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0810U - 누설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누설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0810U
KR20230000810U KR2020210003129U KR20210003129U KR20230000810U KR 20230000810 U KR20230000810 U KR 20230000810U KR 2020210003129 U KR2020210003129 U KR 2020210003129U KR 20210003129 U KR20210003129 U KR 20210003129U KR 20230000810 U KR20230000810 U KR 202300008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detection
housing
detection device
coupl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7725Y1 (ko
Inventor
송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엔
Priority to KR2020210003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25Y1/ko
Publication of KR202300008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8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testing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the vacuum in containers, e.g. in can-testing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탭 결합부; 상기 탭 결합부에 연결되는 누설 감지 센서; 및 상기 누설 감지 센서에 연결되는 음압기; 를 포함하되, 상기 탭 결합부는: 상측이 개방된 흡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밑에 위치하는 연결관; 상기 하우징을 상하로 관통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흡착 통로; 및 상기 흡착 통로와 상기 흡착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통로; 를 제공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외면에 수나사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보다 위에 위치하는 누설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누설 감지 장치{Apparatus for multi-leak detection}
본 고안은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탭에 대해 누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누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탭은 나사 등의 결합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으로, 그 내면에 암나사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다. 탭이 나사 등의 결합부재와 결합할 때, 그 사이에 유격 공간이 존재하면, 이를 막기 위해 나사씰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탭의 가공 이후에 유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탭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는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 개의 탭에 대한 누설 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로 다른 직경의 탭에 대한 누설을 감지할 수 있는 누설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탭 결합부; 상기 탭 결합부에 연결되는 누설 감지 센서; 및 상기 누설 감지 센서에 연결되는 음압기; 를 포함하되, 상기 탭 결합부는: 상측이 개방된 흡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밑에 위치하는 연결관; 상기 하우징을 상하로 관통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흡착 통로; 및 상기 흡착 통로와 상기 흡착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통로; 를 제공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외면에 수나사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탭 결합부가 상기 하우징 상에 결합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밀착부재가 고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탭 결합부가 상기 흡입관과 상기 연결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관과 상기 연결관을 연결시키는 락 피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연결관이: 상하로 연장되는 제1 관;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관;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연결관이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을 연결하는 하부 락 피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음압기에 연결되는 압력 조절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수평 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 축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복수 개의 탭 결합부; 상기 복수 개의 탭 결합부에 연결되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누설 감지 센서; 및 상기 누설 감지 센서에 연결되는 음압기;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탭 결합부의 각각은: 상측이 개방된 흡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밑에 위치하는 연결관; 상기 하우징을 상하로 관통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흡착 통로; 및 상기 흡착 통로와 상기 흡착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통로; 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결합부재가 외면에 수나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하우징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음압기가 진공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탭 결합부의 각각의 결합부재의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수평 단면이 원형이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 축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탭 결합부의 각각이 상기 하우징 상에 결합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착부재는 고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누설 감지 장치에 따르면, 탭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누설 감지 장치에 따르면, 복수 개의 탭에 대한 누설 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누설 감지 장치에 따르면, 서로 다른 직경의 탭에 대한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의 탭 결합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의 탭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의 사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의 설명을 통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블록도, 사시도, 및/또는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고안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다양한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누설 감지 장치(A)가 제공될 수 있다. 누설 감지 장치(A)는 테스트 대상물(T)의 탭(Ts)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부 공간(Th)을 제공하는 테스트 대상물(T)에 복수 개의 탭(Ts)이 형성된 경우, 누설 감지 장치(A)는 복수 개의 탭(Ts)의 각각에 대해 가공 오차에 의한 누설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누설 감지 장치(A)는 탭 결합부(1), 매니폴드(3), 누설 감지 센서(5), 음압기(7), 압력 조절 센서(9) 및 결합관(21, 23)을 포함할 수 있다.
