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99B1 -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099B1
KR102362099B1 KR1020190177674A KR20190177674A KR102362099B1 KR 102362099 B1 KR102362099 B1 KR 102362099B1 KR 1020190177674 A KR1020190177674 A KR 1020190177674A KR 20190177674 A KR20190177674 A KR 20190177674A KR 102362099 B1 KR102362099 B1 KR 10236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children
disabilities
disabili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048A (ko
Inventor
홍순기
Original Assignee
(주) 경성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경성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 경성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9017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099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6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 G01J5/605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using visual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ur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Critical Car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관리시설에서 관리시설 내부를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출입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관리시설을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발열상태를 감지하여 고열상태에 있는 장애아동이 감지될 경우, 교직원에게 해당 상태를 알려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장애아동의 관리시설 출입여부 및 출입하는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식별하기 위해 장애아동이 휴대하는 휴대용식별기(10); 장애아동이 소지한 휴대용식별기(10)를 인식하여 관리시설 출입여부를 감지하고, 관리시설을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신체 발열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며, 열화상카메라에서 획득한 열화상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열감지단말기(20); 열감지단말기(20)로부터 관리시설로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출입데이터, 열화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외부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서버(30); 및 관리시설에서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교직원이 휴대하는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며, 관리서버(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 받아 표시하는 교직원용모바일앱(40)을 포함하고, 장애아동이 휴대한 휴대용식별기(10)을 통해 열감지단말기(20)에서 인식한 장애아동의 관리시설에 대한 출입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교직원용모바일앱(40)을 통해 알림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Fever status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본 발명은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관리시설에서 관리시설 내부를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출입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관리시설을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발열상태를 감지하여 고열상태에 있는 장애아동이 감지될 경우, 교직원에게 해당 상태를 알려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스(SARS,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신종플루, 에볼라, 메르스 등의 호흡기성 전염병 의한 위험 상황들이 자주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염성 질병들은 감기 등 통상의 질병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감염자 자신도 전염성 질병이 확진되기 전까지는 감염 사실 자체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 등에서 이러한 감염자들이 통행하는지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추가적인 검사나 격리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염성 질병들의 대부분은 열을 동반하게 되어, 심한 열을 가진 사람들은 1차적으로 해당 질병 의심자로 판단할 수 있고, 정밀 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체온을 측정하여 1차적인 의심자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정확한 의사 전달이 힘든 장애 아동의 경우 몸이 아프거나, 상태가 안 좋을 때 표현을 잘 하지 못하여 담당 교직원은 이를 인지를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관리시설에는 체온을 실시간으로 검사하기 위한 적당한 장치가 부재하여, 장애아동의 체온 검사는 담당 교직원이 체온계를 이용하여 일정 주기로 측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장애아동 전문어린이집을 포함한 관리시설에서는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전담인력이 부족하여 인력에 의한 장애아동의 건강을 관리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장애아동의 신체 발열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응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응급상황에 대해 대처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제10-1420200호(2014.07.2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관리시설에서 관리시설 