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554A - 와인병 지지 프레임 - Google Patents

와인병 지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554A
KR20220162554A KR1020210071131A KR20210071131A KR20220162554A KR 20220162554 A KR20220162554 A KR 20220162554A KR 1020210071131 A KR1020210071131 A KR 1020210071131A KR 20210071131 A KR20210071131 A KR 20210071131A KR 20220162554 A KR20220162554 A KR 20220162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wine bottle
support frame
rough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244B1 (ko
Inventor
김도영
김지훈
Original Assignee
김도영
김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영, 김지훈 filed Critical 김도영
Priority to KR102021007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2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39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2Containers made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05Bottle-crate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원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와인병 포장상자 내부에서 와인병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와인병이 수납되는 포장상자의 내부에 수용되어 와인병을 거치시키기 위한 와인병 지지 프레임에 있어서, 와인병 모양으로 함몰 형성되어 와인병을 감싸 수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와인병 수납부와; 상기 와인병 수납부 상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포장상자 내측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상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르면 신문지나 재생 폐지 등을 활용하고 합성수지재 사용을 억제함으로써, 자원 재활용 및 탄소 배출 최소화 등 환경 친화적으로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인병 지지 프레임{WINE BOTTLE SUPPORTING FRAME}
본 발명은 원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와인병 포장상자 내부에서 와인병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병은 포장상자에 하나 또는 두 개가 수납된 상태에서 판매하거나 진열하게 되며, 이때 포장상자 내부에는 와인병의 안정적인 수납을 위하여 와인병을 포장상자 내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내부 포장재가 구비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와인병 포장상자의 내부 포장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내부 포장재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와인병이 수납되는 수용홈(1)과, 상기 수용홈(1)을 둘러싸고 내부 포장재를 포장상자의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측면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내부 포장재는, 형태적 측면에서 와인병이 포장상자 내부에서 좌우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부(2)가 내부 포장재의 상면에서부터 포장상자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원자재 소비량이 증가되어, 생산 비용의 증가 및 자원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내부 포장재는, 소재적 측면에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생산되므로, 최근 친환경 저탄소 위주의 산업구조 정책에 위배되고 탄소배출 등 환경 파괴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4105호(2008.12.08)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3790호(2004.02.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재 사용을 억제하고 재생 폐지 활용을 통한 환경 친화적인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소재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와인병 포장상자 내부에서 와인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재생 폐지를 활용한 와인병 지지 프레임에 있어서, 소재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재료 불균일 또는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생산공정을 자동화하여,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와인병이 수납되는 포장상자의 내부에 수용되어 와인병을 거치시키기 위한 와인병 지지 프레임에 있어서, 와인병 모양으로 함몰 형성되어 와인병을 감싸 수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와인병 수납부와; 상기 와인병 수납부 상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포장상자 내측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상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인병 수납부는, 와인병의 몸체 부분이 수납되어 거치되는 몸체 수용홈과; 와인병의 목 부분이 수납되어 거치되는 병목 수용홈과; 상기 병목 수용홈의 중간에 형성되어 와인병을 파지하여 인출하기 위한 파지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파지홈 저면과 상기 몸체 수용홈 저면은 동일 수평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와인병 지지 프레임이, 상기 포장상자 바닥면에 접하는 상기 파지홈 저면과 상기 몸체 수용홈 저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은, 상기 상면부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부재 재단 단부가 상기 포장상자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포장상자 내측면에 면접하는 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측면부의 하방 연장 길이는, 상기 몸체 수용홈 저면까지의 길이보다 짧으면서, 상기 포장상자 내측면과의 면접에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 수용홈의 저면은, 상기 포장상자의 내측면과 면접하여 좌우측으로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이 평탄면으로 형성된 몸체 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지홈의 저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 