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309B1 -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309B1
KR102298309B1 KR1020190167982A KR20190167982A KR102298309B1 KR 102298309 B1 KR102298309 B1 KR 102298309B1 KR 1020190167982 A KR1020190167982 A KR 1020190167982A KR 20190167982 A KR20190167982 A KR 20190167982A KR 102298309 B1 KR102298309 B1 KR 102298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terminal
information
work
rf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227A (ko
Inventor
최상호
장영현
안정호
이준범
김남홍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7/756,143 priority Critical patent/US11704988B2/en
Priority to CN202080093650.9A priority patent/CN115039154A/zh
Priority to PCT/KR2020/011753 priority patent/WO2021101031A1/ko
Publication of KR2021006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Abstract

본 발명은 음영지역 내에 설치된 RFID 포스트의 위치 정보를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음영 지역 내에서 작업하는 작업 그룹의 위치를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제 서버가 작업 그룹의 위치와 열차의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 그룹의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알림으로써 작업 그룹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본 발명은 작업자 단말기들이 작업 영역 내에 설치된 RFID 포스트에 장착된 RFID 태그를 각각 인식하고, 작업자 단말기들 중에서 그룹장 단말기를 자동으로 선발하는 RFID 인식 단계와, 작업자 단말기들 중에서 그룹원 단말기들이 인식 정보를 그룹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식 정보 전송 단계와, 그룹장 단말기가 그룹원 단말기에서 수신한 인식 정보와, 그룹장 단말기의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그룹 정보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 그룹 정보 전송 단계와, 관제 서버가 작업 그룹 정보와, 열차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결과값을 산출하는 비교 단계와, 관제 서버가 결과값을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작업 그룹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여부 판단 단계 및, 관제 서버에서 작업 그룹이 위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그룹원 단말기, 그룹장 단말기 및 기관사 단말기로 위험 상항을 알리는 알림 단계를 포함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Worker Safety Monitoring System in Shadow Area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또는 터널 등과 같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송수신이 원활하지 않은 음영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공간 담당자와 작업자 사이에 합의된 작업시간내에 작업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와같이 음영 지역내에서의 작업은 GPS를 통한 작업자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음영 지역 중, 선로 내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경우, 예기치 못한 돌발 상황 발생 등으로 작업자에게 사고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사고가 발생되거나, 작업시간이 지체되어 작업자와 공간 담당자사이에 협의된 작업 시간이 초과된 경우, 선로 내로 열차가 운행될 수 있다. 이때, 선로 내에서 운행하는 열차의 기관사는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자와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못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차 주행으로 인한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될 수 있습니다.
본 발명은 RFID 태그에 저장된 RFID 포스트의 위치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작업 그룹의 위치를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제 서버가 실시간으로 작업 그룹의 위치와 열차의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 그룹의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알림으로써 작업 그룹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제 서버가 하나의 그룹장 단말기와 통신함으로써, 모든 작업자들의 위치 및 작업 그룹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통신 및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작업자 단말기들이 작업 영역 내에 설치된 RFID 포스트에 장착된 RFID 태그를 각각 인식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에서 그룹장 단말기를 자동으로 선발하는 RFID 인식 단계와,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에서 그룹원 단말기들이 인식 정보를 상기 그룹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식 정보 전송 단계와, 상기 그룹장 단말기가 상기 그룹원 단말기에서 수신한 인식 정보와, 상기 그룹장 단말기의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그룹 정보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 그룹 정보 전송 단계와,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작업 그룹 정보와, 열차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결과값을 산출하는 비교 단계와,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결과값을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작업 그룹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관제 서버에서 작업 그룹이 위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그룹원 단말기, 상기 그룹장 단말기 및 기관사 단말기로 위험 상항을 알리는 알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인식 단계에서는 상기 그룹원 단말기 및 그룹장 단말기가 상기 RFID 포스트에 장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RFID 포스트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정보 전송 단계와 상기 작업 그룹 정보 전송 단계는 일정 주기로 인식 정보 및 작업 그룹 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그룹원 단말기 또는 상기 그룹장 단말기가 작업 영역을 이탈한 경우, 알림음을 통해 작업 영역 이탈을 알림으로써, 작업 영역으로의 복귀를 유도하며, 상기 