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46U -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46U
KR20230001246U KR2020210003768U KR20210003768U KR20230001246U KR 20230001246 U KR20230001246 U KR 20230001246U KR 2020210003768 U KR2020210003768 U KR 2020210003768U KR 20210003768 U KR20210003768 U KR 20210003768U KR 20230001246 U KR20230001246 U KR 202300012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packaging container
container
dry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아름
정미섭
박종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시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시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시락
Priority to KR2020210003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246U/ko
Publication of KR202300012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having selectively- effective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42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being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nveying or carrying containers therethrough
    • B08B9/423Holders for bottles, cell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 장치 본체;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포장 용기가 거꾸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용기 홀더가 마련된 용기 고정판; 세척 장치 본체에서 용기 고정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세척 공급부; 및 세척 공급부에 결합되는 세척 분사부를 포함하며, 세척 공급부에서 건조공기 분사관과 세척수 분사관에 연결되는 건조공기 라인과 세척액 라인은 별도로 구성되고, 세척 공급부의 상면부에는 건조공기 분사관에 결합되어 공회전 슬립 구조를 제공하는 파이프 형상의 회전 결합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A cleaning apparatus for packaging container of food}
본 고안은 식품 포장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즉석 조리 식품의 포장 용기를 세척하는 포장용기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용기의 제작은 식품 용기의 사출 제작이 허가된 작업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제로 대형 도시락 공장에서부터 소규모로 PP식품용기를 사용하는 업체에 이르기까지, 용기 구매 후 클리닝 공정 작업 없이 엄격한 검수 방법만으로 바로 음식을 담아 사용 및 판매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포장 및 직접 음식을 담는 공정과 관련된 정보는 많이 있으나, 용기 클리닝의 확인은 매우 어려우며, 실질적으로 클리닝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포장식품 제조업계에서, 식품 용기를 알코올 소독 또는 습식세척으로 클리닝 건조 후 사용하는 사례가 있으나, 습식 세척은 세척 후 제대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세균 번식의 우려가 있다. 더욱이, 식품 용기의 이물질 클레임에 대한 서비스 보상은, 식품 판매 사후 조치로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1. 등록특허 KR 10-2269413 2. 공개특허 KR 10-2012-001976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패킹 작업 전 공정에 포장용기의 워터 클리닝과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용기의 신뢰성을 보장하여 즉석 조립 제품의 완성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세척 장치 본체;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포장 용기가 거꾸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용기 홀더가 마련된 용기 고정판; 상기 세척 장치 본체에서 상기 용기 고정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세척 공급부; 및 상기 세척 공급부에 결합되는 세척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분사부는 상기 세척 공급부에 결합되며, 상기 포장 용기의 내측으로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이 마련된 건조공기 분사관; 및 상기 세척 공급부에 결합되며, 상기 포장 용기의 내측으로 세척 액을 분사하는 세척 노즐이 마련된 세척수 분사관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공급부에서 상기 건조공기 분사관과 세척수 분사관에 연결되는 건조공기 라인과 세척액 라인은 별도로 구성되고, 상기 세척 공급부의 상면부에는 상기 건조공기 분사관에 결합되어 공회전 슬립 구조를 제공하는 파이프 형상의 회전 결합부가 마련된 포장용기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 분사관은, 상기 세척 공급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립 분사관; 상기 직립 분사관에 수평하게 연결된 수평 분사관; 및 상기 수평 분사관에 연결된 사이드 분사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직립 분사관, 수평 분사관, 및 사이드 분사관에서 포장 용기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용기 홀더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누름판을 구비하여 상기 용기 홀더에 배치되는 포장 용기를 상기 용기 홀더에 고정시키는 용기 푸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푸셔는,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용기 홀더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누름판; 및 상기 용기 누름판을 가동시키는 공압 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은, 세척 장치 