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7149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7149A
KR20220167149A KR1020210076324A KR20210076324A KR20220167149A KR 20220167149 A KR20220167149 A KR 20220167149A KR 1020210076324 A KR1020210076324 A KR 1020210076324A KR 20210076324 A KR20210076324 A KR 20210076324A KR 20220167149 A KR20220167149 A KR 20220167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frame
discharg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준
조상기
김대동
김석균
서용호
손길수
이부연
이창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6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7149A/ko
Publication of KR20220167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에 인렛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인렛에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토출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개구로,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제1아웃렛부와, 상기 제1아웃렛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제2아웃렛부를 포함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제2아웃렛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1아웃렛부에서 토출되는 공기 보다 낮은 속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균일한 유속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 및/또는 토출 시키도록 하우징 내에 마련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하우징 전방부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토출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과 토출 플레이트는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하우징 및 토출 플레이트와 각각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 등의 구성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 프레임이 하우징 및 토출 플레이트와 각각 결합되는 경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각 토출되는 부분에서 다른 속도로 토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토출부에 이슬이 맺힐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토출되는 각 공간에서 공기의 유속이 균일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은 토출 플레이트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에 인렛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인렛에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토출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개구로,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제1아웃렛부와, 상기 제1아웃렛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제2아웃렛부를 포함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제2아웃렛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1아웃렛부에서 토출되는 공기 보다 낮은 속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아웃렛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에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토출홀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송풍된 공기가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복수의 홀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형성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를 통하는 공기의 속도를 낮추도록 상기 개구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의 흐름을 간섭하는 간섭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리브는 제1간섭리브이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제1간섭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포트 및 상기 토출포트를 가로지르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간섭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간섭리브는 상기 개구의 하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토출포트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토출홀 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토출포트는 육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간섭리브는 상기 육각형 구조의 꼭지점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제1아웃렛부와 연결되는 제1유로와, 상기 커버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 및 상기 토출 플레이트와 상기 제1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3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제3유로의 상부로 흐르는 상기 송풍된 공기의 유속 변화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토출 플레이트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개구의 위에 형성되며 테이퍼지거나 라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토출부와, 상기 커버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토출부의 바깥둘레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을 향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 하부에 마련되는 결합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결합바와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바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고, 공기가 흐르는 인렛과 아웃렛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아웃렛부를 개폐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토출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으로, 상기 송풍된 공기가 상기 토출 플레이트로 흐르는 프레임 개구와, 상기 공기가 아웃렛부를 흐르는 속도 보다 상기 프레임 개구를 흐르는 속도가 느리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을 간섭하는 간섭리브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리브는 제1간섭리브이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간섭리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토출홀 보다 큰 면적을 갖는 토출포트 및 상기 토출포트를 가로지르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간섭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포트는 육각형 구조를 갖고, 상기 제2간섭리브는 상기 육각형 구조의 꼭지점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로의 상부로 흐르는 상기 송풍된 공기의 유속 변화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토출 플레이트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토출부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토출부의 바깥둘레에서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마련되는 결합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결합바와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바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부에 마련되는 인렛과, 하부에 마련되는 아웃렛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인렛에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토출 플레이트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아웃렛에서 