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978A -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978A
KR20210054978A KR1020200123291A KR20200123291A KR20210054978A KR 20210054978 A KR20210054978 A KR 20210054978A KR 1020200123291 A KR1020200123291 A KR 1020200123291A KR 20200123291 A KR20200123291 A KR 20200123291A KR 20210054978 A KR20210054978 A KR 20210054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information
emergency patient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111B1 (ko
Inventor
류정탁
김창종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54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Abstract

차량 내부의 베드 상면에 눕혀지는 응급환자를 감지하여 동작 이벤트를 발생하는 제1단계; 상기 동작 이벤트에 따라 차량 내부에 설치된 의료보조모듈의 작동을 On으로 전환하는 제2단계; 상기 의료보조모듈을 통해 응급환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신원을 파악하는 제3단계; 상기 의료보조모듈을 통해 응급환자의 과거 의료기록을 딥러닝 방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한 이후, 주의할 필요성이 높은 1) 알레르기 관련 약물에 대한 제1정보 및 2) 응급의학 관련 제2정보를 형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를 응급 기관 내의 서버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TREATMENT METHOD OF EMERGENCY PATIENT DURING TRANSFORTING BY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을 통한 응급 환자의 이송 과정에서 구조자가 응급 조치를 위해 응급 환자에 대한 신원을 확인하고, 응급 조치에 필요한 의학 정보를 제공받는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상에서 사건, 사고는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런 급박한 상황에서 응급 환자는 119의 구급 차량, 민간 업체에서 운영하는 응급 차량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이런 응급 환자에 대해,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응급 구조를 위한 원격 의료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은 구급 대원 등이 카메라 장비를 통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을 의료진에게 전송하고, 이를 토대로 의료진과 소통하여 적절한 응급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원격 의료 시스템은 구급 대원 등과 의료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각 종 문제점으로 원활하게 운영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원격 의료의 경우, 추후 응급 조치에 따른 책임 소재에 대한 논란 문제, 의료진 등에 대한 비용 지급 문제, 원격 의료 시스템에 투입되는 의료진의 부족 문제 등이 있었다.
또한, 구조 대원과 응급 환자 사이의 의사 소통이 어려운 경우, 응급 조치를 취함에 있어, 응급 환자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보다 적절한 응급 조치를 취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 대원이 응급 의학에 대한 지식, 경험의 부족으로 적절한 다양한 응급 상황에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397호 (2013. 1. 8.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06483호 (2019. 9. 1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41726호 (2020. 4. 22.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응급 차량을 통해 이송 중인 중증 응급 환자에 대한 신속한 응급 조치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응급 환자에 대한 신원을 과거 데이터 기반으로 용이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라 약물의 투여 등의 응급 조치에 있어 구조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송 중인 응급 차량 내에서 응급 환자에 대한 신원 파악과, 응급 환자에 적합한 응급 의학 관련 정보, 알레르기 관련 약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조자가 응급 상황에서 응급 환자에 대해 적절한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차량 내부의 베드 상면에 눕혀지는 응급환자를 감지하여 동작 이벤트를 발생하는 제1단계; 상기 동작 이벤트에 따라 차량 내부에 설치된 의료보조모듈의 작동을 On으로 전환하는 제2단계; 상기 의료보조모듈을 통해 응급환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신원을 파악하는 제3단계; 상기 의료보조모듈을 통해 응급환자의 과거 의료기록을 딥러닝 방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한 이후, 주의할 필요성이 높은 1) 알레르기 관련 약물에 대한 제1정보 및 2) 응급의학 관련 제2정보를 형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를 응급 기관 내의 서버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을 제공한다.
