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6483A -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6483A
KR20190106483A KR1020180028034A KR20180028034A KR20190106483A KR 20190106483 A KR20190106483 A KR 20190106483A KR 1020180028034 A KR1020180028034 A KR 1020180028034A KR 20180028034 A KR20180028034 A KR 20180028034A KR 20190106483 A KR20190106483 A KR 20190106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atient
tag
information
medical instit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한덕
김승현
석기식
김권태
Original Assignee
국립중앙의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중앙의료원 filed Critical 국립중앙의료원
Priority to KR102018002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6483A/ko
Publication of KR2019010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16H10/65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stored on portable record carriers, e.g. on smartcards, RFID tags or C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에 및 이의해 실행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으로서,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은, 제1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에게 부착되는 태그에 대한 고유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고유 식별번호 및 응급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 제2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관련된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 제3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처치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은 각 의료기관 단말기가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획득한 고유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각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EMERGENCY PATIENT USING TAG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응급상황 관리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다.
응급상황으로 환자가 발생하면 환자는, 이송, 진료, 재이송(전원) 등 여러 경로와 기관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자 발생 규모와 개별 이동 경로를 정확히 파악하고, 지원결과 확인 및 사후관리를 위해서는 각 단계에서 발생되는 정보가 연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119구급차 운용자, 다수 민간 구급차 운용자, 의료기관등은 각각의 환자관리 일련번호와 전산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어 정보의 연계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현장 지휘소, 상황실 등에서 수작업으로 직접 현황을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각 기관 중심이 아닌 환자 중심의 일련번호 부여 및 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한편 특허문헌1은 각 환자에게 단말기를 부여하여 환자를 식별하고 환자에 대한 정보 및 처치 정보들을 입력하여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각 환자마다 단말기를 부여하는 것은 단말기 비용이 상당하며, 단말기 분실 위험이 있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무거운 전자장치인 단말기를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부차시키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환자에게는 구조 단계에 따라서 서로 상이한 의료기관이 관여하게 되는데, 각 의료기관의 의료정보 입력과 이 단말기에 대한 입력이 분리되어 있어 의료기관이 중복해서 같은 내용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7467 호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태그를 환자에게 부착시키고, 태그의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환자를 식별하여 환자의 상태 및 이송 정보 등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은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에의해 실행되며, 제1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에게 부착되는 태그에 대한 고유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고유 식별번호 및 응급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 제2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관련된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 제3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처치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은 각 의료기관 단말기가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획득한 고유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각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의료기관 단말기 내지 제3의료기관 단말기 중 적어도 둘은 서로 다른 의료기관에 속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태그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식별번호는 QR코드, NFC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태그는, 환자의 응급 정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응급 정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각 응급 정도는 태그의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위중하고, 각 응급 정도가 표시된 부분은 단위별로 절취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 정보는, 성별, 이름, 소속, 전화번호, 주소,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처치 정보는 부상당한 부위, 부상 정도, 추정되는 부상타입, 처치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은 웹 또는 앱으로 구현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은, 발생한 응급상황에 연관된 환자들의 실시간 이동 및 응급 정도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정보는, 