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4331A -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4331A
KR20220164331A KR1020210072974A KR20210072974A KR20220164331A KR 20220164331 A KR20220164331 A KR 20220164331A KR 1020210072974 A KR1020210072974 A KR 1020210072974A KR 20210072974 A KR20210072974 A KR 20210072974A KR 20220164331 A KR20220164331 A KR 20220164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eruricemia
phyllodulcin
hydrangenol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308B1 (ko
Inventor
이선희
신유경
김현재
안혜신
나창선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53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4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4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6Antigout agents, e.g. antihyperuricemic or uricosur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Abstract

일 양상의 조성물은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매개 인자인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요산의 생성을 억제하고, 요산 결정으로 유발되는 염증을 완화시킴으로써,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orders related to hyperuricemia or hyperuricemia comprising hydrangenol or phyllodulcin}
본 발명은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요산은 퓨린이라는 핵산 성분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노폐물로, 정상인은 소변과 대변으로 대부분 배설되는데, 요산이 과다 생성되거나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혈액, 체액 또는 관절액에 과다하게 존재하는 것을 고요산혈증이라고 한다.
고요산혈증은 남성에서 6.8 내지 7.0mg/dL 초과 또는 여성에서 6mg/dL 초과의 혈중 요산 값을 가지는 경우로 정의된다. 고요산혈증 및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들(예를 들면, 통풍)은 미국에서 3백만 명 내지 5백만 명에게서 발생하고, 1990년과 2010년 사이에 통풍의 발생률이 대략 2배로 증가하였으며, 국내 통풍 환자 수는 연평균 14% 정도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에는 통풍뿐만 아니라, 요산 결정, 관절 내 요산염 결정의 침착, 신질부 내 요산염 결정의 침착으로 인한 급성, 단일 관절성, 염증성 관절염의 통증 발작, 요로 결석증, 신결석증 및 통풍성 신병증이 포함된다.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중에서 통풍은 혈액 내에 요산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요산염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위 조직에 침착되는 질병이다.
통풍의 치료 방법으로는, 혈중 요산 농도를 포화상태 이하로 장기간 유지하면 급성 통풍성 관절염의 예방뿐 아니라 이미 생긴 통풍 결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이용하여 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저해제와 요산배출촉진제(uricosuric agent)를 이용한 혈중의 요산농도를 낮추는 치료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합성 화학품을 기반으로 한 공지된 통풍 치료 약물은 부작용의 위험도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예방 치료는 병이 진정 상태로 일정기간 유지된 후에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사용하지 않는 통풍이 더 심하게 재발하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여 사용이 쉽지 않았다. 따라서, 부작용의 위험이 적고, 통풍을 미리 예방하는 데에 효과가 높은 조성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식물유래 소재는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여 오랫동안 이용되었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 민간에서 이용되거나 혹은 한방에서 이용되는 식물 및 생약성분을 주로 한 기능성 소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은 수국속(Hydrangea)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성분으로서(일본공개특허 JP0029934), 분자량은 256.25 g/mol이며 IUPAC명은 8-hydroxy-3-(4-hydroxyphenyl)-3,4-dihydroisochromen-1-one이다. 또한, 이것의 유도체로는(-)-hydrangenol 4'-O-glucoside, (+)-hydrangenol 4'-O-glucoside가 있다. 이것의 기능성으로는 피부미백(일본공개특허 JP-0007546), 항염효과(Kim, H.J, et al., Hydrangenol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BV2 microglial cells by suppressing the NF-κB pathway and activating the Nrf2-mediated HO-1 pathway,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v.35, pp. 61 - 69, 2016, 1567-5769)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필로둘신(Phyllodulcin; C16H14O5;(R)-3,4-dihydroxy-3-(4-methoxy-3-hydroxyphenyl) isocoumarine)은 수국속에서 발견되는 성분으로서 수국차 특유의 천연 비당성 단맛은 이 성분에 의해 발현된다. 필로둘신은 수국잎에 배당체 형태로 존재하지만 내재하는 베타 클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에 의해 필로둘신으로 생전환되어, 약 350~800배의 상대당도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Chem Pharm Bull 1978, 26, 2321-2327; Arig Biol Chem 1977, 41, 719-720; J Nat Prod 2004, 67, 1604-1607). 항알레르기 및 항궤양성(Nat Med 1994, 114, 401-413), 항비만(Nutrients 2017, 9(10)), 당뇨병 예방 및 개선(한국공개특허 10-2016-0095576)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식물의 통풍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 치료에 대한 용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그에 대한 기전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잔틴산화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여 요산의 생성을 억제하고, 요산 결정으로 유발되는 염증을 완화시킴으로써 통풍 질환의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였다.
