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6177A - 스크롤 유체 기계 - Google Patents

스크롤 유체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6177A
KR20070026177A KR1020060083200A KR20060083200A KR20070026177A KR 20070026177 A KR20070026177 A KR 20070026177A KR 1020060083200 A KR1020060083200 A KR 1020060083200A KR 20060083200 A KR20060083200 A KR 20060083200A KR 20070026177 A KR20070026177 A KR 20070026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flow path
compression chamber
wrap
path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398B1 (ko
Inventor
도시유끼 데라이
겐이찌 오오시마
마사히로 시마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6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04C29/0028Internal leakag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04C29/0035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압축실 내로의 액냉매의 흡입시에 액압축된 고압액을, 선회 스크롤의 배압 영역 등으로 인입시키지 않고 외부 배출시키는 것이다.
압축실로부터 선회 스크롤(20)의 배압 영역(31)에 연통하는 연통 유로(21)를 선회 스크롤의 랩과 대판에 설치하고, 선회 스크롤(20)의 랩에 설치된 연통 유로에 연결되는 압축실의 실내 소정 압력 유체를 외부에 개방하는 릴리프 기구(11)를 고정 스크롤(10)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압축실로의 액냉매의 흡입에 의한 압력 상승시에 용이하게 액냉매를 배출하면서 배압 영역(31)으로의 액냉매의 진입을 저감한다. 또한, 배압 영역(31) 등에서의 냉매를 많이 포함한 오일이 발포한 경우에는, 선회 스크롤(20)의 연통 유로(21)를 통해 압축실에 배출하고, 또한 고정 스크롤(10)의 릴리프 기구(11)로부터 배출됨으로써 배압 영역과 압축실의 상정 외의 압력 상승도 저감한다.
선회 스크롤, 고정 스크롤, 배압 영역, 연통 유로, 릴리프 기구

Description

스크롤 유체 기계{SCROLL FLUID MACHIN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의 압축실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2의 A-A'선의 화살표 단면도.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의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한 연통 유로의 저항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한 연통 유로의 저항 변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한 연통 유로의 저항 변화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 유체 입구
2 : 유체 출구
3 : 중간 출구
5 : 선회 스크롤 대판
6 : 고정 스크롤 대판
7 : 선회 스크롤 경판
8 : 고정 스크롤 경판
10 : 고정 스크롤
11 : 릴리프 기구
12, 12a, 12b : 릴리프 포트
15 : 선회 스크롤 랩
16 : 고정 스크롤 랩
20 : 선회 스크롤
21 : 관통 구멍
22 : 역류 저감 기구
23 : 유체 다이오드
30, 30a, 30b : 압축실
31 : 배압 영역
40 : 간극
50 : 프레임
60 : 샤프트
70 : 자전 방지 기구
80 : 배압 조정 기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225644호 공보
냉동 공조 장치나 공기 압축기 등에 이용되는 유체 압축기 및 유체 반송 기계에 관한 것이고, 특히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룸 에어컨에 적용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대판 상에 소용돌이형의 랩을 형성한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을 서로 랩이 마주 보도록 맞물리게 하여 복수의 압축실을 형성하고, 선회 스크롤 배면에 배압을 인가하여 양 스크롤의 경판(대판의 주변부)을 접촉시키고, 또한 선회 스크롤 배면에 자전 방지 기구를 구비하여 선회 스크롤을 자전시키지 않고 선회 운동함으로써, 압축실 용적을 연속적으로 축소하여 유체 압축을 행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등으로 공지이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선회 스크롤의 랩 및 대판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마련하고, 이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베어링부의 고압 영역으로부터 배압 영역이나 압축실로 급유함으로써 압축실의 밀봉성을 향상시키는(오일막 밀봉을 형성함)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225644호 공보
