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421B1 -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 Google Patents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421B1
KR101577421B1 KR1020140092167A KR20140092167A KR101577421B1 KR 101577421 B1 KR101577421 B1 KR 101577421B1 KR 1020140092167 A KR1020140092167 A KR 1020140092167A KR 20140092167 A KR20140092167 A KR 20140092167A KR 101577421 B1 KR101577421 B1 KR 10157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wing
pair
ho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만종
Original Assignee
(주)코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니스 filed Critical (주)코니스
Priority to KR1020140092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2Cradle swing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프레임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승용놀이기구의 프레임부에 받침부재를 매달 수 있는 그네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그네 또는 승용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 A riding play implement with swing }
본 발명은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프레임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승용놀이기구에 받침부재를 매달 수 있는 그네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그네 또는 승용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흔들 놀이기구는 유아가 앉을 수 있는 몸체의 하측 전후방에 각각 한 쌍의 바퀴를 축에 결합하여 자유 회전되게 설치한 각종 동물 혹은 자동차 모양 등으로 형성된 승용물과, 승용물의 하측에 결합되는 고정대판 및 고정대판의 사방과 상단이 인장스프링으로 연결 구성되는 지주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런 구성의 경우 고정대판에 승용물을 결합한 상태에서 유아가 승용물에 앉아서 흔들 때 고정대판의 사방과 지주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인장스프링이 신축되면서 승용물의 상하 혹은 좌우 등으로 흔들리게 하는 구성으로 유아들이 흔들 놀이를 즐길 수 있게 하며, 고정대판에서 승용물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한 것이다.
상기한 유아용 흔들 놀이기구는 연령대에 따라서 혹은 유아의 선호도에 따라서 승용물 혹은 흔들 놀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흔들 놀이기구의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6840호에는 유아용 흔들 놀이기구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조립공을 형성하고 이들 조립공에는 지지핀을 대칭되게 설치하며, 조립공 측방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경사면의 측방에는 스프링접지부를 수평되게 함몰 형성한 고정대판과; 상단에 걸고리를 형성하고, 그 하측으로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부 및 스프링접지부와 대응하는 스프링조립부를 형성하며, 상기 각 지지핀에 걸고리를 걸어서 고정하는 4개의 다리와; 상기 고정대판과 4개의 다리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고정대판을 탄성 지지하는 텐션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6840호에 기재된 기술은 흔들 놀이기구 기능밖에 없어서,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이나 놀이시설에서 어린이의 요구에 따라 승용놀이기구, 그네 등의 다양한 종류의 놀이기구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68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프레임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승용놀이기구에 받침부재를 매달 수 있는 그네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그네 또는 승용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를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부는 한 쌍의 제1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 상부면에는 조임부재가 결합되는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둘레에는 상기 제1연결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임부재가 결합되는 제2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에는 상기 받침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네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그네부는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의 중앙부에 구비된 설치관에 삽입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그네봉과, 상기 그네봉의 하단에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제2연결구에 결합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상기 설치관이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관의 하측에는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보강봉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보강봉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관의 하단에는 상기 설치관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된 마감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의 하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관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봉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 및 체결홀을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는 "X"형상의 제3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 단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의 결림턱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에는 상기 받침부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네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그네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는 두 쌍의 지지봉과, 상기 두 쌍의 지지봉 중 한 쌍의 지지봉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그네봉과, 상기 그네봉의 하단에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받침부재의 둘레에 형성된 제2연결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면 상측은 상기 연결부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 하측은 상기 제2연결구의 하부에서 설치되는 조임부재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면 하측 및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조임부재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프레임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승용놀이기구에 