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961U -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 Google Patents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961U
KR20230000961U KR2020210003361U KR20210003361U KR20230000961U KR 20230000961 U KR20230000961 U KR 20230000961U KR 2020210003361 U KR2020210003361 U KR 2020210003361U KR 20210003361 U KR20210003361 U KR 20210003361U KR 20230000961 U KR20230000961 U KR 202300009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rotrusion
band
band portion
cable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진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10003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0961U/ko
Publication of KR20230000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96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2Joints produced by deformation or tying of ends of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4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separate secur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8Elements provided with handles or other suspen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각종 산업 현장에서 전기 케이블끼리 묶어서 현장정리를 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 일측이 밴드부에 연결되어, 밴드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부; 및 밴드부의 외면에 마련되어, 케이블을 끼움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기 케이블을 분리하여 선간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케이블의 현장 정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끼리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케이블 타이를 과도한 힘으로 당겨도 원형 모양에서 더 이상 당겨지지 않고, 삼각형 돌출부 홈 모양으로 인해 케이블 자체에 힘을 가하지 않아서 케이블 단선이나 케이블 당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Cable tie for separation}
본 고안은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산업 현장에서 전기 케이블끼리 묶어서 현장정리를 할 수 있는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타이는 피고정물을 결속하거나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고정부와 케이블을 감싼 상태로 상기 고정부를 통과하여 고정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밴드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의 케이블 타이는, 전기 케이블을 고정할 때, 케이블을 통째로 묶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발열에 의한 케이블 노후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더불어, 기존의 케이블 타이는, 케이블을 통째로 묶는 경우, 무리한 힘이 가해져 케이블 내 심선을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단선이나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케이블을 분리하여 선간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케이블을 분리하여 선간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삼각형 돌출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타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 일측이 밴드부에 연결되어, 밴드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부; 및 밴드부의 외면에 마련되어, 케이블을 끼움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돌출부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 일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외측 일부에서 내부로 연장형성된 인입홈이 마련되어, 내부에 케이블이 끼움결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는, 각 돌출부에 각각 케이블이 끼움결합되고, 밴드부의 일부가 체결부에 삽입되는 경우, 각 돌출부의 모서리끼리만 밀착하게 됨으로써, 각 돌출부의 내부에 끼움결합된 케이블끼리 서로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되는 각 돌출부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체결부에 가장 가까운 돌출부부터 순차적으로 식별 숫자가 부가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는, 체결부가 연결되는 일측 외면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 타측 외면에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체결부는, 밴드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경우, 삽입된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밴드부가 체결부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 케이블을 분리하여 선간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케이블의 현장 정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끼리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케이블 타이를 과도한 힘으로 당겨도 원형 모양에서 더 이상 당겨지지 않고, 삼각형 돌출부 홈 모양으로 인해 케이블 자체에 힘을 가하지 않아서 케이블 단선이나 케이블 당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밴드부의 일부가 체결부에 삽입된 모습이 예시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돌출부에 케이블이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그리고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돌출부가 복수로 마련되는 모습이 예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밴드부(110)의 일부가 체결부(120)에 삽입된 모습이 예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는, 전기 케이블을 분리하여 선간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밴드부(110), 체결부(120) 및 돌출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밴드부(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부(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체결부(120)가 연결되는 일측 외면에 복수개의 돌출부(130)가 형성되는 경우, 타측 외면에 복수개의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120)는, 일측이 밴드부(110)에 연결되어, 밴드부(11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결부(120)는, 밴드부(110)의 타측이 삽입되는 경우, 삽입된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밴드부(110)가 체결부(120)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돌출부(130)는, 밴드부(110)의 외면에 마련되어, 케이블을 끼움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돌출부(130)에 케이블이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과정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130)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 일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외측 일부에서 내부로 연장형성된 인입홈(131)이 마련되어, 내부에 케이블이 끼움결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30)의 외측 세 변 중 일측 가운데 부분이 개방되어, 내측에 형성된 인입홈(131)과 연결되어, 개방된 부분을 따라 인입홈(131)으로 케이블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130)는, 유연한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개방된 부분의 폭은, 케이블의 굵기보다 작게 형성되면,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케이블을 이탈시키기 전에, 개방된 부분을 통해 끼움결합된 케이블이 외부로 이탈할 가능성이 낮고, 나아가, 밴드부(110)의 일부가 체결부(120)에 삽입하는 경우, 각 돌출부(130)의 모서리끼리 밀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밴드부(110)의 일부가 체결부(12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아에는 인입홈(131)에 끼움결합된 케이블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30)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밴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되어, 각 돌출부(130)에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끼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기존의 케이블 타이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110)의 일부가 피고정물을 감싼 상태로 체결부(120)에 결속되지만, 본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는, 밴드부(110)가 피고정물을 감싸는 것이 아니라, 각 돌출부(130)에 개별적으로 케이블이 끼움결합된 상태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돌출부(130)의 모서리끼리 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30)는, 각 돌출부(130)에 각각 케이블이 끼움결합되고, 밴드부(110)의 일부가 체결부(120)에 삽입되는 경우, 각 돌출부(130)의 모서리끼리만 밀착하게 됨으로써, 각 돌출부(130)의 내부에 끼움결합된 케이블끼리 서로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돌출부(130)는, 각 돌출부(130)의 모서리끼리만 밀착하는 방식으로 각 돌출부(130)끼리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케이블 타이를 과도한 힘으로 당겨도 원형 모양에서 더 이상 당겨지지 않고, 돌출부(130)의 인입홈(131)으로 인해 케이블 자체에 힘이 가해지지 않아, 케이블 단선이나 케이블 당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돌출부(130)가 복수로 마련되는 모습이 예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130)는, 밴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되는 경우,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체결부(120)에 가장 가까운 돌출부(130)부터 순차적으로 식별 숫자가 부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에는 케이블 정리시, 중간에 케이블 꼬임으로 재체결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나, 식별 숫자에 따라 순서대로 케이블을 끼움결합시킴으로써 케이블 꼬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밴드부
120 : 체결부
130 : 돌출부
131 : 인입홈

