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031A - 접철식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접철식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031A
KR20220168031A KR1020210077532A KR20210077532A KR20220168031A KR 20220168031 A KR20220168031 A KR 20220168031A KR 1020210077532 A KR1020210077532 A KR 1020210077532A KR 20210077532 A KR20210077532 A KR 20210077532A KR 20220168031 A KR20220168031 A KR 20220168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late
reinforcing
packaging box
foldabl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287B1 (ko
Inventor
안광남
Original Assignee
(주)애니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팩 filed Critical (주)애니팩
Priority to KR1020210077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287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D15/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 B65D15/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of metal
    • B65D15/1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of metal with end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D15/24Connections between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되어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측판부; 상기 측판부의 양 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보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가 상기 보강부를 통해 연결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철식 포장박스{A foldable packing box}
본 발명은 접철식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이 필요한 물품의 외곽을 둘러 싸거나 박스 형태로 담아서 보관할 수 있고, 또는 포장이 필요한 물품이 없는 경우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접철식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프라 박스(이하에서는 단순히 박스라고 칭함)는 부품 또는 제품의 이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박스는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재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박스의 성형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재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류 또는 폴리프로필렌(PP)류 등이거나, 이들의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합성 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박스는 플레이트 상태의 원자재를 이용하여 박스를 완성할 수 있는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고, 이렇게 재단된 원자재를 접으면서 서로 겹치는 부분에 스테이플링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완성된 포장박스에는 금속재의 스테이플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스테이플 처리를 함으로써 완성되는 박스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재 스테이플은 포장박스의 측면뿐만 아니라 저면에도 존재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프라를 이용하여 제작된 박스는 스테이플링 공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데, 수직하중을 버티기 위해 단프라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스테이플링 공정을 통한 박스 제작이 어려워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단프라 박스는 수직하중에 취약하기 때문에 높이 방향으로 박스를 적층하는데 한계가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7543호 (2013. 7. 12. 등록)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하중에 따른 강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수납할 수납물이 없는 경우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접철식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되어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측판부; 상기 측판부의 양 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보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가 상기 보강부를 통해 연결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측판부는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적어도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1보강판과,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타 단부를 연결하는 제2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판 또는 제2보강판은 상기 제1측판의 모서리에 인접한 내면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측판의 모서리에 인접한 내면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제2플레이트와 나란히 상기 측판부의 외주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일 측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타 측을 두께 방향으로 각각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플레이트는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고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포장박스는 상기 측판부 내부에 배치되고, 각 보강판에 마련된 상기 고리부재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그물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철식 포장박스는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결합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부와 보강부가 결합되고 펼쳐진 상태의 일 단면은 적어도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철식 포장박스는 상기 측판부의 하부 또는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판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모서리에서 상기 측판부의 외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커버를 포함하는 상부 트레이와, 상기 측판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모서리에서 상기 측판부의 외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연장커버를 포함하는 하부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포장박스에 따르면,
첫째, 측판부를 접었다 펼 수 있어 반송 과정에서 접철식 포장박스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둘째, 금속 소재의 보강부가 각 측판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무거운 수납물을 담더라도 접철식 포장박스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으며,
셋째, 그물망이 보강부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수납물의 하중에 의해 보강부가 수용공간 내부로 당겨지는 힘으로 인해 접철식 포장박스의 외형이 온전히 유지될 수 있고,
넷째, 커버부를 통해서 수용공간 내부에 수납된 수납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접철식 보장박스를 다단으로 적층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포장박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접철식 포장박스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접철식 포장박스의 측판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접철식 포장박스의 측판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접철식 포장박스의 보강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포장박스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포장박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접철식 포장박스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포장박스(100)는 측판부(110)와, 보강부(120) 및 그물망(130)을 포함한다.