일 양상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은 이소쿠마린(isocoumarin) 관련 페놀계 화학물인 다이하이드로아이소쿠마린(Dihydroisocoumarin)의 일종으로서, 8-Hydroxy-3-(4-hydroxyphenyl)-1H-2-benzopyran-1-one라고도 명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란제놀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거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필로둘신(Phyllodulcin)"은 이소쿠마린(isocoumarin) 관련 페놀계 화학물인 다이하이드로아이소쿠마린(Dihydroisocoumarin)의 일종으로서, (3R)-8-hydroxy-3-(3-hydroxy-4-methoxyphenyl)-3,4-dihydroisochromen-1-one라고도 명명된다.
상기 필로둘신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거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조성물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유도체 또는 필로둘신(Phyllodulcin)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도체(derivative)”는, 화합물의 일부를 화학적으로 변화시켜서 얻어지는 유사한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유도체는 화합물 중의 수소원자 또는 특정 원자단이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에 의하여 치환된 화합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은 수국속(Hydrangea)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국속 추출물은 산수국(Hydrangea macrophylla 또는 Hydrangea serrata) 추출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국속 추출물은 폴리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폴리페놀은 항염,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폴리페놀 섭취는 요산 수치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구체예에서 플라보노이드는 요산의 생성을 억제해 요산요에 의한 염증을 완화해주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국속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은 세포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거나, 초과 산화물분균등화효소(SOD)의 활성을 높이거나, 잔틴산화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거나 또는 NO를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국속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 중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IL-1β 발현 수치 또는 TNF-α 발현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산수국의 추출물은 산수국의 전초, 뿌리, 줄기, 가지, 잎, 종자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콜, 예를 들면, C1-C6 알콜, 예를 들면,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등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각 추출물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부피 또는 중량)배, 예를 들면, 3 내지 7(부피/중량)배, 3 내지 5(부피/중량)배, 5 내지 10(부피/중량)배, 또는 4 내지 10(부피/중량)배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과 알콜의 혼합물 즉 알콜 수용액일 수 있으며,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알콜 수용액의 알콜 농도는 1 내지 99.5 (v/v)%, 10 내지 99.5 (v/v)%, 1 내지 70(v/v)%, 1 내지 40 (v/v)%, 5 내지 25 (v/v)%, 7 내지 20 (v/v)%, 5 내지 25 (v/v)%, 또는 10 내지 20(v/v)%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국속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중량% 내지 99.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국속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8 중량%, 6 내지 15 중량%, 8 내지 15중량%, 7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국속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하이드란제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중량% 내지 99.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국속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하이드란제놀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8 중량%, 6 내지 15 중량%, 8 내지 15중량%, 7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국속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필로둘신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중량% 내지 99.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국속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필로둘신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 5 내지 18 중량%, 6 내지 15 중량%, 8 내지 15중량%, 7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국속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추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침법, 가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전기적 추출법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추출 후, 당업계에 공지된 여과 및/또는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추출물의 건조물 또는 농축물은 상기와 같이 공지된 방법으로 건조 또는 농축된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 은 약리작용에 의하여 그 의약품의 효능 또는 효과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현한다고 기대되는 물질 또는 물질 군을 의미한다. 용어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에 충분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조성물의 임의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고요산혈증"은 남성에서 6.5 내지 7.5mg/dL 초과 또는 여성에서 6mg/dL 초과의 혈중 요산 값을 갖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고요산혈증은 고혈압, 고지혈증, 혈당증가, 복부 비만 등의 임상양상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요산혈증은 무증상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는 혈액 내의 요산의 축척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을 총칭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는 급성 또는 만성통풍, 간헐기 통풍, 통풍성 발적, 통풍성 관절염, 급성 통풍성 관절염, 만성 결절성 통풍, 통풍성 신결석증, 신석증 및 통풍성 신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무증상 고요산혈증"이란, 혈청 요산의 농도는 증가되어 있지만, 관절염 증상, 통풍결절, 요산 콩팥돌증 등의 증상은 아직 나타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통풍"은 잔틴(Xanthine)이 잔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에 의해 산화됨으로써 생성되는 요산의 농도가 혈액 내에서 높아짐으로써, 요산염 결정이 관절의 연골, 힘줄, 주위 조직에 침착되어 염증 또는 통증이 수반되는 질병을 의미한다. 