Claims (6)

  1.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밴드부;
    일측이 밴드부에 연결되어, 밴드부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부; 및
    밴드부의 외면에 마련되어, 케이블을 끼움결합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돌출부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돌출부는,
    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측 일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외측 일부에서 내부로 연장형성된 인입홈이 마련되어, 내부에 케이블이 끼움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돌출부는,
    각 돌출부에 각각 케이블이 끼움결합되고, 밴드부의 일부가 체결부에 삽입되는 경우, 각 돌출부의 모서리끼리만 밀착하게 됨으로써, 각 돌출부의 내부에 끼움결합된 케이블끼리 서로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5. 청구항 3에 있어서,
    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되는 각 돌출부는,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체결부에 가장 가까운 돌출부부터 순차적으로 식별 숫자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밴드부는,
    체결부가 연결되는 일측 외면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 타측 외면에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체결부는,
    밴드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경우, 삽입된 타측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밴드부가 체결부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KR2020210003361U 2021-11-04 2021-11-04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KR2023000096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61U KR20230000961U (ko) 2021-11-04 2021-11-04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361U KR20230000961U (ko) 2021-11-04 2021-11-04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961U true KR20230000961U (ko) 2023-05-11

Family

ID=8631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361U KR20230000961U (ko) 2021-11-04 2021-11-04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096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387B1 (en) Reusable cable tie
US8757594B2 (en) Pulling jacket for use while installing wires in conduit
WO2016190581A1 (ko) 케이블 타이
EP3909102B1 (en) Cushion sleeve
KR20230000961U (ko) 선 분리용 케이블 타이
KR200483892Y1 (ko) 케이블 타이
KR200465576Y1 (ko) 결속용 타이
JP2010017014A (ja) 撚り線分離具及び撚り線分離方法
KR101444327B1 (ko) 케이블 그리퍼
KR20100125052A (ko) 결속용 케이블 타이
KR200416736Y1 (ko) 전선 보호용 콜게이트 튜브 조립체
JP6513821B2 (ja) 切開型ケーブルタイ
KR930004988B1 (ko) 케이블 캡슐화 및 변형 방지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35900B2 (en) Cable reten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JP6464705B2 (ja) 結束バンド
WO2022158778A1 (ko) 케이블 타이
KR102389971B1 (ko) 장거리 전력관로에서 전력케이블을 풀링하는 방법
JP6294742B2 (ja) ワイヤハーネ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55816Y1 (ko) 배선용 홀더
JP4125804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KR20130051034A (ko) 케이블 타이
WO2016105143A1 (ko) 케이블 홀더
JP4044580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7318263B2 (ja) ケーブル敷設方法
JP7115904B2 (ja) ケーブルグリップおよびリング状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