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896A -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896A
KR20220165896A KR1020210074494A KR20210074494A KR20220165896A KR 20220165896 A KR20220165896 A KR 20220165896A KR 1020210074494 A KR1020210074494 A KR 1020210074494A KR 20210074494 A KR20210074494 A KR 20210074494A KR 20220165896 A KR20220165896 A KR 20220165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aluminum
gas
aluminum bille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102021007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5896A/ko
Publication of KR2022016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9/00Cooling or heating work or parts of the extrusion press; Gas treatment of work
    • B21C29/003Cooling or heating of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3/00Feeding extrusion presses with metal to be extruded ; Loading the dummy b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Of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빌렛을 압출하여 성형품을 생산하는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 빌렛(B)을 가열하는 가열기(100)와; 상기 가열기(100)에서 가열되어 배출되는 알루미늄 빌렛(B)을 절단하는 절단기(200)와; 절단된 알루미늄 빌렛(B)을 압출하는 압출기(300)와; 압출된 성형품(A)을 파레트(P)에 적재하는 적재기(400)와; 상기 가열기(100), 절단기(200), 압출기(300) 및 적재기(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기(100)는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가열로(110)의 선단과 후단에 구비되는 게이트(120)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120)는 상기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에 대응하여 개방가능하며, 상기 게이트(120)는 개별적으로 개방 작동하는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은 다수개의 구동부(M1, M2, ..., Mn)에 의해 각각 작동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다수개의 구동부(M1, M2, ..., Mn)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 빌렛(B)의 폭(w)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 각각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ALUMINUM EXTRUSION SYSTEM}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빌렛을 압출하여 성형품을 생산하는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금속 중 알루미늄은 전성(展性), 연성(延性) 등이 풍부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며, 특히, 봉재, 형재 및 관재 등과 같이 일정한 단면을 가진 제품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소재를 가압하는 압출 장치를 이용하는 형태의 압출 공정이 주로 적용된다.
이렇게 알루미늄을 압출하여 제작되는 성형품은 알루미늄을 용융 또는 반용융상태로 준비한 다음 압출기를 통과시켜 성형품을 제작하는 방법과, 알루미늄 잉곳 또는 알루미늄 빌렛과 같이 알루미늄 소재를 1차 성형한 상태로 준비한 다음 압출기를 통과시켜 성형품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전술된 알루미늄 성형품을 제작하는 방법 중 후자의 경우는 준비된 알루미늄 잉곳 또는 알루미늄 빌렛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성형품을 인라인(in-line)에서 연속공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알루미늄 성형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알루미늄 소재를 알루미늄 잉곳 또는 알루미늄 빌렛과 같은 형태로 1차 성형한 다음 압출기를 통과시켜 성형품을 제작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 잉곳 또는 빌렛과 같은 알루미늄 소재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가열로가 사용된다. 이때 사용되는 가열로는 알루미늄 소재를 장입하여 가열하는 배치식 가열로와 알루미늄 소재를 이동시키면서 가열하는 터널식 가열로가 사용된다.