지지홈의 바닥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인병 수납부는, 대칭형으로 좌우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와인병 수납부 사이에는, 상면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와인병들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 방지벽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인병 지지 프레임은, 폐지 파쇄물을 압착 성형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 성형은, (a) 상기 폐지 파쇄물과 물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혼합 원료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 원료액을 초벌몰드를 통해 압착하여, 프레임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초벌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초벌 성형된 초벌 성형품을 압축몰드를 통해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밀도가 증가되도록 압축 성형하는 단계; (d) 상기 압축 성형된 압축 성형품을 건조몰드를 통해 가열 압착하여, 잔여 수분이 제거되고 강도가 증가되도록 건조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건조 성형된 완제품을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 성형은, 상기 원료 혼합액을 제공하는 원료 공급조와; 상기 원료 공급조에서 원료 혼합액을 공급받아, 프레임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초벌 성형을 수행하는 초벌몰드와; 상기 초벌몰드에서 초벌 성형된 성형품을 공급받아, 수분을 제거하고 밀도가 증가되도록 압축 성형을 수행하는 압축몰드와; 상기 압축몰드에서 압축 성형된 성형품을 공급받아, 잔여 수분이 제거되고 강도가 증가되도록 건조 성형을 수행하는 건조몰드와; 상기 순차적인 압착 성형이 수행되도록 상기 초벌몰드 및 압축몰드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을 이송하는 이송 트레이와; 상기 상기 이송 트레이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몰드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을 출하하는 낙하 트레이; 및 상기 몰드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성형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벌몰드는, 상기 와인병 수납부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원료 공급조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 초벌몰드 및 상기 하부 초벌몰드의 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료 공급조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초벌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몰드는, 상기 상부 초벌몰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초벌몰드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상부 압축몰드와; 상기 하부 초벌몰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 트레이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트레이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압축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몰드는, 상기 상부 압축몰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압축몰드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상부 건조몰드와; 상기 하부 압축몰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압축몰드와 인접하여 상기 이송 트레이 상에 구비되어 이송 트레이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건조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성형장치에 의한 초벌 성형, 압축 성형 및 건조 성형은 연계된 상기 프레임 성형장치의 구동에 의해 구현되되, (A) 상기 원료 공급조에 혼합 원료액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상부 초벌몰드, 상부 압축몰드 및 상부 건조몰드가 하강하여 각각 하부 초벌몰드, 하부 압축몰드 및 하부 건조몰드를 압착하는 단계; (C) 상기 상부 초벌몰드, 상부 압축몰드 및 상부 건조몰드가 상승하여 각각 하부 초벌몰드, 하부 압축몰드 및 하부 건조몰드 내측의 성형품을 상부로 인출하는 단계; (D) 상기 이송 트레이가 이동하여, 상기 하부 압축몰드 및 하부 건조몰드가 각각 상기 상부 초벌몰드 및 상부 압축몰드 하부에 위치하는 단계; (E) 상기 상부 초벌몰드, 상부 압축몰드 및 상부 건조몰드가 하강하여 인출한 성형품을 각각 상기 하부 압축몰드, 하부 건조몰드 및 낙하 트레이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는 단계; (F) 상기 이송 트레이가 이동하여, 상기 하부 압축몰드 및 하부 건조몰드가 각각 상기 상부 압축몰드 및 상부 건조몰드 하부에 위치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계 (A) 내지 (F)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 성형장치의 구동에 의해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초벌몰드, 상부 압축몰드 및 상부 건조몰드의 하강 및 상승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의 상부 건조몰드는, 하부 건조몰드 내에 안착된 성형품을 가열 및 압축하여 건조 성형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계 (F)는, 상기 이송 트레이가 이동시 상기 낙하 트레이가 낙하하여 적재된 성형품이 출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 공급조에는, 유입된 혼합 원료액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워가 구비되어, 상기 단계 (A)의 혼합 원료액 공급 시, 혼합 원료액 상의 폐지 파쇄물 밀도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상기 원료 공급조 상부에는, 상기 하부 초벌몰드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하부 초벌몰드 상부를 수평이동 하면서 기 설정된 압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 초벌모드 내에 수용된 혼합 원료액 중 일부를 제거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 분사모듈에는, 상기 수평이동의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분사노츨이 구비되고, 상기 분사노즐별 분사압은, 상기 하부 초벌몰드의 인입공간 크기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상기 하부 초벌모드 수용공간 내에 균일한 분포로 혼합 원료액이 잔류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료 