탭 결합부(1)는 탭(Ts)에 결합될 수 있다. 탭 결합부(1)는 누설 감지 센서(5) 및 음압기(7)에 연결될 수 있다. 탭 결합부(1)는 음압기(7)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을 이용해, 탭(Ts)의 누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탭 결합부(1)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탭 결합부(1a), 제2 탭 결합부(1b), 제3 탭 결합부(1c), 제4 탭 결합부(1d) 및 제5 탭 결합부(1e)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탭 결합부(1)의 개수는 다른 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탭 결합부(1)는 한 개의 음압기(7)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탭 결합부(1)는 매니폴드(3)를 통해 한 개의 음압기(7)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편의를 위해 탭 결합부(1)는 단수도 기술하도록 한다. 탭 결합부(1)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매니폴드(3)는 복수 개의 탭 결합부(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탭 결합부(1)가 한 개의 매니폴드(3)에 결합될 수 있다. 매니폴드(3)는 복수 개의 탭 결합부(1)를 누설 감지 센서(5) 및/또는 음압기(7)에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매니폴드(3)는 복수 개의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누설 감지 센서(5)는 탭 결합부(1)에 연결될 수 있다. 누설 감지 센서(5)는 유체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설 감지 센서(5)는 액체의 존부 및/또는 액체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누설 감지 센서(5)는 유체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누설 감지 센서(5)는 음압기(7)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설 감지 센서(5)는 음압기(7)와 탭 결합부(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음압기(7)는 탭 결합부(1)에 음압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압기(7)는 누설 감지 센서(5) 및/또는 매니폴드(3) 등을 통해 탭 결합부(1)에 연결되어, 탭 결합부(1)에 진공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압기(7)는 진공 펌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압력 조절 센서(9)는 음압기(7)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력 조절 센서(9)는 음압기(7)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 조절 센서(9)에 의해 음압의 강도가 제어되어, 테스트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결합관(21, 23)은 제1 결합관(21) 및 제2 결합관(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관(21)은 매니폴드(3)와 누설 감지 센서(5)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결합관(21)을 통해 매니폴드(3)와 누설 감지 센서(5) 간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제2 결합관(23)은 누설 감지 센서(5)와 음압기(7)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 결합관(23)을 통해 누설 감지 센서(5)와 음압기(7) 간 유체가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의 탭 결합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의 탭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탭 결합부(1)는 하우징(11), 연결관(13), 락 피팅(12), 흡입관(15), 결합부재(17) 및 밀착부재(19)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흡착 공간(11h)을 제공할 수 있다. 흡착 공간(11h)은 하우징(11)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일 수 있다. 흡착 공간(11h)의 상측은 개방될 수 있다. 즉, 흡착 공간(11h)은 위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11)의 수평 단면은 대략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관(13)은 하우징(11)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13)은 하우징(11)의 밑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관(13)은 하우징(11)과 매니폴드(3, 도 2 참고)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연결관(13)은 제1 관과 제2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은 상하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관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관은 제1 관은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락 피팅에 의해 제2 관이 제1 관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락 피팅(12)은 연결관(13)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락 피팅(12)은 연결관(13)을 하우징(11)에 연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락 피팅(12)은 흡입관(15)과 연결관(13)을 연결할 수 있다. 락 피팅(12)을 통해, 흡착 공간(11h)이 연결관(13)에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15)은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흡입관(15)은 하우징(11)을 상하로 관통할 수 있다. 흡입관(15)의 하부는 연결관(13)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관(15)은 락 피팅(12)을 통해 연결관(13)에 연결될 수 있다. 흡입관(15)은 흡착 통로(15h1) 및 연결 통로(15h2)를 제공할 수 있다. 흡착 통로(15h1)는 상하로 연장될 수 잇다. 흡착 통로(15h1)는 연결관(13)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통로(15h2)는 흡착 통로(15h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통로(15h2)는 흡착 통로(15h1)와 흡착 공간(11h)을 연결할 수 있다. 흡입관(15)은 하우징(11)의 중심 축을 지날 수 있다.
