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5773A - 무선 태그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태그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5773A
KR20220165773A KR1020227039205A KR20227039205A KR20220165773A KR 20220165773 A KR20220165773 A KR 20220165773A KR 1020227039205 A KR1020227039205 A KR 1020227039205A KR 20227039205 A KR20227039205 A KR 20227039205A KR 20220165773 A KR20220165773 A KR 20220165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sket
wireless tag
read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9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5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1Details for indic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07G1/0081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the reader being a portable scanner or data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07G1/009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the reader being an RFID read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실시 형태의 무선 태그 판독 장치는, 저면부 및 당해 저면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물품을 출입 가능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품에 부착된 무선 태그와 전파를 송수신하여 당해 무선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상기 수용부의 소정 위치에 접근시킬 것을 촉구하는 통보를 행하는 통보부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태그 판독 장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예를 들어 슈퍼마켓이나 양판점 등의 점포에 있어서, 점내에서 판매되는 상품에 무선 태그를 부착하여, 고객이 구입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당해 무선 태그로부터 판독하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고객이 구입하는 상품은, 예를 들어 바구니에 담겨 정산소로 반입된다. 정산소에 구비된 무선 태그 판독 장치는, 상품이 담긴 바구니를 수용부에 수용하여, 안테나가 상품에 부착된 무선 태그와 전파를 송수신함으로써 당해 무선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한다.
무선 태그 판독 장치가 판독한 태그 정보, 예를 들어 상품을 특정하는 상품 코드 등의 상품에 관한 정보는, POS 단말기에 송신된다. POS 단말기는, 수신한 상품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행한다. 결제 처리에 관한 조작은, 고객 자신 혹은 점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무선 태그 판독 장치로서,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수용부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 무선 태그 판독 장치는, 수용부의 상면이 개구된 박스 형상이며, 주위가 둘러싸여 있으므로 전파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로서, 수용부 밖에 위치하는 무선 태그의 태그 정보를 부주의하게 판독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바구니를 들어올려 상면 개구로부터 수용부에 수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작성의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수용부의 측면에, 바구니를 수용부에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를 마련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지만, 이 경우, 전파가 누출되기 쉬워져 잘못해서 수용부 밖의 무선 태그의 태그 정보를 판독해 버릴(이하, 오판독이라고도 함)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무선 태그 판독 장치에 있어서, 오판독을 억제하면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이 요망은, 상술한 POS 단말기에 접속되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90255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오판독을 억제하면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무선 태그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의 무선 태그 판독 장치는, 저면부 및 당해 저면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물품을 출입 가능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품에 부착된 무선 태그와 전파를 송수신하여 당해 무선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상기 수용부의 소정 위치에 접근시킬 것을 촉구하는 통보를 행하는 통보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태그 판독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바구니를 수용한 상태의 상기 무선 태그 판독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무선 태그 판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구니를 수용하여 측면을 투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표시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무선 태그 판독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관한 메모리부의 센서 정보 파일부의 데이터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메모리부의 표시 형태 파일부의 데이터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표시기의 표시 형태 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제2 표시기의 표시 형태 2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제2 표시기의 표시 형태 3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제2 표시기의 표시 형태 4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제2 표시기의 표시 형태 5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태그 판독 장치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상기 무선 태그 판독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위치 표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상기 무선 태그 판독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판독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의 무선 태그 판독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가 양판점 등의 POS 단말기에 접속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태그 판독 장치는, 예를 들어 공장의 부품 관리 등에 사용되는 것이어도 되며, 다른 분야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예를 들어 양판점의 정산소에 배치되어, 구입할 상품(예를 들어 의복이나 식료품)의 등록과 결제 처리에 관한 조작을 고객이 스스로 행하는, 소위 셀프 POS(Point of Sales) 단말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고객이 구입할 상품에 부착된 무선 태그와 전파를 송수신하여, 당해 무선 태그에 기억된 상품을 특정하는 정보인 상품 코드를 판독하는 장치이다. 상품은 물품의 일례이고, 상품 코드는 태그 정보의 일례이다. 또한,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개품을 특정하는 개품 코드 등의 그 밖의 정보도 무선 태그로부터 판독한다.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판독한 상품 코드와 당해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메모리부로부터 취득한 상품명, 가격 등의 상품에 관한 정보(이하, 상품 정보라고도 함)를 셀프 POS 단말기에 송신한다. 셀프 POS 단말기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로부터 수신한 상품 코드와 상품 정보(이하, 양자를 합쳐서 상품 정보 등이라고도 함)에 기초하여, 고객이 구입할 상품에 관한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상품 정보를 기억한 무선 태그로부터 직접 상품 정보를 판독해도 된다.
도 1 및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은 바구니(K)(도 2 참조)를 수용하지 않는 상태, 도 2는 바구니(K)를 수용한 상태를 도시한다. 바구니(K)는,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체의 일례이다.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수용부(2) 및 제1 표시기(3)를 구비한다.
