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85U -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85U
KR20230001285U KR2020210003837U KR20210003837U KR20230001285U KR 20230001285 U KR20230001285 U KR 20230001285U KR 2020210003837 U KR2020210003837 U KR 2020210003837U KR 20210003837 U KR20210003837 U KR 20210003837U KR 20230001285 U KR20230001285 U KR 202300012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pressor
cooler
transfer device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961Y1 (ko
Inventor
김학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210003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961Y1/ko
Publication of KR20230001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9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쿨러의 손상이 없이 용이하게 공기압축기의 캐비넷 안으로 이송하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단프레임(1)과; 상기 하단프레임(1) 내에 설치되며 이송체(4)를 탑재하는 지지대(3)를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유압장치(2)와; 상기 지지대(3)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5)과; 상기 수직프레임(5)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6)과; 상기 수평프레임(6)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유압장치(2)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이송체(4)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유압장치(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Air compressor cooler transfer device}
본 고안은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쿨러의 손상이 없이 용이하게 공기압축기의 캐비넷 안으로 이송하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축기는 계기용 공기 IA(Instrument Air) 계통과 공업용 공기 PA(Plant Air) 계통으로 구분되며, 공기압축기, 압축 공기저장조, 공기 건조기, 석션필터(Suction Filter), 오일펌프 및 윤활계통, 오일/에어쿨러(Oil/Air Cooler), 적재시스템(Load/Unload System)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기용 공기는 공기압 구동 밸브의 동력 및 계기 조절용과 Flare Stack 점화용으로 사용되며, 공업용 공기는 수중 연소 기화기(Submerged Combustion Vaporizer)의 교반(Agitation), 로컬핏펌프(Local Pit Pump) 구동용 및 정비 보수용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압축기는 일정 주기를 가지고 분해 점검을 시행하고 있으며, 분해 점검 시 모든 상태를 점검하고 쿨러(Cooler)의 기밀시험을 통해 손상이 발견되면 보수 또는 교체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압축기 분해 점검 시 기밀시험을 위한 인터(Inter), 애프터(After), 오일(Oil) 등 3가지의 쿨러를 압축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차량에 실어 목적지로 옮기는 과정에서 크레인과 싱글벨트(Sling Belt)를 이용하여 분해 및 이송하고 지게차 포크 위에 합판 등을 사용하여 쿨러(Cooler) 면이 손상되지 않게 분리는 하고 있으나 가끔 손상이 발생하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을 살펴본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9157호 '유압선반 공구대 이송장치'는 유압선반의 공구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드(bed)의 마찰안내면(slide way) 역할을 하는 LM 레일과, 상기 LM 레일의 안내면을 따라 왕복하는 LM 블록과, 상기 LM 블록의 상부에 설치되어 새들(saddle) 역할을 하는 새들플레이트와, 상기 새들플레이트위에 구성된 공구대와, 상기 공구대가 새들플레이트에 연결되어진 스토퍼장치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새들과 슬라이더면 사이의 오차가 0.02~0.03 mm 정도이므로 정밀한 기계부품의 가공이 용이하고, 반복사용으로 인해 기계적 수명이 다해서 제품의 오차가 허용오차보다 크게 발생할 시에는 LM 블록과 LM 레일을 교체하여주면 되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수리가 용이하며, 스토퍼장치를 이용하여 공구대의 이송을 제어해 주므로 부품을 보다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가 LM 레일사이에 장착됨으로 인해 왕복대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어서 기존의 유압선반을 소형화로 제작할수 있고 가공라인의 설비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1826호 '터빈 유압작동기의 이송 및 고정장치' 는 터빈 유압작동기의 이송 및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터빈 유압작동기를 좌우로 이송하기 위한 왕복이송유닛과; 상기 유압작동기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상하이송유닛과; 상기 상하이송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윈치와; 상기 왕복이송유닛과 상기 상하이송유닛의 선상을 이동하며, 상기 유압작동기를 들어올리기 위한 호이스트 유닛과; 상기 유압작동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닛과; 상기 유압작동기에서 배출되는 작동유를 보관 및 배출하기 위한 작동유 배출유닛과; 상기 유압작동기의 정비와 성능 진단을 위해 작업자를 상하로 이송하기 위한 작업자 상하이송유닛과; 상기 유압작동기의 시험시 충격과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방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터빈 유압작동기의 이송 및 고정장치는 2m의 크기와 500kg의 고중량인 상기 유압작동기의 정비와 성능평가를 위한 시험시 이송 및 고정을 용이하도록 하여 