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115A -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115A
KR20230001115A KR1020210083634A KR20210083634A KR20230001115A KR 20230001115 A KR20230001115 A KR 20230001115A KR 1020210083634 A KR1020210083634 A KR 1020210083634A KR 20210083634 A KR20210083634 A KR 20210083634A KR 20230001115 A KR20230001115 A KR 20230001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cue
worker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l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민재
김희연
오완
이근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3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115A/ko
Publication of KR2023000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구조 관제 장치는, 작업 현장의 단위 구역별로 대응하여 설치된 인식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인식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인식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등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위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에 관한 작업자 정보를 생성하고, 작업 현장에서 임의의 작업자에 대한 구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요구조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관리부; 및 상기 구조 요청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조력자 선정 기준과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조력자를 선정하는 조력자 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Rescu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emergency rescue in industrial sites}
본 발명은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달하고 전문화됨에 따라 산업 현장의 면적이 넓어지고 종사하는 작업자들의 수도 많아지고 있다.
특히, 조선 산업에서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블록 단위로 나누어 작업한 후, 작업된 블록들을 서로 쌓거나 연결하는 조립 과정을 통해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을 제작하기 때문에 작업 현장의 면적이 넓고 작업자들의 수도 많은 특징이 있다.
일 예로, 조선소에서 제작되는 탑사이드(topside) 모듈은 다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각 층에서의 작업시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일반적이므로, 사고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골든아워의 확보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넓은 작업 면적에서 많은 작업자들이 동시에 작업하고 있지만, 효율적인 구조 활동을 보조하기 위한 조력자의 신속한 확보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요구조자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도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99206호
본 발명은 사고 상황 발생시 구조 활동을 보조할 조력자를 신속하게 확보하고, 요구조자의 개인 정보를 토대로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며, 구급 차량의 신속한 현장 도착 및 요구조자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작업 현장의 단위 구역별로 대응하여 설치된 인식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인식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인식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등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위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에 관한 작업자 정보를 생성하고, 작업 현장에서 임의의 작업자에 대한 구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요구조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관리부; 및 상기 구조 요청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조력자 선정 기준과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조력자를 선정하는 조력자 선정부를 포함하는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위치 관리부는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가 인식되면,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급 차량의 정차 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구급 차량의 정차 위치까지의 구조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력자 선정 기준에는 조력자의 유형, 유형별 조력자의 인원 수 및 조력자 선정을 위한 우선 순위가 규정되고, 상기 조력자 선정부는 상기 구조 경로에 상응하여 조력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요구조자의 인근에 위치한 작업자들 중에서 상기 유형별 조력자의 인원 수 및 상기 우선 순위에 따른 하나 이상의 조력자를 선정할 수 있다.
상기 구조 관제 장치는, 상기 구급 차량을 유도하기 위해, 작업 현장에 설치된 알람 장치들 중에서 상기 인식된 요구조자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설치된 알람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는 알람 수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작업 현장의 단위 구역별로 대응하여 설치된 인식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인식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인식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등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위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에 관한 작업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작업 현장에서 임의의 작업자에 대한 구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요구조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조력자 선정 기준과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조력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고 상황 발생시 구조 활동을 보조할 조력자를 신속하게 확보하고, 요구조자의 개인 정보를 토대로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며, 구급 차량의 신속한 현장 도착 및 요구조자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관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관제 장치의 관제 영역 범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관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관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관제 장치의 관제 영역 범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조 관제 장치(100)는 관제 유닛(11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관제 유닛(110)은 수집부(111), 위치 관리부(113), 조력자 선정부(115) 및 알람 수행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제 유닛(110)의 각 세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수집부(111) 등)는 지정된 역할을 수행하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거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도 있다.