또한, 통풍은 관절의 염증, 재발성 발작, 관절의 변형과 불구, 또는 신장질환을 수반하며, 고혈압, 고지혈증, 혈당증가, 복부 비만 등의 임상양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통풍은 요산혈증, 급성 통풍성 관절염, 간헐기 통풍, 만성 결절성 통풍 등의 단계를 거쳐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풍은 단관절염, 소수관절염 또는 다관절염 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통풍성 발적"은 통풍에 의한 염증 등으로 붉어지는 증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급성 통풍성 관절염"은 고요산혈증이 지난 후, 통풍 발작이 나타나거나 콩팥돌증이 발생하는 질환일 수 있다. 상기 통풍성 관절염은 관절염의 급성 발작, 심한 고통, 점차 여러 관절을 침범하는 특징, 고열과 같은 특징을 수반할 수 있다. 용어"간헐기 통풍"은 통풍 발작 사이의 증상이 없는 기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간헐기 통풍은 첫 번째 발작 이후에 6개월에서 2년 사이의 간헐기를 갖는 형태의 통풍으로, 점차 빈도가 증가하고, 여러 관절을 침범하는 특징이 있다. 용어"만성 결절성 통증"은 통풍 발작이 일어나지 않은 간헐기 이후에 나타나는 통풍으로, 일반 관절염과 유사한 증상을 가지고 있고, 침범부위 관절에 점진적 뻣뻣함과 지속적인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저해"는 체내에서 구아닌(guanine)은 직접 잔틴(xanthine)으로 대사되는 데에 기여하는 잔틴산화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요산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요산 생성을 억제함으로서, 혈중 요산 농도의 증가를 방지하여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산화능의 증가" 체내의 DPPH 라디칼 소거능 또는 전자공여능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잔틴 산화효소가 잔틴을 요산으로 전환시킬 때 생성되는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등을 제거하여 항산화능, 라디칼 소거능 또는 전자공여능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능을 증가시킴으로써, 통풍으로 인한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L-1β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통풍으로 인한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NF-α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통풍으로 인한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prevention)"은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의 발병 또는 재발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지연시키거나 방지하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 또는 재획득을 막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총칭한다. 상기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 또는 염증 관련 질환, 장애, 또는 증상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과립제, 환제, 캡슐제, 액상형, 젤리 또는 껌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을 갖는 것으 로서, 구강 섭취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양상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투여하여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요산혈증,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예방 또는 추출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잔틴 산화효소 저해(xanthine oxidase inhibition) 작용으로 인해 혈중 또는 뇨중의 요산을 감소시켜 통풍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통풍으로 인한 염증을 예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잔틴 산화효소가 잔틴을 요산으로 전환시킬 때 생성되는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등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된 제제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pH 조절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알긴산 및 그의 염, 펙트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라이드, 글리세린,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는 크림, 로션제, 연고제, 경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유동엑스제, 엘릭서, 침제, 향낭, 패취제 또는 주사제 등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임의의 동물에 적용 가능하며, 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뿐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의 중증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1 mg/kg(체중) 내지 500 mg/kg(체중), 0.1 mg/kg(체중) 내지 400 mg/kg(체중) 또는 1 mg/kg(체중) 내지 300 mg/kg(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양상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요산혈증,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예방 또는 추출물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상태 또는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하며, 피부 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개인위생용품, 피부외용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충진제 등일 수 있다. 상기 개인위생용품은 비누, 물티슈, 휴지, 샴푸, 치약,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겔 또는 세정 겔일 수 있다.
일 양상의 조성물은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 매개 인자인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요산의 생성을 억제하고, 요산 결정으로 유발되는 염증을 완화시킴으로써,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를 예방, 개선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ESIMS(positive-ion mode)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DEPT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HSQ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HMB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필로둘신(Phyllodulcin)의 MS(positive/negative-ion mode)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필로둘신(Phyllodulcin)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필로둘신(Phyllodulcin)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필로둘신(Phyllodulcin)의 HSQ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필로둘신(Phyllodulcin)의 HMB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12 는 산수국 추출물, 하이드라제놀 및 필로둘신의 잔틴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a)는 산수국 추출물, (b)는 하이드라제놀, 및 (c)는 필로둘신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잔틴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13 은 산수국 추출물, 하이드라제놀 및 필로둘신 처리시 MSU(Monosodium urate) crystals으로 유래된 Nitric Oxide(NO) 수치를 비교한 도이다; (a)는 산수국 추출물, (b)는 하이드라제놀, 및 (c)는 필로둘신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 수치를 나타낸다.