그룹원 단말기 또는 상기 그룹장 단말기가 상기 작업 영역내로 복귀할 경우, 상기 RFID 포스트의 상기 RFID 태그를 다시 인식하여 작업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룹장 단말기는 상기 작업 영역 이탈한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에서 하나의 단말기가 새로운 그룹장 단말기로 자동으로 선발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에서 인식된 작업자 ID가 상기 RFID 태그에 자동 저장되고, 인식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이 상기 RFID 포스트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경우 인식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인식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상기 작업자 ID가 자동으로 소멸되며, 상기 작업자들 단말기들에서는 작업 영역 내에서 작업을 위해서 상기 인식 기준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주기적으로 상기 작업 영역 내에 설치된 상기 RFID 포스트의 상기 RFID 태그의 재인식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비교 단계에서는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그룹장 단말기에서 수신된 작업 그룹 정보에서 작업 그룹의 위치 및 시간 정보와, 상기 관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열차 운행 정보에서 열차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 영역 내에서의 작업자들의 위치하는 시간과 작업 그룹 내에 열차가 도착예정인 시간의 차이인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상황 여부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관제 서버에서 상기 결과값이 상기 기준시간과 같거나 더 짧을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단계에서는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기관사 단말기로 열차가 감속 운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단계이후에는 상기 그룹장 단말기가 상기 작업 그룹에 포함된 모든 작업자들이 작업 영역으로부터 안전거리를 확보했음에 대한 안전 확보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안전 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기관사 단말기로 열차의 감속 경고를 해제하고, 정상 주행으로 운행하도록 요청하는 감속 경고 해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정보는 그룹ID와 작업자별 개인ID로 이루어진 작업자 ID, 상기 RFID 포스트의 위치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한 인식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 그룹 정보는 작업 그룹 인원 수, 그룹 ID, 작업자별 개인 ID, 작업자별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RFID 태그에 저장된 RFID 포스트의 위치 정보를 통해 실시간으로 작업 그룹의 위치를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제 서버가 실시간으로 작업 그룹의 위치와 열차의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 그룹의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알림으로써 작업 그룹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관제 서버가 하나의 그룹장 단말기와 통신함으로써, 모든 작업자들의 위치 및 작업 그룹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통신 및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 감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에서 다수의 RFID 포스트들이 선로에 설치된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에서 그룹원 단말기, 그룹장 단말기 및 기관사 단말기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에서 관제 서버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내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관제 서버는 중앙처리장치, 하드디스크 또는 고체상태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장치, 휘발성 메모리 장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 모니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출력 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상용 컴퓨터에서 운영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안전 감시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에서 다수의 RFID 포스트들이 선로에 설치된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음영지역 내 작업자의 안전을 감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100)은 RFID 포스트(110), 그룹원 단말기(120), 그룹장 단말기(130), 기관사 단말기(140) 및 관제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포스트(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로(R)를 기준으로, 선로(R)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RFID 포스트(110)에는 각각 RFID 태그(111)가 각각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RFID 태그(111)는 그룹원 및 그룹장이 시야 높이를 고려하여 RFID 포스트(110)의 적정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RFID 태그(111)는 능동형(active) 태그일 수 있으며, RFID 포스트의 위치 정보인 포스트 ID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111)는 인식된 그룹원 단말기(120) 및 그룹장 단말기(130)의 정보인 작업자 ID를 메모리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RFID 태그(111)는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자 ID를 일정 시간 경과 시 자동 소멸(리셋)시킬 수 있다. 상기 그룹원 단말기(120) 및 그룹장 단말기(130)는 무선 신호를 생성하여 전파하고, RFID 태그(111)로부터 RFID 포스트(110)의 위치 정보인 포스트 ID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서 RFID 포스트(110)는 선로(R)의 일측을 따라 이격되도록 4개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일측 및/또는 타측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발명에서 RFID 포스트(110)가 설치되는 위치 및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RFID 포스트(11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로(R)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1RFID 포스트(110A), 제2RFID 포스트(110B), 제3RFID 포스트(110C) 및 제4RFID 포스트(110D)를 포함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1RFID 포스트(110A), 제2RFID 포스트(110B), 제3RFID 포스트(110C) 및 제4RFID 포스트(110D)는 각각 위치 정보가 RFID 태그(111A, 111B, 111C, 111D)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RFID 포스트(110A), 제2RFID 포스트(110B), 제3RFID 포스트(110C) 및 제4RFID 포스트(110D)는 각각의 RFID 태그(111A, 111B, 111C, 111D)가 인식 가능한 영역인 셀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셀 커버리지는 RFID 포스트들(110A,110B,110C,110D)을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RFID 포스트들(110A,110B,110C,110D)은 셀 커버리지 중 일부 영역이 중첩될 수도 있다. 