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620A -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 Google Patents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620A
KR20220168620A KR1020210078112A KR20210078112A KR20220168620A KR 20220168620 A KR20220168620 A KR 20220168620A KR 1020210078112 A KR1020210078112 A KR 1020210078112A KR 20210078112 A KR20210078112 A KR 20210078112A KR 20220168620 A KR20220168620 A KR 2022016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s
wheel
seat
tube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667B1 (ko
Inventor
경간란
Original Assignee
경간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간란 filed Critical 경간란
Priority to KR102021007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6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8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positioning the whole seat forward or rear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26Sliding sheets or 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9S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4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si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개시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는, 좌우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를 연결해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앉은 상태 그대로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시트 조립체; 및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시트 조립체를 지면에 받쳐 지지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FOLDABLE MEDICAL WHEELCHAIR}
본 발명(Disclosure)은,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휠체어 사용자 스스로 또는 휠체어 사용자를 앉을 상태로 목적한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어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및 하반신 등에 장애가 있는 신체 부자유자(이하 "사용자"라 한다.) 등이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휠체어는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등받이 및 좌석 등을 가지는 의자에 바퀴가 설치된 수동식 휠체어가 일반적이며, 최근에는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가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 수동 휠체어 및 전동 휠체어는 단순하게 사용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 이외에 사용자를 목적한 곳에 내려놓을 수 있게 하는 기능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수동 휠체어 및 전동 휠체어에서 사용자를 목적한 곳(침대, 쇼파 및 의자, 변기, 자동차의 시트 등)에 내려놓기 위해서는 간호인들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사용자가 휠체어에서 일어서서 직접 걸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간호인이 있더라도 간호인이 휠체어 사용자 보다 체형이 작을 경우 휠체어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옮기는 일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종래 수동 및 전동 휠체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발명을 특허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8054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8872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88579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5158호.
본 발명(Disclosure)은, 휠체어 사용자 스스로 또는 휠체어 사용자를 앉을 상태로 목적한 곳으로 용이하게 옮겨 내려놓을 수 있게 하는 이동 보조수단이 마련된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Disclosure)은, 이동 보조수단과 함께 접어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는, 좌우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를 연결해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앉은 상태 그대로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시트 조립체; 및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시트 조립체를 지면에 받쳐 지지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는, 수직하게 제공되는 후륜 튜브; 수직하게 제공되되 후륜 튜브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는 전륜 튜브; 및 각각의 전륜 튜브의 상단과 짝을 이루는 후륜 튜브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시트 튜브;를 포함하며, 후륜 튜브들의 상단은 전륜 튜브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후륜 튜브의 상단은 후방 측으로 절곡되어 손잡이를 형성하고, 각각의 시트 튜브의 상부 측으로 연장된 후륜 튜브들 사이에는 등받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는, 각각의 후륜 튜브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후륜; 및 각각의 전륜 튜브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전륜;을 더 포함하되, 후륜들 및 전륜들에는 시트 조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는, 각각의 전륜 튜브에 연결되어 전륜 튜브들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레그 레스트; 각각의 레그 레스트에 설치되는 발판; 및 후륜 튜브들에서 전륜 튜브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팔걸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시트 조립체는, 각각의 후륜 튜브들 측에서부터 각각의 전륜 튜브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시트부재;를 포함하되, 제 1 시트부재의 일측과 제 2 시트부재의 타측은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 사이 폭을 조절해 휠체어를 접힐 수 있도록 경첩들을 매개로 하부면이 마주하게 접히도록 연결되고, 각각의 후륜 튜브들에 인접한 제 1 및 제 2 시트부재의 하부면 후방 측에는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를 연결하면서 사용자를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의 전방을 통해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각각 시트 튜브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시트 튜브들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슬라이더들에는 시트 튜브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면서 시트 튜브들에서 빠지지 않도록 우호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안전장치는, 제 1 및 제 2 시트부재의 하부면 후방에서 제 1 및 제 2 시트부재의 하부면 전방 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되,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한 쌍의 하우징; 및 평상 시 각각의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고, 사용 시 각각의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시트 조립체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한 쌍의 안전 바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안전 바퀴 조립체는, 보조 바퀴; 보조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 바퀴 브라켓; 및 일단 측이 보조 바퀴 브라켓에 고정 장착되되, 평상 시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고, 사용 시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지지로드;를 포함하고, 지지로드의 자유단 양측에는 하우징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 돌기들이 형성되고, 하우징들의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홈들이 하우징의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우징의 하부에는 하우징에서 인출된 