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5359B1 -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5359B1
KR101245359B1 KR1020110061439A KR20110061439A KR101245359B1 KR 101245359 B1 KR101245359 B1 KR 101245359B1 KR 1020110061439 A KR1020110061439 A KR 1020110061439A KR 20110061439 A KR20110061439 A KR 20110061439A KR 101245359 B1 KR101245359 B1 KR 101245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ule
tag
work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732A (ko
Inventor
민소연
이광형
이종희
정운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에스티
서일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에스티, 서일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에스티
Priority to KR102011006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5359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5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5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정보가 저장된 태그; 상기 작업자정보가 저장된 DB와, 작업지시정보가 입력되는 오더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발신하는 통신모듈을 갖춘 서버; 및 입력모듈과, 출력모듈과,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작업자정보를 수신하는 리더와, 상기 태그의 위치를 파악해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태그가 상기 리더의 인식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해당 태그의 작업자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작업모듈을 갖춘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작업자의 근무태도를 파악하여 임금지급 및 근무평가에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인 인사관리를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위치를 토대로 작업의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위험지역으로 작업자가 접근시 경고를 하여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며, 태그와 리더간의 통신에 2.45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태그와 리더를 소형화하여 휴대하기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Safety Mag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Site}
본 발명은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RFID 기반의 태그와 리더를 이용하여 작업자들의 실시간 위치파악, 접근위험구역의 접근방지 및 위급상황발생시 신속한 구조요청을 통해 작업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 현장과 본사와는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본사에서 건설 현장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관리, 예를 들면 노무자의 개인정보, 출퇴근 상황, 급여, 안전관리 및 건설자재 정보 등의 전반적인 정보 관리를 체계적으로 실시간 관리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대부분의 공사현장에서는 근무 인력이나 시간 변동이 심해 비용정산 과정에서도 손실이 발생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출근부 등의 문서 작성을 하였으나 현장과 본사간의 신속한 정보 공유가 불가능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바코드나 RFID 카드 사용을 도입하였으나 단순히 작업자의 출퇴근 기록만 관리하기 때문에 활용도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고 작업생산성 또한 저하시키고 있었다.
또한, 건설 공사 현장은 많은 중장비들이 쉴 새 없이 움직이며 작업을 하고 있으며, 낭떠러지와 웅덩이 등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산재해 있다. 하지만 작업자가 작업중인 중장비 근처로 접근하거나 낭떠러지나 웅덩이 근처로 접근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고하는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건설 공사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시 신속한 위치파악이 힘들어 인명피해가 확대되는 일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RFID태그를 휴대하는 작업자의 위치를 RFID리더가 내장된 휴대형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위험구역에 설치된 휴대형 단말기를 통해 작업자가 위험구역으로 접근하면 이를 감지하여 경고하며, RFID태그에 형성된 비상호출버턴을 통해 작업자에게 위급상황 발생시 작업자의 위치 및 작업자정보를 휴대형 단말기로 전달하여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하는 RFID기반의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작업자정보가 저장된 태그; 상기 작업자정보가 저장된 DB와, 작업지시정보가 입력되는 오더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발신하는 통신모듈을 갖춘 서버; 및 입력모듈과, 출력모듈과,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작업자정보를 수신하는 리더와, 상기 태그의 위치를 파악해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태그가 상기 리더의 인식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해당 태그의 작업자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작업모듈을 갖춘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서버는 단말기의 통신모듈이 발신한 상기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작업모듈은 작업시지정보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로 전송하여 발신하며, 상기 서버의 통신모듈이 상기 작업지시정보확인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는 상기 태그가 상기 리더의 인식범위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태그의 작업자정보 및 경고신호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안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태그는 비상호출버턴을 더 포함하며, 작업자가 상기 비상호출버턴을 누르면 긴급호출신호가 발신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긴급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모듈에 긴급상황정보를 전송하는 긴급호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는 위치확인을 위한 GPS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기준범위내에 위치할 경우에만 상기 모니터링모듈이 상기 태그의 위치를 파악해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태그가 상기 리더의 인식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해당 태그의 작업자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서버는 리더의 인식범위를 벗어난 태그의 이탈횟수를 카운트하여 이탈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근태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태그의 작업자 정보를 상기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리더 및 태그는 2.45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작업자의 근무태도를 파악하여 임금지급 및 근무평가에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인 인사관리를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위치를 토대로 작업의 진행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위험지역으로 작업자가 접근시 경고를 하여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며, 태그와 리더간의 통신에 2.45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태그와 리더를 소형화하여 휴대하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위치 모니터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구역 접근금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무태도 평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태그(10)와, 태그(10)와 RFID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리더(33)를 내장한 단말기(30)와, 단말기(30)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서버(20)를 포함한다.
