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951A - 배압제어밸브 - Google Patents

배압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951A
KR20220169951A KR1020210079733A KR20210079733A KR20220169951A KR 20220169951 A KR20220169951 A KR 20220169951A KR 1020210079733 A KR1020210079733 A KR 1020210079733A KR 20210079733 A KR20210079733 A KR 20210079733A KR 20220169951 A KR20220169951 A KR 2022016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path
back pressure
pressure control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연호
Original Assignee
두원중공업(주)
주식회사 두원전자
학교법인 두원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원중공업(주), 주식회사 두원전자, 학교법인 두원학원 filed Critical 두원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210079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9951A/ko
Publication of KR2022016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in the form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에서 오일이 유입되고, 내부에 제1밸브시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시트 후방에 오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전방에 압입되고, 후방 단부에 제2밸브시트가 형성된 스토퍼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밸브시트와 제2밸브시트에 선택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제1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부 후방에 선택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제2유로를 개폐시키는 볼밸브; 상기 볼밸브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볼밸브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압제어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에 의하면, 전동압축기 저부하 작동조건에서 오일의 원활한 순환을 통해 스크롤의 마모 현상을 개선하여, 배압제어밸브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밸브의 교체주기가 길어짐으로써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압제어밸브{Back pressure control valve}
본 발명은 배압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압축기 회전스크롤의 배압을 조절하기 위한 배압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는 기계이다. 이와 같은 압축기의 종류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등으로 분리하게 된다. 상기 회전식 압축기는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편심부가 실린더내부에서 편심 운동하면서 가스를 압축하는 구조이고,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스크롤에 맞물린 선회스크롤이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선회 운동하면서 가스를 압축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왕복동식 압축기는 전동기구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실린더내부에서 피스톤이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가스를 압축하는 구조 또는 전동기구부의 직선 왕복 구동력을 전달받아 실린더내부에서 피스톤이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가스를 압축하는 구조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8863호(발명의 명칭 :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구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오일배출밸브를 형성하기 위해 바디부 내부에 밸브부를 배치하여 전동압축기의 배압을 조절하는 배압제어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오일이 유입되고, 내부에 제1밸브시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시트 후방에 오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전방에 압입되고, 후방 단부에 제2밸브시트가 형성된 스토퍼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밸브시트와 제2밸브시트에 선택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제1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부 후방에 선택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제2유로를 개폐시키는 볼밸브; 상기 볼밸브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볼밸브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압제어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밸브부는, 후단부 내주면에 상기 볼밸브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경사진 형상의 제3밸브시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의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의 개방량은, 상기 제1밸브시트 및 제2밸브시트 사이 간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는, 동시 개폐는 불가능하며, 상기 제1유로 또는 제2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가 폐쇄되어야 개폐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는, 상기 바디부와 밸브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밸브부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는, 스크롤 압축기의 내부를 순환하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배압제어밸브로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실(Suction chamber)이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회전축이 수용되는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부에 고정랩이 형성된 고정스크롤; 상기 메인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에 선회랩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크롤과의 사이에 압축실(Compression chamber)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의 사이에는 배압실(Back pressrue chanber)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선회 운동하는 선회스크롤; 상기 고정스크롤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스크롤과의 사이에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Discharge chamber)이 형성된 커버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는 폐쇄되며,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시동운전 시, 상기 제2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가 개방되며,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실 압력이 시동운전 시 보다 더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1유로는 다시 폐쇄되고, 상기 제2유로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 후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실 압력이 더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1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에 의하면, 전동압축기 저부하 작동조건에서 오일의 원활한 순환을 통해 스크롤의 마모 현상을 개선하여, 