결합부재(17)는 흡입관(15) 상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17)는 내부에 별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부재(17)는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재(17)는 외면에 수나사 구조(17s)가 제공될 수 있다. 결합부재(17)는 하우징(11)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탭 결합부(1a, 1b, 1c, 1d, 1e, 도 2 참고)에서, 결합부재(17)의 직경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탭 결합부(1a, 1b, 1c, 1d, 1e, 도 2 참고)에서, 결합부재(17)의 직경은 모두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밀착부재(19)는 하우징(11)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밀착부재(19)는 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착부재(19)는 고무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의 사용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복수 개의 탭 결합부(1a, 1b, 1c, 1d, 1e)의 각각이 테스트 대상물(T)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탭 결합부(1a, 1b, 1c, 1d, 1e)의 각각이 테스트 대상물(T)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탭(Ts)의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탭 결합부(1a, 1b, 1c, 1d, 1e)의 각각에서 결합부재(17, 도 4 참고)의 직경이 상이하므로, 복수 개의 탭(Ts)의 직경이 상이하더라도 이에 대응할 수 있다. 탭 결합부가 탭(Ts)에 삽입되는 원리는 도 7을 참고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복수 개의 탭(Ts, 도 5 참고)의 각각에 탭 결합부(1d, 1c 등)가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 공간(Th)에 유체가 채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Th)에 액체 등이 채워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액체가 아닌 기체가 채워질 수도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결합부재(17)가 탭(Ts)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탭(Ts)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 구조에, 결합부재(17)의 수나사 구조(17s)가 맞물릴 수 있다. 밀착부재(19)는 테스트 대상물(T)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 공간(11h)은 외부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음압기(7, 도 1 참고)로부터 음압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2 관(23), 누설 감지 센서(5), 제1 관(21) 및 매니폴드(3)를 거쳐, 하우징(11)의 흡착 공간(11h)에 음압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착 통로(15h1) 및 연결 통로(15h2)를 통해 흡착 공간(11h)에 음압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흡착 공간(11h) 내부의 유체는 연결 통로(15h2) 및 흡착 통로(15h1)를 통해 하우징(11)의 아래로 빠져나갈 수 있다. 흡착 공간(11h)에 제공된 음압에 의해, 하우징(11)의 내부에 진공에 가까운 저압의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다. 탭(Ts)과 결합부재(17) 사이에 누설 공간이 존재할 경우, 내부 공간(Th)의 유체가 흡착 공간(11h)으로 유입될 수 있다. 흡착 공간(11h)으로 유입된 유체는 연결 통로(15h2) 및 흡착 통로(15h1)를 통해 하우징(11)의 아래로 유출되어, 누설 감지 센서(5, 도 1 참고)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즉, 탭(Ts)의 가공 오차에 의해 탭(Ts)과 결합부재(17) 사이에 누설 공간이 존재할 경우, 누설 감지 센서(5)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누설 감지 장치(A, 도 1 참고)에 의하면, 탭(Ts)의 가공 불량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하면, 진공 펌프 등의 음압기를 이용해 탭의 가공 불량을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 따른 누설 감지 장치에 의하면, 복수 개의 탭에 대한 누출 감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탭 결합부의 각각의 결합부재의 직경이 다르므로, 직경이 상이한 복수 개의 탭에 대한 동시 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5)

  1. 탭 결합부;
    상기 탭 결합부에 연결되는 누설 감지 센서; 및
    상기 누설 감지 센서에 연결되는 음압기; 를 포함하되,
    상기 탭 결합부는:
    상측이 개방된 흡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밑에 위치하는 연결관;
    상기 하우징을 상하로 관통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흡착 통로; 및
    상기 흡착 통로와 상기 흡착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통로; 를 제공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외면에 수나사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보다 위에 위치하는 누설 감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 상에 결합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누설 감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고무링을 포함하는 누설 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 결합부는 상기 흡입관과 상기 연결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흡입관과 상기 연결관을 연결시키는 락 피팅을 더 포함하는 누설 감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하로 연장되는 제1 관; 및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관; 을 포함하는 누설 감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을 연결하는 하부 락 피팅을 포함하는 누설 감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기에 연결되는 압력 조절 센서를 더 포함하는 누설 감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평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 축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누설 감지 장치.