수집부(111)는 미리 설정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작업 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인식 장치(140)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수집부(111)는 인식 장치(140)들 각각으로부터, 인식 장치(140)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제 유닛(110)이 관리하는 작업 현장의 일 예로서,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 구비되는 탑사이드 모듈(180)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있을 뿐 아니라,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측면 방향에서 매우 넓은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 경우, 관제 유닛(110)은 다층 구조에서 각 층 단위로, 또한 측면 방향에서 미리 지정된 구획 영역들로 각각의 단위 구역을 나누어 관리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지정된 단위 구역 내에 작업자가 위치하는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인식 장치(140)가 지정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알람 장치(150)는 각 단위 구역에 대응되도록 개별 설치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각 단위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들이 사고 상황의 발생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알람 장치(150)는 사고 상황의 발생을 빛이나 소리를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경광등, 사이렌, 음성 안내 장치, LED 표시 장치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할당된 단위 구역 내에 작업자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인식 장치(140)는, 작업자가 구비한 식별 수단(예를 들어, 전자 태그(예를 들어, RFID 카드 등), 스마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 등)을 인식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태그인 식별 수단은 작업자의 안전모(160) 및 작업복 등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수단의 부착 위치는 인식 장치(140)에 의한 효과적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노출된 위치로 지정될 수 있다.
인식 장치(140)는 미리 지정된 인식 거리 내에 위치된 작업자가 구비한 식별 수단이 감지되면,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해 식별 수단에 상응하는 제2 식별 정보(예를 들어, 고유 코드 정보 등)를 통신망을 통해 관제 유닛(110)의 수집부(111)로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해당 작업자가 어떤 단위 구역에 위치하였는지 인식될 수 있도록, 해당 인식 장치(140)에 상응하는 제1 식별 정보가 더 전송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위치 관리부(113)는 수집부(111)로부터 수신한 제1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단위 구역에 해당되는 정보인지를 인식하고, 수집부(111)로부터 수신한 제2 식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저장된 등록자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작업자가 해당 단위 구역에 위치하였는지를 인식하여 작업자 정보를 생성한다.
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저장되는 등록자 정보는 예를 들어, 제2 식별 정보, 작업자 이름, 사번, 소속, 공종, 성별, 혈액형, 휴대전화 번호, 건강 특이사항(예를 들어, 고혈압, 지병 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관리부(113)는 수집부(111)로부터 수신한 제1 및 제2 식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저장된 등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의 이름과 건강 특이사항 등에 관한 작업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관리부(113)에 의해 생성된 작업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인식 장치(140)와 통신하는 수집부(111)에 새롭게 제1 및 제2 식별 정보가 수신될 때마다 작업자 정보는 갱신될 수 있다.
위치 관리부(113)는 작업 현장 내에서 구조 요청이 수신되면, 구조 요청에 포함된 요구조자 정보와 미리 생성된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요구조자의 위치를 인식하고,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구조 경로를 결정한다.
요구조자 정보는 작업 현장 내에서 실신하거나 사고를 당한 요구조자의 인근에 위치한 다른 작업자인 신고자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신고자에 의해 제공되는 요구조자 정보에는 요구조자의 이름, 성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신고자가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텍스트 전송 및 사진 전송 등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위치 관리부(113)에 제공될 수 있다.
위치 관리부(113)는 요구조자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생성된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요구조자의 위치를 인식한 후, 요구조자를 탑승시킬 구급 차량이 정차할 위치(예를 들어, 탑사이드 구조물의 1층 출입구 주변 등)를 결정하고, 요구조자의 위치로부터 구급 차량의 정차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에 관한 구조 경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다층 구조물의 상층에서 요구조자가 발생된 경우, 구조 경로는 요구조자의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를 통해 다층 구조물의 1층으로 이동한 후, 엘리베이터 1층 위치에서 구급 차량의 정차 위치까지 이동하는 경로로 결정될 수 있다.
조력자 선정부(115)는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요구조자의 인근에 위치하는 n명의 작업자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력자 선정 기준에 따라 위치 관리부(113)에 의해 결정된 구조 경로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조력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조력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조력자 선정을 통지한다.
