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020U -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020U
KR20230002020U KR2020220000913U KR20220000913U KR20230002020U KR 20230002020 U KR20230002020 U KR 20230002020U KR 2020220000913 U KR2020220000913 U KR 2020220000913U KR 20220000913 U KR20220000913 U KR 20220000913U KR 20230002020 U KR20230002020 U KR 202300020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elt
door
belt
exercis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희
Original Assignee
남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용희 filed Critical 남용희
Priority to KR2020220000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020U/ko
Publication of KR20230002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0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8Devices for bench press exercises, e.g. supports,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18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 A63B21/1663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for anchoring between a door and the door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쪽 끝단부는 도어 안쪽에 배치되는 고정체가 구비되며 도어를 닫아서 도어의 측면과 문틀의 사이에고 고정되며 다른 쪽 끝단부는 도어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고정 벨트; 상기 고정 벨트의 하측에 제1 매듭 고정부에 의해 중앙부가 고정되며 두 갈래로 양분되며, 양분된 끝단부에는 제2 매듭 고정부와 제1 링을 매개로 손잡이가 구비된 제1 고무벨트; 상기 고정 벨트의 하측에 제3 매듭 고정부에 의해 중앙부가 고정되며 두 갈래로 양분되며, 양분된 끝단부에는 제4 매듭 고정부와 제2 링을 매개로 발 고정밴드가 구비된 제2 고무벨트; 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the sporting goods using the rubber belt}
본 고안은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구조를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스트레칭 및 유산소 운동, 근육을 신장시키는 스트레칭 등 다양한 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 다양한 운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생활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고 또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운동을 게을리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운동량이 부족하다 보니 현대병, 즉, 당뇨, 고혈압, 고지혈 및 만병의 근원이라 하는 비만 등의 질병에 의해 현대인들이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또 이와 같은 현대인들의 문제점은 도시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욱 집중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집에서 쉽게 운동을 접할 수 있는 실내용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현대인들은 주거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실내용 운동기구를 구입하여 운동하고 있다.
상기한 실내용 운동 기구는 다양한 기능과 다양한 목적을 갖고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특히 복부비만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운동기구의 일 예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를 들 수 있다.
상기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는 발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보드에 누워 윗몸을 눕혔다가 일으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허리와 복부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건강증진과 다이어트를 위해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는 운동 목적이 한정되다 보니 자연스럽게 제품의 기능이 단순하여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없는, 즉, 호환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는 몸을 눕힐 수 있는 보드와 발목을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 등 한정된 기능에 의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품을 기꺼이 구매하고 싶어하는 품목에서 제외된 제품, 즉, 제품의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것의 일 예로, 벤치 프레스 운동과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운동 기구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벤치 프레스 겸용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는 가격이 고가일뿐만 아니라 가정의 실내에 비치할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최근에 알려진 바로는 윗몸 일으키기 운동은 유산소 운동이 아닌 복근운동에 속하므로 근력 기르는 것에는 도움이 되지만 뱃살은 뺄 수 없다는 연구결과도 있었고, 해부학적으로 봤을 때 척추에 무리를 주는 동작이므로 척추뼈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된 바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2021년 3월 16일에 선출원중이며 미공개된 특허출원 제10-2021-0034332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한 특허출원 제10-2021-0034332호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는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에 또 다른 형태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즉,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에 별도의 수직 포스트를 구비하고, 그 수직 포스트에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고정하여 고무벨트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아 당기며 근력을 키우거나, 고무벨트에 구비된 손잡이를 잡고 발걸이에 발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무벨트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사지를 벌렸다 오무리며 운동을 하거나, 고무벨트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사지를 느슨하게 한 후 다시 펼치며 고무벨트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운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출원 제10-2021-0034332호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 역시 상술했던 문제점, 즉, 운동 기구를 실내에 비치해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점유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에 고무벨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직 포스트를 장착해야 하므로 부품 증가에 따른 제조단가 및 판매가가 상승한다는 경제적인 부담감도 있었다.