보다 상기 토출 플레이트에서 낮은 속도로 토출되도록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토출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 플레이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으로, 상기 아웃렛의 일부를 커버하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부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아웃렛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에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송풍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토출홀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송풍된 공기가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복수의 홀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형성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를 통하는 공기의 속도를 낮추도록 상기 개구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의 흐름을 간섭하는 간섭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균일하게 하여 토출 플레이트 및 그 주변 구성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토출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커버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버 프레임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프레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최소풍량 모드에서 공기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직진풍 모드에서 공기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토출 플레이트와 커버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커버 프레임과 하우징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커버 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하우징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토출 플레이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대해 설명하나, 본 개시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하우징(10, 20)과, 커버 프레임(100)과, 토출 플레이트(12), 블레이드(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 20)은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 20)에는 인렛(11)과 아웃렛(70)이 형성될 수 있다. 인렛(11)과 아웃렛(70)은 하우징(10, 20)의 외면 및/또는 외벽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렛(11)은 하우징(10, 20)의 상부에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고, 아웃렛(70)은 하우징(10, 20)의 하부에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아웃렛(70)은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나가도록 개구될 수 있다. 아웃렛(70)은 하우징(10, 20)의 개구(70)로 지칭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00)은 하우징(10, 20) 및 토출 플레이트(12)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00)은 하우징(10, 20)과 토출 플레이트(1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 20), 커버 프레임(100) 및 토출 플레이트(12)는 X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00)은 하우징(10, 20)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 커버 프레임(100)과 하우징(10, 20)이 별도로 도시되었으나, 일체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 20)이 커버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커버 프레임(100)은 단순히 프레임(10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버 프레임(100)은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사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토출 플레이트(12)는 복수의 홀(1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홀(13)은 하우징(10, 20)의 개구(70)(즉, 아웃렛(7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13)은 하우징(10, 20) 내의 공기가 블레이드(14)에 의해 개폐되는 아웃렛(70)의 일부로부터 토출되는 경우 보다 저속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방법을 저속풍 모드, 최소 풍량 모드 또는 무풍모드로 지칭할 수 있다. 다만 토출방법의 이름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사용자는 직접풍을 맞지 않되, 공기조화의 목적을 이룰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홀(13)은 토출 플레이트(12)의 전(全) 영역에 분포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홀(13)은 토출 플레이트(12)의 특정 영역에 분포될 수도 있다.
토출 플레이트(12)는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사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14)는 하우징(10, 20)의 개구(70)(즉, 아웃렛(70))의 일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14)는 하우징(10, 20)을 개폐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14)가 개방되면 하우징 개구(70)의 일부를 통해 직풍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서 공기가 저속풍 모드, 최소풍량 모드 또는 무풍모드로 토출되는 경우, 블레이드(14)는 하우징 개구(70)를 폐쇄한 상태일 수 있다. 블레이드(14)는 복수의 홀(14b)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최소풍량 모드에서 공기는 블레이드(14)의 복수의 홀(14b)을 통해서도 토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하우징(10, 20)과, 토출 플레이트(12)와, 커버 프레임(100)과, 송풍팬(30)과, 열교환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 20)은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0)은 하우징(10, 20)의 전방, 양 측방, 상부 및 하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하우징(10)의 상면 및/또는 상벽에는 인렛(11)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10)은 전면부(10a), 상면부(10c), 양 측면부(10b) 및 유로 형성부(1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0)의 전면부(10a)는 후술하는 최소풍량모드 또는 무풍모드에서 제2유로(82) 및/또는 제3유로(83)에 있던 공기가 하우징(10, 20) 외부로 토출되지 못하고 송풍팬(30)으로 다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10d)는 제1하우징(10)의 전면부(10a)로부터 리세스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로 형성부(10d)는 제1하우징(10)의 전면부(10a)와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유로 형성부(10d)는 함몰부(10d)로 지칭될 수 있다. 