공급조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의 진동이 상기 원료 공급조에 전달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바가 연결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발생한 진동이 상기 원료 공급조에 전달되어 상기 혼합 원료액을 균일하게 교반되어, 상기 폐지 파쇄물의 밀도가 균일해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신문지나 재생 폐지 등을 활용하고 합성수지재 사용을 억제함으로써, 자원 재활용 및 탄소 배출 최소화 등 환경 친화적으로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인병 지지 프레임은, 저면을 평탄면으로 형성하고 측벽의 길이를 짧게 하여, 소재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와인병 포장상자 내부에서 와인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장치에 블로워 및 진동바를 적용함으로서, 재생 폐지를 활용하는 소재 특성상 발생할 수 있는 재료 불균일 및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3단의 연속된 압착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와인병 지지 프레임이 한 쌍으로 형성된 구현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의 생산 공정의 일 단계를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단계의 다음 단계 생산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단계의 다음 단계 생산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단계의 다음 단계 생산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원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와인병 포장상자 내부에서 와인병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와인병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와인병 지지 프레임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와인병 지지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은 와인병이 수납되는 포장상자의 내부에 수용되어 와인병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와인병 수납부(10)와, 상면부(20)와, 측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병 수납부(10)는, 상기 상면부(20)로부터 와인병 모양으로 함몰 형성되어 와인병을 감싸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인병의 몸체 부분이 수납되어 거치되는 몸체 수용홈(11)과, 와인병의 목 부분이 수납되어 거치되는 병목 수용홈(12)과, 상기 병목 수용홈(12)의 중간에 형성되어 와인병을 엄지 및 검지 등으로 파지하여 인출하기 위한 파지홈(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인병 수납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면부(20)는, 와인병 수납부(10) 상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포장상자 내측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은 포장상자 내측에 끼워져 수납되는 형태로 수용되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와인병 수납부(10)는 파지홈(13)의 저면과 몸체 수용홈(11)의 저면이 동일 수평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의 하나로 한다.
즉, 와인병의 병목 부분(12)의 저면은 몸체 부분(11)의 저면보다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와인병의 형태를 따라 와인병 수납부(1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이 포장상자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파지홈(13)의 저면과 몸체 수용홈(11)의 저면을 동일 수평 높이로 형성함으로서, 파지홈(13) 저면과 몸체 수용홈(11) 저면이 포장상자의 바닥면에 동시에 접하는 것에 의해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이 포장상자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지지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 수용홈(11)의 저면은, 포장상자의 내측면과 면접하여 좌우측으로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이 평탄면으로 형성된 몸체 지지홈(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홈(13)의 저면 역시 상기 몸체 지지홈(14)의 바닥과 수평을 이루도록 평탄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은, 상기 상면부(20)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부재 재단 단부가 상기 포장상자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포장상자 내측면에 면접하는 측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부(30)의 하방 연장 길이는, 상기 몸체 수용홈(11) 저면까지의 길이보다 짧으면서, 포장상자 내측면과의 면접에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의 제조에 필요한 소재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합성수지재 대신에 신문지나 재생 용지 등의 폐지 파쇄물을 압착 성형시켜 제조되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자원 재활용 효과를 높이고 환경 친화적으로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에는 와인병 수납부(10)가 대칭형으로 좌우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에는, 와인병 수납부(10)에 수용되는 와인병들이 서로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좌우 한 쌍의 와인병 수납부(10) 사이에 상면부(20)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충돌 방지벽(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인병 지지 프레임(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폐지 파쇄물을 압착 성형시켜 제조되게 되는데, 상기 압착 성형 공정은, 먼저 폐지 파쇄물과 물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혼합 원료액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 혼합 원료액은 신문지나 폐지 등의 파쇄물을 신문지의 잉크 등을 제거하기 위한 표백제 및 접착성 증가제 등과 같은 첨가제와 함께 파쇄물 중량의 약 10배 정도의 물에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혼합 원료액을 초벌몰드를 통해 압착하여, 프레임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초벌 성형한 후에, 상기 초벌 성형된 초벌 성형품을 압축몰드를 통해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밀도가 증가되도록 압축 성형한다.
