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367A - 곤충 채집장치 - Google Patents

곤충 채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2367A
KR20220162367A KR1020210070730A KR20210070730A KR20220162367A KR 20220162367 A KR20220162367 A KR 20220162367A KR 1020210070730 A KR1020210070730 A KR 1020210070730A KR 20210070730 A KR20210070730 A KR 20210070730A KR 20220162367 A KR20220162367 A KR 2022016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accommodating chamber
foreign matter
insects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280B1 (ko
Inventor
이봉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Priority to KR102021007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2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6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2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5/00Catching insects in fields, gardens, or forests by movabl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5/00Catching insects in fields, gardens, or forests by movable appliances
    • A01M5/04Wheeled machines, with means for stripping-off or brushing-off ins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곤충과, 사료 및 배설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곤충 채집장치로서,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지지 프레임 상에 곤충들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곤충수용 챔버; 상기 곤충수용 챔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곤충과 상기 이물질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망; 상기 분리망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망을 통과한 상기 이물질을 별도로 수집하는 이물질수집 트레이; 및, 상기 곤충수용 챔버 내에 수용된 상기 곤충과 상기 이물질을 상기 분리망으로 낙하시켜 분리하기 위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곤충 채집장치{COLLECTING DEVICE FOR INSECT}
본 발명은 곤충 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설물을 포함하는 이물질과 곤충의 성충을 원활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한 곤충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충 사육은 희귀 곤충의 보호, 학문 또는 취미의 용도 이외에 천적자원, 환경정화, 환경지표, 치료제 등의 개발 및 연구용도로 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곤충을 사료로 제작하거나, 일반식품 원료로 갈색거저리 유충(mealworm beetle)과 쌍별귀뚜라미를 지정함으로 식용 곤충으로의 사육을 널리 행하고 있다.
곤충을 식용으로 하는 것에는 아직까지 사람들이 심리적인 거부감이 많은 실정이다. 그 대안으로 대두되는 것이 곤충을 가축이나 물고기의 사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원래 곤충을 먹던 가축이나 물고기의 사료로만 사용하더라도 경제적 효과가 엄청날 것임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해마다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사료는 대략 10억톤 가까이 생산되고 있다. 대략적으로 전 세계 콩의 80% 이상이 사료로 쓰이고 있는데, 곤충은 그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영국 식품환경연구소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1헥타르(1만㎡) 면적에서 1년에 콩 1t을 수확할 수 있지만, 곤충 단백질은 무려 150t을 생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식량기구(FAO)는 2014년 보고서에서 곤충은 물고기를 갈아 만든 어분(魚粉) 사료나 콩 사료를 25~100% 대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사료의 주요 성분은 콩 등에 포함된 단백질이다. 곤충은 고기보다 2~3배 높은 단백질과 키토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사료를 곤충으로 대체하면 그만큼 사료작물 재배를 줄일 수 있어 삼림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곤충이 지구온난화를 막을 대안으로 떠오른 것은 생산성이 워낙 뛰어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닭은 몸무게 1㎏을 불리기 위해 사료를 25㎏ 먹어야 하고, 돼지는 5㎏, 소는 10㎏을 먹어야 한다. 귀뚜라미라면 1.7㎏이면 충분하다. 또한, 현재 전 세계에서 잡히는 물고기의 10%가 다른 물고기를 키우는 사료에 들어가고 있는데, 곤충 사료가 확대되면 그만큼 어류 남획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곤충을 사료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곤충들을 사육하기 위해서는 사육 시설이 필요하며, 사육 시설은 비닐하우스, 패널, 창고 등의 형태로 크게 나뉘어 있으며, 사육 시설 내부에는 대부분 앵글이 설치되고 계란판, 스폰지 등의 사육틀이 배치되어 곤충을 대량 사육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사육틀은 곤충들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항상 사료와 함께 혼합되고, 배설물이 혼합된 사육틀에서 곤충이 사육되므로 곤충의 생산 및 제품화 시 곤충의 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배설물을 포함한 이물질의 청소를 수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이물질과 곤충의 분리 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이물질과 곤충을 분리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는데, 작업자가 직접 이물질을 분리함에 따라 노동력이 증가하고,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작업 시 발생하는 먼지 등을 비롯한 이물질에 그대로 노출되어, 곤충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05748호(2017.11.3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곤충을 별도의 곤충 채집 공간에 포집한 상태에서 곤충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설물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곤충 채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곤충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곤충과, 사료 및 배설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곤충 