특히, 터널식 가열로는 알루미늄 소재를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알루미늄 성형품을 인라인(in-line)에서 연속공정으로 제작하는 방식에 적용된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터널식 가열로는 생산성이 좋은 장점이 있지만, 알루미늄 소재를 장입하고 가열한 이후에 추출하는 작업시 게이트의 개폐로 인한 외부로부터 대기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가열로내의 고온 배가스가 방출되어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133832 B1 KR 10-1330275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가열로 내부로의 찬 공기 유입에 따른 열효율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의 압출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을 제공함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루미늄 빌렛(B)을 가열하는 가열기(100)와; 상기 가열기(100)에서 가열되어 배출되는 알루미늄 빌렛(B)을 절단하는 절단기(200)와; 절단된 알루미늄 빌렛(B)을 압출하는 압출기(300)와; 압출된 성형품(A)을 파레트(P)에 적재하는 적재기(400)와; 상기 가열기(100), 절단기(200), 압출기(300) 및 적재기(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열기(100)는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가열로(110)의 선단과 후단에 구비되는 게이트(120)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120)는 상기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에 대응하여 개방가능하며, 상기 게이트(120)는 개별적으로 개방 작동하는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은 다수개의 구동부(M1, M2, ..., Mn)에 의해 각각 작동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다수개의 구동부(M1, M2, ..., Mn)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 빌렛(B)의 폭(w)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 각각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은 각각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 커튼을 형성하는 가스 분사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 분사부(130)는, 압축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파이프(131); 상기 가스 파이프(131)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탱크(132); 및 상기 가스 탱크(132)의 하부에 형성되어 가스를 분사하는 벤츄리 노즐(133)을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 노즐(133)은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기(400)는 파레트(P)가 공급되는 파레트 공급베이스(410); 상기 파레트 공급베이스(410)에서 공급되는 파레트(P)를 성형품(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파레트 공급체인(420); 상기 파레트 공급베이스(410)와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파레트 공급베이스(410)에서 공급되는 파레트(P)를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으로 인계시키는 파레트 공급벨트(411); 및 상기 성형품(A)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 공급벨트(411)를 통하여 이동되는 파레트(P)를 인계받아 거치하는 다수개의 파레트 거치수단(430)을 포함하되,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 하부에는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파레트 거치대(431)에 거치된 파레트(P)의 상부에 거치된 성형품(A)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장치(600)가 배치되며, 상기 냉각장치(600)는, 냉각용 공기의 공급을 위한 냉각팬부와 상기 냉각팬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부를 각각 내장하는 다수개의 송풍기(610); 상기 각 송풍기(6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송풍기(610)를 이동시키는 이동휠(630); 상기 이동휠(6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어 모터부(620); 및 상기 구동모터부 및 감속기어 모터부(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각 송풍기(610)에 연결되는 케이블(6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640)은 탄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은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에 의하면, 가열로 내부로의 찬 공기 유입에 따른 열효율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알루미늄 압출 성형품의 압출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기의 게이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분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기의 게이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분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은, 알루미늄 빌렛(B)을 가열하는 가열기(100)와, 상기 가열기(100)에서 가열되어 배출되는 알루미늄 빌렛(B)을 절단하는 절단기(200)와, 절단된 알루미늄 빌렛(B)을 압출하는 압출기(300)와, 압출된 성형품(A)을 파레트(P)에 적재하는 적재기(400)와, 상기 가열기(100), 절단기(200), 압출기(300) 및 적재기(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열기(100)는 알루미늄 빌렛(B)을 원하는 압출이 가능한 온도로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터널식 가열기가 적용된다.
이를 위하여, 도 2를 참조하면, 가열기(100)는 알루미늄 빌렛(B)이 장입되어 가열되는 터널형의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가열로(110)와, 상기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가열로(110)의 선단과 후단에 구비되는 게이트(120)와, 상기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알루미늄 빌렛(B)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12)와, 상기 가열로(110)의 벽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된 상태로 구비되는 다수의 버너(114)와, 상기 가열로(110)의 벽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알루미늄 빌렛(B)에 접촉하면서 알루미늄 빌렛(B)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온수단(도시안됨)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게이트(120)는 상기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에 대응하여 개방가능하다.
상기 게이트(120)는 상기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가열로(110)의 선단과 후단에 구비되고, 구동부(510)에 연결되어 제어부(50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게이트(120)는 가열로(1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의 양단을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게이트(120)의 작동에 의해 알루미늄 빌렛(B)이 출입하는 시기에는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이 오픈되고, 알루미늄 빌렛(B)이 가열되는 시기에는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이 폐쇄된다.
이송롤러(112)는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내부공간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상부에 알루미늄 빌렛(B)이 안착된 상태로 이동된다.