유로 형성부(10d)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 프레임(100)과 결합되어 제2유로(82)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10d)는 커버 프레임(100)의 개구(112)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10)의 전면부(10a)는 커버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하우징(20)은 하우징(10, 20)의 후방 및 하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하우징(20)은 제1유로(81)를 형성하는 제1유로 가이드(21)와, 송풍팬(30)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미도시)가 장착되는 구동장치 장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장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구동장치 장착부(22)는 제2하우징(20)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토출 플레이트(12)는 커버 프레임(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토출 플레이트(12)가 하우징(10, 20)에 직접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 프레임(100)은 제1하우징(10)의 전면부(10a)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프레임(100)은 토출 플레이트(12)의 후방에서 토출 플레이트(12)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 프레임(100)은 하우징(10, 20)과 토출 플레이트(12)를 결합시키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10, 20)과 토출 플레이트(12)는 커버 프레임(100) 없이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30)과 열교환기(40)는 하우징(10, 2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직풍모드 또는 최소풍량모드에서 공기가 하우징(10, 2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40)는 인렛(11)을 통해 하우징(10, 2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송풍팬(30)은 하우징(10, 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0)은 하우징(10, 2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길이 방향을 가지는 크로스 플로우 팬일 수 있다. 송풍팬(30)은 인렛(11)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아웃렛(70)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열교환기(40)는 송풍팬(30)의 전방과 상방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0)는 송풍팬(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인렛(11)과 송풍팬(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인렛(11)으로 흡입된 후, 열교환기(40)와 열교환 한 후, 하우징 개구(70), 커버 프레임(100) 및/또는 토출 플레이트(12)를 거쳐 하우징(10, 2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40)의 하부에는 열교환기(40)에 응축되는 수분이 고일 수 있도록 드레인 패널(60)이 구비될 수 있다. 드레인 패널(6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10, 20)의 외부로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와 연결되어, 하우징(10, 20)의 외부로 열교환기(40)에서 응축되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드레인 패널(60)에는 송풍팬(30)의 송풍 방향을 결정하는 스태빌라이저(50)가 장착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50)는 드레인 패널(60)과 함께 송풍팬(30)의 흡입 공기 유로와 토출 공기 유로를 구분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50)는 공기를 횡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핀(fin, 51)을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복수의 핀(51)은 좌우 방향 회전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횡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저(50)는 후에 설명하는 제1유로가이드(21)와 함께 제1유로(8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21)는 제1유로(81)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50)는 제1유로(8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커버 프레임(1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버 프레임(100)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커버 프레임(100)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프레임(100)은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및 제3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10)은 X방향을 따라 토출 플레이트(12)와 제1하우징(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제1프레임(110)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프레임(120)은 제1프레임(110)의 하단으로부터 -X방향(즉,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프레임(130)은 제1프레임(110)의 양 측단 및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X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및 제3프레임(130)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0)은 베이스(111), 지지돌기(111a), 개구(112), 간섭리브(113, 114), 토출포트(115), 결합홀(116) 및 복수의 토출홀(117)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1)는 제1프레임(110)이 토출 플레이트(12)를 향하는 면 및/또는 하우징(10, 20)의 전면부(10a)를 향하는 면이 될 수 있다.
지지돌기(111a)는 토출 플레이트(12)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돌기(111a)는 제1프레임(110)의 베이스(111)로부터 토출 플레이트(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지지돌기(111a)는 토출 플레이트(12)와 제1프레임(110)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하여 제2유로(82)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돌기(111a)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돌기(111a)는 하우징 개구(7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돌기(111a) 각각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개구(112)는 베이스(111)에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구(112)는 송풍팬(30)을 통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 플레이트(12)를 향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개구(112)는 베이스(111)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개구(112)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간섭리브(113, 114)는 개구(112)를 지나 토출 플레이트(12) 측으로 흐르는 공기를 간섭할 수 있다. 간섭리브(113, 114)는 공기의 흐름을 간섭함으로써 토출 플레이트(12) 측으로 향하는 공기의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개구(112)를 흐르는 공기의 속도가 느리게 되므로 토출 플레이트(12)의 복수의 홀(13)로 향하는 공기의 속도가 균일해질 수 있으므로 이슬 맺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간섭리브(113, 114)는 제2유로(82)에서 Y방향(예: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는 공기가 토출 플레이트(12)를 향해 흐르는 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간섭리브(114)는 토출포트(115)를 형성하는 제1간섭리브(113)의 꼭지점을 가로질러 서로 연결함으로써 개구(112)를 지나 토출 플레이트(12) 측으로 흐르는 공기 중 동일한 높이에서 Y방향을 따라 분포되는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흐르는 것을 간섭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에서 외부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토출되는 모든 영역에서 균일할 수 있고, 공기가 토출되는 복수의 영역 간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플레이트(12) 및 커버 프레임(10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간섭리브(113, 114)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간섭리브(113, 114)는 제1간섭리브(113)와 제2간섭리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간섭리브(113)는 허니콤 형상으로 마련되는 토출포트(115)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간섭리브(113)는 토출포트(115)가 육각형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간섭리브(113)는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제1간섭리브(113)는 서로 연결되어 육각형 형상을 만들 수 있다. 다만,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포트(115)의 형상은 상기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형, 사각형 등으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간섭리브(113)는 개구(112)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간섭할 수 있다.
