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586B1 -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586B1
KR102590586B1 KR1020210088258A KR20210088258A KR102590586B1 KR 102590586 B1 KR102590586 B1 KR 102590586B1 KR 1020210088258 A KR1020210088258 A KR 1020210088258A KR 20210088258 A KR20210088258 A KR 20210088258A KR 102590586 B1 KR102590586 B1 KR 102590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wire
reinforcement
packaging box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656A (ko
Inventor
안광남
Original Assignee
(주)애니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팩 filed Critical (주)애니팩
Priority to KR102021008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586B1/ko
Publication of KR20230007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the containers being mounted on a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 B65D11/28Metal reinforcements, e.g. metal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6Separate rigid or semi-rigid trays or cups joined together, e.g. separate trays connected by single foil closure or crimped together
    • B65D21/0208Separate rigid or semi-rigid trays or cups joined together, e.g. separate trays connected by single foil closure or crimped together by bonding, adhesive, hook and loop-type fastene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3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by means of additional elements, e.g. mod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사각형 이상의 단면을 갖도록 측면을 둘러싸고,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되며,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이 복수개 형성된 측판부; 및 상기 측판부의 상단에서 하단을 연결하도록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측판부 중 상부에 배치된 제1측판과 하부에 배치된 제2측판을 결합시키는 보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A packing box of stack type with reinforced wires}
본 발명은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이 필요한 물품의 외곽을 둘러 싸거나 박스 형태로 담아서 보관할 수 있고, 또는 포장이 필요한 물품이 없는 경우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프라 박스(이하에서는 단순히 박스라고 칭함)는 부품 또는 제품의 이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박스는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재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박스의 성형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재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류 또는 폴리프로필렌(PP)류 등이거나, 이들의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합성 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박스는 플레이트 상태의 원자재를 이용하여 박스를 완성할 수 있는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고, 이렇게 재단된 원자재를 접으면서 서로 겹치는 부분에 스테이플링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완성된 포장박스에는 금속재의 스테이플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스테이플 처리를 함으로써 완성되는 박스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재 스테이플은 포장박스의 측면뿐만 아니라 저면에도 존재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단프라를 이용하여 제작된 박스는 스테이플링 공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데, 수직하중을 버티기 위해 단프라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스테이플링 공정을 통한 박스 제작이 어려워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단프라 박스는 수직하중에 취약하기 때문에 높이 방향으로 박스를 적층하는데 한계가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87543호(2013. 7. 12. 등록)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하중에 따른 강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수납할 수납물이 없는 경우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사각형 이상의 단면을 갖도록 측면을 둘러싸고,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되며,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이 복수개 형성된 측판부; 및 상기 측판부의 상단에서 하단을 연결하도록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측판부 중 상부에 배치된 제1측판과 하부에 배치된 제2측판을 결합시키는 보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를 제공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측판부의 상단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리부와, 일 단부가 상기 고리부로부터 상기 측판부의 외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측판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 단부 양 측에서 상기 측판부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와, 상기 절곡부재에서 다시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 측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측판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영역과, 각 상기 고정영역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되, 상기 측판부의 외부면과 설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보강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영역의 일 측 단부 상에서 상기 측판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체결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의 타 단부 양 측에서 상기 측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되어 다른 보강부의 상기 고리부와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중첩부재와, 상기 고정부의 타 단부 중심에서 상기 중첩부재와 나란히 돌출되어 다른 보강부의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첩부재와 삽입부재 사이 영역에 다른 측판부가 결합되되,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서 일 단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는 상기 측판부의 통공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와이어는 상기 측판의 중심에 배치된 제1통공과, 상기 제1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측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등 간격으로 배치된 제2 및 제3통공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각 상기 측판은 상기 보강 와이어가 연결된 다음 접합에 의해 통공들이 차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에 따르면,
첫째, 측판부를 접었다 펼 수 있어 반송 과정에서 접철식 포장박스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둘째, 금속 소재의 보강부가 각 측판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적층에 따른 높이 조절이 용이하며,