본체;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포장 용기의 내용물 수용 형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세척 분사부; 상기 세척 분사부에 마련되며, 상기 포장 용기의 내측으로 세척 액과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 노즐; 및 상기 세척 노즐에 연결되며, 상기 세척 액과 건조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 장치 본체는,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각형 프로파일들을 배치하여 조립 결합한 것으로서,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은, 상기 세척 분사부에 세척 액 공급 후에 상기 건조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분사부는,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는 세척 파이프; 및 상기 세척 파이프의 상부에 결합되며, 포장 용기의 수용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세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 블록에는, 상기 복수의 세척 노즐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분사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 통로는 상기 세척 파이프와 상기 복수의 세척 노즐을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의 세척 노즐의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세척 블록의 내부에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은, 상기 세척 파이프에 연결되며 세척 액을 공급하는 워터 라인; 상기 세척 파이프에 연결되며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라인; 및 상기 워터 라인과 에어 라인에 각각 구비되는 전자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분사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드레인 포트; 상기 드레인 포트에 연결되는 드레인 라인; 및 상기 세척 분사부에 하부에 대응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는, 상기 세척 분사부를 지지하는 배수 및 배기판; 상기 배수 및 배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기 호퍼; 및 상기 배기 호퍼에 연결되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및 배기판은 상기 세척 분사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배출 포트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양측 내벽부에 회전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척 분사부에 지지되는 상기 포장 용기의 이탈을 저지하는 복수의 누름 지그; 및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면부 상에 구비되며, 포장 용기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포장 용기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복수의 측면 지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효과는, 패킹 작업 전 공정에 포장용기의 워터 클리닝과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용기의 신뢰성을 보장하여 즉석 조립 제품의 완성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의 정면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홀더와 세척 분사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프런트 커버가 분리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세척 프레임과 세척 분사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세척 블록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세척 블록의 단면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10은 도 6과 도 7의 드레인 포트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도 6과 도 7의 배기 및 배수판의 상세도이다.
도 12는 도 3의 드레인 박스의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의 정면 입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용기 홀더와 세척 분사부의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는, 세척 장치 본체(51), 세척 장치 본체(51)의 상부에 위치하며 포장 용기(10)가 거꾸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용기 홀더(54)가 마련된 용기 고정판(55), 세척 장치 본체(51)에서 용기 고정판(55)의 하측에 위치하는 세척 공급부(60), 및 세척 공급부(60)에 결합되는 세척 분사부(61)를 포함한다.
세척 분사부(61)는 세척 공급부(60)에 결합되며, 포장 용기(10)의 내측으로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이 마련된 건조공기 분사관(62), 및 세척 공급부(60)에 결합되며 포장 용기(10)의 내측으로 세척 액을 분사하는 세척 노즐이 마련된 세척수 분사관(66)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포장 용기(10)가 용기 고정판(55)의 용기 홀더(54)에 거꾸로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세척 공급부(60)에서 건조 공기와 세척 액이 각각 대응하는 건조공기 분사관(62)과 세척수 분사관(66)으로부터 세척 액과 건조 공기의 순서로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용기 홀더(54)에 배치되는 포장 용기(10)는 세척수 분사관(66)을 통해 포장 용기(10)의 내부에 고르게 분사되는 세척 액으로 세척된 후, 건조공기 분사관(62)에서 분사되는 건조 공기에 의해 내벽 전체가 건조된다.
세척 공급부(60)에서 건조공기 분사관(62)과 세척수 분사관(66)에 연결되는 건조공기 라인과 세척액 라인은 별도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공기 분사관(62)은 포장 용기(10)에 대해 회전하면서 건조 공기을 분사하도록 세척 공급부(60)의 상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세척 공급부(60)의 상면부에는 건조공기 분사관(62)에 결합되어 공회전 슬립 구조를 제공하는 파이프 형상의 회전 결합부(67)가 마련될 수 있다.