수용부(2)는, 저면부(21), 및 저면부(21)의 3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측면부(22), 상면 개구(23), 및 측면 개구(24)를 구비한다. 수용부(2)는, 저면부(21), 측면부(22)에 의해 둘러싸이는 판독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저면부(21) 및 측면부(22)는, 내면이 전파를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됨과 함께, 외면이 전파를 차단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저면부(21) 및 측면부(22)는, 전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파 실드부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의 화살표 X 방향을 좌우 방향, 화살표 Y 방향을 전후 방향, 화살표 Z 방향을 높이 방향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 측면 개구(24)측을 전방측, 제1 표시기(3)측을 후방측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저면부(21)의 내면은, 평면상의 전파 투과재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객이 구입할 상품을 담는 바구니(K)를 적재하는 적재면으로서 기능한다. 저면부(21)의 외면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의 금속판 등의 전파 반사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저면부(21)는, 내면과 외면의 사이에 후술하는 평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환언하면, 저면부(21)는 평면상의 안테나를 매설하고 있다.
측면부(2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좌우 측면부(221) 및 후방 측면부(222)를 구비한다. 이들 측면부(22)의 높이는, 바구니(K)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바구니(K)의 상부 위치까지 수납된 상품은, 수용부(2)에 충분히 수납되어, 수용부(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일은 없다.
저면부(21)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좌우 측면부(221)는, 내면이 평면상의 전파 투과재로 형성됨과 함께, 외면이 평면상의 전파 반사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좌우 측면부(221)는, 내면과 외면의 사이에 후술하는 평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좌우 측면부(221)는, 상기 안테나의 외측에 위치하는 전파 흡수체(도시하지 않음)를 매설하고 있다. 상기 전파 흡수체는, 한 쌍의 좌우 측면부(221)의 상하 방향 중심부로부터 상단 부근까지 연장되는 면상으로 형성된다. 전파 흡수체는, 예를 들어 페라이트 등의 평면상의 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좌우 측면부(221) 사이의 거리는, 바구니(K)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 한 쌍의 좌우 측면부(221)는, 수용부(2)에 있어서의 바구니(K)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면 개구(23)는, 바구니(K)를 상방으로부터 수용부(2)에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로서 기능한다. 마찬가지로, 측면 개구(24)는, 바구니(K)를 전방으로부터 수용부(2)에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로서 기능한다. 바구니(K)를 상방 및 전방으로부터 수용부(2)에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고객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측면 개구(24)를 마련함으로써, 고객은 상품이 들어 있는 바구니(K)를 높게 들어올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측면 개구(24)는, 측면부(22)에 형성되며 수용부(2)에 물품을 출입 가능한 개구부의 일례이다.
제1 표시기(3)는, 한쪽의 좌우 측면부(221) 후방에 마련된 암(31)을 통하여 수용부(2)에 설치되어 있다. 암(31)은, 상방이나 좌우 방향으로 신축, 이동,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표시기(3)는, 표시 위치나 표시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표시기(3)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기로 구성되며,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를 조작하는 고객 등에게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제1 표시기(3)는, 예를 들어 무선 태그로부터 판독한 태그 정보에 대응한 상품 정보를, 구입할 상품의 리스트로서 표시한다. 또한, 제1 표시기(3)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1)가 수용부(2)에 있는 무선 태그에 대한 태그 정보의 판독 동작을 완료(이하, 판독 완료라고도 함)하면, 판독 완료를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 제1 표시기(3)는, 태그 정보의 판독 완료를 통보하는 판독 완료 통보부의 일례이다.
제1 표시기(3)의 표면에는, 터치 패널(32)이 마련되어 있다. 터치 패널(32)은, 접촉한 위치에 따른 정보를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의 제어부(100)(도 5 참조)에 입력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하는 조작 입력부로서 기능한다.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무선 태그와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4), 바구니(K)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5), 및 바구니(K)의 이동을 촉구하는 등의 표시를 행하는 제2 표시기(6)를 더 구비한다.
안테나(4)는, 저면부(21)에 매설된 평면상의 저면 안테나(41)와, 한 쌍의 좌우 측면부(221)에 각각 매설된 평면상의 한 쌍의 측면 안테나(42)를 포함한다.
저면 안테나(41)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부가 저면부(21)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또한, 저면 안테나(4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저면부(21)의 상면과 내부에 마련된 전파 반사체의 사이에 위치하여 마련된다. 저면 안테나(41)는, 주로 상하 방향으로 전파를 방사한다.
측면 안테나(42)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심부가 좌우 측면부(221)의 전후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또한, 측면 안테나(42)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좌우 측면부(221)의 내면과 내부에 마련된 전파 반사체 및 전파 흡수체의 사이에 위치하여 마련된다. 측면 안테나(42)는, 주로 좌우 방향으로 전파를 방사한다.