지지로드가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지지로드의 회전을 안내하며 동시에 보조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킨 지지로드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절개홈이 하우징의 전단에서부터 후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는, 차체 프레임부; 차체 프레임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앉은 상태 그대로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시트 조립체; 및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시트 조립체를 지면에 받쳐 지지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차체 프레임부는, 좌우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후륜 튜브; 각각의 후륜 튜브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륜 튜브; 및 후륜 튜브들과 전륜 튜브들을 연결하는 시트 튜브;를 포함하되, 후륜 튜브들의 상단은 전륜 튜브들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후륜 튜브들의 상단은 후륜 튜브 상단을 횡단하는 손잡이 튜브에 의해 연결되며, 시트 튜브의 상부 측으로 연장된 후륜 튜브들 사이에는 등받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시트 튜브는, 전륜 튜브 상단 사이를 횡단하는 제 1 크로스 튜브; 제 1 크로스 튜브와 마주하게 후륜 튜브 사이를 횡단하는 제 2 크로스 튜브; 및 제 1 크로스 튜브이 일단과 제 2 크로스 튜브의 일단 및 제 1 크로스 튜브의 타단과 제 2 크로스 튜브 타단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를 포함하되,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들과 각각의 전륜 튜브들은 제 1 경첩들에 의해 각각의 전륜 튜브들이 시트 튜브의 하부면 측으로 접히도록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들과 각각의 후륜 튜브들은 제 2 경첩들에 의해 시트 튜브의 상부면 측이 후륜 튜브 측으로 접히도록 연결되어 휠체어를 접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차체 프레임부는, 각각의 후륜 튜브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후륜; 및 각각의 전륜 튜브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전륜;을 더 포함하되, 후륜들 및 전륜들에는 시트 조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가 설치되며, 후륜들 사이에는 후륜들에 전기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후륜 구동 모듈이 설치되고, 전륜들 사이에는 전륜을 좌우로 조향하는 조향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차체 프레임부는, 각각의 전륜 튜브에 연결되어 전륜 튜브들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레그 레스트; 각각의 레그 레스트에 설치되는 발판; 및 후륜 튜브들에 설치되는 팔걸이;를 더 포함하되. 팔걸이는 각각의 후륜 튜브의 측면 측으로 접혔다가 각각의 전륜 튜브 측으로 펼쳐질 수 있게 제공되며, 팔걸이에는 후륜 구동 모듈 및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조향핸들 및 조작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시트 조립체는, 시트 튜브의 상부를 덮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시트부재;를 포함하되, 시트부재의 하부면에는 제 1 및 제 2 크로스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들이 설치되며, 가이드 블록들은시트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어 시트 튜브의 측면을 통해 시트부재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가이드 블록들은 제 1 및 제 2 크로스 튜브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안전장치는, 시트부재의 하부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되,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한 쌍의 하우징; 및 평상 시 각각의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고, 사용 시 각각의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시트 조립체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한 쌍의 안전 바퀴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에서, 안전 바퀴 조립체는, 보조 바퀴; 보조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 바퀴 브라켓; 및 일단 측이 보조 바퀴 브라켓에 고정 장착되되, 평상 시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고, 사용 시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지지로드;를 포함하고, 지지로드의 자유단 양측에는 하우징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 돌기들이 형성되며, 하우징의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홈들이 하우징의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우징의 하부에는 하우징에서 인출된 지지로드가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지지로드의 회전을 안내하며 동시에 보조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킨 지지로드가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절개홈이 하우징의 전단에서부터 후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고 펴는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휠체어에 앉은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휠체어에 앉은 상태 그대로 목적한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시트 조립체가 안전장치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이동하는 사용자의 중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휠체어의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휠체어 본체에서 시트 조립체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트 조립체를 저면에서 본 저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시트 조립체 및 안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휠체어 본체에서 시트 조립체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시트 조립체를 저면에서 본 저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시트 조립체 및 안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100)는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와, 시트 조립체(150) 및 안전장치(160)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0a, 110b)는 거울에 비친 것처럼 좌우로 똑같은 모양으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는 각각 수직하게 제공되는 후륜 튜브(114a, 114b)와, 각각 수직하게 제공되되 각각의 후륜 튜브(114a, 114b)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는 전륜 튜브(116a, 116b)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는 각각의 전륜 튜브(116a, 116b)의 상단과 짝을 이루는 후륜 튜브(114a, 114b)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시트 튜브(118a, 118b)를 더 포함한다.
이때, 후륜 튜브(114a, 114b)들의 상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튜브(116a, 116b)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후륜 튜브(114a, 114b)의 상단은 후방 측으로 절곡되어 손잡이(120a, 120b)를 형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시트 튜브(118a, 118b)의 상부 측으로 연장된 후륜 튜브(114a, 114b)들 사이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게 하는 유연한 등받이(122)가 설치된다.
여기서, 등받이(122)는 접을 수 있도록 유연한 직물, 피혁, 합성피혁 등으로 제작되어 제공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는 각각의 후륜 튜브(114a, 114b)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후륜(124a, 124b)들과, 각각의 전륜 튜브(116a, 116b)들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전륜(126a, 126b)들을 더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후륜(124a, 124b)들 및 각각의 전륜(126a, 126b)들에는 휠체어(100) 사용 시 사용자가 앉는 시트 조립체(1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륜 튜브(114a, 114b)과 전륜 튜브(116a, 116b)들을 승강시키는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125a, 125b, 127a, 127b)들이 설치된다.