내부를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출입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관리시설을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발열상태를 감지하여 고열상태에 있는 장애아동이 감지될 경우, 교직원에게 해당 상태를 알려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은 장애아동의 관리시설 출입여부 및 출입하는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식별하기 위해 장애아동이 휴대하는 휴대용식별기(10); 장애아동이 소지한 휴대용식별기(10)를 인식하여 관리시설 출입여부를 감지하고, 관리시설을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신체 발열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며, 열화상카메라에서 획득한 열화상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열감지단말기(20); 열감지단말기(20)로부터 관리시설로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출입데이터, 열화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외부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서버(30); 및 관리시설에서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교직원이 휴대하는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며, 관리서버(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 받아 표시하는 교직원용모바일앱(40)을 포함하고, 장애아동이 휴대한 휴대용식별기(10)을 통해 열감지단말기(20)에서 인식한 장애아동의 관리시설에 대한 출입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교직원용모바일앱(40)을 통해 알림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휴대용식별기에는 각 장애아동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고, 고유식별코드는 관리서버에도 저장되어 있으며, 장애아동이 관리시설 내부로 출입할 때, 열감지단말기가 장애아동이 휴대한 휴대용식별기을 인식한 경우, 열감지단말기에서 교직원용모바일앱으로 장애아동의 고유식별코드를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관리서버에 저장된 전체 장애아동의 고유식별코드들도 교직원용모바일앱로 함께 전송되어 열감지단말기에서 전송된 고유식별코드와 관리서버에서 전송된 전체 장애아동의 고유식별코드들 중에서 서로 매칭되는 고유식별코드에 의해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자동으로 파악되어 교직원이 장애아동들 각각에 대해 관리시설 출입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감지단말기에서 장애아동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식별기를 인식하여 열화상 데이터와 열감지단말기에서 인식한 해당 장애아동의 휴대용식별기의 고유식별코드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관리서버에서는 저장된 장애아동들의 고유식별코드와 열감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장애아동이 소지한 휴대용식별기의 고유식별코드를 서로 매칭시켜 이상체온 증상이 있는 장애아동을 특정하여 교직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교직원용모바일앱으로 알림 전송을 하여 교직원이 이상체온 증상이 있는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시설을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발열상태를 감지하여 고열상태에 있는 장애아동이 감지될 경우, 교직원에게 해당 상태를 알려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식별기(10), 열감지단말기(20), 관리서버(30), 교직원용모바일앱(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은 장애아동이 소지한 휴대용식별기(10), 관리시설에 구비되는 열감지단말기(20), 관리서버(30), 관리시설에 종사하는 교직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교직원용모바일앱(40)이 일방향 또는 쌍방향 통신을 수행하며 관리시설을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신체 발열상태를 감지하고, 고열상태에 있는 장애아동이 감지될 경우 교직원에게 해당 상태를 알려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관리시설은 장애아동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어린이집, 유치원을 포함하여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시설을 포괄하여 명칭하는 것이며, 관리시설의 교직원은 장애아동을 전문으로 교육하거나 관리하는 선생님, 보육교사를 포괄하는 명칭이며, 장애아동이라고 함은 어린이집의 아동, 유치원의 유아를 포함하여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관리시설에 취학하는 미성년자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와 그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휴대용식별기(10)는 도 1을 참조하면, 비콘을 포함하여 중장거리 무선통신기능이 포함된 통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관리시설의 내부로 장애아동이 출입할 때 그 출입여부 및 출입하는 장애아동이 누구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장애아동이 휴대한다.
여기서, 휴대용식별기(10)에는 각 장애아동 별로 각 장애아동이 누구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고유식별코드는 아래에 서술된 관리서버(30)에도 저장되어 있다.
휴대용식별기(10)에 포함된 고유식별코드는 아래에 서술된 열감지단말기(20)에서 감지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이때, 관리서버(30)에서는 저장된 장애아동의 고유식별코드와 열감지단말기(20)에서 전송한 휴대용식별기(10)의 고유식별코드를 서로 매칭시켜 각각의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열감지단말기(20)는 도 1을 참조하면, 관리시설의 출입구측에 구비되며, 관리시설을 출입하는 장애아동이 소지한 휴대용식별기(10)를 인식할 수 있는 기능과 관리시설을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신체 발열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인체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촬영하는 열화상카메라가 구비된다.
또한, 열감지단말기(20)에는 와이파이를 포함한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관리서버(3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다.