배압제어밸브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밸브의 교체주기가 길어짐으로써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압제어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의 Pb-Ps 차압에 따른 변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Pb-Ps 차압에 따른 Pb-Ps 유량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스크롤 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가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실과 흡입실 사이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100)는, 바디부(110), 스토퍼부(120), 밸브부(130), 볼밸브(140) 및 스프링(15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0)는 외부에서 오일이 유입되고, 내부에 제1밸브시트(111)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시트(111) 후방에 오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구(110a)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120)는 상기 바디부(110) 전방에 압입되고, 후방 단부에 제2밸브시트(121)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부(130)는 상기 바디부(110) 내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밸브시트(111)와 제2밸브시트(121)에 선택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제1유로(F1)를 개폐시킨다.
상기 볼밸브(140)는 상기 밸브부(130)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부(130) 후방에 선택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제2유로(F2)를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볼밸브(140)는 후단부 내주면에 상기 볼밸브(140)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경사진 형상의 제3밸브시트(131)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50)은 상기 볼밸브(140)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볼밸브(140)를 전방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1유로(F1) 및 제2유로(F2)의 개폐시점을 조절한다.
상기 제1유로(F1)는 상기 바디부(110)와 밸브부(13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로(F2)는 상기 밸브부(130)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유로(F1)의 개방량(g)은 상기 제1밸브시트(111) 및 제2밸브시트(121) 사이 간격으로 결정된다.
상기 제1유로(F1) 및 제2유로(F2)는 동시 개폐는 불가능하며, 상기 제1유로(F1) 또는 제2유로(F2) 중 어느 하나의 유로가 폐쇄되어야 개폐가 가능하다.
이하부터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배압제어밸브(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배압제어밸브(100)의 상기 바디부(110) 내부에서 상기 밸브부(130)가 상기 제2밸브시트(121)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배압제어밸브(100)가 저압상태에서 스크롤 압축기(1000)의 시동운전 시 상기 밸브부(13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유로(F1)를 형성하며, 유입된 오일을 외부로 방출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 배압제어밸브(100)의 상기 스크롤 압축기(1000)의 토출실(250a) 압력이 시동운전 시 보다 더 증가하는 경우(도 6의 C 상태), 상기 밸브부(130)가 도 3의 상태일 때 보다 후방으로 더 이동하면서 상기 제1유로(F1)를 폐쇄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 배압제어밸브(100)의 상기 스크롤 압축기(1000)의 토출실(250a) 압력이 더 증가하는 경우(도 6의 D 상태), 오일이 상기 볼밸브(140)를 후방으로 밀어 제2유로(F2)를 형성하며, 유입된 오일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Pb-Ps 차압에 따른 Pb-Ps 유량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 A 내지 D 영역은 각각 상기 도 2 내지 도 5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부터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스크롤 압축기(1000)의 작동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롤 압축기(1000)는 메인하우징(1100), 메인프레임(1200), 고정스크롤(1300), 선회스크롤(1400) 및 커버하우징(150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하우징(1100)은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실(Suction chamber)(1100a)이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회전축(1110)이 수용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200)은 상기 메인하우징(1100)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스크롤(1300)은 상기 메인프레임(1200)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부에 고정랩(1310)이 형성된다.
상기 선회스크롤(1400)은 상기 메인프레임(1200)과 고정스크롤(130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에 선회랩(14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크롤(1300)과의 사이에 압축실(Compression chamber)(1400a)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200)과의 사이에는 배압실(Back pressrue chanber)(1400b)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1110)에 의해 선회 운동한다.
상기 커버하우징(1500)은 상기 고정스크롤(13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스크롤(1300)과의 사이에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Discharge chamber)(1500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100)는, 상기 배압실(1400b)과 흡입실(1100a) 사이에 설치되어, 그 사이의 오일의 흐름을 조절한다. 구체적인 작동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스크롤 압축기(1000)의 오프(Off) 상태(도 6의 A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1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유로(F1)와 제2유로(F2)가 폐쇄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롤 압축기(1000)의 시동운전 시(도 6의 B 상태),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10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유로(F2)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F2)가 개방된다.
그 후, 상기 스크롤 압축기(1000)의 토출실(250a) 압력이 시동운전 시 보다 더 증가하는 경우(도 6의 C 상태),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1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유로(F1)는 다시 폐쇄되고 상기 제2유로(F2)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크롤 압축기(1000)의 토출실(250a) 압력이 더 증가하는 경우(도 6의 D 상태), 본 발명에 따른 배압제어밸브(1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유로(F1)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유로(F2)가 개방된다.
100 : 배압제어밸브
110 : 바디부 111 : 제1밸브시트
110a : 배출구 120 : 스토퍼부
121 : 제2밸브시트 130 : 밸브부
131 : 제3밸브시트 140 : 볼밸브
150 : 스프링 1000 : 스크롤 압축기
1100 : 메인하우징 1100a : 흡입실
1110 : 회전축 1200 : 메인프레임
1300 : 고정스크롤 1310 : 고정랩
1400 : 선회스크롤 1400a : 압축실
1400b : 배압실 1410 : 선회랩
1500 : 커버하우징 1500a : 토출실