정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제20-0219157호와 제10-0821826호는 구성이 복잡하여 적용이 용이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쿨러의 이송에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9157호 '유압선반 공구대 이송장치' 등록일자 2001년01월2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1826호 '터빈 유압작동기의 이송 및 고정장치' 등록일자 2008년04월04일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를 해결하고 안출된 것으로 공기압축기 통합 이송 장치를 고안하여 쿨러의 분해 및 조립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 시간 단축 및 분리하는 과정과 조립하는 과정에서 쿨러(Cooler)의 손상을 방지하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단프레임(1)과; 상기 하단프레임(1) 내에 설치되며 이송체(4)를 탑재하는 지지대(3)를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유압장치(2)와; 상기 지지대(3)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5)과; 상기 수직프레임(5)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6)과; 상기 수평프레임(6)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유압장치(2)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이송체(4)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유압장치(8); 를 포함하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압축기 분해 점검 간 쿨러 분해 및 조립 작업을 본 고안의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분해 점검을 더욱 안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쿨러의 분해/조립 시 손상을 방지하여 정비 품질 및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의 수직유압장치의 피스톤이 전개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의 수평유압장치의 피스톤이 전개되어 이송체가 캐비넷 안으로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단프레임(1)과; 상기 하단프레임(1) 내에 설치되며 이송체(4)를 탑재하는 지지대(3)를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유압장치(2)와; 상기 지지대(3)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5)과; 상기 수직프레임(5)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6)과; 상기 수평프레임(6)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유압장치(2)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이송체(4)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유압장치(8); 를 포함하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하단프레임(1)은 본 고안의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의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의 역할을 하며, 상기 수직유압장치(2)를 수납하게 된다. 상기 수직유압장치(2)의 피스톤은 상기 하단프레임(1)의 상부를 관통하며 상기 이송체(4)를 탑재하는 지지대(3)와 연결된다.
상기 이송체(4)는 공기압축기의 쿨러이며, 상기 수직유압장치(2)의 출력은 상기 쿨러를 요구되는 높이 까지 들어올릴 수 있는 수준을 만족해야 한다.
도2는 본 고안의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의 수직유압장치의 피스톤이 전개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유압장치(2)의 피스톤이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체(4)는 상기 수평유압장치(8)와 수평위치로 정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평프레임(6)의 상부에 수평유압장치(8)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7)는 상기 수평프레임(6)의 상부에 결합되는 2~8개의 높이조절나사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캐비넷(10)의 높이와, 수직유압장치(2)의 피스톤의 전개높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나사들을 조절하여 사전에 상기 수평유압장치(8)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의 수평유압장치의 피스톤이 전개되어 이송체가 캐비넷 안으로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유압장치(8)는 상기 이송체(4)를 수평방향으로 밀어내는 피스톤(81)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81)의 말단에는 상기 이송체(4)에 접하여 고른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접촉부(8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유압장치(2)는 상기 수평유압장치(8)의 피스톤(81) 및 접촉부(82)가 이송체(4)인 쿨러를 공기압축기(9)를 수납하는 캐비넷(10)의 상부수납부에 원활히 밀어넣기 위하여 정확한 피스톤의 전개높이로 피스톤을 전개하여야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압축기 분해 점검 간 쿨러 분해 및 조립 작업을 본 고안의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분해 점검을 더욱 안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쿨러의 분해/조립 시 손상을 방지하여 정비 품질 및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하단프레임
2: 수직유압장치
3: 지지대
4: 이송체
5: 수직프레임
6: 수평프레임
7: 높이조절부
8: 수평유압장치
81: 피스톤
82: 접촉부
9: 공기압축기
10: 캐비넷

Claims (4)

  1.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에 있어서,
    하단프레임(1)과;
    상기 하단프레임(1) 내에 설치되며 이송체(4)를 탑재하는 지지대(3)를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유압장치(2)와;
    상기 지지대(3)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5)과;