다시 말해,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125a, 125b, 127a, 127b)들은 시트 조립체(150)에 앉은 사용자가 목적한 곳(침대, 쇼파, 의자, 변기 및 자동차 시트 등)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후륜 튜브(114a, 114b)들 및 전륜 튜브(116a, 116b)들을 승강시켜 시트 조립체(150)의 높이와 목적한 곳의 높이를 맞출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125a, 125b, 127a, 127b)들은 수동(手動) 또는 동력을 이용해 자동(自動)으로 후륜 튜브(114a, 114b)들 및 전륜 튜브(116a, 116b)들을 승강 작동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125a, 125b, 127a, 127b)들이 후륜 튜브(114a, 114b)들 및 전륜 튜브(116a, 116b)들을 승강시키는 구조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125a, 125b, 127a, 127b)들이 후륜 튜브(114a, 114b)들 및 전륜 튜브(116a, 116b)들을 승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일례로, 승강 조립체(125a, 125b, 127a, 127b)들은 통상의 수동 자키 또는 전동 자키 또는 모터와 기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는 각각의 전륜 튜브(116a, 116b)에 연결되어 전륜 튜브(116a, 116b)들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레크 레스트(128a, 128b)와, 각각의 레그 레스트(128a, 128b)에 설치되는 발판(130a, 130b)들 및 등받이(122)에 간섭되지 않게 각각의 후륜 튜브(114a, 114b)에서 전륜 튜브(116a, 116b)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팔걸이(132a, 132b)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발판(130a, 130b)들과 레그 레스트(128a, 128b)의 연결 관계 및 작용은 통상의 휠체어에 제공되는 레그 레스트 및 발판과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0)에는 통상의 브레이크(도시되지 않음) 등과 같은 편의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시트 조립체(150)는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를 연결해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앉은 상태 그대로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시트 조립체(150)는 제 1 및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 사이의 폭을 조절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를 폭 방향으로 접을 수 있게 한다.
시트 조립체(150)는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 사이에 한 쌍으로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후륜 튜브(114a, 114b) 측에서부터 각각의 전륜 튜브(116a, 116b)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대략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때, 서로 맞닿는 제 1 시트부재(152a)의 일측과 제 2 시트부재(152b)의 타측은 경첩(154)들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데, 경첩(154)들은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하부면이 마주하게 접히도록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 사이를 연결한다.
그리고 각각의 후륜 튜브(114a, 114b)들에 인접한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하부면 후방 측에는 각각 시트 튜브(118a, 118b)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156a, 156b)들이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의 시트 튜브(118a, 118b)들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슬라이더(156a, 156b)들에는 시트 튜브(118a, 118b)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면서 시트 튜브(118a, 118b)들에서 빠지지 않도록 반원보다 큰 우호(優弧)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슬라아딩 홈(158a, 158b)이 형성된다.
이렇게 경첩(154)들 매개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는 슬라이더(156a, 156b)들을 매개로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를 연결시키며,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는 휠체어(100) 사용 시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경첩(154)들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 보관 시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는 경첩(154)들을 중심으로 접히는데,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 사이의 폭은 좁아지게 되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는 폭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를 간호인의 도움으로 사용자가 목적한 곳까지 근접시킨 상태 하에서 사용자 스스로 또는 간호인의 도움으로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키면,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는 사용자를 태운 상태로 시트 튜브(118a, 118b)들을 따라 휠체어(100)의 전방 외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목적한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상부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쿠션층(cushion)이 형성되거나 통상의 방석 등이 올려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맞닿는 제 1 시트부재(152a)의 일측 및 제 2 시트부재(152b)의 타측에는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를 펼쳤을 때 간이 변기(도시되지 않음) 또는 변기용 봉투(도시되지 않음) 등을 안치 및 걸 수 있게 하는 변기 안치홈(153a, 153b)들이 형성된다.
안전장치(160)는 사용자가 앉은 시트 조립체(150)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가 전복되지 않도록 시트 조립체(150)를 받쳐 지지한다.
안전장치(160)는 한 쌍으로 제공되는 하우징(162)과, 한 쌍으로 제공되는 안전 바퀴 조립체(168)를 포함한다.
하우징(16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하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되, 하우징(162)들은 슬라이더(156a, 156b)들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후방에서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62)들은 내부에 각각 안전 바퀴 조립체(168)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pipe) 형태로 제공된다.
안전 바퀴 조립체(16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바퀴(170)와, 보조 바퀴(1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 바퀴 브라켓(171)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 측이 보조 바퀴 브라켓(171)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로드(172)를 포함한다.
