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987U - 스프링 카 - Google Patents

스프링 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987U
KR20230001987U KR2020220000869U KR20220000869U KR20230001987U KR 20230001987 U KR20230001987 U KR 20230001987U KR 2020220000869 U KR2020220000869 U KR 2020220000869U KR 20220000869 U KR20220000869 U KR 20220000869U KR 20230001987 U KR20230001987 U KR 202300019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andle
car
ho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정호
Original Assignee
안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호 filed Critical 안정호
Priority to KR2020220000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987U/ko
Publication of KR202300019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9/00Toy animals for ri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3/00Rotating or rocking pots, e.g. by moving the whole body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세하게는 롤링카와 탄력부재로 연결되어 요동(搖動)치며 점핑 놀이를 즐길 수 있고 또 롤링카는 분리하여 개별로 승용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스프링 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스프링 카의 안전성과 견고성 그리고 편이성을 향상시킨 스프링 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후의 바디프레임(1,1')과 좌우의 사이드프레임(2,2')이 조립되는 베이스파트(10)와, 베이스파트(10)와 체결부(40)를 통해, 합체 분리되며, 핸들(4)과 안전가드(6)를 구비한 롤링카(20)와, 롤링카(20)에 결합되어 탄력부재(50)로 베이스파트(10)와 연결되는 커넥팅보드(30)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카에 있어서,
상기 롤링카(20)는; 몸체(3) 전방에 핸들조립체(31)를 몸체(3)와 슬라이드결합부(33,33')로 서로 조립하고, 상기 핸들조립체(31)의 조립공(32)에 핸들(4)의 핸들축(41)을 삽입하여 조립피스(43)로 결합하며,
상기 조립공(32)에 삽입되는 핸들(4)의 핸들축(41)에 안전가드(6)의 고정공(61)을 삽입하여 탈착할 수 있게 설치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스프링 카{SPRING CAR}
본 고안은 스프링 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롤링카와 탄력부재로 연결되어 요동(搖動)치며 점핑 놀이를 즐길 수 있고, 또 롤링카는 분리하여 개별로 승용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스프링 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스프링 카의 안전성과 견고성 그리고 편이성을 향상시킨 스프링 카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 카[승용(또는 승물)놀이구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본 고안에서는 '스프링 카(SPRING CAR)'라 한다.]는 성장기의 유아를 위한 여러 완구들 가운데 활발한 활동성과 에너지를 발산하도록 고안된 놀이구 중의 하나이다. 스프링 카는 바닥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상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유아가 탑승하여 점핑놀이 등을 즐길 수 있게 하고,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면 발로 굴러서(Rolling) 승용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롤링카 등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카는 롤링카와 합체하여 점핑놀이 등의 놀이구로서 사용하고 롤링카를 분리하면 롤링카를 독립적인 놀이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프링 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승용놀이구, 승물놀이구 등으로 불리며, 예전부터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이를 참고문헌을 통해 살펴본다.
참고문헌1 내지 참고문헌6에; 바퀴를 가진 승용물을 롤링보드에 결합하고, 롤링보드는 스프링으로 서포터에 설치하여 하나의 놀이구에 3가지 놀이[승용놀이, 롤링놀이, 스프링의 탄력으로 요동치며 즐기는 점핑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승물놀이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참고문헌7에; 점프작동시 외부로 노출되는 스프링의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점프 겸용 승용완구가 개시되어 있으며, 참고문헌8에; 바퀴가 구비된 승용물을 분해 조립식으로 결합한 유아용 흔들 놀이기구가 개시되어 있고, 참고문헌9에; 프레임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승용놀이기구의 프레임부에 그네부를 설치하여 그네 또는 승용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승용놀이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06769호, 1998.04.30. (참고문헌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34951호, 1999.09.06. (참고문헌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8832호, 2000.02.15. (참고문헌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7313호, 2002.03.09. (참고문헌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1313호, 2002.04.10. (참고문헌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6669호, 2008.12.31. (참고문헌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479호, 2002.09.10. (참고문헌8)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6840호, 2009.09.14. (참고문헌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7421호, 2015.12.15.
