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961U - 누수 누취 방지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누수 누취 방지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961U
KR20230001961U KR2020220000831U KR20220000831U KR20230001961U KR 20230001961 U KR20230001961 U KR 20230001961U KR 2020220000831 U KR2020220000831 U KR 2020220000831U KR 20220000831 U KR20220000831 U KR 20220000831U KR 20230001961 U KR20230001961 U KR 202300019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lid
rotating shaft
dry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08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김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국 filed Critical 김진국
Priority to KR20202200008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961U/ko
Publication of KR20230001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96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1Fixing of the stirrer to th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8Stirring or kn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07Lids or covers with filling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489Refuse receptacles adapted or modified for gathering compostable domestic ref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제습기 방식으로 음식물의 수분을 물로 응축하여 제거하여, 처리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지 않으면서, 건조교반통을 덮고 있는 뚜껑에 음식물의 냄새를 분해하여 제거해 주는 활성탄 필터를 장착시켜, 음식물의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면서, 또 음식물의 수분이 건조교반용 회전축을 통하여 건조교반용 모터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모터를 포함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수명을 대폭 향상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보급 확산 및 음식물 쓰레기 퇴출량 감소에 크게 기여할 것이 기대된다.

Description

누수 누취 방지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omitted}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냄새가 나지 않으면서[누취방지형], 음식물을 분쇄교반할 때, 음식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분쇄교반용 회전축을 통하여 분쇄교반용 모터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 중 싱크대의 배수구에 음식물 분쇄장치를 구비시켜 배수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뒤 하수구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방식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의 물과 함께 분쇄장치로 흡입하여 처리장치에 구비된 분쇄날을 이용해 잘게 분쇄 시킨 후 하수구로 오수와 함께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또 다른 방식으로 건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식이 있는데, 이 방식은 음식물쓰레기를 처리기에 구비된 건조통에 넣어 이것을 건조시키면서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과 냄새를 내장된 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 또한 음식물쓰레기의 악취를 필터에서 걸러낸다고 하지만 실내 공기 오염에 대한 염려를 불식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과 주기적으로 들어가는 필터 비용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가 안고 있는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음식물을 처리하는 동안에는 처리기 내부의 공기를 처리기 외부로 내보내지 않고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면서 수분을 제습기 원리를 이용해 저수통에 물로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싱크대에 버릴 수 있게 하였고,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뚜껑에 활성탄 필터를 착탈식으로 장착하여 외부로 냄새가 누취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 음식물을 분쇄교반 하는 건조교반통내의 수분이 분쇄교반용 회전축을 통하여 하부에 구성한 모터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본 고안에 있어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크게는 건조 교반통과 제습모듈을 포함하는 본체[3.1]와 뚜껑[Top Cover Unit][3.2]으로 구성된다. 본체에는 베이스가 있어 여기에 분쇄 교반용 모터[3.1.1]와 히터[3.1.2]가 장착되고 제어모듈[3.1.3]과 저수통[3.1.4]이 결합된다. 제습모듈[3.1.5]도, 본체에 결합되고, 제습모듈의 내부에는 냉각 및 방열용 방열판[3.1.6], 방열팬[3.1.7], PTC히터, 송풍팬이 장착된다. 또 제습모듈에 구비된 송풍구와 흡입구는 상기 뚜껑에 구비된 송풍구[1.3]와 흡입구[1.4]에 누설방지용 오링[O·ring]을 통하여 결합된다. 건조 교반통은 분쇄교반용 모터[3.1.1]에 착탈식 으로 결합 되고 히터로부터 건조에 필요한 열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어모듈에는 분쇄 교반용모터, 히터, 방열팬, 송풍팬, 온·습도 센서, 도어센서 및 키보드가 연결되어 제어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 마이콤이 각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를 최적상태로 제어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건조하면서 발생되는 습기를 제습기 방식으로 물로 응축하여 저수통에 모아서 버리기 때문에 건조시간이 빠를 뿐 아니라, 처리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누출하지도 않으며, 뚜껑에 활성탄 필터를 착탈식으로 내장시켜 음식물 쓰레기 냄새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음식물 처리기의 보급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이 예상되며, 친환경적이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것이 예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누취 방지 구조가 뚜껑에 구성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누수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누수방지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펼쳐 놓은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뚜껑과, 본체에 구성한 건조교반통의 밀폐도를 높이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부호의 설명>