지지로드(172)는 평상 시 하우징(162) 내부로 수용되고, 사용 시 하우징(162)에서 인출되는데, 지지로드(172)의 자유단 양측에는 하우징(162)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 돌기(174)들이 형성되고, 하우징(162)의 양측으로는 가이드 돌기(174)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공(164)들이 하우징(162)의 후방 측에서부터 하우징(162)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62)들의 하부에는 하우징(162)들에서 인출되는 지지로드(172)가 보조 바퀴(170)를 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지지로드(172)의 회전을 안내하며, 보조 바퀴(170)를 지면에 접촉시킨 지지로드(172)가 하우징(1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절개홈(166)이 하우징(162)의 전방에서부터 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시트 조립체(150) 이동 시 지지로드(172)에 의해 보조 바퀴(170)가 지면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하기 때문에 시트 조립체(150)에 앉은 상태로 목적한 곳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시트 조립체(150) 이동 시 사용자의 중량 이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로드(172)가 절개홈(166)을 따라 안내되기 때문에 시트 조립체(150)에 앉은 상태로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시트 조립체(150)의 첨단부를 목적한 곳의 깊숙이 안전하게 걸쳐 놓을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지지로드(172)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지지로드(172)의 길이 가변 구조를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100)를 이용해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100)를 이용해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펼쳐진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상부 측에 사용자를 앉힌 상태 하에서 휠체어(100)를 목적한 곳으로 근접하게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탑승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100)는 수동으로, 즉 간호인에 의해 목적한 곳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100)가 목적한 곳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전방 측을 목적한 곳과 마주하게 배치시킨 상태 하에서 승강 조립체(125a, 125b, 127a, 127b)들을 작동시켜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높이를 조절해 목적한 곳의 목적한 곳의 높이와 일치시킨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하우징(162)으로부터 각각 안전 바퀴 조립체(168)를 인출해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를 지면에 지지시킨다(도 4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가 안전장치(160)의 안전 바퀴 조립체(168)들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면, 휠체어(10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 하에서 사용자가 목적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에 힘을 가하는데, 이때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는 시트 튜브(118a, 118b)를 따라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112a, 112b)의 전방 외측, 즉 목적한 곳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 시트 부재(152a, 152b)에 앉은 사용자도 목적한 곳으로 이동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의 전방 측이 목적한 곳에 닿으면 사용자 또는 간호인은 사용자의 몸을 움직이게 하여 사용자가 목적한 곳으로 건너가게 한다.
상기에는 사용자를 휠체어(100)에서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제 1 및 제 2 시트부재(152a, 152b) 및 안전장치(160)를 이용해 특정 장소에 있는 사용자를 휠체어(100)에 앉게 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200)는 차체 프레임부(210)와, 시트 조립체(250) 및 안전장치(260)를 포함한다.
먼저, 차체 프레임부(210)는 좌우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후륜 튜브(212a, 212b)들과, 마찬가지로 좌우로 마주하게 배치되되 각각의 후륜 튜브(212a, 212b)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고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륜 튜브(214a, 214b)들을 포함한다.
또한, 차체 프레임부(210)는 대략 수평한 사각의 링 형상을 가지며 후륜 튜브(212a, 212b)들과 전륜 튜브(214a, 214b)들을 연결하는 시트 튜브(216)를 더 포함한다.
이때, 후륜 튜브(212a, 212b)들의 상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튜브(214a, 214b,)들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후륜 튜브(212a, 212b)들의 상단은 후륜 튜브(212a, 212b) 상단을 횡단하는 손잡이 튜브(220)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시트 튜브(216)의 상부 측으로 연장된 후륜 튜브(212a, 212b)들 사이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2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게 하는 유연한 등받이(222)가 설치된다.