태그(10)는 RFID 기반의 태그로서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다. 칩에는 작업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작업자정보는 작업자의 성명, 소속 등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성별, 나이, 혈액형 등을 추가할 수 있다. 태그는 내부에 독립적인 전원이 없는 수동형과 독립적인 전원이 존재하는 능동형이 있으며, 수동형 및 능동형 태그가 모두 사용가능하나, 리더와 태그의 인식률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해 독립적인 전원이 존재하는 능동형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서버(20)는 태그(10)에 저정된 작업자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DB(21)와, 작업지시정보를 입력하여 작업지시를 하기 위한 오더모듈(22)과, 작업지시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모듈(23)을 포함하며 서버에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2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기(30)는 각종 입력을 위한 입력모듈(31)과,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32)과, 태그(10)와 무선통신을 통해 태그(10)에 저장된 정보를 읽기 위한 리더(33)와, 태그와(10)와 리더(33)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태그의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작업자정보와 함께 출력모듈(32)에 전송하는 모니터링모듈(34)과, 서버(20)의 통신모듈(23)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35)과, 통신모듈(35)을 통해 수신된 작업지시정보를 출력모듈(32)에 전송하는 작업모듈(36)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작업 위치 모니터링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기(30)를 소지한 관리자가 단말기(30)의 입력모듈(31)을 통해 로그인을 하고 태그(10)를 소지한 작업자가 태그(10a, 10b, 10c)의 스위치를 켜면, 리더(33)는 태그(10)에 저장된 작업자정보를 읽기 위해 신호를 발진한다. 입력모듈(31)은 자판형태의 키보드, 터치스크린 또는 음성인식방식일 수도 있다. 리더(33)는 인식범위(30a) 내에 위치한 모든 태그들로부터 작업자정보를 수신한다. 태그(10a, 10b, 10c)의 안테나는 리더(33)가 발진한 신호에 응답하여 각 작업자정보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발진한다. 리더(33)는 태그(10a, 10b, 10c)가 발진한 신호를 감지하여 수신하며 태그(10a, 10b, 10c)로부터 수신한 작업자정보를 모니터링모듈(34)로 전송한다. 모니터링모듈(34)은 리더(33)와 태그(10a, 10b, 10c)의 무선통신을 통한 상호 수신으로부터 태그(10a, 10b, 10c)의 위치를 파악하여 각 태그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위치정보를 작업자정보와 함께 출력모듈(32)로 전송한다. 리더(33)는 주기적으로 태그(10a, 10b, 10c)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모니터링모듈은 리더(33)와 태그(10)의 주기적인 통신에 의해 갱신되는 태그(10a, 10b, 10c)의 위치정보를 작업자정보와 함께 출력모듈(32)로 계속 전송한다. 출력모듈(32)은 전송받은 작업장정보와 위치정보를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게 화면에 표시한다. 출력모듈(32) 시인성이 확보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바람직할 것이나, 음성장치 등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리더(33)의 인식범위(30a) 내에 위치하던 태그(10c)가 리더(33)의 인식범위(30a) 밖으로 벗어나 리더(33)가 해당 태그(10c')를 인식할 수 없게 되는 경우 모니터링모듈(33)은 해당 태그(10c')의 작업자정보를 작업장 이탈신호와 함께 출력모듈(32)로 전송한다. 전송받은 출력모듈(32)은 이탈한 작업자의 작업자정보와 이탈신호를 표시하여 관리자가 작업장을 이탈한 작업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출력모듈(32)은 이탈한 작업자의 이탈시간이나 이탈횟수 등 근태와 관련된 항목을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업 위치 모니터링에서 발생되는 모든 정보는 단말기(30)의 통신모듈(35)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버(20)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기(30)와 서버(20)와의 위치가 너무 먼 경우에는 작업장에 설치된 중계기(AP:미도시)를 통해 서버(20)와 통신을 하여 정보의 전송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지시 동작을 설명한다.
