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392A - 입력 기기 및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력 기기 및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392A
KR20220167392A KR1020227040205A KR20227040205A KR20220167392A KR 20220167392 A KR20220167392 A KR 20220167392A KR 1020227040205 A KR1020227040205 A KR 1020227040205A KR 20227040205 A KR20227040205 A KR 20227040205A KR 20220167392 A KR20220167392 A KR 20220167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hand
button
support surface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페이 왕
링페이 셰
웨이리 안
웨이 왕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6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기기 본체, 터치 패드(400) 및 제1 버튼(300)을 포함하며; 상기 기기 본체는 핸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300) 및 상기 터치 패드(400)는 상기 기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기 본체의 동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핸드부의 곡률은 제1 곡률이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핸드부의 곡률은 제2 곡률이고,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보다 큰 입력 기기 및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을 공개한다.

Description

입력 기기 및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4월 24일 중국에 제출된 출원 명칭이 "입력 기기 및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0336290.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전자 기기의 입력 기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 기기 및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응용이 갈수록 넓어지면서, 전자 기기의 기능도 갈수록 많아져 사용자의 영화, 음악, 오락 등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전자 기기는 근무 또는 게임을 할 때 조작이 더욱 편리해지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주변 입력 기기가 배치되어 있는데, 자주 사용하는 주변 입력 기기는 조작 손잡이 및 마우스가 있다. 사용자는 서로 다른 시나리오에서 상이한 유형의 입력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조작 손잡이는 손으로 파지하고 공간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마우스는 사용 시 테이블로 지지해야 하므로, 사용자는 마우스 및 조작 손잡이 두 가지 입력 기기를 배치해야 한다. 조작 손잡이와 마우스 간의 전환 조작이 복잡하여, 입력 기기의 호환성이 떨어지고, 사용자의 체험감이 좋지 않다.
본 출원은 입력 기기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 입력 기기 및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을 공개한다.
제1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기 본체, 터치 패드 및 제1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기기 본체는 핸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터치 패드는 상기 기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기 본체의 동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핸드부의 곡률은 제1 곡률이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핸드부의 곡률은 제2 곡률이고,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보다 큰 입력 기기를 공개한다.
제2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입력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을 공개한다.
본 출원이 적용하는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서, 핸드부의 곡률을 변화시킴으로써, 입력 기기와 사용자의 손바닥이 더욱 밀착하도록 하고, 나아가 사용자가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서 모두 편안한 그립감을 갖도록 한다. 사용자는 핸드부의 곡률을 조절하기만 하면, 입력 기기를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유롭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입력 기기가 양호한 호환성을 갖도록 하며, 사용자의 체험감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배경 기술의 기술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배경 기술에 대한 설명에 필요한 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창조적인 노력 없이도 이러한 도면을 통해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기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기가 제1 상태에 있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기가 제2 상태에 있는 모식도이다.
출원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장점이 더욱 명확해지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해당 도면에 결부하여 본 출원의 기술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 전체 실시예가 아니다. 분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창조적인 노력 없이 본 출원의 실시예를 통해 획득한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제1", "제2"와 같은 용어는 특정한 순서 또는 우선순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서 도시하거나 설명한 순서를 제외한 다른 순서로 실시할 수 있도록, 이러한 데이터는 적절한 경우에 호환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대상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며, 문자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되는 대상이 "또는"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통해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기술 방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조종하기 위한 입력 기기를 공개한다. 입력 기기는 기기 본체, 터치 패드(400) 및 제1 버튼(300)을 포함할 수 있다.