지리적 좌표, 구급차 여부, 의료기관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은 제1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에게 부착되는 태그에 대한 고유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유 식별번호 및 응급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고, 제2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관련된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고, 제3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처치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되, 상기 응급상황 관리 3툴은 각 의료기관 단말기가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획득한 고유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각 환자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에게 손쉽게 착용시킬 수 있는 태그의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서 환자 중심의 의료 정보 연계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응급상황 시 환자 누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환자에 대하여 진행된 여러 의료기관의 의료행위가 기록 및 관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10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는 의료기관 단말기20에서 응급상황 관리 툴이 실행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이송 관리에 대한 사용자 모드의 다양한 표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관리 툴의 관리자 모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모드의 일 형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일련의 과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의 동작 환경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30는 다양한 의료기관 단말기20a-20c로부터 환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인적 정보, 상황 정보, 위치 정보 등)를 입력 받아 관리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의료기관 단말기는 각 의료기관에 소속된 직원들이 개인적으로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 이거나, 각 의료기관에 구비된 컴퓨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의료기관 단말기는 아래에서 설명할 응급상황 관리 툴을 실행시키고 서버30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장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환자가 대거 발생한 경우 제1 의료기관2a은 각 환자1에 대하여 태그10를 부착시킬수 있다. 그 후 의료기관들은 부착된 태그10를 기초로 환자를 식별 및 구별할 수 있다 S1. 제1 의료기관2a은 제1의료기관 단말기20a를 이용하여 태그10를 태깅함으로써 태그10의 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는 입력받은 태그10의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환자를 생성하거나 기존 환자에 대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제1 의료기관은 응급이 발생한 장소로 이동하여 각 환자에게 태그10를 부착시키고, 제1 의료기관을 포함한 다른 의료기관들은 태그10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의 위치와 상황들을 일률적으로 관리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들은 관리 서버30에 접속하여 환자의 위치와 상황들을 입력하거나, 기존 입력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응급이 발생한 후 각 환자에게 태그10가 부착되었다면, 제2 의료기관 2b는 환자들을 이송할 수 있다 S2. 이송은 응급차가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의료기관은 응급차가 소속된 의료기관일 수 있다. 응급차 내에서 응급처치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 처치 정보가 제2 의료기관 단말기 20b를 통해 입력되고 관리 서버30에 전송될 수 있다. 제2 의료기관은 제2 의료기관 단말기를 이용해 태그를 태깅하여 환자를 확인하고, 환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3 의료기관2c에 도착하면 제3 의료기관 단말기20c를 통해 태그10를 태깅함으로써 환자 정보 및 환자의 처치 이력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의료기관 단말기 내지 제3의료기관 단말기 중 적어도 둘은 서로 다른 의료기관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그10를 나타낸다. 태그10는 환자의 신체 부위에 부착되는 일종의 식별장치로서, 일면이 피부에 부착 가능한 재질로 되어 있거나, 줄로 연결되어 줄을 사용자의 신체(예컨대 손목이나 발목)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태그10는 고유 식별번호 11 및 태깅영역12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응급정보 표시부13 또는 위치센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고유 식별번호11는 각 태그10마다 부여된 번호로서, 환자의 이름이나 주민번호 대신 각 환자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환자의 상태가 위중하거나 상황이 급박하여 환자로부터 어떠한 정보도 받지 못하는 경우 환자에 부착된 태그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환자 유무 및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태그10는 환자의 손목에 부착되는 띠 형태이거나 카드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태그10의 일 부분에는 메모할 수 있는 공란이 추가될 수도 있다.
태깅영역12은 QR코드, NFC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태깅영역12은 태그10의 겉면에 도시되나 다른 실시예에서 태깅영역12은 눈에 띄지 않도록 태그10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즉 QR 코드의 경우 코드 인식을 위해 태깅영역12이 표시되어야 하나, NFC나 RFID 태그를 이용하는 경우 별도로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응급 정도 표시부13는 환자의 응급 정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응급상황 발생 시 의료기관은 각 환자의 응급 정도에 따라서 취해야 할 조치가 상이하므로, 최초 대응 의료기관은 태그를 부착시 각 환자의 상태에 맞는 응급 정도를 응급 정도 표시부13를 통해 나타낼 수 있다.
응급 정도 표시부13에 있어서 각 응급 정도는 태그의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위중하고, 각 응급 정도가 표시된 부분은 단위 별로 절취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환자의 상태가 긴급한 경우 아래 두 항목(응급, 비응급)을 절취하여 긴급 상황임을 알릴 수 있다. 또는 펜이나 다른 표시자를 이용해서 해당 항목을 체크할 수도 있다.