상기 압축 성형된 압축 성형품은 건조몰드를 통해 가열 압착되어, 잔여 수분이 제거되고 강도가 증가되도록 건조 성형하는 단계를 거친 후에 완제품을 출하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내지 도 10은 상기와 같은 압착 성형을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 성형장치(1000)가 단계별로 압착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성형장치(1000)는 크게 원료 공급조(200)와, 성형몰드(410~620)와, 이송 트레이(700) 및 상기 성형몰드(410~6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조(300)는 혼합 원료액을 상기 성형몰드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료 저장 탱크(200)에 저장된 혼합 원료액이 이송 배관(310)을 통하여 이송되어 원료 공급 펌프(320)에 의해 공급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형몰드(410~620)는, 상기 원료 공급조(300)로부터 공급받은 혼합 원료액을 압착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벌몰드(410, 420), 압축몰드(510, 520) 및 건조몰드(610, 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초벌몰드(410, 420)는, 상기 원료 공급조(300)에서 원료 혼합액을 공급받아 프레임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초벌 성형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인병 수납부(10)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원료 공급조(300)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 초벌몰드(420)와, 상기 하부 초벌몰드(420)의 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원료 공급조(3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초벌몰드(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몰드(510, 520)는, 상기 초벌몰드(410, 420)에서 초벌 성형된 성형품을 공급받아 수분을 제거하고 밀도가 증가되도록 압축 성형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 초벌몰드(4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초벌몰드(410)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상부 압축몰드(510)와, 상기 하부 초벌몰드(4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송 트레이 상에 구비되어 이송 트레이(700)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압축몰드(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몰드(610, 620)는, 상기 압축몰드(510, 520)에서 압축 성형된 성형품을 공급받아 잔여 수분을 제거하고 강도가 증가되도록 건조 성형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 압축몰드(5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압축몰드(510)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상부 건조몰드(610)와, 상기 하부 압축몰드(52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압축몰드(520)와 인접하여 이송 트레이(700) 상에 구비되어 이송 트레이(700)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건조몰드(6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 트레이(700)는, 상기와 같은 순차적인 압착 성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초벌몰드(410, 420) 및 압축몰드(510, 520)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710) 등과 같은 이송 수단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 트레이(700)의 단부에는, 상기 건조몰드(610, 620)에서 성형되는 완제품을 출하하기 위한 낙하 트레이(8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레임 성형장치(10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원료 공급조(300)에 원료 저장 탱크(200)로부터 혼합 원료액이 공급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혼합 원료액은 신문지 등을 파쇄하여 물 및 첨가제 등과 혼합하는 관계로 폐지 파쇄물이 뭉치거나 하강하여 침전하는 등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아니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료 공급조(300)에는 유입된 혼합 원료액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워(330)가 구비되어, 원료 공급조(300)의 하부에서 압축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혼합 원료액 내의 폐지 파쇄물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물 및 첨가제와 혼합되어 공급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료 공급조(300)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는 상기 구동부의 진동이 상기 원료 공급조(300)에 전달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진동바(340)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바(340)는 상기 구동부(900) 프레임의 일측과 원료 공급조(300)의 일측에 각각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되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구동부(900)에서 발생한 진동이 진동바(340)를 통하여 원료 공급조(300)에 전달됨으로써, 혼합 원료액의 폐지 파쇄물 밀도가 더욱 균일해 지도록 교반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료 공급조(300)에 혼합 원료액이 공급되면,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초벌몰드(410), 상부 압축몰드(510) 및 상부 건조몰드(610)가 하강하여 각각 하부 초벌몰드(420), 하부 압축몰드(520) 및 하부 건조몰드(620)를 압착하게 된다.