상기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과제가 되는 것은, 냉동 사이클로부터의 액냉매를 다량으로 흡입한 경우, 비압축성의 액냉매를 압축하여 압축실 내에 높은 액압(운전시에 냉매 가스를 압축함으로써 얻어지는 압력 범위를 넘은 압력)이 발생하는 사태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선회 스크롤의 랩 및 대판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실측으로부터 관통 구멍을 통해 비압축실 영역(배압 영역 또는 베어링부)으로 액냉매가 유입되는 것이 고려된다. 액냉매가 유입되면, 배압 영역 또는 베어링부에서의 윤활성 저하 및 액냉매의 발포에 의한 오일막 끊김 등을 생기게 하여 신뢰성을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저온 조건 하에서 일정 시간 운전을 정지한 경우, 압축기(압축 기구와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 내의 오일에 냉매가 용해하고 있어 오일의 오일 중 냉매 비율이 높은 경우에 있어서 발생하기 쉬운 현상으로서, 배압 영역에서 냉매의 용해한 오일이 발포하여 배압이 상승하고, 선회 스크롤 압박력의 증대나, 발포에 의해 생긴 냉매 가스(통상 동작시에 압축실로 들어가는 냉매 가스보다 높은 압력의 냉매 가스)가 압축실로 유입되어 압축실 내의 압력이 상정 외로 상승함으로써, 성능이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실 내로의 액냉매의 흡입시에 액압축된 고압액을, 선회 스크롤의 연통 유로를 거쳐서 배압 영역 등으로 인입시키지 않고 외부 배출시키는 동시에, 냉매를 많이 포함한 오일이 배압 영역 등에서 발포하여 배압이 상승하였을 때에, 선회 스크롤의 연통 유로를 거쳐서 압축실 내로 유입된 냉매를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소용돌이형의 랩을 설치한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을 서로 랩이 마주 보도록 맞물리게 하여 복수의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배면에 배압을 인가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을 자전시키지 않고 선회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축실의 용적을 연속적으로 축소하여 유체 압축을 행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선회 스크롤의 배압 영역 또는 베어링부 등의 상기 압축실 이외의 영역에 연통하는 연통 유로를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과 대판에 설치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된 연통 유로에 연결되는 압축실의 실내 소정 압력 유체를 외부에 개방하는 릴리프 기구를 상기 고정 스크롤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롤에 설치한 릴리프 기구의 유로 저항을 상기 연통 유로의 유로 저항보다 작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소용돌이형의 랩을 설치한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을 서로 랩이 마주 보도록 맞물리게 하여 복수의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배면에 배압을 인가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을 자전시키지 않고 선회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축실의 용적을 연속적으로 축소하여 유체 압축을 행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선회 스크롤의 배압 영역 또는 베어링부 등의 상기 압축실 이외의 영역에 연통하는 연통 유로를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과 대판에 설치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된 연통 유로에 연결되는 압축실의 실내 소정 압력 유체를 외부에 개방하는 릴리프 기구를 상기 고정 스크롤에 설치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에 설치한 연통 유로에는, 유체의 유동 방향에 의해 유로 저항이 변화되는 유로 저항 변화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유로 저항 변화 기구는,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압축실 이외의 영역으로의 유체 유동 방향의 제1 유로 저항을 크게 하고, 상기 압축실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압축실로의 유체 유동 방향의 제2 유로 저항을 작게 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고정 스크롤에 설치한 릴리프 기구의 유로 저항을 상기 유로 저항 변화 기구의 상기 제1 유로 저항보다 작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에 대해,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의 압축실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2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의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한 연통 유로의 저항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한 연통 유로의 저항 변화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한 연통 유로의 저항 변화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유체 입구, 2는 유체 출구, 3은 중간 출구, 5는 선회 스크롤 대판, 6은 고정 스크롤 대판, 7은 선회 스크롤 경판, 8은 고정 스크롤 경판, 10은 고정 스크롤, 11은 릴리프 기구, 12, 12a, 12b는 릴리프 포트, 15는 선회 스크롤 랩, 16은 고정 스크롤 랩, 20은 선회 스크롤, 21은 관통 구멍, 22는 역류 저감 기구, 23은 유체 다이오드, 30, 30a, 30b는 압축실, 31은 배압 영역, 40은 간극, 50은 프레임, 60은 샤프트, 70은 자전 방지 기구, 80은 배압 조정 기구를 각각 나타낸다.