버너(114)는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알루미늄 빌렛(B)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가열로(110)의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버너(114)는 가열로(110)의 측벽면을 통하여 설치되며 그 단부는 알루미늄 빌렛(B)을 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510)가 작동되면, 게이트(120)가 상승 이동하고, 가열로(110)의 입구가 개방된다. 이때, 게이트(120)가 상승 이동하면, 가열로(110)의 입구가 개방되므로, 이에 따라 가열로(110)의 열손실과 가열로(110)에서 가스누출이 상당히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에 대응하여, 게이트(120)의 개방 높이(h1)를 조절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개방 높이(h1)는 게이트(120)의 개방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 알루미늄 빌렛(B)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12)의 상단에서 게이트(120)의 하단까지 수직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게이트(120)의 개방 시에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에 대응하여, 게이트(120))의 개방 높이(h1)를 조절한다. 개방 높이(h1)는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의 1.5 배 내지 2배 이내의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가 250mm 내지 300mm 인 경우, 개방 높이(h1)는 375mm 내지 600mm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게이트(120)의 개방 시에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에 대응하여 개방 높이(h1)로 조절하면, 불필요하게 가열로(110)의 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필요가 없으며, 결과적으로 알루미늄 빌렛(B)을 장입하고 가열한 이후에 추출하는 작업시 게이트(120)의 개폐로 인한 외부로부터 대기공기가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가열로(110) 내의 고온 배가스가 방출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열손실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는 측정장치(14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장치(140)는 두개의 광계측센서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두께(t) 또는 폭(w)을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측정장치(140)는 알루미늄 빌렛(B)의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획득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 또는 폭(w)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게이트(120)를 개방할 때, 가열로(110)의 높이 방향뿐만 아니라, 가열로(110)의 폭 방향으로도 가열로(110)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120)는 개별적으로 개방 작동하는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3, ..., Sn)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 빌렛(B)의 폭(w)에 대응하여 개방가능하다.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3, ...Sn)은 다수개의 구동부(M1, M2, ..., Mn)에 의해 각각 작동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다수개의 구동부(M1, M2, ..., Mn)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 빌렛(B)의 폭(w)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3,...Sn) 각각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3, ...Sn)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에 배치된 분할섹션(S1, S2)은 내부에 배치된 분할섹션(S3)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섹션(S1, S2, S3, ...Sn)이 상이한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다양한 폭(w)을 갖는 알루미늄 빌렛(B)에 적용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w)을 갖는 알루미늄 빌렛(B)이 장입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게이트(12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모두 4개의 분할섹션(S1, S2, S6, Sn)를 제외한 나머지 분할섹션(S3...)들을 개방 높이(h1)만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해당 알루미늄 빌렛(B)의 폭(w)은 분할섹션(S1, S2, S6, Sn)를 제외한 상승 이동된 나머지 분할섹션(S3...)들의 폭의 합산값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은 각각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 커튼을 형성하는 가스 분사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스 분사부(130)는, 압축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파이프(131)와, 상기 가스 파이프(131)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탱크(132)와, 상기 가스 탱크(132)의 하부에 형성되어 가스를 분사하는 벤츄리 노즐(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분사부(130)는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 각각에 대해서 가스로 이루어진 차단막을 형성하여 대기 경로를 봉쇄할 수 있다.
상기 가스의 예로는, 질소(N2), 아르곤(Ar), 네온(Ne) 및 헬륨(H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가스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가스 탱크(132)는 내부에 가스 파이프(131)로부터 공급된 가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 내부에 구성된 팬(미도시)을 통해 와류를 생성하여 저장된 가스에 압력을 생성할 수 있다.
벤츄리 노즐(133)은 압력을 갖는 가스를 분사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벤츄리 노즐(133)을 구성하는 에어탱크의 하단에 얇은 두개의 판 사이에 형성된 미세한 틈인 슬릿(133a)을 형성할 수 있다. 가스는 상기 슬릿(133a)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증가하고, 배출됨에 따라 고속으로 분출되어 외부공기를 차단하는 강력한 차단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 빌렛(B)이 가열기(100)에서 원하는 수준으로 가열되었다면, 알루미늄 빌렛(B)을 가열기(100)에서 배출시킨다.
이렇게 배출된 알루미늄 빌렛(B)은 이송롤러(112)에 의해 절단기(200)로 이동된다.
절단기(200)에서는 가열된 알루미늄 빌렛(B)을 최종 압출 성형품에 따라 설정된 길이로 절단시킨다.
이렇게 절단된 알루미늄 빌렛(B)은 연속적으로 이동되어 압출기(300)로 진입된다.
압출기(300)에는 최종 성형품의 형태에 대응하는 금형이 장착되고, 절단된 알루미늄 빌렛(B)이 고압으로 금형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일정 형상의 단면을 갖는 성형품을 성형하게 된다.
이렇게 압출된 알루미늄 성형품(A)은 적재기(400)로 진입된다.
