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9298A -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9298A
KR20220169298A KR1020210079546A KR20210079546A KR20220169298A KR 20220169298 A KR20220169298 A KR 20220169298A KR 1020210079546 A KR1020210079546 A KR 1020210079546A KR 20210079546 A KR20210079546 A KR 20210079546A KR 20220169298 A KR20220169298 A KR 20220169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sent
antibacterial
g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8818B1 (ko
Inventor
조영제
이은호
박혜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9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8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균용,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한국특산식물인 말오줌나무 잎 추출물은 DPPH 라디칼을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XOase 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통풍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ACE를 억제함으로써 고혈압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람 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Anti-oxidant, anti-bacterial, anti-hypertension, or anti-gout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발전과 식습관의 변화에 따라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동맥경화, 고인슐린혈증, 당뇨병 또는 통풍 등 다양한 질환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발병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질환들은 각각 발생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여러 증상들을 동반하여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체내에서 일어나는 산화 반응은 노화와 세포의 변이를 유발하여 암세포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산화 반응에 따른 산화스트레스는 인체 내 다양한 조직 세포를 손상시키며, 근육과 지방에서 당의 섭취를 방해하고, 췌장 베타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키는 등 고혈압, 통풍 등의 대사성 질환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체내에서 일어나는 산화반응을 억제시키거나 그 속도를 느리게 하는 항산화 작용은 이런 체내의 부정적인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예방 방편으로 볼 수 있으며, 항산화제(anti-oxidant)로 부틸레이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hydrox yanisole; BHA), 부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BHT)과 같은 합성물질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산화제는 인체에 대한 여러가지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어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더불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물 유래의 천연 화합물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급증하는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생체활성을 지닌 새로운 천연물 소재의 개발 또한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은 식품 산업에서의 식품 유통 과정 중의 부패로 인한 손실, 농산업에서의 농작물에 대한 과량의 화학 살충제의 사용으로 인한 인체의 유해성 및 환경오염,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현 등 사회 전반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항생제는 화학적인 합성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 고비용이 소요되며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물로부터 새로운 항균 물질을 분리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생리활성 효과를 지닌 물질은 동식물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식물체는 자외선에 의한 산화나 자동산화, 곤충들로 인한 피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폴리페놀류의 항산화 물질을 세포 내 함유하며,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류와 산성의 페놀 화합물은 항산화, 항고혈압, 항관절염, 항알러지, 항당뇨, 항암, 항염증, 항균, 미백, 주름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효능이 검증된 약용식물자원 유래의 생리활성과 우수한 기능성 물질에 대한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약용식물이나 산채류, 한약재, 과실류 등 약용부위의 물질을 탐색하여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식품 부재료로 개발하는 것은 천연자원의 효율적인 측면과 새로운 식품자원 개발, 신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말오줌나무(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는 인동과 딱총나무 속에 속하는 낙엽활엽수 관목으로 오직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한국특산식물이다. 말오줌나무를 포함한 딱총나무 속 식물 전체는 '접골목'으로 지칭되며, 우리나라 및 일본에서 민간적으로 신장병, 수종 등의 이뇨약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 말오줌나무에 대한 연구는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분자생물지리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어 있고,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그 기능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83983호
본 발명자들은 한국 특산식물인 말오줌나무가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감염성 질환 개선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균용;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균용;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균용;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항산화 또는 항균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항산화제 또는 항균제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균용;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추출물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을 억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추출물은 크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를 억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추출물은 안지오텐신변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를 억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그람 양성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ebacterium acnes),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감염성 질환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 의한 화농성 염증, 폐렴, 장염, 또는 식중독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감염성 질환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또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ebacterium acnes) 균주에 의한 여드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감염성 질환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균주에 의한 치아우식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노말-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균용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DPPH 라디칼을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XOase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통풍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ACE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고혈압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람 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말오줌나무 잎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고형분(solid)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말오줌나무 잎의 용매 종류별 추출물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말오줌나무 잎의 에탄올 농도별 추출물에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말오줌나무 잎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고형분(solid)과 200μg/mL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물 및 에탄올 추출물(water extracted phenolics, ethanol extracted phenolics)에서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기능성 식품 개발을 위한 생리활성 자원을 발굴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말오줌나무 잎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고형분(solid)과 200μg/mL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말오줌나무 추출물이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ACE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고혈압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말오줌나무 추출물이 통풍의 원인이 되는 XOase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통풍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말오줌나무 추출물이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ebacterium acnes), 또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참조).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균용;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말오줌나무(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는, 인동과 딱총나무속에 속하는 낙엽활엽수 관목으로 오직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경상북도 울릉도의 특산식물이다. 꽃은 6월에 피며 꽃색은 황백색이고, 열매는 둥글며 7월에 주홍색으로 익고, 잎은 마주나며 홀수깃모양겹잎으로 가장자리 톱니가 뾰족하고, 높이가 4-5 m까지 자란다.
