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60U -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 Google Patents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60U
KR20230001260U KR2020210003798U KR20210003798U KR20230001260U KR 20230001260 U KR20230001260 U KR 20230001260U KR 2020210003798 U KR2020210003798 U KR 2020210003798U KR 20210003798 U KR20210003798 U KR 20210003798U KR 20230001260 U KR20230001260 U KR 202300012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unit
gap
measuring
zero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노텍 filed Critical (주)나노텍
Priority to KR2020210003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260U/ko
Publication of KR202300012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01B3/205Slide gauges provided with a counter for digital indication of the measured dimen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2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 G01B3/24Feeler-pin gauges, e.g. dial gauges with open yoke, i.e. cali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ep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게이지에 있어서, 일단에 측정기준부(11)가 설치된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측정표시부(21)이 구비된 측정부(20)와, 일단에 측정포인트(32)가 구비되어 측정부(20) 일측에 결합되는 영점조정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정기준부(11)의 하단에는 접촉부(11c)가 형성되고 측정기준부(11)의 측부에는 갭측정부(11d)가 형성되며, 상기 영점조정부(30)의 측부에는 갭측정부(33)이 형성되며, 상기 측정표시부(21)는, 측정기준부(11)의 접촉부(11c)와 측정포인트(32)간의 거리가 단차로 숫자표시되고, 측정기준부(11)의 갭측정부(11d)와 영점조정부(30)의 갭측정부(33)간의 거리가 갭 숫자로 표시되는 것D으로 피측정물의 단차측정시 빠른 시간내에 단차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측정과 동시에 측정된 단차를 수치로 보여줌으로써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단차측정과 함께 갭의 측정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DIGITAL GAUGE}
본 고안은 단차와 갭의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부품 등의 피측정물에 형성된 단차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버니어캘리퍼스 등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버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단차를 측정하는 방법은 측정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며, 단차를 측정하고 눈금을 확인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많은 피측정물을 측정하기에는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차측정과 함께 갭을 함께 측정할 수 있는 기기는 아직 제시된 바가 없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07380호, '단차측정게이지'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피측정물의 단차측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빠른 시간내에 단차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단차측정과 함께 갭 측정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은 디지털게이지에 있어서, 일단에 측정기준부(11)가 설치된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측정표시부(21)이 구비된 측정부(20)와, 일단에 측정포인트(32)가 구비되어 측정부(20) 일측에 결합되는 영점조정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정기준부(11)의 하단에는 접촉부(11c)가 형성되고 측정기준부(11)의 측부에는 갭측정부(11d)가 형성되며, 상기 영점조정부(30)의 측부에는 갭측정부(33)이 형성되며, 상기 측정표시부(21)는, 측정기준부(11)의 접촉부(11c)와 측정포인트(32)간의 거리가 단차로 숫자표시되고, 측정기준부(11)의 갭측정부(11d)와 영점조정부(30)의 갭측정부(33)간의 거리가 갭 숫자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차측정의 영점설정은, 측정기준부(11)의 접촉부(11c)와 측정포인트(32)간의 거리가 0일 때 영점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갭측정의 영점설정은, 상기 측정기준부(11)의 스토퍼(11a)가 측정부(20)에 맞닿게 되면 영점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0)의 측정기준부(11) 반대편에는 손잡이(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점조정부(30)는 교체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피측정물의 단차측정시 빠른 시간내에 단차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측정과 동시에 측정된 단차를 수치로 보여줌으로써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단차측정과 함께 갭의 측정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디지털게이지를 이용하여 단차를 측정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6는 본 고안의 디지털게이지를 이용하여 갭을 측정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갭측정시 영점이 자동조정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디지털게이지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디지털게이지는 일단에 측정기준부(11)가 설치된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측정표시부(21)이 구비된 측정부(20)와, 일단에 측정포인트(32)가 구비되어 측정부(20) 일측에 결합되는 영점조정부(30)로 이루어 지되, 상기 측정기준부(11)의 하단에는 접촉부(11c)가 형성되고 측정기준부(11)의 측부에는 갭측정부(11d)가 형성되며, 상기 영점조정부(30)의 측부에는 갭측정부(33)이 형성되며, 상기 측정표시부(21)는, 측정기준부(11)의 접촉부(11c)와 측정포인트(32)간의 거리가 단차로 숫자표시되고, 측정기준부(11)의 갭측정부(11d)와 영점조정부(30)의 갭측정부(33)간의 거리가 갭 숫자로 표시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정부(20)는 내측에 몸체부(10)가 설치되어 측정부(20) 내측에서 이동하게 되며, 측정기준부(11)에 의한 단차높이 측정시 몸체부(10)가 측정부(20) 내에서 이동한 거리를 계산하여 단차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측정된 단차는 측정부(20)에 형성된 측정표시부(21)를 통해 디지털로 표시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측정된 단차값을 쉽게 확인가능하도록 한다.