도 14는 산수국추출물, 하이드라제놀 또는 필로둘신 처리시 MSU(Monosodium urate) crystals으로 유래된 IL-1β 발현 수치를 비교한 도이다; (a)는 산수국 추출물, (b)는 하이드라제놀, 및 (c)는 필로둘신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β 발현 수치를 나타낸다.
도 15는 산수국추출물, 하이드라제놀 또는 필로둘신 처리시 MSU(Monosodium urate) crystals으로 유래된 TNF-α 발현 수치를 비교한 도이다; (a)는 산수국 추출물, (b)는 하이드라제놀, 및 (c)는 필로둘신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 발현 수치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산수국( Hydrangea serrata ) 추출물의 제조
일 양상의 조성물의 산수국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자생하는 산수국을 구입하여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햇빛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완전히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완전히 건조된 건조물을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분쇄물들을 얻은 다음 정제수 900 g을 준비한 후, 상기 분쇄물을 30 g 첨가하였다. 이때, 분쇄물과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중량비로 30배수로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물과 혼합한 정제수를 항온 수조에 넣어서 100℃, 5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카트리지필터(10 um)로 여과 후 감압 농축을 진행하였고, 분무 건조를 통하여 수용성 분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하이드란제놀 및 필로둘신의 제조
2.1 하이드란제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산수국 추출 분말을 이용하여, 하이드란제놀을 제조하였다.
먼저, Diaion HP-20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 분말을 겔 여과(gel filtration) 실시하였다. 전개 용매는 30%, 50%, 70%, 100% 메탄올과 CH2Cl2-MeOH(1:1, v/v)의 혼합용액을 각각 2 L씩 사용하여 용매 분획 하였으며 5개의 소분획(392-70EDia1~5)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392-70EDia4(357.4mg)는 Sephadex LH-20을 사용하였고,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하여 7개의 소분획(392-70EDia4a~4g)으로 나누었고, 이중 392-70EDia4d 분획은 메탄올에서 재결정하여 무정형의 화합물 1(Hydrangenol) 단일물질을 순수하게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화합물 1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ESIMS(positive-ion mode) 스펙트럼, 1H-NMR 스펙트럼, 13C-NMR 스펙트럼, DEPT NMR 스펙트럼, 2D NMR 스펙트럼 및 HMBC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1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ESIMS(positive-ion mode)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DEPT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HSQ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의 HMB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그 결과, 도 1 및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ESIMS(positive-ion mode) 스펙트럼의 경우 m/z = 257 [M+H]+로 나타났고, 1H-NMR스펙트럼의 경우 고자장에서 나타나는 δH 5.50에서의 methine proton(H-3)과 δH3.30과 3.06에서의 methylene proton(H-4)이 서로 vicinal coupling한다는 점과 chemical shift 값으로 C ring에서 기인하는 proton임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B-ring의 p-substituted benzene ring에서 기인하는 H-2', H-3'과 H-6' H-5'은 서로 ortho coupling하여 doublet(J = 8.4 Hz)으로 나타나고, H-2'과 H-6'의 피크와 H-3'과 H-5'의 피크들도 서로 ortho coupling을 하여 doublet으로 나타나 hydroxy기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ring의 1,2,3-trisubstituted benzene에서는 H-5와 H-7번 수소는 각각 H-6 수소와 coupling하여 H-5와 H-7번 수소는 ortho coupling으로 doublet, H-6 proton은 ortho 와 meta coupling으로 double of doublets로 나타나며, 모두 하나의 수소에 해당하는 피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3 및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13C-NMR스펙트럼의 경우 para-치환체를 포함하여 총 15개의 피크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δC 172에서의quarternary 탄소는 화합물 1번 탄소인 carbonyl group에서 기인한 피크이며, δC 116.9(C-3', C-5')과 129.6(C-2', C-6')는 aromatic ring의 파라 치환체에서 기인한 피크이며, δC 36.1과 83.1의 피크는 각각 aliphatic carbon과 oxygenated carbon에서 기인한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DEPT NMR스펙트럼의 경우, 7개의 protonated carbons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δC 36.1의 피크는 C-4에서 기인한 methylene group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도 5 및 6에 따르면, 2D NMR로 화합물 1의 정확한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HSQC스펙트럼으로부터 피크들의 정확한 위치를 동정하여 HMBC로부터 치환기가 결합된 위치를 알 수 있었다. 즉, δH 7.26(2H, d,J = 8.4 Hz, H-2' H-6')의 피크는 δC 36.1의 C-4와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H-4에서 기인한 δH 3.06과 3.30의 피크들은 δC 83.1(C-3), 119.8(C-5), 110.0(C-9), 142.2(C-10)의 피크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점을 종합하여, 공지 문헌을 참고해 화합물 1이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Yoshikawa M.,Matsuda H., Shimoda H., Shimada H., Harada E., Naitoh Y., Miki A., Yamahara J., Murakami N.Development of Bioactive Functions in Hydrangeae Dulcis Folium. V. On the Antiallergic and Antimicrobial Principles of Hydrangeae Dulcis Folium. (2). Thunberginols C, D, and E, Thunberginol G 3'-O-Glucoside, (-)-Hydrangenol 4'-O-Glucoside, and (+)-Hydrangenol 4'-O-Glucoside. Chem. Pharm. Bull.1996, 44: 1440-1447).