본 발명에서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식물체 전체 또는 식물의 일부로부터 수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줄기, 뿌리, 잎, 열매, 및 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위로부터 수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상기 말오줌나무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말오줌나무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말오줌나무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말오줌나무를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말오줌나무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에탄올 용매의 농도는 1 내지 100 %, 10 내지 90 %, 10 내지 80 %, 10 내지 70 %, 10 내지 60 %, 20 내지 100 %, 20 내지 90 %, 20 내지 80 %, 20 내지 70 %, 20 내지 60 %, 30 내지 100 %, 30 내지 90 %, 30 내지 80 %, 30 내지 70 %, 30 내지 60 %, 40 내지 100 %, 40 내지 90 %, 40 내지 80 %, 40 내지 70 %, 40 내지 60 %, 41 내지 60 %, 41 내지 59 %, 41 내지 58 %, 41 내지 57 %, 41 내지 56 %, 42 내지 60 %, 42 내지 59 %, 42 내지 58 %, 42 내지 57 %, 42 내지 56 %, 43 내지 60 %, 43 내지 59 %, 43 내지 58 %, 43 내지 57 %, 43 내지 56 %, 44 내지 60 %, 44 내지 59 %, 44 내지 58 %, 44 내지 57 %, 44 내지 56 %, 45 내지 60 %, 45 내지 59 %, 45 내지 58 %, 45 내지 57 %, 45 내지 56 %, 46 내지 60 %, 46 내지 59 %, 46 내지 58 %, 46 내지 57 %, 46 내지 56 %, 47 내지 56 %, 47 내지 55 %, 47 내지 54 %, 47 내지 53 %, 48 내지 56 %, 48 내지 55 %, 48 내지 54 %, 48 내지 53 %, 49 내지 56 %, 49 내지 55 %, 49 내지 54 %, 49 내지 53 %, 49 내지 52 %, 49 내지 51 %, 또는 5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노말-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저급 알코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 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농축기, 건조는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산화"는, 생체분자에 산화 손상을 일으키며, 단백질을 가교시키고, DNA를 변이시키며, 지질을 과산화시킬 수 있는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산소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항산화 활성은 활성산소를 포함하고 있어 항산화 물질에 의해 활성산소가 제거되면서 색이 변하는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을 억제할 수 있어 항산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균"이란 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을 촉진하는 것으로, 멸균, 살균, 제균, 정균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말오줌 나무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인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ebacterium acnes),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항균용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5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통풍"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체내 요산(uric acid) 농도가 증가하여, 과잉 축적된 요산이 결정화되면서 뾰족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관절과 관절 주위 조직에 축적되면서 재발성 발작성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의미한다. 요산은 체내의 퓨린(purine) 대사의 최종 산물로 체내 대사과정 중 hypoxanthine과 xanthine으로부터 크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XOase)의 작용에 의해서 통풍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산이 생성되므로, XOase는 통풍 발생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통풍 발생에 결정적 역할을 수행하는 효소인 XOase 활성을 억제할 수 있어 대사성 질환 중 하나인 통풍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4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혈압"은, 정상 혈압보다 높게 즉, 수축시 혈압이 140mmHg 이상,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대사성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총 인구의 15%, 특히 63세 이상의 고령 인구의 50%에서 발생하는 매우 중요한 대사성 질환이다.