열감지단말기(20)는 장애아동이 소지한 휴대용식별기(10)를 인식하여 장애아동이 관리시설의 내부를 출입할 때 그 출입여부를 감지하고, 열감지단말기(20)의 열화상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 또는 캡쳐한 이미지를 포함한 열화상 데이터와 장애아동이 소지한 휴대용식별기(10)의 고유식별코드를 인식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관리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장애아동이 관리시설 내부로 출입할 때, 열감지단말기(20)가 장애아동이 휴대한 휴대용식별기(10)을 인식한 경우, 열감지단말기(20)에서 교직원용모바일앱(40)으로 장애아동의 고유식별코드를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관리서버(30)에 저장된 전체 장애아동의 고유식별코드들도 교직원용모바일앱(40)로 함께 전송되어 열감지단말기(20)에서 전송된 고유식별코드와 관리서버(30)에서 전송된 전체 장애아동의 고유식별코드들 중에서 서로 매칭되는 고유식별코드에 의해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자동으로 파악되어 교직원이 장애아동들 각각에 대해 관리시설 출입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열감지단말기(20)에서는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열화상 데이터 중 고열증상을 포함하여 이상체온 증상을 보이는 장애아동이 발견될 경우, 외부로 경고음을 송출한다.
또한, 열감지단말기(20)에서 획득한 열화상 데이터는 관리서버(30)로 전송되어 저장되고, 관리서버(30)는 열감지단말기(20)에서 전송된 열화상 데이터 중 이상체온 증상이 있는 장애아동에 대해서는 교직원이 소지한 교직원용모바일앱(40)으로 실시간 알림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고열 증상을 포함하여 이상체온 증상이 있는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식별하는 방식은 1차적으로 열감지단말기(20)로부터 해당 열화상 데이터를 전송받은 관리서버(30)에서는 관리시설에서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교직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교직원용모바일앱(40)으로 영상이나 캡쳐된 이미지를 포함한 열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면, 교직원은 해당 열화상 데이터를 보고 이상체온 증상이 있는 장애아동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차적으로 열감지단말기(20)에서 장애아동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식별기(10)를 인식하여 열화상 데이터와 열감지단말기(20)에서 인식한 해당 장애아동의 휴대용식별기(10)의 고유식별코드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하면, 관리서버(30)에서는 저장된 장애아동들의 고유식별코드와 열감지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장애아동이 소지한 휴대용식별기(10)의 고유식별코드를 서로 매칭시켜 이상체온 증상이 있는 장애아동을 특정하여 교직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교직원용모바일앱(40)으로 알림 전송을 하여 교직원이 이상체온 증상이 있는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열감지단말기(20)에서는 장애아동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열과 다른 사물에서 발생하는 열을 구분하기 위한 필터링기능이 포함된다.
열감지단말기(20)의 필터링기능은 열감지단말기(20)에서 촬영한 열화상에 다른 사물에서 발생하는 열과 장애아동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중첩되어 있을 경우, 장애아동의 신체에서 발생하는 열만을 특정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열화상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열감지단말기(20)의 필터링기능은 온도의 변화에 따른 이미지를 분할하며, 이미지 분할은 픽셀이나 영역 등과 같은 기준을 선정하여 분할된다.
픽셀을 이용한 분할은 열화상 이미지를 히스토그램화하고, 픽셀 기반 이미지 분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객체와 배경을 분할하며, 영역을 이용한 분할은 이미지 내의 픽셀값들의 배치를 기반을 기준으로 분할 처리한다.
