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349A - 정제 수취 용기 및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정제 수취 용기 및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349A
KR20230002349A KR1020227033942A KR20227033942A KR20230002349A KR 20230002349 A KR20230002349 A KR 20230002349A KR 1020227033942 A KR1020227033942 A KR 1020227033942A KR 20227033942 A KR20227033942 A KR 20227033942A KR 20230002349 A KR20230002349 A KR 20230002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receiving container
cassette
tablets
disp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야마시타
요시노리 다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002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69Trays for holding or distributing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7/00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7/02Supplying or feeding fluent-solid, plastic, or liquid material, or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to be packaged by gravity flow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 A61J2205/6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using magnetic or electronic identifications, e.g. chips, RFID, electronic t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Tablets, capsules, pill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약제 불출 장치의 정제 카세트의 재고 조사 시에, 특별한 배출 경로나 설치 스페이스를 마련하지 않고, 약제 불출 장치에 장착된 정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수취할 수 있는 정제 수취 용기, 및 당해 정제 수취 용기를 사용하여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한다. 정제 수취 용기(50)는, 정제 카세트(11)로부터 정제가 장착부(12)를 통과하여 정제 낙하 경로(42)로 배출되어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장착부(12)의 하방에서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한다. 정제 수취 용기(50)에, 그 정제 수취 용기(50)를 설치했을 때에 정제 낙하 경로(42)에 삽입되는 수취구(50g)를 구비한다. 정제 수취 용기(50)보다 상방의 장착부(12)에 장착된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배출되어 정제 낙하 경로(42)를 낙하해 오는 정제를 수취구(50g)에서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정제 수취 용기 및 약제 불출 장치
본 발명은, 정제의 재고 조사 시에 사용하는 정제 수취 용기 및 정제의 재고 조사에 사용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국에서는, 예를 들면 1개월에 1회의 빈도로 재고 조사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재고 조사 작업은, 약국 내의 조제 선반의 개봉·미개봉 약제의 재고나, 약제 불출 장치 내에 잔류되어 있는 약제의 수를 약제마다 카운트하여 재고 금액을 조사하여, 이익을 확정하는 작업이다. 종래, 약제 불출 장치 내에 잔류되어 있는 약제는 사람이 손으로 세거나, 전용 카운트 장치를 사용하여 카운트되고 있다.
약제 불출 장치의 정제를 사람이 손으로 세는 것은, 품이 들고, 카운트 실수가 발생한다. 또, 카운트 장치는 구입 비용이 들고,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가변 카세트에 잔존하는 정제를 회수하기 위하여, 가변 카세트의 하방에 약품 수용부를 재치하는 재치대를 마련함과 함께, 가변 카세트의 제1 경로로부터 분기하는 제2 경로를 전환 가능하게 마련하여, 가변 카세트의 정제를 제2 경로를 통하여 약품 수용부에 회수하는 회수 유닛을 구비한 약제 불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인용문헌 1의 회수 유닛은, 제2 경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공보 WO2017/15981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약제 불출 장치의 정제 카세트의 재고 조사 시에, 특별한 배출 경로나 설치 스페이스를 마련하지 않고, 약제 불출 장치에 장착된 정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수취할 수 있는 정제 수취 용기, 및 당해 정제 수취 용기를 사용하여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취한다.
제1 수단의 정제 수취 용기는,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의 하방에서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는 정제 수취 용기로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설치했을 때에 상기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구비한다.
제1 수단의 정제 수취 용기는, 장착부의 하방에서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므로, 특별한 설치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 정제 수취 용기에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구비하므로, 특별한 배출 경로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2 수단의 정제 수취 용기는,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정제 카세트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는 정제 수취 용기로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구비한다.
제2 수단의 정제 수취 용기는,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정제 카세트와 교환하여 장착되므로, 특별한 설치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부에 설치했을 때에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구비하므로, 특별한 배출 경로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1 및 제2 정제 수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취구는,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내부를 향하는 경사 각도가 가팔라지도록 회동(回動) 가능한 받침판을 구비한다.
이것에 의하면, 수취구의 받침판의 경사가 가파르기 때문에, 정제 카세트로부터 불출되는 정제가 수취구의 받침판에 닿아 힘차게 정제 수취 용기 내에 들어가기 때문에, 정제 수취 용기의 입구에서 정제가 막히는 경우는 없다.
제1 및 제2 정제 수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기구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 수취 용기가 진동하는 결과, 정제 수취 용기로 배출되는 정제 간의 간극이 매워지고, 정제가 조밀하게 겹쳐 쌓여, 용기의 수용 가능량까지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정제 수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정제 카세트를 구동하는 상기 장착부에 마련된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 수취 용기에 진동 기구의 동력원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1 및 제2 정제 수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취구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뻗는 정제 안내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수취구로 수취한 정제는 안내 가이드를 미끄러져 떨어지면서 양측으로 낙하하므로, 정제 수취 용기의 바닥에 균일하게 저류된다.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상기 정제 안내 가이드를 진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정제 안내 가이드에 정제가 모여 수취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정제 수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바닥에 형성된 낙하구를 개폐하는 셔터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 수취 용기에 들어간 정제를 정제 카세트에 재치하고, 셔터에 의하여 낙하구를 개방함으로써, 정제를 한 번에 남김 없이 신속하게 정제 카세트로 되돌릴 수 있다.
제1 및 제2 정제 수취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는, 상기 정제 카세트에 상기 수취구를 구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 카세트에 수취구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정제 수취 용기로 할 수 있으므로, 이 정제 수취 용기를 정제 카세트와 동일하게 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어, 특별한 정제 수취 용기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제3 수단의 정제 수취 용기는,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분포(分包) 유닛에서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의 하방에서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는 정제 수취 용기로서,
상기 장착부에 정제 수취 용기가 장착되면, 당해 장착부보다 위에 있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처가, 상기 분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전환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전환 수단은, 정제 수취 용기가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는,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하방에서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는 정제 수취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구비하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보다 상방의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정제 낙하 경로를 낙하해 오는 정제를 상기 수취구로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는, 장착부의 하방에서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므로, 특별한 설치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 정제 수취 용기에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구비하므로, 특별한 배출 경로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5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는,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상기 장착부를 통과하여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정제 카세트와 교환하여 장착되는 정제 수취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구비하며,
상기 정제 수취 용기가 장착된 상기 장착부보다 상방의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정제 낙하 경로를 낙하해 오는 정제를 상기 수취구로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5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는,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정제 카세트와 교환하여 장착되므로, 특별한 설치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부에 설치했을 때에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구비하므로, 특별한 배출 경로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4 및 제5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낙하 경로에, 상기 장착부의 정제 배출로와 연통되는 정제 배출구와, 그 정제 배출구보다 하방에 마련된 수취 용기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취 용기 삽입구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상기 수취구가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기 정제 배출로로부터, 상기 정제 배출구, 상기 정제 낙하 경로 및 상기 수취구를 거쳐,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내부에 이르는 정제 수취 경로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 수취 용기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정제 수취 용기의 수취구가 정제 낙하 경로의 수취 용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정제 수취 경로가 형성된다.
또, 상기 수취 용기를 장착한 상기 장착부 중 하나 위의 상기 장착부의 정제 배출로를 막는 폐색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수취구에서 튀어오른 정제가 상방의 정제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및 제5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취 용기 삽입구에, 당해 수취 용기 삽입구를 개폐하는 가동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취 용기 삽입구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상기 수취구가 삽입되면, 상기 가동판이 상기 수취 용기 삽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 수취 용기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정제 수취 용기의 수취구가 정제 낙하 경로의 수취 용기 삽입구에 삽입되고, 가동판이 수취 용기 삽입구를 개방하여, 정제 수취 경로가 형성된다.
제4 및 제5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복수 단의 상기 장착부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각각 장착하고,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한 상기 장착부보다 상방의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의 정제를 각각의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동시에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복수 단의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를 각각의 정제 수취 용기에 동시에 수취할 수 있어, 재고 조사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제4 및 제5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복수 단의 상기 장착부가 복수 열 마련되고,
복수 열의 상기 장착부의 하방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각각 장착하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한 상기 장착부보다 상방의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의 정제를 각각의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동시에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복수 열의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를 각각의 정제 수취 용기에 동시에 수취할 수 있어, 재고 조사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제4 및 제5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수취 용기 식별 정보와 정제를 카운트하는 정제 카세트의 카세트 식별 정보를 기억한 식별 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수취 용기의 상기 식별 장치의 수취 용기 식별 정보와 카세트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가 상기 약제 불출 장치에 마련되며,
상기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판독 장치가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상기 식별 장치의 수취 용기 식별 정보와 카세트 식별 정보를 판독하면, 카세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카운트 모드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 수취 용기의 식별 장치에, 수취 용기 식별 정보와 정제를 카운트하는 정제 카세트의 카세트 식별 정보를 기억시켜, 당해 정제 수취 용기를 설치하면, 약제 불출 장치의 판독 장치가 정제 수취 용기의 식별 장치의 수취 용기 식별 정보와 카세트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카세트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정제 카세트의 정제 카운트 모드로 이행하여, 당해 정제 카세트의 정제가 약제 불출 장치의 카운트 기능에 의하여 카운트되므로, 특별한 정제 카운트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4 및 제5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와 상기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가 재치되는 정제 충전대와,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마련된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수취 용기 판독 장치와,
상기 정제 충전대에 재치되는 상기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에 마련된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카세트 판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취 용기 판독 장치로 판독된 식별 정보와, 상기 카세트 판독 장치로 판독된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취지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를 수취한 정제 수취 용기와, 정제가 배출된 정제 카세트의 양자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취지가 통지되고, 정제 수취 용기의 정제를 정제 카세트에 투입하는 것이 허가되므로, 실수 없이 정제 수취 용기의 정제를 정제 카세트에 확실하게 되돌릴 수 있다.