도1과 도2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는, 주로 고정자와 회전자로 이루어지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주로 압축실(30a, 30b)과 고정 스크롤(10)과 선회 스크롤(20)과 배압 영역(31)으로 이루어지는 압축 기구로 구성된다. 이 스크롤 압축기가 냉동 사이클에 적용되는 경우에, 냉동 사이클에 이용되는 냉매 가스는 유체 입구(1)로 도입되어 압축실(30a, 30b)을 통과함으로써 압축되고, 중간 출구(3)로부터 압축 가스가 송출되어 스크롤 압축기의 내부를 경유하여 유체 출구(2)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도3에 나타내는 도시 구조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 대판(6) 상에 소용돌이형의 랩(16)을 형성한 고정 스크롤(10)과, 랩(15)을 형성한 선회 스크롤(20)이 서로 랩(15, 16)을 마주 보도록 맞물리게 하여 복수의 압축실(30a, 30b)이 형성되고, 이 선회 스크롤(5) 배면에 배압을 인가하여 양 스크롤의 경판(7, 8)을 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선회 스크롤(5) 배면에 자전 방지 기구(70)를 구비하고 있어 선회 스크롤(5)을 자전시키지 않고 선회 운동시킴으로써, 압축실(30)의 용적을 연속적으로 축소하여 유체 압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회 스크롤(20)의 랩(15)에는, 일단부를 선회 스크롤(20)의 랩 단부면에 개방하고, 타단부를 배압 영역(31)에 연결되는 관통 구멍(21)이 마련되어 있다. 즉, 관통 구멍(21)은 랩(15)과 대판(5)을 관통하고 있는 구멍이다. 관통 구멍(21)의 개구부(랩 단부면측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압축실(30a, 30b)이 형성된다(도1 참조). 이때, 도3을 참조하면, 랩의 단부면측과 고정 스크롤(10)의 대판(6) 사이는 간극(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렇게 하면, 압축실(30)과 배압 영역(31) 사이에는 간극(40) 및 관통 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압축실(30)은 간극(40)과 관통 구멍(21)으로 이루어지는 연통 유로를 거쳐서 배압 영역(31)에 연통하고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압축실(30a)에는 고정 스크롤(10)에 설치한 릴리프 포트(12a)가 개방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압축실(30b)에는 릴리프 포트(12b)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구성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의 특징 중 하나이다. 여기서, 릴리프 포트(12)를 갖는 릴리프 기구(11)의 기능은, 압축실(30)이 미리 설정된 소정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압력을 외부에 개방하는 것이다.
