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619B1 -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619B1
KR102238619B1 KR1020197012188A KR20197012188A KR102238619B1 KR 102238619 B1 KR102238619 B1 KR 102238619B1 KR 1020197012188 A KR1020197012188 A KR 1020197012188A KR 20197012188 A KR20197012188 A KR 20197012188A KR 102238619 B1 KR102238619 B1 KR 102238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element
finger
mouse
mouse device
re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260A (ko
Inventor
치엔쿤 우
Original Assignee
치엔쿤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엔쿤 우 filed Critical 치엔쿤 우
Publication of KR2019009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04Cases;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6Lever; Rock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8Actuators composed of different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02Calculator, compu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06Elastic arms producing non linear counter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4Actuation by finger to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손가락(들)의 근위 지골에 의해 작동되는 마우스 장치를 개시한다. 마우스는 손목-터널 효과 및 손가락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다. 마우스는 상벽, 하벽, 및 측벽을 갖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마우스는 상벽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레버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정지 위치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을 더 양호하게 지지하기 위한 융기 면이다. 마우스는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상부 레버의 융기 면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조작된다.

Description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정규 특허 출원 제15/280,02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포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백-프레스에 기초한 근위 지골을 이용하여 조작되는 마우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에서, 마우스는 표면에 대한 2차원 운동을 검출하는 포인팅 장치이다. 이러한 운동은 통상적으로 컴퓨터 디스플레이에서 볼 수 있는 포인터의 동작으로 변환되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세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물리적으로, 마우스는 표면에서 손에 쥐어지는 인클로저로 구성되며 마우스를 잡은 손의 손가락으로 눌려지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구비한다. 마우스는 흔히 터치 면과 스크롤 휠과 같은 다른 요소를 특징으로 하여 추가 제어 및 치수 입력을 제공한다. 마우스 버튼은 대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요소와 상호 작용하고 독특한 클릭 음을 내기 위해 눌려지는 마이크로 스위치이다. 통상적인 사용 상황에서, 포인터는 표면에서 마우스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린에 위치된 후, 소프트웨어 구현에 의해 예상되는 컴퓨터 동작이나 결과를 불러오기 위하여 마우스 버튼은 빠른 동작으로 하방향으로 눌려진다. 또는, 예상된 소프트웨어 기반 응답을 불러오기 위하여 버튼은 빠르게 연속적으로 두 번(또는 심지어 세 번) 하방향으로 눌려진다. 전통적인 마우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예상된 시간 관련 응답이 얻어질 때까지 버튼은 눌려지고 아래에서 유지된다. 3-버튼 스크롤 마우스는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한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기존의 마우스는 사용자가 손가락의 끝으로 마우스를 클릭하여 그 손가락이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손목-터널 효과나 증후군을 발생시킨다. 기존 마우스의 디자인은 손가락을 구부릴 필요가 있으므로 손바닥에 통증을 유발한다. 또한, 기존의 마우스는 손바닥의 손목 측에 가까운 둥근/융기 부분을 포함한다. 기존의 마우스 디자인에서 둥근/융기 부분은 근육을 억제한다.
그러므로, 손목-터널 효과나 증후군으로 인해 손가락에 유발되는 통증을 제거하는 마우스가 필요하다. 또한, 근육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둥근/융기 부분을 제거한 마우스가 필요하다. 또한, 손가락 끝이 아닌 손가락 영역을 이용하여 백 프레스 조작으로 조작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가 필요하다. 또한, 자연스러운 클릭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가 필요하다.