몸체부(10)의 측정기준부(11) 반대편에는 손잡이(12)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디지털게이지를 파지한 상태에서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측정기준부(11)의 전방은 평면이 아니라 중심부에는 홈부(11b)가 형성되고 양단으로는 접촉부(11c)가 형성된 구조이며, 평면 전부가 단차 측정부위에 닫는 경우 흔들리게 되고 그에 따라 정확한 단차측정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음에 따라 양단 2점 방식으로 단차 측정부위에 맞닿게 되는 것이다.
상기 측정기준부(11)에 의한 단차측정시 디지털게이지의 영점을 조정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측정기준부(11)의 측면에는 영점조정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영점조정부(30)는 측정하고자 하는 피측정물의 상태에 맞게 다양한 형상의 영점조정부(30)를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영점조정부(30)를 체결나사(31)에 의해 측정부(20)에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영점조정부(30)에는 측정기준부(11)에 의한 단차측정시 영점이 설정되도록 하는 측정포인트(32)가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디지털게이지를 이용하여 단차를 측정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차측정시 준비단계로 디지털게이지의 영점을 조정하여야 하며, 도 3에서와 같이 측정기준부(11)의 접촉부(11c)와 영점조정부(30)의 측정포인트(32)의 수평높이가 같아지도록 평편한 위치에서 높이를 조절하여 영점을 조정하게 된다.
영점이 조정된 후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단차를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영점조정부(30)의 측정포인트(32)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측정기준부(11)가 하부로 내려오면서 몸체부(10)가 측정부(20)에서 이동하게 되고 몸체부(10)의 이동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피측정물의 단차측정이 이루어진다.
측정된 단차는 측정부(20)에 형성된 측정표시부(21)를 통해 디지털로 표시되어 쉽게 확인 가능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디지털게이지를 이용하여 피측정물의 갭을 측정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디지털게이지는 단차측정과 함께 갭측정이 가능한 것이며, 갭측정을 위한 갭측정부(11d)(33)가 측정기준부(11)와 영점조정부(30)에 각각 형성된다.
측정기준부(11)와 영점조정부(30)에 형성된 한 쌍의 갭측정부(11d)(33)는 측정기준부(11)가 이동하면서 이동한 거리를 갭으로 계산하여 측정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갭측정부(11d)(33)가 서로 밀착되도록 하여 영점을 조정하게 되며, 영점이 조정된 상태에서 도 6에서와 같이 측정기준부(11)를 이동시켜 측정기준부(11)의 갭측정부(11d)와 영점조정부(30)의 갭측정부(33)가 피측정물에 형성된 갭의 내측면에 닿도록 하여 갭을 측정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갭측정부(11d)(33)의 영점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는 갭 측정시 한 쌍의 갭측정부(11d)(33)의 영점이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스토퍼(11a)가 측정기준부(11)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1a)는 측정기준부(11)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측정부(2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몸체부(10)가 측정부(20) 내측으로 수용되면 스토퍼(11a)가 측정부(20)에 맞닿게 되며, 이와 동시에 한 쌍의 갭측정부(11d)(33)의 영점이 자동으로 조정되는 것이다.