건조공기 분사관(62)은 건조 공기의 분사에 의해 추진력을 받게 되며, 스프링 쿨러와 같이 회전되면서 포장 용기(10)에 건조 공기를 고르게 분사하게 된다. 포장 용기(10)의 내벽에 있는 주름진 요철들은 건조 공기가 원활하게 접촉됨으로써 세밀하게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건조공기 분사관(62)은, 세척 공급부(60)의 상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립 분사관(63), 직립 분사관(63)에 수평하게 연결된 수평 분사관(64), 및 수평 분사관(64)에 연결된 사이드 분사관(65)을 포함한다.
직립 분사관(63), 수평 분사관(64), 및 사이드 분사관(65)에서, 건조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미세 홀 형상으로 마련된 에어 노즐은 포장 용기(10)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 용기(10)의 내부는 전면적으로 세척될 수 있다.
세척수 분사관(66)은 건조공기 분사관(62)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용기 홀더(54)에 고정되는 포장 용기(10)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세척 액을 분사하게 된다.
용기 홀더(54)에 배치되는 포장 용기(10)는 용기 푸셔(70)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 고정된다.
용기 푸셔(70)는 세척 장치 본체(51)의 상부에서 용기 홀더(54)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누름판(71)과 용기 누름판(71)을 가동시키는 공압 실린더(72)를 구비하여 용기 홀더(54)에 배치되는 포장 용기(10)를 용기 홀더(54)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직립 분사관(63)의 하부에는 용기 홀더(54) 측으로 포장 용기(10)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용기 지지대(80)가 위치한다.
이러한 용기 지지대(80)는 수평하며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삼발이 형상으로서, 포장 용기(10)에 접촉되어 포장 용기(10)의 테두리 내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프런트 커버가 분리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용기 세척장치(100)는, 세척 장치 본체(101), 세척 분사부(130), 세척 분사부(130)에 마련되는 복수의 세척 노즐(140), 및 세척과 건조의 선택이 가능한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150)을 포함한다.
세척 장치 본체(101)는 작업자가 포장 용기(10)의 세척 및 건조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세척 작업대로서, 작업 영역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로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 장치 본체(101)는 전면, 평면 및 우측 면으로 볼 때,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각형 프로파일(101)들을 배치하여 조립 결합한 것으로서, 전면에 도어(102)가 설치되고, 측면에 작업 공간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확인창(103)이 배치될 수 있다.
세척 장치 본체(101)의 상부에는 세척 장치 본체(101)의 최상부에 대해 실질적으로 포장 용기(10)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정사각형 형상으로 결합되어 배치되는 세척 프레임(110)이 마련된다.
세척 프레임(11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프레임(111), 및 테두리 프레임(111)에 배치되어 복수의 세척 포트(115)를 마련하는 내부 프레임(112)을 포함하며, 세척 장치 본체(101)의 최하부와 세척 지지대(113)로 연결 결합됨으로써 세척 지지대(113)로 지지 구조가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 프레임(110)은 세척 장치 본체(101)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 프레임(114)에 결합되며, 복수의 세척 분사부(130)가 배치되는 복수의 세척 포트(115)를 제공한다.
세척 장치 본체(101)의 최하부에는, 지면에 대한 수평 및 높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되며 평평한 바닥 지지를 제공하는 수평 조절 기구(116)와 이동과 정지 기능이 있는 캐스터(117)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 장치 본체(101)에는 세척 분사부(130)에 배치되는 포장 용기(1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누름 지그(121)와 측면 지그(122)가 구비된다.