기기 몸체는 입력 기기의 몸체 부분이고, 기기 몸체는 핸드부, 회로기판, 칩 등과 같은 주요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핸드부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변형될 수 있다. 핸드부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구비하고, 변형을 통해 제1 상태와 제2 상태 간에서 전환할 수 있다.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핸드부의 곡률은 제1 곡률이다.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핸드부의 곡률은 제2 곡률이며; 여기서, 제1 곡률은 제2 곡률보다 크다. 즉,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는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보다 더 만곡하고, 입력 기기의 높이가 더 높다. 선택적으로, 핸드부는 변형 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고, 변형 구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서, 핸드부의 곡률을 변화시킴으로써, 입력 기기와 사용자의 손바닥이 더욱 밀착하도록 하고, 나아가 사용자가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서 모두 편안한 그립감을 갖도록 한다. 사용자는 핸드부의 곡률을 조절하기만 하면, 입력 기기를 서로 다른 환경에서 자유롭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입력 기기가 양호한 호환성을 갖도록 하며, 사용자의 체험감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핸드부는 곡률이 크고 더욱 만곡하여, 입력 기기의 높이가 증가하게 되며, 사용자 손바닥의 장심을 지지하는 입력 기기의 위치가 더욱 포만하고 매끄럽게 된다. 이때, 입력 기기는 테이블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고, 입력 기기는 사용자 손바닥의 장심을 더 잘 지지할 수 있다.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핸드부는 곡률이 작고, 입력 기기의 높이가 작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 기기를 한 손으로 둘러싸서 파지하거나 양손으로 파지하는 것이 더욱 적합하며, 사용자 손바닥은 핸드부의 표면에 더욱 밀착될 수 있어, 사용자가 양호한 그립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기는 데이터 연결선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기기와 전자 기기는 데이터 연결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입력 기기에는 제1 무선 데이터 전송 모듈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전자 기기에는 제2 무선 데이터 전송 모듈이 안착되어 있으며, 입력 기기와 전자 기기는 제1 무선 데이터 전송 모듈 및 제2 무선 데이터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서,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버튼(300)이 활성화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터치 패드(400)가 활성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1 버튼(300) 및 터치 패드(400)가 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 제1 버튼(300) 및 터치 패드(400)는 사용자의 입력 상태에 응답할 수 있다.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제1 버튼(300)을 통해 전자 기기를 조종할 수 있고;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패드(400)를 통해 전자 기기를 조종할 수 있다. 이 방안에서, 핸드부는 서로 다른 상태에서 대응되는 조작 제어 버튼을 구비하므로, 입력 기기의 서로 다른 상태에서의 조작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터치 패드(400)가 활성화 상태에 있으면, 사용자가 입력 기기를 사용할 때 터치 패드(400)를 잘못 터치할 수 있고, 나아가 입력 기기의 오조작을 야기하기 쉽다.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버튼(300)이 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에도 상기 문제를 야기하기 쉽다.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서,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터치 패드(400)가 비활성화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버튼(300)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터치 패드(400)는 사용자의 입력 상태에 응답할 수 없는데, 즉, 이 경우 터치 패드(400)는 전자 기기를 조종할 수 없어, 사용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버튼(300)은 사용자 입력 상태에 응답할 수 없는데, 즉 이 경우 제1 버튼(300)은 전자 기기를 조종할 수 없다.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기는 편의상 제2 버튼(50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버튼(500)은 기기 본체 상에 설치된다. 제2 버튼(500)은 터치 패드(400)와 함께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입력 기기의 조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드(400)는 방향 제어 버튼일 수 있고, 제2 버튼(500)은 결정 제어 버튼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버튼(500)이 비활성화 상태에 있고;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버튼(500)이 활성화 상태에 있다. 이때,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버튼(500)은 전자 기기를 조종할 수 있으며;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버튼(500)은 전자 기기를 조종할 수 없어, 입력 기기의 오조작을 방지한다.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2 버튼(500) 및 터치 패드(400)는 기기 본체의 동일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방안에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입력 기기를 파지할 때, 사용자는 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 패드(400)를 조작할 수 있고, 다른 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제2 버튼(500)을 조종할 수 있어, 입력 기기에 대한 조작이 편리해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입력 기기를 파지할 때, 사용자는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 패드(400) 및 제2 버튼(500)을 동시에 조종해야 하므로, 조작이 불편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선택적인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버튼(500) 및 터치 패드(400)는 기기 본체의 인접하는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은 입력 기기의 정상부에 접근하여, 터치 패드(400)를 조종할 수 있고, 사용자의 집게 손가락은 입력 기기에 접근하여, 제2 버튼(500)을 조종할 수 있어, 한 손으로 입력 기기를 파지할 때, 입력 기기에 대한 조작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서,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입력 기기는 마우스일 수 있고,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입력 기기는 조작 손잡이일 수 있다. 이 방안에서, 입력 기기는 마우스 및 조작 손잡이 두 가지 기기의 조작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사용하고 휴대하도록 한다. 이때, 입력 기기는 근무 및 게임 기능을 겸비할 수 있어, 입력 기기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기는 기기 케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 케이스(100)는 입력 기기의 일부 기능 디바이스에 대해 안착 기초를 제공하고, 핸드부 및 기기 케이스(100)는 두 개의 독립적인 부분일 수 있지만, 이 방식은 입력 기기의 부피를 증가시킨다. 선택적인 다른 실시예에서, 핸드부는 기기 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기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변형 재료로 제작할 수 있다. 이 방안에서, 기기 케이스(100)는 입력 기기의 일부 기능 디바이스에 대해 안착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파지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어, 입력 기기의 부피를 감소하고, 나아가 입력 기기가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기기 케이스(100)의 파지용 부분은 그 대응되는 내부 구조가 기기 케이스(100)의 변형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 케이스(100) 내의 회로기판은 연성 회로기판일 수 있고, 기기 케이스(100)에 따라 함께 변형할 수 있다.
