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949Y1 - 컴퓨터 마우스 - Google Patents

컴퓨터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949Y1
KR200220949Y1 KR2020000032093U KR20000032093U KR200220949Y1 KR 200220949 Y1 KR200220949 Y1 KR 200220949Y1 KR 2020000032093 U KR2020000032093 U KR 2020000032093U KR 20000032093 U KR20000032093 U KR 20000032093U KR 200220949 Y1 KR200220949 Y1 KR 200220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ouse
computer mouse
cursor
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우
Original Assignee
최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우 filed Critical 최재우
Priority to KR2020000032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9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94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마우스(MOUS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우스의 사용시 이용자의 손끝감각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마우스 하부면에 설치된 마우스 볼(BALL)의 설치위치를 변형하여 그 작동을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면 전단부에는 좌측에 커서지정버튼(102)과 우측의 기능버튼(103)이 형성되었으며, 하부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104)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360도 회전되면서 모니터(미도시)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볼(105)이 설치된 컴퓨터 마우스(101)에 있어서,
상기 볼(105)의 위치는 오른손잡이는 하부면의 우측전단부(107)에, 왼손잡이는 하부면 좌측전단부(108)에, 오른손 및 왼손잡이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중앙전단부(109)에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컴퓨터 마우스{MOUSE OF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에서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컴퓨터 마우스에 관한것으로서, 상기 컴퓨터 마우스의 작동으로 모니터의 커서의 움직임을 이용자가 정밀하고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으며, 컴퓨터 마우스의 최소한의 이동으로 화면에 나타나는 커서의 움직임을 최대한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컴퓨터 마우스(1)의 구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면 전단부에는 좌측에 커서지정버튼(2)과 우측의 기능버튼(3)이 형성되었으며, 하부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4)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360도 회전되면서 모니터(미도시)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볼(5)이 설치되었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 마우스1는 모니터와 전선(6)으로 연결되어있다.
이와같은 구성된 컴퓨터 마우스를 사용할 때는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엄지손가락과 네번째 손가락을 각각 컴퓨터 마우스(1)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컴퓨터 마우스(1)의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도록 쥐고, 두번째 손가락과 세번째 손가락을 각각 커서지정버튼(2)과 기능버튼(3)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평평한 바닥면이나 패드면에 상기 컴퓨터 마우스(1)의 하부면을 접촉한 상태로 이동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컴퓨터 마우스(1)의 하부면 중앙부에 설치된 볼(5)은 바닥면이나 패드면의 마찰력으로 자유로이 회전되면서 컴퓨터 마우스(1)와 같이 이동되었다.
그리고 상기 볼(5)의 움직이에 따라서 모니터에 나타난 커서의 움직임이 제어되는 것이었다.
즉, 볼(5)의 움직임에 따라 모니터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커서를 놓고, 커서지정버튼(2)을 눌러주면 그 위치가 모니터 상에서 커서의 위치가 되는 것이며, 또한 그 위치에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클릭하여 시행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이 작동하는 일반적인 컴퓨터 마우스(1)는 볼(5)이 하부면의 중앙부에 위치하므로서, 상기 볼(5)의 작동시 컴퓨터 마우스(1)전체를 이동해야 함은 물론이고, 컴퓨터 마우스(1) 하부면 전체를 고루 수펑상태로 받쳐주지 못하는 바닥이나 패드에서는 상기 볼(5)의 정확한작동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컴퓨터 그래픽과 게임등 정밀성을 요하는 작업에는 비능률적이였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컴퓨터 마우스 볼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컴퓨터 마우스의 사용을 편리하게 함은 물론이고 볼의 작동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컴퓨터 마우스의 사시도와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와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첫번째 응용을 나타낸 사시도와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두번째 응용을 나타낸 사시도와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과 종래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
100 : 컴퓨터 마우스 102 : 커서지정버튼
103 : 기능버튼 104 : 홀
105 : 볼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 및 실시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면 전단부에는 좌측에 커서지정버튼(102)과 우측의 기능버튼(103)이 형성되었으며, 하부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104)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360도 회전되면서 모니터(미도시)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볼(105)이 설치된 컴퓨터 마우스(101)에 있어서,
상기 볼(105)의 위치는 하부면의 우측전단부(107)에 설치한다.
상기와같이 형성된 것은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형성한 것이고, 도 3과 같이 왼손잡이를 기준할 때는 상기 볼(105)의 위치를 하부면의 좌측전단부(108)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볼(105)의 위치를 도 4와 같이 하부면의 중앙전단부(109)에 설치하므로서, 오른손잡이는 물론이고 왼손잡이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같이 볼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마우스에 내장된 커서지정버튼(102)과 기능버튼(103)의 스위치(미도시)를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변경하며, 볼(105)의 위치변경에 따른 컴퓨터 마우스(101)내의 전자장치는 단순히 위치변경으로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냑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 4 의 고안과 기존의 컴퓨터 마우스와 비교하여 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컴퓨터 마우스를 손으로 쥐상태에서 컴퓨터 마우스(101)와 기존의 컴퓨터 마우스(1)를 일정한 거리를 움직이면, 기존의 컴퓨터 마우스(1)의 볼(5)이 이동한 길이'L1'과 본 고안인 컴퓨터 마우스(101)의 볼(105)이 이동한 길이'L2'가 같다. 그러나 기존의 컴퓨터마우스(1)는 마우스전체를 이동시켜야만하고 본 고안인 컴퓨터마우스(101)는 볼(105)이 위치한 앞부분만 움직여주면된다.
그리고 인체공학적으로 손가락으로 사용되는 물건은 집게손가락으로 그 움직이을 통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기 볼(105)은 컴퓨터 마우스(101)를 사용하고자 쥐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 즉 집게손가락 끝부분의 밑에 있기 때문에 손끝의 감각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고, 작동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컴퓨터 마우스의 작동시 볼의 움직임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통제하므로서, 컴퓨터 그래픽 및 게임등 정밀성을 요하는 작업을 무난히 행할 수 있고, 볼의 이동에 따라 컴퓨터 마우스 전체를 이동하지 않아도 되므로서, 컴퓨터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면 전단부에는 좌측에 커서지정버튼(102)과 우측의 기능버튼(103)이 형성되었으며, 하부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104)에서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360도 회전되면서 모니터(미도시)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볼(105)이 설치된 컴퓨터 마우스(101)에 있어서,
    상기 볼(105)의 위치는 오른손잡이는 하부면의 우측전단부(107)에, 왼손잡이는 하부면 좌측전단부(108)에, 오른손 및 왼손잡이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중앙전단부(109)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마우스.
KR2020000032093U 2000-11-16 2000-11-16 컴퓨터 마우스 KR200220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93U KR200220949Y1 (ko) 2000-11-16 2000-11-16 컴퓨터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093U KR200220949Y1 (ko) 2000-11-16 2000-11-16 컴퓨터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949Y1 true KR200220949Y1 (ko) 2001-04-16

