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500A -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500A
KR20230001500A KR1020220043341A KR20220043341A KR20230001500A KR 20230001500 A KR20230001500 A KR 20230001500A KR 1020220043341 A KR1020220043341 A KR 1020220043341A KR 20220043341 A KR20220043341 A KR 20220043341A KR 20230001500 A KR20230001500 A KR 20230001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refrigeration
vacuum insulation
inner cas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365B1 (ko
Inventor
김정래
Original Assignee
김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래 filed Critical 김정래
Priority to KR102022004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3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B65D81/38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the external tray being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2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B65D81/38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the external tray being formed of different materials, e.g. laminated or foam filling betwee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단열재를 이용하여 경량으로 구성하면서도 진공단열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는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도록 형성된 몸체외부케이스;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몸체내부케이스; 및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와 상기 몸체내부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몸체진공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내부케이스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와 상기 몸체내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진공단열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과 대응하는 상기 몸체진공단열재의 외피층에 형성되는 손상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PACKING CONTAINER HAVING COOLING INSULATION}
본 발명은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단열재를 이용하여 경량으로 구성하면서도 진공단열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종이재로 제작된 박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냉장이나 냉동이 필요한 물품의 경우 아이스박스를 사용하고 있다.
아이스박스는 일정 용적을 갖는 본체와, 이를 덮어줄 수 있는 덮개로 구성되된 것으로 주로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아이스박스는 어느 정도의 단열성을 가지고 있어서 다회 사용이 가능하지만, 단열 특성이 제한적이어서 신선식품, 의약품, 혈액 등과 같이 적정한 냉장 온도나 냉동 온도를 유지하여야 하는 물품의 보관, 운반 및 취급 시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단열성능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근래에는 진공단열재를 사용한 포장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120252호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단열재가 내장된 형태의 '굴곡형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굴곡형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는 내부케이스(110), 외부케이스(120), 진공단열재(130), 보조단열재(140) 및 뚜껑부(150)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케이스(110)는 수용공간(115)이 형성된 용기의 형상을 갖도록 사각의 밑면부(111)와 상기 밑면부(111)의 각 변으로부터 연장되어 측벽을 구성하는 네 개의 측면부(112)로 구성되며, 측면부(112)의 상단 외주면에는 외부케이스(120)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이격공간(123)을 마감하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외부케이스(120)는 밑면부(121)와 네 개의 측면부(122)로 구성된 용기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케이스(110)의 외측면을 감싸 내부케이스(110)와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측면부(122)의 상단부는 내부케이스(110)의 플랜지와 맞물린다.
상기 진공단열재(130)는 물리적 외압에 의해 굴곡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내부케이스(1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보조단열재(140)는 이격공간 내에서 진공단열재(130)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충진되어 보조적인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발포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굴곡형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는 단열특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가 내부에 내장됨에 따라 장시간 동안 냉장이나 냉동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신선식품, 의약품 등과 같이 물품의 보관, 운반 및 취급용 포장용기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종래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는 내부케이스(110)에 고중량의 물품이 수납될 경우 그 하중이 진공단열재(130)에 인가되어 변형을 유발하므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는 운반이나 취급 중 요동으로 고하중의 딱딱한 물품이 부딪치면서 충격력이 인가될 경우 구조적으로 취약한 진공단열재의 외피 부분이 손상되면서 진공상태가 파괴가 되므로 단열작용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0252호 "굴곡형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03-0060191호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종이박스" 한국등록특허 제10-1728767호 "수송용 보냉 컨테이너"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진공단열재를 이용하여 경량으로 구성하면서도 진공단열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단열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수납 물품의 변형이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는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도록 형성된 몸체외부케이스;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몸체내부케이스; 및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와 상기 몸체내부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몸체진공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내부케이스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와 상기 몸체내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진공단열재는 복수의 지지부설치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설치공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는 지지돌부와, 상기 지지돌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몸체내부케이스에 형성되는 돌부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는 상기 몸체내부케이스에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상기 돌부수용부에 삽입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진공단열재는 복수의 지지부설치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설치공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진공단열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과 대응하는 상기 몸체진공단열재의 외피층에 형성되는 손상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편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지지편몸체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는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몸체진공단열재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단열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는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고 커버진공단열재가 구비된 용기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에 의하면, 운반 및 취급과정에서 요동 및 충격 등으로 인해 내부에 수용된 물품의 하중이나 충격력이 몸체내부케이스에 전달되더라도 지지부에 의해 이격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진공단열재에 하중이나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진공단열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에 의하면, 지지부에 의해 완충작용이 수행되므로 진공단열재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중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수납 물품의 변형이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굴곡형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용기본체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용기본체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2 내지 도9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용기본체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는 용기본체부(1)와 이 용기본체부(1)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용기커버부(2)로 이루어진다.