제6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는,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분포 유닛에서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정제 수취 용기가 장착되면, 당해 정제 수취 용기보다 위에 있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처가, 상기 분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 수취 용기로 정제를 수취하기 위한 특별한 경로나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제7 수단의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수취 용기 검출 수단과,
상기 수취 용기 검출 수단이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검출하면,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처가, 상기 분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정제 분포 경로로부터 정제 수취 경로로 전환할 수 있어, 경로 전환을 위한 특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8 수단의 전환 방법은,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분포 유닛으로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정제의 배출처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처를, 정제 수취 용기에 의하여, 상기 분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 내로 전환한다.
본 발명의 정제 수취 용기에 의하면, 약제 불출 장치의 정제 카세트의 재고 조사 시에, 특별한 배출 경로나 설치 스페이스를 마련하지 않고, 약제 불출 장치에 장착된 정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수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약제 불출 장치에 의하면,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정제 수취 경로가 형성되고, 약제 불출 장치 자체의 정제 카운트 기능에 의하여,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별도 정제 계수 장치를 구비하거나, 그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를 갖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 불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정제 카세트와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한 약제 불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하는 장착부를 경사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한 장착부를 경사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어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셔터를 빼낸 정제 수취 용기의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정제 수취 용기의 경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정제 수취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정제 수취 용기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정제 수취 용기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어부에 의한 재고 조사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도 11에 이어지는 제어부에 의한 재고 조사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제어 유닛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재고 조사 대상 정제 카세트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복수 단 동시의 재고 조사 처리에 있어서의 정제 수취 용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복수 열 동시의 재고 조사 처리에 있어서의 정제 수취 용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정제 수취 용기의 수취구의 가동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정제 수취 용기의 장착 전과 장착 후에 있어서의 수취구의 가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받침판에서 튀어오른 정제의 튀어나감 방지 커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정제 수취 용기의 바닥부의 진동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진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정제 수취 용기의 정제 안내 가이드의 진동 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진동 기구의 요부(要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정제 안내 가이드의 진동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정제 안내 가이드의 진동 기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5는 정제 안내 가이드의 진동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정제 수취 용기의 배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정제 수취 용기의 배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정제 카세트와 그 장착부를 빼내어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하는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드럼형의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정제 수취 용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2중 드럼의 산약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정제 수취 용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31은 블리스터 팩 포장을 행하는 산약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정제 수취 용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산약 불출 장치의 내부의 배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산약 불출 장치의 내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제 수취 용기를 사용하는 제1 실시예의 약제 불출 장치(1)를 나타낸다. 약제 불출 장치(1)는, 제1 정제 공급부(2)와 제2 정제 공급부(3)로 이루어지는 정제 공급 유닛(4), 산약 공급 유닛(5), 수동 산포 유닛(6), 분포 유닛(7), 정제 충전대(8), 바코드 리더(9), 제어 유닛(1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정제 공급부(2)는, 정제 카세트(11)와, 그 정제 카세트(11)를 착탈 가능한 장착부(12)로 구성되고,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6단×9열의 합계 54세트 마련되어 있다.
각 정제 카세트(1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소정의 정제를 수용하는 정제 수용부(13)가 형성된 카세트 본체(14)와, 당해 정제 수용부(13)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복수의 정제 안내 홈(15)이 형성된 로터(16)와, 그 로터(16)의 정제 안내 홈(15)을 구획하는 구획 부재(17)를 구비한 공지의 것이다. 정제 카세트(11)는, 로터(16)의 회전에 따라, 정제 수용부(13)의 정제가 정제 안내 홈(15)에 침입하고, 정제 안내 홈(15)이 카세트 본체(14)에 형성된 정제 출구(18)의 상방으로 올 때마다, 정제 안내 홈(15)의 구획 부재(17)보다 하방의 정제가 1개씩 정제 출구(18)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제 카세트(11)에는, 식별 장치로서 RFID 태그(19)가 장착되어 있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RFID 태그와 RFID 리더 라이터의 사이에서 정보를 판독 기입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자동 인식 기술이다. RFID 태그(19)에는, 정제 카세트(11)의 식별 정보, 또는 그 정제 카세트(11)에 수용되는 정제의 약종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기억부(102)에 기록된 당해 정제 카세트(11)에 관한 정보의 어드레스 등이 기입된다. 식별 장치로서는, RFID 태그 이외에, ITF(Interleaved Two of Five)와 같은 바코드도 사용할 수 있다.
각 장착부(12)는, 장치 본체(20)의 벽부(21)에 선반상으로 마련되고, 내부에 정제 카세트(11)의 로터(16)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22)와, 정제 카세트(11)의 RFID 태그(19)를 판독하는 판독 장치로서 RFID 리더 라이터(23)가 내장되어 있다. 장착부(12)에는, 정제 카세트(11)의 정제 출구(18)와 연통되는 정제 배출로(24)가 형성되어 있다. 정제 배출로(24)에는, 정제 출구(18)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검출하는 정제 검출 센서(25)가 마련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면, 제2 정제 공급부(3)는, 제1 정제 공급부(2)의 하방에 배치되고, 유니버설형의 정제 카세트(31)와, 그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가 착탈 가능한 장착부(32)로 구성되며,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1단×4열의 합계 4세트 마련되어 있다.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수용부(33)가 형성된 카세트 본체(34)와, 정제 수용부(33)의 바닥에 연직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져 마련된 제1 회전체(35a)와, 그 제1 회전체(35a)의 주위에 배치된 환상의 제2 회전체(35b)와, 높이 규제 부재(36a), 폭 규제 부재(36b)를 구비한 공지의 것이다. 유니버설 카세트(34)는, 제1 회전체(35a)의 회전에 따라, 정제 수용부(33)의 정제가 제1 회전체(35a)로부터 제2 회전체(35b)로 이동하고, 그 제2 회전체(35b) 상에서 반송되는 동안에 높이 규제 부재(36a)와 폭 규제 부재(36b)를 통과함으로써 1개씩 정렬하여 정제 출구(37)로부터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높이 규제 부재(36a)와 폭 규제 부재(36b)는, 정제 수용부(33)에 수용되는 정제의 형상, 크기에 따라 규제 치수가 조정되므로, 모든 형상·크기의 정제를 배출할 수 있다.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에는, 식별 장치로서 RFID 태그(38)가 장착되어 있다. 이 RFID 태그(38)에는,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의 식별 정보, 또는 그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에 수용되는 정제의 약종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입된다. 식별 장치로서는, RFID 태그 이외에, ITF(Interleaved Two of Five)와 같은 바코드도 사용할 수 있다.
각 장착부(32)는, 장치 본체(20)의 벽부(21)에 마련되며, 내부에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의 제1 회전체(35a)와 제2 회전체(35b)를 구동하는 구동 모터(22a, 22b)가 내장되어 있다. 장착부(32)에는,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의 정제 출구(37)와 연통되는 정제 배출로(24)가 형성되어 있다. 정제 배출로(24)에는, 정제 출구(37)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검출하는 정제 검출 센서(2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정제 공급부(2)와 제2 정제 공급부(3)의 장착부(12, 32)가 장착되는 장치 본체(20)의 벽부(21)에는, 제1 정제 공급부(2)의 장착부(12)의 정제 배출로(24)와, 제2 정제 공급부(3)의 장착부(32)의 정제 배출로(24)에 연통되는 정제 배출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장치 본체(20)의 벽부(21)의 배면에는, 제1 정제 공급부(2)의 각 열,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9열의 각각에 정제 낙하 경로(4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정제 낙하 경로(42)의 하단은 분포 유닛(7)의 안내 호퍼(43)(도 16 참조)에 들어가, 제1 정제 공급부(2)와 제2 정제 공급부(3)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분포 유닛(7)에서 포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각 정제 낙하 경로(42)는, 정제 배출구(41)를 통하여, 제1 정제 공급부(2)의 장착부(12)와 제2 정제 공급부(3)의 장착부(32)의 각 정제 배출로(24)와 연통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정제 공급부(2)의 최하위의 장착부(12)가 장착되는 장치 본체(20)의 벽부(21)에는, 후술하는 정제 수취 용기(50)의 수취구(50g)가 삽입되는 수취 용기 삽입구(44)가 형성되어 있다. 수취 용기 삽입구(44)는 정제 낙하 경로(42)와 연통되며, 정제 낙하 경로(42)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고 있다. 따라서, 최하위의 장착부(12) 및 그 주위에는, 그 장착부(12)의 정제 배출로(24) 및 정제 배출구(41)와, 그 정제 배출구(41)보다 상방의 수취 용기 삽입구(44)가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최하위의 장착부(12)에 장착된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배출된 정제가 통과하는 정제 배출구(41)와 밑에서부터 2번째의 장착부(12)에 장착된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배출된 정제가 통과하는 정제 배출구(41)의 사이에는, 수취 용기 삽입구(44)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장착부(12)에 정제 카세트(11)를 장착해도, 정제 카세트(11)의 일부가 수취 용기 삽입구(44)로부터 정제 낙하 경로(42)에 삽입되는 일은 없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정제 배출구(41)의 상방에는, 정제 낙하 경로(42)를 상방으로부터 낙하해 오는 정제가 정제 배출구(41)로부터 정제 배출로(24)에 침입하여 그 정제 배출로(24)의 경사면에서 튀어올라 낙하를 지연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튀어오름 방지 부재(45)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정제 공급부(2)의 최하위에 있는 장착부(12)의 정제 배출구(41)에 마련되는 튀어오름 방지 부재(45a)는, 상단이 벽부(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힌지(46)에 의하여 장착됨과 함께, 수취 용기 삽입구(44)를 정제 낙하 경로(42)의 내측으로부터 개폐하는 가동판(47)을 갖고 있다. 가동판(47)을 갖는 튀어오름 방지 부재(45a)는, 가동판(47)이 수취 용기 삽입구(44)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수단에 의하여 부세(付勢)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정제 공급부(2)의 최하위의 장착부(12)가 장착되는 장치 본체(20)의 벽부(21)에는, 후술하는 정제 수취 용기(5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수취 용기 검출 센서(48)가 마련되어 있다. 수취 용기 검출 센서(48)는, 정제 수취 용기(50)의 계합부(56)가 맞닿아 하방으로 이동하는 검지 로드(48a)와, 그 검지 로드(48a)의 이동을 검출하는 센서부(48b)를 구비하고 있다.