또한 그룹원 단말기(120) 및 그룹장 단말기(130)에서 작업 영역에 따라서 각각 RFID 태그(111A, 111B, 111C, 111D)를 인식할 경우, 각각의 RFID 포스트들(110A,110B,110C,110D)의 셀 커버리지 내에서는 인식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영역은 그룹원과 그룹장으로 이루어진 작업 그룹이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RFID 포스트(110A,110B,110C,110D)의 셀 커버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작업 영역은 하나의 RFID 포스트(110A,110B,110C,110D)의 셀 커버리지를 포함하거나, 근접한 2개 이상의 RFID 포스트(110A,110B,110C,110D)들의 셀 커버리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그룹원 단말기(120)와 그룹장 단말기(13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작업자 단말기들(120,130) 중에서 RFID 포스트(110)의 RFID 태그(111)를 인식할 경우, 자동적으로 하나의 단말기를 그룹장 단말기(130)로 선발할 수 있다. 일예로, 그룹장 단말기(130)는 작업 시작시, 작업자 단말기들(120,130) 중에서 최초에 RFID 태그(111)를 인식한 단말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은 그룹원 단말기(120)들과, 그룹장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은 각각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RFID 태그(111)를 인식함으로써, RFID 포스트의 위치 정보(포스트 ID)를 수신하고 작업자 ID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그룹원 단말기(120), 그룹장 단말기(130), 기관사 단말기(140) 및 관제 서버(15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좀 더 자게하게, 무선 통신망은 그룹원 단말기(120)와 그룹장 단말기(130)사이, 그룹장 단말기(130)와 관제 서버(150)사이 및, 기관사 단말기(140)와 관제 서버(150)사이에 정보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망은 철도 통합 무선망인 LTE-R망, WiFi 및 그 외의 무선통신망일 수 있다.
또한 그룹원 단말기(120) 및 기관사 단말기(140)를 각각 하나로 도시하였으나, 다수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그룹원 단말기(120) 및 기관사 단말기(140)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룹장 단말기(130)는 작업자 단말기들(120,130) 중 선발된 하나의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기관사 단말기(140)는 운전석에 설치되거나 내장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또는 랩톱(Laptop)과 같은 컴퓨터와 같은 유무선 통신 장치이거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그룹원 단말기(120)와 그룹장 단말기(130)도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룹원 단말기(120),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가 핸드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경우,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계를 탑재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개방형 운영체계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폰,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출제자 단말기(110)와 풀이자 단말기(120)가 개방형 운영체계를 사용할 경우, 폐쇄적인 운영체계를 가진 휴대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100)에서 그룹원 단말기(120),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의 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그룹원 단말기(120),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를 사용자 단말기(120,130,140)로 지칭하고자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20,130,140)는 기본적으로 제어부(121), 메모리부(122), 화면 출력부(123), 키입력부(124), 사운드 입출력부(125), 카메라(126) 및 통신모듈(127)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1)는 사용자 단말기(120,130,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120,130,140)에 구비된 각 기능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121)는 프로세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20,130,14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부(122)에 로딩 하여 연산 및 실행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 구성부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기(120,130,1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부(122)는 사용자 단말기(120,130,14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제어부(12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와, 상기 프로그램 코드가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122)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20,130,14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 프로그램 코드와 시스템 데이터 세트, 사용자 단말기(120,130,14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 세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코드와 응용 데이터 세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웹사이트)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 세트 역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123)는 화면출력 장치(예컨대, LCD, LED 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출력 모듈로 구성되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웹사이트)이 화면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키입력부(124)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출력 장치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되며,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웹사이트)의 구동을 위한, 설정을 사용자가 키입력부(124)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입출력부(125)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사운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 및 사운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입출력부(125)는 상기 제어부(12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모듈은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출력부(125)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21)로 전달한다. 