2.2 필로둘신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산수국 추출 분말을 이용하여, 필로둘신을 제조하였다.
먼저, Diaion HP-20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 분말을 겔 여과(gel filtration)하였다. 전개용매는 30%, 50%, 70%, 100% 메탄올과 CH2Cl2-MeOH(1:1, v/v)의 혼합용액을 각각 2 L씩 사용하여 용매분획 하였으며 5개의 소분획(Fr. 1~5)으로 나누었다. 소분획 Fr.4 는 Sephadex LH-20을 사용하여 메탄올을 전개용매로 하여 7개의 소분획(Fr.4-1~7)으로 나누었고, 이중 Fr.4-3 분획은 메탄올에서 재결정하여 무정형의 화합물 2(phyllodulcin) 단일물질을 순수하게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화합물 2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MS(positive/negative-ion mode) 스펙트럼, 1H-NMR 스펙트럼, 13C-NMR 스펙트럼, HSQC 스펙트럼 및 HMBC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7은 필로둘신(Phyllodulcin)의 MS(positive/negative-ion mode)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필로둘신(Phyllodulcin)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필로둘신(Phyllodulcin)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필로둘신(Phyllodulcin)의 HSQ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필로둘신(Phyllodulcin)의 HMB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그 결과, 도 7 및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LC-MS(negative-ion mode) 스펙트럼의 경우 m/z = 285 [M-H]-임을 확인하였고, 1H-NMR스펙트럼의 경우, 고자장에서 나타나는 δH 5.65에서의 methine proton(H-3)과 δH 3.34과 3.16에서의 methylene proton(H-4)이 서로 vicinal coupling한다는 점과 chemical shift 값으로 C ring에서 기인하는 proton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B-ring의 p-substituted benzene ring에서 기인하는 H-2'은 H-6'와 서로 meta coupling하여 doublet(J = 2.4 Hz, δH 6.95)으로 나타나고, H-6' 피크는 H-2', H-3' 피크들과 각각 mata, ortho coupling을 하여 double of doublets(J = 2.4,8.4 Hz, δH 6.90)으로 나타나며, H-5'은 H-6'와 서로 ortho coupling하여 doublet(J = 8.4 Hz, δH 6.96)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ABX system으로 치환된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δH 3.91 에서 methoxy로 추정되는 singlet의 수소 3개가 확인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A-ring의 1,2,3-trisubstituted benzene에서는 H-5와 H-7번 수소는 각각 H-6 수소와 coupling하여 H-5와 H-7번 수소는 ortho coupling으로 doublet, H-6 proton은 H-5, H-7번 수소와 ortho coupling으로 triplets로 나타나며, 모두 하나의 수소에 해당하는 피크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도 9 에 나타낸 것과 같이, 13C-NMR 스펙트럼은 para-치환체를 포함하여 총 16개의 피크가 나타났으며, δC 169.3에서의 quarternary 탄소는 화합물 1번 탄소인 carbonyl group에서 기인한 피크이고, δC 55.6 에서의 탄소는 methoxy group에서 기인한 피크이며, δC 33.6과 80.2의 피크는 각각 aliphatic carbon과 oxygenated carbon에서 기인하였음을 예상하였다.