제1단계에서, 상기 베드에는 압전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보조모듈은 상기 차량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외부에 설치되며,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카메라부; 상기 하우징부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추출되는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을 더 부가하는 적외선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부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초음파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보조모듈은 상기 카메라부, 상기 적외선센서부 및 상기 초음파센서부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얼굴특징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단계에서, 신원을 파악하는 것은 응급환자에 대한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관심영역 내의 얼굴 특징과, 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응급환자의 얼굴에 대한 관심영역 태그를 각각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단계에서,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의료보조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되는 구조자의 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미리 동기화된 전용 앱이 설치되어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를 키워드 단위로 수신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은 응급 차량을 통해 이송 중인 중증 응급 환자에 대한 신속한 응급 조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응급 환자에 대한 신원을 과거 데이터 기반으로 용이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라 약물의 투여 등 응급 조치를 취함에 있어 구조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송 중인 응급 차량 내에서 응급 환자에 대한 신원 파악과, 응급 환자에 적합한 응급 의학 관련 정보, 알레르기 관련 약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구조자가 응급 상황에서 응급 환자에 대해 적절한 응급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2는 도 1의 조치 방법을 수행하는 의료보조모듈 등의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관심영역에 대한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콧등에 대한 밝기 정보와 입술에 대한 밝기 정보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맵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버튼부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사운드모듈의 개략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면보드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은 제1단계(s10) 내지 제5단계(s50)를 포함한다. 먼저, 제1단계(s10)는 차량 내부의 베드 상면에 눕혀지는 응급환자를 감지하여 동작 이벤트를 발생하는 단계이다. 차량은 응급 구조차인 앰뷸런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내부에는 응급환자가 눕혀지는 베드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베드의 하면에는 압전센서(100)가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어 있다. 즉, 베드에는 압전센서(100)가 설치되어 응급환자를 감지할 수 있다. 압전센서(100)는 얇은 패치형으로 응급환자의 심박수, 호흡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압전센서(100)는 응급환자의 상반신이 놓이는 베드의 a영역(110)과 대향하는 베드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a영역(110)은 베드를 세로 방향으로 균등하게 3등분(제1영역, 제2영역 및 제3영역)할 때,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경계를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압전센서(100)는 측정 신호가 미약한 경우, 이를 증폭할 수 있다. 압전센서(100)는 응급환자의 생체 신호가 급격하게 변동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한 후, 압전센서(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피커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단계에서, 압전센서(100)를 통해 응급환자에 해당되는 신호 파형을 검출하면, 의료보조모듈(200)의 작동 상태를 On으로 전환하는 동작 이벤트를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 제2단계(s20)는 동작 이벤트에 따라 차량 내부에 설치된 의료보조모듈(200)의 작동을 On으로 전환하는 단계이다. 이 때, 의료보조모듈(200)은 작동 Off 상태에서 작동 On 상태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제3단계(s30)는 의료보조모듈(200)을 통해 응급환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신원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보조모듈(200)은 차량 내부 중 특히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의료보조모듈(200)은 하우징부(210), 카메라부(212), 적외선센서부(214), 초음파센서부(216), 얼굴특징생성부(210), 데이터베이스부(220), 인공지능처리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210)는 의료보조모듈(200)의 몸체를 이루는 것으로, 의료보조모듈(200)이 차량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카메라부(212)는 하우징부(210) 외부에 설치되며 설치 각도가 조절된다. 카메라부(212)는 응급환자의 얼굴 인식을 위한 용도를 갖는다. 카메라부(212)는 응급환자에 대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한 후, 응급환자에 대한 얼굴 특징을 추출한다. 얼굴 특징은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관심영역(r) 내의 얼굴 특징일 수 있다. 여기서, 관심영역(r)은 사용자의 얼굴 중 코(r1)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심영역(r)은 예를 들어, 콧등에서 측정되는 복수 개의 밝기 정보(a1 내지 a6)일 수 있다. 밝기 정보는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콧등에 대한 밝기 정보(a1 내지 a6)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관심영역(r)은 얼굴 피부에서 돌출되는 코의 각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심영역(r)은 복수 개의 서브관심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관심영역은 콧망울의 모양, 코끝의 형상, 콧등의 형상 등 코의 어느 일 부위를 포커싱한 보다 좁은 영역이다. 각 서브관심영역에 대한 얼굴 특징은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특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얼굴 특징은 콧등의 폭과 길이, 콧구멍 사이의 간격 등을 수치화된 값으로 특정될 수 있다.