조력자 선정 기준에서 조력자의 인원 수는 예를 들어, 요구조자가 존재하는 층과 동일한 층에서 신고자를 포함하는 2인의 조력자(즉, 주변 조력자), 엘리베이터의 통제를 위해 요구조자가 존재하는 층에 인접한 저층으로부터 1층까지 각 층별 1인의 조력자(즉, 층별 조력자), 구급 차량이 정차할 위치 주변에서 구급 차량의 이동 통로를 확보하고 구급 차량을 유도하기 위해 2인의 조력자(즉, 안내 조력자)를 선정하는 등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주변 조력자, 층별 조력자 및 안내 조력자 등과 같은 조력자의 유형은 구조 경로에 상응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요구조자가 다층 구조물의 1층에서 발생된 경우라면, 엘리베이터의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엘리베이터 통제를 위한 층별 조력자의 선정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어떤 작업자를 조력자로 선정하여야 하는지에 관하여, 조력자 선정 기준은 예를 들어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요구조자의 인근에 위치하는 n명의 작업자들 중에서 소속 및 직급에 따른 우선 순위에 의해 결정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구조자가 직영 소속이 아닌 협력업체의 근로자라 가정하면, 우선 순위는 직영 안전 관리자, 직영 관리자(예를 들어, 사무직, 직장, 반장), 요구조자와 같은 소속의 관리자(예를 들어, 소장, 직장, 반장), 요구조자와 다른 소속의 관리자(예를 들어 소장, 직장, 반장), 사내 자격증인 신호수(Signal man) 자격을 가진 근로자, 상대적으로 요구조자와 근접한 근로자의 순서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조력자 선정부(115)는 미리 설정된 조력자 선정 기준에 따라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조력자가 선정되면, 선정된 조력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조력자 선정을 통지하여 요구조자의 구조에 협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조력자 선정부(115)는 선정된 조력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미리 지정된 시간 내에 승낙 통지가 수신되면, 해당 작업자를 조력자로 확정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지정된 시간 내에 승낙 통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요구조자의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우선 순위에서 규정된 차순위자에게 조력자 선정을 다시 통지하여 승낙 통지를 기다리도록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조력자 선정부(115)는 하나 이상의 조력자들에게 선정 통지를 전송할 때, 구조 요청에 포함된 요구조자 정보와 작업자 정보에서 확인된 요구조자의 건강 특이사항을 참조하여 요구조자에 대한 관리 정보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관리 정보는 예를 들어 요구조자의 지병과 관련하여 독특한 관리가 필요하면 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요구조자의 의식이 없어 현장 응급처치가 필요한 경우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알람 수행부(117)는 요구조자 정보가 수신되어 위치 관리부(113)에 의해 요구조자의 위치가 인식되면, 요구조자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작업 현장에 설치된 알람 장치(150)의 동작을 개시한다. 요구조자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었음이 감지되면, 알람 수행부(117)는 알람 장치(150)의 동작을 종료할 수 있을 것이다.
알람 장치(150)는 예를 들어 경광등, 사이렌, 음성 안내 장치, LED 표시 장치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작업자들이 사고 상황의 발생을 빛이나 소리를 통해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 관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구조 관제 장치(100)는 작업 현장에 설치된 각각의 인식 장치(140)들로부터 인식 장치(140)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각 인식 장치(140)의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된 등록자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작업자가 어떤 단위 구역에 위치하였는지에 대한 작업자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320에서, 구조 관제 장치(100)는 작업 현장 내에서 구조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조 요청은 요구조자의 인근에 위치한 다른 작업자인 신고자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구조 요청에 포함되는 요구조자의 이름 등에 관한 요구조자 정보는 예를 들어 신고자가 구비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 텍스트 전송 및 사진 전송 등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구조 관제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단계 320의 판단 결과, 만일 구조 요청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구조 관제 장치(100)는 작업 현장에 설치된 인식 장치(140)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및 제2 식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30)에 미리 저장된 등록자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 정보를 갱신한다.
그러나 만일, 구조 요청이 수신되었다면, 단계 330에서, 구조 관제 장치(100)는 구조 요청에 포함된 요구조자 정보와 미리 생성된 작업자 정보를 이용하여 요구조자의 위치를 인식한다.
구조 관제 장치(100)는 인식된 요구조자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작업 현장에 설치된 알람 장치(150)의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360). 알람 장치(150)는 예를 들어 경광등, 사이렌, 음성 안내 장치, LED 표시 장치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조 관제 장치(100)는 인식된 요구조자의 위치에 상응하여 요구조자를 탑승시킬 구급 차량이 정차할 위치를 결정하고, 요구조자의 위치로부터 구급 차량의 정차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에 관한 구조 경로를 결정한다(단계 340).
이어서, 구조 관제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조력자 선정 기준에 따라 구조 경로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조력자를 선정하고, 선정된 조력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조력자 선정을 통지한다(단계 350).