셋째, 각 측판끼리 보강부 상에서 결합이 용이하여 측판부의 적층이 간편할 수 있고,
넷째, 보강부가 측판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수납물의 하중에도 충분히 버틸 수 있으며,
다섯째, 측판부 내부의 통공에 보강 와이어가 구비됨에 따라서 보강부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측판부가 늘어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의 각 측판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에서 하나의 측판과 이에 대응하는 보강부를 각각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의 측판들이 적층을 위해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의 보강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의 하나의 측판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의 강도 테스트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의 각 측판들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100)는 측판부(110)와, 보강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측판부(110)는 골판지 형상을 가지고 폴리프로필렌 공중합(PP Coplymer) 수지로 제작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판부(110)가 일명 단프라(danpla)로 불리는 플라스틱 골판지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판부(110)는 가볍고, 질기며, 내약품성, 내화학성을 제공할 수 있고, 단열 및 차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측판부(110)는 포장재, 건축자재, 완충재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측판부(110)는 포장될 수납물의 종류나 용도 등에 따라서 다른 재질을 활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측판부(110)는 얇은 판재 형상을 가지며, 압출방향을 따라서 내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통공(도 4 참조, 10)이 형성된다. 예컨대, 측판부(110)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판재(도 4 참조, 11)와, 한 쌍의 판재(11)를 서로 연결하되 서로 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격벽(도 4 참조, 12)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판부(11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을 포함한다. 그리고, 보강부는 제1측판(111)에 결합된 제1보강부(120a)와, 제2측판(112)에 결합된 제2보강부(120b)를 포함한다.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은 서로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판부(110)가 제1측판(111) 내지 제3측판(113)을 포함하여 3개의 측판이 적층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제1측판(111) 내지 제3측판(113)은 도 1과 같이 4각형의 구조로 절곡될 수 있다. 또는, 측판부(110)는 4각형의 구조로 절곡하고, 양 단부를 접합할 수 있다. 물론, 측판부(110)의 형상은 절곡 영역 수에 따라서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측판부(110)는 서로 마주하는 양 측면의 중심영역(CA)이 내측으로 접히거나 외측으로 펼쳐지면서 접철될 수 있다. 이때, 보강부(120)는 서로 마주하는 양 측면의 중심영역(CA)을 벗어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측판부(110)의 접철이 이루어지지 않는 마주하는 양 측면에는 보강부(120)가 중심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측판부(1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내부에 수용공간(114)이 형성되고, 측판부(110)의 서로 마주하는 양 측면의 중심영역(CA)을 내측으로 접으면 수용공간이 없어지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접철식 포장박스(100)는 지게차 등을 활용하여 운반 및 적재가 가능하도록 팔레트(P)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팔레트(P) 상에 보강부(120)의 하단이 일부 간섭되도록 결합되면서 팔레트(P)와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100) 사이에 서로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후기할 보강부(120)의 삽입부재(129)는 팔레트(P)의 상단 모서리 외측을 지지하도록 팔레트(P)의 외측에 노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에서 하나의 측판과 이에 대응하는 보강부를 각각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의 측판들이 적층을 위해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며,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의 보강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도 2 참조, 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4)이 형성된 사각 단면을 가지는 제1측판(111)과, 제1측판(111)에서 서로 마주하는 양 측면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결합되는 네 개의 보강부(120)를 포함하여 하나의 단위 박스(100a)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100)는 세 개의 단위 박스(100a)가 결합된 것(도 1 참조)을 일 예로써 설명하며, 수납물의 양이나 부피에 따라서 적층되는 단위 박스(100a)의 수(또는, 적층 수)는 변경될 수 있다.
보강부(120)는 고리부(121)와 고정부(124) 및 결합부(127)를 포함한다.
고리부(121)는 고정부(124)의 일 단부로부터 대략 "ㄷ"자 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절곡된다. 고리부(121) 내부에는 제1측판(111)의 상측 단부 일부를 감싸도록 제1측판(111)이 결합된다.
고리부(121)는 고정부(124)의 일 단부에서 제1측판(111)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122)와, 절곡부재(122)의 단부에서 다시 절곡되어 고정부(12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걸림부재(123)를 포함한다.
즉, 절곡부재(122)와 걸림부재(123)가 절곡된 상태는 대략 "L"자 형상으로 절곡되면서, 제1측판(111)의 상면과 일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걸림부재는 절곡부재의 단부로부터 점점 고정부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이는 제1측판의 상부에서 보강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24)는 고정영역(125)과 보강영역(126)을 포함한다.
고정영역(125)은 보강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양 측에 배치된다. 고정영역(125)은 제1측판(111) 상에 패스너(예컨대,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로 고정되면서 밀착 배치된다.
보강영역(126)은 각 고정영역(125)의 중심에 일체로 배치된다. 이때, 보강영역(126)은 제1측판(111)의 외측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부(124)의 일 단부(도 5에서 상측 단부)는 보강영역(126)이 제1측판(111)로부터 이격된 만큼의 체결영역(125a)이 형성된다. 체결영역(125a)에는 후기할 삽입부재(129)가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고정부(124)는 양 측의 고정영역(125)으로부터 보강영역(126)이 제1측판(111)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면서 절곡된 프레임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고정부(124)가 고정영역(125)과 보강영역(126)이 하나의 평면에 배치된 것에 비하여 보강구조를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부(124)는 보강영역(126)으로부터 돌출된 돌부(미도시)나, 오목하게 파인 요부(미도시)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더 형성됨으로써, 보강구조를 더 보강할 수도 있다. 물론, 돌부나 요부는 보강영역(126)의 양 단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삽입부재(129)가 결합될 체결영역(125a)을 차폐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127)는 고정부의 타 단부 양 측에서 제1측판(111)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되는 중첩부재(128)와, 고정부(124)의 타 단부 중심에서 더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삽입부재(129)를 포함한다.