받침부재를 매달 수 있는 그네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그네 또는 승용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부를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를 그네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한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제1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그네로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연결부, 연결구 및 조임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탄성부재에 주름관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에 자동차를 설치하여 승용놀이기구 및 그네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를 그네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도 2에 도시한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제1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그네로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연결부, 연결구 및 조임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의 탄성부재에 주름관을 설치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에 자동차를 설치하여 승용놀이기구 및 그네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프레임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승용놀이기구에 받침부재를 매달 수 있는 그네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그네 또는 승용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와 받침부재(20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부(100)는 한 쌍의 제1프레임(110)과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110)의 양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120)의 양측 단부에는 고정돌기(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110)에는 상기 고정돌기(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0)에 제2프레임(120)이 끼워져 고정돌기(122)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홈(112)의 양측에는 걸림돌기(11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22)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124)이 형성되어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50)를 승용놀이기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200)가 상기 프레임부(100)에 코일스프링, 탄성고무 등의 탄성부재(300)에 의해 연결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10)의 상부면에는 제1연결구(116)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200)의 둘레에는 제2연결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300)의 양측 단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구(116) 및 제2연결구(210)에 결합되는 조임부재(118,220)에 의해 탄성부재(300)가 프레임부(100)와 받침부재(200)를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링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300)의 일측 단부를 상기 조임부재(118)의 나사부에 끼우고, 상기 조임부재(118)를 상기 제1프레임(110)의 제1연결구(116)에 결합하고, 상기 링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300)의 타측 단부를 상기 조임부재(220)의 나사부에 끼운 후 상기 조임부재(220)를 상기 받침부재(200)의 제2연결구(210)에 결합함으로써 받침부재(200)가 프레임부(100)에 설치되게 되어 받침부재(200)가 상, 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상부에 어린아이가 탑승하는 자동차 등의 승용완구(10) 등을 설치하여 승용놀이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50)를 그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제1프레임(110)에 받침부재(2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네부(4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구(116)와 제2연결구(21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00)는 제거한다.
이때, 상기 그네부(400)는 상기 제1프레임(11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설치관(130)에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봉(410)과, 상기 지지봉(41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420)과, 상기 연결봉(4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네봉(430)과, 상기 그네봉(430)의 단부에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200)에 설치되는 연결부(44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지지봉(410)과 연결봉(420)의 사이에는 제1연결부재(4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연결부재(412)의 하부에는 지지봉결합구(414)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410)이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412)의 측부에는 연결봉결합구(416)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420)이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그네봉(430)의 상단에는 힌지공(43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420)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그네로서 놀이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그네봉(430)의 하부에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결부(44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재(220)에 의해 받침부재(200)의 제2연결구(2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2연결구(210)는 상기 연결부(440) 및 조임부재(2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제2연결구(210)의 내주면 상측은 상기 연결부(44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210)의 내주면 하측은 상기 조임부재(22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단턱(21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210)의 내주면 하측과 상기 연결부(44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부재(220)가 제2연결구(210) 및 연결부(440)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440)를 상기 제2연결구(210)의 상측에서 삽입하여 단턱(212)에 안착되도록 하고, 상기 조임부재(220)를 제2연결구(210)의 하측에서 결합하여 제2연결구(210) 및 연결부(4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부재(200)가 