    상기 수직프레임(5)의 일측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6)과;
    상기 수평프레임(6)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유압장치(2)에 의해 상부로 이송된 이송체(4)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유압장치(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6)의 상부에 수평유압장치(8)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압장치(8)는 상기 이송체(4)를 수평방향으로 밀어내는 피스톤(81)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81)의 말단에는 상기 이송체(4)에 접하여 고른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접촉부(8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7)는 상기 수평프레임(6)의 상부에 결합되는 2~8개의 높이조절나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KR2020210003837U 2021-12-15 2021-12-15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KR200497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37U KR200497961Y1 (ko) 2021-12-15 2021-12-15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37U KR200497961Y1 (ko) 2021-12-15 2021-12-15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85U true KR20230001285U (ko) 2023-06-22
KR200497961Y1 KR200497961Y1 (ko) 2024-04-25

Family

ID=8694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837U KR200497961Y1 (ko) 2021-12-15 2021-12-15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961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805A (ja) * 1984-02-09 1985-08-31 Sanki Eng Co Ltd 回転ラツク用入出庫装置
JPH07125815A (ja) * 1993-10-29 1995-05-16 Nitto Seiko Co Ltd コンテナ自動供給装置
KR960035516A (ko) * 1995-03-30 1996-10-24 배순훈 브이 씨 알의 테이프 로딩 시험장치
KR200219157Y1 (ko) 2000-11-13 2001-04-02 박정근 유압선반 공구대 이송장치
KR20040006536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
KR20060069941A (ko)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카세트테이프 로딩장치
KR100821826B1 (ko) 2006-11-30 2008-04-14 한국전력공사 터빈 유압작동기의 이송 및 고정장치
KR100935105B1 (ko) * 2009-06-01 2010-01-06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압연롤용 자동 적치장치
KR20160139698A (ko) * 2015-05-28 2016-12-07 (주)한성중공업 압연롤 자동화 교체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7805A (ja) * 1984-02-09 1985-08-31 Sanki Eng Co Ltd 回転ラツク用入出庫装置
JPH07125815A (ja) * 1993-10-29 1995-05-16 Nitto Seiko Co Ltd コンテナ自動供給装置
KR960035516A (ko) * 1995-03-30 1996-10-24 배순훈 브이 씨 알의 테이프 로딩 시험장치
KR200219157Y1 (ko) 2000-11-13 2001-04-02 박정근 유압선반 공구대 이송장치
KR20040006536A (ko) * 2002-07-12 2004-01-24 주식회사 포스코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
KR20060069941A (ko) * 2004-12-20 2006-06-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카세트테이프 로딩장치
KR100821826B1 (ko) 2006-11-30 2008-04-14 한국전력공사 터빈 유압작동기의 이송 및 고정장치
KR100935105B1 (ko) * 2009-06-01 2010-01-06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압연롤용 자동 적치장치
KR20160139698A (ko) * 2015-05-28 2016-12-07 (주)한성중공업 압연롤 자동화 교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961Y1 (ko) 202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90395A (zh) 一种闸阀加工装配生产线
US9428372B2 (en) Support assembly
US20140367903A1 (en) Unclamp feedback unit
JP2014008598A (ja) クランプ装置
KR20230001285U (ko) 공기압축기 쿨러의 이송장치
US20160231195A1 (en) Device for inspecting canister for vehicle
KR100959514B1 (ko) 용접용 형강 지그장치
CN107515076A (zh) 一种发动机气缸盖水路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209557787U (zh) 一种管道用吊装装置
JP6504946B2 (ja) 流体機材搬出設備及び流体機材搬出方法
CN207472510U (zh) 一种发动机气缸盖水路检测装置
KR101785880B1 (ko) 발전기의 점검 방법
KR200421010Y1 (ko) 연속식 석탄 하역기의 양방향 체인 롤러 분해 조립용디바이스
KR20090094700A (ko) 밸브 스템 씰 압입장치
KR102495424B1 (ko) 가스 터빈 모듈, 이를 구비하는 가스 터빈 플랜트, 가스 터빈 모듈의 반출 방법, 및 가스 터빈 모듈의 교환 방법
KR101784824B1 (ko) 파이프 검사장치
US10082143B2 (en) Compact package design for compression system
KR20120077076A (ko) 충격시험장치
KR200497545Y1 (ko) 샤프트 마모상태 및 수명상태 측정이 가능한 샤프트 이송지그
CN216967731U (zh) 一种自制推力器维修平台
CN114909274B (zh) 乙二醇项目尾气回收psa往复式压缩机安装方法
CN208945713U (zh) 一种静盘专用夹具
CN108975147A (zh) 多级油缸装配变位装置
US20220348400A1 (en) Gas turbine engine storage and transport container
CN219314423U (zh) 一种自行火炮闩体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