복수의 누름 지그(121)는, 세척 장치 본체(101)의 상부에서 양측 내벽부에 회전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척 분사부(130)에 지지되는 포장 용기(10)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수동으로 포장 용기(10)에 접촉되도록 회전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해 포장 용기(10)에 대한 누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누름 지그(121)는, 수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장 용기(10)가 세척 분사부(130)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뒤집혀 배치된 작업 상태가 센서에 의해 감지되면, 누름 지그(121)에 커플링된 모터에 의해 누름 지그(121)가 회전 작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세척 분사부(130)에 포장 용기(10)를 정확히 배치하고 버튼으로 모터를 구동시키면 누르 지그가 회전 작동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누름 지그(121)는 세척 분사부(130)에 뒤집혀 배치된 포장 용기(10)를 충분히 면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지지 평면 또는 곡면 및 돌기 등을 갖는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누름 지그(121)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가 가능하도록 회전 구조를 제공하는 회전축에 토션 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과 토션 스프링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세척 장치 본체(101)의 상부 양측 내벽부에 어렵지 않게 구비될 수 있는 탄성 회전 구조이다.
복수의 측면 지그(122)는, 세척 장치 본체(101)의 상면부 상에 구비되며 포장 용기(10)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포장 용기(1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용기(10)의 사방에서 충분한 움직임 제한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측면 지그(122)는, 포장 용기(10)의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을 위한 장공들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측면 지그(122)는 포장 용기(10)의 사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한되진 않으며, 포장 용기(10)의 형상이나 세척 프레임(110) 상에서 배치되는 면적에 따라 더 여러 개소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측면 지그(122)는 포장 용기(10)의 테두리에 대해 움직임과 접촉이 가능하도록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측면 지그(122)가 세척 프레임(110) 상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와 같이 직선 작동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 지그(122)의 작동 구성은 포장 용기(10)가 세척 분사부(130)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여유 공간을 제공하여, 포장 용기(10)의 찌그러짐과 같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세척 프레임과 세척 분사부의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세척 분사부(130)는 세척 장치 본체(101)의 상부에 위치하며 세척 장치 본체(101)의 세척 지지대(113) 상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포장 용기(10)의 내용물 수용 형상에 대응하여 포장 용기(10)의 내부로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 분사부(130)는, 세척 장치 본체(101)의 상부에 결합되며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는 세척 파이프(131), 및 세척 파이프(131)의 상부에 결합되며 포장 용기(10)의 수용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세척 블록(13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 파이프(131)는 세척 장치 본체(101)의 내부에서 세척 프레임(110)이 제공하는 복수의 포트에 대응하여 복수로 직립 배치되어 각각 세척 블록(132)를 지지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세척 파이프(131)는 세척 블록(132)가 결합된 상태에서 세척 프레임(110) 상에 결합되는 후술되는 배수 및 배기판(171)에 끼움 결합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세척 프레임(110)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세척 블록의 상세도이며, 도 9는 도 8의 세척 블록의 단면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세척 블록(132)에는, 복수의 세척 노즐(140)에 대응하여 연결되며, 세척 액과 건조 공기를 세척 노즐(140) 측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분사 통로(133)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통로(133)는 세척 파이프(131)와 복수의 세척 노즐(140)을 연결하도록 복수의 세척 노즐(140)의 배치에 대응하여 세척 블록(132)의 내부에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세척 블록(132)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분사 통로(133)가 모여 연결되며, 세척 파이프(131)와 연결되는 중앙 분배부(135)가 마련된다.
중앙 분배부(135)는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분사 통로(133)들의 하단부가 외주면 및 상면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분사 통로(133)들의 방사상으로 배치 연결이 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분사 통로(133)는 중앙 분배부(135)를 매개로 세척 파이프(13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세척 파이프(131)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 액 및 건조 공기는 중앙 분배부(135)를 거쳐 복수의 분사 통로(133)로 공급될 수 있다.