한편, 시트 튜브(216)는 각각의 전륜 튜브(214a, 214b) 상단 사이를 횡단하는 제 1 크로스 튜브(218a)와, 제 1 크로스 튜브(218a)와 마주하게 각각의 후륜 튜브(212a, 212b) 전방 사이를 횡단하는 제 2 크로스 튜브(218b)와, 제 1 크로스 튜브(218a)이 일단과 제 2 크로스 튜브(218b)의 일단 및 제 1 크로스 튜브(218a)의 타단과 제 2 크로스 튜브(218b)의 타단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218c, 218d)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218c, 218d)들의 전방 하부 측과 각각의 전륜 튜브(214a, 214b)들은 제 1 경첩(224)들에 의해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218c, 218d)들의 후방 하부 측과 각각의 후륜 튜브(212a, 212b)들은 제 2 경첩(226)들에 의해 연결되는데, 제 1 경첩(224)들은 전륜 튜브(214a, 214b)들이 시트 튜브(216)의 하부면 측으로 접힐 수 있게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218c, 218d)들과 각각의 전륜 튜브(214a, 214b)들을 연결하고, 제 2 경첩(226)들은 시트 튜브(216)의 상부면 측이 후륜 튜브(212a, 212b) 측으로 접힐 수 있게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218c, 218d)들과 각각의 후륜 튜브(212a, 212b)들을 연결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200)는 사용 시 측면에서 봤을 때 시트 튜브(216) 및 전륜 튜브(214a, 214b)들은 통상의 의자와 같은 형상으로 후륜 튜브(212a, 212b)들을 기준으로 후륜 튜브(212a, 212b)들이 전방 측으로 펼쳐지고, 보관 및 휴대 시 펼쳐진 시트 튜브(216) 및 전륜 튜브(214a, 214b)들은 후륜 튜브(212a, 212b)들 측으로 겹쳐지며 접히게 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부(210)는 각각의 후륜 튜브(212a, 212b)들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후륜(228a, 228b)들과, 각각의 전륜 튜브(214a, 214b)들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전륜(230a, 230b)들을 더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후륜(228a, 228b)들 및 각각의 전륜(214a, 214b)들에는 휠체어(200) 사용 시 사용자가 앉는 시트 조립체(2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후륜 튜브(212a, 212b) 및 전륜 튜브(214a, 214b)들을 승강시키는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229a, 229b, 231a, 231b)들이 설치된다.
다시 말해,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229a, 229b, 231a, 231b)들은 시트 조립체(250)에 앉은 사용자가 목적한 곳(침대, 쇼파, 의자, 변기 및 자동차 시트 등)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후륜 튜브(212a, 21b)들 및 전륜 튜브(214a, 214b)들을 승강시켜 시트 조립체(250)의 높이와 목적한 곳의 높이를 맞출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229a, 229b, 231a, 231b)들은 수동(手動) 또는 동력을 이용해 자동(自動)으로 후륜 튜브(212a, 212b)들 및 전륜 튜브(214a, 214b)들을 승강 작동시킬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229a, 229b, 231a, 231b)들이 후륜 튜브(212a, 212b)들 및 전륜 튜브(214a, 214b)들을 승강시키는 구조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229a, 229b, 231a, 231b)들이 후륜 튜브(212a, 212b)들 및 전륜 튜브(214a, 214b)들을 승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를 가지더라도 무방하다.
일례로,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229a, 229b, 231a, 231b)들은 통상의 수동 자키 또는 전동 자키 또는 모터와 기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륜(228a, 228b)들 사이에는 후륜(228a, 228b)들에 전기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통상의 후륜 구동 모듈(232) 및 전륜(230a, 230b)들 사이에 설치되어 전륜(230a, 230b)을 좌우로 조향하는 통상의 조향장치(234)가 설치된다.
여기서, 후륜 구동 모듈(232)은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모터, 감속기 및 밧데리 등으로 구성되며, 조향장치(234)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륜 구동 모듈(232)들과 후륜(228a, 228b)들 및 조향장치(234)와 전륜(230a, 230b)들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차체 프레임부(210)는 각각의 전륜 튜브(214a, 214b)에 연결되며 전륜 튜브(214a, 214b)들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레그 레스트(236a, 236b)와, 각각의 레그 레스트(236a, 236b)에 설치되는 발판(238a, 238b)들 및 등받이(222)에 간섭되지 않게 각각의 후륜 튜브(212a, 212b)에 설치되는 팔걸이(240a, 240b)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발판(238a, 238b)들과 레그 레스트(236a, 236b)의 연결 관계 및 작용은 통상의 휠체어에 제공되는 레그 레스트 및 발판과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각각의 팔걸이(240a, 240b)는 각각의 후륜 튜브(212a, 212b)의 측면 측으로 접혔다가 각각의 전륜 튜브(214a, 214b) 측으로 펼쳐질 수 있게 제공되며, 이러한 팔걸이(240a, 240b) 또한 종래 휠체어에 제공되는 팔걸이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팔걸이(240a, 240b)에는 후륜 구동 모듈(232) 및 조향장치(234)를 제어하는 조향핸들 및 조작판 등이 설치된다.
시트 조립체(25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앉은 상태 그대로 사용자를 휠체어(200) 측면을 통해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시트 조립체(250)는 시트 튜브(216)의 상부를 덮는 대략 수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시트부재(252)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및 제 2 크로스 튜브(218a, 218b)와 마주하는 시트부재(252)의 하부면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크로스 튜브(218a, 218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254a, 254b)들이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크로스 튜브(218a, 218b)에는 가이드 블록(254a, 254b)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레일(255a, 255b)이 제 1 및 제 2 크로스 튜브(218a, 218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 블록(254a, 254b)들은 시트부재(252)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200)의 측면을 목적한 곳까지 근접시켜 마주하게 한 상태 하에서 사용자 스스로 또는 간호인의 도움으로 시트부재(252)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키면, 시트부재(252)는 사용자를 태운 상태로 제 1 및 제 2 크로스 튜브(218a, 218b)들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255a, 255b)을 따라 휠체어(200)의 일측 외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목적한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부재(252)의 상부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쿠션층(cushion)이 형성되거나 통상의 방석 등이 올려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서로 맞닿는 제 1 시트부재(252)에는 변기(도시되지 않음) 또는 변기용 봉투(도시되지 않음) 등을 안치 및 걸 수 있게 하는 변기 안치공(253)이 형성된다.