KR 20-2015-0002360 U KR 20-0334044 Y1 KR 20-0175992 Y1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종래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구조를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단순한 구조의 고무벨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운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운동이 필요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운동하며 근력을 키울 수 있음은 물론, 복부비만 등 신체의 특정된 부분의 지방을 집중적으로 연소시키며 뱃살을 줄일 수 있는 운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윗몸 일으키기 운동뿐만 아니라 팔다리를 휘젓는 유산소 운동, 근육을 강화시키며 근력을 키우는 운동, 스트레칭 등 다양한 운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 다변화, 다기능화를 기대할 수 있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한쪽 끝단부는 도어 안쪽에 배치되는 고정체가 구비되며 도어를 닫아서 도어의 측면과 문틀의 사이에고 고정되며 다른 쪽 끝단부는 도어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고정 벨트; 상기 고정 벨트의 하측에 제1 매듭 고정부에 의해 중앙부가 고정되며 두 갈래로 양분되며, 양분된 끝단부에는 제2 매듭 고정부와 제1 링을 매개로 손잡이가 구비된 제1 고무벨트; 상기 고정 벨트의 하측에 제3 매듭 고정부에 의해 중앙부가 고정되며 두 갈래로 양분되며, 양분된 끝단부에는 제4 매듭 고정부와 제2 링을 매개로 발 고정밴드가 구비된 제2 고무벨트; 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제2 고무 벨트는 상기 제1 고무 벨트보다 길게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제1,2,3,4 매듭 고정부는 맞물려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양분하여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1,2 고무 벨트가 인입 및 인출되되 제1,2 고무 벨트의 인입 및 인출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는 선단부가 뾰족한 돌기가 다수 배열되며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부품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며, 소비자들의 욕구사항인 제품의 다양화, 다변화, 다기능화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둘째,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구조를 단순하게 제작하여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고 설치 장소에 제한이 없으며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셋째, 고무벨트의 탄성력과 복원력을 이용하여 전신 스트레칭은 물론, 운동이 필요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운동하며 근육을 키우고 근력을 향상시키거나, 팔과 다리 그리고 복부 등 신체의 특정된 부분의 지방을 집중적으로 연소시키는 운동을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1,2,3,4 매듭 고정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로 운동하는 제1 예를 보인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로 운동하는 제2 예를 보인 참고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로 운동하는 제3 예를 보인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로 운동하는 제4 예를 보인 참고도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제1,2,3,4 매듭 고정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는 한쪽 끝단부는 도어 안쪽에 배치되는 고정체(11)가 구비되며 다른 쪽 끝단부는 도어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고정 벨트(1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 벨트(10)는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의 측면과 문틀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고정체(11)는 고무벨트를 잡아 당기는 운동을 할 때 그 당김력에 의해 고정 벨트(10)가 도어의 측면과 문틀의 사이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고정 벨트(10)의 하측에는 제1,2 고무 벨트(20)(30)가 겹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2 고무 벨트(20)(30)는 원통 형상의 통 고무줄로 사용할 수 있지만, 밴드 형상의 고무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고무벨트(20)는 제1 매듭 고정부(21)에 의해 중앙부가 고정되며 두 갈래로 양분되며, 양분된 끝단부에는 제2 매듭 고정부(22)와 제1 링(23)을 매개로 손잡이(24)가 구비된다.
또 상기 고정 벨트(10)의 하측에는 제2 고무벨트(30)가 상기 제1 고무벨트(20)와 겹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 고무벨트(30)는 제3 매듭 고정부(31)에 의해 중앙부가 고정되며 두 갈래로 양분되며, 양분된 끝단부에는 제4 매듭 고정부(32)와 제2 링(33)을 매개로 발 고정밴드(34)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고무 벨트(30)는 상기 제1 고무 벨트(20)보다 길게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3,4 매듭 고정부(21)(22)(31)(32)는 결합되어 일체화 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양분하여 분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3,4 매듭 고정부(21)(22)(31)(32)의 내측에는, 상기 제1,2 고무 벨트(20)(30)가 인입 및 인출되되 제1,2 고무 벨트(20)(30)의 인입 및 인출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는 선단부가 뾰족한 돌기(21a)(22a)(31a)(32a)가 다수 배열되며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의 운동 동작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했던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무벨트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종류와 형태는 다양하다.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로 운동하는 제1~제4 예를 보인 참고도가 도시되어 있다.
부연하면, 본 고안의 참고도 1 내지 참고도 4에 도시된 매트는 본 고안의 사용상 편리성을 보이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요소에 반드시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도 1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무벨트 운동기구의 밴드 부분(10)을 도어의 안쪽에 넣어 도어를 닫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24)를 손으로 잡고, 발 고정 밴드(34)에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손잡이(24)를 당기거나 발을 올렸다가 내리면서 제1,2 고무벨트(20)(30)의 탄성 복원력을 극복하며 운동을 하며 팔다리 근력을 향상시키며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참고도 2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무 벨트 운동기구의 밴드 부분(10)을 도어의 안쪽에 넣어 도어를 닫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24)(또는 발 고정 밴드)를 손으로 잡고 엎드린 자세로 상체를 뒤로 젖히며 손잡이(24)를 당기며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참고도 3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무벨트 운동기구의 밴드 부분(10)을 도어의 안쪽에 넣어 도어를 닫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24)를 손으로 잡고, 발 고정 밴드(34)에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팔과 다리를 좌우로 벌렸다 오무렸다를 반복하며 팔다리 운동을 할 수 있다.
참고도 4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무 벨트 운동기구의 밴드 부분(10)을 도어의 안쪽에 넣어 도어를 닫아 고정시키고, 별도의 매트에 구비된 벨트에 발목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를 당기며 상체를 일으키는 운동을 하며 윗몸 일으키기 운동에 따른 복부강화 운동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고도면을 기초로 운동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사용 방법에 따른 일예에 불과할 뿐, 발 고정밴드에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허공을 향하여 자전거 타기 운동을 하며 허벅지 근육을 강화하며 뱃살을 빼는 운동을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서 있는 상태에서 팔을 밀거나 당기면서 손목 관절운동과 팔의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 및 스트레칭을 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운동방법을 사용자가 창작하며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고무벨트 운동기구의 밴드 부분(10)을 도어의 안쪽에 넣어 도어를 닫아 고정시킨 예를 도시하고 또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실, 내외의 벽면에 별도의 앵커나 걸고리를 장착한 후 밴드(20)를 걸어서 고정한 상태에서 운동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고정 벨트 11 ; 고정체
20, 30 ; 제1,2 고무벨트 21, 22, 31, 32 ; 제1,2,3,4 매듭 고정구
21a, 22a, 31a, 32a ; 돌기 23, 33 ; 제1,2 링
24 ; 손잡이 34 ; 발 고정 밴드