상기한 종래 스프링 카는 본래의 롤링카 놀이, 점핑 놀이 등의 놀이 기능 외에 안전 등을 고려한 여러 기능성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유아의 안전을 고려한 더욱 확실한 안전성과 조립의 견고성이 부족하였다. 특히 스프링, 고무밴드 등의 탄력부재는 탄력성이 강하여 프레임과 롤링카를 쉽게 연결하기 곤란하였다.
즉, 스프링 카는 점핑 놀이를 위해 롤링카와 프레임을 강한 탄성의 탄력부재로 연결해야 하므로 강성의 탄력부재를 완력으로 늘이기 어렵고 또 롤링카와 프레임 사이에 걸어서 연결하기도 쉽지 않았다.
이에 본 고안은 스프링 카의 안전성과 견고성과 편이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롤링카의 시트에 탑승한 유아가 시트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안전가드를 간편히 탈착시킬 수 있게 하고, 이와 아울러 핸들의 조립을 견고하고 안전하게 도모하고자 한다.
롤링카에 보호자를 위한 손잡이를 탈착할 수 있게 하고, 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하 높낮이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시트에 탑승한 유아를 위한 등받이로도 기능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롤링카와 바디프레임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력부재는 이중으로 구성하여 튼튼한 연결구조의 견고성을 확보하고, 탄력부재를 쉽고 편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6]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전후의 바디프레임과 좌우의 사이드프레임이 조립되는 베이스파트와, 베이스파트와 체결부를 통해, 합체 분리되며, 핸들과 안전가드를 구비한 롤링카와, 롤링카에 결합되어 탄력부재로 베이스파트와 연결되는 커넥팅보드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카에 있어서, 상기 롤링카는; 몸체 전방에 핸들조립체를 몸체와 슬라이드결합부로 서로 조립하고, 상기 핸들조립체의 조립공에 핸들의 핸들축을 삽입하여 조립피스로 결합하며, 상기 조립공에 삽입되는 핸들의 핸들축에 안전가드의 고정공을 삽입하여 탈착할 수 있게 설치한다.
본 고안은 롤링카의 핸들 조립을 견고하고 쉽게 할 수 있으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의 안전가드를 간편히 탈착하여 편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보호자의 손잡이를 필요에 따라 상하 높낮이를 달리하여 간편히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유아를 위한 등받이로도 기능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롤링카와 바디프레임 사이의 탄력부재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뛰어난 견고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원터치 동작으로 탄력부재를 간단히 연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쉽고 안전하게 조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 후방 사시도
도 3,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및 저면도
도 5, 도 6은 본 고안 중 베이스파트와 롤링카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 중 핸들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 중 안전가드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고안 중 손잡이의 결합구조를 설명하는 구성도
도 17 내지 도 18은 본 고안 중 탄력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9 내지 도 21은 본 고안 중 탄력부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베이스파트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22 내지 도 25는 본 고안 중 탄력부재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 일부 단면도
본 고안은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파트와, 베이스파트와 탄력적으로 합체하여 점핑 놀이를 즐기고, 베이스파트에서 분리하면 개별로 승용놀이를 즐길 수 있는 롤링카와, 상기 베이스파트와 롤링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력부재로 스프링 카를 구성한다.
베이스파트는 바닥면에 설치하기 위한 바디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을 가로, 세로로 조립하여 결합하고, 미끄럼방지를 위한 논슬립패드를 구비한다.
롤링카는 몸체 하부에 바퀴가 구비되어 발을 굴러서 롤링(Rolling)놀이를 즐길 수 있게 하고, 핸들과 시트에 탑승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가드와, 보호자가 롤링카를 운전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한다.
상기 롤링카는 커넥팅보드에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로 분리결합이 가능하게 탑재하고 롤링카를 탑재한 커넥팅보드는 탄력부재로서 베이스파트와 탄력적으로 연결하여 합체함으로써 스프링 카를 구성한다.