1.1 뚜껑
1.2 건조교반통의 밀폐용 오·링[O-ring]
1.3 송풍구 밀폐용 오·링
1.4 흡입구 밀폐용 오·링
1.5 착탈식 활성탄 필터
1.6 활성탄 필터 커버
2.1 건조교반통
2.2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
2.2.1 회전축시스템의 내부 회전축
2.3 회전축 시스템 결합용 조인트
2.4 가이드 원통형 상단에 올려 놓는 오·링
2.5 와샤
2.6 볼트스크류
3.1 본체
3.1.1 분쇄교반용 모터
3.1.2 히터
3.1.3 제어모듈
3.1.4 저수통
3.1.5 제습모듈
3.1.6 냉각 및 방열용 방열판
3.1.7 방열팬
3.2 뚜껑
4.1 건조교반통
4.1.1 건조교반통의 가이드 원통형 턱
4.2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
4.2.1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의 내부 회전축
4.3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 결합용 조인트
4.4 오·링
4.5 와샤
4.6 볼트스크류
5.1 뚜껑에 구성한 순철편 또는 자석
5.2 본체에 구성한 자석 또는 순철편
5.3 뚜껑에 구성한 홀센서
5.4 본체에 구성한 홀센서용 자석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는 음식물을 건조 및 분쇄·교반하기 위한 건조교반통[2.1]이 구성되는데, 건조교반통 내에 구성되어 음식물을 분쇄·교반하기 위한 분쇄 교반용 회전축시스템[2.2]이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분쇄교반한다. 또 상기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은 상기 건조교반통에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건조교반통의 하부에 구성되는 건조교반용 모터에는 회전축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문제는 회전축 시스템이 상기 건조교반통과 결합될 때에 건조교반통은 회전하지 않고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은 회전하는 구조로 결합되기 때문에 그 결합방식에 따라,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분쇄교반용 회전축시스템의 내부회전축을 통하여 모터로 누수 되는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절대 누수될 수 없는 구조로 결합된다. 건조교반통의 내부 하부 중앙에 가이드 원통형의 턱을 구성한 후 그 원통에 회전축시스템의 내부회전축[2.2.1]을 끼워 넣어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 원통형의 상단에 턱을 한번 더 구성한 후, 상기에 가이드 원형통형의 상단에 오·링[O·ring][2.4]을 올려놓은 후 그 위에 와셔[2.5]를 올려놓고, 상기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의 내부 회전축을 끼워 넣어서 회전축결합용 조인트[2.3]를 볼트스크류[2.6]로 조여서 결합하면, 상기 O·ring에서, 누수가 방지되고 회전마찰은 상기 와셔에서 미세하게 발생한다. 또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음식물을 처리할 때에는 음식물 처리기 내부의 공기 및 습기를 외부로 내보내지 않고 내부에서 물로 응축하여 저수통에 보관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냄새 유출[누취]이 적다고 하나, 근본적으로 Zero화하기 위해서, 냄새를 내부에서 분쇄하여 없애주는 역할을 하는 활성탄필터[1.5]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내부에 착탈식으로 장착한 것이다. 상기 건조교반통과 뚜껑이 접하는 면의 뚜껑에 활성탄필터용 커버[1.6]를 열고, 활성탄필터를 착탈식으로 장착하여, 제습후의 건조한 공기가 상기 활성탄 필터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건조교반통 내의 냄새를 제거하였다. 또 건조교반통[2.1]과 뚜껑이 접히는 건조교반통의 테두리에 안착할 수 있는 실리콘 오링[2.1]을 뚜껑에 구성하여 건조교반통을 밀폐시켜서 건조교반통내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그 밀폐도를 높이기 위하여 뚜껑에는 순철편 또는 자석[5.1]을 구성하고, 본체의 상기 순철편 또는 자석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자석 또는 순철편[5.2]을 구성하여 뚜껑이 닫히면 뚜껑에 구성한 상기 순철편 또는 자석[5.1]과 본체에 구성한 자석 또는 순철편[5.2]이 서로 당기는 힘을 작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문이 닫힌 것을 인식하는 방법은 뚜껑에 홀센서[Hall Sensor][5.3]를 구성하고 상기 홀센서와 마주보는 위치의 본체에는 홀센서용 자석[5.4]을 구성하여 뚜껑이 닫힌 것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또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에 구성한 흡입구와 송풍구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뚜껑에는 오링[1.3,1.4]을 구성해서, 이곳으로의 음식물 냄새 유출을 방지 하고 있다.
1.1 뚜껑
1.2 건조교반통의 밀폐용 오·링[O-ring]
1.3 송풍구 밀폐용 오·링
1.4 흡입구 밀폐용 오·링
1.5 착탈식 활성탄 필터
1.6 활성탄 필터 커버
2.1 건조교반통
2.2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
2.2.1 회전축시스템의 내부 회전축
2.3 회전축 시스템 결합용 조인트
2.4 가이드 원통형 상단에 올려 놓는 오·링
2.5 와샤
2.6 볼트스크류
3.1 본체
3.1.1 분쇄교반용 모터
3.1.2 히터
3.1.3 제어모듈
3.1.4 저수통
3.1.5 제습모듈
3.1.6 냉각 및 방열용 방열판
3.1.7 방열팬
3.2 뚜껑
4.1 건조교반통
4.1.1 건조교반통의 가이드 원통형 턱
4.2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
4.2.1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의 내부 회전축
4.3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 결합용 조인트
4.4 오·링
4.5 와샤
4.6 볼트스크류
5.1 뚜껑에 구성한 순철편 또는 자석
5.2 본체에 구성한 자석 또는 순철편
5.3 뚜껑에 구성한 홀센서
5.4 본체에 구성한 홀센서용 자석