전술한 결점, 단점, 및 문제점은 본 명세서에서 다루어지며, 이는 다음의 명세서를 읽고 연구함으로써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주요 목적은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조작되는 손가락 작동식 컴퓨터 마우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손가락의 손목-터널 효과나 증후군 및 굽힘을 방지하도록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손가락 끝이 아닌 손가락 영역을 이용하여 백 프레스 조작으로 조작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상부 레버, 스위칭 요소, 및 복원 요소를 구비한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융기 면인 상부 레버를 구비하여 손가락이 그 위에 편안한 자세로 받쳐지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러한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작동되는 마우스를 개시하고 있다. 마우스는 손목-터널 효과와 손가락이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융기 면을 갖는 상부 레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그 융기 면에서 편안한 자세로 손가락을 놓게 되는 마우스를 개시한다. 상부 레버는 융기 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눌려질 때 아래로 향하는 세장형 융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마우스는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다시 눌려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벽, 하벽, 및 한 쌍의 대향 측벽을 갖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상벽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상벽으로부터 하향 변위된다. 상부 레버는 지지 아암을 통해 상벽에 부착된다. 한 쌍의 복원 요소는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다. 한 쌍의 복원 요소는 제1 복원 요소 및 제2 복원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상부 레버에 연결된다.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상부 레버의 변위 조작 완료 후에 상부 레버를 정 위치(home position) 또는 정지 위치(rest position)로 다시 변위시키도록 각각 구성된다. 한 쌍의 스위칭 요소는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다. 한 쌍의 스위칭 요소는 제1 스위칭 요소 및 제2 스위칭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상부 레버에 연결된다. 상부 레버가 하향 변위될 때,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각각 작동된다. 상부 레버는 사용 상태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기 위한 융기 면을 갖는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레버가 정 위치 또는 정지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각각 작동 정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각각 작동되어 전기 회로를 폐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각각 작동 정지되어 전기 회로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유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서로 다른 유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섬유 재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한다. 상부 레버가 하향 변위될 때, 플랫폼은 제1 방향으로 기울어져 제1 스위칭 요소 및 제2 스위칭 요소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은 제1 로드를 통해 제1 스위칭 요소에 연결된다. 플랫폼은 제2 로드를 통해 제2 스위칭 요소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요소는 인클로저의 하벽에 장착된 제1 블록에 동봉되고, 제2 스위칭 요소는 인클로저의 하벽에 장착된 제2 블록에 동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상부 레버 사이에 부착된 스크롤 휠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레버는 거리만큼 분리된 두 개의 아암을 갖는다. 두 개의 아암은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포함한다.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서로 다른 조작을 실행하도록 변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벽에는 조작 중에 조명 또는 빛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 유닛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작동되는 마우스는 상벽, 하벽, 및 측벽을 갖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마우스는 상벽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레버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상벽으로부터 하향 변위된다. 마우스는 상부 레버의 움직임이 완료될 때에 상부 레버를 정지 위치 또는 정 위치로 다시 재위치시키도록 인클로저 내에 위치되고 상부 레버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복원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마우스는 한 쌍의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고, 스위칭 요소의 조작은 상부 레버의 변위에 의해 실행되어 전기적 스위칭 조작을 수행한다. 마우스는 사용자의 손이 정지 위치 시에 상벽 위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부 레버의 조작 시에 상부 레버의 융기 면에 위치되도록 파지 그립에서 유지된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다시 누름으로써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우스는 회동식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한다. 상부 레버가 하향으로 변위될 때, 회동식 요소는 제1 스위칭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복원 요소는 스프링 및 재료 섬유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작동되는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 컴퓨터 마우스는 상벽, 하벽, 및 측벽을 갖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컴퓨터 마우스는 상벽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레버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에지에서 윤곽 곡선으로 연속하는 융기 면을 포함하여 손가락이 그 융기 면에 편안한 자세로 놓이게 된다. 상부 레벨은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만곡된 에지를 누름으로써 변위된다. 컴퓨터 마우스는 상벽 위에 위치된 스크롤 휠을 포함한다. 마우스는 사용자의 손이 사용되지 않는 상태 중에 상벽 위에 놓이게 수용되도록 파지 그립에서 유지된다. 장치는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상부 레버를 다시 누름으로써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작동되는 마우스는 상벽 및 하벽을 갖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마우스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부 레버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상벽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되지 않는 상태 중에는 상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하향 변위된다. 마우스는 상부 레버의 변위 조작 완료 후에 상부 레버를 정 위치 또는 정지 위치로 다시 재위치시키도록 인클로저 내에 위치되고 상부 레버에 결합되는 복수의 복원 요소를 포함한다. 복원 요소는 섬유 재료의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마우스는 복수의 스위칭 요소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변위되어 전기 스위칭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스위칭 요소를 작동시킨다. 마우스는 사용자의 손이 사용되지 않는 상태 중에 상벽 위에 위치되도록 파지 상태에서 유지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은 상부 레버의 융기 면에 위치되어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다시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부 레버를 조작한다.
