속으로 만들어진 브라켓(20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체결공(231) 표면에 나사산을 가져야 높이조절볼트(4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캡(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캡(300)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6a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b는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1에 표현된 B 부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고정볼트(5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높이조절캡(300)은 상판(301)과 측판(302)으로 둘러싸인 공간부(310), 상판(301)으로부터 공간부(3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321)을 가지는 결합부(320) 및 측판(302)의 하단부에서 상기 공간부(310)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안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캡(300)의 상판(301)은 그 하단으로부터 함입된 제1 렌치홈(301a)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결합부(320)는 제2 체결공(32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되, 제2 체결공(322)은 결합부(320)의 상면부터 제1 렌치홈(301a)까지 높이조절캡(300)의 내부를 관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선반이 조립된 상태에서 높이조절캡(300)은 공간부(310)로 높이조절볼트(400)와 돌출부(230)를 덮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돌출부(230)에 형성된 제1 체결공(231)에 나사 결합된 높이조절볼트(400)는 조여지거나 풀리면서 돌출부(230)의 두께만큼만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 체결공(231) 위로 노출된 부분이 항상 공간부(31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선반(10)은 선반패널(100)의 수평을 조절한 후에도 높이조절볼트(4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할 수 있다.
한편, 선반패널(100)은 일반적으로 목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강성이 떨어지는데, 높이조절볼트(400)가 직접적으로 선반패널(100)의 하면과 접하고 있다면 반복적인 수평조절 과정에서 선반패널(10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선반(10)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높이조절캡(300)이 공간부(310)로 높이조절볼트(400)를 덮고 있기 때문에 높이조절볼트(400)가 높이조절캡(300)의 상판(301)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선반패널(100)은 수평조절 과정에서 높이조절캡(300)을 통해 더 넓은 면적에 간접적인 힘을 받게 되므로,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높이조절캡(300)은 결합부(320)가 제2 장착홈(112)에 나사 결합되면서 공간부(310)가 제1 장착홈(111)에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때 상판(301)은 제1 장착홈(111)에 접하여 선반패널(100)의 하중을 1차로 분산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고, 안착부(330)는 선반패널(100)의 하면에 접하여 선반패널(100)의 하중을 2차로 분산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반패널은 장착부(110)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져 하중을 견디는 힘이 약해질 수 있지만, 위와 같은 높이조절캡(300)의 구조를 통해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선반패널(100)이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캡(300)은 먼저 손으로 어느 정도 조여 1차로 결합부(320)를 제2 장착홈(112)에 고정시킬 수 있고, 개방된 공간부(310)의 하부로 삽입된 렌치를 제1 렌치홈(301a)에 끼운 후 완전히 조여 2차로 결합부(320)를 제2 장착홈(1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캡(300)의 고정 방식은 매우 직관적이므로 누구나 용이하고 견고하게 선반(10)을 조립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제1 렌치홈(301a)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각렌치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팔각렌치나 별렌치 등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부(320) 내부에 형성된 제2 체결공(322)에는 삽입공(221)을 통해 삽입되고 높이조절볼트(400)의 내부를 관통한 고정볼트(5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공(322)에 고정볼트(500)가 결합되는 구조 및 효과는 추후 본 명세서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높이조절캡(300)은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선반패널(100)과 접하는 면적을 늘려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판(301) 및 안착부(330)의 상면은 평평하게 만들고, 높이조절캡(30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장착부(110)에 배치된 높이조절캡(300)을 용이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측판(302)은 원기둥 형상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높이조절캡(300)은 재질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선반패널(100)의 하중을 견뎌야 하고, 높이조절볼트(400)에 의한 수평조절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받는 힘도 견뎌야 하기 때문에 강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으로 만들어진 높이조절캡(30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체결공(322) 표면에 나사산을 가져야 고정볼트(5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볼트(400) 및 선반패널(100)의 