그네부(400)에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봉(410)이 보다 견고하게 받침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프레임(110), 지지봉(410)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공(412) 및 상기 지지봉(410)의 체결공(412)에 대응되도록 설치관(130)의 상측에 형성된 체결홀(133)을 관통하도록 제1체결부재(130a)를 체결하여 지지봉(410)이 제1프레임(11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관(130) 및 제1프레임(110)을 관통하도록 제2체결부재(130b)를 체결하여 설치관(130)이 제1프레임(11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설치관(130)의 하부에는 관통공(131)이 형성되어 보강봉(140)이 결합되고, 상기 보강봉(140)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부재(142)를 결합하여 제1프레임(110)의 세로홈 및 가로홈(104,106)에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를 그네로 사용함에 따라 지지봉(410)이 좌, 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설치관(130)을 제1프레임(110)에 설치하기 이전에 설치관(130)에 보강봉(140)을 결합하고, 보강봉(140)의 양측 단부에 결합부재(142)를 결합한 후에 제1프레임(110)의 내측에 형성된 설치홈(102), 세로홈(104) 및 가로홈(106)에 압입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강봉(140)의 양측부에 보강봉(140) 및 제1프레임(110)을 관통하도록 고정볼트(146)를 체결하여 보강봉(140)이 보다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설치관(130)의 하부에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 부닥면에는 상기 설치관(130)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134)가 형성된 마감부재(132)가 구비되어 설치관(13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마감부재(132)의 양측 내측면 상부에는 끼움구(136)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110)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는 상기 끼움구(136)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홈(108)이 형성되어 마감부재(132)가 상기 제1프레임(110)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5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부(100')는 "X"형상의 제3프레임(150)과, 상기 제3프레임(150)의 각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152)와, 상기 지지부재(152)의 상측에 설치되는 기둥부재(16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부재(152)의 측면에는 프레임결합구(154)가 형성되어 제3프레임(150)의 단부가 결합되고, 지지부재(152)의 상측에는 기둥부재결합구(156)가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160)가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50')를 승용놀이기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재(200')가 상기 프레임부(100')에 코일스프링, 탄성고무 등의 탄성부재(300')에 의해 연결 설치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300')의 양측 단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기둥부재(160)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받침부재(200')의 하부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160)에는 걸림턱(164)이 형성되어 탄성부재(300')가 기둥부재(160)의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160)의 상부에는 고정부재(162)가 설치되어 탄성부재(300')의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50')를 그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고정부재(162)에 받침부재(2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네부(4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160)와 받침부재(200')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300')는 제거한다.
한편, 상기 그네부(400')는 상기 고정부재(162)의 상단에 형성된 설치공(166)에 설치되는 두 쌍의 지지봉(410')과, 상기 두 쌍의 지지봉(410') 중 한 쌍의 지지봉(410')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412')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412')를 연결하는 연결봉(420')과, 상기 연결봉(4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네봉(430')과, 상기 그네봉(430')의 단부에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200')에 설치되는 연결부(4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12')는 하부에 양측으로 지지봉 결합구(414')가 형성되어 지지봉(410')이 결합되고, 연결부재(412')의 측면에는 연결봉결합구(416')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420')이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그네봉(430'), 연결부(44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승용놀이기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받침부재(200,200')의 상부에 자동차 등의 승용완구(10)를 올려놓게 되므로 승용완구의 바퀴가 안착되는 안치홈(240)을 형성하여 승용완구가 보다 견고하게 안치될 수 있도록 하고, 받침부재(200,200')의 양측면에는 발판(230)을 형성하여 어린아이가 안정적으로 승용완구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00,300')의 외측에는 주름관(310)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사용 시 탄성부재(300,300')에 의해 다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50,50')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프레임부(100,100')에 탄성부재(300,300')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재(200,200')로 이루어지는 승용놀이기구의 프레임부(100,100')에 받침부재(200,200')를 매달 수 있는 그네부(400,400')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그네 또는 승용놀이기구(50,50')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프레임부(100)를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프레임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승용놀이기구의 프레임부에 받침부재를 매달 수 있는 그네부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그네 또는 승용놀이기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50,50': 그네 겸용 스프링카 100,100': 프레임부
102: 설치홈 104,106: 홈부
108: 끼움홈 110: 제1프레임
112: 고정홈 114: 걸림돌기
116: 제1연결구 118: 조임부재
120: 제2프레임 122: 고정돌기
124: 걸림홈 130: 설치관
131: 관통공 132: 마감부재
134: 결합구 136: 끼움구
140: 보강봉 142: 결합부재
144: 결합공 150: 제3프레임
152: 지지부재 154: 프레임결합구
156: 기둥부재결합구 160: 기둥부재
162: 고정부재 164: 걸림턱