환자관리 서버30는 응급상황 관리 툴을 이용하여 응급상황 환자들을 관리할 수 있다. 응급상황 관리 툴은 앱 또는 웹상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장치에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한 환자관리 서버30는 각 의료기관과 데이터를 공유하며, 각 의료기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가져와 상기 관리 툴에 입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관리 서버30는 각 의료기관의 데이터 체계와 상기 환자관리 툴을 대응시키는 데이터 관계표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관계표는 환자를 식별하기 위해서 상술한 태그의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의료기관이 자신들의 환자관리 프로그램에 정보를 입력하면, 환자관리 서버30는 입력된 정보를 가공하여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의료기관에서 고유 식별번호로 환자를 등록한 후, 제2의료기관으로 넘겨져 소정의 처치 정보가 해당 고유 식별번호로 입력된 후, 제3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의식이 돌아와 환자의 이름과 개인정보를 받고, 추가적인 처치가 이루어진 경우, 제3의료기관은 환자의 고유 식별번호로 환자의 이름, 개인정보 및 추가 처치정보등을 제3의료기관 고유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서버30는 입력된 정보들을 응급상황 관리 툴에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제3의료기관이 처음부터 응급상황 관리 툴을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이러한 절차 없이도 바로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제3의료기관이 입력한 정보들이 입력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환자별 고유 식별번호는 각 의료기관이나 119구급대나 민간이송업체와 같은 의료관련기관들 사이에 공유되고 관리될 수 있다.
환자관리 서버30는 제1 의료기관2a으로부터 환자에게 부착되는 태그에 대한 고유 식별번호와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할 수 있다. 응급상황 관리 툴은 사용자 모드와 관리자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 모드는 의료기관들이 환자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는 모드이고, 관리자 모드는 환자관리 서버30의 관리자가 응급상황 관리 툴 및 입력된 환자 관련 정보들을 관리하기 위한 모드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모드의 응급상황 관리 툴은 의료기관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관리자 모드의 응급상황 관리 툴은 환자관리 서버30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의료기관 단말기20에서 응급상황 관리 툴이 실행된 상태를 나타낸다. 응급상황 관리 툴의 사용자 모드는 응급 및 환자 정보 표시영역21, 응급 정도 표시영역22, 정보선택영역23 및 정보표시영역24을 포함할 수 있다.
응급 및 환자 정보 표시영역21은 응급상황을 구별할 수 있는 간략한 응급 정보(여기서는 xx지역 화재 발생) 및 환자의 개인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환자의 이름이 확인된 상태이면 환자의 이름이 표시되나, 그렇지 않은 경우 신원미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응급 정도 표시영역22은 환자의 응급 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의료기관에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차후 환자를 맞이하는 의료기관은 환자의 응급 정도를 어느정도 예측할수 있다.
정보선택영역23은 의료기관이 응급상황 관리 툴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항목 선택을 제공한다.
의료기관은 환자정보, 처치정보, 이송 정보 등을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할 수 있다.