선택적인 다른 실시예에서, 기기 케이스(100)의 저면은 제1 감지 지지면(110) 및 제2 감지 지지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지지면(110) 및 제2 감지 지지면(120)은 모두 평면일 수 있고, 제1 감지 지지면(110) 및 제2 감지 지지면(120)은 각각 기기 케이스(100)의 양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감지 지지면(110) 및 제2 감지 지지면(120)은 공면이다. 이 방안에서,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입력 기기는 테이블 환경에 적용될 수 있고, 제1 감지 지지면(110)과 제2 감지 지지면(120)은 테이블과 상호 접촉하며, 이에 따라 입력 기기를 지지할 수 있고, 입력 기기가 테이블에서 안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감지 지지면(110) 및 제2 감지 지지면(120)은 입력 기기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전자 기기의 커서 이동을 제어한다(마우스가 이동할 때 커서 이동을 제어하는 것과 비슷하다).
선택적으로, 제1 감지 지지면(110) 및 제2 감지 지지면(120)은 광전 감지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커패시터 감지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본 문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기는 제1 미끄럼 방지 패드(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끄럼 방지 패드(210)는 제1 감지 지지면(1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이 방안에 따르면, 제1 감지 지지면(110)과 테이블 간에서 발생하는 미끄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입력 기기는 제2 미끄럼 방지 패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미끄럼 방지 패드(220)는 제2 감지 지지면(1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이 방안에 따르면, 제2 감지 지지면(120)과 테이블 간에서 발생하는 미끄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미끄럼 방지 패드(210) 및 제2 미끄럼 방지 패드(220)는 실리콘, 고무 등 재료로 제작할 수 있고, 물론 다른 재료로 제작할 수도 있는데, 본 문에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은 핸드부의 전환 구조를 공개한다. 물론, 핸드부는 다른 전환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본 문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핸드부는 기기 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는 내부 변형 위치 결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변형 위치 결정 부재는 기기 케이스(100)가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에 따라 변형하지 않는다. 기기 케이스(100) 및 내부 변형 위치 결정 부재 중 하나에는 제1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제2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다.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걸림 연결부와 제2 걸림 연결부는 서로 맞물리며;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걸림 연결부와 제2 걸림 연결부는 서로 분리한다. 구체적인 조작 과정에서, 핸드부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기기 케이스(100)에 작용력을 인가하여 기기 케이스(100)를 만곡시키고, 제1 걸림 연결부와 제2 걸림 연결부가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핸드부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기기 케이스(100)에 반작용력을 인가하여 제1 걸림 연결부와 제2 걸림 연결부가 상호 분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제1 걸림 연결부와 제2 걸림 연결부가 상호 결합된 후, 기기 케이스(1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기 케이스(100)가 안정하게 제1 상태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은 핸드부의 다른 유형의 전환 구조를 더 공개한다. 구체적으로, 핸드부는 기기 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는 내부 변형 위치 결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내부 변형 위치 결정 부재는 기기 케이스(100)가 제1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에 따라 변형하지 않는다. 기기 케이스(100) 및 내부 변형 위치 결정 부재 중 하나에는 자기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자기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자기 부재와 자기 흡인 부재는 상호 분리하며;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자기 부재와 자기 흡인 부재는 자기 흡인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인 조작 과정에서, 핸드부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자기 부재와 자기 흡인 부재의 자성이 반대되도록 할 수 있고, 자기 부재와 자기 흡인 부재가 자기 흡인되어 결합됨으로써, 기기 케이스(100)가 만곡하게 된다. 핸드부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자기 부재와 자기 흡인 부재가 같은 자성을 가지도록 하거나 자성이 없도록 하여, 자기 부재와 자기 흡인 부재가 상호 분리하도록 하고, 기기 케이스(100)가 제2 상태로 회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방안에 따르면, 자기 부재와 자기 흡인 부재의 협력을 통해, 핸드부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 간에서 전환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입력 기기의 전환 방식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자기 부재 및 자기 흡인 부재는 모두 솔레노이드 코일일 수 있으며, 또는 자기 흡인 부재가 솔레노이드 코일이고, 자기 부재가 영구자석일 수도 있다. 자기 부재는 영구자석일 수 있고, 자기 흡인 부재는 금속 부품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기기 케이스(100)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핸드부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 간에서 전환하도록 한다.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서, 핸드부는 기억 합금 부재일 수 있다. 이 방안에 따르면, 기억 합금 부품은 그의 어느 한 변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기 케이스(100) 내에 핸드부의 변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다른 변형 위치 결정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핸드부의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기억 합금 부재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기억 합금 부재가 제1 상태 및 제2 상태 간에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1 버튼(300)은 제1 서브 버튼(310), 제2 서브 버튼(320) 및 바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330)의 일부는 제1 서브 버튼(310)과 제2 서브 버튼(320) 사이의 조립 틈새 내에 설치되고, 바퀴(330)는 기기 몸체의 외면에 돌출되며, 바퀴(330)의 돌출 부분은 사용자의 조작에 편리하다. 