수평조절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높이조절볼트(400)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도 7a는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b는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1에 표현된 B 부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고정볼트(5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높이조절볼트(400)는 외주면에 나사산(411)을 포함하고, 제1 체결공(231)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몸통부(410) 및 조절몸통부(410)의 상단에 배치된 조절머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공(231)에 조절몸통부(410)가 결합된 경우 조절머리부(420)는 공간부(310) 내에서 상판(301)에 접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선반(10)은 조절몸통부(410)가 제1 체결공(231)에 나사 결합되면 조절머리부(420) 전부와 조절몸통부(410) 중 적어도 일부가 장착부(110)에 배치된 높이조절캡(300)의 공간부(310) 내에 위치하게 되고, 조절머리부(420)의 상면이 높이조절캡(300)의 상판(301)에 접하면서 높이조절볼트(400)가 간접적으로 선반패널(100)의 하부를 떠받치고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높이조절볼트(400)를 조이거나 풀어주기만 하면 높이조절캡(300)과 선반패널(100)은 조절머리부(420)가 이동한 거리만큼 동시에 밀려 올라가거나 내려오게 되므로, 바람직하게는 선반패널(100) 하단의 모서리 4곳에 높이조절볼트(400)를 배치함으로써 선반패널(100)의 수평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조절몸통부(410)는 그 하단으로부터 함입된 제2 렌치홈(4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공(221)으로 삽입된 렌치를 제2 렌치홈(412)에 끼운 후 제1 체결공(231)에 나사 결합된 높이조절볼트(400)를 조이거나 풀어 줄 수 있으므로, 선반(10)이 조립된 상태에서 높이조절볼트(400)를 조작하여 선반패널(1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2 렌치홈(412)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각렌치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팔각렌치나 별렌치 등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높이조절볼트(400)는 조절머리부(420)의 상면부터 제2 렌치홈(412)까지 높이조절볼트(400)의 내부가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공(221)으로 삽입된 고정볼트(500)는 높이조절볼트(400)를 관통하여 제2 체결공(3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공(322)에 고정볼트(500)가 결합되는 구조 및 효과는 추후 본 명세서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높이조절볼트(400)는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높이조절볼트(400)는 선반패널(100)의 하부를 간접적으로 떠받치고 있기 때문에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밀어 올리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조절머리부(420)는 상면이 평평하고 높이조절캡(300)의 공간부(310) 내에서 측판(302)에 거의 접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만듦으로써 높이조절캡(300)의 상판(301)과 접하는 면적을 가능한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반(10)의 외관이 미려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볼트(4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필요가 있는데, 높이조절볼트(400)가 제1 체결공(231)에 나사 결합된 후 제1 체결공(231) 위로 노출되는 부분은 공간부(310) 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조절몸통부(410)의 하부가 제1 체결공(231) 또는 삽입공(221) 내에 위치해야 하며, 이를 위해 조절몸통부(410)는 길이가 돌출부(230)의 상면부터 받침부(220)의 하면까지 거리에서 고정머리부(520, 도 9 참조)의 두께를 뺀 값보다는 짧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높이조절볼트(400)는 재질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선반패널(1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밀어주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반복적인 수평조절에도 조절몸통부 나사산(411)이 마모되지 않아야 되므로 강성이 높은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볼트(500)는 높이조절볼트(400) 내부를 관통하여 높이조절캡(300)의 제2 체결공(322)에 나사 결합되지만, 높이조절볼트(400) 내부는 단순히 통과만 하더라도 선반패널(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으로 높이조절볼트(400)를 만들더라도 관통된 내부의 표면에 나사산을 가질 필요는 없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고정볼트(500) 및 선반패널(100)의 고정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고정볼트(500)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에 표현된 B 부분의 결합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고정볼트(5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도 1에 표현된 B 부분의 확대도로,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선반패널(100)은 하부가 높이조절캡(300) 및 높이조절볼트(400)에 의해 떠받쳐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고정볼트(5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장착부(110)에 배치된 높이조절캡(300)이 브라켓(200)에 고정되지 않아 선반패널(100)이 위로 들려질 수 있고, 선반패널(100)의 상면에 물건들을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선반(10)은 고정볼트(500)를 통해 높이조절캡(300)을 브라켓(400)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고정볼트(500)는 