본 고안은 조립이 쉽고 튼튼한 구조로 롤링카의 핸들을 구성하고, 시트에 탑승한 유아를 보호하는 안전가드를 간편히 탈착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다.
롤링카에는 시트에 탑승한 유아의 등받이 기능을 수행하면서 보호자가 상하 2단으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를 설치한다.
상기 롤링카를 탑재하는 커넥팅보드는 베이스파트와, 이중의 탄력로프 등으로 구성된 탄력부재로 연결하고, 원터치로 간편히 베이스파트에 연결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본 고안의 목적, 특장점, 특징 등은 첨부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부여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 후방 사시도, 도 3,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측면도 및 저면도, 도 5, 도 6은 본 고안 중 베이스파트와 롤링카의 사시도이다.
스프링 카는 바닥에 설치하는 베이스파트(10)와, 베이스파트(10)와 합체 분리되는 롤링카(20)와, 롤링카(20)를 베이스파트(10)와 연결하여 합체하는 커넥팅보드(30)와 탄력부재(50) 등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파트(10)는 전후의 바디프레임(1,1')과 전후의 바디프레임(1,1')을 좌우 양측에서 연결하여 조립하는 사이드프레임(2,2')으로 구성한다.
전후의 바디프레임(1,1') 좌우 양측에는 사이드프레임(2,2')과 체결하는 체결봉(11)(12)과 탄력부재(50)를 걸어서 연결하는 연결봉(14,14')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봉(14,14')은 후술하는 커넥팅보드(30)와 높낮이를 조절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 2단으로 형성하고 체결봉(11)(12)은 도시한 예와 같이 상하 2개로 형성한다.
바디프레임(1,1')의 연결봉(14,14')은 탄력부재(50)를 걸어서 결합한 후 이에 대응하는 사이드프레임(2,2')의 상하 조립공(24,24')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상하 2개의 체결봉(11)(12)은 체결볼트를 형성하여 사이드프레임(2,2')의 체결공(21)(22)에 체결너트(13,13')로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체결봉(11)(12)은 연결봉(14,14)에 결합되는 탄력부재(50)의 조립을 원터치 작업으로 간편히 수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탄력부재(50)의 설치 등과 관련한 설명과 함께 후술에서 상세히 언급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바디프레임(1,1')과 사이드프레임(2,2')의 조립으로 구성되는 베이스파트(10)에는 롤링카(20)를 결합하여 합체함으로써 점핑 놀이를 즐길 수 있는 스프링 카를 구성한다.
상기 롤링카(20)는 저면에 바퀴(부호 생략)를 구비하여 시트에 탑승한 유아가 발을 굴러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롤링카(20)는 몸체(3) 전방에, 시트에 탑승한 유아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들(4)을 구비하고 후방에는 보호자가 롤링카(20)를 이동, 운전, 제어할 수 있도록 손잡이(5)를 탈착결합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핸들(4)은 핸들조립체(31)를 몸체(3)와 슬라이드결합부(33,33')를 통해 간단히 슬라이딩 조립하여 몸체(3)에 결합하고, 상기 핸들조립체(31)의 조립공(32)에 핸들축(41)을 삽입하여 조립피스(43)로 결합한다.
상기 몸체(3)에 결합되는 핸들조립체(31)는 단일체로 구성하거나 도시한 예와 같이 분할성형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핸들조립체(31)의 조립공(32)에 결합되는 핸들축(41)에는 후술하는 안전가드(6)를 고정시키는 고정부(42)를 돌출 형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안전가드(6)의 설명을 통해 상세히 알아본다.(도 10 내지 도 12 참조)
안전가드(6)는 시트 상부에 설치하여 탑승한 유아를 사방에서 감싸도록 하여 유아가 시트로부터 넘어지거나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보호하는 것으로, 상기 안전가드(6)는 미사용시에 핸들(4)만을 몸체(3)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안전가드(6) 사용시에는 전방의 고정공(61)을 핸들조립체(31)의 조립공(32) 위로 일치시키고 핸들축(41)을 고정공(61)과 조립공(32)에 차례로 삽입하고 핸들을 조립피스(43)로 체결하여 결합한다.