이 방안에 따르면, 제1 버튼(300)은 다수 개의 서브 버튼을 포함할 수 있어, 제1 버튼(300)이 더 많은 조작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버튼(300)의 설치 방식은 마우스의 버튼 배치 방식도 만족하므로, 입력 기기는 마우스로 겸용할 수 있어, 입력 기기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 및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을 공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전자책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예를 들면 스마트워치), 전자 게임기 등 기기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의 종류를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실시예 간의 차이점을 중점으로 설명하였다. 각 실시예의 서로 다른 최적화 특징은 모순되지 않는 한, 모두 조합하여 더 바람직한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문장의 간결함을 고려하여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상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분 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출원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변화를 실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정신 및 원리 내에서 실시한 모든 수정, 균등한 치환 치환,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청구 범위에 포함된다.
100: 기기 케이스
110: 제1 감지 지지면
120: 제2 감지 지지면
210: 제1 미끄럼 방지 패드
220: 제2 미끄럼 방지 패드
300: 제1 버튼
310: 제1 서브 버튼
320: 제2 서브 버튼
330: 바퀴
400: 터치 패드
500: 제2 버튼

Claims (12)

  1. 기기 본체, 터치 패드(400) 및 제1 버튼(300)을 포함하며;
    상기 기기 본체는 핸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튼(300) 및 상기 터치 패드(400)는 상기 기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기기 본체의 동일 측에 위치하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핸드부의 곡률은 제1 곡률이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핸드부의 곡률은 제2 곡률이고,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곡률보다 큰 입력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버튼(300)은 활성화 상태에 있으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패드(400)는 활성화 상태에 있는 입력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패드(400)는 비활성화 상태에 있으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버튼(300)은 비활성화 상태에 있는 입력 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에 설치되는 제2 버튼(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튼(500)과 상기 터치 패드(400)는 상기 기기 본체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또는,
    상기 제2 버튼(500)과 상기 터치 패드(400)는 상기 기기 본체의 인접하는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버튼(500)은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 있으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버튼(500)은 상기 활성화 상태에 있는 입력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입력 기기는 마우스이고, 상기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입력 기기는 조작 손잡이인 입력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는 기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부는 상기 기기 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케이스(100)의 저면은 제1 감지 지지면(110) 및 제2 감지 지지면(1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감지 지지면(110) 및 상기 제2 감지 지지면(120)은 모두 평면이며, 상기 제1 감지 지지면(110) 및 상기 제2 감지 지지면(120)은 각각 상기 기기 케이스의 양단에 위치하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감지 지지면(110) 및 상기 제2 감지 지지면(120)은 공면인 입력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지지면(11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1 미끄럼 방지 패드(210); 및/또는,
    상기 제2 감지 지지면(12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제2 미끄럼 방지 패드(220)를 더 포함하는 입력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는 기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부는 상기 기기 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기기 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는 내부 변형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케이스(100) 및 상기 내부 변형 위치 결정 부재 중 하나에는 제1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제2 걸림 연결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걸림 연결부와 상기 제2 걸림 연결부는 서로 맞물리며; 상기 핸드부가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걸림 연결부와 상기 제2 걸림 연결부는 서로 분리하는 입력 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는 기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부는 상기 기기 케이스(10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기기 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는 내부 변형 위치 결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케이스(100) 및 상기 내부 변형 위치 결정 부재 중 하나에는 자기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자기 흡인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드부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자기 부재와 상기 자기 흡인 부재는 자기 흡인되어 결합되며; 상기 핸드부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자기 부재와 상기 자기 흡인 부재는 서로 분리하는 입력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부는 기억 합금 부품인 입력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300)은 제1 서브 버튼(310), 제2 서브 버튼(320) 및 바퀴(330)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330)의 일부는 상기 제1 서브 버튼(310)과 상기 제2 서브 버튼(320) 사이의 조립 틈새 내에 설치되고, 상기 바퀴(330)는 상기 기기 본체의 외면에 돌출되는 입력 기기.