복수의 세척 노즐(140)은 세척 분사부(130)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포장 용기(10)의 내측으로 세척 액과 건조 공기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분사 통로(133)의 상단부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세척 노즐(140)은, 세척 블록(132)의 상면 또는 외주 부분에서 포장 용기(10)의 수용 형상에 대응하여 세척 액과 건조 공기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간격을 갖되, 포장 용기(10)의 테두리에 대응한 직선 또는 곡선 라인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세척 노즐(140)은 중앙 분배부(135)에 대해 대략 1/5 ~ 1/10 정도 구경을 갖는 얇은 분사 통로(133)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사 통로(133)보다 더 작은 구경을 갖는 실제적인 노즐이 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노즐이 부가적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포장 용기(10)의 형상에 따라 분사 방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분사 방향의 조절 매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150)은, 세척 장치 본체(101)에서 세척 노즐(140)에 연결되며 세척 액과 건조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세척 파이프(131)의 하부에 유로 라인의 피팅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150)은, 세척 파이프(131)에 연결되며 세척 액을 공급하는 워터 라인(151), 세척 파이프(131)에 연결되며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라인(152), 및 워터 라인(151)과 에어 라인(152)에 각각 구비되어 공급을 단속하는 전자 밸브(153, 154)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 라인(151)과 에어 라인(152)은, 상호 다른 라인으로 각각의 전자 밸브(153, 154)에 의해 유로의 개폐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세척 시에는 워터 라인(151)을 통해 세척 파이프(131) 측으로 세척 액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건조 시에는 에어 라인(152)을 통해 세척 파이프(131) 측으로 건조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워터 라인(151)은 도시되진 않았으나 외부에서 배치되며 워터펌프를 구비한 세척액 공급부에 연결되며, 에어 라인(152)은 컴프레셔 또는 에어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자 밸브(153, 154)는 솔레노이드 개폐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150)은, 세척 분사부(130)에 세척 액 공급 후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도록 유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 밸브(153, 154)에 연결되는 제어부(155)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55)는 장치 본체(101)에 탑재되거나 전자 밸브(153, 154)와 연결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신호 라인에 연결됨으로써 장치 본체(101)에 인접한 작업 조작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5)는 장치의 전반적이 작동과 조작을 컨트롤하는 메인 컨트롤러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도 6과 도 7의 드레인 포트의 상세도이다.
도 4와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는, 세척 분사부(1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 액이 배수되는 드레인 포트(160), 드레인 포트(160)에 연결되는 드레인 라인(161), 및 세척 분사부(130)에 하부에 대응하며 건조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부(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배기부(170)는 세척 장치 본체(101)의 상부에서 세척 분사부(130)를 지지하는 배수 및 배기판(171), 배수 및 배기판(171)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기 호퍼(174), 및 배기 호퍼(174)에 연결되는 배기관(175)을 포함한다.
도 11은 도 6과 도 7의 배기 및 배수판의 상세도이며, 도 12는 도 4의 드레인 박스의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배수 및 배기판(171)은 세척 분사부(130)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배출 포트(172)가 마련된 것으로서, 중앙부에 세척 파이프(131)가 결합되는 중앙 홀(173)이 마련된다.
배출 포트(172)는 중앙 홀(173)에 주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분할되어 마련된 곡형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세척 분사부(130)에서 분사되는 세척 액이나 건조 공기는 배출 포트(172)를 통해 세척 프레임(110)의 아래로 배출된다.
도 4 내지 도 7, 및 도 12를 참조하면, 배기 호퍼(174)는 포장 용기(10)를 건조 시킨 후에 배출 포트(172)를 통해 배기되는 건조 공기를 배기관(175) 측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깔때기와 같은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진 않으며 각진 테이퍼진 형상 또는 장치 본체(101)의 저면으로 건조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평판 형상으로 가능하다.
배기관(175)은 배기 호퍼(174)에 연결되는 직립관(176), 및 직립관(176)에 연결되는 수평관(177)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배기라인 측으로 배출되는 건조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세척 장치 본체(101)의 내부에는 드레인 포트(160)의 하부에 배치되며, 배기관(175)이 수용되어 위치하는 드레인 박스(180)가 구비된다.
이러한 드레인 박스(180)는 장치 본체(101)의 하부에 결합 지지되어 배치되는 것으로서, 워터 라인(151)과 에어 라인(152) 및 배기관(175)을 수용하여 보호하게 된다.