이때 핸들축(41)에 돌출 형성된 고정부(42)는 고정공(61)에 삽입된 안전가드(6)의 전방부가 핸들축(41) 위로 들려지지 않게 견고히 고정시킨다.
안전가드(6) 후방에는 몸체(3) 후방의 돌출부(37)에 삽입되는 삽입부(62)를 형성하여 전술한 고정공(61)과 함께 안전가드(6)를 시트 위로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또 몸체(3)에 조립돌기(36,36')를 형성하고 안전가드(6)에는 조립돌기(36,36')에 대응하는 탈착공(63,63')을 형성하여 안전가드(6)의 삽입부(62)를 몸체(3)의 돌출부(37)에 결합, 분리할 때 탈착공(63,63')이 조립돌기(36,36')에 탈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안전가드(6)는 몸체(3)에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핸들축(41)에 삽입되는 고정공(61)과, 돌출부(37)에 삽입되는 삽입부(62), 조립돌기(36,36')에 탈착되는 탈착공(63,63')을 통해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전가드(6)가 설치되는 롤링카(20)의 몸체(3) 후방에는 보호자가 롤링카(20)를 운전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5)를 탈착결합한다.
몸체(3) 후방에 체결볼트(34)를 형성하고 손잡이(5)에는 상기 체결볼트(34)에 체결되는 착탈공(53)(54)을 상하 2단으로 형성하여 체결너트(56)로 탈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5)는 상부에 노브(51)를 형성하고 롤링카(20) 몸체(3)를 향해 휘어진 형태 등으로 구성하고 상하 2단으로 착탈공(53)(54)을 형성하여 몸체(3)의 체결볼트(34)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결합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도 13 내지 도 16과에서 같이 손잡이(5)는 일측에 롤링카(20) 몸체(3)에 밀착되는 밀착면(52)을 구성한다. 상기 밀착면(52)은 몸체(3)의 굴곡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를 향해 안쪽으로 휘어지게 구성하고, 상기 상부 1단의 착탈공(53)을 체결볼트(34)에 체결너트(56)로 체결시켜 밀착면(52)이 몸체(3)에 밀착결합되게 한다..
이때 체결볼트(34)에 체결된 상부의 착탈공(53)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노브(51)는 낮은 위치로 시트를 향하게 되어 시트에 앉은 유아의 등받이 또는 머리받침 등으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 착탈공(53)에는 체결볼트(34)를 향하는 밀착면(52) 방향으로 키이홈(531)을 형성하여 체결볼트(34)의 키이(35)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착탈공(53)의 방향을 결정토록 한다. 이러한 키이홈(531)과 키이(35)에 의해 손잡이(5)의 결합방향을 결정하여 반대방향으로 결합을 방지할 뿐 아니라 더욱 견고한 조립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아래의 착탈공(54)은 상기 상부 착탈공(53)의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밀착면(52)의 반대방향(반대면)으로 체결볼트(34)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착탈공(54)의 키이홈(541)은 상부 착탈공(53)의 키이홈(531)과 반대측에 형성한다.[밀착면(52)의 180°반대면]
상기 키이홈(541) 역시 결합방향을 결정하고 견고한 조립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체결볼트(34)에 하부 착탈공(54)을 선택하여 결합하면 손잡이(5)는 상부 착탈공(53)의 경우와 달리 노브(2)로부터 멀리 있는 착탈공(54)의 결합으로 노브(51)가 높게 위치한다. 따라서 높게 결합된 손잡이(5)는 롤링카(20)를 베이스파트(10)로부터 분리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호자가 롤링카(20)를 뒤에서 밀거나 운전할 수 있는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하부 착탈공(54)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밀착면(52)의 반대면이 롤링카(20) 몸체(3)에 결합되므로 손잡이(5)를 몸체(3)에 밀착시켜 지지해 주기 위해 밀착돌부(55)를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롤링카(30)는 독립적으로 승용놀이를 즐기는 놀이구로 사할 수 있고, 베이스파트(10)에 탄력부재(50)로 연결하여 합체함으로써 점핑 놀이를 즐기는 스프링 카로 구성한다.