관리서버(30)는 도 1을 참조하면, 열감지단말기(20)로부터 관리시설로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출입데이터, 열화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교직원이 소지한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교직원용모바일앱(40)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관리서버(30)에는 열감지데이터처리기능이 포함되며, 열감지데이터처리기능은 열감지단말기(20)에서 전송된 열화상 데이터가 이상 체온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열감지데이터처리기능은 다양한 발열관련 임상연구결과와 논문, 날씨변화, 계절변화, 열감지단말기(20)기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포함하여 외부 환경변화 요인에 따른 열화상 데이터를 학습자료로 하여 딥러닝 방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으로 학습된 인공지능 API와 연동하여 장애아동의 신체 상태에 따른 발열 상태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발열상태 기반으로 이상체온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관리서버(30)에는 장애아동의 각 개인별 발열대응기능이 포함되며, 열감지데이터처리기능과 연동하여 모형화된 개인별 발열대응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각 장애아동의 개인별 정상상태 신체 발열상태와 개인별 이상체온 발생시 대응방안에 따른 메뉴얼을 관리서버(30)에 미리 저장하고, 열감지단말기(20)에서 전송된 해당 장애아동의 열화상 데이터와 인공지능 API를 통해 추출된 발열상태 및 저장된 정상상태 신체 발열상태를 비교하여 이상체온 여부를 판단하며, 이상체온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장애아동의 개인별 대응 방안에 따른 메뉴얼을 교직원용모바일앱(40)으로 전송하여 담당 교직원이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별 이상체온 발생시 대응방안에 따른 메뉴얼에는 열성 경련 유무, 발열질환 가능성 여부, 해당 장애아동이 복용하는 의약품, 복용량, 복약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30)에는 장애아동 별로 지정된 전담병원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장애아동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리서버(30)에 저장된 해당 장애아동의 전담병원으로 응급상황을 전송하여 긴급 후송조치를 포함하여 응급상황에 따른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교직원용모바일앱(40)은 도 1을 참조하면, 관리시설에서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교직원이 휴대하는 스마트폰, 테블릿PC를 포함한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이며, 관리서버(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 받아 표시한다.
관리서버(30)의 열감지데이터처리기능에 의해 신체발열 상태가 높은 이상체온으로 판단된 장애아동에 대해서는 관리서버(30)에서 교직원용모바일앱(40)으로 실시간 알림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휴대용식별기 20 - 열감지단말기
30 - 관리서버 40 - 교직원용모바일앱

Claims (3)

  1. 장애아동의 관리시설 출입여부 및 출입하는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식별하기 위해 장애아동이 휴대하는 휴대용식별기(10);
    장애아동이 소지한 휴대용식별기(10)를 인식하여 관리시설 출입여부를 감지하고, 관리시설을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신체 발열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열화상카메라를 포함하며, 열화상카메라에서 획득한 열화상 데이터를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열감지단말기(20);
    열감지단말기(20)로부터 관리시설로 출입하는 장애아동의 출입데이터, 열화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외부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서버(30); 및
    관리시설에서 장애아동을 관리하는 교직원이 휴대하는 모바일기기에 설치되며, 관리서버(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 받아 표시하는 교직원용모바일앱(40)
    을 포함하고,
    장애아동이 휴대한 휴대용식별기(10)을 통해 열감지단말기(20)에서 인식한 장애아동의 관리시설에 대한 출입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교직원용모바일앱(40)을 통해 알림서비스로 제공되는 것
    을 포함하며,
    휴대용식별기(10)에는 각 장애아동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코드가 포함되어 있고, 고유식별코드는 관리서버(30)에도 저장되어 있으며, 장애아동이 관리시설 내부로 출입할 때, 열감지단말기(20)가 장애아동이 휴대한 휴대용식별기(10)을 인식한 경우, 열감지단말기(20)에서 교직원용모바일앱(40)으로 장애아동의 고유식별코드를 전송하고, 이와 동시에 관리서버(30)에 저장된 전체 장애아동의 고유식별코드들도 교직원용모바일앱(40)로 함께 전송되어 열감지단말기(20)에서 전송된 고유식별코드와 관리서버(30)에서 전송된 전체 장애아동의 고유식별코드들 중에서 서로 매칭되는 고유식별코드에 의해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자동으로 파악되어 교직원이 장애아동들 각각에 대해 관리시설 출입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
    을 포함하며,
    관리서버(30)에는 열감지단말기(20)에서 전송된 열화상 데이터가 이상 체온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열감지데이터처리기능이 포함되며, 열감지데이터처리기능은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된 인공지능 API와 연동하여 장애아동의 신체 상태에 따른 발열 상태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발열상태 기반으로 이상체온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을 포함하고,
    각 장애아동의 개인별 정상상태 신체 발열상태와 개인별 이상체온 발생시 대응방안에 따른 메뉴얼을 관리서버(30)에 미리 저장하고, 열감지단말기(20)에서 전송된 해당 장애아동의 열화상 데이터와 인공지능 API를 통해 추출된 발열상태 및 저장된 정상상태 신체 발열상태를 비교하여 이상체온 여부를 판단하며, 이상체온으로 판단될 경우, 해당 장애아동의 개인별 대응 방안에 따른 메뉴얼을 교직원용모바일앱(40)으로 전송하여 담당 교직원이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아동의 각 개인별 발열대응기능이 관리서버에 포함되는 것