이때, 사운드 모듈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하여 제어부(121)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입출력부(125)는 개인용 컴퓨터일 경우,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26)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카메라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서 카메라(126)는 개인용 컴퓨터일 경우, 별도로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통신모듈(127)은 사용하는 통신망에 따라서 무선 통신 모듈(127a)과 근거리 통신 모듈(12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7a)은 무선 통신망에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 모듈(127a)은 사용자 단말기(120,130,14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의 무선 통신 모듈(127a)은 관제 서버(150)와 각각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 감시를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그룹원 단말기(120)의 무선 통신 모듈(127a)은 그룹장 단말기(130)로 무선 통신망을 통해 작업자 ID 및 위치에 대한 정보인 인식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통신 모듈(127a)은 상기 제어부(12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21)의 각종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2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망과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27b)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127b)을 통해, 그룹원 단말기(120) 및 그룹장 단말기(130)는 RFID 포스트(110)에 장착된 RFID 태그(111)를 인식할 수 있다. 물론 근거리 통신 모듈(127b)도 제어부(121)와 버스로 연결되어 근거리 통신 모듈(127b)을 통해 인식된 RFID 태그(111)가 장착된 RFID 포스트(110)의 위치 정보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2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근거리 통신망과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또한 도 5는 도 1의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100)에서 관제 서버(150)의 구성 일예를 도시한 구조도가 도시되어 있다. 관제 서버(150)는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물론, 관제 서버(150)는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에서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웹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이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데이터 및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물론 관제 서버(150)는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구현되는 각종 인터페이스 화면 및 사운드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150)는 서버 제어부(151), 통신부(152), 데이터베이스(153), 디스플레이부(154) 및 입력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151)는 그룹장 단말기(130)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된 작업 구역에서의 작업자들의 정보인 작업 그룹 정보와, 열차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자들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151)는 작업 그룹이 위험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로 경고 및 알림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2)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연결하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 및 유선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2)는 데이터베이스(153) 및 서버 제어부(151)와 버스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52)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와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53)는 열차 운행 정보 및 그룹장 단말기(130)에서 전송된 작업 구역에서의 작업 그룹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물론 열차 운행 정보와 작업 그룹 정보는 서버 제어부(151)의 제어에 의해 주기적으로 갱신 및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4)는 관제 서버(150)의 입력부(155)를 통해 선택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5)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을 구비한 키 입력장치(또는 상기 화면출력 장치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입력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은 RFID 인식 단계(S1), 인식 정보 전송 단계(S2), 작업 그룹 정보 전송 단계(S3), 비교 단계(S4), 위험 상황 여부 판단 단계(S5), 알림 단계(S6), 안전 확보 전송 단계(S7), 감속 경고 해제 단계(S8) 및 작업 완료 확인 단계(S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ID 인식 단계(S1)에서는 작업 그룹 내에 포함된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에서 작업 영역 내 설치된 RFID 포스트(110)의 RFID 태그(111)를 각각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117c)을 통해 각각 RFID 태그(111)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 단말기들(120,130)들은 RFID 리더기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이 작업 영역 내 설치된 RFID 포스트(110)의 RFID 태그(111)를 각각 인식하면, 작업자 단말기들(120,130) 중에서 하나의 단말기가 그룹장 단말기(130)로 자동 선발될 수 있다. 