특정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현재의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일반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러한 특정 실시예를 다양한 적용에 용이하게 변형 및/또는 조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반적인 본질을 완전히 밝힐 것이며, 그러한 조정 및 변형은 개시된 실시예의 등가물의 의미와 범위 내에서 이해되도록 의도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이나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 제한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대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떠오를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상측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우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마우스 장치의 전기 회로를 폐쇄하기 위한 작동 상태에서 스위칭 요소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마우스 장치의 전기 회로를 개방하기 위한 비작동 상태에서 스위칭 요소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 특징이 일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다른 도면에는 없다. 이는 각 특징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른 특징의 일부나 전부와 결합될 수 있을 때에만 편의상 이루어진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고,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되며,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작동되는 마우스를 개시하고 있다. 마우스는 손목-터널 효과와 손가락이 구부러짐을 방지하도록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융기 면을 갖는 상부 레버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그 융기 면에서 편안한 자세로 손가락을 놓게 되는 마우스를 개시한다. 상부 레버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눌려질 때 아래로 향하는 세장형 융기부를 상부 레버는 포함한다. 또한, 마우스는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다시 눌려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벽, 하벽, 및 한 쌍의 대향 측벽을 갖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상벽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상벽으로부터 하향 변위된다. 상부 레버는 지지 아암을 통해 상벽에 부착된다. 한 쌍의 복원 요소는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다. 한 쌍의 복원 요소는 제1 복원 요소 및 제2 복원 요소를 포함한다.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상부 레버에 연결된다.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상부 레버의 변위 조작 완료 후에 상부 레버를 정 위치(home position) 또는 정지 위치(rest position)로 다시 변위시키도록 각각 구성된다. 한 쌍의 스위칭 요소는 인클로저 내에 위치된다. 한 쌍의 스위칭 요소는 제1 스위칭 요소 및 제2 스위칭 요소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상부 레버에 연결된다. 상부 레버가 하향 변위될 때,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각각 작동된다. 상부 레버는 사용 상태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하기 위한 상면을 갖는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레버가 정 위치 또는 정지 위치로 이동될 때,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각각 작동 정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각각 작동되어 전기 회로를 폐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각각 작동 정지되어 전기 회로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유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서로 다른 유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섬유 재료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한다. 상부 레버가 하향 변위될 때, 플랫폼은 제1 방향으로 기울어져 제1 스위칭 요소 및 제2 스위칭 요소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랫폼은 제1 로드를 통해 제1 스위칭 요소에 연결된다. 플랫폼은 제2 로드를 통해 제2 스위칭 요소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스위칭 요소는 인클로저의 벽 내에 장착된 제1 블록에 동봉되고, 제2 스위칭 요소는 인클로저의 벽 내에 장착된 제2 블록에 동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상부 레버 사이에 부착된 스크롤 휠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레버는 거리만큼 분리된 두 개의 아암이다. 두 개의 아암은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포함한다.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서로 다른 조작을 실행하도록 변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벽에는 조작 중에 조명 또는 빛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 유닛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작동되는 마우스는 상벽, 하벽, 및 측벽을 갖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마우스는 상벽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레버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상벽으로부터 하향 변위된다. 마우스는 상부 레버의 움직임이 완료될 때에 상부 레버를 정지 위치 또는 정 위치로 다시 재위치시키도록 인클로저 내에 위치되고 상부 레버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복원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마우스는 한 쌍의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고, 스위칭 요소의 조작은 상부 레버의 변위에 의해 실행되어 전기적 스위칭 조작을 수행한다. 