한편, 관심영역(r)은 3차원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심영역(r)은 코의 어느 일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술과 코끝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과 지면과 이루는 각도(r6) 등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얼굴 특징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r)은 입술(r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영역(r)은 입술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소에서 측정되는 밝기일 수 있다. 이 때, 얼굴 특징은 입술에서 측정되는 복수 개의 밝기 정보(b1 내지 b6, c1 내지 c6)일 수 있다. 밝기 정보는 숫자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입술에 대한 밝기 정보(b1 내지 b6, c1 내지 c6)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r)이 입술인 경우, 입술에서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두께, 윗입술의 M자 라인의 모양 등에 대한 얼굴 특징을 추출하여 사용자에 대한 얼굴 인식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관심영역(r)은 사용자의 미간 거리(r3), 눈썹의 짙음 정도(r4), 얼굴(예를 들어, 얼굴 중 볼 부분)의 명암 정도(r5), 코와 입(입술) 사이의 거리, 얼굴의 비율 등 다양한 부위의 얼굴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얼굴 특징은 미리 저장되는 복수 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한다. 또한, 얼굴 특징은 수치화된 값으로 특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212)는 응급환자에 대한 관심영역(r) 내의 얼굴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부(212)를 통한 이미지 프로세싱은 다음과 같다. 카메라부(212)는 사용자의 얼굴 전면에 대한 인식을 한다. 카메라부(212)는 관심영역(r)에 포커싱을 두고, 이를 확대하여 이미지를 촬상하거나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영상의 경우 예를 들어, 관심영역(r) 중 얼굴 특징을 가장 잘 반영하는 어느 일 프레임을 추출하여 이를 이미지화할 수 있다. 이 때, 인공지능처리부(230)는 얼굴 인식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이미지 또는 영상에서 최적의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술 분야 중 딥러닝 방식이 적용된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할 수 있다. 컨볼루션 신경망은 일정 크기의 필터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이미지 중 어느 특정 이미지를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미지를 촬상하는 경우, 카메라부(212)는 수 초 간격으로 복수 회의 이미지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공지능처리부(230)는 최적의 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해 딥러닝 방식이 적용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212)는 응급환자의 얼굴 위치에 따라 카메라부(212)가 향하는 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부(212)는 일정 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동 가능하여, 얼굴 인식에 적합한 각도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적외선센서부(214)는 하우징부(210) 외부에 설치되며, 카메라부(212)를 통해 추출되는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을 더 부가하는 역할을 한다. 적외선센서부(214)는 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이를 감지하는 수광부를 포함한다. 적외선센서부(214)는 특히 빛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 사물의 형태를 구별시킬 수 있다. 응급환자는 스스로 발열하고 있어 스스로 적외선을 방출한다. 즉, 온도가 높을수록 붉은 색으로 나타나는 점, 온도에 따라 파장이 달라지는 점 등을 이용하여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을 더 부가할 수 있다.
초음파센서부(216)는 외부에 설치되며,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제공한다. 초음파센서부(216)는 초음파를 발생하여 예를 들어, 코의 높이 등 얼굴의 입체적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초음파센서부(216)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통해 제작 가능하며, 특히 거리 측정에 사용되는 초음파거리계 등을 채택할 수 있다.