조력자 선정 기준에는 예를 들어, 조력자의 유형, 유형별 조력자의 인원수, 조력자 선정을 위한 우선 순위 등이 규정될 수 있다. 여기서, 조력자의 유형은 구조 경로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요구조자의 이송시 엘리베이터의 이용이 불필요한 경우라면 조력자의 유형 중 층별 조력자의 선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은 작업 반경이 넓은 조선 산업 등의 산업 현장에서 요구조자 발생시 근처의 현장 관리자 등이 신속하게 구조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요구조자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구조 관제 장치 110 : 관제 유닛
111 : 수집부 113 : 위치 관리부
115 : 조력자 선정부 117 : 알람 수행부
130 : 데이터베이스 140 : 인식 장치
150 : 알람 장치 160 : 안전모
180 : 탑사이드 모듈

Claims (5)

  1. 작업 현장의 단위 구역별로 대응하여 설치된 인식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인식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인식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집부;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등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위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에 관한 작업자 정보를 생성하고, 작업 현장에서 임의의 작업자에 대한 구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요구조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관리부; 및
    상기 구조 요청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조력자 선정 기준과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조력자를 선정하는 조력자 선정부를 포함하는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부는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가 인식되면,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급 차량의 정차 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로부터 상기 구급 차량의 정차 위치까지의 구조 경로를 결정하는,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력자 선정 기준에는 조력자의 유형, 유형별 조력자의 인원 수 및 조력자 선정을 위한 우선 순위가 규정되고,
    상기 조력자 선정부는 상기 구조 경로에 상응하여 조력자의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요구조자의 인근에 위치한 작업자들 중에서 상기 유형별 조력자의 인원 수 및 상기 우선 순위에 따른 하나 이상의 조력자를 선정하는,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급 차량을 유도하기 위해, 작업 현장에 설치된 알람 장치들 중에서 상기 인식된 요구조자의 위치에 상응하도록 설치된 알람 장치의 동작을 개시하는 알람 수행부를 더 포함하는,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5.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작업 현장의 단위 구역별로 대응하여 설치된 인식 장치들 각각으로부터, 인식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상기 인식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작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 정보, 상기 제2 식별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등록자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단위 구역에 위치한 작업자에 관한 작업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작업 현장에서 임의의 작업자에 대한 구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요구조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조력자 선정 기준과 상기 작업자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요구조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조력자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83634A 2021-06-28 2021-06-28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 KR20230001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634A KR20230001115A (ko) 2021-06-28 2021-06-28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634A KR20230001115A (ko) 2021-06-28 2021-06-28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15A true KR20230001115A (ko) 2023-01-04

Family

ID=8492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634A KR20230001115A (ko) 2021-06-28 2021-06-28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1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06B1 (ko) 2017-11-29 2019-07-11 주식회사 오경컴텍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06B1 (ko) 2017-11-29 2019-07-11 주식회사 오경컴텍 스마트펜스를 사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US8970367B2 (en) Person on board system and method
KR20190106483A (ko)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192218A (zh) 利用生物特征评估响应者的状况和适合性的计算机辅助调度系统和方法
KR101999249B1 (ko) 에이알기반 재해자 위치표시시스템 및 방법
KR101567241B1 (ko) 출동정보전달시스템
CN111492414A (zh) 实时管理建筑物的疏散
KR101538948B1 (ko) Nfc를 이용한 비상대피 경로 안내시스템
JP2018198020A (ja) 救急活動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174252A (ja) 防災支援システム
WO2021133524A1 (en) On-dispatch identification and assignment of unresolved tasks
KR20160059105A (ko)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20230001115A (ko) 산업 현장 내의 응급 구조를 위한 구조 관제 장치 및 방법
JP2008146302A (ja) 作業安全管理及び指示報知システム
KR102298309B1 (ko)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19104594A (ja) 災害情報支援システム及び災害情報支援方法
JP2018202563A (ja) 協調安全制御方法および協調安全制御システム
JP7263043B2 (ja) アラート出力システム、アラー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49188B1 (ko) 선박 건조 조선소용 작업 및 안전 관리 시스템
US11330095B2 (en) Emergency kit
JP2006268785A (ja) 人材派遣支援システム
KR101957982B1 (ko) 비콘태그를 이용한 안전활동 스마트 tbm 시스템
Torad et al. Smart ambulance using IoT for blood transfer facilities
WO2023148969A1 (ja) 無人機、誘導支援装置、誘導支援システム、誘導支援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7394530B2 (ja) アラート出力システム、アラー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