인체 내 안지오텐신변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는 레닌(renin)에 의하여 생성된 안지오텐신 I으로부터 C-말단의 디펩타이드(His-Leu)를 가수분해시켜 안지오텐신 II를 합성하는 마지막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로, 생성된 안지오텐신 II는 강력한 혈관수축작용을 가지며 부신 피질(adrenal cortex)에서 알도스테론(aldosterone)의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물과 나트륨(sodium)의 배설을 억제시키고, 혈관이완작용을 하는 브라디키닌(bradykinin)을 불활성화시킴으로써 혈압을 상승시켜 고혈압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고혈압을 일으키는 효소 ACE 활성을 억제할 수 있어 대사성 질환 중 하나인 고혈압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대사성 질환(metabolic disease)"은, 지질 또는 당 대사 이상으로 인한 질환을 총칭하며, 통풍, 고혈압,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지방간, 뇌졸중, 동맥경화, 심장병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감염"이란, 병원성 미생물이 사람이나 동물, 식물의 조직, 체액, 표면에 정착하여 증식하는 것을 의미하며, 감염 경로, 전염성 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감염성 질환"이란 그람 양성균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그람 양성균"은 그람 염색에서 감청색 또는 보라색으로 염색되는 세균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그람 양성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ebacterium acnes),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염성 질환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 의한 화농성 염증, 폐렴, 장염, 또는 식중독;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또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ebacterium acnes) 균주에 의한 여드름; 또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균주에 의한 치아우식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는 그람 양성균인 포도상구균의 일종으로 여드름, 화농성 염증, 폐렴, 장염, 또는 식중독 등을 일으킨다.
상기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ebacterium acnes)"는 피부상재균으로 모공 안에 상주하여 피지분비 활성화를 통해 여드름 발생 과정에 관여한다.
상기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는 그람 양성균으로 인간의 구강에서 서식하며 충치 발생(치아우식증)에 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예를 들어,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흡착제, 보습제, 필름-코팅 물질, 및 제어방출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서방형 과립제, 장용과립제, 액제, 점안제, 엘실릭제, 유제, 현탁액제, 주정제, 트로키제, 방향수제, 리모나아데제, 정제, 서방형정제, 장용정제, 설하정,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서방캅셀제, 장용캅셀제, 환제, 틴크제, 연조엑스제, 건조엑스제, 유동엑스제, 주사제, 캡슐제, 관류액, 경고제, 로션제, 파스타제, 분무제, 흡입제, 패취제, 멸균주사용액, 또는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용제는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환제, 트로키제의 첨가제로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유당, 백당, 포도당, 과당, 디-만니톨, 침강탄산칼슘, 합성규산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슘, 황산칼슘,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정제 라놀린,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알긴산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올린, 요소, 콜로이드성실리카겔,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1928, HPMC 2208, HPMC 2906, HPMC 2910, 프로필렌글리콜, 카제인, 젖산칼슘, 프리모젤 등 부형제;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에탄올, 한천가루,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포도당, 정제수, 카제인나트륨,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정제쉘락, 전분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한천가루, 메칠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구연산칼슘, 라우릴황산나트륨, 무수규산, 1-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덱스트란, 이온교환수지, 초산폴리비닐, 포름알데히드처리 카제인 및 젤라틴, 알긴산, 아밀로오스, 구아검(Guar gum), 중조, 폴리비닐피롤리돈, 인산칼슘, 겔화전분, 아라비아고무, 아밀로펙틴, 펙틴, 폴리인산나트륨, 에칠셀룰로오스, 백당,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디-소르비톨액, 경질무수규산 등 붕해제;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수소화식물유(Hydrogenated vegetable oil), 탈크, 석송자, 카올린, 바셀린, 스테아린산나트륨, 카카오지, 살리실산나트륨, 살리실산마그네슘, 폴리에칠렌글리콜(PEG) 4000, PEG 6000, 유동파라핀, 수소첨가대두유(Lubri wax),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아연, 라우릴황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마크로골(Macrogol), 합성규산알루미늄, 무수규산,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실리콘유, 파라핀유, 폴리에칠렌글리콜지방산에테르, 