얼굴특징생성부(210)는 카메라부(212), 적외선센서부(214) 및 초음파센서부(216)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코의 높이에 관한 얼굴 특징에 있어, 초음파센서부(216)에서 측정되는 데이터가 카메라부(212) 및 적외선센서부(214)를 통해 측정되는 데이터와 오차를 발생시키는 경우, 얼굴특징생성부(210)는 얼굴의 크기 등에 관한 정보를 추가하고, 초음파센서부(216)를 통한 데이터를 보정 계수로 활용하여 코의 높이에 관한 데이터를 특정할 수 있다. 얼굴특징생성부(210)는 얼굴 특징을 3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로 변환한다. 얼굴특징생성부(210)는 얼굴 특징에 관한 데이터의 보다 정확한 생성을 위해 인공지능처리부(230)를 통한 딥러닝 방식이 적용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240)는 의료보조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송수신부(240)는 의료보조모듈(20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240)는 미리 설정되는 단말기(400)와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는다. 여기서, 단말기(400)는 미리 지정된 특정인 예를 들어, 구조자의 스마트폰을 포함한다. 무선송수신부(24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220)는 어느 일 응급 기관(대형병원 등) 또는 어느 특정 응급 기관에 등록된 환자에 관한 개인정보, 과거 의료기록 등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220)는 응급환자의 얼굴에 대한 관심영역 태그를 미리 저정할 수 있다. 제3단계에서 응급환자의 신원을 파악하는 것은 응급환자에 대한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관심영역(r) 내의 얼굴 특징과, 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응급환자의 얼굴에 대한 관심영역 태그를 각각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220)는 얼굴특징생성부(210)를 통해 생성되는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추후 응급환자의 얼굴 인식을 위한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단계(s40)는 의료보조모듈(200)을 통해 응급환자의 과거 의료기록을 딥러닝 방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한 이후, 주의할 필요성이 높은 1) 알레르기 관련 약물에 대한 제1정보 및 2) 응급의학 관련 제2정보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응급환자에 대한 개인정보, 의료기록을 인공지능처리부(230)의 딥러닝이 적용된 알고리즘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키워드 단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워드는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에 있어, 핵심적 내용을 신속하게 전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부(220)에는 알레르기 유발 원인, 알레르기 증상에 따른 주의 약물에 대한 정보, 알레르기 관련 기타 의학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알레르기데이터부(221)와 응급환자에게 특히 빈번하게 발생하는 증상에 대한 대처법 등 의학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응급의학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응급의학데이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5단계(s50)는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를 응급 기관 내의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5단계에서 제1정보 및 제2정보는 의료보조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송수신부(240)를 통해 미리 설정되는 구조자의 단말기(400) 및 서버(300)로 전송되며, 단말기(400)에는 무선송수신부(240)와 미리 동기화된 전용 앱이 설치되어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키워드 단위로 수신 받을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240)는 구조자의 단말기(400)에 키워드 단위로 전송함에 따라, 의학 지식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구조자도 신속한 응급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다. 구조자는 차량을 통한 이송 중 발생하는 응급 상황에서 적절한 응급 조치를 취함에 있어, 응급환자에 따른 주의사항을 확인할 수 있고, 약물 사용의 경우 응급환자에 안전한 약물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조자의 단말기(400)에는 전용 앱이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무선송수신부(240)는 응급 기관 내의 서버(300)에 제1정보 및 제2정보를 전송하는데,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응급 기관은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대응하여 응급 조치를 보충하는 추가적인 제3정보를 의료보조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은 응급 차량을 통해 이송 중인 중증 응급 환자에 대한 신속한 응급 조치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응급 환자에 대한 신원을 과거 데이터 기반으로 용이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라 약물의 투여 등 응급 조치를 취함에 있어 구조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 압전센서 110 : a영역
200 : 의료보조모듈 205 : 하우징부
210 : 얼굴특징생성부 212 : 카메라부
214 : 적외선센서부 216 : 초음파센서부
220 : 데이터베이스부
221 : 알레르기데이터부 222 : 응급의학데이터부
230 : 인공지능처리부 240 : 무선송수신부
300 : 서버 400 : 단말기
r, r1, r2, r3, r4, r5, r6 : 관심영역
a1 내지 a6 : 콧등에 대한 밝기 정보
b1 내지 b6, c1 내지 c6 : 입술에 대한 밝기 정보

Claims (6)

  1. 차량 내부의 베드 상면에 눕혀지는 응급환자를 감지하여 동작 이벤트를 발생하는 제1단계;
    상기 동작 이벤트에 따라 차량 내부에 설치된 의료보조모듈의 작동을 On으로 전환하는 제2단계;
    상기 의료보조모듈을 통해 응급환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신원을 파악하는 제3단계;
    상기 의료보조모듈을 통해 응급환자의 과거 의료기록을 딥러닝 방식의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분석한 이후, 주의할 필요성이 높은 1) 알레르기 관련 약물에 대한 제1정보 및 2) 응급의학 관련 제2정보를 형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를 응급 기관 내의 서버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상기 베드에는 압전센서가 설치되어 응급환자를 감지하는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보조모듈은
    상기 차량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 외부에 설치되며,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카메라부;
    상기 하우징부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추출되는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을 더 부가하는 적외선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부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제공하는 초음파센서부;를 포함하는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보조모듈은