이때 초벌몰드에서는 상부 초벌몰드(410)가 하부 초벌몰드(420)에 주입된 혼합 원료액을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프레임의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초벌 성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료 공급조(300)의 상부에는 하부 초벌몰드(420)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압축공기 분사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분사모듈은 상부 초벌몰드(410)가 하강하기 전에 하부 초벌몰드(420) 상부를 수평이동 하면서 하부 초벌몰드(420) 상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하부 초벌몰드(420) 내에 수용된 혼합 원료액 중 일부를 제거시킴으로써 상부 초벌몰드(410)가 효과적으로 혼합 원료액을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압축공기 분사모듈에는, 수평이동의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분사노츨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분사노즐별 분사압을 상기 하부 초벌몰드(420)의 인입공간 크기에 대응하도록 설정함으로써, 하부 초벌몰드(420) 수용공간 내에 균일한 분포로 혼합 원료액이 잔류되도록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인입공간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분사압을 높게 설정하고, 인입공간의 깊이가 낮은 경우에는 분사압을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하부 초벌몰드(420) 수용공간 내에는 인입공간 크기에 대응하도록 균일한 분포로 혼합 원료액이 잔류됨으로써, 인입공간 전 영역에 대하여 일정한 압력이 전달되어 균일하게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초벌 성형된 성형품의 폐지 파쇄물 밀도가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성형되어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벌몰드(410, 420)에서 초벌 성형이 수행됨과 동시에 압축몰드(510, 520)에서는 압축 성형이 수행되게 된다. 즉, 상부 압축몰드(510)가 하강할 때 하부 압축몰드(520)에는 초벌몰드(410, 420)에서 초벌 성형된 후 이전 단계에서 이미 옮겨진 초벌 성형품(A)이 수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부 압축몰드(510)는 상기 하부 압축몰드(520)로 옮겨진 초벌 성형품(A)을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밀도가 증가되도록 압축 성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압축몰드(510, 520)에서 압축 성형이 수행됨과 동시에 건조몰드(610, 620)에서는 건조 성형이 수행되게 된다. 즉, 상부 건조몰드(610)가 하강할 때 하부 건조몰드(620)에는 압축몰드에서 압축 성형된 후 이전 단계에서 이미 옮겨진 압축 성형품(B)이 수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부 건조몰드(610)는 상기 하부 건조몰드(620)로 옮겨진 압축 성형품(B)을 가열 및 압착하여, 잔여 수분을 완전하게 제거하고 강도가 증가되도록 건조 성형을 수행하게 된다. 예시된 구현예에서는 가열과정이 건조몰드(610, 62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물론 상기 압축몰드(510, 520)에서도 가열과정이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초벌몰드(410), 상부 압축몰드(510) 및 상부 건조몰드(610)의 상승 및 하강은 구동부(900)와 연결된 구동축(910)에 의해 수행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성형 공정이 수행된 이후에, 상부 초벌몰드(4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상승하여 하부 초벌몰드(420) 내측의 초벌 성형품(A)을 상부로 인출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압축몰드(510) 및 상부 건조몰드(610)도 위쪽으로 상승하여 각각 하부 압축몰드(520) 내측의 압축 성형품(B) 및 하부 건조몰드(620) 내측의 건조 성형품(C)을 상부로 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초벌 성형품(A), 압축 성형품(B) 및 건조 성형품(C)이 각각 인출되게 되면 이송 트레이(700)가 도면에서 좌측의 원료 공급조(300) 상부로 이동하여, 하부 압축몰드(520) 및 하부 건조몰드(620)가 각각 상부 초벌몰드(410) 및 상부 압축몰드(510)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초벌몰드(410)는 하강하여 인출한 초벌 성형품(A)을 하부 압축몰드(520) 상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압축몰드(510) 및 상부 건조몰드(610)도 하강하여 각각 인출한 압축 성형품(B) 및 건조 성형품(C)을 하부 건조몰드(510) 및 낙하 트레이(800) 상에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품들을 안착시킨 상부 초벌몰드(410), 상부 압축몰드(510) 및 상부 건조몰드(6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송 