외주면에 나사산(511)을 포함하고, 삽입공(221)과 높이조절볼트(4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2 체결공(322)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몸통부(510) 및 고정몸통부(510)의 하단에 배치된 고정머리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머리부(520)는 그 하단으로부터 함입된 제3 렌치홈(5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르면, 선반패널(100)과 결합된 높이조절캡(300)의 결합부(320) 내부에 형성된 제2 체결공(322)에 고정몸통부(510)가 나사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높이조절캡(300)은 선반패널(100)보다 강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고정몸통부(510)가 선반패널(100)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 보다 더 견고하게 선반패널(100)을 브라켓(200)에 고정시킬 수 있고, 고정몸통부(510)의 결합 과정에서 선반패널(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르면, 고정몸통부(510)가 높이조절볼트(4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제2 체결공(322)에 나사 결합되므로, 높이조절볼트(400)를 조이거나 풀어주어 수평조절이 완료된 선반패널(100)을 고정볼트(500)를 통해 브라켓(2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르면, 삽입공(221)으로 삽입된 렌치를 제3 렌치홈(521)에 끼운 후 고정볼트(500)를 조여주거나 풀어주기만 하면 용이하게 고정몸통부(510)를 제2 체결공(322)에 나사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반(10)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볼트(500)를 분리시킨 후 높이조절볼트(400)를 조이거나 풀어주어 선반패널(100)의 수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질 수 있다. 한편, 제3 렌치홈(52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각렌치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팔각렌치나 별렌치 등이 끼워질 수 있는 형태를 가지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르면, 고정머리부(520)는 삽입공(22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데, 고정몸통부(510)는 제2 체결공(322)과 공간부(310)에 의해 덮여져 있는 높이조절볼트(40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고정볼트(5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외관이 미려한 선반(1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머리부(520)는 직경이 삽입공(221) 보다 작고, 두께는 조절몸통부(410)가 삽입공(221)에 최대로 노출되는 상태에서 조절몸통부(410) 하면부터 받침부(220) 하면까지 거리의 값보다는 얇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높이조절장치는 선반패널(100)의 수평을 조절한 상태라도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립 후 선반패널(10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된 브라켓(200)의 삽입공(221)이 보이지 않는 방향에서 선반(10)을 바라볼 경우, 높이조절캡(300)은 안착부(330)만 보여 선반패널(100)과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고, 높이조절볼트(400)와 고정볼트(500)는 전혀 보이지 않으므로 외관이 미려한 선반(10)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르면, 고정머리부(520)의 직경은 삽입공(221)의 직경보다 작고, 제1 체결공(231)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고정머리부(520)는 고정몸통부(510)가 제2 체결공(322)에 조여지면서 브라켓(200)과 높이조절볼트(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밀착되어 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선반패널(100)을 브라켓(2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조절몸통부(410)가 제1 체결공(231)에 나사 결합되어 하부가 삽입공(221)에 노출된 상태라면 고정머리부(520) 상면은 조절몸통부(410) 하면에 접할 수 있고, 조절몸통부(410)가 제1 체결공(231)에 나사 결합되어 하부가 제1 체결공(231) 내에 위치한 상태라면 고정머리부(520)의 상면은 브라켓(200)의 돌출부(230) 하면에 접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고정볼트(500)는 형태, 크기 및 재질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몸통부 나사산(511)은 제2 체결공(322) 표면과 접하는 부분에만 존재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미려한 외관을 갖는 선반(100)을 위해선 고정볼트(5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고정몸통부(510)는 폭은 높이조절볼트(400)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만들고, 길이는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정머리부(520)가 삽입공(221)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볼트(500)는 선반패널(100)을 견고하게 브라켓(200)에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하고, 결합 및 분리 과정에서 고정몸통부 나사산(511)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강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벽면 부착형 조립식 선반(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조립식 선반(10)의 전체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지주(600)의 일부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른 마감패널(700)과 선반(100)을 지지하는 브라켓(200)이 벽면(W)에 고정된 지주(600)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에 표현된 C 부분의 확대도로,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반(10)은 벽면(W)에 서로 이격 되도록 설치되고, 