롤링카(20)는 커넥팅보드(30)에 결합하여 베이스파트(10)와 연결, 합체한다.
커넥팅보드(30)는 롤링카(20)를 위로 올려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40)로 분리결합이 이루어지며, 커넥팅보드(30) 사방의 설치공(7)에 탄력부재(50)를 결합하고 롤링카(20)를 탄력적으로 연결하여 합체한다.
상기 롤링카(20)와 커넥팅보드(30)의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부(40)의 분리결합 구조와, 베이스파트(10)와 탄력부재(50)로 롤링카(20)를 탄력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구성은 주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
롤링카(20)를 위로 올려 분리결합하는 커넥팅보드(30) 사방에는 설치공(7,7')을 형성하고 여기에 탄력부재(50)를 결합하여 베이스파트(10)의 바디프레임(1,1')과 탄력적으로 연결, 설치함으로써 롤링카(20)를 베이스파트(10)에 합체하여 스프링 카를 구성한다.
먼저 탄력부재(50)는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된 스프링은 물론 이와 등가물인 고무와 합성섬유 등으로 이루어진 탄력로프, 고무밴드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7 내지 도 18 참조)
본 고안에서 탄력부재(50)는 2중의 탄력로프(8)에 고정볼(81)로 연결시켜 구성한다. 즉, 2중의 탄력로프(8)는 2개의 독립적인 탄력로프로 구성한다. 양 끝을 클램프로 연결하여 고리형태로 구성한 탄력로프 2개로 2중의 탄력로프(8)를 구성한다.
상기 각각 독립적인 2개의 탄력로프로 이루어진 2중의 탄력로프(8)는 2개의 로프로 구성되므로 그 자체로 견고할 뿐만 아니라, 만에 하나 2개 중 하나가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하나가 예비로 연결상태를 유지하므로 탄력로프 전체가 완전히 끊어지는 급작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2개로 된 2중의 탄력로프(8)는 일단에 형성된 고정볼(81)을 커넥팅보드(30)의 설치공(7,7') 하부로부터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고정볼(81)을 설치공(7,7')에 삽입시킨 탄력로프(8)는 베이스파트(10)의 바디프레임(1,1') 좌우측에 형성되어 사이드프레임(2,2')에 결합되는 연결봉(14,14')에 걸어서 연결한다.
이때 연결봉(14,14')은 상하 2단으로 구성되어 앞서 설명한 바디프레임(1,1')의 상하 연결봉(14,14') 중에서 택일하여 연결함으로써 점핑 놀이를 위한 롤링카(20)의 설치 높낮이를 선택한다. 도시한 예는 상부 연결봉(14)에 연결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19 내지 도 25 참조)
전후의 바디프레임(1,1')은 좌우 측 사이드프레임(2,2')과 체결봉(11)(12) 및 체결너트(13,13')로 체결하여 조립한다.
상기 조립과정에서 연결봉(14,14')에 결합되는 탄력부재(50)의 결합을 원터치로 작업하기 위해 사이드프레임(2,2')에는 하부에서 체결봉(11)이 결합되어 축으로 역할하게 하는 체결공(21)과, 상기 체결공(2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체결봉(12)이 결합되는 체결공(22)을 상부에 형성한다.