안전장치(260)는 사용자가 앉은 시트 조립체(250)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200)가 전복되지 않도록 시트 조립체(250)를 받쳐 지지하는 안전장치(260)를 더 포함한다.
안전장치(260)는 한 쌍으로 제공되는 하우징(262)과, 한 쌍으로 제공되는 안전 바퀴 조립체(268)를 포함한다.
하우징(26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시트부재(252)의 하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되, 하우징(262)들은 가이드 블록(254a, 254b)들에 간섭되지 않게 시트부재(252)의 일측에서 시트부재(252)의 타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262)들은 내부에 각각 안전 바퀴 조립체(268)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pipe) 형태로 제공된다.
안전 바퀴 조립체(26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바퀴(270)와, 보조 바퀴(2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 바퀴 브라켓(271)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 측이 보조 바퀴 브라켓(271)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로드(272)를 포함한다.
지지로드(272)는 평상 시 하우징(262) 내부로 수용되고, 사용 시 하우징(262)에서 인출되는데, 지지로드(272)의 자유단 양측에는 하우징(262)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 돌기(274)들이 형성되고, 하우징(262)의 양측으로는 가이드 돌기(274)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공(264)들이 하우징(262)의 후방 측에서부터 하우징(262)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62)들의 전방 측 하부에는 하우징(262)에서 인출되는 지지로드(272)가 보조 바퀴(270)를 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지지로드(272)의 회전을 안내하는 절개홈(266)이 하우징(262)의 전방에서부터 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62)들의 하부에는 하우징(262)들에서 인출되는 지지로드(272)가 보조 바퀴(270)를 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지지로드(272)의 회전을 안내하며, 보조 바퀴(270)를 지면에 접촉시킨 지지로드(272)가 하우징(2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절개홈(266)이 하우징(262)의 전방에서부터 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시트 조립체(250) 이동 시 지지로드(272)에 의해 보조 바퀴(270)가 지면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하기 때문에 시트 조립체(250)에 앉은 상태로 목적한 곳으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시트 조립체(250) 이동 시 사용자의 중량 이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전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로드(272)가 절개홈(266)을 따라 안내되기 때문에 시트 조립체(250)에 앉은 상태로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시트 조립체(250)의 첨단부를 목적한 곳의 깊숙이 안전하게 걸쳐 놓을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지지로드(272)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지지로드(272)의 길이 가변 구조를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200)를 이용해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200)를 이용해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펼쳐진 시트부재(252)의 상부 측에 사용자를 앉힌 상태 하에서 후륜 구동 모듈(232) 및 조향장치(234)를 작동시켜 휠체어(200)를 목적한 곳으로 근접하게 이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200)가 목적한 곳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시트부재(252)의 측면 측, 즉 시트부재(252)가 시트 튜브(216)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방향과 목적한 곳과 마주하게 배치시킨 상태 하에서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229a, 229b, 231a, 231b)들을 작동시켜 시트부재(252)의 높이를 조절해 목적한 곳의 목적한 곳의 높이와 일치시킨다.
그리고 목적한 곳과 마주하는 팔걸이(240a)를 접은 상태 하에서 시트부재(252)의 하부에 각각 설치된 하우징(262)으로부터 각각 안전 바퀴 조립체(268)를 인출해 시트부재(252)를 지면에 지지시킨다(도 9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부재(252)가 안전장치(260)의 안전 바퀴 조립체(268)들에 의해 지면에 지지되면, 휠체어(200)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 상태 하에서 사용자가 목적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시트부재(252)에 힘을 가하는데, 이때 시트부재(252)는 제 1 및 제 2 크로스 튜브(218a, 218b)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255a, 255b)을 따라 시트 튜브(216)의 측면 외측, 즉 목적한 곳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시트 부재(252)에 앉은 사용자도 목적한 곳으로 이동된다(도 10 참조).
그리고 시트부재(252)의 측면 측이 목적한 곳에 닿으면 사용자 또는 간호인은 사용자의 몸을 움직이게 하여 사용자가 목적한 곳으로 건너가게 한다.