전분,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올레인산나트륨, dl-로이신, 경질무수규산 등의 활택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제의 첨가제로는 물, 묽은 염산, 묽은 황산, 구연산나트륨, 모노스테아린산슈크로스류, 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텔류(트윈에스텔), 폴리옥시에칠렌모노알킬에텔류, 라놀린에텔류, 라놀린에스텔류, 초산, 염산, 암모니아수, 탄산암모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프롤아민, 폴리비닐피롤리돈, 에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럽제에는 백당의 용액, 다른 당류 혹은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향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제, 현탁화제, 유화제, 점조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제에는 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화제, 보존제, 안정제, 방향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제에는 아카시아, 트라가칸타,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미결정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HPMC 1828, HPMC 2906, HPMC 2910 등 현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보존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제에는 주사용 증류수, 0.9% 염화나트륨주사액, 링겔주사액, 덱스트로스주사액, 덱스트로스+염화나트륨주사액, 피이지(PEG), 락테이티드 링겔주사액,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비휘발성유-참기름, 면실유, 낙화생유, 콩기름, 옥수수기름, 올레인산에칠,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안식향산벤젠과 같은 용제; 안식향산나트륨, 살리실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우레탄, 모노에칠아세트아마이드, 부타졸리딘, 프로필렌글리콜, 트윈류, 니정틴산아미드, 헥사민, 디메칠아세트아마이드와 같은 용해보조제; 약산 및 그 염(초산과 초산나트륨), 약염기 및 그 염(암모니아 및 초산암모니움), 유기화합물, 단백질, 알부민, 펩톤, 검류와 같은 완충제; 염화나트륨과 같은 등장화제; 중아황산나트륨(NaHSO3) 이산화탄소가스,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아황산나트륨(Na2SO3), 질소가스(N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과 같은 안정제; 소디움비설파이드 0.1 %, 소디움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치오우레아,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아세톤소디움비설파이트와 같은 황산화제; 벤질알코올, 클로로부탄올, 염산프로카인, 포도당, 글루콘산칼슘과 같은 무통화제; 시엠시나트륨, 알긴산나트륨, 트윈 80, 모노스테아린산알루미늄과 같은 현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제에는 카카오지, 라놀린, 위텝솔,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로젤라틴,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과 올레인산의 혼합물, 수바날(Subanal), 면실유, 낙화생유, 야자유, 카카오버터+콜레스테롤, 레시틴, 라네트왁스,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롤, 트윈 또는 스판, 임하우젠(Imhausen), 모놀렌(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뎁스솔리두스(Adeps solidus), 부티룸 태고-G(Buytyrum Tego-G), 세베스파마 16 (Cebes Pharma 16), 헥사라이드베이스 95, 코토마(Cotomar), 히드록코테 SP, S-70-XXA, S-70-XX75(S-70-XX95), 히드록코테(Hydrokote) 25, 히드록코테 711, 이드로포스탈 (Idropostal), 마사에스트라리움(Massa estrarium, A, AS, B, C, D, E, I, T), 마사-MF, 마수폴, 마수폴-15, 네오수포스탈-엔, 파라마운드-B, 수포시로(OSI, OSIX, A, B, C, D, H, L), 좌제기제 IV 타입 (AB, B, A, BC, BBG, E, BGF, C, D, 299), 수포스탈 (N, Es), 웨코비 (W, R, S, M ,Fs), 테제스터 트리글리세라이드 기제 (TG-95, MA, 57)와 같은 기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복용, 피하 주사, 복강 투여, 정맥 주사, 근육 주사, 척수 주위 공간(경막내) 주사, 설하 투여, 볼점막 투여, 직장 내 삽입, 질 내 삽입, 안구 투여, 귀 투여, 비강 투여, 흡입, 입 또는 코를 통한 분무, 피부 투여, 경피 투여 등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쥐 (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목적하는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그에 따른 대사 이상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균용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말오줌나무 추출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패치, 손소독제, 또는 필터 충진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균용;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20g, 또는 약 0.04 내지 0.10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실험예 1. 말오줌나무 시료 제조
말오줌나무(Sambucus sieboldiana var. pendula) 잎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것을 채취하여 경북대학교 울릉도·독도 연구소의 식물정보를 이용하여 형태적 특징을 확인하고 동정하였으며, 잎을 제외한 이물질을 제거한 후 45℃ 드라이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건조한 시료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40mesh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2. 말오줌나무 추출물 제조