측판부(110)는 골판지 형상을 가지고 폴리프로필렌 공중합(PP Coplymer) 수지로 제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판부(110)가 일명 단프라(danpla)로 불리는 플라스틱 골판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판부(110)는 가볍고, 질기며, 내약품성, 내화학성을 제공할 수 있고, 단열 및 차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측판부(110)는 포장재, 건축자재, 완충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측판부(110)는 포장될 수납물의 종류나 용도 등에 따라서 다른 재질을 활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측판부(110)는 얇은 판재 형상을 가지며, 압출방향을 따라서 내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예컨대, 측판부(110)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판재와, 한 쌍의 판재를 서로 연결하되 서로 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격벽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판부(110)는 적어도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을 포함하며,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 사이에 보강부(120)가 결합된다.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은 서로 동일 형상의 두 개의 측판을 제조하고,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판부(110)가 제1측판(111) 내지 제4측판(114)을 포함하여 4개의 측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제1측판(111) 내지 제4측판(114)은 각각 설정 영역이 절곡되면서 대칭 형상을 가지며 도 1과 같이 8각형의 구조로 절곡될 수 있다. 물론, 측판부(110)의 형상은 절곡 영역 수에 따라서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강부(120)는 제1측판(111) 내지 제4측판(114)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1보강판(121) 내지 제4보강판(124)을 포함한다.
제1보강판(121) 내지 제4보강판(124)은 서로 동일 형상을 가지며, 측판부(110)의 분리된 각 측판들 수에 대응하도록 각 측판들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판부(110)가 네 개로 구성되어 보강부(120)가 네 개 결합된 구조를 일 예로써 설명한다.
측판부(110)는 보강부(120)가 연결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접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물망(130)은 합성수지 또는 직물로 엮어서 제조되며, 예컨대, 농산물과 같은 수납물을 담아서 보관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5) 내부에 설치된다. 그물망(130)은 후기할 보강부(120)의 고리부재(121e)에 걸쳐지도록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매듭부재(131)가 마련된다.
이러한 접철식 포장박스(100)는 지게차 등을 활용하여 운반 및 적재가 가능하도록 팔레트(P)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하지 않은 “125”는 차폐부로써 상세한 설명은 후기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접철식 포장박스의 측판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접철식 포장박스의 측판부가 접힌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은 제1보강판(121)을 중심으로 결합되고, 제2측판(112)과 제3측판(113)은 제2보강판(122)을 중심으로 결합되며, 제3측판(113)과 제4측판(114)은 제3보강판(123)을 중심으로 결합되고, 제4측판(114)과 제1측판(111)은 제4보강판(124)을 중심으로 결합된다.
각 측판은 세 개의 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되 설정된 각도로 접철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제1측판(111)은 제1보강판(121)에 결합된 제1영역(a1-1)과, 제1영역(a1-1)에서 45° 각도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영역(a1-2)과, 제2영역(a1-2)에서 45° 각도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4보강판(124)에 결합되는 제3영역(a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측판(111)의 제1영역(a1-1)과 제2영역(a1-2) 사이는 외측이 연결되고, 내측에 하나의 요홈(g1)이 형성되며, 제2영역(a1-2)과 제3영역(a1-3) 사이는 외측이 연결되고, 내측에 두 개의 요홈(g2)이 형성된다.
또한, 제2측판(112)은 제1보강판(121)에 결합된 제3영역(a2-3)과, 제4영역에서 45° 각도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영역(a2-2)과, 제2영역(a2-2)에서 45° 각도로 절곡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보강판(122)에 결합되는 제1영역(a2-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측판(112)의 각 영역 사이는 외측이 연결되고, 내측에 하나의 요홈(g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3측판(113)은 제1측판(111)과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제4측판(114)은 제2측판(112)과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측판부(1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내부에 수용공간(115)이 형성되고, 도 4와 같이 접으면 수용공간(115)이 없어지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때, 측판부(110)가 접힌 상태에서 각 보강판(121-124)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측판부(110)가 접히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보강판들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접촉에 의한 손상이나 파손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수납물을 보관 또는 운송하지 않을 때 접철식 포장박스의 보관이 용이하고, 반송 과정에서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접철식 포장박스의 보강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보강부(120)는 제1보강판(121) 내지 제4보강판(124)을 포함한다. 제1보강판(121) 내지 제4보강판(124)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하에서는 제1보강판(121)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보강판(121)은 제1플레이트(121a) 내지 제3플레이트(121c)와, 연결 플레이트(121d)를 포함한다.
제1플레이트(121a)는 제1측판(111)의 일 측 모서리 내면에 결합된다.
제2플레이트(121b)는 제2측판(112)의 일 측 모서리 내면에 결합된다.
제3플레이트(121c)는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의 외주면과 나란히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즉, 제3플레이트(121c)는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이 서로 이격된 사이 영역에 배치된다.