브라켓(200)이 결합되는 지주(600) 및 인접한 두 지주(600) 사이에 결합되어 벽면(W)을 가리는 마감패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따르면, 벽면(W)에 부착된 지주(600)에 브라켓(200)을 결합함으로써 견고하고 공간 활용이 우수한 선반(10)을 제공할 수 있으며, 뛰어난 미감을 갖는 마감패널(700)을 통해 벽면을 가릴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한 선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지주(600)는 지주(600)의 전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고, 브라켓(200)의 후단에 배치된 걸림돌기(2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공(610), 걸림공(610)의 양측에서 벽면(W)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사이에 브라켓(200)이 끼워지는 브라켓 지지부(620), 브라켓 지지부(620)의 전단에서 브라켓 지지부(620) 사이의 공간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그 전면에 마감패널(700)의 배면이 접하는 마감패널 지지부(630); 및 지주(600)의 양측 단부에서 벽면(W)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벽부(640)를 포함할 수 있으되, 측벽부(640)는 전단이 마감패널(700)과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마감패널(700)이 마감패널 지지부(630)에 접하여 안착되면 지주(600)와 마감패널(7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지주(600)의 단부에 형성된 측벽부(640)에 의해 상기 공간에 놓이는 물건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공간에 선반패널(100) 상면에 올려진 물건의 전선 등을 수납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한 선반(10)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지주(600)는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보강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선반패널(100)의 하중에 의해 벽면(W)에 고정된 지주(600)가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한편, 본 고안의 지주(600)는 벽면 고정공(660)에 나사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벽면(W)에 고정시킬 수 있고, 마감패널(700)은 접착제를 마감패널 지지부(630)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 방식은 본 고안의 선반(10)이 가지는 기술적 특징이 아니므로, 이미 알려진 다양한 고정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걸림공(610)에 걸림돌기(240)를 결합하여 브라켓(200)을 지주(600)에 결합시키는 방식도 이미 알려진 다양한 고정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지주(600)와 마감패널(700)은 형태, 크기 및 재질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선반
100: 선반패널 110: 장착부
111: 제1 장착홈 112: 제2 장착홈
200: 브라켓 210: 바디부
220: 받침부 221: 삽입공
230: 돌출부 231: 제1 체결공
240: 걸림돌기
300: 높이조절캡 301: 상판
301a: 제1 렌치홈 302: 측판
310: 공간부 320: 결합부
321: 결합부 나사산 322: 제2 체결공
330: 안착부
400: 높이조절볼트 410: 조절몸통부
411: 조절몸통부 나사산 412: 제2 렌치홈
420: 조절머리부
500: 고정볼트 510: 고정몸통부
511: 고정몸통부 나사산 520: 고정머리부
521: 제3 렌치홈
600: 지주 610: 걸림공
620: 브라켓 지지부 630: 마감패널 지지부
640: 측벽부 650: 보강부
660: 벽면 고정공
700: 마감패널
W: 벽면

Claims (17)

  1. 하면으로부터 함입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선반패널;
    상기 선반패널을 지지하는 브라켓;
    상판과 측판으로 둘러싸인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 배치되는 높이조절캡;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선반패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볼트; 및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캡을 상기 브라켓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삽입공 및 제1 체결공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공의 상단에는 상기 제1 체결공이 배치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공간부가 배치되는 제1 장착홈; 및
    상기 제1 장착홈보다 폭이 좁고, 제1 장착홈 상에서 함입된 제2 장착홈을 포함하는 수평 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캡은:
    상기 상판으로부터 상기 공간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측판의 하단부에서 상기 공간부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안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장착홈에 나사 결합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제1 장착홈에 접하여 상기 선반패널의 하중을 1차로 분산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선반패널의 하면에 접하여 상기 선반패널의 하중을 2차로 분산시키도록 배치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그 하단으로부터 함입된 제1 렌치홈을 포함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제2 체결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체결공은 상기 결합부의 상면부터 상기 제1 렌치홈까지 상기 높이조절캡의 내부를 관통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몸통부; 및
    상기 조절몸통부의 상단에 배치된 조절머리부를 포함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머리부는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상판에 접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볼트는 상기 제1 체결공 위로 노출된 부분이 상기 공간부 내에 위치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몸통부는 그 하단으로부터 함입된 제2 렌치홈을 더 포함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12.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공과 상기 높이조절볼트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몸통부; 및