Claims (3)

  1. 한쪽 끝단부는 도어 안쪽에 배치되는 고정체가 구비되며 도어를 닫아서 도어의 측면과 문틀의 사이에고 고정되며 다른 쪽 끝단부는 도어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고정 벨트;
    상기 고정 벨트의 하측에 제1 매듭 고정부에 의해 중앙부가 고정되며 두 갈래로 양분되며, 양분된 끝단부에는 제2 매듭 고정부와 제1 링을 매개로 손잡이가 구비된 제1 고무벨트;
    상기 고정 벨트의 하측에 제3 매듭 고정부에 의해 중앙부가 고정되며 두 갈래로 양분되며, 양분된 끝단부에는 제4 매듭 고정부와 제2 링을 매개로 발 고정밴드가 구비된 제2 고무벨트; 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무 벨트는 상기 제1 고무 벨트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 매듭 고정부는 맞물려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양분하여 구비되며, 내측에는 상기 제1,2 고무 벨트가 인입 및 인출되되 제1,2 고무 벨트의 인입 및 인출 부분을 눌러서 고정하는 선단부가 뾰족한 돌기가 다수 배열되며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


KR2020220000913U 2022-04-14 2022-04-14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KR202300020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13U KR20230002020U (ko) 2022-04-14 2022-04-14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913U KR20230002020U (ko) 2022-04-14 2022-04-14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020U true KR20230002020U (ko) 2023-10-23

Family

ID=8850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913U KR20230002020U (ko) 2022-04-14 2022-04-14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020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992Y1 (ko) 1999-10-18 2000-03-15 장석중 윗몸일으키기 겸용 벤치 프레스
KR200334044Y1 (ko) 2003-08-18 2003-11-20 권오석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150002360U (ko) 2013-12-09 2015-06-19 정상철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992Y1 (ko) 1999-10-18 2000-03-15 장석중 윗몸일으키기 겸용 벤치 프레스
KR200334044Y1 (ko) 2003-08-18 2003-11-20 권오석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150002360U (ko) 2013-12-09 2015-06-19 정상철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8494A (en) Elastically resilient exercise device
US9149676B2 (en) Exercise device
US20050143234A1 (en) Conformable resistance training device
US10532240B2 (en) Resistance training device and method
RU2302274C1 (ru) Комплек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и шлем, жилет, пояс, перчатка, ложемент для предплечья, ложемент для голени, ложемент для стопы, платформа для ног
WO2017063212A1 (zh) 一种多功能训练健身器材
CN208552954U (zh) 弹力带健身衣
CN206566423U (zh) 一种多功能健身器械
US5152523A (en) Exercise weight device for varying force during exercise motion
KR20230002020U (ko) 고무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KR100606336B1 (ko) 다목적 운동기구
US4949955A (en) Exercise weight device for varying force during exercise motion
CN108939426B (zh) 一种俯背运动器
KR100856073B1 (ko) 신축 운동기구
US20060235344A1 (en) Portable multi-function exercise apparatus
KR100856072B1 (ko) 전신 운동기구
CN111773624A (zh) 便携式仰卧起坐辅助装置
CN208678269U (zh) 一种健美操演员用室内便携式腹背锻炼架
KR20080001700U (ko) 휴대용 운동기구
KR100616416B1 (ko) 다기능 롱풀머신
JP6004352B2 (ja) エアー散歩器具
Raţă et al. Alternative exercise in fighting obesity
CN2332431Y (zh) 健腹拉力器
US8556777B2 (en) Individual workout system
JP3106110U (ja) 体操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