용기본체부(1)는 몸체외부케이스(11), 몸체내부케이스(12), 몸체진공단열부재(13)를 구비하되, 몸체내부케이스(11)에 수납되는 물품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이나 충격을 지지 및 흡수하도록 지지부(14)가 더 구성된 점에 주요한 특징이 있다.
몸체외부케이스(1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도록 제1 밑면부(111)와 제1 측면부(112)로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삼각통, 오각통, 원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외부케이스(11)는 소재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다.
몸체내부케이스(12)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제2 밑면부(121)와 제2 측면부(122)로 형성된 것으로서, 몸체외부케이스(11)의 수용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내부케이스(12)는 소재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된다.
몸체진공단열재(13)는 몸체외부케이스(11)와 몸체내부케이스(12) 사이에 설치되는 박형의 면상단열체로서, 내부에 배치되는 심재(131)의 외부에 알루미늄 필름이나 스테인레스 필름 등의 외피층(132)이 배치되도록 진공 포장하여 제작한 공지의 진공단열재를 제한 없이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심재는 무기섬유, 유기섬유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PE, LLDPE, PP, PVC, PET 등이 사용되지만 소재에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진공단열재(13)는 박형의 면상단열체로 형성된 여러 조각의 진공단열재를 이용하여 몸체내부케이스(12)의 형태에 맞게 5면체 형태가 되도록 조립할 수도 있지만, 도3에서는 접힘부를 갖도록 형성된 단일의 진공단열재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몸체진공단열재(13)는 후술되는 지지부(14)의 설치를 위해 복수의 지지부설치공(13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설치공(133)이 형성된 몸체진공단열재(13)는 제작시에 상하 외피층(132)에 먼저 홀을 천공하고 이 홀이 위치하는 지점에 심재의 배치를 생략한 후 통상의 제조방식에 의해 진공 포장하는 방식으로 제작한다.
한편, 지지부(14)는 몸체내부케이스(12)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지지하도록 몸체외부케이스(11)와 몸체내부케이스(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14)는 지지부설치공(133)에 설치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으로서, 몸체외부케이스(11)와 몸체내부케이스(12)를 지지할 수 있다면 특별히 구조와 형태에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외부케이스(11)의 내면에 형성되는 지지돌부(141)와, 지지돌부(141)가 끼워지도록 몸체내부케이스(12) 형성되는 돌부수용부(1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14)는 몸체내부케이스(12)에 지지돌부가 형성되고, 몸체외부케이스(11)에 돌부수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용기커버부(2)는 용기본체부(1)의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커버진공단열재(13)가 내장되어 상기한 용기본체부(11)와 유사한 보냉 특성을 갖는다면 구조에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커버부(2)는 비교적 물품으로부터 하중이나 충격이 전달되지 않는다면 점을 고려하여 스티로폼 등과 같은 단열 소재로 형성된 커버몸체(21)와, 이 커버몸체(21)의 내면에 결합되는 커버진공단열재(23)로 구성되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확대부는 지지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는 수납되는 물품으로부터 몸체내부케이스(12)에 인가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돌부수용부(142)에 삽입되는 완충부재(143)가 더 구성되어 있다.