  9. 복수 개의 탭 결합부;
    상기 복수 개의 탭 결합부에 연결되는 매니폴드;
    상기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누설 감지 센서; 및
    상기 누설 감지 센서에 연결되는 음압기;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탭 결합부의 각각은:
    상측이 개방된 흡착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밑에 위치하는 연결관;
    상기 하우징을 상하로 관통하는 흡입관; 및
    상기 흡입관 상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는 흡착 통로; 및
    상기 흡착 통로와 상기 흡착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통로; 를 제공하는 누설 감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외면에 수나사 구조를 포함하는 누설 감지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하우징보다 위에 위치하는 누설 감지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기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는 누설 감지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탭 결합부의 각각의 결합부재의 직경은 서로 다른 누설 감지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평 단면은 원형이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 축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누설 감지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탭 결합부의 각각은 상기 하우징 상에 결합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밀착부재는 고무링을 포함하는 누설 감지 장치.
KR2020210003129U 2021-10-18 2021-10-18 누설 감지 장치 KR200497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129U KR200497725Y1 (ko) 2021-10-18 2021-10-18 누설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129U KR200497725Y1 (ko) 2021-10-18 2021-10-18 누설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810U true KR20230000810U (ko) 2023-04-25
KR200497725Y1 KR200497725Y1 (ko) 2024-02-07

Family

ID=8609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129U KR200497725Y1 (ko) 2021-10-18 2021-10-18 누설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2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986A (ja) * 1998-11-18 2000-06-06 Sigma:Kk 復水器のリーク探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00028867A (ko) * 2008-09-05 2010-03-15 이광우 가스누설검사공구
WO2011132365A1 (ja) * 2010-04-22 2011-10-27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漏洩検知方法及び真空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986A (ja) * 1998-11-18 2000-06-06 Sigma:Kk 復水器のリーク探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00028867A (ko) * 2008-09-05 2010-03-15 이광우 가스누설검사공구
WO2011132365A1 (ja) * 2010-04-22 2011-10-27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漏洩検知方法及び真空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725Y1 (ko)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306630B2 (en) Tubular joint
CN102639915B (zh) 抗旋转抓爪环
AU2005211609B2 (en) Jacketed pipe flange and method
CN203848989U (zh) 一种检测装置
KR20230000810U (ko) 누설 감지 장치
CN111765312B (zh) 一种双层燃气管路及其连接结构和制造方法
EP3887788B1 (en) Seal assembly and method of testing
US5235845A (en) Method of detecting a pinhole at a welded portion of an article
KR20140004014U (ko) 선박용 배관의 압력 측정 장치
CN211696835U (zh) 一种管道检漏工装
JP2015010621A (ja) リークポートを備えたクランプ及び該クランプを備えた継手及びバルブ
JPH0235191B2 (ko)
WO2010085084A2 (en) Cone type venturi integrated valve device
JP4257647B2 (ja) 2重可撓管の内管の気密検査方法
CN213336652U (zh) 管线用水下高压泄漏检测装置
TW202032510A (zh) 加油站地下油管零污染警示設備
CN213714659U (zh) 流体管路气密性检测系统
CN218002849U (zh) 一种天然气管道密封性检测装置
CN218511974U (zh) 一种焊缝检测装置
KR102361019B1 (ko) 튜브 투 튜브시트의 이너보어 용접부 검사장치
CN220623059U (zh) 一种卡压式管件
CN219551785U (zh) 法兰接头外漏检测装置
CN217059187U (zh) 一种低压阀焊接检测装置
CN216483748U (zh) 气体检漏装置
CN213068575U (zh) 一种混凝土块渗透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