제2간섭리브(114)는 제1간섭리브(113)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간섭리브(114)는 제1간섭리브(113)가 형성하는 육각형의 꼭지점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제2간섭리브(114)는 Y방향 또는 -Y방향(예: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간섭리브(114)는 개구(112) 및/또는 제1간섭리브(113)가 형성되는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송풍팬(30)에서 송풍된 공기는 제1유로(81) 및 제2유로(82)로 흐를 수 있는데, 제1유로(81) 및 송풍팬(30)에 인접한 제2유로(82)의 영역에서는 공기의 속도가 제2유로(82)의 상부 보다 빠를 수 있다. 따라서, 제2간섭리브(114)는 제2유로 (82)내의 빠른 속도의 공기가 느려지도록 공기의 흐름을 간섭할 수 있다. 또한, 제2간섭리브(114)는 제1프레임(110) 및/또는 제1간섭리브(113)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간섭리브(113) 및 제2간섭리브(114)를 통해 커버 프레임(100)의 개구(112)를 흐르는 공기의 속도가 느려지므로, 토출 플레이트(1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균일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플레이트(12)에서 공기조화기에서 외부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토출되는 모든 영역에서 균일할 수 있고, 공기가 토출되는 복수의 영역 간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플레이트(12)에 이슬이 맺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홀(116)은 토출 플레이트(12)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6)은 토출 플레이트(12)의 결합돌기(12b)와 결합될 수 있다(도 12 참조). 결합홀(116)은 관통홀 및/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홀(116)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결합홀(116) 및 결합돌기(12b)는 커버 프레임(110)과 하우징(1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17)은 제1프레임(110)의 베이스(111)에서 개구(112)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17)은 하우징의 개구(70)(즉, 아웃렛(70)) 및 토출포트(115)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17)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는 커버 프레임(100)의 개구(112)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 보다 느릴 수 있다. 제1프레임(110)의 복수의 토출홀(117)은 제2프레임(120)의 복수의 토출홀(121)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하우징(10, 2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하우징 개구(70)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복수의 토출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21)은 하우징의 개구(70)(즉, 아웃렛(70))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21)은 하우징(10, 20) 내의 공기가 블레이드(14)에 의해 개폐되는 아웃렛(70)의 일부로부터 토출되는 경우 보다 저속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방법을 저속풍 모드 또는 최소 풍량 모드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사용자는 직접풍을 맞지 않되, 공기조화의 목적을 이룰 수 있어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21)은 제2프레임(120)의 전(全) 영역에 분포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토출홀(121)은 제2프레임(120)의 특정 영역에 분포될 수도 있다.
커버 프레임(100)에 마련되는 복수의 토출홀(117, 121)을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의 최소풍량 모드에서 토출 플레이트(12)의 복수의 홀(13) 중 개구(112)의 대응영역의 복수의 홀(13)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속도와, 토출 플레이트(12)의 복수의 홀(13) 중 제1프레임(110)의 복수의 토출홀(117)이 형성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의 복수의 홀(13)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속도와, 제1아웃렛부(71)에서 블레이드(14)의 복수의 홀(14b)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속도와, 제2아웃렛부(72)에서 복수의 토출홀(12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균일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서 외부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균일하므로, 공기가 토출되는 복수의 영역 간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즉, 공기가 토출되는 복수의 영역 간의 온도가 균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플레이트(12), 블레이드(14) 및/또는 커버 프레임(10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최소풍량모드에서 공기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아웃렛(7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웃렛(70)은 하우징(10, 20)에 형성될 수 있다. 아웃렛(70)은 제1아웃렛부(71)와 제2아웃렛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최소풍량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최소풍량 모드에서 블레이드(14)는 제1아웃렛부(71)를 폐쇄시킬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0에서 제1아웃렛부(71)는 폐쇄된 상태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유로(81), 제2유로(82) 및 제3유로(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유로(81)는 송풍팬(30)에서 송풍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아웃렛(70)까지 송풍된 공기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제1유로(81)는 스태빌라이저(50) 및 제1유로가이드(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유로가이드(21)는 제1유로(81)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저(50)는 제1유로(81)의 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유로(81)는 송풍팬(30) 및 제1아웃렛부(7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유로(81)는 제2유로(82)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로(82)는 커버 프레임(100)과 하우징(10, 20) 또는 드레인 패널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로(82)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제2유로(82)는 제3유로(83)와 연결될 수 있다. 제3유로(83)는 커버 프레임(100)과 토출 플레이트(1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커버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가이드(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18)는 커버 프레임(100)에 포함될 수 있다. 가이드(118)는 제1프레임(110)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18)는 제1프레임(110)의 개구 형성부(112a)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최소풍량 모드에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인렛(11)에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40)와 열교환하고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될 수 있다. 송풍된 공기는 제1유로(81) 및 제2유로(82)로 흐를 수 있다. 최소풍량모드에서는 블레이드(14)가 제1아웃렛부(71)를 폐쇄하지만 블레이드(14)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14b)를 통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의 복수의 홀(14b)은 토출 플레이트(12)의 복수의 홀(13)과, 커버 프레임(100)의 복수의 토출홀(117, 121)과 같거나 유사한 크기일 수 있다. 제1유로(81)를 지나 블레이드(14)의 복수의 홀(14b)로 토출되지 못한 공기는 제2유로(82)로 흐를 수 있다. 제2유로(82)의 공기는 커버 프레임(100)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117, 121)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흐르거나, 제2유로(82)의 상측으로 흐를 수 있다. 제2유로(82)의 상측으로 흐른 공기는 토출포트(115)를 지나 제3유로(83)로 흐를 수 있다. 제3유로(83)로 흐른 공기는 토출 플레이트(12)의 중간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13)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흐르거나, 제3유로(83)의 상부로 흐를 수 있다. 제3유로(83)의 상부로 흐른 공기는 토출 플레이트(12)의 상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13)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흐를 수 있다.