사이드프레임(2,2')에는 상부 체결봉(12)이 안내되고 또 상부 체결공(22)과 연통되는 원호 상의 안내홈(23)을 형성한다. 상기 안내홈(23)은 도시한 예와 같이 하부 체결공(22)을 중심으로 동심원의 원호로 되고 상부 체결공(12)과 연통되게 형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프레임(1,1')은 전후 2개로 구성되어 사이드프레임(2,2') 내측에서 전후로 결합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안내홈(23)은 도시한 예와 같이 사이드프레임(2,2') 전후 중 어느 일방에만 실시한다. (도시한 예는 전방의 바디프레임(1,1')측에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안내홈(23)과 연통되는 상부 체결공(22)과 하부 체결공(21)에는 바디프레임(1,1')의 상하 체결봉(11)(12)을 체결하는 것으로, 상기 체결봉(11)(12)과 체결공(21)(22)의 체결과정에서 연결봉(14,14')에 연결된 탄력부재(50)를 원터치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본다.
커넥팅보드(30)의 사방 설치공(7,7')에 탄력로프(8)의 고정볼(81)을 삽입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후방측 탄력로프(8)는 후방 바디프레임(1,1')의 연결봉(14,14')에 각각 걸어서 설치하고, 탄력로프(8)를 걸어 설치한 연결봉(14,14')은 조립공(24,24')에 삽입하여 조립한다.
이때 상하의 체결봉(11)(12) 역시 각 체결공(21)(22)에 삽입하고 체결너트(13,13')로 체결한다.
[본 고안에서 전후의 방향 개념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전방과 후방이 정해진 개념이 아님은 당연하다.]
커넥팅보드(30) 전방에 설치한 탄력로프(8)는 전방 바디프레임(1,1')의 연결봉(14,14')에 걸고 탄력로프(8)가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한 예와 같이 커넥팅보드(30) 방향으로 바디프레임(1,1')을 뉘인 상태에서] 하부의 체결봉(11)을 하부 체결공(21)에 일부를 삽입하고 상부의 체결봉(12)은 안내공(23)에 위치시킨다. 이때 탄력로프(8)를 끼운 연결봉(14,14')은 사이드프레임(2,2') 내측면에서 위치할 뿐 조립공(24,24')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20, 도 22, 도 25 참조]]
이를 위해 안내공(23)의 깊이는 체결봉(12)을 끼워 위치시켰을 때 연결봉(14,14')이 조립공(24,24')에 삽입되지 않는 깊이로 형성함으로써[즉, 체결봉(11)(12)의 길이가 연결봉(14,14')의 길이보다 길어야 바람직하다.] 안내봉(14,14')이 탄력부재(50)의 설치와 조립에 끼치는 간섭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게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 체결공(21)에 삽입된 체결봉(11)을 중심으로 안내홈(23)에 위치한 체결봉(12)을 체결공(22)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하부 체결봉(11)을 축으로 상부 체결봉(12)이 안내홈(23)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 체결공(22) 내로 자연스럽게 진입하여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체결봉(12)의 체결공(22) 결합과 동시에 이와 함께 회동하는 연결봉(14,14') 역시 조립공(24,24') 내로 삽입되어 탄력로프(8)를 걸어 연결한 연결봉(14,14')을 하부 체결봉(11)을 중심으로 바디프레임(1,1')을 회동시키는 원터치 동작으로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도 21, 도 24, 도 25 참조]]
이때 탄력로프(8)가 연결되어 상부 체결봉(12)과 함께 원호를 그리며 이동하는 연결봉(141,4')에 결합된 탄력로프(8)는 팽팽한 긴장상태로 당겨지면서 연결될 것이다.