작업지시는 일반적으로 상급관리자가 단말기(30)를 소지한 중간관리자 또는 작업자에게 지시하며, 서버(20)를 통하거나 단말기(30)를 통해서도 작업지시가 가능하다. 상급관리자가 단말기(30)를 통해 작업지시를 내리는 경우에는 단말기(30)에 오더모듈(미도시:서버에 존재하는 오더모듈과 동일한 작업을 수행함)이 더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급관리자가 서버를 통해 작업지시를 내리는 동작을 설명한다.
상급관리자가 서버(20)에 로그인을 하여 DB(21)에 저장된 작업자정보 및 작업현황 등을 참고하여 필요한 작업을 오더모듈(22)을 통해 작업지시를 하면 오더모듈(22)은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서버(20)의 통신모듈(23)로 전송한다. 통신모듈(23)은 전송받은 작업지시정보를 발신한다. 중간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소지한 단말기(30)의 통신모듈(23)을 통해 작업지시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30)의 작업모듈(36)은 작업지시정보를 출력모듈(32)로 전송하며, 출력모듈(32)은 전송받은 작업지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단말기 소지자가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작업지시정보를 단말기 소지자가 확인하면 작업모듈(36)은 작업지시정보확인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35)을 통해 서버(20)로 전송하여 상급관리자 작업지시정보의 확인 유무를 알 수 있게 하여 업무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단말기(30)를 통해서 작업지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로그인을 하고 입력모듈(31)을 통해 작업지시를 입력하면 오더모듈(미도시)이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모듈(35)을 통해 다른 단말기들로 전송한다. 이후의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은 비상호출버턴(11)을 포함하는 태그(10')와 안전모듈(37) 및 긴급호출모듈(38)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30')와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위험구역 접근금지 모니터링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기(30')는 안전모듈(37)을 더 포함하며, 공사장 내의 위험지대(낭떠러지, 웅덩이, 절벽 등)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중장비(굴삭기, 지게차 등)의 운전석이나 외부에 고정되거나 또는 운전자가 휴대할 수도 있다. 안전모듈(37)은 기 설정된 리더의 인식범위(30'a)밖에 존재하던 태그(10d)가 인식범위(30'a) 내로 들어오는 경우 해당 태그(10d')의 작업자정보와 경고신호를 출력모듈(32)로 전송한다. 리더의 인식범위는 조절이 가능하며 위험구역 접근금지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단말기에 탑재된 리더의 경우 현장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인식범위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굴삭기 또는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설치되는 중장비의 작업반경범위보다 약간의 여유를 두고 리더의 인식범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출력모듈(32)은 전송받은 작업자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며, 경고신호에 대응하여 소리 및 화면의 깜빡임 등을 이용해 접근하는 작업자에게 경고를 한다. 출력모듈(32)은 싸이렌 및 경광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경고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싸이렌 및 경광등을 이용하여 보다 확실하고 명확하게 경고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듈(37)은 위험지대에 접근한 작업자의 작업자정보를 통신모듈(35)을 통해 서버(20)로 전송하여 이후 안전교육의 자료로 사용하거나 근무태도에 반영하여 근무태도를 평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긴급호출 동작을 설명한다.