또한, 배압 영역(31)의 배압은 압축기 운전 중에 선회 스크롤(20)의 대판(5)의 반압축실측에 작용하여 선회 스크롤(20)을 고정 스크롤(10)에 압박하는 힘을 발생하고, 압축에 필요한 밀폐성을 얻으면서 미끄럼 이동 손실을 저감하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배압은 압축기 내에 토출 압력을 베어링부를 거쳐서 감암하여 배압 영역으로 도입한다. 한편 고정 스크롤(10) 내에 설치한 밸브체와 스프링을 조합한 배압 조정 기구(80)를 거쳐서 배압실로부터 대략 흡입 압력이 되는 압축실로 배압실의 냉매 가스를 배출한다. 또한, 선회 스크롤(20)에 마련한 관통 구멍(21)을 거쳐서 배압 영역으로부터 압축실 내의 배압에 가까운 영역에 배출하는 구성으로 한다. 배압 조정 기구(80)를 거쳐서 압축실의 흡입 영역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흡입 유체에 비해 고온 고압이기 때문에 유입되었을 때에 재팽창하거나 흡입된 유체를 가열시키는 등의 영향이 있지만, 관통 구멍(21)을 배압 영역(31)과 유체의 압력이나 온도 등의 조건이 가까운 영역으로 유입시키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는, 압축실(30)에 릴리프 기구(11)를 설치함으로써, 냉동 사이클로부터의 액복귀 등에 의한 압축실로의 액흡입 발생시에, 릴리프 포트로부터 액냉매가 용이하게 배출되고, 또한 이 액냉매의 배출에 의해, 관통 구멍(21)을 통과한 배압 영역(31)으로의 액냉매의 유입을 저감하여 성능이나 신뢰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압축실 내의 액냉매를 연통 유로를 통과하여 배압 영역 또는 선회 스크롤의 베어링부로 도입시키지 않게 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에, 릴리프 기구[압축실(30) 및 고정 스크롤(10)에 설치]와 관련된 연통 유로의 기능 및 작용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선회 스크롤(20)은, 고정 스크롤(10)과 프레임(50) 사이의 소정 공간 내에 샤프트(60)나 자전 방지 기구(70)와 함께 조립되어 있다. 통상 운전 중에 있어서는, 선회 스크롤(20)은 배압 영역(31)의 배압의 작용에 의해, 도2의 도시 구성예에서 상방을 향해 고정 스크롤(10)에 압박되어 선회 운전하고 있다.
그러나, 압축실로의 액냉매의 유입에 의한 액냉매의 압축의 경우에는(압축실의 상정 외 압력 상승을 일으킴), 이 상승 압력에 의해 선회 스크롤(20)은 고정 스크롤(10)로부터 이탈 분리되어, 하방에 있는 프레임(50)에 접촉하면서 운전되는 경우도 있다. 그렇게 하면, 선회 스크롤(20)의 랩(15)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21)과, 통상 운전시에 있어서는 부상한 상태에서의 클리어런스[간극(40)] 및 액압축시에 있어서는 하방으로 이탈 분리된 상태에서의 클리어런스[간극(40)]를 고려하여, 릴리프 기구(11)의 유로 저항을, 압축실(30)과 배압 영역(31)을 연통하는 연통 유로[선회 스크롤(20)의 대판(5) 및 랩(15)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21) + 간극(40)]의 유로 저항보다도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압축실(30)에서의 압력 상승시에는 압축실 내의 액냉매를 연통 유로를 거친 배압 영역(31) 또는 베어링부에 연통시키는 것은 아니고, 릴리프 기구(11)를 통과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로 인해, 프레임(50)의 배치 관계에 의해 좌우되는 클리어런스(40)의 대소나 관통 구멍(21)의 치수 형상으로서는, 적절하게 유로의 단면적을 작게 하거나,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적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거나(실제 가공시에 용이하게 유로 저항을 적절하게 가변할 수 있음),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형상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연통 유로의 유로 저항을 변화시키는 다른 구성예에 대해, 도4와 도5를 참조하면서 이하 설명한다. 도4는 선회 스크롤(20) 내에 역류 저감 기구를 구 비한 예를 나타낸다. 선회 스크롤(20)에 역류 저감 기구(22)를 설치하고, 배압 영역(31)으로부터 압축실(30)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저항이 작고, 역류시(액매체 압축에 의한 상정 외의 압력 상승시의 흐름)에 있어서는 유로 저항을 크게 하여 역류를 저감한다. 도4의 상기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압 영역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스프링 압박된 슬라이더가 스프링에 대항하여 우측으로 이동하고, 배압 영역으로부터의 유체가 저항 적게 압축실로 이송된다(압축실의 밀봉성 확보). 이에 대해, 도4의 하기 도면에 도시한 구조는, 스프링 압박된 슬라이더가 연통 유로를 폐색하고, 압축기로부터의 액냉매 유로의 저항은 증대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역류 저감 기구로서는, 그 외에 밸브체와 탄성체를 조합한 것이나 액냉매의 온도 저하에 반응한 온도 감응에 의한 기구가 있고, 또한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흐르는 방향에 의해 유로 저항이 변화되는, 소위 유체 다이오드(23)를 사용해도 좋다. 특히, 선회 스크롤(20)이, 회전축 방향으로 상하되는 간극이 큰 경우에는 액냉매의 역류도 보다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상술한 역류 저감 기구는 더 효과적이다. 