채집장치로서,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지지 프레임 상에 곤충들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곤충수용 챔버; 상기 곤충수용 챔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곤충과 상기 이물질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망; 상기 분리망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망을 통과한 상기 이물질을 별도로 수집하는 이물질수집 트레이; 및 상기 곤충수용 챔버 내에 수용된 상기 곤충과 상기 이물질을 상기 분리망으로 낙하시켜 분리하기 위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 상의 상기 곤충수용 챔버의 하부에는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삽입 및 인출되는 트레이 수납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곤충수용 챔버의 하부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삽입 및 인출되는 트레이 수납프레임의 상부가 서로 맞닿는 어느 일측에 상기 곤충수용 챔버를 경사지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곤충수용 챔버에는 상기 분리망에 걸러진 곤충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회전 힌지의 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는 개폐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상기 곤충들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곤충수용 챔버에 진동을 가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 수납프레임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 수납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진동모터에 의해 인가되는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곤충수용 챔버 내의 상기 배출구와 마주보는 대응 공간에는 상기 분리망에 의해 선별된 곤충들에 송풍을 인가하여 상기 배출구로 안내할 수 있는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팬 측의 상기 곤충수용 챔버의 하부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의 상부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곤충수용 챔버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 각각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부착된 접촉 센서; 및 상기 가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배출구의 개폐 정도를 설정하는 개폐 조절 모터; 및 상기 접촉 센서로부터 접촉 여부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개폐 조절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곤충수용 챔버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접촉 상태인 경우, 상기 개폐 조절 모터를 통해 상기 가이드가 상기 곤충수용 챔버의 높이방향으로 접히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곤충수용 챔버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비접촉 상태인 경우, 상기 개폐 조절 모터를 통해 상기 가이드가 상기 곤충수용 챔버의 기울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을 더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기 곤충수용 챔버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접촉 상태인 경우,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곤충수용 챔버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비접촉 상태인 경우,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에 의하면, 곤충의 성충을 별도의 곤충수용 챔버에 포집한 상태에서 성충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설물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곤충과 이물질을 별도의 곤충수용 챔버 내에서 분리하게 되므로 작업 시 발생하는 먼지 등을 비롯한 이물질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육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따로 수집하여 손쉽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가 사육대 일측에 위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의 높이 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의 내부에 사육틀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육틀이 수용된 상태의 곤충 채집장치에 진동을 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에서 곤충 선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에서 배설물을 비롯한 이물질을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가 사육대 일측에 위치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의 높이 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의 내부에 사육틀(30)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육틀(30)이 수용된 상태의 곤충 채집장치에 진동을 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에서 곤충 선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에서 배설물을 비롯한 이물질을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10)를 설명하기에 앞서 곤충이 사육되는 사육 시설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사육 시설 내에는 곤충의 사육 구조물인 사육틀(30)이 배치되어 곤충의 사육 공간을 제공하는 선반 형태의 베이스(21)가 복층 구조로 이루어진 사육대(20)가 설치되어 있다.
사육대(20)는 베이스(21)가 복층 구조로 설치되고, 베이스(21)의 양단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베이스(21)를 지지하는 수직대(22)가 구비되며,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응하여 베이스(21)의 폭과 길이가 결정되며, 베이스(21) 상에 곤충이 은신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사육틀(30)을 배치하여 곤충의 사육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수직대(22)는 막대 형태로 제작되며, 목재, 합성수지, 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베이스(21)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베이스(21)의 길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수직대(22)를 베이스(21)의 측방에 결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21)의 양단에 수직대(22)가 결합되어 베이스(21)를 지지하게 된다.