트레이(700)가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하부 압축몰드(520) 및 하부 건조몰드(620)가 각각 상기 상부 압축몰드(510) 및 상부 건조몰드(610)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이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때 이송 트레이(700)가 이동하면 이송 트레이(700) 단부의 낙하 트레이(800)는 아래쪽으로 낙하하여 낙하 트레이(800) 상의 건조 성형품(C)을 완제품으로 출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세 단계의 연속된 압착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원자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와인병 포장상자 내부에서 와인병을 안정적으로 수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신문지나 재생 폐지 등을 활용하고 합성수지재 사용을 억제함으로써, 자원 재활용 및 탄소 배출 최소화 등 환경 친화적으로 와인병 지지 프레임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와인병 수납부 11 : 몸체 수용홈
12 : 병목 수용홈 13 : 파지홈
14 : 몸체 지지홈 20 : 상면부
30 : 측면부 40 : 충돌 방지벽
100 : 와인병 지지 프레임 200 : 원료 저장 탱크
300 : 원료 저장조 320 : 원료 공급 펌프
330 : 블로워 340 : 진동바
410 : 상부 초벌몰드 420 : 하부 초벌몰드
510 : 상부 압축몰드 520 : 하부 압축몰드
610 : 상부 건조몰드 620 : 하부 건조몰드
700 : 이송 트레이 710 : 컨베이어
800 : 낙하 트레이 900 : 구동부
910 : 구동축 1000 : 프레임 성형장치

Claims (18)

  1. 와인병이 수납되는 포장상자의 내부에 수용되어 와인병을 거치시키기 위한 와인병 지지 프레임에 있어서,
    와인병 모양으로 함몰 형성되어 와인병을 감싸 수납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와인병 수납부와;
    상기 와인병 수납부 상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포장상자 내측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상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인병 수납부는,
    와인병의 몸체 부분이 수납되어 거치되는 몸체 수용홈과;
    와인병의 목 부분이 수납되어 거치되는 병목 수용홈과;
    상기 병목 수용홈의 중간에 형성되어 와인병을 파지하여 인출하기 위한 파지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파지홈 저면과 상기 몸체 수용홈 저면은 동일 수평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와인병 지지 프레임이, 상기 포장상자 바닥면에 접하는 상기 파지홈 저면과 상기 몸체 수용홈 저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부재 재단 단부가 상기 포장상자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포장상자 내측면에 면접하는 측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측면부의 하방 연장 길이는,
    상기 몸체 수용홈 저면까지의 길이보다 짧으면서, 상기 포장상자 내측면과의 면접에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수용홈의 저면은,
    상기 포장상자의 내측면과 면접하여 좌우측으로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이 평탄면으로 형성된 몸체 지지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홈의 저면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 지지홈의 바닥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병 수납부는,
    대칭형으로 좌우 한 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와인병 수납부 사이에는,
    상면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와인병들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충돌 방지벽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병 지지 프레임은,
    폐지 파쇄물을 압착 성형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성형은,
    (a) 상기 폐지 파쇄물과 물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혼합 원료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혼합 원료액을 초벌몰드를 통해 압착하여, 프레임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초벌 성형하는 단계;
    (c) 상기 초벌 성형된 초벌 성형품을 압축몰드를 통해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밀도가 증가되도록 압축 성형하는 단계;
    (d) 상기 압축 성형된 압축 성형품을 건조몰드를 통해 가열 압착하여, 잔여 수분이 제거되고 강도가 증가되도록 건조 성형하는 단계; 및
    (e) 상기 건조 성형된 완제품을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성형은,
    상기 원료 혼합액을 제공하는 원료 공급조와;