마우스는 사용자의 손이 정지 위치 시에 상벽 위에 위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부 레버의 조작 시에 상부 레버의 융기 면에 위치되도록 파지 그립에서 유지된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다시 누름으로써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우스는 회동식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한다. 상부 레버가 하향으로 변위될 때, 회동식 요소는 제1 스위칭 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1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복원 요소는 스프링 및 재료 섬유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작동되는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 컴퓨터 마우스 장치는 상벽, 하벽, 및 측벽을 갖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컴퓨터 마우스는 상벽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 레버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에지에서 윤곽 곡선으로 연속하는 융기 면을 포함하여 손가락이 그 융기 면에 편안한 자세로 놓이게 된다. 상부 레벨은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만곡된 에지를 누름으로써 변위된다. 컴퓨터 마우스는 상벽에 위치된 스크롤 휠을 포함한다. 마우스는 사용자의 손이 사용되지 않는 상태 중에 상벽 위에 놓이게 수용되도록 파지 그립에서 유지된다. 장치는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상부 레버를 다시 누름으로써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작동되는 마우스는 상벽 및 하벽을 갖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마우스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부 레버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상벽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사용되지 않는 상태 중에는 상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하향 변위된다. 마우스는 상부 레버의 변위 조작 완료 후에 상부 레버를 정 위치 또는 정지 위치로 다시 재위치시키도록 인클로저 내에 위치되고 상부 레버에 결합되는 복수의 복원 요소를 포함한다. 복원 요소는 섬유 재료 또는 스프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마우스는 복수의 스위칭 요소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변위되어 전기 스위칭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스위칭 요소를 작동시킨다. 마우스는 사용자의 손이 사용되지 않는 상태 중에 상벽 위에 위치되도록 파지 상태에서 유지된다. 사용자의 손가락은 상부 레버의 융기 면에 위치되어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다시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부 레버를 조작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상측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우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저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배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마우스 장치의 전기 회로를 폐쇄하기 위한 작동 상태에서 스위칭 요소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마우스 장치의 전기 회로를 개방하기 위한 비작동 상태에서 스위칭 요소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된 컴퓨터 마우스(100)는, 예를 들어 성형 플라스틱일 수 있고 상벽(72) 및 하벽(74)을 더 포함하는 인클로저(70)를 포함한다. 하벽(74)은, 컴퓨터 시각적 화면 조작을 위한 컴퓨터 마우스의 사용에서 주지된 바와 같이, 지지 표면에 놓이고 그 위에서 움직이도록 의도된다. 인클로저(90)는 대향 측벽(96)을 포함하여, 벽(92, 94, 및 96)은 사용자의 손이 편안한 자세로 상벽(92) 위에 있도록 파지 그립에서 유지되는 폐쇄된 인클로저(90)를 형성한다. 컴퓨터 마우스는 상벽(92)에 위치된 스크롤 휠(98)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레버(80)는 대향하는 스탠드오프(standoff)(84)에 의해 유지되는 인클로저(90)에 의해 지지되고, 스탠드오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벽(92)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하향 연장된다. 상부 레버(80)는 상벽(92) 위에 위치되고 그로부터 분리되며 손가락의 근위 지골을 이용하여 백 프레스에 의해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설계는 손가락을 구부릴 필요없이 사용자의 손바닥이 편안한 자세로 있게 한다. 컴퓨터 마우스는 융기된 전방부와 낮은 후방부를 가지면서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사용자는 손바닥이 마우스 장치의 상벽(92)에 똑바로 놓이는 방식으로 손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마우스 설계에 비해 손바닥의 빈 공간은 융기된 부분으로 채워지지 않는다. 또한, 마우스 장치는 스위칭 기능을 위해 사용되는 버튼/마이크로 스위치('81' 및 '8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작동되는 마우스는 상벽 및 대향 하벽을 갖는 인클로저를 포함한다. 마우스는 복수의 서로 인접한 상부 레버를 포함한다. 상부 레버는 상벽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 정지 위치로부터 하방향으로 분리된다. 상부 레버는 손가락의 근위 지골에 의해 하방향으로 변위된다. 마우스는 사용자의 손이 편안한 자세로 상벽 위에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부 레버의 융기 면에 위치되도록 파지 그립에서 유지되어,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백 프레스함으로써 조작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스위치(60)는 전기 접점(64)이 개방되게 유지되는 비작동 상태에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점(64)을 갖는 제1 스위치(60)는 힘 "F"가 손가락 근위 지골의 압력에 의해 상부 레버(80)에 가해질 때 폐쇄 위치에 있다. 손가락 압력 "F"가 제거되면, 전기 접점(64)은 스프링(66)이 비압축 상태로 상향 후퇴하여 개방 위치에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상부 레버(800)는 정지 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는 다수 세트의 스위칭 요소(60 및 62)를 스위칭하기 위해 2세트 이상의 레버(80)를 포함한다. 2세트 이상의 스위치(60, 62)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일한 기계적 배열을 갖는 복수의 레버(80)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된다.