제3유로(83)는 상측(Z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가이드(118)는 제3유로(83)의 상부로 흐르는 공기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118)는 테이퍼지거나 라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18)는 돌출된 형상이 아니고 테이퍼진 형상이므로 제3유로(83)가 상부로 급격히 좁아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이드(118)를 통해 제3유로(83)의 넓이가 상부로 갈수록 완만하게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제3유로(83)의 상부로 흐르는 공기의 속도 변화가 적으므로, 토출 플레이트(12) 등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직진풍 모드에서 공기 흐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소풍량 모드는 블레이드(14)가 제1아웃렛부(71)을 폐쇄했을 때의 동작 상태를 의미한다. 직진풍 모드는 블레이드(14)가 제1아웃렛부(71)를 개방하며, 송풍팬(30)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제1아웃렛부(71)의 전방으로 가이드(118)하는 동작상태를 의미한다. 직진풍 모드는 공기를 제1아웃렛부(71)의 하방으로 가이드(118)하는 동작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토출 플레이트(12)와 커버 프레임(1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출 플레이트(12)는 복수의 홀(13)이 형성되는 토출부(12a)와, 토출부(12a)의 외곽 둘레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2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12b)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12b)는 토출 플레이트(12)의 외곽라인에서 커버 프레임(1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결합돌기(12b)는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결합돌기(12b)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결합돌기(12b)는 커버 프레임(100)에 마련되는 결합홀(116)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홀(116)은 제1프레임(110)의 외곽라인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16)은 결합돌기(12b)와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 플레이트(12)와 커버 프레임(10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결합돌기(12b)와 결합홀(116)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사용자는 토출 플레이트(12)를 필요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커버 프레임(100)과 하우징(10, 2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커버 프레임(100)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에서 하우징(10, 20)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D 부분을, 도 15는 도 13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프레임(100)은 하우징(10, 20)과 결합되도록 결합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19)는 하우징(10, 2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결합부(119)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부(119)는 커버 프레임(100)의 개구(112)의 외곽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119)는 하우징(10, 20)의 결합바(15)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19)는 홀(119a)을 이용하여 결합바(15)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 20)은 결합바(1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바(15)는 하우징(10, 20)은 전면부(10a) 및/또는 에 함몰부(10d)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 20)의 결합바(15)는 커버 프레임(100)의 결합부(119)와 대응되는 개수, 형상 및/또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바(15)는 함몰부(10d)의 하부에 복수로 형성되거나, 전면부(10a)의 상부에 마련되는 홀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0, 20)의 결합바(15)와 커버 프레임(100)의 결합부(119)를 통해 하우징(10, 20)과 커버 프레임(10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공기조화기
10, 20: 하우징
30: 송풍팬
70: 개구
100; 커버 프레임
110: 제1프레임
120: 제2프레임
130: 제3프레임

Claims (20)

  1. 상부에 인렛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인렛에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블레이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토출 플레이트;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와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를 커버하는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개구로,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개폐되는 제1아웃렛부와, 상기 제1아웃렛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제2아웃렛부를 포함하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제2아웃렛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를 커버하고, 상기 제1아웃렛부에서 토출되는 공기 보다 낮은 속도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아웃렛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에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토출홀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송풍된 공기가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복수의 홀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형성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를 통하는 공기의 속도를 낮추도록 상기 개구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의 흐름을 간섭하는 간섭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리브는 제1간섭리브이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개구에서 상기 제1간섭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포트; 및