완충부재(143)는 몸체내부케이스(12)에 작용되는 하중이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다면 특별히 구조나 형태에 제한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돌부수용부(142)에 내장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143)가 구비되면 몸체내부케이스(12)에 내장된 물품이 운반 등으로 요동되더라도 완충작용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므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는 몸체외부케이스(11)의 내면과 몸체진공단열재(13)의 저면 사이에 보조단열층(15)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단열층(15)은 단열재가 주입되어 채워질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스티로폼과 같은 단열재로 형성된 사각통 형상의 부재가 끼워져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보조단열층(15)이 추가로 구성되면 단열특성이 더욱 향상되어 보냉효과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수행함은 물론이고, 몸체진공단열재(13)의 하부와 면접촉되면서 어느 정도의 완충기능이 부여되므로 손상방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용기커버부(2)는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용기본체부(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커버진공단열재가 내장된 구조라면 구조에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본체부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용기커버부(2)는 비교적 작은 깊이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테두리부가 구비된 커버외부케이스(25), 이 커버외부케이스(25)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판상의 커버내부케이스(26), 커버외부케이스(25)와 커버내부케이스(26)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진공단열재(2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커버부(2)는 커버내부케이스(26)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지지하도록 커버외부케이스(25)와 커버내부케이스(26)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24)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24)는 지지돌부(241), 돌부수용부(242) 및 완충부재(243)으로 구성된 것으로, 세부구성은 전술한 용기본체부(1)에 구비된 형태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용기본체부(1)는 몸체외부케이스(11)의 수용공간에 몸체진공단열부재(13)를 삽입하고, 몸체내부케이스(12)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한다. 이때, 몸체외부케이스(11)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돌부(141)가 몸체진공단열재(13)의 지지부설치공(133)으로 인입되도록 하여 몸체내부케이스(12) 형성된 돌부수용부(142)에 압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용기본체부(1)의 내부에 보냉이 필요한 물품을 투입하고, 커버몸체(21)의 내면에 커버진공단열재(23)가 결합된 용기커버부(2)를 용기본체부(1)의 개구부가 밀폐되도록 닫아 고정하게 되면 포장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반 및 취급과정에서 요동 및 충격 등으로 인해 내부에 수용된 물품의 하중이나 충격력이 몸체내부케이스(12)에 전달되더라도 지지부(14)에 의해 몸체내부케이스(12)에 지지되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커버진공단열재(23)에 하중이나 충격력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진공단열재(23)는 하중이나 충격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단열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또는 서로 다른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 중에서 채용 가능한 구조라면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상 도시는 생략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용기본체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도록 제1 밑면부(111)와 제1 측면부(112)로 형성된 몸체외부케이스(11), 몸체외부케이스(11)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제2 밑면부(121)와 제2 측면부(122)로 형성된 몸체내부케이스(12), 몸체외부케이스(11)와 몸체내부케이스(12) 사이에 설치되는 몸체진공단열재(13), 및 몸체외부케이스(11)와 몸체내부케이스(12)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17)를 구비하되, 지지부(17)는 몸체진공단열재(13) 자체에 구성한 점에 주요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7)가 몸체진공단열재(13)에 구성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단열부재(13)에 지지부설치공을 천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시에 외피층의 접합과정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지지부(17)는 몸체진공단열재(13)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편(171)과, 지지편(171)과 대응하는 몸체진공단열재(13)의 외피층(132)에 형성되는 손상방지부(172)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대, 지지편(171)은 외피층(132)의 손상을 유발하지 않도록 직물지나 실리콘 등과 같은 완충특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171)은 보냉 특성을 향상을 위해 내부에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된 지지편몸체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미도시)이 마련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상방지부(172)는 직물지나 실리콘 등과 같은 완충특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피층(132)에 접합됨으로써 몸체내부케이스(12)로부터 인가되는 하중 및 충격력에 의해 외피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물품의 운반 및 취급과정에서 하중이나 충격력이 몸체내부케이스(12)에 전달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유사하게 지지부(17) 및 손상방지부(17)에 의해 커버진공단열재(23)에 하중이나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게 되므로 커버진공단열재(23)의 변형이나 손상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보냉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도록 제1 밑면부(111)와 제1 측면부(112)로 형성된 몸체외부케이스(11), 몸체외부케이스(11)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제2 밑면부(121)와 제2 측면부(122)로 형성된 몸체내부케이스(12), 몸체외부케이스(11)와 몸체내부케이스(12) 사이에 설치되는 몸체진공단열재(13), 및 몸체외부케이스(11)와 몸체내부케이스(12)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18)를 구비하되, 지지부(18)는 몸체진공단열재(13)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몸체내부케이스(12)로부터 인가되는 하중과 충격력을 흡수,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몸체외부케이스(11) 및 몸체내부케이스(1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되고, 몸체진공단열재(13) 또한 지지부(18)의 설치를 위해 복수의 지지부설치공(133)이 관통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8)는 지지부설치공(13)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최대로 수축된 상태에서의 높이가 몸체진공단열재(13)의 두께와 같거나 커서 몸체내부케이스(12)의 가압력이 몸체진공단열재(13)에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물품의 운반 및 취급과정에서 하중이나 충격력이 몸체내부케이스(12)에 전달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유사하게 지지부(18)에 의해 몸체진공단열재(13)에 하중이나 충격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게 되므로 몸체진공단열재(13)의 변형이나 손상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보냉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8)가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몸체내부케이스(12)의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 내부에 수용된 물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용기본체부