한편, 적재기(400)는 상기 성형품(A)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성형품(A)을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제 1 이송벨트(401)와; 상기 제 1 이송벨트(401)의 단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성형품(A)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 1 이송벨트(401)에서 이송되는 상기 성형품(A)을 인계받아 상기 성형품(A)을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개의 제 2 이송벨트(40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이송벨트(401)와 제 2 이송벨트(402)는 압출기(300)에서 압출된 성형품(A)을 파레트(P)에 적재하기 위하여 이송시키는 수단으로서, 성형품을 길이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적재기(400)는 파레트(P)가 공급되는 파레트 공급베이스(410); 상기 파레트 공급베이스(410)에서 공급되는 파레트(P)를 성형품(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파레트 공급체인(420); 상기 파레트 공급베이스(410)와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파레트 공급베이스(410)에서 공급되는 파레트(P)를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으로 인계시키는 파레트 공급벨트(411); 및 상기 성형품(A)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 공급벨트(411)를 통하여 이동되는 파레트(P)를 인계받아 거치하는 다수개의 파레트 거치수단(430)을 포함한다. 이때, 파레트 거치수단(430)은 상기 파레트(P)가 거치되는 파레트 거치대(431)와; 상기 파레트 거치대(43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파레트 거치대(431)를 일체로 승강시키는 승강 랙기어(432)와; 상기 승강 랙기어(432)와 치합되어 상기 승강 랙기어(432)를 상하로 동작시키는 승강 피니언기어(4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 하부에는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파레트 거치대(431)에 거치된 파레트(P)의 상부에 거치된 성형품(A)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장치(6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600)는, 냉각용 공기의 공급을 위한 냉각팬부(도시안됨)와 상기 냉각팬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부(도시안됨)를 각각 내장하는 다수개의 송풍기(610); 상기 각 송풍기(6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송풍기(610)를 이동시키는 이동휠(630); 상기 이동휠(6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어 모터부(620); 및 상기 구동모터부 및 감속기어 모터부(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각 송풍기(610)에 연결되는 케이블(6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640)에 있어서, 각 송풍기(61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64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함으로써, 각 송풍기(30)의 간격을 조절할 때 케이블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하며, 바람직하게는 각 송풍기(61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640)의 길이를 냉각구간의 전체길이에서 각각의 송풍기(640)의 폭 길이를 더한 값을 뺀 길이 만큼 길게 할 수 있다.
상기 파레트 거치대(431)에 거치된 파레트(P)의 상부에 성형품(A)이 거치되면, 제어부(500)는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 하부에 설치된 각 송풍기(610)에 대해 케이블(640)을 통해 외부 전력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공급된 전력은 상기 각 송풍기(610)에 내장된 구동모터부를 구동시키게 되며, 구동된 구동모터부는 냉각 팬부를 구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상기 냉각팬부를 통해 공기가 파레트(P)의 상부에 거치된 성형품(A)으로 공급되면서 해당 성형품(A)을 공냉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640)은 탄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640)의 외주면은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을 포함하는 0.05mm ~ 0.1mm의 두께의 절연체로 피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체를 구성하는 LSZH는 저연무독성으로 전선에 화재발생시 연기가 적고 질식 가능성을 줄여서 안정성을 높인 재료이다.