도 7의 (a)와 같이 갭을 측정하기 위해 준비된 상태에서 도 7의 (b)와 같이 갭측정을 위해 측정기준부(11)를 측정부(20)로 완전히 밀면 갭측정부(11d)(33)의 영점이 자동으로 조정이 되며, 이상태에서 피측정물의 갭을 측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그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몸체 (11)-- 측정바
(12)-- 측정표시부
(20)-- 손잡이
(30)-- 측정기준부 (31)-- 스토퍼
(32)-- 홈부 (33)-- 접촉부
(34)-- 갭측정부
(40)-- 영점조정부 (41)-- 체결나사
(42)-- 측정포인트 (44)-- 갭측정부

Claims (5)

  1. 디지털게이지에 있어서,
    일단에 측정기준부(11)가 설치된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된 측정표시부(21)이 구비된 측정부(20)와,
    일단에 측정포인트(32)가 구비되어 측정부(20) 일측에 결합되는 영점조정부(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정기준부(11)의 하단에는 접촉부(11c)가 형성되고 측정기준부(11)의 측부에는 갭측정부(11d)가 형성되며,
    상기 영점조정부(30)의 측부에는 갭측정부(33)이 형성되며,
    상기 측정표시부(21)는,
    측정기준부(11)의 접촉부(11c)와 측정포인트(32)간의 거리가 단차로 숫자표시되고,
    측정기준부(11)의 갭측정부(11d)와 영점조정부(30)의 갭측정부(33)간의 거리가 갭 숫자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단차측정의 영점설정은,
    측정기준부(11)의 접촉부(11c)와 측정포인트(32)간의 거리가 0일 때 영점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3. 제 1항에 있어서
    갭측정의 영점설정은,
    상기 측정기준부(11)의 스토퍼(11a)가 측정부(20)에 맞닿게 되면 영점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의 측정기준부(11) 반대편에는 손잡이(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점조정부(30)는 교체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KR2020210003798U 2021-12-13 2021-12-13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KR202300012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98U KR20230001260U (ko) 2021-12-13 2021-12-13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98U KR20230001260U (ko) 2021-12-13 2021-12-13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60U true KR20230001260U (ko) 2023-06-20

Family

ID=8694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798U KR20230001260U (ko) 2021-12-13 2021-12-13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260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380U (ko) 1997-07-31 1999-02-25 양재신 단차측정게이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380U (ko) 1997-07-31 1999-02-25 양재신 단차측정게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763624U (zh) 一种用于测量管件内外径的量具
US4982505A (en) Gauge for measuring both the depth and the diameter of a bore hole
US4731931A (en) Caliper system
CN103063108A (zh) 一种塑料瓶直径和高度测量仪
US4096634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angles on space planes
KR20230001260U (ko) 단차와 갭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게이지
CN209485240U (zh) 测量装置
CN108731575B (zh) 一种圆形截面拉伸试样尺寸测量装置
CN213481169U (zh) 一种建筑工程检测用多功能测量尺
US3919776A (en) Measuring apparatus
CN213067388U (zh) 一种用于圆角的直径或半径测量工具
CN209416224U (zh) 一种深度尺厚薄规
CN210268444U (zh) 一种皮带测力器
CN202522196U (zh) 测长机用指示表检测夹具
US3235968A (en) Length gauge
CN103542789A (zh) 一种不规则型钢的宽度或高度公差测量装置
CN203550822U (zh) 梯形工件内壁水平尺寸测量装置
CN203642848U (zh) 多功能带表卡尺
CN208026166U (zh) 一种大规格轻便型高精度表架
CN206192223U (zh) 一种码桥高度检测器
US2865108A (en) Compound measuring instrument
JPS63173908A (ja) 段差測定装置
CN109341481A (zh) 一种花键轴叉相位专用检具
CN209877839U (zh) 一种细小管管壁厚度测量装置
CN103438774A (zh) 梯形工件内壁水平尺寸测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