드레인 박스(180)는 외주면에 배기 홀(181)들을 구비할 수 있다. 배기 홀(181)들은 배기관(175)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 건조 공기의 일부가 장치 외부로 배출되거나, 드레인 박스(180)의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여 드레인 박스(180)의 내부가 습윤되는 현상을 차단한다. 또한, 배기 홀(181)들은 전선이나 각종 라인들의 출입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식품 포장용기로서 음식이 담기는 부분의 클리닝과 건조가 선행되어 발열제가 함께 수용되는 경우 발열제에 대한 수분 침투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이물질 발생의 불만 사항에 대해 사전 예방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포장 용기 20: 외부 용기
30: 발열제 40: 식품
50: 덮개 51: 세척 장치 본체
55: 용기 고정판 54: 용기 홀더
60: 세척 공급부 61: 세척 분사부
62: 건조공기 분사관 63: 직립 분사관
64: 수평 분사관 65: 사이드 분사관
66: 세척수 분사관 70: 용기 푸셔
71: 용기 누름판 72: 공압 실린더
80: 용기 지지대
100: 포장용기 세척장치
101: 세척 장치 본체 101a, 101b, 101c: 프로파일
102: 도어 103: 확인창
110: 세척 프레임 111: 테두리 프레임
112: 내부 프레임 113: 세척 지지대
114: 수평 프레임 115: 세척 포트
116: 수평 조절 기구 117캐스터
121: 누름 지그 122: 측면 지그
130: 세척 분사부 131: 세척 파이프
132: 세척 블록 133: 분사 통로
135: 중앙 분배부 140: 세척 노즐
150: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
151: 워터 라인 152: 에어 라인
153, 154: 전자 밸브 155: 제어부
160: 드레인 포트 161: 드레인 라인
170: 배기부 171: 배수 및 배기판
172: 배출 포트 173: 중앙 홀
174: 배기 호퍼 175: 배기관
176: 직립관 177: 수평관
180: 드레인 박스 181: 배기 홀

Claims (10)

  1. 세척 장치 본체;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포장 용기가 거꾸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용기 홀더가 마련된 용기 고정판;
    상기 세척 장치 본체에서 상기 용기 고정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세척 공급부; 및
    상기 세척 공급부에 결합되는 세척 분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 분사부는,
    상기 세척 공급부에 결합되며, 상기 포장 용기의 내측으로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이 마련된 건조공기 분사관; 및
    상기 세척 공급부에 결합되며, 상기 포장 용기의 내측으로 세척 액을 분사하는 세척 노즐이 마련된 세척수 분사관을 포함하되,
    상기 세척 공급부에서 상기 건조공기 분사관과 세척수 분사관에 연결되는 건조공기 라인과 세척액 라인은 별도로 구성되고,
    상기 세척 공급부의 상면부에는 상기 건조공기 분사관에 결합되어 공회전 슬립 구조를 제공하는 파이프 형상의 회전 결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 분사관은,
    상기 세척 공급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립 분사관;
    상기 직립 분사관에 수평하게 연결된 수평 분사관; 및
    상기 수평 분사관에 연결된 사이드 분사관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노즐은 상기 직립 분사관, 수평 분사관, 및 사이드 분사관에서 포장 용기의 내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용기 홀더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누름판을 구비하여 상기 용기 홀더에 배치되는 포장 용기를 상기 용기 홀더에 고정시키는 용기 푸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기 푸셔는,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용기 홀더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누름판; 및
    상기 용기 누름판을 가동시키는 공압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5. 세척 장치 본체;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포장 용기의 내용물 수용 형상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세척 분사부;
    상기 세척 분사부에 마련되며, 상기 포장 용기의 내측으로 세척 액과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세척 노즐; 및
    상기 세척 노즐에 연결되며, 상기 세척 액과 건조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 장치 본체는, 가로, 세로, 및 높이 방향으로 각형 프로파일들을 배치하여 조립 결합한 것으로서,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되,
    상기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은, 상기 세척 분사부에 세척 액 공급 후에 상기 건조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분사부는,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는 세척 파이프; 및