더불어, 도 10 내지 1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2D NMR을 분석 시 HSQC 스펙트럼으로 피크들의 정확한 위치를 동정할 수 있었으며, HMBC 스펙트럼으로 치환기가 결합된 위치를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점을 종합하여, 공지 문헌을 참고해 화합물 2가 필로둘신(phyllodulcin)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Mandal, S. K., & Roy, S. C. Titanocene(III) chloride mediated radical-induced synthesis of 3,4-dihydroisocoumarins: synthesis of(±)-hydrangenol,(±)-phyllodulcin, (±)-macrophyllol and(±)-thunberginol G, Tetrahedron. 2008, 64(49): 11050-11057).
실험예 1: 산수국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TPC)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 추출물의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산수국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10 mg/ml의 농도로 용해한 산수국 추출물 20 ㎕에 20% 폴린-시오칼토(Folin-Ciocalteau)시약 및 10 % 탄산 나트륨(Na2CO3)용액을 혼합하고, 140㎕ 및 dH2O 20㎕를 차례로 가하여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76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갈릭산(Gallic Acid)을 표준물질로 정하여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해,
Figure pat00003
으로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폴리페놀의 함량 단위는 (mg GAE/g)이다.
표 1은 산수국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농도별로 나타낸 표이다.
산수국
(mg GAE/g)
250ppm 8.03
500ppm 18.46
1000ppm 38.45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산수국 추출물은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을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일 양상의 조성물이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높은 폴리페놀을 풍부히 포함하여 요산 수치를 낮춰줌으로써,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현저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2: 산수국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TFC)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 추출물의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치료 또는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10 mg/ml의 농도로 용해한 각 추출물 20 ㎕에 5% 아질산나트륨 용액(NaNO2) 10㎕를 혼합하여 5분간 반응시키고, 염화알루미늄 용액(AlCl3) 100㎕를 첨가하여 5 분간 방치하였다. 다음으로, 1 M 수산화나트륨(NaOH) 50 ㎕와 섞어 10 분간 반응시킨 후, 76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g Catechin/g)을 표준물질로 정하여
Figure pat00004
으로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표 2는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농도별로 나타낸 표이다.
산수국
(mg Catechin/g)
250ppm 6.18
500ppm 27.61
1000ppm 68.46
그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수국 추출물은 높은 함량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일 양상의 조성물이 플라보노이드를 풍부히 포함하여 요산 수치를 낮춰줌으로써, 현저한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3: 산수국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의 유리기(free radical)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추출물의 2,2-디페닐-1-피크릴하이드라질(DPPH)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우선, 2,2-디페닐-1- 피크릴하이드라질 시약 19.716 mg과 80%의 에탄올 500 ml를 섞어 0.1 mM의 DPPH 시약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적절한 농도의 시료와 DPPH 시약을 3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를 사용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Figure pat00005
으로 계산하였다.
표 3은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의 2,2-디페닐-1-피크릴하이드라질(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표이다.
산수국
(%)
250ppm 28.03
500ppm 33.80
1000ppm 35.63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은 높은 함량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일 양상의 조성물의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함으로서, 유리기(free radical) 억제능이 뛰어나 결과적으로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4: 산수국 추출물의 초과산화물불균등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의 초과산화물불균등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OD Determination kit(Sigma, MO, USA) 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1의 산수국 추출물을 각각 희석한 후 20 ㎕씩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00 ㎕의 WST(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용액과 20 ㎕의 효소반응 액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웰 플레이트를 37 ℃에서 20분 처리 한 후, microplate reader(BioTek, VT,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SOD 효소 활성률을
Figure pat00006
) 으로 계산하였다.
표 4는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의 SOD 효소 활성률을 농도 별로 나타낸 표이다.
산수국
(%)
250ppm 81.46
500ppm 91.18
1000ppm 93.14
그 결과, 표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은 SOD 효소 활성도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SOD가 초과 산화이온을 산소와 과산화수소로 바꿔 주는 불균등화 반응을 촉매함으로서, 체내에 쌓인 과잉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통풍 염증 및 통증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일 양상의 조성물의 경우 높은 SOD 효소 활성도로 인해 결과적으로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5. 산수국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하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 처리 시 잔틴산화효소 저해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 및 실시예 2.1의 하이드란제놀과 실시예 2.2의 필로둘신의 잔틴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Xanthine oxidase assay kit(AAT Bioquest, CA, USA)를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 및 실시예 2.1의 하이드란제놀과 실시예 2.2의 필로둘신과 잔틴산화효소를 Amplite Red 희석액, Horseradish Peroxidase 희석액 및 잔틴 희석액과 혼합한 뒤 상온의 암실에서 30 내지 60분동안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570/610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흡광도를
Figure pat00007
를 이용하여 XOD 활성(XOD activity)을 계산하였다.