상기에는 사용자를 휠체어(200)에서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시트부재(252) 및 안전장치(360)를 이용해 특정 장소에 있는 사용자를 휠체어(300)에 앉게 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제작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고 펴는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휠체어(100, 200)에 앉은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휠체어(100, 200)에 앉은 상태 그대로 목적한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시트 조립체(150, 250)가 안전장치(160, 26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이동하는 사용자의 중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휠체어(100, 200)의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좌우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
    상기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를 연결해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앉은 상태 그대로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시트 조립체; 및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상기 시트 조립체를 지면에 받쳐 지지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는,
    수직하게 제공되는 후륜 튜브;
    수직하게 제공되되 상기 후륜 튜브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는 전륜 튜브; 및
    각각의 상기 전륜 튜브의 상단과 짝을 이루는 후륜 튜브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시트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후륜 튜브들의 상단은 상기 전륜 튜브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후륜 튜브의 상단은 후방 측으로 절곡되어 손잡이를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 측으로 연장된 상기 후륜 튜브들 사이에는 등받이가 설치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는,
    각각의 상기 후륜 튜브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후륜; 및
    각각의 상기 전륜 튜브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전륜;을 더 포함하되,
    상기 후륜들 및 상기 전륜들에는 상기 시트 조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가 설치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는,
    각각의 상기 전륜 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전륜 튜브들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레그 레스트;
    각각의 상기 레그 레스트에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후륜 튜브들에서 상기 전륜 튜브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팔걸이;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립체는,
    각각의 상기 후륜 튜브들 측에서부터 각각의 상기 전륜 튜브 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시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시트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 2 시트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 사이 폭을 조절해 상기 휠체어를 접힐 수 있도록 경첩들을 매개로 하부면이 마주하게 접히도록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후륜 튜브들에 인접한 상기 제 1 및 제 2 시트부재의 하부면 후방 측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를 연결하면서 사용자를 상기 제 1 및 제 2 차체 프레임부의 전방을 통해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각각 상기 시트 튜브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들이 설치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트 튜브들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들에는 상기 시트 튜브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게 하면서 상기 시트 튜브들에서 빠지지 않도록 우호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시트부재의 하부면 후방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트부재의 하부면 전방 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되,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한 쌍의 하우징; 및
    상기 평상 시 각각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고, 사용 시 각각의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상기 시트 조립체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한 쌍의 안전 바퀴 조립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바퀴 조립체는,
    보조 바퀴;
    상기 보조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 바퀴 브라켓; 및
    일단 측이 상기 보조 바퀴 브라켓에 고정 장착되되, 평상 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고, 사용 시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지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로드의 자유단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들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홈들이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로드의 회전을 안내하며 동시에 상기 보조 바퀴가 지면에 접촉시킨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절개홈이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서부터 후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9. 차체 프레임부;
    상기 차체 프레임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게 하며, 사용자가 앉은 상태 그대로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시트 조립체; 및
    사용자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 시 상기 시트 조립체를 지면에 받쳐 지지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부는,
    좌우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후륜 튜브;
    각각의 상기 후륜 튜브의 전방 측에 이격 배치되며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전륜 튜브; 및
    상기 후륜 튜브들과 상기 전륜 튜브들을 연결하는 시트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후륜 튜브들의 상단은 상기 전륜 튜브들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후륜 튜브들의 상단은 상기 후륜 튜브 상단을 횡단하는 손잡이 튜브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 측으로 연장된 상기 후륜 튜브들 사이에는 등받이가 설치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트 튜브는,
    상기 전륜 튜브 상단 사이를 횡단하는 제 1 크로스 튜브;
    상기 제 1 크로스 튜브와 마주하게 상기 후륜 튜브 사이를 횡단하는 제 2 크로스 튜브; 및
    상기 제 1 크로스 튜브이 일단과 상기 제 2 크로스 튜브의 일단 및 상기 제 1 크로스 튜브의 타단과 상기 제 2 크로스 튜브 타단을 수평하게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들과 각각의 상기 전륜 튜브들은 제 1 경첩들에 의해 각각의 상기 전륜 튜브들이 상기 시트 튜브의 하부면 측으로 접히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 튜브들과 각각의 상기 후륜 튜브들은 제 2 경첩들에 의해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면 측이 상기 후륜 튜브 측으로 접히도록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접을 수 있게 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부는,