이들 저면 안테나(41) 및 측면 안테나(42)를 포함하는 안테나(4)는, 제어부(100)의 지시에 따라 전파를 발신함과 함께, 안테나(4)가 발신한 전파(이하, 반송파라고도 함)에 대하여 무선 태그가 응답한 전파(이하, 응답파라고도 함)를 수신한다. 제어부(100)는, 안테나(4)가 수신한 응답파에 기초하여 상품 코드를 판독한다. 안테나(4)는, 제어부(100)와 함께 판독부를 구성한다.
또한, 저면 안테나(41) 및 측면 안테나(42)가 발신하는 전파는 지향성이 높아, 측면 개구(24)로부터 전파가 누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있다. 저면 안테나(41) 및 측면 안테나(42)가 수용부(2) 밖에 위치하는 무선 태그와 전파를 교신하지 않도록 하여, 오판독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그 결과로서, 수용부(2)의 전단부 근방 및 후단부 근방에서는 충분히 전파가 구석구석 미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해 버릴 우려가 있다. 반대로 말하면,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무선 태그가 수용부(2)의 중앙부 혹은 중앙부 근처에 위치하는 쪽이 태그 정보를 판독하기 쉽다고 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수용부(2)에 수용된 바구니(K)가 수용부(2)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놓여진 경우, 바구니(K)에 수용된 무선 태그의 태그 정보의 판독이 확실하게 행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태그 정보의 판독 시에는, 상품이 담긴 바구니(K)의 중앙부가 수용부(2)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2)의 전후 방향 중앙부는, 소정 위치의 일례이다. 소정 위치는, 수용부(2)에 있어서 태그 정보의 판독이 확실하게 행해질 가능성이 높은 위치이며, 안테나(4)의 배치 등에 의해 정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한 쌍의 좌우 측면부(221)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바구니(K)의 중앙부는 수용부(2)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는, 실드부를 포함하는 후방 측면부(22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안테나(4)로부터 방사되는 전파를, 후방에 대해서는 지향성을 낮게 하여 단부까지 구석구석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용부(2)의 상면을 덮음으로써 전파의 누출을 보다 방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러나, 통상,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의 상방에 상품이 배치되는 일은 없고 상면 개구(23)로부터 전파의 누출에 의한 오판독의 위험성은 매우 낮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면 개구(23)를 마련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센서(5)는, 제1 센서(51)와 제2 센서(52)와 제3 센서(53)를 포함한다.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며, 전방으로부터 제1 센서(51), 제2 센서(52), 제3 센서(53)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제1 센서(5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센서(51)는, 서로 대향하는 좌우 측면부(221)의 한쪽에 마련되는 발광 소자와, 다른 쪽에 마련되는 수광 소자로 구성된다. 수광 소자와 발광 소자의 사이에 바구니(K)가 배치되어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이 차단됨으로써, 제1 센서(51)는 바구니(K)를 검출한다.
도 3은,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와, 수용부(2)에 수용된 바구니(K)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 모두 저면부(21)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마련되어 있다. 소정의 높이란, 수용부(2)에 격자상의 바구니(K)를 수용한 상태에서, 바구니(K)의 저부가 위치하는 높이이다. 바구니(K)의 저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으므로,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를 소정 높이에 마련함으로써, 수용부(2)에 위치하는 바구니(K)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로 구성되는 센서(5)는, 물품(상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의 일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구니(K)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상품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검출하도록 하였지만, 바구니(K)를 사용하지 않고 상품의 위치를 직접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센서에 의해 검출부를 구성하였지만, 보다 많은 센서에 의해 검출부를 구성해도 된다.
제2 표시기(6)는, 좌우 측면부(221)의 상단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표시부(61)로 구성된다. 한 쌍의 표시부(61)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한쪽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는, 한쪽의 표시부(61)의 상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표시부(61)는, 제1 LED(Light Emitting Diode)군(611) 및 제2 LED군(612)을 구비한다.
제1 LED군(611)은, 제2 LED군(612)의 전방에 위치하여 마련되어 있다. 제1 LED군(611) 및 제2 LED군(612)은, 복수, 예를 들어 10개의 LED를 각각 갖고 있다. 제1 LED군(611) 및 제2 LED군(612)은, 예를 들어 모든 LED가 소등, 점등,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제1 LED군(611) 및 제2 LED군(612)은, 예를 들어 전후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LED가 점멸하여, 발광하는 광이 흐르는 것처럼 보이는 동작(이하, 흐름 점멸이라고도 함)을 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방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이들 표시부(61)를 구비한 제2 표시기(6)는, 물품을 소정 위치에 접근시킬 것을 촉구하는 통보를 행하는 통보부의 일례이다.