상기한 과정으로 본 고안은 탄력부재(50)를 간편히 원터치로 손쉽게 연결, 설치하여 롤링카(20)를 합체시킬 수 있고, 탄력부재(50)는 2줄로된 2중의 탄성로프(8)로 구성되어 튼튼하고 높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에 사용한 주요 부호를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10: 베이스파트
1,1':바디프레임 2,2':사이드프레임
20:롤링카
3:몸체 4:핸들
5:손잡이 6:안전가드
30:커넥팅보드 7,7';설치공
40:체결부 50:탄력부재
8:탄력로프 81:고정볼

Claims (6)

  1. 전후의 바디프레임(1,1')과 좌우의 사이드프레임(2,2')이 조립되는 베이스파트(10)와, 베이스파트(10)와 체결부(40)를 통해, 합체 분리되며, 핸들(4)과 안전가드(6)를 구비한 롤링카(20)와, 롤링카(20)에 결합되어 탄력부재(50)로 베이스파트(10)와 연결되는 커넥팅보드(30)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카에 있어서,
    상기 롤링카(20)는; 몸체(3) 전방에 핸들조립체(31)를 몸체(3)와 슬라이드결합부(33,33')로 서로 조립하고, 상기 핸들조립체(31)의 조립공(32)에 핸들(4)의 핸들축(41)을 삽입하여 조립피스(43)로 결합함으로써 핸들(4)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카(20)는; 몸체(3) 전방에 핸들조립체(31)를 몸체(3)와 슬라이드결합부(33,33')로 서로 조립하며, 상기 핸들조립체(31)의 조립공(32)에 핸들축(41)을 삽입하여 조립피스(43)로 핸들(4)을 결합하며,
    상기 조립공(32)에 삽입되는 핸들(4)의 핸들축(41)에 안전가드(6)의 고정공(61)을 삽입하여 설치하며,
    상기 안전가드(6)는 삽입부(52)를 몸체(3) 후방의 돌출부(37)에 삽입시켜 결합할 수 있게 하고, 탈착공(63,63')을 형성하여 몸체(3)의 조립돌기(36,36')에 탈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카(20)는; 몸체(3) 후방에 보호자가 롤링카(20)를 운전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5)를 탈착 결합시켜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5)는; 롤링카(20) 몸체(3)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되어 밀착되는 밀착면(52)과 몸체(3)의 체결볼트(34)에 탈착되는 상하의 착탈공(53)(54)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의 착탈공(53)은 밀착면(52)이 몸체(3)에 밀착결합되도록 체결볼트(34)에 체결너트(56)로 체결시켜 결합하고,
    아래의 하부 착탈공(54)은 상기 밀착면(52)의 반대면으로 체결볼트(34)에 체결너트(56)로 체결시켜 결합하며,
    상기 체결볼트(34)에는 키이(35)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착탈공(53)과는 밀착면(52) 방향에 형성된 키이홈(531)과 결합하고, 상기하부 착탈공(54)과는 상기 1단 착탈공(53)의 키이홈(531)과 반대면에 형성된 키이홈(541)과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카.
  4. 전후의 바디프레임(1,1')과 좌우의 사이드프레임(2,2')이 조립되는 베이스파트(10)와, 베이스파트(10)와 체결부(40)를 통해, 합체 분리되며, 핸들(4)과 안전가드(6)를 구비한 롤링카(20)와, 롤링카(20)에 결합되어 탄력부재(50)로 베이스파트(10)와 연결되는 커넥팅보드(30)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카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1,1')은 탄력부재(50)가 연결되는 연결봉(14,14')과 체결봉(11)(12)을 사이드프레임(2,2')의 조립공(24,24')과 체결공(21)(22)에 각각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체결봉(11)(12)과 체결공(21)(22)은 상하 2개로 구성하여 하부 체결봉(11)을 하부 체결공(21)에 결합하여 축으로 역할하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공(21)에 결합된 체결봉(11)을 중심으로 상부 체결봉(12)을 상부 체결공(22)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체결공(22)에 결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22)에는; 하부 체결봉(11)이 삽입되는 체결공(21)과 동심원의 원호로 이루어지고 상부 체결공(22)과 연통되는 안내홈(23)을 형성하여, 하부 체결봉(11)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상부 체결봉(12)을 상기 안내홈(23)에 삽입시켜 상부 체결공(22)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카.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50)는; 2줄의 고리형태로 된 탄력로프(8)를 고정볼(81)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탄력로프(8)의 고정볼(81)을 커넥팅보드(30)의 설치공(7,7')에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카.