    상기 카메라부, 상기 적외선센서부 및 상기 초음파센서부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여, 응급환자의 얼굴 특징에 관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얼굴특징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3단계에서, 신원을 파악하는 것은 응급환자에 대한 얼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는 관심영역 내의 얼굴 특징과, 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응급환자의 얼굴에 대한 관심영역 태그를 각각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5단계에서,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는 상기 의료보조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송수신부를 통해 미리 설정되는 구조자의 단말기 및 상기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단말기에는 상기 무선송수신부와 미리 동기화된 전용 앱이 설치되어 상기 제1정보 및 상기 제2정보를 키워드 단위로 수신 받는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KR1020200123291A 2019-11-06 2020-09-23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KR102470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0963 2019-11-06
KR1020190140963 2019-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78A true KR20210054978A (ko) 2021-05-14
KR102470111B1 KR102470111B1 (ko) 2022-11-23

Family

ID=7591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91A KR102470111B1 (ko) 2019-11-06 2020-09-23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23267A1 (en) * 2021-01-08 2022-07-14 Nec Corporation Ambulance service support device, ambulance service support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397B1 (ko) 2010-06-08 2013-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30118512A (ko) * 2012-04-20 2013-10-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인식을 통한 환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49499A (ko) * 2016-11-03 2018-05-11 장혜경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05220A (ko) * 2016-11-17 2019-09-16 테라리콘, 인코포레이티드 의료 이미지 식별 및 해석
KR20190106483A (ko) 2018-03-09 2019-09-18 국립중앙의료원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726A (ko) 2018-10-13 2020-04-22 노우석 응급환자 긴급 후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397B1 (ko) 2010-06-08 2013-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30118512A (ko) * 2012-04-20 2013-10-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얼굴 인식을 통한 환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049499A (ko) * 2016-11-03 2018-05-11 장혜경 사물인터넷 기반의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105220A (ko) * 2016-11-17 2019-09-16 테라리콘, 인코포레이티드 의료 이미지 식별 및 해석
KR20190106483A (ko) 2018-03-09 2019-09-18 국립중앙의료원 모바일 장치와 태그를 이용한 응급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41726A (ko) 2018-10-13 2020-04-22 노우석 응급환자 긴급 후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23267A1 (en) * 2021-01-08 2022-07-14 Nec Corporation Ambulance service support device, ambulance service support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111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0167B2 (ja) 生体情報検出装置
US1065011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dio call detection
US9554705B2 (en) System and device for medical monitoring
CN103748591B (zh) 数据管理系统和方法
CN103477340B (zh) 用于提供监测设备的家庭模式的系统及方法
Hu et al. Synergetic use of thermal and visible imaging techniques for contactless and unobtrusive breathing measurement
EP3436994B1 (en) Automated personnel identification and location, and automated procedure monitoring
CN106580294B (zh) 基于多模态成像技术的生理信号远程监控系统及应用
JP6531364B2 (ja) 医療関係者用モバイル情報ゲートウェイ
KR101849955B1 (ko)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
US10943092B2 (en) Monitoring system
US10855957B2 (en) Wireless augmented video system and method to detect and prevent insurance billing fraud and physical assault for remote mobile application
CN114980810A (zh) 用于检测人的运动过程和/或生命体征参数的系统
CN106599802B (zh) 一种基于云技术的智能楼道监控系统
US9679464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hand sanitizing opportunities in hospital wards
KR2012014048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행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579411B1 (ja) 介護設備又は病院用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08882853A (zh) 使用视觉情境来及时触发测量生理参数
KR102470111B1 (ko) 차량 이송 중 응급 환자의 조치 방법
KR20200056660A (ko) 얼굴 내 미세움직임 기반 통증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WO2020241034A1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102348663B1 (ko) 영상과 라인레이저를 이용한 맥박 및 호흡 측정 시스템 및 방법
Saleh et al. Face Recognition-Based Smart Glass for Alzheimer’s Patients
JP2023047410A (ja) ユーザの動的状態に応じて物体認識に基づく情報を提示する携帯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102362099B1 (ko)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