이와 같이, 케이블(640)의 외표면에 형성한 절연체에 LSZH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케이블(640)이 높은 열원에 노출되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유독가스의 배출이 적고,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가열기
120 : 게이트
S1, S2,..., Sn : 분할섹션
130 : 가스 분사부
200 : 절단기
300 : 압출기
400 : 적재기
500 : 제어부
600 : 냉각장치
B : 알루미늄 빌렛

Claims (5)

  1. 알루미늄 빌렛(B)을 가열하는 가열기(100)와; 상기 가열기(100)에서 가열되어 배출되는 알루미늄 빌렛(B)을 절단하는 절단기(200)와; 절단된 알루미늄 빌렛(B)을 압출하는 압출기(300)와; 압출된 성형품(A)을 파레트(P)에 적재하는 적재기(400)와; 상기 가열기(100), 절단기(200), 압출기(300) 및 적재기(4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열기(100)는 가열로(11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도록 가열로(110)의 선단과 후단에 구비되는 게이트(120)를 포함하되, 상기 게이트(120)는 상기 알루미늄 빌렛(B)의 두께(t)에 대응하여 개방가능하며,
    상기 게이트(120)는 개별적으로 개방 작동하는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은 다수개의 구동부(M1, M2, ..., Mn)에 의해 각각 작동되며,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다수개의 구동부(M1, M2, ..., Mn)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 빌렛(B)의 폭(w)에 대응하여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 각각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분할섹션(S1, S2,..., Sn)은 각각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 커튼을 형성하는 가스 분사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사부(130)는,
    압축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파이프(131);
    상기 가스 파이프(131)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탱크(132); 및
    상기 가스 탱크(132)의 하부에 형성되어 가스를 분사하는 벤츄리 노즐(133)을 포함하고, 상기 벤츄리 노즐(133)은 슬릿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기(400)는 파레트(P)가 공급되는 파레트 공급베이스(410); 상기 파레트 공급베이스(410)에서 공급되는 파레트(P)를 성형품(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는 파레트 공급체인(420); 상기 파레트 공급베이스(410)와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파레트 공급베이스(410)에서 공급되는 파레트(P)를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으로 인계시키는 파레트 공급벨트(411); 및 상기 성형품(A)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면서 설치되어 상기 파레트 공급벨트(411)를 통하여 이동되는 파레트(P)를 인계받아 거치하는 다수개의 파레트 거치수단(430)을 포함하되,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 하부에는 상기 파레트 공급체인(4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파레트 거치대(431)에 거치된 파레트(P)의 상부에 거치된 성형품(A)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장치(600)가 배치되며, 상기 냉각장치(600)는,
    냉각용 공기의 공급을 위한 냉각팬부와 상기 냉각팬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부를 각각 내장하는 다수개의 송풍기(610);
    상기 각 송풍기(6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송풍기(610)를 이동시키는 이동휠(630);
    상기 이동휠(630)을 구동시키기 위한 감속기어 모터부(620); 및
    상기 구동모터부 및 감속기어 모터부(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각 송풍기(610)에 연결되는 케이블(6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640)은 탄력을 갖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블(640)은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KR1020210074494A 2021-06-09 2021-06-09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KR20220165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494A KR20220165896A (ko) 2021-06-09 2021-06-09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4494A KR20220165896A (ko) 2021-06-09 2021-06-09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896A true KR20220165896A (ko) 2022-12-16

Family

ID=8453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4494A KR20220165896A (ko) 2021-06-09 2021-06-09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589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75B1 (ko) 2006-12-21 2013-11-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열로용 외부공기 침입방지 장치
KR102133832B1 (ko) 2019-09-26 2020-07-14 이세영 적재기를 이용한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275B1 (ko) 2006-12-21 2013-11-1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가열로용 외부공기 침입방지 장치
KR102133832B1 (ko) 2019-09-26 2020-07-14 이세영 적재기를 이용한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26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thermoplastic preforms
US5980991A (en) Process for heat-treating substrate having film-forming composition thereon
KR102133832B1 (ko) 적재기를 이용한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JPH06506180A (ja) ガス支持コンベアを備えたガラス板徐冷窯
JPS6176342A (ja) 中空製品の製造装置及びこの装置に用いられるパレツト並びに運搬手段
TWI632045B (zh) Metal mold unit, blow molding device, and blow molding method
KR20220165896A (ko)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JP4849785B2 (ja) 真空熱処理設備
US114080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heat treating aluminum alloy castings
JPH0456707A (ja) 連続式真空炉
EP2979843B1 (en) Tenter ov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moplastic resin film
US4628615A (en)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the heat treatment of cylindrical bodies, especially pipes
KR101577670B1 (ko) 일체형 복합 소성로
JPH05193963A (ja) ガラス光学素子の成形方法
KR20220132822A (ko) 속도제어가 가능한 연속압출 성형장치
KR100573979B1 (ko) 병제조방법과그의제조장치및병코팅장치
EP00059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ring ceramic products
JP3761017B2 (ja) プリフォームの冷却装置及びプリフォームの受け取り冷却方法
KR101242898B1 (ko) 선재코일 냉각장치
JPH10291828A (ja) ガラス板の成形装置
EP0085733B1 (en) Vertical continuous annealing furnace and its operating method
JP6046555B2 (ja) 焼鈍処理における急冷方法及び焼鈍炉における急冷設備
WO2023095369A1 (ja) 延伸装置
JPH0726694U (ja) 連続式熱処理炉
JPH04121584A (ja) 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