도 1로 되돌아가면, 산약 공급 유닛(5)은, 2개소의 투입부(5a)로부터 투입되는 산약을 도시하지 않은 환상 홈을 갖는 원반 상에 균일하게 전개하고, 소정 각도씩 긁어내어 분포 유닛(7)에 공급하여, 소정의 복용 시기마다 분포하는 공지의 것이다.
수동 산포 유닛(6)은, 다수의 칸형상의 수동 산포부(6a)에 정제를 수용하고, 각 칸의 바닥을 개방하여 분포 유닛에 공급하여, 소정의 복용 시기마다 분포하는 공지의 것이다.
분포 유닛(7)은, 제1 정제 공급부(2)와 제2 정제 공급부(3)로 이루어지는 정제 공급 유닛(4), 산약 공급 유닛(5), 수동 산포 유닛(6)으로부터 공급되는 정제를 복용 시기마다 약포 시트로 포장하는 공지의 것이다.
정제 충전대(8)는, 장치 본체(20)의 정면에 마련되며, 정제 카세트(11)나, 유니버설 카세트(31), 정제 수취 용기(50)를 재치할 수 있다. 정제 충전대(8)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독 장치로서 RFID 리더 라이터(49)를 구비하고 있다. RFID 리더 라이터(49)는, 정제 카세트(11)의 RFID 태그(19)와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의 RFID 태그(38)에 기입되어 있는 정제 카세트(11)와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의 식별 정보 또는, 그 정제 카세트(11)와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에 수용되는 정제의 약종 식별 정보 등을 판독하거나, 혹은 재기입할 수 있음과 함께, 정제 수취 용기(50)의 RFID 태그(54)에, 코드 번호, 재고 조사 대상의 약제를 기입하거나, 혹은 재기입할 수 있다.
바코드 리더(9)는, 정제 충전대(8)의 상방의 장치 본체(20)의 정면에 마련되며, 약제 케이스나 약병의 바코드 외에, 수취 용기 판독 장치로서 정제 수취 용기(50)의 바코드(53)를 판독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은,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이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유닛(10)은, 제어부(101), 기억부(102), 표시부(103), 키보드 등의 입력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유닛(10)은, 정제 카세트(11)의 장착부(12)에 마련된 구동 모터(22),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31)의 장착부(32)에 마련된 구동 모터(22a, 22b), 정제 검출 센서(25), RFID 리더 라이터(23), 수취 용기 검출 센서(48), 바코드 리더(9), RFID 리더 라이터(49)와 협동하여, 정제 공급 유닛(4), 산약 공급 유닛(5), 수동 산포 유닛(6)을 제어하여 정제 및 산약을 분포 유닛(7)에 공급하는 약제 공급 처리와, 공급된 약제를 복용 시기 단위로 포장하는 약제 포장 처리와, 정제 공급 유닛(4)에 잔류되는 정제를 카운트하여 재고 조사를 행하는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도 6~10을 참조하여, 약제 불출 장치(1)의 재고 조사 시에 사용되는 제1 실시형태의 정제 수취 용기(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수취 용기(50)는, 상방에 개구부(50a)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용기이며, 정제 카세트(11)와 동일하게 하여 장착부(12)에 장착 가능한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정제 수취 용기(50)는, 장착부(12)에 정제 카세트(11)와 교환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정제 수취 용기(50)는, 바닥부(50b)와, 장착부(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앞측에 위치하는 정면부(50c)와, 안측에 위치하는 배면부(50d)와, 좌우측에 위치하는 좌측면부(50e) 및 우측면부(50f)를 갖고, 이들에 의하여 정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구성되어 있다.
정제 수취 용기(50)의 배면부(50d)는, 개구부(50a)와 연속하는 수취구(50g)를 구비하고 있다. 수취구(50g)는, 정제 수취 용기(50)를 장착부(12)에 설치했을 때에, 장치 본체(20)의 수취 용기 삽입구(44)를 통하여 정제 낙하 경로(42)에 삽입된다. 수취구(50g)의 폭은, 개구부(50a)의 폭보다 좁고, 장치 본체(20)의 벽부(21)의 수취 용기 삽입구(44)에 삽입 가능한 치수를 갖지만, 수취 용기 삽입구(44)에 삽입되었을 때에 정제 낙하 경로(42)의 내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정제가 들어가지 않는 치수로 되어 있다. 수취구(50g)의 돌출 길이는, 정제 낙하 경로(42)의 안길이 치수보다 작지만, 수취 용기 삽입구(44)에 삽입되었을 때에, 정제 낙하 경로(42)의 내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정제가 들어가지 않는 치수로 되어 있다. 수취구(50g)의 바닥부는, 수취구(50g)의 선단으로부터 개구부(50a)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수취 용기(50)의 내부에는, 수취구(50g)의 바닥부로부터, 정제 수취 용기(50)의 내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14.0~18.0도, 바람직하게는 16.0도의 각도 α로 경사지고, 정면부(50c)까지 뻗는 정제 안내 가이드(51)가 마련되어 있다. 정제 안내 가이드(5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부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폭이 좁게 형성됨과 함께,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와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위로 볼록한 곡면, 바람직하게는 반경 R(실시예에서는 80mm)의 원호로 형성되며, 양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정제 수취 용기(50)의 바닥부(50a)에는, 낙하구(50h)가 형성됨과 함께, 그 낙하구(50h)를 개폐하는 셔터(52)가 마련되어 있다. 셔터(52)는, 우측면부(50f)로부터 손잡이(52a)를 잡아 빼내어 낙하구(50h)를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정제 수취 용기(50)에는, 정면부(50c)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코드(53)가 마련됨과 함께, 바닥부(50a)에 도 7에 나타내는 RFID 태그(54)가 부착되어 있다. 바코드(53)는, 정제 수취 용기(50)의 식별 정보로서 코드 번호, 정제 카세트(11)의 식별 정보, 정제 카세트(11)에 수용되는 정제의 약종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록되어 있다. RFID 태그(54)에는, 정제 수취 용기(50)의 식별 정보, 또는 그 정제 수취 용기(50)가 수취하는 정제의 약종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혹은 기억부(102)에 기록된 당해 정제 수취 용기(50)가 수취하는 정제의 약종 식별 정보의 어드레스 등이 기입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수취 용기(50)의 바닥부(50a)는, 정제 카세트(11)의 개구부에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55)가 마련되어 있다. 정제 수취 용기(50)의 배면부(50d)에는, 정제 수취 용기(50)를 장착부(12)에 장착했을 때에, 수취 용기 검출 센서(48)의 검지 로드(48a)가 계합하는 계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2)에 정제 카세트(11)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는, 각 정제 카세트(11)의 정제 출구(18)로부터, 장착대(12)의 정제 배출로(24), 정제 배출구(41), 정제 낙하 경로(42), 분포 유닛(7)에 이르는 정제 분포 경로(40A)가 형성된다. 정제 수취 용기(50)가 장착부(12)에 설치되고, 수취구(50g)가 장치 본체(20)의 수취 용기 삽입구(44)를 통하여 정제 낙하 경로(42)에 삽입되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정제 카세트(11)의 정제 출구(18)로부터, 장착대(12)의 정제 배출로(24), 정제 배출구(41), 정제 낙하 경로(42), 정제 수취 용기(50)의 수취구(50g), 정제 수취 용기(50)의 내부에 이르는 정제 수취 경로(40B)가 형성된다. 정제 수취 용기(50)는, 장착부(12)에 정제 카세트(11)와 교환하여 장착되므로, 특별한 설치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정제 수취 용기(50)를 장착부(12)에 설치했을 때에 수취구(5g)가 정제 낙하 경로(42)에 삽입되어, 정제 수취 경로(40B)가 형성되므로, 특별한 배출 경로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도 6~도 10에 나타내는 정제 수취 용기(50)는, 재고 조사 처리에 사용하는 전용 용기이지만, 기존의 정제 카세트(11)에 수취구를 장착한 것이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정제 카세트(11)에 수취구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정제 수취 용기로 할 수 있으므로, 이 정제 수취 용기를 정제 카세트(11)와 동일하게 장착부(12)에 장착할 수 있어, 특별한 정제 수취 용기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약제 불출 장치(1)의 재고 조사 처리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에서는, 정제 카세트(11)의 정제를 정제 카운터로 옮기지 않고, 약제 불출 장치(1)의 정제 카운트 기능을 이용하여 재고 조사할 수 있다.