최적 추출조건의 검색을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말오줌나무 잎 시료 1g을 분취하고 여기에 다양한 용매(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노말-부탄올(n-butanol))를 100mL 용량으로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shaking)하였으며, 추출용매 농도가 용출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식용 가능한 용매인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 0 내지 100 %까지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수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리활성 검정을 위한 시료는 열수 추출물의 경우 말오줌나무 잎 시료 1g을 삼각플라스크에 담은 후, 증류수를 200mL 첨가하고, 전체액이 100mL가 될 때까지 가열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shaking)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은 말오줌나무 잎 시료 1g에 10 내지 100%의 농도별 에탄올을 100mL씩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으며, 추출액은 여과지(whatman No.1 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회전식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er) (Eyela NE, Tokyo, Japan)로 농축하여 필요에 따라 동결건조(FDS8518, Ilshin Bio Base Co. Ltd, Dongducheon, Korea)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3. 페놀성 화합물의 정량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Folin과 Denis의 방법(Folin O, Denis W (1912) On phos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2에서 제조한 추출물 1mL를 95% 에탄올 1mL 및 증류수 5mL와 혼합(mixing)한 후, 1N Folin-ciocalteu reagent 0.5mL를 첨가하여 발색시키고, 5분간 방치한 뒤, Na2CO3 1mL를 가하여 1시간 동안 정치한 다음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값은 갈산(gallic acid)을 이용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양을 계산하였다.
실험예 4.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측정
DPPH 라디칼 소거능은 Blois 방법(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에 준하여, 상기 실험예 2에서 제조한 말오줌나무 추출물 1mL에 60μM DPPH 3mL를 첨가하고 혼합(mixing)한 후 실온에서 15분 동안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추출물의 흡광도와 대조구의 흡광도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대조구는 말오줌나무 추출물 대신 증류수를 첨가한 것을 이용하였다.
실험예 5. ACE(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활성 측정
ACE 억제활성은 Cushman과 Cheung의 방법(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ical pharmacol 20: 1637-164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blank는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8.3, 0.3M NaCl 함유)에 2.5mM hippuryl-L-histidyl-L-leucine(HHL, Sigma-Aldrich Co, Louis, MO, USA) 용액 0.15mL를 기질로서 혼합하였으며, 대조구는 상기의 phosphate buffer 0.1mL를 시료 대신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은 1N HCl 0.35mL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키고 3mL EtOAc를 첨가하여 생성된 히푸르산(hippuric acid)을 용출시켰다. EtOAc층은 분취하여 용매를 증류시키고, 남은 잔사에 증류수를 2mL를 추가로 첨가하여 기질로부터 생성된 히푸르산의 OD값을 280nm에서 측정하였다. 측정한 수치는 히푸르산을 사용한 표준곡선에서 양을 환산하여 ACE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ACE 억제율(%)은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ACE 억제율(%)=1-(반응구의 hippuric acid 생성량/대조구의 hippuric acid 생성량)×100.
실험예 6. Xanthine oxidase(XOase) 억제활성 측정
Xanthine oxidase(XOase) 억제활성은 Stirpe와 Della-Corte의 방법(Stirpe F, Della-Corte 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처리구는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5)에 기질액 2mM xanthine 용액 3mL에 효소액 0.1mL와 시료용액 0.3mL를 넣고 대조구에는 시료용액 대신 0.3mL 증류수를 첨가한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1mL의 20% trichloroacetic acid 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종료시키고, 원심분리한 후, 요산의 OD값을 292nm에서 측정하였다. 측정한 수치는 요산을 이용한 표준곡선에서 요산양을 환산하여 XOase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XOase 억제율(%)은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XOase 억제율(%)=1-(반응구의 uric acid 생성량/대조구의 uric acid 생성량)×100.
실험예 7. 항균활성 측정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식중독균인 Staphylococcus aureusEscherichia coli, 여드름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충치균인 Streptococcus mutans, 및 위염과 위·십이지장궤양 원인균인 Helicobacter pylori를 사용하였다.