또한, 역류를 저감할뿐만 아니라 역류를 억제할 수 있는 구조라도 당연히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스크롤 압축기는, 배압 영역과 압축실의 연통 유로를 거쳐서 재팽창이나 가열에 의한 손실의 저감을 도모하면서, 압축실에서의 액냉매 압축에 의한 압력 상승시에는 상기 연통 유로를 통해 냉매가 배압 영역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압축실 및 고정 스크롤에 릴리프 기구를 설치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으로서는, 선회 스크롤 랩에 압축실과 압축실 이외를 연통하는 연통 유로(구체예에서는 관통 구멍)를 설치하고, 연통 유로의 압축실측의 개구부에 연통하는 압축실에 관해 고정 스크롤에 릴리프 기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배치함으로써, 액냉매의 흡입시에 용이하게 배출하면서 압축실 이외로의 액냉매의 진입을 저감하는 것이다. 또한, 압축실 이외의 배압 영역이나 베어링부 등에서의 냉매를 많이 포함한 오일이 발포된 경우에는, 선회 스크롤의 유로를 통해 압축실에 배출될뿐만 아니라, 또한 고정 스크롤로부터 배출됨으로써 배압 영역과 압축실의 불필요한 압력 상승도 저감하는 것이다. 압축실과 배압 영역을 연통하는 압축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선회 스크롤에 압축실과 베어링부를 연통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한 압축기에 있어서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스크롤 압축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유체 압축기 및 유체 반송 기계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액상의 유체가 압축실측으로부터 압축실 이외의 영역(예를 들어, 배압 영역, 선회 스크롤 베어링부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감하여, 고효율 및 고신뢰의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압 영역으로 냉매를 많이 포함한 오일이 급유되어 발포된 경우에 있어서도, 배압 영역 및 압축실 내의 불필요한 압력 상승을 억제하여 압축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7)

  1. 소용돌이형의 랩을 설치한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을 서로 랩이 마주 보도록 맞물리게 하여 복수의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배면에 배압을 인가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을 자전시키지 않고 선회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축실의 용적을 연속적으로 축소하여 유체 압축을 행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선회 스크롤의 배압 영역 또는 베어링부 등의 상기 압축실 이외의 영역에 연통하는 연통 유로를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과 대판에 설치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된 연통 유로에 연결되는 압축실의 실내 소정 압력 유체를 외부에 개방하는 릴리프 기구를 상기 고정 스크롤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유로는,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과 대판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과,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 단부면과 상기 고정 스크롤의 대판 사이의 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된 연통 유로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압축실에 상기 릴리프 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롤에 설치한 릴리프 기구의 유로 저항을 상기 연통 유로의 유로 저항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스크롤에 마련한 관통 구멍의 단면적을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고정 스크롤에 설치한 릴리프 기구의 유로 저항을 상기 연통 유로의 유로 저항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6. 소용돌이형의 랩을 설치한 고정 스크롤과 선회 스크롤을 서로 랩이 마주 보도록 맞물리게 하여 복수의 압축실을 형성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배면에 배압을 인가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을 자전시키지 않고 선회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축실의 용적을 연속적으로 축소하여 유체 압축을 행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선회 스크롤의 배압 영역 또는 베어링부 등의 상기 압축실 이외의 영역에 연통하는 연통 유로를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과 대판에 설치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의 랩에 설치된 연통 유로에 연결되는 압축실의 실내 소정 압력 유체를 외부에 개방하는 릴리프 기구를 상기 고정 스크롤에 설치하고,
    상기 선회 스크롤에 설치한 연통 유로에는, 유체의 유동 방향에 의해 유로 저항이 변화되는 유로 저항 변화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유로 저항 변화 기구는, 상기 압축실로부터 상기 압축실 이외의 영역으로의 유체 유동 방향의 제1 유로 저항을 크게 하고, 상기 압축실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압축실로의 유체 유동 방향의 제2 유로 저항을 작게 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고정 스크롤에 설치한 릴리프 기구의 유로 저항을 상기 유로 저항 변화 기구의 상기 제1 유로 저항보다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저항 변화 기구는 유체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압축기.
