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624Y1 -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 Google Patents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624Y1
KR200288624Y1 KR2020020017131U KR20020017131U KR200288624Y1 KR 200288624 Y1 KR200288624 Y1 KR 200288624Y1 KR 2020020017131 U KR2020020017131 U KR 2020020017131U KR 20020017131 U KR20020017131 U KR 20020017131U KR 200288624 Y1 KR200288624 Y1 KR 200288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wer plate
plate
level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호
Original Assignee
조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호 filed Critical 조수호
Priority to KR2020020017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624Y1/ko

Links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판(3)의 측면보조판(5) 하부를 지지하도록 받침부(22) 양측에 지지부(23) 및 지지돌기(2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3) 일측에 결합부(25)가 연장형성된 지지부재(21)와, 상단에 체결홈(28)이 형성된 수나사부(27)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21)의 결합부(25)에 체결되고 하단에 누름부(29)가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재(26)로 이루어진 레벨러(20)와; 상기 하판(3)의 관통홈(3a)을 통해 상기 레벨러(20)의 체결홈(28)에 결합되는 공지의 L랜치(30)로 이루어진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레벨러(20)의 지지부재(21)에 측면보조판(5)을 끼워서 측면보조판(5) 양측 전후방에 각각 레벨러(20)를 결합시키고 하판(3)의 관통홈(3a)에 L랜치(30)를 결합시켜서 높이조절부재(26)의 체결홈(28)에 끼운 후 L랜치(30)를 회전시키면 지지부재(21)가 수나사부(27)를 따라 승강되면서 하판(3)의 수평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므로 신발장(1)이 설치될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여도 L랜치(30)를 회전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하판(3)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신발장(1)의 조립상태가 양호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lower plate horizontal control structure for footwear cabinet}
본 고안은 신발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에 관한것이다.
실내의 측벽에 조립설치되는 신발장은, 내부에 수납공간이 구획되도록 여러개의 판들이 결합설치되며, 이러한 신발장은 조립하는 과정에서 실내 측벽의 폭에 맞게,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폭을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신발장은, 바닥에 하판을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측면판, 배면판, 상판 및 도어를 설치하기 때문에 하판의 수평조절이 매우 중요하며, 하판의 수평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한 상태에서 조립하게 되면 신발장이 제대로 조립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하판의 수평조절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는, 저면에 전면보조판 및 측면보조판이 결합된 하판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에 있어서, 하판의 측면보조판 하부를 지지하도록 받침부 양측에 지지부 및 지지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 일측에 결합부가 연장형성된 지지부재와, 상단에 체결홈이 형성된 수나사부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부에 체결되고 하단에 누름부가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재로 이루어진 레벨러와; 상기 하판의 관통홈을 통해 상기 레벨러의 체결홈에 결합되는 공지의 L랜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레벨러의 지지부재에 측면보조판을 끼워서 측면보조판 양측 전후방에 각각 레벨러를 결합시키고 하판의 관통홈에 L랜치를 결합시켜서 높이조절부재의 체결홈에 끼운 후 L랜치를 회전시키면 지지부재가 수나사부를 따라 승강되면서 하판의 수평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므로 신발장이 설치될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여도 L랜치를 회전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하판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신발장의 조립상태가 양호하도록 하였다.
도1 및 도2는 신발장을 보이는 개략적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에 사용되는 레벨러를 보이는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를 보이는 부분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신발장 3 ; 하판
5 ; 측면보조판 8 ; 프레임
9 ; 선반 10 ; 상부회전축
11 ; 하부회전축 20 ; 레벨러
21 ; 지지부재 26 ; 높이조절부재
30 ; L랜치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 신발장(1)을 보이는 개략적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3은 레벨러(20)를 보이는 사시도이며, 도4는 하판(3)의 수평을 조절하는 상태를 보이는 부분 확대 사시도로써, 먼저, 이러한 신발장(1)은, 신발장의 바닥을 이루는 하판(3)이 구비되며, 이 하판 양측 전후방에는 관통홈(3a)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레벨러(20)의 체결홈(28)이 그 하측에 위치되고, 하판(3) 양측에는 브라켓(12)이 구비된다.
이 하판(3) 저면에는 전면보조판(4)과 측면보조판(5)이 결합구비되어 있어 하판(3)을 지지하게 되며, 이 하판(3)을 기준으로 그 양측의 브라켓(12)에는 측면판(6)이 결합되고 하판(3) 후방에는 배면판(7)이 결합되며, 측면판(6) 및 배면판(7) 상부에 상판(2)이 결합된다.
여기서 하판(3)의 수평기울기를 조절하도록 측면보조판(5)에는 레벨러(20)가 결합되는바, 이는 지지부재(21)와 높이조절부재(26)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21)는 측면보조판(5) 하부를 지지하도록 받침부(22)가 구비되고, 받침부(22) 일측에 지지부(23)가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23) 반대측에 지지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부(23)와 지지돌기(24) 사이의 받침부(22) 상에 측면보조판(5) 하부를 끼워서 지지시키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21)의 일측에는 결합부(25)가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부(25) 중앙에 후술할 높이조절부재(26)의 수나사부(27)가 체결되어 있다.
높이조절부재(26)는, 상단에 체결홈(28)이 형성된 수나사부(27)가 구비되어 지지부재(21)의 결합부(25)에 체결되고, 수나사부(27) 하단에는 누름부(29)가 구비되어 있어 지면에 접촉지지된다.
그리고 하판(3)의 관통홈(3a)을 통해 레벨러(20)의 체결홈(28)에 결합되도록 공지의 L랜치(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신발장(1) 내부에는 사각틀형상의 프레임(8)이 구비되며, 이 프레임(8)에 다수의 선반(9)이 설치되어 있으며, 프레임(8) 상하부 중앙과 이에 대응되는 신발장(1)의 상판(2) 및 하판(3) 사이에 상부회전축(10)과 하부회전축(11)이 결합설치되어 있어 프레임(8)이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는, 측면보조판(5) 하부를 레벨러(20)의 지지부재(21)에 안착시키는바, 지지부(23)와 지지돌기(24) 사이의 받침부(22)에 측면보조판(5) 하부를 안착시키고, 수나사부(27)의 체결홈(28)이 하판(4)의 관통홈(5)에 대향되도록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한 후 L랜치(30)를 하판(3)의 관통홈(3a)에 끼우면 관통홈(3a) 하측의 체결홈(28)에 L랜치(30)의 단부가 결합되며, L랜치(3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수나사부(27)가회전되면서 지지부재(21)가 수나사부(27)를 따라 승강된다.
따라서 L랜치(30)를 하판(3)의 관통홈(3a)에 끼워서 L랜치(30)를 체결홈(28)에 결합시킨 후 회전시키는 작업으로 하판(3) 일측의 수평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는 하판(3)의 수평을 간편하고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배면판(7) 및 측면판(6), 도어의 조립상태가 양호하며 이에 따라 신발장(1)이 뒤틀리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에 의하면, 레벨러(20)의 지지부재(21)에 측면보조판(5)을 끼워서 측면보조판(5) 양측 전후방에 각각 레벨러(20)를 결합시키고 하판(3)의 관통홈(3a)에 L랜치(30)를 결합시켜서 높이조절부재(26)의 체결홈(28)에 끼운 후 L랜치(30)를 회전시키면 지지부재(21)가 수나사부(27)를 따라 승강되면서 하판(3)의 수평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므로 신발장(1)이 설치될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여도 L랜치(30)를 회전시키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하판(3)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어 신발장(1)의 조립상태가 양호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저면에 전면보조판 및 측면보조판이 결합된 하판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에 있어서,
    상기 하판(3)의 측면보조판(5) 하부를 지지하도록 받침부(22) 양측에 지지부(23) 및 지지돌기(24)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3) 일측에 결합부(25)가 연장형성된 지지부재(21)와, 상단에 체결홈(28)이 형성된 수나사부(27)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21)의 결합부(25)에 체결되고 하단에 누름부(29)가 구비되는 높이조절부재(26)로 이루어진 레벨러(20)와;
    상기 하판(3)의 관통홈(3a)을 통해 상기 레벨러(20)의 체결홈(28)에 결합되는 공지의 L랜치(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KR2020020017131U 2002-06-04 2002-06-04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KR200288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31U KR200288624Y1 (ko) 2002-06-04 2002-06-04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131U KR200288624Y1 (ko) 2002-06-04 2002-06-04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624Y1 true KR200288624Y1 (ko) 2002-09-11