S. aureus, E. coliP. acnes 배양을 위해서는 nutrient medium (Difco, Sparks, MD, USA)을 사용하였으며, agar plate에 접종하여 37℃의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 mutans 배양에는 brain heart medium을, H. pylori의 배양에는 최적배지(배지조성: 50mL 기준으로 special peptone 0.5g, agar 0.75g, NaCl 0.25g, yeast extract 0.25g, beef extract 0.2g 및 pyruvic acid 0.025g을 포함)를 사용하여 10% CO2 인큐베이터(incubator)를 이용하여 미호기성 조건을 유지하였고, 습도는 95% 이상으로 agar plate에서 37℃로 48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isc method에 의한 항균활성 검색은 최적배지 agar plate에 준비한 균 배양액 100μL를 분주하여 멸균 유리봉으로 도말하고 멸균된 지름 8mm 크기의 disc paper를 올려놓고 0.45μm membrane filter로 제균한 말오줌나무 추출물 100μL에 총 페놀 함량(Total phenolic contents; TPC) 농도를 50μg, 100μg, 150μg 및 200μg로 분주하였다. 대조구로는 멸균수 100μL를 흡수시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disc 주위의 생육저해환(clear zone) 생성 유무와 직경을 측정함으로써 항균활성을 계산하였다.
실험예 8. 통계처리
모든 실험 결과는 평균±표준편차(mean±standard deviation)로 표현하였다. 통계 분석은 최소 6개의 기술 복제물에 대한 실험을 위해 SPSS 25(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Chicago, IL, USA)의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ne way ANOV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용매(solvent) 종류와 농도가 페놀성 화합물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 확인
1.1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powder) 형태의 고형분(solid)으로 만들어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추출물의 고형분에서는 1mg 당 13.3μg, 에탄올 추출물의 고형분에서는 1mg 당 18.1μg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1.2 용매의 종류가 페놀성 화합물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
말오줌나무에서 생리적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페놀성 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용매로 페놀성 화합물의 용출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탄올, 물, 메탄올, 아세톤 및 부탄올 순으로 12.4mg/g, 11.6mg/g, 8.2mg/g, 6.8mg/g, 2.3mg/g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용매로 물과 에탄올을 이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페놀성 화합물의 용출량이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1.3 용매의 농도가 페놀성 화합물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
말오줌나무에서 생리적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는 페놀성 화합물의 용출량을 추출 수율이 가장 높은 에탄올을 다양한 농도로 시료에 첨가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12.43±0.07 mg/g으로 가장 높은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능성 식품에 적용하기 위해 인체에 무해하고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수율이 높은 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이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 DPPH 라디칼 소거능 확인
DPPH 라디칼은 항산화 물질의 전자공여능으로 인해 환원되어 보랏빛이 탈색되는 정도에 따라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척도로 활용된다.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고형분(solid)과 200μg/mL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물 및 에탄올 추출물(각각 water extracted phenolics, ethanol extracted phenolics)의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고형분은 각각 32.3%, 43.1%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200μg/mL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82.1%, 86.1%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3. ACE 억제 효과 확인
ACE는 불활성인 안지오텐신 I의 C-말단 디펩타이드(His-Leu)를 가수분해하여, 혈관벽 평활근 수축 등의 작용을 가지는 안지오텐신 II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인체 내 ACE 억제 효과를 상기 실험예 5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캅토프릴(captopril, ACE 억제제)에서 30.09±0.63 내지 64.10±0.36 %의 ACE 억제 활성이 측정된 것에 비해,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50 내지 200 μg/mL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물 추출물에서 71.94±1.51 내지 92.08±1.11 %의 높은 ACE 억제활성이 측정되었고, 50 내지 200 μg/mL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에탄올 추출물에서 48.42±1.04 내지 78.33±0.55 %의 ACE 억제활성이 측정되었으며, 농도 의존적인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말오줌나무 추출물이 고혈압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4. XOase 억제 효과 확인
XOase는 xanthine 또는 hypoxanthine으로부터 요산(uric acid)을 생성하여 통풍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통풍의 원인이 되는 인체 내 XOase 억제 효과를 상기 실험예 6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통풍 억제 처방약인 알로푸리놀(Allopurinol)이 50 내지 200 μg/mL의 처리농도에서 59.90 내지 70.37 %의 억제활성을 나타낸 것에 비해 말오줌나무 추출물은 50 내지 200 μg/mL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42.11 내지 100 %와 35.61 내지 100 %의 높은 XOase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말오줌나무 추출물이 통풍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5. 항균활성 확인