중첩부재(128)는 상기 절곡부재(12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때, 중첩부재(128)는 다른 보강부(120b)와 결합되면서 다른 보강부(10b)의 고리부(121) 상에 중첩되도록 결합된다.
삽입부재(129)는 보강영역(126)의 단부로부터 고정영역(128)과 가상의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게 절곡되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상부에 배치된 제1보강부(120a)의 중첩부재(128)와 삽입부재(129)는 각각 하부에 배치된 제2보강부(120b)의 고리부(121)와 체결영역(125a)에 결합된다.
이때, 제2측판(112)의 상단에서 제2측판(112)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제2보강부(120b)의 고리부(121)와 제1보강부(120a)의 중첩부재(128)가 결합되고, 제2측판(112)의 외측면과 제2보강부(120b)의 보강영역(126) 사이의 체결영역(125a)에 제1보강부(120a)의 삽입부재(129)가 삽입되면서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의 적층이 이루어진다.
제1보강부(120a)와 제2보강부(120b)는 각각 제1측판(111)의 네 측면과 제2측판(112)의 네 측면에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측판의 네 측면에서 각각 한 쌍의 보강부가 구비되어 총 네 쌍의 보강부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의 하나의 측판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도 1 참조, 100)는 제1측판(111) 내부에 보강 와이어(130)를 포함한다.
보강 와이어(130)는 제1측판(111)의 수평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통공(도 4 참조, 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측판(111)의 네 면을 둘러싸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제1측판(111)의 일 단부 통공(10)으로 삽입된 보강 와이어(130)는 제1측판(111)의 타 단부 통공(10)을 통해서 배출되고, 보강 와이어(130)의 양 단을 묶어서 제1측판(111)이 수평방향으로 늘어지거나 벌어지면서 휘지 않도록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제1측판(111)의 중심에 배치된 제1통공(10a)과, 상부에 배치된 제2통공(10b) 및 하부에 배치된 제3통공(10c)에 각각 보강 와이어(130)가 마련되어 제1측판(111)의 상부영역, 중심영역 및 하부영역에서 등 간격으로 보강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물론, 보강 와이어(130)는 내부에 수용되는 수납물의 중량에 따라서 제1측판(111) 내부에 배치 위치를 변경하거나 보강 와이어의 수를 증감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와 같이, 보강 와이어(130)는 보강부(120a, 120b)가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을 결합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각 측판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한 통공(10b 10c)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는 제1측판(111)과 제2측판(112)이 결합된 영역에서 수납물의 중량에 의해 보강부들이 결합된 상태가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힘을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보강 와이어(130)는 측판부(도 1 참조, 110)가 접철되는 과정에서 동시에 접히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예컨대, 보강 와이어(130)는 금속이나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진 피아노줄 또는 낚시줄 등의 와이어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측판들 내부에서 상기 보강 와이어(130)의 양 단부가 서로 연결된 다음에는 각 측판들의 단부(통공이 외부에 노출된 양 측 단부)가 접합됨에 따라서 각 통공들이 차폐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의 강도 테스트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강도 테스트는 10mm/min 속도 조건에서의 하중압축시험에 따른 결과를 나타낸다.
도 7a는 제1러버(rubber) 재질로 이루어진 측판부의 강도 테스트를 나타내고, 도 7b는 또 다른 제2러버 재질로 이루어진 측판부의 강도 테스트를 나타내며, 도 7c는 단프라만으로 이루어진 측판부의 강도 테스트를 나타내고, 도 7d는 단프라 내부에 보강 와이어가 장착된 측판부의 강도 테스트를 나타낸다. 물론, 도 7a 내지 도 7d의 그래프에 따른 측판부는 모두 동일한 크기 및 두께로 제작되었다.
도 7a에서 제1러버로 이루어진 측판부는 81kgf를 기록하고, 도 7b에서 제2러버로 이루어진 측판부는 78kgf를 기록하였으며, 도 7c에서 단프라로 이루어진 측판부는 165kgf를 기록하였으며, 도 7d에서 단프라에 보강 와이어가 장착된 측판부는 236kgf를 기록하였다.