다음에, 블록도를 사용하여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제어부(100)와, 메모리부(110)와, 입출력 컨트롤러(120)와, 통신 I/F(Interface)(130) 등을 구비한다. 제어부(100), 메모리부(110), 입출력 컨트롤러(120) 및 통신 I/F(130)는, 버스(140)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 ROM(Read Only Memory)(102), RAM(Random Access Memory)(103)을 구비한 컴퓨터이다. CPU(101), ROM(102), RAM(103)은, 버스(140)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101)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102)은, CPU(101)의 구동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103)은, 태그 정보부(104)를 구비한다. 태그 정보부(104)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1)가 판독한 태그 정보에 관한 상품 정보 등을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태그 정보부(104)는, 판독한 상품 코드(태그 정보)와, 당해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상품 마스터부로부터 취득한 상품 정보(상품명, 상품의 가격 등)를 기억한다. 또한, RAM(103)은, CPU(1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며, ROM(102)이나 메모리부(110)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전개한다. 제어부(100)는, CPU(101)가 ROM(102)이나 메모리부(110)에 기억되고 RAM(103)에 전개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부(110)는, 예를 들어 HDD(Hard Disk Drive)나 SSD(Solid State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를 구비한 기억 장치이다. 메모리부(110)는, 제어 프로그램부(111), 상품 마스터부(112), 센서 정보 파일부(113) 및 표시 형태 파일부(114)를 구비한다. 제어 프로그램부(111)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로서 기능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외에, 각종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상품 마스터부(112)는, 상품 마스터를 기억한다. 상품 마스터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1)가 설치되는 점포에서 취급하고 있는 상품에 대하여, 상품 코드와 상품 정보(상품명, 가격 등)를 관련지어 기억한 마스터 파일이다. 점포에서 취급하는 상품은 매일 변화하기 때문에, 상품 마스터는, 통신 I/F(130)를 통하여 접속되는 셀프 POS 단말기 혹은 점포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적절하게 갱신된다.
센서 정보 파일부(113)는, 센서 정보 파일을 기억한다. 도 6은, 센서 정보 파일부(113)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센서 정보 파일은,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의 출력과, 바구니(K)의 위치의 검출 상태를 대응지어 기억한 파일이다.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의 출력은, 바구니(K)를 검출하였을 때 온으로 되는 것이다. 각 검출 상태 A 내지 E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표시 형태 파일부(114)는, 표시 형태 파일을 기억한다. 도 7은, 표시 형태 파일부(114)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형태 파일은, 바구니(K)의 위치의 검출 상태, 제2 표시기(6)에 의한 표시 형태, 제1 LED군(611)의 동작, 및 제2 LED군(612)의 동작을 대응지어 기억한 파일이다. 제1 LED군(611)의 동작 및 제2 LED군(612)의 동작에 있어서의 「흐름」이란, 전술한 「흐름 점멸」을 나타낸다. 제1 LED군(611)의 동작 및 제2 LED군(612)의 동작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도 5로 되돌아가서, 입출력 컨트롤러(120)는, 안테나(4),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 제1 표시기(3), 제2 표시기(6) 및 터치 패널(32)과 접속된다. 입출력 컨트롤러(120)는, 접속되는 하드웨어에 대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과 이들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100)는, 입출력 컨트롤러(120)를 통하여, 안테나(4),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 제1 표시기(3), 제2 표시기(6) 및 터치 패널(32)과 각각 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함과 함께, 제어부(100)의 지시에 기초하여 이들 하드웨어를 제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신 I/F(130)는, 셀프 POS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계속해서, 센서 정보 파일부(113) 및 표시 형태 파일부(114)에 기초하는, 바구니(K)의 위치 검출 상태 및 제2 표시기(6)의 표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바구니(K)가 수용부(2)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와, 그때의 표시부(61)에 의한 표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바구니(K)가 수용부(2)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는 모두 오프이며, 제어부(100)는 검출 상태 A를 검출한다. 표시부(61)는, 도 7에 도시하는 표시 형태 파일부(114)에 정해진 표시 형태로 표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검출 상태 A에 대응하는 표시 형태 1에 따른 표시 동작, 즉 제1 LED군(611) 및 제2 LED군(612)의 모든 LED를 점등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61)는, 고객에 대하여 무선 태그 판독 장치(1)가 사용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도 9는, 예를 들어 바구니(K)를 측면 개구(24)로부터 수용부(2)에 넣는 조작의 초기 단계에서, 바구니(K)의 일부가 수용부(2) 내에 위치한 상태와, 그때의 표시부(61)에 의한 표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바구니(K)를 상면 개구(23)로부터 수용부(2)에 넣는 경우에 바구니(K)가 이 위치에 놓이는 경우도 있다. 이때, 제1 센서(51)는 온, 제2 센서(52) 및 제3 센서(53)는 오프이며, 제어부(100)는 검출 상태 B를 검출한다. 표시부(61)는, 검출 상태 B에 대응하는 표시 형태 2에 따른 표시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LED군(611) 및 제2 LED군(612)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흐름 점멸을 행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61)는, 고객에 대하여 소정 위치를 향하여 바구니(K)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것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한다. 표시부(61)를 구비한 제2 표시기는, 물품을 이동시키는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기의 일례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상태보다 바구니(K)가 후방에 위치한 상태와, 그때의 표시부(61)에 의한 표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제1 센서(51) 및 제2 센서(52)는 온, 제3 센서(53)는 오프이며, 제어부(100)는 검출 상태 C를 검출한다. 표시부(61)는, 검출 상태 C에 대응하는 표시 형태 3에 따른 표시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LED군(611)은 모든 LED를 점등하고, 제2 LED군(612)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흐름 점멸을 행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61)는, 고객에 대하여 바구니(K)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것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한다. 게다가, 표시부(61)는, 제2 LED군(612)만 흐름 점멸하므로, 도 9에 도시하는 표시 형태 2보다 소정 위치까지의 이동량이 적음을 감각적으로 고객에게 알릴 수 있다. 표시부(61)를 구비한 제2 표시기는, 물품을 이동시키는 이동량에 따라 표시 형태를 다르게 하는 표시기의 일례이기도 하다.