KR1020060083200A 2005-09-01 2006-08-31 스크롤 유체 기계 KR100811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53530A JP4355308B2 (ja) 2005-09-01 2005-09-01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JP-P-2005-00253530 2005-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177A true KR20070026177A (ko) 2007-03-08
KR100811398B1 KR100811398B1 (ko) 2008-03-07

Family

ID=37817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200A KR100811398B1 (ko) 2005-09-01 2006-08-31 스크롤 유체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55308B2 (ko)
KR (1) KR100811398B1 (ko)
CN (2) CN19243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2259B (zh) * 2013-03-21 2016-04-20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热泵系统、制冷系统
JP7280726B2 (ja) * 2019-03-20 2023-05-24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CN112922828B (zh) * 2021-03-08 2023-03-14 青岛科技大学 一种防止压力脉动的涡旋液泵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471B2 (ja) * 1986-12-04 1996-03-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バータ駆動のスクロール圧縮機を備えた空調機
JPH04132889A (ja) * 1990-09-20 1992-05-07 Tokico Ltd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JPH051677A (ja) * 1991-06-27 1993-01-08 Hitachi Ltd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626472A (ja) * 1992-07-10 1994-02-01 Toshiba Corp スクロール式圧縮機
CN1182835A (zh) * 1996-11-19 1998-05-27 刘文化 涡旋压缩机
US5762483A (en) * 1997-01-28 1998-06-09 Carrier Corporation Scroll compressor with controlled fluid venting to back pressure chamber
JP4107903B2 (ja) 2002-07-29 2008-06-2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クロール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7088A (zh) 2011-10-05
JP4355308B2 (ja) 2009-10-28
CN102207088B (zh) 2015-06-17
CN1924358A (zh) 2007-03-07
JP2007064147A (ja) 2007-03-15
KR100811398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3191A (en) Scroll compressor having a discharge muffler chamber
KR930008349B1 (ko) 스크롤식 압축기
US6537043B1 (en) Compressor discharge valve having a contoured body with a uniform thickness
US7377755B2 (en) Multi-stage rotary compressor
KR100608664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US20070217938A1 (en) Scroll compressor with bypass apparatus
JP2959457B2 (ja) スクロール気体圧縮機
KR100811398B1 (ko) 스크롤 유체 기계
JP2000249086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CN213205965U (zh) 涡旋压缩机、制冷设备及汽车
JPH09217691A (ja) スクロール気体圧縮機
KR20200068938A (ko) 고압식 스크롤 압축기
JPH09217690A (ja) スクロール気体圧縮機
JP2002317784A (ja) ロータリ式2段圧縮機
KR100315792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631549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역류 방지 장치
KR100548484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운전방지장치
KR20220169951A (ko) 배압제어밸브
KR100511329B1 (ko) 스크롤 압축기의 가스역류 방지 장치
JP2004270667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724377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유토출 저감 장치
KR100310530B1 (ko) 스크롤 압축기
KR20010081651A (ko) 스크롤 압축기의 역회전 방지장치
KR20010076882A (ko)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압축 방지장치
KR101069498B1 (ko) 밀폐형 스크롤 압축기의 진공방지부 누설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