    포함하며,
    관리서버(30)에는 장애아동 별로 지정된 전담병원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장애아동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관리서버(30)에 저장된 해당 장애아동의 전담병원으로 응급상황을 전송하여 응급상황에 따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을 포함하는,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열감지단말기(20)에서 장애아동이 휴대하고 있는 휴대용식별기(10)를 인식하여 열화상 데이터와 열감지단말기(20)에서 인식한 해당 장애아동의 휴대용식별기(10)의 고유식별코드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하면, 관리서버(30)에서는 저장된 장애아동들의 고유식별코드와 열감지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장애아동이 소지한 휴대용식별기(10)의 고유식별코드를 서로 매칭시켜 이상체온 증상이 있는 장애아동을 특정하여 교직원의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교직원용모바일앱(40)으로 알림 전송을 하여 교직원이 이상체온 증상이 있는 장애아동이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KR1020190177674A 2019-12-30 2019-12-30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KR102362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74A KR102362099B1 (ko) 2019-12-30 2019-12-30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674A KR102362099B1 (ko) 2019-12-30 2019-12-30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048A KR20210085048A (ko) 2021-07-08
KR102362099B1 true KR102362099B1 (ko) 2022-02-11

Family

ID=7689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674A KR102362099B1 (ko) 2019-12-30 2019-12-30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0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379B1 (ko) * 2018-03-21 2019-03-20 이찬기 영유아 및 어린이 집단시설용 질병 위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451B1 (ko) * 2018-05-10 2020-02-06 홍순기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유아시설 통합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379B1 (ko) * 2018-03-21 2019-03-20 이찬기 영유아 및 어린이 집단시설용 질병 위험 감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048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3966B2 (en) Detecting unauthorized visitors
KR101729327B1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체온 추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53295B1 (ko) 안면의 온도 분포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질병 감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과 장치
CN109074479A (zh) 基于视线遮挡监测医学协议的依从性
Gupta et al. Covid-19: Employee fever detection with thermal camera integrated with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lleri et al. Development of contactless employee management system with mask detection and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TensorFlow
JP5743812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
US11727568B2 (en) Rapid illness screening of a population using computer vision and multispectral data
US2021015896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362099B1 (ko) 장애아동을 위한 발열상태 관리 시스템
Okara et al. Smart technologies for COVID-19: The strategic approaches in combating the virus
JP2017054229A (ja) 人物判別システム
KR102332665B1 (ko) 딥러닝 방식을 이용한 장애아동을 발열 관리 시스템
US202303172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tracing individuals exhibiting symptoms of infections
KR102474851B1 (ko) 체온 측정 시스템
KR102638693B1 (ko) 위치 기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285619B1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발열체크 시스템
KR102496002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비대면 출입 관리 키오스크 및 이를 구비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Al Maashri et al. A novel drone-based system for accurate human temperature measurement and disease symptoms detection using thermography and AI
Chokri et al. AI-based System for the Detection and Prevention of COVID-19
KR20210106680A (ko) 야외활동을 하는 아동의 실종 방지와 발열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아동 관리 시스템
Gazzawe IOT-based smart helmet for COVID-19 detection and management
KR102422695B1 (ko) 체온정보 제공 기능을 갖는 푸쉬알림 서비스 방법
KR102540146B1 (ko) 격리대상자 관리 시스템
JP5487076B2 (ja) 院内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