도 11은, 바구니(K)가 수용부(2)의 중앙부(소정 위치)에 위치한 상태와, 그때의 표시부(61)에 의한 표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때,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는 온이며, 제어부(100)는 검출 상태 D를 검출한다. 표시부(61)는, 검출 상태 D에 대응하는 표시 형태 4에 따른 표시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LED군(611) 및 제2 LED군(612)의 모든 LED는 점멸을 행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61)는, 고객에 대하여 바구니(K)가 태그 정보의 판독에 최적인 소정 위치에 위치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도 12는, 소정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한 상태와, 그때의 표시부(61)에 의한 표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수용부(2)와 바구니(K)에 있어서는, 후방 측면부(222)에 의해 바구니(K)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바구니(K)가 소정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작은 바구니(K)를 채용하는 점포에서는, 바구니(K)가 소정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수용부(2)가 후방 측면부(222)를 구비하지 않는 것인 경우, 바구니(K)가 소정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바구니(K)가 소정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제1 센서(51)는 오프, 제2 센서(52) 및 제3 센서(53)는 온이며, 제어부(100)는 검출 상태 E를 검출한다. 표시부(61)는, 검출 상태 E에 대응하는 표시 형태 5에 따른 표시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LED군(611)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흐름 점멸을 행하고, 제2 LED군(612)은 모든 LED를 점등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61)는, 고객에 대하여 바구니(K)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것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한다.
이와 같이, 제2 표시기(6)는, 바구니(K)를 수용부(2)의 중심부(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함으로써, 바구니(K)에 수용된 상품을 수용부(2)의 중심부에 접근시킬 것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한다. 또한, 상술한 표시예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동을 촉구하기 위한 통보 방법은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히 바구니(K)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해도 되고, 음성에 의해 통보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 표시 조작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의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00)는, CPU(101)가 ROM(102)이나 메모리부(110)의 제어 프로그램부(111)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조작 접수부(1001), 센서 정보 접수부(1002), 표시 제어부(1003), 안테나 제어부(1004), 전파 정보 취득부(1005), 태그 정보 판독부(1006) 및 출력부(1007)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들 각 기능 구성을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된다.
조작 접수부(1001)는, 터치 패널(32)로부터 조작 신호를 접수한다. 조작 접수부(1001)는, 예를 들어 판독 개시 지시를 나타내는 신호나 판독한 태그 정보에 기초하는 결제의 지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터치 패널(32)로부터 접수한다.
센서 정보 접수부(1002)는, 제1 센서(51), 제2 센서(52) 및 제3 센서(53)로부터 센서 정보(온ㆍ오프 정보)를 접수한다. 센서 정보 접수부(1002)는,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로부터 바구니(K)의 검출의 유무를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접수한다.
표시 제어부(1003)는, 제1 표시기(3) 및 제2 표시기(6)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003)는, 예를 들어 태그 정보 판독부(1006)가 판독한 태그 정보에 기초하는 상품 정보를 제1 표시기(3)에 표시시키고, 또한 태그 정보의 판독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1 표시기(3)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1003)는, 예를 들어 센서 정보 접수부(1002)가 접수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바구니(K)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것을 촉구하는 표시 등을 제2 표시기(6)에 표시시킨다.
안테나 제어부(1004)는, 안테나(4)를 제어한다. 안테나 제어부(1004)는, 예를 들어 센서 정보 접수부(1002)가 바구니(K)를 검지하였음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접수하면, 안테나(4)를 제어하여 반송파를 발신시킨다. 또한, 안테나 제어부(1004)는, 태그 정보의 판독 동작이 완료되면, 안테나(4)를 제어하여 반송파의 발신을 정지시킨다. 또한, 안테나 제어부(1004)는, 저면 안테나(41) 및 한 쌍의 측면 안테나(42)에 대하여 동일한 제어를 행한다.
전파 정보 취득부(1005)는, 안테나(4)로부터 전파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전파 정보 취득부(1005)는, 안테나(4)가 무선 태그로부터 수신한 응답파의 파형 정보를 취득한다.
태그 정보 판독부(1006)는, 전파 정보 취득부(1005)가 취득한 파형 정보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한다. 구체적으로는, 태그 정보 판독부(1006)는, 전파 정보 취득부(1005)가 취득한 파형 정보를 해석하고, 당해 파형 정보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판독한다. 또한, 태그 정보 판독부(1006)는, 전파 정보 취득부(1005)가 취득한 파형 정보로부터 개품을 특정하는 개품 코드도 판독한다. 개품 코드도 태그 정보의 일례이다.