먼저, 유저는, 정제 수취 용기(50)를 정제 충전대(8)에 설치하고, 제어 유닛(10)의 표시부(103)에 표시되어 있는 재고 조사 키를 온(ON)한 후,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재고 조사 정제 카세트 선택 화면을 보고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를 선택한다. 이 경우, 각 열의 어느 하나, 예를 들면 가장 위의 정제 카세트를 선택해도 되고, 각 열의 모든 정제 카세트를 선택해도 된다. 선택된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식별 정보(코드 번호)와 당해 정제 카세트(11)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의 약종 식별 정보는 미리 기억부(102)에 기억되어 있다.
제어 유닛(10)의 제어부(101)는, 도 11에 나타내는 스텝 101에서, 정제 충전대(8)에 재치된 정제 수취 용기(50)의 RFID 태그(54)를 RFID 리더 라이터(49)로 판독시켜, RFID 태그(54)에 기입된 정제 수취 용기(50)의 식별 정보(코드 번호)를 RFID 리더 라이터(49)가 판독함으로써, 정제 충전대(8)에 정제 수취 용기가 재치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 스텝 102에서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가 선택된 것을 판단하면, 스텝 103에서 정제 수취 용기(50)의 RFID 태그(54)에, 당해 정제 수취 용기(50)의 코드 번호에,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에 수용된 재고 조사 약제의 약종 식별 정보를 연결시켜, 기입함과 함께, 스텝 104에서 정제 수취 용기(50)의 코드 번호와 재고 조사 약제의 약종 식별 정보를 연결시켜 기억부(102)에 기억한다.
다음으로, 유저는 정제 카세트(11) 중, 선택된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열의 최하단의 장착부(12)에 장착된 정제 카세트(11)를 분리하여, 정제 수취 용기(50)와 교환한다. 이때, 정제 수취 용기(50)의 수취구(50g)는, 장치 본체(20)의 수취 용기 삽입구(44)로부터 가동판(47)을 압압하여, 정제 낙하 경로(42)에 진입한다. 이로써, 각 정제 카세트(11)의 정제 출구(18)로부터, 장착대(12)의 정제 배출로(24), 정제 배출구(41), 정제 낙하 경로(42), 정제 수취 용기(50)의 수취구(50g), 정제 수취 용기(50)의 내부에 이르는 정제 수취 경로(40B)가 형성되므로, 각 정제 카세트(11)의 정제를 정제 수취 용기(50)로 수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 유닛(10)의 제어부(101)는, 스텝 105에서, 장치 본체(20)의 수취 용기 검출 센서(4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정제 수취 용기(50)가 장착된 것을 판단하면, 스텝 106에서, RFID 리더 라이터(23)에 장착부(12)에 장착된 정제 수취 용기(50)의 RFID 태그(54)의 코드 번호를 판독시키고, 스텝 107에서 코드 번호와 연결된 약종 식별 정보와,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에 수용된 재고 조사 약제의 약종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아닌지에 의하여,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열에 정제 수취 용기(50)가 올바르게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정제 수취 용기(50)가 올바르게 장착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 유닛(10)의 제어부(101)는, 정제 카운트 모드로 이행한다. 정제 카운트 모드에서는, 스텝 108에서,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가 장착된 장착부(12)의 구동 모터(22)를 구동하고,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정제 출구(18)로부터 정제를 배출함과 함께, 스텝 109에서, 정제 검출 센서(25)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정제 출구(18)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검출하며, 스텝 110에서, 정제 수를 기억부(102)에 기억한다.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1) 로터(16)의 정제 불출 동작의 개시 시에 로터(16)를 역전시키고 나서 통상의 불출 동작으로 이행한다, (2) 2정 등 일정 수의 배출을 검지하면 역전시킨다, (3) 구동 모터(22)의 구동축이 일정 각도 회전하면 역전시킨다, (4) 로터(16)에 자석 등 검출자를 마련하여, 로터(16)가 일정 각도 회전하면 역전시킨다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정제 출구(18)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는, 장착부(12)의 정제 배출로(24)를 통과하여 정제 낙하 경로(42)를 낙하하고, 정제 수취 용기(50)의 수취구(50g)로부터 정제 수취 용기(50)에 들어간다. 정제 수취 용기(50)에 들어간 정제는, 정제 안내 가이드(51)를 미끄러져 떨어진다. 정제 안내 가이드(51)는, 중간부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폭이 좁게 형성됨과 함께, 양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정제 안내 가이드(51)를 미끄러져 떨어지는 정제는, 양측으로 낙하하여, 정제 수취 용기(50)의 바닥부(50a)에 균일하게 저류된다.
제어 유닛(10)의 제어부(101)는, 스텝 111에서, 정제 검출 센서(25)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정제의 배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112에서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가 장착된 장착부(12)의 구동 모터(22)를 정지한다. 정제의 배출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는, (1) 정제 검출 센서(25)가 온되지 않고, 로터(16) 또는 구동 모터(22)가 일정 시간 회전한 것, 혹은 (2) 정제 검출 센서(25)가 온되지 않고, 일정 각도 로터(16) 또는 구동 모터(22)가 회전한 것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다.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정제의 배출이 완료되면, 유저는,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를 장착부(12)로부터 분리하여 정제 충전대(8)에 설치한 후, 정제 수취 용기(50)를 장착부(12)로부터 분리하여 정제 수취 용기(50)의 바코드(53)를 바코드 리더(9)로 스캔한다.
제어 유닛(10)의 제어부(101)는, 도 12에 나타내는 스텝 113에서, RFID 리더 라이터(49)에 정제 충전대(8)에 재치된 정제 카세트(11)의 RFID 태그(19)를 판독시켜,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가 정제 충전대(8)에 재치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 스텝 114에서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RFID 태그(19)의 약종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재고 조사 대상의 약제를 인식하며, 스텝 115에서, 바코드 리더(9)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정제 수취 용기(50)의 바코드(53)에 기재된 정제 수취 용기(50)의 코드 번호를 인식한다. 제어 유닛(10)의 제어부(101)는, 스텝 116에서, 기억부(102)에 기억된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약종 식별 정보와, 바코드 리더(9)로 판독한 정제 수취 용기(50)의 코드 번호와 연결된 약종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지 아닌지 조회하고, 스텝 117에서 표시부(103)에 조회 OK와 투입 허가의 표시를 행하여, 유저에게 통지하며, 스텝 118에서 정제와 그 정제 수를 확정하고, 스텝 101로 되돌아가, 다음의 재고 조사 대상의 재고 조사 처리로 이행한다.
조회 OK가 되면, 유저는, 정제 수취 용기(50)의 정제를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에 투입하여 되돌린다. 이때, 정제를 수취한 정제 수취 용기(50)를 정제 카세트(11)에 재치하고, 셔터(52)를 빼내어 낙하구(50h)를 개방함으로써, 정제를 한 번에 남김 없이 신속하게 정제 카세트(11)로 되돌릴 수 있다. 정제 수취 용기(50)는, 정제 카세트(11)의 개구부에 계합하는 가이드(55)를 가지므로, 기울거지나 어긋나지 않고 정제 카세트(11)에 확실하게 재치되어, 정제가 넘쳐 떨어질 우려가 없다. 계속해서, 유저는, 정제 수취 용기(50)로부터 정제가 되돌려진 정제 카세트(11)를 장착대(12)에 장착하여, 최초의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재고 조사를 종료하고, 동일한 수순으로, 다음의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재고 조사를 개시한다.
또한,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로서 모든 단의 정제 카세트(11)를 선택한 경우는, 정제 수취 용기(50)를 장착대(12)로 되돌리는 것만으로, 다음의 재고 조사 대상의 재고 조사 처리가 개시된다. 처음에 정제 수취 용기(50)와 교환하여 분리된 정제 카세트(11)는, 재고 조사 처리가 종료된 어느 하나의 정제 카세트(11)와 교환하여 장착대(12)에 장착함으로써,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카운트가 완료된 정제와 미완료의 정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13의 재고 조사 정제 카세트 선택 화면에 있어서, 카운트가 완료된 정제의 표시 부분의 색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카운트가 완료된 정제와 미완료의 정제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재고 조사 미스나 재작업을 예방할 수 있다. 또, 카운트 중인 정제를 점멸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정제 수취 용기(50)를 최하단의 장착부(12)에 장착하면, 자동적으로 동일 열의 카운트 미완료의 정제가 수용된 정제 카세트(11)로부터 정제를 불출하여 카운트를 개시하도록 해도 된다.
정제 수취 용기와 정제 카세트의 조회를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수취 용기(50)에 바코드(53)를 마련하고 있지만, 이 바코드(53)는 없어도 된다. 이 경우, 정제 충전대(8)에 정제 수취 용기(50)를 재치하여 코드 번호를 판독한 후, 정제 수취 용기(50)와 교체하여 정제 카세트(11)를 설치하여 약종 식별 정보를 판독하고, 코드 번호와 연결된 약종 식별 정보를 기억부(102)에서 검색하여, 양방의 약종 식별 정보를 조회한다. 또한, RFID 리더 라이터(49)가 정제 수취 용기(50)용과 정제 카세트(11)용의 2대가 있으면, 양자를 교체할 필요는 없다.