일예로, 그룹장 단말기(130)는 작업 시작 시, 작업자 단말기들(120,130) 중에서 최초에 RFID 태그(111)를 인식한 단말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룹장 단말기(130)가 작업 영역을 이탈할 경우 그룹장 권한이 상실되고, 작업 영역내의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중 하나를 새로운 그룹장 단말기(130)로 자동 선발할 수 있다. 물론, 작업 영역을 이탈한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작업 영역을 이탈하였다는 알림음이 사운드 입출력부(125)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즉, 작업자들은 작업 영역 이탈 여부를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에서 제공되는 알림음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은 이탈 이후, 작업 영역 내 복귀할 경우, RFID 포스트(110)의 RFID 태그(111)를 다시 인식하여 작업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에서 인식된 RFID 태그(111)에는 작업자 ID가 자동 저장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111)는 인식기준 시간 경과시 저장된 작업자 ID가 자동 소멸될 수 있다. 물론 작업 영역 내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에서는 인식기준 시간 경과전에 RFID 태그(111)를 재인식이 필요하다. 즉,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은 작업 영역 내에 구비된 RFID 포스트(110)의 RFID 태그(111)를 인식기준 시간 경과 전에 주기적으로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은 인식기준 시간 이내에는 RFID 포스트(110)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경우, 인식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 ID는 그룹 ID와 작업자별 개인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룹원 단말기(120) 및 그룹장 단말기(130)에서는 각각 인식된 RFID 태그(111)가 부착된 RFID 포스트(110)의 위치 정보인 포스트 ID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룹원 단말기(120) 및 그룹장 단말기(130)에서는 지정된 작업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영역은 작업자들이 작업을 시작하기 이전에 관제 서버(150)와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룹장 단말기(130)에서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작업 영역을 축소 또는 확장 가능할 수 있다. 물론 그룹장 단말기(130)에서 확장된 작업 영역은 관제 서버(150)의 확인 과정을 거쳐서 승인될 수 있다. 또한 작업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RFID 포스트(11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작업 영역 내에 복수의 RFID 포스트(110)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복수의 RFID 포스트(110)들의 셀 커버리지를 모두 포함하는 영역이 작업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인식 정보 전송 단계(S2)에서는 그룹원 단말기(120)에서 RFID 태그(111)를 인식한 정보인 인식 정보를 그룹장 단말기(1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 정보 전송 단계(S2)는 RFID 인식 단계(S1)이후 실시간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정보는 그룹원 단말기(120)에서 인식한 RFID 포스트(110)의 위치 정보, RFID 태그(111)를 인식한 인식 시간 및 작업자 ID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이 GPS 송수신이 가능한 작업 영역 내에 있을 경우, 위치 정보는 각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의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작업자의 위치 정보는 포스트 ID와 GPS 위치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장 단말기(13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원 단말기(120)의 인식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127a)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그룹원 단말기(120)는 인식 정보를 일정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작업 그룹 정보 전송 단계(S3)에서는 그룹장 단말기(130)가 그룹원 단말기(120)에서 수신한 인식 정보와, 그룹장 단말기(130)의 인식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작업 그룹 정보를 관제 서버(15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그룹장 단말기(130)는 그룹원 단말기(120)에서 일정주기로 인식 정보를 수신하여 갱신하고, 이와 동일한 주기로 관제 서버(150)로 작업 그룹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주기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서 1분 이내로 설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일정 주기는 위험 상황 여부 판단 단계(S5)에서 위험 상황 판단을 위한 기준 시간에 비해 더 짧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작업 그룹 정보는 작업 그룹 인원 수, 그룹 ID, 작업자별 개인 ID, 작업자별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장 단말기(130)는 그룹원 단말기(120)와 관제 서버(150) 사이에 통신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수의 작업자 단말기들(120,130)이 관제 서버(150)와 직접 통신시 발생할 수 있는 통신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즉, 관제 서버(150)는 하나의 그룹장 단말기(130)와 통신을 진행하므로, 통신 및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비교 단계(S4)에서는 관제 서버(150)가 작업 그룹 정보와 열차 운행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150)는 실시간으로 통신부(152)를 통해 수신한 작업 그룹 정보 중 작업 그룹의 위치 및 시간 정보와, 데이터베이스(132)에서 추출된 열차의 운행 정보 중 열차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4)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관제 서버(150)의 디스플레이부(154)에는 작업 영역의 지도와, 인접한 지역에서 운행중인 열차의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관제 서버(150)는 서버 제어부(151)에서 작업 그룹의 위치 및 시간 정보와 열차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결과값을 산출 할 수 있다. 