즉, 러버 재질로 이루어진 측판부에 비하여 단프라로 이루어진 측판부의 압축 강도가 약 두 배 이상 크게 나왔으며, 단프라에 보강 와이어가 장착된 측판부의 압축 강도가 단프라만으로 이루어진 측판부에 비하여 약 43% 이상 증대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에 따르면, 측판부를 접었다 펼 수 있어 반송 과정에서 접철식 포장박스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금속 소재의 보강부가 각 측판부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적층에 따른 높이 조절이 용이하며, 각 측판끼리 보강부 상에서 결합이 용이하여 측판부의 적층이 간편할 수 있고, 보강부가 측판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수납물의 하중에도 충분히 버틸 수 있으며, 측판부 내부의 통공에 보강 와이어가 구비됨에 따라서 압축 강도가 향상됨에 따라서 보강부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측판부가 늘어지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110: 측판부
120: 보강부
130: 보강 와이어

Claims (10)

  1. 적어도 사각형 이상의 단면을 갖도록 측면을 둘러싸고, 수직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적층되며, 내부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공이 복수개 형성된 측판부; 및
    상기 측판부의 상단에서 하단을 연결하도록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측판부 중 상부에 배치된 제1측판과 하부에 배치된 제2측판을 결합시키는 보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측판부의 상단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고리부와, 일 단부가 상기 고리부로부터 상기 측판부의 외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측판부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양 측에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측판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영역과, 각 상기 고정영역을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결하되, 상기 측판부의 외부면과 설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보강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 단부 양 측에서 상기 측판부의 두께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와,
    상기 절곡부재에서 다시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영역의 일 측 단부 상에서 상기 측판부와 이격되도록 형성된 체결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의 타 단부 양 측에서 상기 측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절곡되어 다른 보강부의 상기 고리부와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중첩부재와,
    상기 고정부의 타 단부 중심에서 상기 중첩부재와 나란히 돌출되어 다른 보강부의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중첩부재와 삽입부재 사이 영역에 다른 측판부가 결합되되,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체결영역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서 일 단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의 통공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 와이어는,
    상기 측판의 중심에 배치된 제1통공과, 상기 제1통공을 중심으로 상기 측판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등 간격으로 배치된 제2 및 제3통공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10. 청구항 8에 있어서,
    각 상기 측판은 상기 보강 와이어가 연결된 다음 접합에 의해 통공들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KR1020210088258A 2021-07-06 2021-07-06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KR102590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58A KR102590586B1 (ko) 2021-07-06 2021-07-06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258A KR102590586B1 (ko) 2021-07-06 2021-07-06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56A KR20230007656A (ko) 2023-01-13
KR102590586B1 true KR102590586B1 (ko) 2023-10-16

Family

ID=8490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258A KR102590586B1 (ko) 2021-07-06 2021-07-06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05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096228U (zh) * 2014-07-18 2015-01-14 浙江吉发包装有限公司 层叠式包装箱的钢带
US20170184884A1 (en) * 2013-05-03 2017-06-2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packaging liquid crystal glass substrat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659Y1 (ko) * 1995-12-11 1998-07-15 변무원 플라스틱 수조
KR20090006502U (ko) * 2007-12-26 2009-07-01 (주)우일피앤엘 미끄럼방지돌기가 일체로 구비된 포장박스의 코너보강대
KR101287543B1 (ko) 2013-05-09 2013-07-19 대성피에이티(주) 포장 박스
KR101550968B1 (ko) * 2013-08-30 2015-09-08 (주)아주프라텍 플라스틱 패널 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4884A1 (en) * 2013-05-03 2017-06-2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packaging liquid crystal glass substrates
CN204096228U (zh) * 2014-07-18 2015-01-14 浙江吉发包装有限公司 层叠式包装箱的钢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656A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2901A (en) Cornerboard for pallets
US2709559A (en) Disposable pallet
US10583959B2 (en) Pallet for bags
US73224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lletizing a product
KR101023439B1 (ko) 중량물 운송용 포장조립체 및 그의 포장체
EP2817235B1 (en) Collapsible superstructure
KR102590586B1 (ko) 와이어 보강 적층식 포장박스
KR20180070855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접이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JP2019156478A (ja) パレットおよび梱包箱
KR20210019939A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KR200407787Y1 (ko) 전면개방형 종이박스
KR102601287B1 (ko) 접철식 포장박스
US4141486A (en) Collapsible side walls for a packing case
US20100059521A1 (en) Honeycomb structure package
KR101722072B1 (ko) 다단적재 조립 박스
KR102563644B1 (ko) 적층식 포장박스
KR102340948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RU115322U1 (ru) Поддон и контейнер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ый сборный
KR102624003B1 (ko) 조립식 운송용 포장박스
JP2000118532A (ja) パレット
JP7423045B2 (ja) パレット
US6669161B2 (en) Support slat
KR101875780B1 (ko) 내구성 보강 컨테이너
KR101340429B1 (ko) 포장 박스용 덮개 조립체
KR101505565B1 (ko) 포장용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