반대로, 정제 수취 용기(50)에 RFID 태그를 마련하지 않고, 코드 번호를 기록한 바코드(53)만을 마련하고, 정제 카세트(11)에도 바코드(53)만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정제 수취 용기(50)의 바코드(53)의 코드 번호와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약종 식별 정보를 연결하여 기억부(102)에 기억해 둔다. 정제 수취 용기(50)의 코드 번호로부터 검색한 약종 식별 정보와 정제 카세트(11)의 바코드(53)의 약종 식별 정보를 조회한다
또, 정제 수취 용기(50)는, 특정의 약종 전용으로 하고, RFID 태그(54) 또는 바코드(53)에 약종 식별 정보를 기입해 둘 수 있다. 이 경우, 정제 수취 용기(50)의 RFID 태그(54) 또는 바코드(53)에 복수의 약종 식별 정보를 기입하고, 재고 조사마다 복수의 약종 식별 정보로부터 특정의 약종 식별 정보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정제 수취 용기(50)는, 특정의 정제 카세트 전용으로 하고, RFID 태그(54) 또는 바코드(53)에 정제 카세트 식별 정보를 기입해 둘 수 있다. 이 경우, 정제 수취 용기(50)의 RFID 태그(54) 또는 바코드(53)에 복수의 정제 카세트 식별 정보를 기입하고, 재고 조사마다 복수의 정제 카세트 식별 정보로부터 특정의 정제 카세트 식별 정보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에서는, 정제 수취 용기(50)를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정제 수취 경로(40B)가 형성되고, 약제 불출 장치(1) 자체의 정제 카운트 기능에 의하여,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별도 정제 계수 장치를 구비하거나, 그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에서는, 장착부(12)에 정제 카세트(11)가 장착되면, 당해 정제 카세트(11)로부터 정제를 정제 낙하 경로(42)로 배출하고, 장착부(12)에 정제 수취 용기(50)가 장착되면, 당해 장착부(12)보다 위에 있는 장착부(12)에 장착된 정제 카세트(11)로부터 정제 낙하 경로(42)로 배출되는 정제를 정제 수취 용기(50)에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장착부(12)에서, 정제 카세트(11)로부터 정제를 불출하여 분포할 수 있음과 함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정제를 정제 수취 용기(50)로 수취할 수도 있다.
또한, 장착부(12)에 정제 수취 용기(50)가 장착되면, 당해 장착부(12)보다 위에 있는 장착부(12)에 장착된 정제 카세트(11)로부터 정제 낙하 경로(42)로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처가, 분포 유닛(7)으로부터 정제 수취 용기(50)로 전환되므로, 정제 수취 용기(50)로 정제를 수취하기 위한 특별한 경로나 스페이스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수취 용기 검출 센서(48)가 장착부(12)에 정제 수취 용기(50)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면, 정제 낙하 경로(42)로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처가, 분포 유닛(7)으로부터 정제 수취 용기(50)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정제 수취 용기(50)를 장착하는 것만으로, 정제 분포 경로(40A)로부터 정제 수취 경로(40B)로 전환할 수 있어, 경로 전환을 위한 특별한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전술한 약제 불출 장치(1)의 재고 조사 처리 및 동작의 실시형태에서는, 재고 조사 키의 온에 의하여, 재고 조사 정제 카세트 선택 화면을 표시했지만, 장착부(12)에 정제 수취 용기(50)가 장착된 것을 검지하여, 재고 조사 정제 카세트 선택 화면을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장착된 열에 배치되어 있는 정제 카세트(11)만을 표시하면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수취 용기(50)의 RFID 태그(54)에 당해 정제 수취 용기(50)의 코드 번호와,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에 수용된 재고 조사 약제의 약종 식별 정보를 기입하도록 했지만, 이와 같이 기입하지 않아도 되고, 정제 수취 용기(50)의 식별 정보(코드 정보)를 RFID 리더 라이터(49)로 판독하여, 재고 조사 정제와 코드 정보를 연결하여 기억부(102)에 기억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약제 불출 장치(1)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열의 복수 단의 정제 카세트(11)에 대하여 동시에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3단째와 6단째의 정제 카세트(11)를 분리하여, 각각 제1 정제 수취 용기(50U), 제2 정제 수취 용기(50L)를 장착한다. 제1 정제 수취 용기(50U)는, 1단부터 3단의 정제 카세트의 정제의 재고 조사 처리를 순서대로 행하고, 제2 정제 수취 용기(50L)는, 4단부터 6단의 정제 카세트의 정제의 재고 조사 처리를 순서대로 행한다. 즉, 1단째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3단째의 제1 정제 수취 용기(50U)에 정제를 배출하고, 4단째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6단째의 제2 정제 수취 용기(50L)에 정제를 배출하여, 1단째와 4단째의 정제 카세트(11)의 재고 조사 처리를 한다. 계속해서, 2단째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3단째의 제1 정제 수취 용기(50U)에 정제를 배출하고, 5단째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6단째의 제2 정제 수취 용기(50L)에 정제를 배출하여, 2단째와 5단째의 정제 카세트(11)의 재고 조사 처리를 한다. 또한, 분리한 3단째의 정제 카세트(11)를 1단째에 장착하여(1단째의 정제 카세트(11)와 교체한다) 3단째의 제1 정제 수취 용기(50U)에 정제를 배출하고, 동일하게 분리한 6단째의 정제 카세트(11)를 4단째에 장착하여(4단째의 정제 카세트(11)와 교체한다) 3단째의 제2 정제 수취 용기(50L)에 정제를 배출하여, 3단째와 6단째의 정제 카세트(11)의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재고 조사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정제 수취 용기(50U)와 제2 정제 수취 용기(50L)의 장착 위치는, 상기와 같이 3단째와 6단째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열의 정제 카세트(11)에 대하여 동시에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15의 실시예에서는, A열과 B열의 6단째의 정제 카세트(11)를 분리하여, 각각 제1 정제 수취 용기(50A), 제2 정제 수취 용기(50B)를 장착한다. 제1 정제 수취 용기(50A)는, A열의 1단부터 6단의 정제 카세트(11)의 정제의 재고 조사 처리를 순서대로 행하고, 제2 정제 수취 용기는, B열의 1단부터 6단의 정제 카세트(1)의 정제의 재고 조사 처리를 순서대로 행한다.
즉, A열의 1단째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6단째의 정제 수취 용기(50A)에 정제를 배출하고, B열의 1단째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6단째의 정제 수취 용기(50B)에 정제를 배출하여, A열과 B열의 1단째의 정제 카세트(11)의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한다. 계속해서, A열의 2단째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6단째의 정제 수취 용기(50A)에 정제를 배출하고, B열의 2단째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6단째의 정제 수취 용기(50B)에 정제를 배출하여, A열과 B열의 2단째의 정제 카세트(11)의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한다. 이것을 5단째까지 반복한다. 다음으로, 분리한 6단째의 정제 카세트(11)를 1단째에 장착하여(1단째의 정제 카세트(11)와 교체한다) 6단째의 정제 수취 용기(50A)에 정제를 배출하고, 분리한 6단째의 정제 카세트(11)를 1단째에 장착하여(1단째의 정제 카세트(11)와 교체한다) 6단째의 정제 수취 용기(50B)에 정제를 배출하여, A열과 B열의 6단째의 정제 카세트(11)의 재고 조사 처리를 한다. 동일하게 하여, B열과 C열의 정제 카세트의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하고, 이것을 반복하여, A부터 I열까지의 정제 카세트의 재고 조사 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재고 조사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재고 조사 처리하는 열의 수 및 순서는, 상기 실시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의 정제 수취 용기(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정제 수취 용기(60)는, 수취구 가동 기구와 진동 기구를 마련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형태의 정제 수취 용기(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수취구의 가동 기구>
도 2에 있어서, 정제 수취 용기(50)의 수취구(50g)의 바닥의 경사가 완만하면,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불출되어 수취구(50g)의 바닥에 닿은 정제가 힘차게 정제 수취 용기(50) 내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정제 수취 용기(50)의 입구에서 막힐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정제 수취 용기(50)의 수취구(50g)를 가동으로 하여, 정제를 수취할 때에 수취구(50g)의 바닥의 경사 각도를 가파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은, 가동 기구를 갖는 수취구(50g)를 구비한 정제 수취 용기(60)이다. 수취구(50g)의 가동 기구는, 지지부(61)와, 당해 지지부(6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받침판(62)과, 판 스프링(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61)는, 정제 수취 용기(60)의 배면부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절결(60a)의 아래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양측단에 한 쌍의 베어링부(61a)와, 절결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기립하는 기립편(61b)을 갖고 있다. 지지부(61)에는, 후술하는 판 스프링(63)의 일단이 삽입 지지되는 홈(61c)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61a)에는, 축 구멍(61d)이 형성되어 있다. 기립편(61b)에는 정제 안내 가이드(51)의 일단 측단의 지지 돌기(51a)가 계합하는 지지구멍(61e)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판(62)은, 상부(62a)와, 하부(62b)와, 선단부(62c)와, 양측부(62d, 62e)와, 상부(62a)의 내면으로부터 선단부(62c)로 뻗는 복수의 리브(62f)로 구성되고, 상방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양측부(62d, 62e)의 일단에는, 축부(62g)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브(62f)와 하부(62b)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판 스프링(63)이 삽입되는 간극(62h)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판(62)은, 축부(62g)가 지지부(61)의 축 구멍(61d)에 감합함으로써, 축부(62g)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판 스프링(63)은, 일단이 지지부(61)의 홈(61c)에 지지되고, 타단이 받침판(62)의 간극(62h)에 삽입 지지되어 받침판(62)을 대략 수평인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또, 판 스프링(63)은, 받침판(62)이 상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받침판(62)을 하향으로 부세하게 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63) 대신에, 코일 스프링을 사용해도 된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수취 용기(60)를 소정의 장착부(62)에 장착하기 전은, 정제 수취 용기(60)의 수취구(50g)의 받침판(62)은 경사가 완만한 상태로 되어 있고, 수취 용기 삽입구(44)보다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수취 용기(60)를 장착부(62)에 재치하여 앞으로 누르면, 튀어오름 방지 부재(45a)를 눌러 받침판(62)이 수취 용기 삽입구(44)에 삽입된다. 정제 수취 용기(60)를 더 밀어 넣으면, 받침판(62)의 선단이 정제 낙하 경로(42)에 닿고, 그 반력으로 판 스프링(63)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 경사각이 가팔라진다. 받침판(62)은 판 스프링(63)에 의하여 정제 낙하 경로(42)에 닿은 상태로 되기 때문에, 간극은 생기지 않는다. 또, 받침판(62)의 경사가 가파르기 때문에, 상방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불출되는 정제가 받침판(62)에 닿아 힘차게 정제 수취 용기(60) 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정제 수취 용기(60)의 입구에서 정제가 막히는 일은 없다. 정제 수취 용기(60)를 장착부(62)로부터 분리하면, 받침판(62)은 판 스프링(63)의 부세력에 의하여 경사가 완만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힘차게 정제 수취 용기(60) 내로 들어온 정제는 정제 수취 용기(60)의 정면부(50c)의 벽에 충돌하여, 충격음이 발생한다. 그래서, 이 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정제 수취 용기(60)의 정면부(50c)의 내측에 완충판(50i)을 마련함으로써 충격음을 저감시킨다. 정면부(50c)의 벽과 완충판(50i)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충격음을 저감시켜도 된다.