연결 플레이트(121d)는 제1플레이트(121a)와 제3플레이트(121c)의 일 측 및 제2플레이트(121b)와 제3플레이트(121c)의 타 측을 각 측판의 두께 방향으로 각각 연결한다.
여기서, 각 보강판과 측판부는 리벳 결합이 이루어진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며, 나사와 볼트결합 등의 다른 결합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3플레이트(121c)는 수용공간(115) 방향으로 고리부재(121e)가 구비된다. 고리부재(121e)는 제3플레이트(121c)의 일부를 절개하고, 내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고리부재(121e)는 제3플레이트(121c) 내측에 별도 결합된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고리부재(121e)는 도 1에 도시된 그물망(13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그물망(130)이 수용공간(115) 내부에서 처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20)에 그물망(130)이 결합되고, 그물망(130) 내부에 수납물이 수납되면, 수용공간(115)의 중심방향으로 각각의 보강판(121-124)이 당겨지기 때문에 접철식 포장박스(100)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각각의 측판들 사이에서 보강판이 결합된 상부와 하부에는 차폐부(125)가 마련된다.
예컨대, 차폐부(125)는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 사이에서 이들이 서로 이격된 부분을 커버하도록 결합된다. 즉,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 사이에서 제1보강판(121)은 상부와 하부에 차폐부(125)가 결합되는 영역만큼 각 측판 보다 높이가 짧게 형성되어 이 영역에 차폐부(125)가 결합된다.
차폐부(125)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각 측판의 상부와 하부에서 이격된 부분을 커버한다.
보강부(120)와 차폐부(125)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강부(120)와 차폐부(125)는 각 측판 상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패스너를 통해서 동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포장박스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포장박스(200)는 측판부(110), 보강부(120), 차폐부(125) 및 커버부(210)를 포함한다.
측판부(110)와 보강부(120)는 전기한 제1실시예의 구 조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측판부(110)는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으로 구성되고, 보강부(120)는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의 일 단부를 결합시키는 제1보강판(121)과,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의 타 단부를 결합시키는 제2보강판(122)을 포함한다. 또한, 제1보강판(121)과 제2보강판(122) 각각의 상부와 하부에는 차폐부(125)가 결합된다.
측판부(110)와 보강부(120) 및 차폐부(125)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 수용공간(115)이 형성되도록 접철식 포장박스(200)가 펼쳐지면 상부 트레이(211)와 하부 트레이(212)로 이루어진 커버부(210)가 결합된다.
커버부(210)는 수용공간(115) 내부에 수납된 수납물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접철식 포장박스(200)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물론, 전기한 제1실시예에서도 커버부(210)가 적용될 수 있다.
상부 트레이(211)는 상부커버(211a)와 상부 연장커버(211b)를 포함한다.
상부커버(211a)는 측판부(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커버(211a)는 수용공간(115)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다.
상부 연장커버(211b)는 상부커버(211a)의 모서리에서 측판부(110)의 외부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판부(110)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하부 트레이는(212) 하부커버(212a)와 하부 연장커버(212b)를 포함한다.
하부커버(212a)는 측판부(110)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하부커버(212a)는 수용공간(115)의 하부를 차폐할 수 있다.
하부 연장커버(212b)는 하부커버(212a)의 모서리에서 측판부(110)의 외부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측판부(110)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상부 트레이(211)와 하부 트레이(212)는 서로 동일 형상으로 제작되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210)는 측판부(110)의 상부와 하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어 수용공간(115) 내부의 수납물을 보호할 수 있고, 복수의 접철식 포장박스(200)가 다단으로 적층될 때, 각 접철식 포장박스(20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포장박스에 따르면, 측판부를 접었다 펼 수 있어 반송 과정에서 접철식 포장박스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금속 소재의 보강부가 각 측판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무거운 수납물을 담더라도 접철식 포장박스의 외형이 변형되지 않으며, 그물망이 보강부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수납물의 하중에 의해 보강부가 수용공간 내부로 당겨지는 힘으로 인해 접철식 포장박스의 외형이 온전히 유지될 수 있고, 커버부를 통해서 수용공간 내부에 수납된 수납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접철식 보장박스를 다단으로 적층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200: 접철식 포장박스
110: 측판부
120: 보강부
130: 그물망
210: 커버부

Claims (10)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되어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측판부;
    상기 측판부의 양 단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보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가 상기 보강부를 통해 연결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제1측판과, 상기 제1측판과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적어도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제1보강판과,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타 단부를 연결하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 또는 제2보강판은,
    상기 제1측판의 모서리에 인접한 내면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측판의 모서리에 인접한 내면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제2플레이트와 나란히 상기 측판부의 외주면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일 측 및 상기 제2플레이트와 제3플레이트의 타 측을 두께 방향으로 각각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플레이트는,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 내부에 배치되고, 각 보강판에 마련된 상기 고리부재에 결합되며, 내부에 수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설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결합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와 보강부가 결합되고 펼쳐진 상태의 일 단면은 적어도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의 하부 또는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판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의 모서리에서 상기 측판부의 외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커버를 포함하는 상부 트레이와,
    상기 측판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커버하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모서리에서 상기 측판부의 외부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연장커버를 포함하는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포장박스.