일예로, 관제 서버(150)의 서버 제어부(151)는 작업 그룹이 11시 29분에 작업 영역 내에 위치하고, 열차가 11시 31분에 작업 영역 내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할 경우 결과값은 2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상황 여부 판단 단계(S5)에서는 관제 서버(150)가 결과값을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결과값이 기준 시간과 같거나 더 짧을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시간은 3분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수치로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기준 시간은 인식 정보 및 작업 그룹 정보를 전송하는 일정 주기의 최소 2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림 단계(S6)에서는 관제 서버(150)가 위험 상황으로 판단한 경우, 그룹원 단말기(120),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로 위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때 그룹원 단말기(120),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는 사운드 입출력부(125)를 통해 알림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작업자 및 기관사는 알림음을 통해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룹원 단말기(120), 그룹장 단말기(130) 및 기관사 단말기(140)는 열차의 실시간 위치 및 작업 영역 내에 도착할 시간 등을 화면 출력부(123)를 통해 표시해 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관제 서버(150)는 작업 그룹의 안전을 위해 기관사 단말기(140)로 열차가 감속 운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기관사 단말기(140)에서 수신된 감속 운행 요청을 확인한 기관사는 열차를 저속으로 감속하여 운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안전 확보 전송 단계(S7)에서는 그룹장 단말기(130)가 관제 서버(150)에서 알림을 받은 후, 작업 그룹에 포함된 모든 작업자들이 작업 영역으로부터 안전거리를 확보했음에 대한 안전 확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속 경고 해제 단계(S8)에서는 관제 서버(150)가 그룹장 단말기(130)로부터 안전 확보 정보를 수신하면, 기관사 단말기(140)로 열차의 감속 경고를 해제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기관사 단말기(140)에서 수신된 감속 해제 요청을 확인한 기관사는 열차를 정상 주행 속도로 운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완료 확인 단계(S9)에서는 그룹원 단말기(120) 및 그룹장 단말기(130)에서는 작업이 완료되었을 경우, 전용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그룹원 단말기(120) 및 그룹장 단말기(130)는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을 경우, RFID 인식 단계(S1), 인식 정보 전송 단계(S2), 작업 그룹 정보 전송 단계(S3), 비교 단계(S4), 위험 상황 여부 판단 단계(S5), 알림 단계(S6), 안전 확보 전송 단계(S7) 및 감속 경고 해제 단계(S8)를 상황에 따라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관제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작업 그룹의 위치와 열차의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 그룹의 위험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알림으로써 작업 그룹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관제 서버가 하나의 그룹장 단말기와 통신함으로써, 모든 작업자들의 위치 및 작업 그룹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통신 및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110: RFID 포스트 120: 그룹원 단말기
130: 그룹장 단말기 140: 기관사 단말기
150: 관제 서버

Claims (12)

  1. 작업자 단말기들이 작업 영역 내에 설치된 RFID 포스트에 장착된 RFID 태그를 각각 인식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에서 그룹장 단말기를 자동으로 선발하는 RFID 인식 단계;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에서 그룹원 단말기들이 인식 정보를 상기 그룹장 단말기로 전송하는 인식 정보 전송 단계;
    상기 그룹장 단말기가 상기 그룹원 단말기에서 수신한 인식 정보와, 상기 그룹장 단말기의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그룹 정보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작업 그룹 정보 전송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작업 그룹 정보와, 열차 운행 정보를 비교하여 결과값을 산출하는 비교 단계;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결과값을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작업 그룹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 상황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관제 서버에서 작업 그룹이 위험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그룹원 단말기, 상기 그룹장 단말기 및 기관사 단말기로 위험 상항을 알리는 알림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원 단말기 또는 상기 그룹장 단말기가 작업 영역을 이탈한 경우, 알림음을 통해 작업 영역 이탈을 알림으로써, 작업 영역으로의 복귀를 유도하며,
    상기 그룹원 단말기 또는 상기 그룹장 단말기가 상기 작업 영역내로 복귀할 경우, 상기 RFID 포스트의 상기 RFID 태그를 다시 인식하여 작업 그룹에 포함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인식 단계에서는
    상기 그룹원 단말기 및 그룹장 단말기가 상기 RFID 포스트에 장착된 RFID 태그로부터 상기 RFID 포스트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 전송 단계와 상기 작업 그룹 정보 전송 단계는 일정 주기로 인식 정보 및 작업 그룹 정보를 각각 전송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장 단말기는 상기 작업 영역 이탈한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 중에서 하나의 단말기가 새로운 그룹장 단말기로 자동으로 선발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에서 인식된 작업자 ID가 상기 RFID 태그에 자동 저장되고, 인식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작업자 단말기들이 상기 RFID 포스트의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경우 인식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인식 기준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RFID 태그에 저장된 상기 작업자 ID가 자동으로 소멸되며,
    상기 작업자들 단말기들에서는 작업 영역 내에서 작업을 위해서 상기 인식 기준 시간이 경과되기 이전에 주기적으로 상기 작업 영역 내에 설치된 상기 RFID 포스트의 상기 RFID 태그의 재인식이 요구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에서는