<정제의 튀어나감 방지 기구>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수취 용기(60)의 받침판(62)에 닿은 정제는 정제 수취 용기(60) 내로 들어가지지 않고, 상방으로 튀어올라 상방의 정제 배출구(41)로 들어가고, 정제 카세트(11)가 없는 경우는, 정제 배출로(24)로부터 외부로 튀어나갈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정제를 카운트하기 전에, 정제 배출 용기(60)를 장착한 장착부(12)의 하나 위의 장착부(12)에 정제 카세트(11)가 있는지 없는지를 RFID 리더 라이터(23)에 의하여 판단하고, 정제 카세트(12)가 없는 경우는 정제 카세트(12) 또는 튀어나감 방지 커버(64)를 장착하도록 유저에게 촉구한다. 튀어나감 방지 커버(64)는, 정제 카세트(11)와 동일하게 장착부(12)에 장착할 수 있는 베이스부(64a)와, 정제 배출로(24)를 폐색하는 수단인 폐색부(64b)를 갖는다. 정제 배출 용기(60)를 장착한 장착부(12)의 하나 위의 장착부(12)에 정제 카세트(11) 또는 튀어나감 방지 커버(64)를 장착함으로써, 받침판(62)에서 튀어오른 정제가 상방의 정제 배출구(41)로부터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제 수취 용기의 진동 기구>
정제 수취 용기(60)로 배출되는 정제 간의 간극이나 정제가 겹쳐 쌓이는 방법에 따라서는, 정제 수취 용기(60)의 수용 가능량까지 정제를 수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 정제 안내 가이드(51) 위에 정제가 모여, 수취구(50g)가 막히는 경우가 있었다.
도 19는, 바닥부(50b)를 진동시키는 진동 기구를 구비한 정제 수취 용기(60)이다. 진동 기구는, 기어(65)와, 가동 블록(66)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65)는, 캠(67)과 일체로 형성되며, 정제 수취 용기(60)의 바닥부(50b)에 축(65a)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캠(67)의 외주면은, 기어(65)의 축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점차 증대하는 캠면(67a)과, 최소 반경 위치와 최대 반경 위치 사이의 단부(67b)로 이루어져 있다. 기어(65)는, 정제 수취 용기(60)를 장착부(12)에 장착했을 때에 장착부(12)의 구동 모터(22)의 구동 기어(22a)와 맞물리고, 구동 모터(22)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정제 카세트(11)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정제 수취 용기(60)에 진동 기구의 동력원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가동 블록(66)은, 정제 수취 용기(60)의 바닥부(50b)의 외면에 축(66a)의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가동 블록(66)에는, 정제 수취 용기(60)의 바닥부(50b)에 형성된 충격 흡수부(68)에 맞닿음 가능한 충격부(66b)와, 캠(67)의 캠면(67a)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슬라이딩부(66c)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블록(66)은, 축(66a)에 비틀림 스프링(69)이 장착되고, 비틀림 스프링(69)의 일단은, 정제 수취 용기(60)의 바닥부(50b)에 형성된 돌기부(70)에 계합하며, 타단은 가동 블록(66)에 계합하여, 충격부(66b)가 충격 흡수부(68)에 맞닿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정제 수취 용기(60)를 장착부(12)에 장착하고, 당해 장착부(12)보다 상방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정제를 배출하여 카운트하고 있는 동안, 정제 수취 용기(60)를 장착한 장착부(12)의 구동 모터(22)를 구동한다. 구동 모터(22)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 기어(22a)와 맞물리는 기어(65)를 개재하여 캠(67)이 회전한다. 가동 블록(66)의 슬라이딩부(66c)가 캠(67)의 캠면(67a)을 최소 반경부로부터 최대 반경부를 향하여 슬라이딩함에 따라, 가동 블록(66)은 충격부(66b)가 충격 흡수부(6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가동 블록(66)의 슬라이딩부(66c)가 캠면(67a)의 최대 반경부로부터 단부(67b)를 타넘어, 최소 반경부로 옮겨감과 동시에, 가동 블록(66)의 충격부(66b)가 충격 흡수부(68)에 충돌하여, 정제 수취 용기(60)의 바닥부(50b)에 충격을 준다. 캠(67)이 1회전할 때마다, 가동 블록(66)의 충격부(66b)가 충격 흡수부(68)에 충격을 주는 결과, 정제 수취 용기(60)에 주기적으로 진동이 주어진다. 이 결과, 정제 수취 용기(60)로 배출되는 정제 간의 간극이 매워지고, 정제가 조밀하게 겹쳐 쌓여, 정제 수취 용기(60)의 수용 가능량까지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또, 바닥부(50b)의 진동이 정제 안내 가이드(51)에 전동하여, 정제 안내 가이드(51) 상의 정제를 바닥으로 낙하시키므로, 정제 안내 가이드(51)에 정제가 모여 수취구(50g)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정제 안내 가이드(51)를 진동시키는 진동 기구를 구비한 정제 수취 용기(60)를 나타낸다.
도 22,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안내 가이드(51)는, 일단 양측에 마련한 지지 돌기(51a)가 수취구(50g)의 지지부(61)의 기립편(61b)에 형성된 지지구멍(61e)에 계합하고, 타단은 정제 수취 용기(60)의 바닥부(50b) 내면에 마련된 지주(71)에 지지되어, 정제 수취 용기(60)의 수취구(50g)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지주(71)에는, 후술하는 푸시 업 로드(76)가 삽입되는 로드 삽입 구멍(71a)이 바닥부(50b)의 관통 구멍(7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지주(71)에는, 정제 안내 가이드(51)의 하단의 절결(51b)이 계합하는 계합부(71b)가 마련되어 있다.
진동 기구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73)와, 가동 블록(74)과, 커버(75)와, 푸시 업 로드(76)로 구성되어 있다.
기어(73)는, 캠(77)과 일체로 형성되며, 정제 수취 용기(60)의 바닥부(50b)의 외면에 축(73a)의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캠(77)의 외주면은, 기어(73)의 축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점차 증대하는 캠면(77a)과, 최소 반경 위치와 최대 반경 위치 사이의 단부(77b)로 이루어져 있다. 기어(73)는, 정제 수취 용기(60)를 장착부(12)에 장착했을 때에 장착부(12)의 구동 모터(22)의 구동 기어(22a)와 맞물리고, 구동 모터(22)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정제 수취 용기(60)에 진동 기구의 동력원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가동 블록(74)은, 가늘고 긴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는 기부(74a)와, 당해 기부(74a)의 일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슬라이딩부(74b)와, 기부(74a)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2개의 탄성편(74c)과, 기부(74a)의 상면으로 돌출하는 돌기부(74d)를 갖고 있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블록(74)은, 기부(74a)가 후술하는 커버(75)에 형성된 2개의 가이드(75a)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탄성편(74c)의 선단이 정제 수취 용기(60)의 바닥부(50b)에 형성된 지지부(78)에 지지되며, 슬라이딩부(74b)가 캠(77)의 캠면(77a)에 맞닿아 있다. 돌기부(74d)는, 슬라이딩부(74b)를 향하여 내리막 구배로 기부(74a)의 이동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74e)을 갖고 있다. 탄성편(74b)과, 이 탄성편(74b)의 선단을 지지하는 지지부(78)의 사이에는, 탄성편(74c)의 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75)는, 가동 블록(74)을 덮도록 정제 수취 용기(60)의 바닥부(50b)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75)에는, 가동 블록(74)의 기부(74a)를 안내하는 2개의 가이드(75a)가 형성되어 있다.