도 3은 환자정보 입력 및 확인 화면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표시영역24A에 표시되는 환자 정보는, 성별, 이름, 소속, 전화번호, 주소,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처치정보 입력 및 확인 화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정보표시영역24B에 표시되는 처치 정보는 부상당한 부위, 부상 정도, 추정되는 부상타입, 처치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몇몇 부위 A10, A12, A13에 대하여 부상 상태 또는 처치 내역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이송정보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정보는, 지리적 좌표, 구급차 여부, 의료기관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의료기관에서 직접 환자 이송의 시작 여부 또는 현재 위치를 입력하거나, 의료기관 단말기의 위치센서 또는 태그에 포함되는 위치센서를 통해서 환자의 이송 정보가 자동으로 관리 툴에 입력될 수도 있다. 도 6은 이송 관리에 대한 사용자 모드의 다양한 표시 형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 6에서 두 화면은 서로 다른 OS에서 구현되는 응급상황 관리 툴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의료기관은 응급상황 관리 툴을 각 의료기관 단말기에서 실행시키고, 태그를 인식하여 환자를 식별한 후, 환자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거나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응급상황 전체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응급으로 발생된 환자의 다양한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일 예에서, 응급상황 관리 툴에서 환자는 태그의 고유 식별번호로 식별되므로, 환자정보를 전혀 알지 못하는 초기 의료기관도 고유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환자에 대한 추후 처치 이력 등을 확인할 수 있고, 미처 관리 툴에 입력하지 못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관리 툴의 관리자 모드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모드도 다양한 OS에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모드는 환자 목록과 환자위치 등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모드를 통해서 관리자는 해당 응급상황에서 발생된 환자들의 처치상태, 응급상태, 현재 위치 등을 알 수 있다. 신원이 불가한 환자라도 태그의 고유 식별번호를 통해 처치 이력 등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응급상황에 발생된 거의 모든 환자를 누락하지 않고 관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모드의 일 형태를 나타낸다. 관리자 모드에서는 응급상황에 연관된 환자들의 실시간 이동 및 응급 정도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응급이 발생된 위치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관리자는 환자들이 어디로 이송되고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은 상술한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은 제1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에게 부착되는 태그에 대한 고유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S100, 수신된 고유 식별번호 및 응급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 S200, 제2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관련된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 S300, 제3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처치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 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응급상황 관리 툴은 각 의료기관 단말기가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획득한 고유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각 환자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응급상황 관리 툴에서 환자는 태그의 고유 식별번호를 부여받아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제1의료기관 단말기 내지 제3의료기관 단말기 중 적어도 둘은 서로 다른 의료기관에 속한 것일 수 있다. 즉 제1 의료기관 내지 제3의료기관 중 적어도 둘은 서로 다른 의료정보 관리체계를 가진 기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태그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식별번호는 QR코드, NFC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태그는 환자의 응급 정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응급 정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각 응급 정도는 태그의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위중하고, 각 응급 정도가 표시된 부분은 단위별로 절취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자 정보는, 성별, 이름, 소속, 전화번호, 주소,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처치 정보는 부상당한 부위, 부상 정도, 추정되는 부상타입, 처치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은, 발생한 응급상황에 연관된 환자들의 실시간 이동 및 응급 정도를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송 정보는, 지리적 좌표, 구급차 여부, 의료기관 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에의해 실행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으로서,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은,
    제1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에게 부착되는 태그에 대한 고유 식별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고유 식별번호 및 응급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
    제2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관련된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
    제3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처치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은 각 의료기관 단말기가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획득한 고유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각 환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료기관 단말기 내지 제3의료기관 단말기 중 적어도 둘은 서로 다른 의료기관에 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식별번호는 QR코드, NFC 또는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는,
    환자의 응급 정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응급 정도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각 응급 정도는 태그의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위중하고, 각 응급 정도가 표시된 부분은 단위별로 절취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는, 성별, 이름, 소속, 전화번호, 주소, 나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처치 정보는 부상당한 부위, 부상 정도, 추정되는 부상타입, 처치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은 웹 또는 앱으로 구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은, 발생한 응급상황에 연관된 환자들의 실시간 이동 및 응급 정도를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정보는, 지리적 좌표, 구급차 여부, 의료기관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상황 환자관리방법.