개선된 인체 공학적 마우스 장치 구성으로 손가락을 구부릴 필요없이 사용자의 손바닥은 편안한 자세로 있을 수 있다. 설계 특징은 사용자의 손바닥 전체에 대한 하중을 용이하게 감소시켜서 마우스 사용의 얼룩과 압박을 최소화한다. 마우스 장치는 융기된 전방부와 낮은 후방부를 가지면서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사용자는 손바닥이 마우스의 상벽에 똑바로 놓이는 방식으로 손을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인체 공학적 마우스 장치 구성을 이용하여 손바닥의 빈 공간은 융기된 부분으로 채워지지 않게 되어, 손목-터널을 방지한다. 마우스 장치에서 레버의 기울기는 연장된 자세보다는 편안한 자세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현재의 지식을 적용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일반적인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러한 특정 실시예를 다양한 적용에 용이하게 변형 및/또는 조정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반적인 본질을 완전히 밝힐 것이며, 그러한 조정 및 변형은 개시된 실시예의 등가물의 의미와 범위 내에서 이해되도록 의도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이나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 제한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에서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 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특정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변형은 청구 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음의 청구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의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모든 특징 및 실시예의 모든 범위의 언급을 커버하는 것으로, 언어의 문제는 그 사이에 속할 수 있는 것으로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5)

  1. 상벽, 하벽, 및 한 쌍의 대향 측벽을 갖는 인클로저;
    상기 상벽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상기 상벽으로부터 하향 변위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을 통해 상기 상벽에 부착되는 복수의 상부 레버;
    상기 인클로저 내에 위치되고 제1 복원 요소 및 제2 복원 요소를 포함하는 한 쌍의 복원 요소로서, 상기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상기 복수의 상부 레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상기 복수의 상부 레버의 변위 조작 완료 후에 상기 복수의 상부 레버를 정 위치 또는 정지 위치로 다시 변위시키도록 각각 구성되는, 한 쌍의 복원 요소; 및
    상기 인클로저 내에 위치되고 제1 스위칭 요소 및 제2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는 한 쌍의 스위칭 요소로서, 상기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상기 복수의 상부 레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상기 복수의 상부 레버가 하향 변위될 때에 각각 작동되는, 한 쌍의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상벽은 상대적으로 융기된 전방부와 상대적으로 낮은 후방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레버는 에지에서 윤곽 곡선으로 연속하는 융기면을 포함하여 손가락이 상기 융기면에 편안한 자세로 놓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 레버는 사용 상태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 손가락의 근위 지골로 만곡된 에지를 누름으로써 변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레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아암에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상기 복수의 상부 레버가 정 위치 또는 정지 위치로 이동될 때에 각각 작동 정지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각각 작동되어 전기 회로를 폐쇄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각각 작동 정지되어 전기 회로를 개방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유형인,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요소와 제2 스위칭 요소는 서로 다른 유형인,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스프링인,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원 요소와 제2 복원 요소는 섬유 재료인,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랫폼은 제1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제1 스위칭 요소를 작동시키고, 상기 플랫폼은 제2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복수의 상부 레버가 하향 변위될 때에 상기 제2 스위칭 요소를 작동시키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제1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스위칭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플랫폼은 제2 로드를 통해 상기 제2 스위칭 요소에 연결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요소는 상기 인클로저의 하벽에 장착된 제1 블록에 동봉되고, 상기 제2 스위칭 요소는 상기 인클로저의 하벽에 장착된 제2 블록에 동봉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 레버 사이에 부착된 스크롤 휠을 더 포함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 레버는 거리만큼 분리된 2개의 아암이고, 상기 2개의 아암은 제1 아암 및 제2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서로 다른 조작을 실행하도록 변위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에는 조작 중에 조명 또는 빛을 제공하기 위한 조명 유닛이 장착되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회동식 요소(들)는 상부 레버 양자에 의해 공유되거나 독립적으로 사용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레버의 하향 이동은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요소를 작동시킬 수 있는,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KR1020197012188A 2013-12-14 2016-10-02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KR1022386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16183P 2013-12-14 2013-12-14
US15/280,029 2016-09-29
US15/280,029 US9627162B1 (en) 2013-12-14 2016-09-29 Finger activated mouse device/switching device