Family

ID=7308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093U KR200220949Y1 (ko) 2000-11-16 2000-11-16 컴퓨터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9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4702A (en) Pointing device with wrap-around buttons
US6795057B2 (en) Facile ergonomic computer pointing device
US7570247B2 (en) Modular assembly for a self-indexing computer pointing device
US6954198B2 (en) Ergonomically shaped computer pointing device
JPH1039989A (ja) 静電容量型座標入力パッド用入力ペン
JP2005524897A5 (ko)
KR200168773Y1 (ko) 마우스장치
US7321358B2 (en) Pointing stick with function pad for two handed operation
KR200220949Y1 (ko) 컴퓨터 마우스
JPH11296296A (ja) 手持ち式制御装置
WO2008156242A1 (en) Computer mouse
US6034627A (en) Computer input device
US20080316172A1 (en) Manual input device
KR19990037802A (ko) 컴퓨터용마우스장치
KR20000014390U (ko) 키보드 부착형 트랙볼
KR200274062Y1 (ko) 마우스
JP3096524U (ja) マウス
KR200241465Y1 (ko) 마우스 대체용 펜타입 입력 장치
KR200209274Y1 (ko) 마우스
KR200189861Y1 (ko) 컴퓨터용 마우스
KR200417191Y1 (ko) 파지 및 버튼 조작이 용이한 컴퓨터용 마우스
JP3052618U (ja) 手持ち式制御装置
KR200244370Y1 (ko) 컴퓨터용 마우스
KR20010076799A (ko) 컴퓨터 입력 장치
KR200319971Y1 (ko) 평판형상의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