166: 설치공 200,200': 받침부재
210,210': 제2연결구 220,220': 조임부재
230: 발판 240: 안치홈
300: 탄성부재 400,400': 그네부
410,410': 지지봉 420,420': 연결봉
430,430': 그네봉 440,440': 연결부

Claims (13)

  1.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그네부와,
    상기 그네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부는 한 쌍의 제1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의 양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네부는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의 중앙부에 구비된 설치관에 삽입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한 쌍의 지지봉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그네봉과,
    상기 그네봉의 하단에 양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재의 제2연결구에 결합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양측 상부면에는 조임부재가 결합되는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둘레에는 상기 제1연결구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임부재가 결합되는 제2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중앙부에는 상기 설치관이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관의 하측에는 제1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보강봉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보강봉의 양측 단부에는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관의 하단에는 상기 설치관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가 형성된 마감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하측에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관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봉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 및 체결홀을 관통하는 제1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9.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그네부와,
    상기 그네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부는 "X"형상의 제3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의 각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그네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설치공에 설치되는 두 쌍의 지지봉과,
    상기 두 쌍의 지지봉 중 한 쌍의 지지봉의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그네봉과,
    상기 그네봉의 하단에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받침부재의 둘레에 형성된 제2연결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기둥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 단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의 결림턱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면 상측은 상기 연결부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 하측은 상기 제2연결구의 하부에서 설치되는 조임부재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의 내주면 하측 및 상기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조임부재가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KR1020140092167A 2014-07-21 2014-07-21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KR10157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167A KR101577421B1 (ko) 2014-07-21 2014-07-21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167A KR101577421B1 (ko) 2014-07-21 2014-07-21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421B1 true KR101577421B1 (ko) 2015-12-15

Family

ID=5502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167A KR101577421B1 (ko) 2014-07-21 2014-07-21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4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8792A1 (en) * 2021-05-04 2022-11-16 Benjamin Beja Lezama Simple pendulum system with controlled oscillation and trajectory
KR20230001987U (ko) 2022-04-11 2023-10-18 안정호 스프링 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461Y1 (ko) 1998-02-10 2001-04-02 김홍선 승물놀이구
KR101389926B1 (ko) 2012-05-11 2014-04-29 시남근 스탠드형 보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461Y1 (ko) 1998-02-10 2001-04-02 김홍선 승물놀이구
KR101389926B1 (ko) 2012-05-11 2014-04-29 시남근 스탠드형 보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88792A1 (en) * 2021-05-04 2022-11-16 Benjamin Beja Lezama Simple pendulum system with controlled oscillation and trajectory
KR20230001987U (ko) 2022-04-11 2023-10-18 안정호 스프링 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7170B2 (en) Toy accessory
US4084812A (en) Playground swing apparatus
US5326337A (en) Gymnastic assembly for small children
US20080012409A1 (en) Baby jumper
US9204733B2 (en) Child's walking and jumping device
US9132307B2 (en) Trampoline swingset suspension
US20090085389A1 (en) Swing chair
EP3017851B1 (en) Generation swing seat
KR101577421B1 (ko) 그네 겸용 승용놀이기구
US9168461B1 (en) Bouncer swing
US9185994B2 (en) Compact jumper
US20160088954A1 (en) Compact jumper
US3459423A (en) Torsion bar swing construction
US6482066B1 (en) Mobile mobiles
US5004216A (en) Spring connection assembly
US6811065B1 (en) Auto activity center with toy and baby bottle tether
KR101539351B1 (ko) 유아용 텐트
US20020077020A1 (en) Device and method for entertaining a child in an automobile
CN205144108U (zh) 一种婴幼儿用的360°旋转座位装置
WO2012094510A2 (en) Frame assembly & connector apparatus
JP3203714U (ja) 揺動遊戯具
US20170273474A1 (en) Infant chair
US20180186396A1 (en) Miniaturized baby walker
KR100916840B1 (ko) 유아용 흔들 놀이기구
KR200209461Y1 (ko) 승물놀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