KR2020220000869U 2022-04-11 2022-04-11 스프링 카 KR202300019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69U KR20230001987U (ko) 2022-04-11 2022-04-11 스프링 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69U KR20230001987U (ko) 2022-04-11 2022-04-11 스프링 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87U true KR20230001987U (ko) 2023-10-18

Family

ID=8850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869U KR20230001987U (ko) 2022-04-11 2022-04-11 스프링 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987U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769U (ko) 1998-02-10 1998-04-30 김홍선 승물 놀이구
KR19990034951U (ko) 1999-05-17 1999-09-06 하일광 시이소및점프겸용승용차완구.
KR200168832Y1 (ko) 1999-07-26 2000-02-15 김홍선 승물놀이구의안전장치
KR200267313Y1 (ko) 2001-10-15 2002-03-09 주식회사 금보상사 승물놀이구의 쿠션커버
KR200271313Y1 (ko) 2001-10-24 2002-04-10 일 광 하 미끄럼방지메트가 설치된 스프링 시이소 놀이기구
KR200288479Y1 (ko) 2002-05-31 2002-09-10 일 광 하 점프 겸용 승용완구의 점핑장치
KR20080006669U (ko) 2007-06-26 2008-12-31 주식회사 금보상사 승용물의 체결볼트 조립구조
KR100916840B1 (ko) 2008-04-25 2009-09-14 일 광 하 유아용 흔들 놀이기구
KR101577421B1 (ko) 2014-07-21 2015-12-15 (주)코니스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769U (ko) 1998-02-10 1998-04-30 김홍선 승물 놀이구
KR19990034951U (ko) 1999-05-17 1999-09-06 하일광 시이소및점프겸용승용차완구.
KR200168832Y1 (ko) 1999-07-26 2000-02-15 김홍선 승물놀이구의안전장치
KR200267313Y1 (ko) 2001-10-15 2002-03-09 주식회사 금보상사 승물놀이구의 쿠션커버
KR200271313Y1 (ko) 2001-10-24 2002-04-10 일 광 하 미끄럼방지메트가 설치된 스프링 시이소 놀이기구
KR200288479Y1 (ko) 2002-05-31 2002-09-10 일 광 하 점프 겸용 승용완구의 점핑장치
KR20080006669U (ko) 2007-06-26 2008-12-31 주식회사 금보상사 승용물의 체결볼트 조립구조
KR100916840B1 (ko) 2008-04-25 2009-09-14 일 광 하 유아용 흔들 놀이기구
KR101577421B1 (ko) 2014-07-21 2015-12-15 (주)코니스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5803C (en) Releasable and securable mobile
US7037170B2 (en) Toy accessory
EP1991091B1 (en) Safety bow for a children's chair
US5071149A (en) Go-cart for children
US20080012409A1 (en) Baby jumper
KR101951178B1 (ko)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KR101826311B1 (ko) 놀이기구용 개선된 안전바 장치
KR20230001987U (ko) 스프링 카
CN209776672U (zh) 具牵引装置的儿童扭扭车
KR200273649Y1 (ko) 어린이용 승좌형 놀이구
KR101286618B1 (ko) 연결형 자전거
KR200346528Y1 (ko)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KR200288479Y1 (ko) 점프 겸용 승용완구의 점핑장치
JPH0347287A (ja) 小供用乗物
KR20080005282U (ko) 안정성을 강화한 기능성 트렘폴린
KR20050059767A (ko)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KR200346527Y1 (ko) 차량의 어린이용 안전시트
CN219050214U (zh) 一种多功能儿童蹦床
KR200209460Y1 (ko) 승물 놀이구
KR200168832Y1 (ko) 승물놀이구의안전장치
KR200344089Y1 (ko) 승용완구
JP3031682U (ja) トランポリン付きジャングルジム
KR102333805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KR200478883Y1 (ko) 텐션 승용놀이구
KR0129751Y1 (ko) 어린이용 승물 놀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