    상기 원료 공급조에서 원료 혼합액을 공급받아, 프레임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초벌 성형을 수행하는 초벌몰드와;
    상기 초벌몰드에서 초벌 성형된 성형품을 공급받아, 수분을 제거하고 밀도가 증가되도록 압축 성형을 수행하는 압축몰드와;
    상기 압축몰드에서 압축 성형된 성형품을 공급받아, 잔여 수분이 제거되고 강도가 증가되도록 건조 성형을 수행하는 건조몰드와;
    상기 순차적인 압착 성형이 수행되도록 상기 초벌몰드 및 압축몰드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을 이송하는 이송 트레이와;
    상기 상기 이송 트레이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몰드에서 성형되는 성형품을 출하하는 낙하 트레이; 및
    상기 몰드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성형장치에 의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초벌몰드는,
    상기 와인병 수납부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원료 공급조 내부에 구비되는 하부 초벌몰드 및 상기 하부 초벌몰드의 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원료 공급조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초벌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몰드는,
    상기 상부 초벌몰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초벌몰드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상부 압축몰드와;
    상기 하부 초벌몰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송 트레이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트레이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압축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몰드는,
    상기 상부 압축몰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압축몰드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상부 건조몰드와;
    상기 하부 압축몰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 압축몰드와 인접하여 상기 이송 트레이 상에 구비되어 이송 트레이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한 하부 건조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성형장치에 의한 초벌 성형, 압축 성형 및 건조 성형은 연계된 상기 프레임 성형장치의 구동에 의해 구동되되,
    (A) 상기 원료 공급조에 혼합 원료액을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상부 초벌몰드, 상부 압축몰드 및 상부 건조몰드가 하강하여 각각 하부 초벌몰드, 하부 압축몰드 및 하부 건조몰드를 압착하는 단계;
    (C) 상기 상부 초벌몰드, 상부 압축몰드 및 상부 건조몰드가 상승하여 각각 하부 초벌몰드, 하부 압축몰드 및 하부 건조몰드 내측의 성형품을 상부로 인출하는 단계;
    (D) 상기 이송 트레이가 이동하여, 상기 하부 압축몰드 및 하부 건조몰드가 각각 상기 상부 초벌몰드 및 상부 압축몰드 하부에 위치하는 단계;
    (E) 상기 상부 초벌몰드, 상부 압축몰드 및 상부 건조몰드가 하강하여 인출한 성형품을 각각 상기 하부 압축몰드, 하부 건조몰드 및 낙하 트레이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는 단계;
    (F) 상기 이송 트레이가 이동하여, 상기 하부 압축몰드 및 하부 건조몰드가 각각 상기 상부 압축몰드 및 상부 건조몰드 하부에 위치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계 (A) 내지 (F)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프레임 성형장치의 구동에 의해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초벌몰드, 상부 압축몰드 및 상부 건조몰드의 하강 및 상승은 동시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상부 건조몰드는,
    하부 건조몰드 내에 안착된 성형품을 가열 및 압축하여 건조 성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는,
    상기 이송 트레이가 이동시 상기 낙하 트레이가 낙하하여 적재된 성형품이 출하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조에는,
    유입된 혼합 원료액에 압축 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워가 구비되어,
    상기 단계 (A)의 혼합 원료액 공급 시, 혼합 원료액 상의 폐지 파쇄물 밀도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공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조 상부에는,
    상기 하부 초벌몰드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하부 초벌몰드 상부를 수평이동 하면서 기 설정된 압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 분사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하부 초벌모드 내에 수용된 혼합 원료액 중 일부를 제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병 지지 프레임.