PCT/IB2016/055893 WO2018060760A1 (en) 2013-12-14 2016-10-02 A finger activated mouse device/switch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260A KR20190091260A (ko) 2019-08-05
KR102238619B1 true KR102238619B1 (ko) 2021-04-08

Family

ID=5816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188A KR102238619B1 (ko) 2013-12-14 2016-10-02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589749B1 (ko)
JP (1) JP6882459B2 (ko)
KR (1) KR102238619B1 (ko)
CN (1) CN108139793B (ko)
AU (1) AU2016425227B2 (ko)
BR (1) BR112019006273A2 (ko)
MY (1) MY198227A (ko)
PH (1) PH12019500682A1 (ko)
WO (1) WO2018060760A1 (ko)
ZA (1) ZA2019026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0757S1 (en) * 2016-08-12 2020-07-21 Qiankun Wu Finger activated switching device
US11288038B2 (en) * 2018-07-30 2022-03-29 John Holst, III System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using a peripheral device
CN109002194B (zh) * 2018-08-20 2021-10-29 湖州聚业孵化器有限公司 一种软件开发用鼠标
CN113012966B (zh) 2019-12-19 2023-12-19 明基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按键预压结构及按键组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159A (ja) * 2001-05-31 2002-12-13 Aoi:Kk マウス用指固定具及びポインティング用マウス、マウス用指固定具を備えたポインティング用マウス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402Y2 (ko) * 1987-07-28 1991-09-25
US5294758A (en) * 1992-04-06 1994-03-15 Prince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 assembly
US5549370A (en) * 1994-11-07 1996-08-27 Folsom; Mark F. Fiber-reinforced plastic springs with helical fiber wind
US5726683A (en) * 1995-08-09 1998-03-10 Midas Mouse International Pty. Ergonomic computer mouse
CN1189679A (zh) * 1997-01-31 1998-08-05 陈本康 按键开关
US6509891B1 (en) * 2000-02-09 2003-01-21 Logitech Europe S.A. Ergonomic mouse device
US7079110B2 (en) * 2001-04-30 2006-07-18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including a wheel assembly for scrolling an image in multiple directions
US7620915B2 (en) * 2004-02-13 2009-11-17 Ludwig Lester F Electronic document editing employing multiple cursors
CN101952791B (zh) * 2007-11-30 2013-09-18 雷蛇(亚太)私人有限公司 附多功能程控按钮的人体工学鼠标
US8300013B2 (en) * 2007-12-08 2012-10-30 Duc Phu Truong Mouse with a finger triggered sensor
GB2453003A (en) * 2008-04-14 2009-03-25 Steven Paul Jackson Tilting a mouse sideways to send additional commands
US8614664B2 (en) * 2009-11-09 2013-12-24 Primax Electronics Ltd. Multi-touch multi-dimensional mouse
TWI420349B (zh) * 2010-05-14 2013-12-21 Primax Electronics Ltd 可改變按鍵觸壓力量之滑鼠裝置
CN202102383U (zh) * 2011-05-18 2012-01-04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防水鼠标
CN202404542U (zh) * 2011-12-22 2012-08-29 深圳市多彩实业有限公司 侧边高度可调节的鼠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159A (ja) * 2001-05-31 2002-12-13 Aoi:Kk マウス用指固定具及びポインティング用マウス、マウス用指固定具を備えたポインティング用マウ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06273A2 (pt) 2019-07-02
US9589749B1 (en) 2017-03-07
MY198227A (en) 2023-08-15
KR20190091260A (ko) 2019-08-05
PH12019500682A1 (en) 2019-06-17
AU2016425227B2 (en) 2022-07-07
ZA201902675B (en) 2020-10-28
CN108139793B (zh) 2020-10-16
CN108139793A (zh) 2018-06-08
AU2016425227A1 (en) 2019-05-16
WO2018060760A1 (en) 2018-04-05
US9627162B1 (en) 2017-04-18
JP2020500347A (ja) 2020-01-09
JP6882459B2 (ja)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619B1 (ko) 손가락 작동식 마우스 장치
US9063587B2 (en) Computer input device with ergonomically formed and positioned actuators
JP5667002B2 (ja) コンピュータの入力装置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KR20100106435A (ko) 다중-프로그램 가능 버튼들을 구비한 인체공학적 마우스 장치
WO2002067241A1 (en) Computer mouse
KR20040081697A (ko) 마우스식 터치패드
JP6640873B2 (ja) 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TWI499942B (zh) 滑鼠搖擺按鍵結構
JP2005524897A (ja) 人間工学的形状のコンピュータ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3933848B2 (ja) マウス
US6781573B1 (en) Ergonomic mouse
EP3526656B1 (en) A finger activated mouse device/switching device
JP3146387U (ja) ホイール付きマウスのホイール回転モード切換装置
JP5259735B2 (ja) 人間工学的マウス
US11256345B2 (en) Hand operated computer input device with palm heel support
CN218525085U (zh) 臂式控制鼠标
KR101194930B1 (ko) 인체공학적 키보드 또는 노트북
KR20010018621A (ko) 컴퓨터용 마우스
AU2002234245B2 (en) Computer mouse
KR20220042267A (ko) 앞부분 버튼 컴퓨터 마우스
KR100759486B1 (ko) 커서의 빠른 수평이동이 가능한 마우스
KR200188851Y1 (ko) 컴퓨터 조작용 마우스
JP2009020875A5 (ko)
JP5209024B2 (ja) スイッチ位置の調整が可能なマウス
KR20190109161A (ko) 두 개의 휠과 길이 가변형 지압부가 구비된 지압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