    각각의 상기 후륜 튜브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후륜; 및
    각각의 상기 전륜 튜브의 하단 측에 설치되는 전륜;을 더 포함하되,
    상기 후륜들 및 상기 전륜들에는 상기 시트 조립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후륜 및 전륜 승강 조립체가 설치되며,
    상기 후륜들 사이에는 상기 후륜들에 전기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후륜 구동 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전륜들 사이에는 상기 전륜을 좌우로 조향하는 조향장치가 설치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부는,
    각각의 상기 전륜 튜브에 연결되어 상기 전륜 튜브들의 전방 측으로 연장되는 레그 레스트;
    각각의 상기 레그 레스트에 설치되는 발판; 및
    상기 후륜 튜브들에 설치되는 팔걸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팔걸이는 각각의 후륜 튜브의 측면 측으로 접혔다가 각각의 전륜 튜브 측으로 펼쳐질 수 있게 제공되며, 상기 팔걸이에는 상기 후륜 구동 모듈 및 상기 조향장치를 제어하는 조향핸들 및 조작판 등이 설치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트 조립체는,
    상기 시트 튜브의 상부를 덮는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시트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튜브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블록들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들은 상기 시트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어 상기 시트 튜브의 측면을 통해 상기 시트부재를 목적한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크로스 튜브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 레일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시트부재의 하부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되, 내부가 중공되고 양단이 개방된 한 쌍의 하우징; 및
    상기 평상 시 각각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고, 사용 시 각각의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어 상기 시트 조립체를 지면에 지지시키는 한 쌍의 안전 바퀴 조립체;를 포함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안전 바퀴 조립체는,
    보조 바퀴;
    상기 보조 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 바퀴 브라켓; 및
    일단 측이 상기 보조 바퀴 브라켓에 고정 장착되되, 평상 시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고, 사용 시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지지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로드의 자유단 양측에는 상기 하우징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가이드 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들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홈들이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에서 전방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된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로드의 회전을 안내하며 동시에 상기 보조 바퀴를 지면에 접촉시킨 상기 지지로드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절개홈이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서부터 후단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KR1020210078112A 2021-06-16 2021-06-16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KR102581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112A KR102581667B1 (ko) 2021-06-16 2021-06-16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112A KR102581667B1 (ko) 2021-06-16 2021-06-16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620A true KR20220168620A (ko) 2022-12-26
KR102581667B1 KR102581667B1 (ko) 2023-09-25

Family

ID=8454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112A KR102581667B1 (ko) 2021-06-16 2021-06-16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66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757A (ja) * 2001-12-14 2003-07-02 Yamatomekku:Kk 車椅子の高さ調整付き段差解消用昇降装置
KR200406016Y1 (ko) * 2005-11-01 2006-01-11 미키코리아(주) 휴대용 접철 휠체어
JP2014004288A (ja) * 2012-06-27 2014-01-16 Kotaro Iwashima 車椅子
KR101496587B1 (ko) * 2013-12-26 2015-02-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식 시트를 갖는 휠체어
KR101545158B1 (ko) 2014-04-16 2015-08-19 오봉석 접이식 전동 휠체어
KR101788579B1 (ko) 2016-03-21 2017-10-20 근로복지공단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KR101988720B1 (ko) 2017-07-13 2019-06-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휠체어에 장착되는 이동장치
KR102080545B1 (ko) 2017-09-19 2020-02-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757A (ja) * 2001-12-14 2003-07-02 Yamatomekku:Kk 車椅子の高さ調整付き段差解消用昇降装置
KR200406016Y1 (ko) * 2005-11-01 2006-01-11 미키코리아(주) 휴대용 접철 휠체어
JP2014004288A (ja) * 2012-06-27 2014-01-16 Kotaro Iwashima 車椅子
KR101496587B1 (ko) * 2013-12-26 2015-02-2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식 시트를 갖는 휠체어
KR101545158B1 (ko) 2014-04-16 2015-08-19 오봉석 접이식 전동 휠체어
KR101788579B1 (ko) 2016-03-21 2017-10-20 근로복지공단 분리 및 접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KR101988720B1 (ko) 2017-07-13 2019-06-1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휠체어에 장착되는 이동장치
KR102080545B1 (ko) 2017-09-19 2020-02-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667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997B2 (en) Seat structure with sit-to-stand feature
KR101891685B1 (ko) 침대 가변형 휠체어
EP0900555A2 (en) Wheelchair with tilting seat
JP2021058683A (ja) 多目的、多用途かつ再組み立て可能な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兼用ベッド
KR102268100B1 (ko) 휠체어 사용자용 이동 보조장치
KR102269093B1 (ko) 승하차가 용이한 휠체어
KR100686700B1 (ko) 장애인 이동이 용이한 좌식의자
KR102128494B1 (ko) 일어나는 것을 돕는 의자
JP5666670B2 (ja) 補助機構付きチェアー
KR102150594B1 (ko) 휠체어
KR102461127B1 (ko) 전동휠체어
KR20220168620A (ko)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KR102423485B1 (ko)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KR200336152Y1 (ko) 휠체어
KR20210127327A (ko) 리프팅 기능이 구비된 휠체어
JP2010022589A (ja) 起立補助装置
WO2019081792A1 (es) Sillón para discapacitados
JPH08257062A (ja) 腰掛けた状態から起立できる椅子の構造
CN220293754U (zh) 一种便携式移位椅
KR102307531B1 (ko) 휠체어
CN220309051U (zh) 一种体位改变护理支架
KR20120102889A (ko) 전동 휠체어
JP2003079668A (ja) 起立補助座椅子
KR101690424B1 (ko) 환자 이동용 저고도 휠체어
JPH08196574A (ja) 身体障害者用起立訓練ベ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