푸시 업 로드(76)는, 정제 수취 용기(60)의 바닥부(50g)에 마련된 관통 구멍(72)으로부터 지주(71)의 로드 관통 구멍(71a)에 삽입되어 있다. 푸시 업 로드(76)의 상단은 정제 안내 가이드(51)의 하면과 대향하고, 하단은 가동 블록(74)의 돌기부(74d)와 대향하고 있다.
정제 수취 용기(60)를 장착부(12)에 장착하고, 당해 장착부(12)보다 상방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정제를 배출하여 카운트하고 있는 동안, 정제 수취 용기(60)를 장착한 장착부(12)의 구동 모터(22)를 구동한다.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모터(11)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 기어(22a)와 맞물리는 기어(73)를 개재하여 캠(77)이 회전한다. 가동 블록(74)의 슬라이딩부(74b)가 캠(77)의 캠면(77a)을 최소 반경부로부터 최대 반경부를 향하여 슬라이딩함에 따라, 가동 블록(74)은 돌기부(74d)가 캠(7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탄성편(74b)이 변형한다. 가동 블록(74)의 돌기부(74d)와 접촉하는 푸시 업 로드(76)의 하단은, 돌기부(74d)의 경사면(74d)의 하단까지 이동하여, 상단은 정제 안내 가이드(51)로부터 멀어진다.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블록(74)의 슬라이딩부(74b)가 캠면(77a)의 최대 반경부로부터 단부(77b)를 타넘어, 최소 반경부로 옮겨감과 동시에, 가동 블록(74)은, 탄성편(77c)의 부세력에 의하여, 돌기부(74d)가 캠(7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푸시 업 로드(76)의 하단은 가동 블록(74)의 돌기부(74d)의 경사면(74e)으로 밀려 올라가, 상단은 정제 안내 가이드(51)를 밀어 올려 충격을 준다. 캠(77)이 1회전할 때마다, 가동 블록(74)의 푸시 업 로드(76)가 정제 안내 가이드(51)에 충격을 주는 결과, 정제 안내 가이드(51) 상의 정제를 바닥으로 낙하시키므로, 정제 안내 가이드(51)에 정제가 모여 수취구(50g)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정제 안내 가이드(51)의 진동이 지주(71)에 전동하여, 정제 수취 용기(60)에 주기적으로 진동이 주어진다. 이 결과, 정제 수취 용기(60)로 배출되는 정제 간의 간극이 매워지고, 정제가 조밀하게 겹쳐 쌓여, 정제 수취 용기(60)의 수용 가능량까지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
진동 기구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정제 수취 용기(60) 또는 정제 안내 가이드(51)의 진동에 의하여 두드리는 소리가 발생하여, 유저에게 불쾌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장착 높이와 당해 정제 카세트(11)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의 형상에 따라, 진동의 유무, 진동 간격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정제 배출 용기(60)를 정제 공급부(2)의 1단째에 장착한 경우, 2단째의 정제 카세트(11)의 정제를 카운트하여 불출할 때만 진동 기구를 작동시킨다. 3단째 이상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불출하는 경우, 정제의 낙하 속도가 커지므로, 정제 수취 용기(60) 내의 정제가 간극 없이 막혀, 정제 안내 가이드(51)에 체류하지 않고 낙하하기 때문이다.
정제가 캡슐인 경우, 캡슐 간의 간극이 커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정제 수취 배출 용기(60)로부터의 높이와 관계 없이, 진동 기구를 작동시킨다.
또, 정제의 위에서 본 면적이 클수록, 캡슐 간의 간극이 커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진동 간격을 작게 한다. 이 경우, 정제의 위에서 본 면적을 3종류로 나누어 진동 간격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100mm2를 초과하는 정제의 경우는 7초에 1회 진동시키고, 56~100mm2까지의 정제의 경우는 14초에 1회 진동시키며, 56mm2 미만의 정제의 경우는 7초에 1회 진동시킨다.
또한, 정제 수취 용기(60) 내로 배출되는 정제의 용적이 정제 수취 용기(60)의 최대 수용 용적에 대하여 소정의 비율(예를 들면 75%)에 도달할 때까지는, 소정의 진동 간격으로 진동하고, 소정의 비율을 초과하면 연속적으로 진동시킨다.
이와 같이,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의 장착 높이와 당해 정제 카세트(11)에 수용되어 있는 정제의 형상에 따라 진동의 유무나 진동 간격을 변경함으로써, 최소한의 두드림 횟수로, 정제 배출 용기(60)의 수용 가능량까지 정제를 배출하여, 카운트 시의 소리를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수정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의 정제 수취 용기(50)는, 정제 카세트(11)와 교환하여 장착하는 것이지만,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니버설 카세트(31)보다 하방이며 안내 호퍼(43)보다 상방에 정제 수취 용기(50)를 재치부(81) 상에 설치함으로써, 유니버설 카세트(31)에 잔류되는 정제의 재고 조사 처리도 가능하다.
또,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수취 용기(50)의 재치부(82)를 마련함으로써, 정제 카세트(11)를 교환하는 품을 생략할 수 있다.
도 28은, 정제 카세트(11)가 장착되는 장착부(12)를 신축식의 슬라이드 레일(83)을 따라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재고 조사 시에는, 정제 카세트(11)가 장착된 상태로 장착부(12)를 장치 본체(20)로부터 빼내어, 장착부(12)의 하방에 정제 수취 용기(50)를 장착하여, 장착부(12)의 정제 배출로(24)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수취구(50g)로부터 수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는, 약제 불출 장치(1)의 선반상으로 배열된 정제 카세트(11)의 재고 조사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럼형으로 배열된 가변형의 정제 카세트(11a)와, 상하로 배열된 유니버설형의 정제 카세트(31)를 갖는 약제 불출 장치(1A)의 재고 조사에도 이용할 수 있다. 가변형의 정제 카세트(11a)는, 정제 수용부(13)에 수용되는 정제의 크기 형상에 맞춰, 로터(16)의 정제 안내 홈(15)의 폭, 깊이, 구획 부재(17)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공지의 것이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26528호 참조).
도 30은, 내외 2중의 드럼(91, 92)에 배열된 정제 카세트(11)를 갖는 정제 불출 장치(1B)에 있어서, 내외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도시하지 않은 포장부로 안내하는 대호퍼(93)에 정제 수취 용기(5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약제 불출 장치(1B)에서는, 내측 드럼(91)에 정제 카세트(11)를 착탈할 수 있도록, 외측 드럼(92)의 정면 측의 일부에 개구부(92a)가 마련되어 있다. 또, 개구부(92a)의 하방에 위치하는 대호퍼(93)의 일부가 절결되어, 정제 수취 용기(50)를 재치할 수 있는 재치부(94)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재치부(94)에 정제 수취 용기(50)를 재치하여, 외측 드럼(92)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수취할 수 있고, 또 정제 수취 용기(50)를 더 안쪽에 설치하면 내측 드럼(91)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수취할 수 있다.
도 31은, 선반상으로 배치된 정제 카세트(11)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블리스터 팩에 포장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1C)에 있어서, 중앙의 1개소에 정제 수취 용기(5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약제 불출 장치(1C)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2개의 정제 받이부(101), 중앙 정제 가이드(102), 정제 반송부(103), 중앙 낙하 경로(104), 정제 압출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받이부(101)는, 정제 카세트(11)가 장착되는 장착부(12)를 마련한 벽부(21)의 이면의 정제 낙하 경로(42)의 하방에 정제를 받는 대기 밸브(101a)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정제 가이드(102)는, 2개의 정제 받이부(101)의 사이에 위치하며, 중앙의 정제 낙하 경로(42)로부터 낙하하는 정제를 중앙 낙하 경로(104)로 안내한다. 정제 반송부(103)는, 정제 받이부(101)로부터 낙하한 정제를 중앙 정제 가이드(102)의 하방의 중앙 낙하 경로(104)로 반송하는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정제 반송편(103a)을 구비하고 있다. 중앙 낙하 경로(104)는, 중앙 정제 가이드(102) 및 정제 반송부(103)로부터 반송되는 정제를 정제 압출부(105)로 안내한다. 정제 압출부(105)는, 중앙 낙하 경로(104)로부터 낙하하는 정제를 도시하지 않은 블리스터 팩 포장부로 밀어내는 압출 블록(105a)을 구비하고 있다.