태그(10')는 비상호출버턴(11)을 더 포함하며, 단말기(30')는 긴급호출모듈(38)을 더 포함하며, 작업자가 작업 중 부상을 입었거나 또는 급박한 상황에 처했을 때 비상호출버턴(11)을 누르면 긴급호출신호가 발신되며, 긴급호출모듈(38)은 긴급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모듈(32)에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긴급호출신호의 경우 주변에 위치한 해당 태그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동시에 전송된다. 긴급상황정보를 전송받은 출력모듈(32)은 경고음을 냄과 동시에 긴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긴급호출한 작업자의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무태도 평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근무태도 평가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기(30')는 GPS모듈(39)을 더 포함하며, GPS모듈(39)을 통해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항상 확인할 수 있다. GPS를 통한 위치확인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기(30')의 경우 관리자 또는 작업자 등이 휴대하여 위치의 변동가능성이 항상 존재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30')의 경우 내부에 탑재된 리더(33)에 의해 일정한 인식범위(30'a1)를 가진다. 단말기(30')가 움직임에 따라 단말기(30')의 인식가능한 범위도 같이 움직이며, 도 5의 경우 단말기(30')가 좌측으로 이동한 후에는 이동한 단말기(30'1)의 인식범위(30'a2)도 같이 이동하여 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장을 벗어나지 않고 일을 하고 있는 경우에도 단말기를 소지한 관리자의 이동에 따라 작업장을 벗어난 것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어, 작업자에게 불이익이 미칠 수 있다. 도 5의 경우 작업장 내에 위치한 다수의 태그들(10e, 10f, 10g, 10h, 10i, 10j)이 존재하나 단말기의 이동으로 인해 특정 작업자가 소지한 태그(10e)의 경우 작업장을 이탈한 것으로 표시되며 작업자 정보가 서버(20)에 전송되어 기록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받게 되는 불이익을 감소시키기 위해 단말기의 이동범위를 일정하게 제한하여 기준범위(30's)를 정하여 단말기가 상기 기준범위 내에 위치할 경우에만 인식되는 태그들의 작업자 정보 등을 유효한 값으로 취하여 단말기에 표시하고 서버로 전송한다. 단말기의 위치가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단말기가 인식하는 태그의 작업자 정보 등은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되지는 않는다. 단말기가 기준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는 탑재된 GPS로 파악되는 현재 위치를 참고하여 판단한다. 또한 단말기의 이동범위를 기준범위 내로 제한함에 따라 단말기가 유효한 값을 취하는 인식범위(30'a3)도 증가하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작업자의 작업장 이탈에 따른 불이익을 감소시키고, 보다 신뢰성 있는 근무태도 자료의 수집 및 파악을 위해, 기준횟수를 정하여 작업자의 작업장 이탈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작업장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횟수의 경우 실제 현장에서 반복적인 실험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장 이탈횟수를 파악하고, 특정횟수를 기준으로 상기 특정횟수를 초과하면 작업자가 실제로 작업장을 이탈한 경우가 많은 경우 상기 특정횟수를 기준횟수로 정할 수 있다. 기준횟수의 경우 비록 작업장 내에서 실제 실험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기는 하나 확률적으로 판단된 횟수이므로, 완벽하지는 않으나 신뢰성 있는 값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버(20)에서는 기준횟수와 작업자의 작업장 이탈횟수를 비교하여 이탈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근태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자의 작업자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된 작업자 정보를 바탕으로 관리자는 작업자의 근무태도 평가, 재고용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단말기(30, 30')로부터 획득되는 모든 정보는 서버(20)로 전송되어 DB에 저장되며, 상급관리자 또는 인사담당자는 이를 바탕으로 작업자 개개인의 업무태도 평가와 작업장 이탈시간 및 횟수 등을 파악하여 임금지급을 정확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장에서 위험에 취약한 부분이 어디인지를 파악하여 안전조치를 취하고, 위험구역에 자주 접근하는 작업자를 선별하여 특별안전교육 등을 실시하여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태그와 리더의 경우 통신주파수로 2.45MHz를 사용하는 것으로 시스템을 구성하여 종래 주로 사용되어온 13.56MHz 또는 900MHz 대역을 이용한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스템이 가지는 태그의 인식 거리, 인식률, 시스템 구성의 고비용, 시스템 확장의 불편함 및 단말기 및 태그의 크기가 커서 휴대성이 떨어지는 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10'; 태그 20; 서버 30, 30'; 단말기
21; DB 22; 오더모듈 23; 통신모듈 24; 출력모듈 31; 입력모듈 32; 출력모듈
33; 리더 34; 모니터링모듈 35; 통신모듈
36; 작업모듈 37; 안전모듈 38; 긴급호출모듈
39; GPS모듈

Claims (9)

  1. 긴급호출신호를 발신하는 비상호출버턴을 갖추고, 작업자정보가 저장되는 태그:
    상기 작업자정보가 저장된 DB와; 작업지시정보가 입력되는 오더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발신하는 통신모듈;을 갖춘 서버:
    입력모듈과; 출력모듈과; 상기 태그로부터 상기 작업자정보를 수신하는 리더와; 상기 태그의 비상호출버턴으로부터의 긴급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모듈에 긴급상황을 전송하는 긴급호출모듈과; 위치확인을 위한 GPS모듈; 상기 태그의 위치를 파악해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태그가 상기 리더의 인식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해당 태그의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되, 단말기가 기준범위 내에 위치할 경우에만 해당 태그의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작업모듈;을 갖춘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단말기의 통신모듈이 발신한 상기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작업자정보와 위치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모듈은 작업지시정보확인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모듈로 전송하여 발신하며, 상기 서버의 통신모듈이 상기 작업지시정보확인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4. 