    상기 고정몸통부의 하단에 배치된 고정머리부를 포함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머리부의 직경은 상기 삽입공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 체결공의 직경보다 큰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머리부는 상기 고정몸통부가 상기 제2 체결공에 조여지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높이조절볼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밀착되어 접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머리부는 상기 삽입공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머리부는 그 하단으로부터 함입된 제3 렌치홈을 포함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17. 제1 항에 있어서,
    벽면에 서로 이격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지주; 및
    인접한 상기 두 지주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벽면을 가리는 마감패널을 더 포함하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KR2020220001433U 2022-06-13 2022-06-13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KR200498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433U KR200498032Y1 (ko) 2022-06-13 2022-06-13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433U KR200498032Y1 (ko) 2022-06-13 2022-06-13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412U true KR20230002412U (ko) 2023-12-21
KR200498032Y1 KR200498032Y1 (ko) 2024-05-29

Family

ID=89309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433U KR200498032Y1 (ko) 2022-06-13 2022-06-13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032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24Y1 (ko) * 2002-06-04 2002-09-11 조수호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JP2009183458A (ja) * 2008-02-06 2009-08-20 Sanden Corp 棚受け装置
JP2009201711A (ja) * 2008-02-28 2009-09-10 Okamura Corp 商品陳列棚
KR20100085272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선반높이 조절장치
KR200450415Y1 (ko) 2008-07-09 2010-10-01 주식회사 동성사 붙박이장 선반용 프레임의 설치구조물
KR20130006495U (ko) * 2012-05-02 2013-11-12 김종현 시스템 가구용 선반 높낮이 조절 장치
EP3228878A1 (en) * 2016-04-04 2017-10-11 The Boeing Company Threaded adjustable-height insert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624Y1 (ko) * 2002-06-04 2002-09-11 조수호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JP2009183458A (ja) * 2008-02-06 2009-08-20 Sanden Corp 棚受け装置
JP2009201711A (ja) * 2008-02-28 2009-09-10 Okamura Corp 商品陳列棚
KR200450415Y1 (ko) 2008-07-09 2010-10-01 주식회사 동성사 붙박이장 선반용 프레임의 설치구조물
KR20100085272A (ko) * 2009-01-20 2010-07-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선반높이 조절장치
KR20130006495U (ko) * 2012-05-02 2013-11-12 김종현 시스템 가구용 선반 높낮이 조절 장치
EP3228878A1 (en) * 2016-04-04 2017-10-11 The Boeing Company Threaded adjustable-height inserts and rel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8032Y1 (ko)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5102B2 (en) Portion of shelf and support for shelving unit
US20150053635A1 (en) Modular Storage System having Self Locking Components that are Reconfigurable without the need for Tools and/or Fasteners
KR200461779Y1 (ko) 시스템 가구용 선반받침대
KR200458090Y1 (ko) 조립식 선반
US20080036342A1 (en)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Modular Cabinetry
KR102332967B1 (ko) 선반 거치력이 강화된 간편 조립식 수납장
KR200498032Y1 (ko)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JPH0191807A (ja) システム棚
US2915351A (en) Desk construction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US20080023997A1 (en) Chair with adjustable seat height
JP4968777B2 (ja) サイドパネル付き机
CN214382291U (zh) 飞碟拉篮及储物柜
JP3128281U (ja) 組立棚
KR20160077978A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102671562B1 (ko) 조립이 편리한 선반 조립구조체
KR102022027B1 (ko) 조립식 선반
CN2501371Y (zh) 可拆装组合的厨具脚座
KR200451957Y1 (ko) 조립식 선반
JP3246214U (ja) 高さが調整可能な物置ラック
JP2006081922A (ja) 机における収納装置
US20180295994A1 (en) Leveler leg
CN219680040U (zh) 支撑架及挂墙式桌子
KR102528380B1 (ko) 간편 조립구조의 선반가구
CN211722429U (zh) 一种可调高度的柜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