11:몸체외부케이스
12:몸체내부케이스
13:몸체진공단열부재
14,17,18:지지부
15:보조단열층
2:용기커버부
21:커버몸체
23,커버진공단열재
25:커버외부케이스
26:커버내부케이스

Claims (4)

  1.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도록 형성된 몸체외부케이스;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 몸체내부케이스; 및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와 상기 몸체내부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몸체진공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내부케이스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을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와 상기 몸체내부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진공단열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과 대응하는 상기 몸체진공단열재의 외피층에 형성되는 손상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지지편몸체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외부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몸체진공단열재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단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설치되고 커버진공단열재가 구비된 용기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KR1020220043341A 2021-06-28 2022-04-07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KR102602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341A KR102602365B1 (ko) 2021-06-28 2022-04-07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228A KR102440107B1 (ko) 2021-06-28 2021-06-28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KR1020220043341A KR102602365B1 (ko) 2021-06-28 2022-04-07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228A Division KR102440107B1 (ko) 2021-06-28 2021-06-28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500A true KR20230001500A (ko) 2023-01-04
KR102602365B1 KR102602365B1 (ko) 2023-11-16

Family

ID=832797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228A KR102440107B1 (ko) 2021-06-28 2021-06-28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KR1020220043341A KR102602365B1 (ko) 2021-06-28 2022-04-07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228A KR102440107B1 (ko) 2021-06-28 2021-06-28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01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191A (ko) 2002-01-07 2003-07-16 에스아이에스기술(주)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종이박스
JP2003300565A (ja) * 2002-04-11 2003-10-21 Sekisui Plastics Co Ltd 多重断熱容器
KR200461825Y1 (ko) * 2011-04-25 2012-08-20 조세환 휴대용 냉각 저장 장치
JP2012162317A (ja) * 2011-02-09 2012-08-30 Hane:Kk 保冷・保温容器用蓋組立体及び保冷・保温容器
KR20140120252A (ko) 2013-04-02 2014-10-13 오씨아이 주식회사 굴곡형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8767B1 (ko) 2016-09-13 2017-04-20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수송용 보냉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191A (ko) 2002-01-07 2003-07-16 에스아이에스기술(주)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종이박스
JP2003300565A (ja) * 2002-04-11 2003-10-21 Sekisui Plastics Co Ltd 多重断熱容器
JP2012162317A (ja) * 2011-02-09 2012-08-30 Hane:Kk 保冷・保温容器用蓋組立体及び保冷・保温容器
KR200461825Y1 (ko) * 2011-04-25 2012-08-20 조세환 휴대용 냉각 저장 장치
KR20140120252A (ko) 2013-04-02 2014-10-13 오씨아이 주식회사 굴곡형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아이스박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8767B1 (ko) 2016-09-13 2017-04-20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코리아 수송용 보냉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107B1 (ko) 2022-09-05
KR102602365B1 (ko)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91195A (ja) 保冷箱及び保冷箱本体の製造方法
JP2007118972A (ja) 定温保冷ボックスと定温保冷方法
KR102338952B1 (ko) 콜드체인용 의약품 운송 용기
JP2011510875A (ja) 保温容器
JP2018108851A (ja) 断熱容器
KR200471021Y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JP2016196319A (ja) 発泡合成樹脂製冷蔵輸送容器
JP7378979B2 (ja) 定温保管容器
JP2007276817A (ja) 断熱容器
KR102602365B1 (ko) 냉장 또는 냉동용 경량 포장용기
JP6420118B2 (ja) 保冷容器
JP5870252B2 (ja) 冷凍庫
US20180120013A1 (en) Cooler chest interior insulation device and method
JP6305301B2 (ja) 多温度帯収納容器及び多温度帯収納容器の形成方法
US20230064649A1 (en) Insulated specimen container
KR20150000671U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박스형 패키징
JP3080942U (ja) エアークッション付き詰めバッグ
KR20180003115U (ko) 제품 배송용 단열 용기
JP7012873B2 (ja) 冷蔵庫
US20190162461A1 (en) Isothermal container
KR101982638B1 (ko) 신선제품 운송을 위한 슈퍼칠링 패키징 시스템
KR101646059B1 (ko) 냉장 및 냉동 보관용 저장용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배송 대상물의 분류방법
US20010030194A1 (en) Collapsible transport container
JP2020100438A (ja) 恒温構造体
KR102326890B1 (ko) 냉장고 또는 김치냉장고, 및 완충재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