Claims (7)

  1. 외부에서 오일이 유입되고, 내부에 제1밸브시트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시트 후방에 오일을 배출하는 복수개의 배출구가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 전방에 압입되고, 후방 단부에 제2밸브시트가 형성된 스토퍼부;
    상기 바디부 내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밸브시트와 제2밸브시트에 선택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제1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부;
    상기 밸브부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부 후방에 선택적으로 안착됨에 따라 제2유로를 개폐시키는 볼밸브;
    상기 볼밸브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볼밸브를 전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배압제어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후단부 내주면에 상기 볼밸브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경사진 형상의 제3밸브시트가 형성된 배압제어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의 개폐시점을 조절하는 배압제어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개방량은, 상기 제1밸브시트 및 제2밸브시트 사이 간격으로 결정되는 배압제어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는, 동시 개폐는 불가능하며, 상기 제1유로 또는 제2유로 중 어느 하나의 유로가 폐쇄되어야 개폐가 가능한 배압제어밸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는, 상기 바디부와 밸브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유로는, 상기 밸브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배압제어밸브.
  7.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크롤 압축기의 내부를 순환하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는 배압제어밸브로서,
    상기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흡입되는 흡입실(Suction chamber)이 내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회전축이 수용되는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하부에 고정랩이 형성된 고정스크롤;
    상기 메인프레임과 고정스크롤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부에 선회랩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크롤과의 사이에 압축실(Compression chamber)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의 사이에는 배압실(Back pressrue chanber)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선회 운동하는 선회스크롤;
    상기 고정스크롤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스크롤과의 사이에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실(Discharge chamber)이 형성된 커버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배압제어밸브는, 상기 배압실과 흡입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오프(Off) 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는 폐쇄되며,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시동운전 시, 상기 제2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가 개방되며,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실 압력이 시동운전 시 보다 더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1유로는 다시 폐쇄되고, 상기 제2유로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 후 상기 스크롤 압축기의 토출실 압력이 더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1유로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유로가 개방되는 배압제어밸브.
KR1020210079733A 2021-06-21 2021-06-21 배압제어밸브 KR20220169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733A KR20220169951A (ko) 2021-06-21 2021-06-21 배압제어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733A KR20220169951A (ko) 2021-06-21 2021-06-21 배압제어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951A true KR20220169951A (ko) 2022-12-29

Family

ID=8453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733A KR20220169951A (ko) 2021-06-21 2021-06-21 배압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99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863B1 (ko) 2004-08-12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863B1 (ko) 2004-08-12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식 압축기의 바이패스밸브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16121B2 (ja) ロータリ圧縮機の容量可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アコンデショナの運転方法
KR101900034B1 (ko) 용량 조절 스크롤 압축기
US6893235B2 (en) Scroll compressor
JP2008520902A (ja) 容量可変型ロータリ圧縮機
WO2014017081A1 (ja) 圧縮機
CN101495752B (zh) 压缩机的工作方法
KR100937919B1 (ko) 오일순환 및 배압조절 기능이 개선된 스크롤 압축기
WO2008069198A1 (ja) 流体機械
KR20220169951A (ko) 배압제어밸브
KR0151642B1 (ko) 로타리압축기의 베인측면토출장치
JPH0737796B2 (ja) ロータリ圧縮機
KR20220169953A (ko) 배압제어밸브
KR20070026177A (ko) 스크롤 유체 기계
KR20050073143A (ko) 스크롤 압축기
WO2018088154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194608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JP4367094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641243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KR20110098215A (ko)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KR20080029077A (ko) 압축기
JP404479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389537B1 (ko) 로타리압축기의토출포트
KR100575807B1 (ko)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 밸브 장치
KR20010076883A (ko) 스크롤 압축기의 축방향 누설 저감장치
KR100581562B1 (ko) 선회베인 압축기의 용량 가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