    상기 세척 파이프의 상부에 결합되며, 포장 용기의 수용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세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 블록에는, 상기 복수의 세척 노즐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분사 통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사 통로는 상기 세척 파이프와 상기 복수의 세척 노즐을 연결하도록 상기 복수의 세척 노즐의 배치에 대응하여 상기 세척 블록의 내부에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세척 액 및 건조 공기 라인은,
    상기 세척 파이프에 연결되며 세척 액을 공급하는 워터 라인;
    상기 세척 파이프에 연결되며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라인; 및
    상기 워터 라인과 에어 라인에 각각 구비되는 전자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분사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드레인 포트;
    상기 드레인 포트에 연결되는 드레인 라인; 및
    상기 세척 분사부에 하부에 대응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는,
    상기 세척 분사부를 지지하는 배수 및 배기판;
    상기 배수 및 배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기 호퍼; 및
    상기 배기 호퍼에 연결되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및 배기판은 상기 세척 분사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배출 포트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양측 내벽부에 회전 작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세척 분사부에 지지되는 상기 포장 용기의 이탈을 저지하는 복수의 누름 지그; 및
    상기 세척 장치 본체의 상면부 상에 구비되며, 포장 용기의 테두리를 지지하여 포장 용기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복수의 측면 지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KR2020210003768U 2021-12-09 2021-12-09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KR202300012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68U KR20230001246U (ko) 2021-12-09 2021-12-09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68U KR20230001246U (ko) 2021-12-09 2021-12-09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46U true KR20230001246U (ko) 2023-06-16

Family

ID=8694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768U KR20230001246U (ko) 2021-12-09 2021-12-09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246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767A (ko) 2010-08-26 2012-03-07 김가영 자가발열 도시락
KR102269413B1 (ko) 2018-10-17 2021-06-25 권수진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767A (ko) 2010-08-26 2012-03-07 김가영 자가발열 도시락
KR102269413B1 (ko) 2018-10-17 2021-06-25 권수진 발열수단을 구비한 음식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3435B2 (ja) 型ドラムの洗浄方法
US20190291300A1 (en) Digital decorating machine for ceramic products
US8096330B2 (en) Isobaric rotary filling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ids
US4534494A (en) Cleaning system for filler
MX2009002611A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el tratamiento de envases.
CN107437513A (zh) 传送单元及用于处理基板的装置和方法
CN102700771B (zh) 充填机
KR20230001246U (ko) 식품 포장용기 세척장치
KR101760390B1 (ko) 대상체 내외부면 세정 장치
KR102371150B1 (ko) 화학약품의 공급 및 배출 장치
US5621194A (en) Combinational weighing mahine with washing device
CN115178435B (zh) 一种自动化晶圆涂胶机
KR20230077561A (ko) 세척, 조립 및 포장 과정이 일체화된 멀티 패키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자동화 공정 시스템
JP2008110323A (ja) コンテナ容器の洗浄乾燥装置及び方法
TWI551258B (zh) 洗碗機
KR20160062319A (ko) 드럼통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JPH06317456A (ja) 組合せ計量装置用の洗浄装置
CN202670175U (zh) 充填机
KR101492997B1 (ko) 카지노칩 패드인쇄 자동화장치
US2016115A (en) Dishwashing machine
KR102402101B1 (ko) 스프레이 펌프의 검사액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펌프의 검사 시스템
JP4282255B2 (ja) 回転式無菌充填機
JP5774917B2 (ja) 粉体供給装置
JP4590502B2 (ja) 打錠機の杵洗浄装置
KR20220061352A (ko) 용기 자동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