    상기 토출포트를 가로지르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간섭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섭리브는 상기 개구의 하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포트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토출홀 보다 큰 면적을 갖는 공기조화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포트는 육각형 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섭리브는 상기 육각형 구조의 꼭지점을 연결시키는 공기조화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제1아웃렛부와 연결되는 제1유로;
    상기 커버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 및
    상기 토출 플레이트와 상기 제1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제3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제3유로의 상부로 흐르는 상기 송풍된 공기의 유속 변화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토출 플레이트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개구의 위에 형성되며 테이퍼지거나 라운딩되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토출부와, 상기 커버 프레임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토출부의 바깥둘레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을 향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버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 하부에 마련되는 결합바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결합바와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바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송풍팬을 수용하고, 공기가 흐르는 인렛과 아웃렛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아웃렛부를 개폐하는 블레이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마련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토출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으로, 상기 송풍된 공기가 상기 토출 플레이트로 흐르는 프레임 개구와, 상기 공기가 아웃렛부를 흐르는 속도 보다 상기 프레임 개구를 흐르는 속도가 느리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을 간섭하는 간섭리브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리브는 제1간섭리브이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간섭리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토출홀 보다 큰 면적을 갖는 토출포트; 및
    상기 토출포트를 가로지르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간섭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포트는 육각형 구조를 갖고,
    상기 제2간섭리브는 상기 육각형 구조의 꼭지점을 연결시키는 공기조화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유로의 상부로 흐르는 상기 송풍된 공기의 유속 변화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토출 플레이트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토출부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토출부의 바깥둘레에서 상기 프레임을 향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마련되는 결합바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상기 하우징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결합바와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바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상부에 마련되는 인렛과, 하부에 마련되는 아웃렛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인렛에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송풍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송풍팬;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는 토출 플레이트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된 공기가 상기 아웃렛에서 보다 상기 토출 플레이트에서 낮은 속도로 토출되도록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토출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 플레이트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프레임으로, 상기 아웃렛의 일부를 커버하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부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하는 커버 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아웃렛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에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송풍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토출홀이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송풍된 공기가 상기 토출 플레이트의 복수의 홀을 향해 흐르도록 상기 제1프레임에 형성되는 개구; 및
    상기 개구를 통하는 공기의 속도를 낮추도록 상기 개구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의 흐름을 간섭하는 간섭리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210076324A 2021-06-11 2021-06-11 공기조화기 KR20220167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324A KR20220167149A (ko) 2021-06-11 2021-06-11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324A KR20220167149A (ko) 2021-06-11 2021-06-11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149A true KR20220167149A (ko) 2022-12-20

Family

ID=8453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324A KR20220167149A (ko) 2021-06-11 2021-06-11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71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200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WO2009054316A1 (ja) 天井埋込型の空気調和機
KR20070060875A (ko) 공기조화기
JP6475040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WO201922987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756579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5024225A (ja) 空気調和機
KR20220167149A (ko) 공기조화기
JPH1082550A (ja) 空気調和機
KR101474499B1 (ko) 공기조화기
KR100517598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JPH03117828A (ja) 空気調和機
JP4921134B2 (ja) 空気調和機
JP2010048468A (ja) 空気調和機
KR100432744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조
JPH11141905A (ja) 空気調和機
JP6688370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4905033B2 (ja) ファン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362767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CN113614465A (zh) 空调机的室内机
JPH0831297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0697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3739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327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유동구조
KR20150049210A (ko) 공기조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