출력부(1007)는, 태그 정보 판독부(1006)가 판독한 태그 정보에 기초하는 상품 정보를 셀프 POS 단말기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부(1007)는, 상품 마스터부(112)를 참조하여, 태그 정보 판독부(1006)가 판독한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읽어내고, 상품 정보 등을 셀프 POS 단말기에 출력한다. 셀프 POS 단말기는, 입력된 상품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하는 제2 표시기(6)의 표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100)의 처리(이하, 위치 표시 처리라고도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위치 표시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제어부(100)는, 조작 접수부(1001)가 터치 패널(32)로부터 판독 개시 지시를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 접수하지 않았으면(S1의 "아니오"), 대기한다. 조작 접수부(1001)가 판독 개시 지시를 접수하면(S1의 "예"), 제어부(100)는, 센서 정보 접수부(1002)가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바구니(K)를 검출하였음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 접수하지 않았으면(S2의 "아니오"), S2의 처리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또한, 제2 표시기(6)는, 조작 접수부(1001)가 판독 개시 지시를 접수한 후, 고객에 대하여 무선 태그 판독 장치(1)가 사용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표시 형태 1에 따른 표시를 행해도 된다.
센서 정보 접수부(1002)가 센서 정보를 접수하면(S2의 "예"), 표시 제어부(1003)는, 센서 정보 접수부(1002)가 접수한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의 센서 정보에 대응하는 검출 상태를 읽어내고, 그 검출 상태가 D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 검출 상태가 D이면(S3의 "예"), 표시 제어부(1003)는, 바구니(K)가 소정 위치에 놓여 있다고 판단하여, 제2 표시기(6)에 표시 형태 4(도 11 참조)를 표시시킨다(S4).
계속해서, 제어부(100)는, 바구니(K) 내의 무선 태그의 태그 정보의 판독 동작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 완료되었으면(S5의 "예"), 위치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완료되지 않았으면(S5의 "아니오"), 제어부(100)는 S3의 처리로 복귀한다.
S3의 처리에 있어서, 검출 상태가 D가 아닌 경우(S3의 "아니오"), 표시 제어부(1003)는, 검출 상태가 A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6), 검출 상태가 A이면 제2 표시기(6)에 표시 형태 1(도 8 참조)을 표시시킨다(S7). 다음에, 제어부(100)는, S3의 처리로 복귀한다.
검출 상태가 A가 아닌 경우(S6의 "아니오"), 표시 제어부(1003)는, 검출 상태가 B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8), 검출 상태가 B이면 제2 표시기(6)에 표시 형태 2(도 9 참조)를 표시시킨다(S9). 다음에, 제어부(100)는, S3의 처리로 복귀한다.
검출 상태가 B가 아닌 경우(S8의 "아니오"), 표시 제어부(1003)는, 검출 상태가 C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0), 검출 상태가 C이면 제2 표시기(6)에 표시 형태 3(도 10 참조)을 표시시킨다(S11). 다음에, 제어부(100)는, S3의 처리로 복귀한다.
검출 상태가 C가 아닌 경우(S10의 "아니오"), 표시 제어부(1003)는, 검출 상태가 E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2), 검출 상태가 E이면 제2 표시기(6)에 표시 형태 5(도 12 참조)를 표시시킨다(S13). 다음에, 제어부(100)는, S3의 처리로 복귀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고객에 대하여 소정 위치로 바구니(K)를 이동시킬 것을 촉구하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를 포함하는 각종 전자 부품의 동작 속도가 충분히 빠르므로, 제2 표시기(6)는 고객에 의한 바구니(K)의 이동에 추종하여 표시를 전환할 수 있다.
다음에,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에 의한 태그 정보의 판독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100)의 처리(이하, 판독 처리라고도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판독 처리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제어부(100)는, 조작 접수부(1001)가 터치 패널(32)로부터 판독 개시 지시를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 접수하지 않았으면(S21의 "아니오"), 대기한다. 조작 접수부(1001)가 판독 개시 지시를 접수하면(S1의 "예"), 제어부(100)는, 센서 정보 접수부(1002)가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바구니(K)를 검출하였음을 나타내는 센서 정보를 접수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 접수하지 않았으면(S2의 "아니오"), S2의 처리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센서 정보 접수부(1002)가 센서 정보를 접수하면(S22의 "예"), 안테나 제어부(1004)는, 안테나(4)를 제어하여 반송파의 발신을 개시시킨다(S23). 다음에, 제어부(100)는, 태그 정보 판독부(1006)가 태그 정보를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 상세하게는, 제어부(100)는, 전파 정보 취득부(1005)가 안테나(4)로부터 취득한 응답파의 파형 정보에 기초하여 태그 정보 판독부(1006)가 상품 코드를 판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태그 정보 판독부(1006)가 상품 코드를 판독하면(S24의 "예"), 태그 정보 판독부(1006)는, 상품 마스터부(112)를 참조하여, 판독한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상품명, 상품의 가격 등)를 읽어내고, 상품 정보 등을 태그 정보부(104)에 기억한다. 다음에, 제어부(100)는, 안테나 제어부(1004)에 의해 안테나(4)가 반송파의 발신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6), 경과하지 않았으면(S26의 "아니오"), S24의 처리로 복귀한다. 또한, 소정 시간은, 안테나(4)가 바구니(K) 내의 모든 상품에 부착된 무선 태그와 교신하는 데 충분한 시간이며, 실험 등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태그 정보의 판독 동작이 완료된다.