사육틀(30)은 다수의 계란판을 포개어 사각 박스 형태로 조립함으로써, 포개어진 계란판 사이에 은신처인 틈이 형성된다. 이러한 틈을 가지는 사육틀(30)은 기본적으로 계란판을 이용하여 제작하지만 곤충이 은신처로 인식할 수 있는 구조의 물품이라면 사육틀(30)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육대(20)에서 사육된 곤충들은 사육대(20)로부터 사육틀(30)과 함께 분리되어 곤충 채집장치(10)에 수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10)는, 지지 프레임(700) 상에 곤충을 수용하는 곤충수용 챔버(100)와, 곤충 및, 배설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망(200)과, 이물질을 별도로 수집하는 이물질수집 트레이(300)를 포함한다.
또한, 곤충수용 챔버(100) 내에 수용되어 사육틀(30)에 서식하는 곤충과 이물질을 분리망(200)으로 낙하시켜 분리하기 위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400)를 포함한다.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곤충수용 챔버(100)는 사육틀(30)이 수용되며,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부분 밀폐형 박스 형상으로서, 다수의 사육틀(30)이 수용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곤충수용 챔버(100)의 일측에는 곤충수용 챔버(100) 내부의 곤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110)이 구비되고, 확인창(110)에 대향하는 타측에는 작업자가 사육틀(30)을 곤충수용 챔버(100)의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개방된 개구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확인창(110)은 개방되거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유리 등으로 밀폐될 수 있다.
특히, 사육대(20)와 마주하는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20)는 사육대(20)에 배치되어 있는 사육틀(30)의 이동 동선을 최소화하여 곤충수용 챔버(100) 내에 배치하기 위해 사육대(20)와 마주보는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곤충수용 챔버(100)의 개방된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망(200)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분리망(200)은 메쉬망으로서, 사육틀(30)에서 낙하하는 곤충과 기타 이물질을 크기별로 선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리망(200)은 2층 구조로서, 제1 분리망(210)과 제2 분리망(220)으로 나뉜다.
분리망(200)의 크기는 제1 분리망(210)의 메쉬 크기가 가장 크고 제2 분리망(220)의 크기가 일정 비율로 작게 형성된다.
제1 분리망(210)의 메쉬 크기는 곤충과 이물질이 모두 통과 가능한 크기로서, 사육틀(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곤충이 제2 분리망(220)에 분산되어 낙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분리망(220)의 메쉬 크기는 곤충의 몸통보다 작게 형성되어, 곤충은 제2 분리망(220)에 의해 선별되고, 나머지 배설물을 포함한 이물질은 제2 분리망(220)을 통과할 수 있다.
여기서, 사육틀(30)은 제1 분리망(21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진동모터(400)에 의해 진동이 가해질 경우 사육틀(30)이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수 있으므로, 제1 분리망(210) 상에 배치되는 사육틀(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미도시)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리망(200)의 개수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곤충의 성충 크기에 따라 메쉬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곤충수용 챔버(100)의 하부, 즉 지지 프레임(700)의 상부에는 분리망(200)을 통과하는 이물질이 낙하하여 수집되는 서랍식 형태의 이물질수집 트레이(300)가 구비된다.
곤충수용 챔버(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물질수집 트레이(300)가 삽입 및 인출되는 트레이 수납프레임(500)이 지지 프레임(700) 상에 설치된다. 트레이 수납프레임(500)은 일측 및 상방을 향하여 개방 형성되며, 곤충수용 챔버(100)의 하부와 맞닿는 트레이 수납프레임(500) 상부의 타측에는 회전 힌지(600)가 구비된다.