Claims (3)

  1. 건조교반통과 분쇄교반용 회전축시스템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건조교반통의 밑면 중앙부에 가이드 원통형의 턱을 구성하고, 상기 분쇄교반용 회전축 시스템의 내부 중심부에는 내부축을 구성한 후, 상기 가이드 원통형의 턱위에 O링을 올려놓은 후 그 위에 와샤를 올려놓고 상기 회전축시스템의 내부축을 끼워 넣은 다음 회전축 결합용 조인트와 상기 회전축시스템의 내부축을 볼트스크류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건조교반통과 분쇄교반용 회전축시스템을 결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건조교반통과 제습모듈 및 저수통이 구성되고, 뚜껑에는 활성탄필터[Active Charcoal Filter]가 착탈식으로 구성되고 또 상기 건조교반통과 뚜껑이 접촉되는 부위의 뚜껑에는 밀폐용 실리콘링을 구성해서 음식물쓰레기의 냄새가 상기 활성탄 필터로만 흡수되고,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순철편 또는 자석을 구성한 후 상기 순철편 또는 자석[5.1]과 마주보는 위치의 본체에는 자석 또는 순철편[5.2]을 구성하여, 뚜껑이 닫히면 상기 뚜껑과 상기 본체가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본체에 구성한 건조교반통의 밀폐도를 더욱 향상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20220000831U 2022-04-05 2022-04-05 누수 누취 방지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2300019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31U KR20230001961U (ko) 2022-04-05 2022-04-05 누수 누취 방지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0831U KR20230001961U (ko) 2022-04-05 2022-04-05 누수 누취 방지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961U true KR20230001961U (ko) 2023-10-13

Family

ID=8829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0831U KR20230001961U (ko) 2022-04-05 2022-04-05 누수 누취 방지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96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366B1 (ko) 거름통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5634600A (en) Refuse processing machine
KR10089363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001961U (ko) 누수 누취 방지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06255592A (ja) 生ごみ処理機
KR102332911B1 (ko) 진공건조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085238A (ja) 厨芥処理装置
JP3675367B2 (ja) 厨芥処理装置
KR0153510B1 (ko) 음식물 쓰레기용 발효 처리기
JP2003260442A (ja) 厨芥処理装置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0266730B1 (ko) 부엌쓰레기처리기
JP3246102B2 (ja) 生ゴミ処理機
KR102405271B1 (ko) 동물 사체 처리기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KR2019014184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06343947A (ja) 厨芥処理機
TWM579877U (zh) Environmentally-friendly composting machine with high sealing degree feeding and discharging cover
KR10234218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227918B2 (ja) 厨芥処理機
JP3298293B2 (ja) 厨芥処理機
JP2003275712A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360296Y1 (ko) 잔반 처리장치
KR2023010161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2119939A (ja) 厨芥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