S24의 처리에 있어서, 태그 정보 판독부(1006)가 태그 정보를 판독하고 있지 않은 경우(S24의 "아니오"), 제어부(100)는, S25의 처리를 스킵하고 S26의 처리로 이행한다. S26의 처리에 있어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S26의 "예"), 안테나 제어부(1004)는, 안테나(4)를 제어하여 반송파의 발신을 정지한다(S27).
계속해서, 표시 제어부(1003)는, 센서 정보 접수부(1002)가 접수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 상태가 D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8), 검출 상태가 D이면(S28의 "예"), 제1 표시기(3)에 태그 정보의 판독이 완료되었다는 취지를 표시시키고(S29), 판독 처리를 종료한다. 검출 상태가 D가 아닌 경우(S28의 "아니오"), 제어부(100)는 S28의 처리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 중 어느 것이 바구니(K)를 검출하면, 환언하면, 바구니(K)가 수용부(2) 내에 위치하면, 태그 정보의 판독을 개시한다. 그리고, 판독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하여 태그 정보 판독부(1006)에 의한 태그 정보의 판독 동작이 완료된 경우라도, 표시 제어부(1003)는, 검출 상태가 D가 아니면 제1 표시기(3)에 판독 완료의 표시를 시키지 않는다. 즉, 제1 표시기(3)는 제2 표시기(6)가 안내한 소정 위치에 바구니(K)가 배치된 것을 조건으로, 판독 완료의 표시를 행한다. 이것은, 제2 표시기(6)에 의해, 바구니(K)를 소정 위치로 안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정 위치에 없는 상태에서 판독 완료를 표시하면 고객에게 위화감, 불신감을 주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통상은, 제2 표시기(6)의 표시에 따라 수용부(2) 내에서 바구니(K)를 이동시키고 있으면, 소정 시간 내에 바구니(K) 내의 무선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의 판독은 행할 수 있으므로, 바구니(K)가 소정 위치에 배치되기 전에 판독 동작을 완료시켜도 문제는 없다. 그러나, 안테나 제어부(1004)는, 센서 정보 접수부(1002)가 접수한 센서 정보에 기초하는 검출 상태가 D인 것, 즉 바구니(K)가 소정 위치에 배치된 것을 조건으로 안테나(4)의 반송파의 출력을 정지시켜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저면부(21) 및 저면부(21)로부터 상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측면부(22)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2)와, 측면부(22)에 형성되고 수용부(2)에 바구니(K)를 출입 가능한 측면 개구(24)와, 측면 개구(24)를 통하여 수용부(2)에 수용된 바구니(K) 내의 상품에 부착된 무선 태그와 전파를 송수신하여 당해 무선 태그로부터 상품 코드를 판독하는 안테나(4) 및 태그 정보 판독부(1006)와, 수용부(2)에 있어서의 바구니(K)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와, 이들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의 출력에 기초하여, 바구니(K) 내의 상품을 소정 위치에 접근시킬 것을 촉구하는 표시를 행하는 제2 표시기(6)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고객은 바구니(K)를 높게 들어올리지 않고 측면 개구(24)로부터 바구니(K)를 수용부(2) 내에 출입시킬 수 있다. 게다가, 측면 개구(24)로부터 전파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수용부(2) 내에 전파가 구석구석 미치기 어려운 개소가 설정되었다고 해도, 고객은 바구니(K)를 태그 정보가 판독되기 쉬운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에 따르면, 오판독을 억제하면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는, 저면부(21)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마련되며, 상품을 수용한 바구니(K)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때문에,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는, 바구니(K)의 저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함으로써, 격자상의 바구니(K)라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표시기(6)는, LED를 사용하여 흐름 점멸에 의해 바구니(K)를 이동시키는 방향을 표시한다. 이 때문에, 고객은, 바구니(K)를 이동시키는 방향을 감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바구니(K)를 소정 위치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의 제2 표시기(6)는, 바구니(K)를 이동시키는 이동량에 따라 다른 표시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바구니(K)를 이동시켜야 하는 양(거리)이 큰 경우에는 제1 LED군(611) 및 제2 LED군(612) 모두 흐름 점멸에 의한 표시를 행하고, 바구니(K)를 이동시켜야 하는 양이 작은 경우에는 한쪽의 LED군만 흐름 점멸에 의한 표시를 행한다. 이 때문에, 고객은 바구니(K)를 이동시키는 방향뿐만 아니라 이동시키는 양도 감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은, 보다 용이하게 바구니(K)를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 중 어느 것이 바구니(K)를 검출하면, 바구니(K)가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안테나(4)는 반송파의 발신을 개시하고, 태그 정보 판독부(1006)는 태그 정보의 판독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태그 정보 판독부(1006)는, 바구니(K)가 소정 위치로 한창 이동하고 있는 중에 바구니(K) 내의 무선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바구니(K)의 이동 중에는 안테나(4)와 바구니(K) 내의 무선 태그의 위치 관계가 변동된다. 이에 의해, 안테나(4)로부터 전파를 받기 어려운 위치에 있었던 무선 태그의 태그 정보도 판독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태그 판독 장치(1)는, 태그 정보의 판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1 표시기(3)는, 바구니(K)가 소정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제1 센서(51) 내지 제3 센서(53)가 검출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태그 정보의 판독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 때문에, 제1 표시기(3)는, 제2 표시기(6)에 의해 안내되는 소정 위치에 바구니(K)가 위치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판독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으므로, 고객에게 위화감이나 불신감을 안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무선 태그 판독 장치(1)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 상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시킴으로써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나아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경유로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실시 형태는, 그 밖의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6)