    상기 관제 서버는 상기 그룹장 단말기에서 수신된 작업 그룹 정보에서 작업 그룹의 위치 및 시간 정보와, 상기 관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열차 운행 정보에서 열차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작업 영역 내에서의 작업자들의 위치하는 시간과 작업 그룹 내에 열차가 도착예정인 시간의 차이인 결과값을 산출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여부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관제 서버에서 상기 결과값이 상기 기준시간과 같거나 더 짧을 경우,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단계에서는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기관사 단말기로 열차가 감속 운행하도록 요청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단계이후에는
    상기 그룹장 단말기가 상기 작업 그룹에 포함된 모든 작업자들이 작업 영역으로부터 안전거리를 확보했음에 대한 안전 확보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안전 확보 전송 단계; 및
    상기 관제 서버가 상기 기관사 단말기로 열차의 감속 경고를 해제하고, 정상 주행으로 운행하도록 요청하는 감속 경고 해제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는 그룹ID와 작업자별 개인ID로 이루어진 작업자 ID, 상기 RFID 포스트의 위치 정보 및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한 인식 시간을 포함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그룹 정보는 작업 그룹 인원 수, 그룹 ID, 작업자별 개인 ID, 작업자별 위치 정보 및 현재 시간을 포함하는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방법.
KR1020190167982A 2019-11-19 2019-12-16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298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56,143 US11704988B2 (en) 2019-11-19 2020-09-02 Group leader selection method, and user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202080093650.9A CN115039154A (zh) 2019-11-19 2020-09-02 组长选择方法、以及用户安全监测系统和方法
PCT/KR2020/011753 WO2021101031A1 (ko) 2019-11-19 2020-09-02 그룹 리더 선정 방법 및 사용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866 2019-11-19
KR20190148866 2019-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227A KR20210061227A (ko) 2021-05-27
KR102298309B1 true KR102298309B1 (ko) 2021-09-07

Family

ID=7613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82A KR102298309B1 (ko) 2019-11-19 2019-12-16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854B1 (ko) 2023-04-13 2023-12-29 엠넥스텍 주식회사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781B1 (ko) * 2023-02-10 2024-02-16 주식회사 드제이 통합 제조 운영 관리를 위한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209B1 (ko) *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852A (ko) * 2006-07-21 2008-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주파수 식별 시스템에서의 태그 리딩 장치 및 방법
KR100989671B1 (ko) * 2008-08-20 2010-10-2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Rfid 기반 위치추적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철도사고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209B1 (ko) * 2016-03-17 2016-11-0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터널 공사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8854B1 (ko) 2023-04-13 2023-12-29 엠넥스텍 주식회사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227A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2374B2 (en) Event w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715799B2 (en) System and method of using a fire spread forecast and BIM to guide occupants using smart signs
US20130166114A1 (en) Worker Protection Method
KR102298309B1 (ko)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783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dispatch of mobile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868214B2 (en) Localization of a mobile system
KR20150033241A (ko)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재난 구조 시스템
US20210407230A1 (en) A system of seamless automated customer id verification at the hotel entrance and releasing the hotel room key
KR20230028127A (ko) 건설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45359B1 (ko)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US111725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nel accountability and tracking during public safety incidents
WO2018116493A1 (ja) 配置サーバ、警備システム、警備員配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164411A1 (en) Alerthub System with Two Touch Badge
US20170284816A1 (en) Establishing convergence points and determining time to convergence of related objects in motion
CN205943002U (zh) 一种作业场所的rfid定位预警系统
CN108134620A (zh) 一种救援处理方法及系统
KR102034143B1 (ko) Gps 위치정보의 위조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US11704988B2 (en) Group leader selection method, and user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645336B1 (ko) 차량 사고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00624A (ko) 지능형 건강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30127673A (ko) 작업장에서의 재난경보 제공방법
US20230410512A1 (en) Autonomous safety violation detection system through virtual fencing
JP7354377B2 (ja) 携帯端末、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U2020201085B2 (en) Land mobile radio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JP2019522390A (ja) ノード/ネットワーク集約ゲートウェイ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