회전 힌지(600)는 경첩 형태로서, 곤충수용 챔버(100)를 회전 힌지(600)를 중심으로 일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힌지(600)의 경사 각도는 곤충의 무게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곤충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경사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곤충수용 챔버(100)의 일측에는 곤충수용 챔버(100)를 타측 방향으로 손쉽게 밀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제2 손잡이(6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물질수집 트레이(300)에는 사육틀(30)이나 곤충으로부터 낙하하는 사료 및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분리망(200)을 통과하여 수집될 수 있으며, 트레이 수납프레임(500)의 일측 개구를 통해 서랍식으로 잡아 당겨 분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수집 트레이(300)의 일측에는 트레이 수납프레임(500)으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제1 손잡이(550)가 설치될 수 있다.
곤충수용 챔버(100) 내부의 분리망(200)에 의해 선별되어 분리망(200), 즉 제2 분리망(220)에 걸러진 상태의 곤충을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회전 힌지(600) 위에는 곤충수용 챔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망(200)에 의해 분리되어 선별되는 곤충을 배출구(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별도의 용기(c)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배출구(130)에는 용기(c)에 정확히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40)가 설치될 수 있다. 배출구(130)는 개폐 가능하게 설계된다. 가이드(140)에는 개폐 조절 모터(141)가 연결된다. 개폐 조절 모터(141)는 가이드(140)의 각도를 조절하여 배출구(130)의 개폐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개폐 조절 모터(141)는 예를 들어 자동문의 개폐를 조절하는 공지의 DC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140)는 곤충수용 챔버(100)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곤충수용 챔버(100)가 회전 힌지(600)에 의해 경사지게 기울어질 경우 접촉 센서(800)의 작동 신호에 의해 곤충수용 챔버(100)의 기울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곤충들을 외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송풍팬(810) 측의 곤충수용 챔버(100)의 하부와 이물질수집 트레이(300)의 상부가 접하는 부분에서, 곤충수용 챔버(100)와 이물질수집 트레이(300) 각각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부착된 접촉 센서(800)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접촉 센서(800)로부터 곤충수용 챔버(100)와 이물질수집 트레이(300) 사이의 접촉 여부 정보를 수신하며, 개폐 조절 모터(141)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곤충수용 챔버(100)와 이물질수집 트레이(300)가 접촉 상태인 경우, 개폐 조절 모터(141)를 통해 가이드(140)가 곤충수용 챔버(100)의 높이방향으로 접히도록 하여 배출구(130)를 폐쇄하고, 곤충수용 챔버(100)와 이물질수집 트레이(300)가 비접촉 상태인 경우, 개폐 조절 모터(141)를 통해 가이드(140)가 곤충수용 챔버(100)의 기울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하여 배출구(130)를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곤충수용 챔버(100) 내의 제2 분리망(220)의 일측, 즉 배출구(130)와 마주보는 대응 공간에는 송풍팬(810)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팬(810)은 제2 분리망(220)에 의해 선별된 곤충을 송풍하여 배출구(130)로 쉽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곤충수용 챔버(100)를 회전 힌지(600)에 의해 경사지게 기울게 할 경우와 함께 송풍팬(810)의 송풍 작용에 의해 곤충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곤충수용 챔버(100)의 외부 일측면에는 제어패널(150)이 설치된다. 제어패널(150)은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곤충 채집장치(10)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모터(400), 곤충들에 송풍을 인가하는 송풍팬(810), 및/또는 가이드(14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 조절 모터(14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제어부(100)에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패널(150)에는 진동모터(400)를 동작시키는 구동스위치(151)가 설치될 수 있다.