Helicobacter pyroli,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Propionebacterium acnes, 및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을 상기 실험예 7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3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십이지장궤양 원인균인 H. pyroli와 병원성 대장균인 E.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P. acnes에 대한 항균활성은 물 추출물에서 200μg/100μL의 농도일 때, 1.4 cm의 넓은 생육저해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은 물 추출물에서 50 내지 200 μg/100μL의 농도 범위에서 0.7 내지 1.2cm의 생육저해환을 확인할 수 있었고, 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50 내지 200 μg/100μL의 농도 범위에서 각각 0.9 내지 1.3 cm, 0.75 내지 1.1 cm의 생육저해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말오줌나무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농도 의존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3)

  1.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균용;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크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안지오텐신변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양성균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ebacterium acnes), 및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성 질환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균주에 의한 화농성 염증, 폐렴, 장염, 또는 식중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성 질환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또는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니스(Propionebacterium acnes) 균주에 의한 여드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염성 질환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균주에 의한 치아우식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노말-부탄올, 및 이소-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저급 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균용 의약외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3.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항균용; 감염성 질환, 고혈압 또는 통풍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10079546A 2021-06-18 2021-06-18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KR102608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546A KR102608818B1 (ko) 2021-06-18 2021-06-18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9546A KR102608818B1 (ko) 2021-06-18 2021-06-18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298A true KR20220169298A (ko) 2022-12-27
KR102608818B1 KR102608818B1 (ko) 2023-12-01

Family

ID=8456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546A KR102608818B1 (ko) 2021-06-18 2021-06-18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8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983A (ko) 2018-01-05 2019-07-15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스모스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 조성물
KR20210091430A (ko) * 2020-01-14 2021-07-22 김범수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983A (ko) 2018-01-05 2019-07-15 동덕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코스모스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균 조성물
KR20210091430A (ko) * 2020-01-14 2021-07-22 김범수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Life Science. Vol.29, No.3. pp.279-286 (201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8818B1 (ko)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6977B2 (ja) リパーゼ阻害剤、食品添加物及び食品
KR102239121B1 (ko) 당 비함유 파인애플 추출물과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EP3991742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0765416B1 (ko) 희첨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7073026B (zh) 用于治疗高血糖疾病的生物活性物质组合
KR20040107713A (ko) 황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바이칼린, 바이칼레인,우고닌 또는 5,7,2,5-테트라하이드록시-8,6-디메톡시플라본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및 억제용 약학조성물
JPH06192114A (ja) 甜茶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食品および化粧品
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KR20120131065A (ko)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07332081A (ja) 健康美容機能性組成物、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および化粧品
US20060251760A1 (en) Process for producing hop glume polyphenol
KR102608818B1 (ko) 말오줌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고혈압 또는 통풍 억제용 조성물
JPH09118626A (ja) 甜茶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食品および化粧品
JP4644834B2 (ja) ハマナス類由来のα−アミラーゼ阻害剤、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グルコース吸収阻害剤およびその利用
KR102610498B1 (ko) 섬괴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155057B1 (ko) 홍삼 및 산화질소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및 혈관질환 예방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71061B1 (ko) 발효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118333B2 (ja) 新規抗酸化性リグナン化合物
JPH09118627A (ja) 甜茶抽出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並びにこれを配合した食品および化粧品
KR102466455B1 (ko) 선인장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WO2010082600A1 (ja) オレウロペインおよびその分解物を含有する歯周組織健康維持剤
KR101503503B1 (ko) 벌씀바귀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84422B1 (ko) 사막 선인장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04803B1 (ko) 진세노사이드 f2 및 4-알파-d-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