KR1020210071131A 2021-06-01 2021-06-01 와인병 지지 프레임 KR10252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131A KR102521244B1 (ko) 2021-06-01 2021-06-01 와인병 지지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1131A KR102521244B1 (ko) 2021-06-01 2021-06-01 와인병 지지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554A true KR20220162554A (ko) 2022-12-08
KR102521244B1 KR102521244B1 (ko) 2023-04-14

Family

ID=8443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131A KR102521244B1 (ko) 2021-06-01 2021-06-01 와인병 지지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2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8046A (zh) * 1999-11-30 2001-06-06 韩国瑞赛斯特有限公司 纸浆模制品的制造装置
KR200343790Y1 (ko) 2003-12-19 2004-03-09 주식회사 신우 와인 병 포장 및 진열용 상자
KR100874105B1 (ko) 2007-08-08 2008-12-15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와인 병 포장박스
KR101109689B1 (ko) * 2011-08-23 2012-02-15 (주)신풍 펄프성형장치
KR20180003409U (ko) * 2017-05-29 2018-12-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선물세트 포장상자용 트레이
CN111038856A (zh) * 2019-12-06 2020-04-21 东莞市凯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不易脱落的纸塑酒托
CN211725586U (zh) * 2020-01-10 2020-10-23 山东领军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矿物制浆搅拌设备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8046A (zh) * 1999-11-30 2001-06-06 韩国瑞赛斯特有限公司 纸浆模制品的制造装置
KR200343790Y1 (ko) 2003-12-19 2004-03-09 주식회사 신우 와인 병 포장 및 진열용 상자
KR100874105B1 (ko) 2007-08-08 2008-12-15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와인 병 포장박스
KR101109689B1 (ko) * 2011-08-23 2012-02-15 (주)신풍 펄프성형장치
KR20180003409U (ko) * 2017-05-29 2018-12-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선물세트 포장상자용 트레이
CN111038856A (zh) * 2019-12-06 2020-04-21 东莞市凯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不易脱落的纸塑酒托
CN211725586U (zh) * 2020-01-10 2020-10-23 山东领军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矿物制浆搅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244B1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550336A (en) A process and a device for conveying odd-shaped containers, typically soft drink bottles
KR20080021611A (ko) 화물 운반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5752363A (zh) 物流包装内填充装置及方法
KR102521244B1 (ko) 와인병 지지 프레임
KR102542510B1 (ko) 와인병 악세서리 수납 프레임
CN210653870U (zh) 一种测试针头生产加工用包装设备
KR20200098879A (ko) 펄프 몰드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0718564B1 (ko) 턴테이블형 펄프 몰드 제조장치
CN205574310U (zh) 物流包装内填充装置
EP061582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vely molding cushioning material made from recycled paper or pulp
AU2008357242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formaldehyde-free molded products and related parts
CN106273372A (zh) 一种塑料包装盒系统的压塑机构
CN213412599U (zh) 一种注塑生产用干燥设备
JP2005527439A (ja) 物品配送のための方法及びユニットロード
KR101066600B1 (ko) 화물운송용 컨테이너의 바닥재 제조장치
CN214086721U (zh) 一种料件的上料装置
CN214139168U (zh) 一种药管包装机的机械手上料装置
CN215753630U (zh) 一种九爪川字型平面全吹塑托盘
CN214651531U (zh) 一种密封胶连续精准分装设备
KR101787317B1 (ko) 산업용 몰드 성형장치
CN208453455U (zh) 一种防震物流箱
EP2174870B1 (en) Preform distributor for drop loading an open container with preforms in bulk
JPS592641Y2 (ja) 箱詰機の箱成形装置
CN110937213A (zh) 一种自适应托盘面板
JP2015217954A (ja) シュリンク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