중앙 낙하 경로(104)는, 착탈 가능하게 마련하여,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불출 장치(1C)의 전면 커버(106)를 개방하여 정제 수취 용기(50)를 정면에서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11)를 중앙의 열로 이동시켜, 정제를 바로 밑으로 배출함으로써, 직접 정제 수취 용기(50)에 수취할 수 있다. 또, 중앙의 열 이하의 정제 카세트(11)로부터 정제 받이부(101)로부터 정제 반송부(103)로 낙하하여, 정제 반송편(103a)으로 좌우로부터 반송되는 정제도, 정제 수취 용기(50)로 회수할 수 있다.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제 반송부(103)의 정제 반송편(103a)은 LM 가이드(107)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정제 반송편(103a)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정제 반송부(103)의 벽에 마련한 슬릿(108)을 개재하여 정제 반송부(103)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구동편(109)이 마련되며, 이 구동편(109)에 구동 벨트(110)가 장착되어 있다. 정제 반송부(103)의 이동에 따라 슬릿(108)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정제 분말이 정제 반송부(103)의 내부로 진입하여, LM 가이드(107)에 부착되어, 정제 반송편(103a)의 움직임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정제 반송부(103)에 공기 도입 구멍(111)을 마련하여, 도시하지 않은 팬으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양압 상태로 함으로써, 슬릿(108)으로부터 공기를 내보냄과 함께 정제 분말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1, 1A 약제 불출 장치
2 제1 정제 공급부
3 제2 정제 공급부
4 정제 공급 유닛
8 정제 충전대
9 바코드 리더(수취 용기 판독 장치)
10 제어 유닛
11 정제 카세트
11a 가변형 정제 카세트
12 장착부
18 정제 출구
19 RFID 태그(식별 장치)
22a 구동 기어(구동부)
23 RFID 리더 라이터(판독 장치)
24 정제 배출로
31 유니버설형 정제 카세트
32 장착부
37 정제 출구
38 RFID 태그(식별 장치)
40A 정제 분포 경로
40B 정제 수취 경로
41 정제 배출구
42 정제 낙하 경로
44 수취 용기 삽입구
47 가동판
48 수취 용기 검출 센서(수취 용기 검출 수단)
49 RFID 리더 라이터(판독 장치)
50 정제 수취 용기
50g 수취구
50h 낙하구
51 정제 안내 가이드
52 셔터
53 바코드
54 RFID 태그(식별 장치)
60 정제 수취 용기
62 받침판
64 튀어나감 방지 커버
64b 폐색부
65 기어(진동 기구)
66 가동 블록(진동 기구)
67 캠(진동 기구)
73 기어(진동 기구)
74 가동 블록(진동 기구)
76 푸시 업 로드(진동 기구)
77 캠(진동 기구)

Claims (22)

  1.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의 하방에서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는 정제 수취 용기로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상기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는 수취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수취 용기.
  2.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정제 카세트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는 정제 수취 용기로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수취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취구는,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내부를 향하는 경사 각도가 가팔라지도록 회동 가능한 받침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수취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진동시키는 진동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 하는 약제 수취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정제 카세트를 구동하는 상기 장착부에 마련된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수취 용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취구의 바닥부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뻗는 정제 안내 가이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수취 용기.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를 인용하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동 기구는,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상기 정제 안내 가이드를 진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수취 용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바닥에 형성된 낙하구를 개폐하는 셔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수취 용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는, 상기 정제 카세트에 상기 수취구를 구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수취 용기.
  10.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분포(分包) 유닛에서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장착부의 하방에서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는 정제 수취 용기로서,
    상기 장착부에 정제 수취 용기가 장착되면, 당해 장착부보다 위에 있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처가, 상기 분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전환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수취 용기.
  11.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의 하방에서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된 정제를 수취하는 정제 수취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구비하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보다 상방의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정제 낙하 경로를 낙하해 오는 정제를 상기 수취구로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2.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정제 카세트와 교환하여 장착되는 정제 수취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상기 장착부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정제 낙하 경로에 삽입되는 수취구를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구비하며,
    상기 정제 수취 용기가 장착된 상기 장착부보다 상방의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정제 낙하 경로를 낙하해 오는 정제를 상기 수취구로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정제 낙하 경로에, 상기 장착부의 정제 배출로와 연통되는 정제 배출구와, 상기 정제 배출구보다 하방에 마련된 수취 용기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취 용기 삽입구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상기 수취구가 삽입되어, 상기 장착부의 상기 정제 배출로로부터, 상기 정제 배출구, 상기 정제 낙하 경로 및 상기 수취구를 거쳐,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내부에 이르는 정제 수취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취 용기를 장착한 상기 장착부의 하나 위의 상기 장착부의 정제 배출로를 막는 폐색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취 용기 삽입구에, 당해 수취 용기 삽입구를 개폐하는 가동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취 용기 삽입구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의 상기 수취구가 삽입되면, 상기 가동판이 상기 수취 용기 삽입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단의 상기 장착부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각각 장착하고,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한 상기 장착부보다 상방의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의 정제를 각각의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동시에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7.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단의 상기 장착부가 복수 열 마련되고,
    복수 열의 상기 장착부의 하방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각각 장착하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장착한 상기 장착부보다 상방의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의 정제를 각각의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동시에 수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8.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카세트 중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를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보다 하방의 정제 카세트가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교환되면, 상기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정제를 배출하는 수단과,
    상기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는 정제를 카운트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정제 수취 용기와 상기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가 재치되는 정제 충전대와,
    상기 정제 수취 용기에 마련된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수취 용기 판독 장치와,
    상기 정제 충전대에 재치되는 상기 재고 조사 대상의 정제 카세트에 마련된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카세트 판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취 용기 판독 장치로 판독된 식별 정보와, 상기 카세트 판독 장치로 판독된 식별 정보가 일치하는 취지를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20.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분포 유닛에서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
    정제 수취 용기가 장착되면, 당해 정제 수취 용기보다 위에 있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처가, 상기 분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상기 정제 수취 용기가 장착된 것을 검출하는 수취 용기 검출 수단과,
    상기 수취 용기 검출 수단이 상기 정제 수취 용기를 검출하면, 상기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처가, 상기 분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22. 정제 카세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정제가 정제 낙하 경로로 배출되어 분포 유닛으로 포장되는 약제 불출 장치에 있어서의 정제의 배출처 전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약제 불출 장치의 상기 정제 카세트로부터 배출되는 정제의 배출처를, 정제 수취 용기에 의하여, 상기 분포 유닛으로부터 상기 정제 수취 용기 내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의 배출처 전환 방법.
KR1020227033942A 2020-04-18 2021-04-14 정제 수취 용기 및 약제 불출 장치 KR202300023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4442 2020-04-18
JPJP-P-2020-074442 2020-04-18
PCT/JP2021/015514 WO2021210624A1 (ja) 2020-04-18 2021-04-14 錠剤受取容器及び薬剤払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349A true KR20230002349A (ko) 2023-01-05

Family

ID=78084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3942A KR20230002349A (ko) 2020-04-18 2021-04-14 정제 수취 용기 및 약제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90583A1 (ko)
EP (1) EP4137115A4 (ko)
JP (2) JP7070808B2 (ko)
KR (1) KR20230002349A (ko)
CN (1) CN115916137A (ko)
TW (1) TW202143939A (ko)
WO (1) WO2021210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0186A1 (en) * 2022-01-07 2023-07-13 Chronomed Inc. Automated medication units dispens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TW202343471A (zh) * 2022-04-20 2023-11-01 日商湯山製作所股份有限公司 藥劑配發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819A1 (ja) 2016-03-18 2017-09-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薬品払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4414B2 (ja) * 1999-11-01 2010-03-3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充填装置
TWI225836B (en) * 2002-02-20 2005-01-01 Sanyo Electric Co Medicine supply apparatus
KR101649257B1 (ko) * 2008-09-18 2016-08-18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정제 피더
US8185236B2 (en) * 2008-11-13 2012-05-22 Jvm Co., Ltd. Medicine discharge device of automatic medicine packing machine
KR101147540B1 (ko) * 2010-11-26 2012-05-21 (주)크레템 약제 포장 장치의 정제 카세트, 및 이를 작동시키는 방법
JP5389007B2 (ja) * 2010-12-24 2014-01-1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分包機
WO2013171821A1 (ja) * 2012-05-14 2013-11-21 高園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薬剤充填装置
US11217336B2 (en) * 2012-10-05 2022-01-04 Alixa Rx, Llc Automated medication dispensing unit
TWI724134B (zh) 2016-03-25 2021-04-11 日商湯山製作所有限公司 片劑盒用轉子以及片劑盒
US10741275B2 (en) * 2017-09-14 2020-08-11 Dosepack Corporation Medicine dispensing system with feedback pre-fill apparatus
JP2021016598A (ja) * 2019-07-22 2021-02-1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汎用薬剤供給装置及び薬剤分包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9819A1 (ja) 2016-03-18 2017-09-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薬品払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0624A1 (ja) 2021-10-21
US20230190583A1 (en) 2023-06-22
JP2022067123A (ja) 2022-05-02
EP4137115A4 (en) 2024-01-31
EP4137115A1 (en) 2023-02-22
JPWO2021210624A1 (ko) 2021-10-21
JP7070808B2 (ja) 2022-05-18
TW202143939A (zh) 2021-12-01
CN115916137A (zh)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02349A (ko) 정제 수취 용기 및 약제 불출 장치
EP3133564B1 (en) Drug delivery system, and drug delivery device
US5852911A (en) Tablet dispenser
US6792736B1 (en) Solid drug filling device
JP6590108B2 (ja) 薬剤払出装置
JPWO2021210624A5 (ko)
CN111164657B (zh) 送出装置
JP6975382B2 (ja) 薬棚装置及び薬剤分包ユニット
WO2009061095A2 (en) Tablet cabinet of medicine packing machine
JP3778743B2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2001129059A (ja) 固形製剤充填装置
WO2023204238A1 (ja) 薬剤払出装置
JP3619675B2 (ja) 薬剤供給装置
JP2024031492A (ja) カウントカセット及び薬剤払出装置
JP2001276182A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7447727B2 (ja) 硬貨処理装置及び貨幣取扱装置
JP3619680B2 (ja) 薬剤供給装置
JP2023119073A (ja) 物品回収装置
JP3784772B2 (ja) 錠剤分包装置
JP2023097859A (ja) 物品回収装置
EP4280183A1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packaged products and method for dispensing a packaged product from a vending machine
JP4836879B2 (ja) 薬剤供給装置
JP2024021639A (ja) 容器回収装置
JPS6282497A (ja) ビデオカセツト等の自動貸出機における格納不能品収納機構
JP2007317267A (ja) ディスクの収納機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