도 12 는 산수국 추출물, 하이드라제놀 및 필로둘신의 잔틴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a)는 산수국 추출물, (b)는 하이드라제놀, 및 (c)는 필로둘신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잔틴산화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산수국 추출물, 하이드라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포함하는 조성물 모두 유의적으로 잔틴산화효소를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잔틴산화효소는 요산과 과산화물로의 산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결과는 산수국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하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높은 잔틴산화효소 저해능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6. 산수국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하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 처리 시 MSU(Monosodium urate) crystals로 유래된 Nitric Oxide(NO) 감소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 및 실시예 2.1의 하이드란제놀과 실시예 2.2의 필로둘신의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SU(Monosodium urate) crystals로 염증 반응을 일으킨 후 NO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먼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MD, USA)로부터 수득한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10% FBS 및 1% antibiotic-antimycotic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5% CO2, 37℃ 에서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배양한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1.0 × 106 cells/2 ㎖/well 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DMEM 에 1 ㎎/ml MSU(Monosodium urate) crystals 및 실시예 1 및 2.1과 2.2를 각각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배양 상등액을 100 ㎕씩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Griess(0.1% N-(1-naphtyl) ethylenediamine, 1% sulfanilamide) 시약 100 ㎕ 혼합하고 10 분 동안 반응시킨 뒤, 발색 azo-유도체 분자의 흡광도를 540 nm 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BioTek, Vermont, USA)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아질산 나트륨의 희석 범위를 각 샘플의 아질산염의 양으로 표준 곡선 변환하여 NO 분비량을 계산하였다.
도 13 은 산수국 추출물, 하이드라제놀 또는 필로둘신 처리시 MSU(Monosodium urate) crystals으로 유래된 Nitric Oxide(NO) 수치를 비교한 도이다; (a)는 산수국 추출물, (b)는 하이드라제놀, 및 (c)는 필로둘신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 수치를 나타낸다.
그 결과,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산수국 추출물, 하이드라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포함하는 조성물 모두 유의적으로 NO 분비를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산수국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하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높은 NO 분비를 저해 효과로 인해 결과적으로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7: 산수국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하는 하이드란제놀 (hydrangenol) 또는 필로둘신 (Phyllodulcin) 처리 시 MSU(Monosodium urate) crystals로 유래된 IL-1β 발현 감소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 및 실시예 2.1의 하이드란제놀과 실시예 2.2의 필로둘신에 대하여 MSU(Monosodium urate) crystals로 염증 반응을 일으킨 후, IL-1β의 발현량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로부터 수득하였으며, 10% FBS 및 1% antibiotic-antimycotic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5% CO2, 37℃ 에서 배양하였다. RAW264.7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1.0 × 106 cells/ 2 ㎖/well 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DMEM 에 1 ㎎/ml MSU(Monosodium urate) crystals와 실시예 1 및 2를 각각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IL-1β를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도 14는 산수국추출물, 하이드라제놀 또는 필로둘신 처리시 MSU(Monosodium urate) crystals으로 유래된 IL-1β 발현 수치를 비교한 도이다; (a)는 산수국 추출물, (b)는 하이드라제놀, 및 (c)는 필로둘신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β 발현 수치를 나타낸다.
그 결과 도 14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산수국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하는 하이드란제놀 (Hydrangenol) 또는 필로둘신 (Phyllodulcin)은 유의적으로 IL-1β 발현을 저해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산수국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하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높은 IL-1β 발현을 저해 효과로 인해 결과적으로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험예 8: 산수국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하는 하이드란제놀 (hydrangenol) 또는 필로둘신 (Phyllodulcin) 처리 시 MSU(Monosodium urate) crystals로 유래된 TNF-α 발현 감소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산수국 추출물 및 실시예 2.1의 하이드란제놀과 실시예 2.2의 필로둘신에 대하여 MSU(Monosodium urate) crystals로 염증 반응을 일으킨 후, TNF-α의 발현량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로부터 수득하였으며, 10% FBS 및 1% antibiotic-antimycotic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5% CO2, 37℃에서 배양하였다. RAW264.7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1.0 × 106 cells/ 2 ㎖/well 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DMEM 에 1 ㎎/ml MSU(Monosodium urate) crystals와 실시예 1 및 2를 각각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TNF-α를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도 15는 산수국추출물, 하이드라제놀 또는 필로둘신 처리시 MSU(Monosodium urate) crystals으로 유래된 TNF-α 발현 수치를 비교한 도이다; (a)는 산수국 추출물, (b)는 하이드라제놀, 및 (c)는 필로둘신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 발현 수치를 나타낸다.