Family

ID=73124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131U KR200288624Y1 (ko) 2002-06-04 2002-06-04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6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8032Y1 (ko) 2022-06-13 2024-05-29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8032Y1 (ko) 2022-06-13 2024-05-29 주식회사 에프피앤코 수평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966B1 (en) Support base for household appliances
CA2391113C (en) Versatile anti-tip bracket for an appliance
US7147115B2 (en) Workroom storage system
US7228977B2 (en) Workroom storage system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KR200288624Y1 (ko) 신발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JP3760867B2 (ja) 収納ラック
KR200283532Y1 (ko) 붙박이장용 하판 수평조절구조
CN113229628A (zh) 一种组装柜及其组装方法
KR200231072Y1 (ko) 가구의 선반높이 조절구
JP4388507B2 (ja) 収納棚
KR20030068327A (ko) 선반의 설치간격 조절 구조
CN216534509U (zh) 一种内置升降调平装置及可调置物柜
JP2003184264A (ja) 住宅の内装構成システム
JP2998064B2 (ja) 組立式棚装置におけるキャビネット構造
JPH0647052Y2 (ja) 間仕切りパネルにおける物品係止装置
JP3097447U (ja) 収納棚
KR200335198Y1 (ko) 피디피 텔레비전용 받침대
JPS6211465Y2 (ko)
KR101843685B1 (ko) 제작 및 사용이 편리한 신발 정리대
JPH0247856Y2 (ko)
JPH0133032Y2 (ko)
JP5346164B2 (ja) 補助壁の取付構造
KR200199558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JP2008161581A (ja) 履物収納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