제 1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태그가 상기 리더의 인식범위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태그의 작업자정보 및 경고신호를 상기 출력모듈로 전송하는 안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출력모듈은 상기 경고신호에 의해 빛과 소리를 발생하는 경광등 싸이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리더의 인식범위를 벗어난 태그의 이탈횟수를 카운트하여 이탈횟수가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근태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태그의 작업자 정보를 상기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리더 및 태그는 2.45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61439A 2011-06-24 2011-06-24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245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39A KR101245359B1 (ko) 2011-06-24 2011-06-24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39A KR101245359B1 (ko) 2011-06-24 2011-06-24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32A KR20130000732A (ko) 2013-01-03
KR101245359B1 true KR101245359B1 (ko) 2013-03-19

Family

ID=4783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39A KR101245359B1 (ko) 2011-06-24 2011-06-24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53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4853A (zh) * 2015-04-22 2015-07-22 交通运输部水运科学研究所 基于射频识别的港口装卸作业人员安全预警系统和方法
KR20220060303A (ko) 2020-11-04 2022-05-11 삼성물산 주식회사 Iot 기반 로컬 모니터링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001B1 (ko) 2015-12-30 2017-03-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평가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320449A (zh) * 2017-12-25 2018-07-24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施工现场人身安全检测方法及系统
CN112116228A (zh) * 2020-09-08 2020-12-22 杭州数筑云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工程项目动态安全监管系统
KR102600405B1 (ko) * 2020-12-04 2023-11-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범주형 회귀 분석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위험작업구역의 접근 위험도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27B1 (ko) * 2006-11-21 2007-11-28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7707A (ko) * 2009-08-14 2011-02-22 한국도로공사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27B1 (ko) * 2006-11-21 2007-11-28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7707A (ko) * 2009-08-14 2011-02-22 한국도로공사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 안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4853A (zh) * 2015-04-22 2015-07-22 交通运输部水运科学研究所 基于射频识别的港口装卸作业人员安全预警系统和方法
KR20220060303A (ko) 2020-11-04 2022-05-11 삼성물산 주식회사 Iot 기반 로컬 모니터링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32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5359B1 (ko)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US20210058736A1 (en) Proximity alert and contact tracing device, method and system
KR101212657B1 (ko) 지능형 안전관제 시스템
KR102072380B1 (ko) Uwb 초광대역통신기반의 접근경보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중장비 안전 원격관제시스템
US7489242B2 (en) RFID multiple range method and system
US7683782B2 (en) RFID entity locating system
US20160185291A1 (en) Speed-limit-compliance system and method
JP2008291519A (ja) 現場管理システム及び現場管理方法
Zhang et al. A construction accident prevention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oT)
KR20150047656A (ko) Rfid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의 무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6046328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maintenance activities
KR20160096962A (ko) 산업현장 작업자 위치 추적 기반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102298309B1 (ko) 음영지역 내 작업자 안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EP3400562B1 (en) Radio frequency based control system for preventing occupational hazards
EP2946371B1 (en) A control system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equipment devices
Bauk Some ICT systems for increasing occupational safety with a reference to the seaport environment
JP6357428B2 (ja) 物品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14668A (ko) IoT 스마트 헬멧을 이용한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Takizawa et al. Hybr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for use in disaster relief as positioning source and emergency message boards
CN213958097U (zh) 一种有源rfid胸牌电子标签
US96681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mobile elements in a facility with a number of regions
RU87283U1 (ru) Индентификатор персонала и распределе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ью производства
KR102207218B1 (ko) 개선된 rfid를 이용한 내화물의 재고 및 사용 관리 시스템
US11704988B2 (en) Group leader selection method, and user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