그 결과 도 15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산수국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하는 하이드란제놀 (Hydrangenol) 또는 필로둘신 (Phyllodulcin)은 유의적으로 TNF-α 발현을 저해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산수국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하는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높은 TNF-α 발현을 저해 효과로 인해 결과적으로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조예]
제조예 1: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하기 표 5의 성분비로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정제는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mg)
실시예 1 50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2
제조예 2: 캡슐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하기 표 6의 성분비로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연질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캡슐제는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mg)
실시예 1 50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2
제조예 3: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하기 표 7의 성분비로 혼합하고, 기호에 적합한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서 과병 또는 파우치에 충전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액제는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g)
실시예 1 2.5050
산탄검 0.0075
프락토올리고당액 0.7500
코코넛꽃진액분말 1.0500
쌍화농축액 1.5000
홍삼향 0.0450
정제수 9.1425
제조예 4: 젤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하기 표 8의 성분비로 혼합하고, 기호에 적합한 젤리 제조방법에 따라서 삼면포에 충전하여 젤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젤리는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g)
실시예 1 2.0000
푸드겔 0.3600
카라기난 0.0600
젖산칼슘 0.1000
구연산나트륨 0.0600
복합황금추출물 0.0200
효소처리스테비아 0.0440
프락토올리고당액 5.0000
적포도농축액 2.4000
정제수 13.9560

Claims (10)

  1.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란제놀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8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로둘신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지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9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란제놀, 필로둘신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은 수국속(Hydrangea) 추출물에서 유래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는 급성 또는 만성통풍, 통풍성 발적, 통풍성 관절염, 통풍성 신결석증 및 통풍성 신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을 저해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겔, 젤리,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또는 건강 음료의 제형을 갖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9.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틴산화효소(Xanthine oxidase)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10.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210072974A 2021-06-04 2021-06-04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5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974A KR102625308B1 (ko) 2021-06-04 2021-06-04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2974A KR102625308B1 (ko) 2021-06-04 2021-06-04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4331A true KR20220164331A (ko) 2022-12-13
KR102625308B1 KR102625308B1 (ko) 2024-01-16

Family

ID=8443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2974A KR102625308B1 (ko) 2021-06-04 2021-06-04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53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6906A (zh) * 2015-03-01 2015-05-06 陈学红 一种防治高尿酸血症的八仙花醇提物及其提取方法和用途
WO2020166779A1 (ko) * 2019-02-11 2020-08-20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하이드란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형성 억제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6906A (zh) * 2015-03-01 2015-05-06 陈学红 一种防治高尿酸血症的八仙花醇提物及其提取方法和用途
WO2020166779A1 (ko) * 2019-02-11 2020-08-20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하이드란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형성 억제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308B1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78258B2 (en) Composition for suppressing cyclooxygenase and/or 5-lipoxygenase
KR101946526B1 (ko) 하이드란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1113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0523A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9509B1 (ko) Th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방암 또는 호르몬 저항성 유방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080896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25308B1 (ko) 하이드란제놀(Hydrangenol), 필로둘신(Phyllodulcin) 또는 이들의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10196677A1 (en) Method of preventing or improving uv-induced skin damage using hydroangenol as active ingredient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220164332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26214A (ko) 지중해 담치 지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1189A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15927A (ko) 포도잎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정맥순환 장애 개선용 조성물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230065041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47997B1 (ko) 증숙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데하이드로-6-진저다이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3487B1 (ko) 개가시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요로결석 조성물
KR20180109156A (ko) 모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성 및 염증성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5289955A (ja) 肥満および糖尿病の予防および治療剤ならびに食品
KR100683113B1 (ko) 신남알데하이드 (CinnamaldehYde)와 2-하드록시 신남알데하이드(2'-Hydroxyl-CinnamaldehY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상기 유효성분의 정제 방법
KR101722367B1 (ko) 대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20160775A1 (en) Synergistic composition with anti-proliferative activity
KR20230121678A (ko) 세모가사리 추출물 및/또는 디하이드로롤리올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및/또는 과색소성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39600B1 (ko) 항산화 활성 및 아세틸콜린에스트라아제 저해능을 가지는 한라봉 추출물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