  12. 전자 기기 및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력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
KR1020227040205A 2020-04-24 2021-04-23 입력 기기 및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 KR202201673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336290.2A CN111459317B (zh) 2020-04-24 2020-04-24 输入设备和电子设备输入系统
CN202010336290.2 2020-04-24
PCT/CN2021/089355 WO2021213506A1 (zh) 2020-04-24 2021-04-23 输入设备和电子设备输入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392A true KR20220167392A (ko) 2022-12-20

Family

ID=7168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205A KR20220167392A (ko) 2020-04-24 2021-04-23 입력 기기 및 전자 기기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38885A1 (ko)
EP (1) EP4141624A4 (ko)
JP (1) JP7504219B2 (ko)
KR (1) KR20220167392A (ko)
CN (1) CN111459317B (ko)
WO (1) WO20212135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9317B (zh) * 2020-04-24 2024-02-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输入设备和电子设备输入系统
CN112818825B (zh) * 2021-01-28 2024-02-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工作状态确定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4484A1 (en) 2002-05-20 2003-11-20 Haywood Chad Christian Convertible mouse
JP2007004289A (ja) 2005-06-21 2007-01-11 Fujinon Corp マウス及びマウスホルダ
JP3143935U (ja) * 2008-05-30 2008-08-07 忠献 林 マウスの底部パッド
US9069393B2 (en) * 2010-06-18 2015-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er mouse sleeve
EP2400376A1 (en) * 2010-06-28 2011-12-28 Giga-Byte Technology Co., Ltd. Combination mouse and touch input device
CN102339144B (zh) * 2010-07-19 2015-12-09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鼠标模式及触控模式的计算机输入装置
US10592008B1 (en) * 2017-09-05 2020-03-17 Apple Inc. Mouse having a shape-changing enclosure
US11132059B2 (en) * 2017-09-14 2021-09-28 Logitech Europe S.A. Input device with haptic interface
US20190187819A1 (en) * 2017-12-18 2019-06-20 Immersion Corporation Haptically-Enabled Peripheral Usable for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Tracking
CN110221714A (zh) * 2018-03-01 2019-09-10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鼠标
CN208477487U (zh) * 2018-08-09 2019-02-05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输入设备及电子设备
CN111459317B (zh) * 2020-04-24 2024-02-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输入设备和电子设备输入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1624A4 (en) 2023-09-06
EP4141624A1 (en) 2023-03-01
CN111459317A (zh) 2020-07-28
JP2023523175A (ja) 2023-06-02
WO2021213506A1 (zh) 2021-10-28
JP7504219B2 (ja) 2024-06-21
US20230038885A1 (en) 2023-02-09
CN111459317B (zh)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8885A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put system
KR20140051391A (ko) 손목 시계 키보드
KR20020043579A (ko) 핸드 헬드 장치용 인간 공학적 하우징
JP2014225047A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US20150363007A1 (en) Data input systems for handheld devices
KR20040081697A (ko) 마우스식 터치패드
US7453436B2 (en) Hand-held on-screen control device
US7898523B1 (en) Device for controlling on-screen pointer
KR102238619B1 (ko)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JP3205569U (ja) Windows(登録商標)タブレットパソコン
CN214019165U (zh) 一种操作便捷的游戏控制装置
EP1299793A1 (en) Fingertip controlled computer mouse
KR20080052497A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컴퓨터용 포인팅 장치
WO2021261694A1 (ko) 터치 입력을 전달하는 입력 장치
KR200473897Y1 (ko) 장애인용 마우스
JP6044723B2 (ja) 入力装置
KR20190068733A (ko) 스마트폰에 고정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게임 컨트롤러
EP3526656B1 (en) A finger activated mouse device/switching device
KR200274062Y1 (ko) 마우스
US20160322998A1 (en) Bluetooth Wearable Interface and Brokerage System
KR200400869Y1 (ko) 손가락 안착부가 구비된 컴퓨터용 마우스
JP2011223613A (ja) 持ち手つき携帯型情報端末
KR200262391Y1 (ko) 인간 환경 공학의 컴퓨터 마우스
SK1712013U1 (sk) Univerzálny prstový ovládač
KR200220949Y1 (ko) 컴퓨터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