  1. 저면부 및 당해 저면부로부터 상방으로 세워 설치되는 측면부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물품을 출입 가능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물품에 부착된 무선 태그와 전파를 송수신하여 당해 무선 태그로부터 태그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을 상기 수용부의 소정 위치에 접근시킬 것을 촉구하는 통보를 행하는 통보부
    를 구비하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저면부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물품을 수용한 수용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는,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는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기인,
    무선 태그 판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물품을 이동시키는 이동량에 따라 표시 형태를 다르게 하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검출부가 상기 물품의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물품이 상기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도 판독을 개시하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에 의한 상기 태그 정보의 판독 동작 완료를 통보하는 판독 완료 통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독 완료 통보부는, 상기 물품이 상기 소정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태그 정보의 판독 완료를 통보하는,
    무선 태그 판독 장치.
KR1020227039205A 2020-09-25 2021-09-01 무선 태그 판독 장치 KR20220165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0592 2020-09-25
JP2020160592A JP2022053781A (ja) 2020-09-25 2020-09-25 無線タグ読取装置
PCT/JP2021/032052 WO2022064979A1 (ja) 2020-09-25 2021-09-01 無線タグ読取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773A true KR20220165773A (ko) 2022-12-15

Family

ID=8084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9205A KR20220165773A (ko) 2020-09-25 2021-09-01 무선 태그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57808A1 (ko)
JP (1) JP2022053781A (ko)
KR (1) KR20220165773A (ko)
CN (1) CN116034405A (ko)
WO (1) WO202206497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0255A (ja) 2017-05-09 2018-11-29 株式会社アスタリスク 読取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8556B2 (ja) * 2009-05-13 2013-02-2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無線タグ読取処理装置
JP5393382B2 (ja) * 2009-09-29 2014-01-22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商品情報読取装置、および商品情報読取プログラム
JP6276637B2 (ja) * 2014-04-18 2018-02-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読取装置及び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2017228140A (ja) * 2016-06-23 2017-12-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ES2662696B1 (es) * 2016-08-31 2018-10-10 Vicente CAMPOS TENA Dispositivo con ventana rfid acoplable a la embocadura de un carro de compra y método de identificacion
JP7067785B2 (ja) * 2018-03-20 2022-05-1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0255A (ja) 2017-05-09 2018-11-29 株式会社アスタリスク 読取装置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34405A (zh) 2023-04-28
JP2022053781A (ja) 2022-04-06
WO2022064979A1 (ja) 2022-03-31
US20230057808A1 (en)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719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rchandizing electronic displays
JP7026323B2 (ja) 無線読取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る買物支援システム
JP6253998B2 (ja) チェックアウト端末
JP2010058908A (ja) 物品管理システム
JP2010006557A (ja) 物品管理システム
JP6748349B2 (ja) Pos装置、pos装置のプログラム、及びpos装置の制御方法
CN104981825A (zh) 缺货传感器
CN111033551B (zh) 购物辅助系统、购物辅助方法以及程序
US20220383003A1 (en) Wireless tag reading device
KR102360760B1 (ko) 위치 검출 시스템
KR101787428B1 (ko) 물품을 수용하는 장치
KR20220165773A (ko) 무선 태그 판독 장치
JP5319747B2 (ja) 顧客案内システム、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顧客案内方法
JP2021081892A (ja) 決済システム
JP2006259800A (ja) データ取得装置
JP2009237696A (ja) 商品陳列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667589A1 (en) Commodity accomodation apparatus
JP2019049840A (ja) 読取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005109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EP4365770A1 (en) Wireless tag reading device
JP2005332391A (ja) プログラマブルモジュール管理
US11599735B2 (en) Wireless tag reader and basket device
JP7330026B2 (ja) 無線タグ読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043826A (ja) 無線タグ読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382590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