KR1020210077532A 2021-06-15 2021-06-15 접철식 포장박스 KR102601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32A KR102601287B1 (ko) 2021-06-15 2021-06-15 접철식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32A KR102601287B1 (ko) 2021-06-15 2021-06-15 접철식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31A true KR20220168031A (ko) 2022-12-22
KR102601287B1 KR102601287B1 (ko) 2023-11-10

Family

ID=8457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532A KR102601287B1 (ko) 2021-06-15 2021-06-15 접철식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2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5093U (ja) * 1983-05-07 1984-11-22 有限会社 三江 袋付きコンテナ
JPS6159986B2 (ko) * 1979-11-28 1986-12-18 Union Carbide Corp
KR100725656B1 (ko) * 2006-02-28 2007-06-07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자동차 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KR101287543B1 (ko) 2013-05-09 2013-07-19 대성피에이티(주) 포장 박스
JP2013166577A (ja) * 2012-02-16 2013-08-29 Nishida Seikan Kk 組立式コンテナ
JP5557182B2 (ja) * 2009-08-26 2014-07-23 王子コンテナー株式会社 カートン
KR20180106519A (ko) * 2017-03-20 2018-10-01 하필근 농작물용 팔레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9986B2 (ko) * 1979-11-28 1986-12-18 Union Carbide Corp
JPS59175093U (ja) * 1983-05-07 1984-11-22 有限会社 三江 袋付きコンテナ
KR100725656B1 (ko) * 2006-02-28 2007-06-07 주식회사 코리아코프 자동차 선루프 운반전용 파렛트
JP5557182B2 (ja) * 2009-08-26 2014-07-23 王子コンテナー株式会社 カートン
JP2013166577A (ja) * 2012-02-16 2013-08-29 Nishida Seikan Kk 組立式コンテナ
KR101287543B1 (ko) 2013-05-09 2013-07-19 대성피에이티(주) 포장 박스
KR20180106519A (ko) * 2017-03-20 2018-10-01 하필근 농작물용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287B1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4777B2 (en) Interlocking roll support and spacing structure
USRE32344E (en) Shipping pallet and a package formed therefrom
US10858167B2 (en) Corner piece for packaging
AU2005237943B2 (en) Platform
KR101023439B1 (ko) 중량물 운송용 포장조립체 및 그의 포장체
KR102601287B1 (ko) 접철식 포장박스
US5850936A (en) Impenetrable wall element
KR20210019939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KR102563644B1 (ko) 적층식 포장박스
US10315801B2 (en) Collapsible box
KR102484003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KR101722072B1 (ko) 다단적재 조립 박스
KR102590586B1 (ko)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IL29282A (en) Container
JP2010228790A (ja) 湾曲した形状の長尺部品のための包装支持材とそれを用いた包装支持体および湾曲部品包装体
KR101875780B1 (ko)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EP3000741B1 (en) Pallet with upper fixing surface
JP7355376B2 (ja) 物品の運搬ユニット構造
US6149004A (en) Packaging system utilizing a plastic tray
JP7423045B2 (ja) パレット
KR101505565B1 (ko) 포장용 상자
KR102120294B1 (ko) 포장용기
KR20230139660A (ko) 하중 분산기능을 통한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포장용 박스
JP2010184722A (ja) 梱包材およびカートン積載方法
RU2629520C1 (ru) Упаковка из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картон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