  9.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환자관리 서버는,
    제1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에게 부착되는 태그에 대한 고유 식별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고유 식별번호 및 응급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고,
    제2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고유식별번호에 관련된 환자에 대한 환자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고,
    제3의료기관 단말기로부터, 상기 환자에 대한 처치 정보 및 이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응급상황 관리 툴에 입력하되,
    상기 응급상황 관리 3툴은 각 의료기관 단말기가 상기 태그를 인식하여 획득한 고유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각 환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KR1020180028034A 2018-03-09 2018-03-09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6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34A KR20190106483A (ko) 2018-03-09 2018-03-09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34A KR20190106483A (ko) 2018-03-09 2018-03-09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483A true KR20190106483A (ko) 2019-09-18

Family

ID=68070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034A KR20190106483A (ko) 2018-03-09 2018-03-09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648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0451A (zh) * 2020-04-20 2020-08-14 邵刚 一种基于数据统计的医疗集团管理系统及方法
KR20210054978A (ko) 2019-11-06 2021-05-1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CN112891070A (zh) * 2019-11-19 2021-06-04 甘肃德弘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急救箱系统
KR102334160B1 (ko) * 2021-07-22 2021-12-03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구급대응 도상훈련장치
KR20220023492A (ko) * 2020-08-21 2022-03-02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구급대응 도상훈련장치 및 구급대응 도상훈련방법
KR20220090631A (ko) * 2020-12-22 2022-06-30 광주광역시 인식코드를 활용한 다수의 환자 분류시스템 및 인식코드를 활용한 다수의 환자 분류방법
KR20230071876A (ko) * 2021-11-16 2023-05-24 (주)일렉콤 홀로렌즈와 3차원공간에서의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한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KR20240051736A (ko) 2022-10-13 2024-04-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기기 모듈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467B1 (ko) 2014-07-01 2014-09-04 대한민국 재난 상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연계된 개인 인식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467B1 (ko) 2014-07-01 2014-09-04 대한민국 재난 상황 관리 시스템 및 이와 연계된 개인 인식용 단말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978A (ko) 2019-11-06 2021-05-14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CN112891070A (zh) * 2019-11-19 2021-06-04 甘肃德弘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急救箱系统
CN111540451A (zh) * 2020-04-20 2020-08-14 邵刚 一种基于数据统计的医疗集团管理系统及方法
KR20220023492A (ko) * 2020-08-21 2022-03-02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구급대응 도상훈련장치 및 구급대응 도상훈련방법
KR20220090631A (ko) * 2020-12-22 2022-06-30 광주광역시 인식코드를 활용한 다수의 환자 분류시스템 및 인식코드를 활용한 다수의 환자 분류방법
KR102334160B1 (ko) * 2021-07-22 2021-12-03 (주)케이앤엘정보시스템 구급대응 도상훈련장치
KR20230071876A (ko) * 2021-11-16 2023-05-24 (주)일렉콤 홀로렌즈와 3차원공간에서의 생체인식기술을 이용한 응급환자 구조 시스템
KR20240051736A (ko) 2022-10-13 2024-04-2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기기 모듈의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6483A (ko)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0341495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aiding emergency response
US11663537B1 (en) Computerized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US8602294B2 (en) System,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US201201662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Workflow Processing
CN103999117A (zh) 用于为大人群提供援助服务的方法和装置
US20160005293A1 (en)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system and personal identific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same
US11327627B2 (en) Incident card system
US20140372443A1 (en) Tracking System and Method
TWI776105B (zh) 個人醫療資訊系統
JP2011253322A (ja) 緊急時個人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942695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emergency information management
CN113724850A (zh) 急诊定位追溯管理装置及方法
US20220292953A1 (en) Mobile collection of sensitive information including tracking system and method
CN107945843B (zh) 用户信息管理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US20180293282A1 (en) Retrieval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lient-side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and client-side program
Rastegari et al. Pervasive computing in healthcare systems
US20210296009A1 (en) Machine Logic For Recommending Specialized First Aid Services
US2022015745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ealth management
US20170098045A1 (en) Location-based automated staff-to-patient assignment system and method
Paramonov et al. Communication between emergency medical system equipped with panic buttons and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use case and interfaces
KR101539743B1 (ko) 마우스 리테이너를 이용한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KR101678902B1 (ko) 신원 정보 확인 및 안전 확보 시스템
US202202083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11720843B1 (en) Tas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