접촉 센서(800)는 곤충수용 챔버(100)과 트레이 수납프레임(500)의 맞닿는 위치에 설치되는 접촉 센서로서, 회전 힌지(600)에 의해 곤충수용 챔버(100)가 지지 프레임(700)에 대해 경사지게 기울어질 경우, 즉 접촉 센서의 접촉이 분리되는 경우, 배출구(130)가 개방되면서 가이드(140)가 돌출되어 곤충을 안내하게 된다. 이와 함께, 송풍팬(81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진동모터(400)는 제어패널(150)에 설치되는 구동스위치(151)에 의해 동작하며, 곤충수용 챔버(100)에 진동을 가하기 위해 트레이 수납프레임(50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진동모터(400)를 포함한다. 따라서, 곤충수용 챔버(100)에 사육틀(30)을 수용한 상태에서 구동스위치(151)를 작동시키고, 구동스위치(151)의 작동 신호에 의한 진동모터(400)의 작동에 의해 곤충 채집장치(10)에 진동이 가해질 경우 사육틀(30)에 서식하고 있는 곤충들과, 사료 및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곤충수용 챔버(100) 하단에 마련된 분리망(200)에 낙하하여 선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송풍팬(810) 및 진동모터(400)의 구동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곤충수용 챔버(100)와 이물질수집 트레이(300)가 접촉 상태인 경우, 송풍팬(810) 및 진동모터(400)를 구동시키며, 곤충수용 챔버(100)와 이물질수집 트레이(300)가 비접촉 상태인 경우, 송풍팬(810) 및 진동모터(40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제어패널(150)에는 곤충수용 챔버(100) 내의 곤충의 무게를 센서(미도시)를 통해 측정되어 표시되며, IOT 장치(미도시)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IOT 장치는 제어패널(150)과 연결된 임의의 IOT 장치일 수 있다.
지지 프레임(700)은 상부에 곤충수용 챔버(100), 트레이 수납프레임(500) 및 이물질수집 트레이(300)를 지지할 수 있는 기본 프레임으로서, 하부 프레임(710), 상부 프레임(720) 및 하부 프레임(710)과 상부 프레임(720)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7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700)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용 바퀴(75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지지 프레임(700)은 트레이 수납프레임(500)과의 사이에 진동모터(400)가 설치되므로 지지 프레임(700)과 트레이 수납프레임(500)이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될 수 있게 되며, 지지 프레임(700)과 트레이 수납프레임(500) 사이에는 탄성 지지대(900)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 지지대(900)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부재로서, 진동모터(400)의 진동이 가해질 경우, 진동 효율을 높여 탄성력을 발휘함으로써, 사육틀(30)에 서식하고 있는 곤충들과, 사료 및 배설물 등의 이물질의 선별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지지 프레임(700)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4개의 다리부(740)를 포함하며, 다리부(740) 아래 이동용 바퀴(750)가 구비된다. 이동용 바퀴(750)는 자유롭게 위치 이동 가능하며, 위치 이동을 중지하고 안정된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톱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곤충 채집장치(10)는 사육대(20)의 높이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지지 프레임(700)에 위치한 높이조절레버를 통해 다리부(74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다리부(7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레버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장치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곤충 채집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곤충의 크기에 따라 분리망(200)을 선택하고, 곤충 채집장치(10)의 곤충수용 챔버(100) 내의 하부에 분리망(200)을 평행하게 설치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곤충 채집장치(10)를 사육대(20)의 일측에 위치시키고 스톱퍼를 이용하여 바퀴(750)를 고정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높이조절레버를 회전시켜 곤충 채집장치(10)의 높이를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개방 형성된 개구부(120)를 통해 곤충수용 챔버(100) 내의 분리망(200), 특히 제1 분리망(210) 상에 사육틀(30)을 배치시키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곤충수용 챔버(100)의 외부 일측면에 설치된 제어패널(150)의 구동스위치(151)를 동작시켜 진동모터(400)를 구동시키게 된다. 진동모터(400)에 의해 곤충수용 챔버(100) 내의 분리망(200)에 진동을 가하게 되면서 사료 및 배설물 등의 이물질과 곤충을 분리한다.
분리망(200)의 메쉬 크기보다 큰 곤충은 통과되지 않고 이물질만 통과되어 곤충을 선별할 수 있다. 분리망(200)을 통과한 이물질은 이물질수집 트레이(300)에 저장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곤충수용 챔버(100)에 설치된 제2 손잡이(650)를 밀어 회전 힌지(600)를 중심으로 곤충수용 챔버(100)를 회전시켜 기울인다. 곤충수용 챔버(100)의 배출구(130)를 통해 분리망(200) 상에 잔류하고 있는 곤충을 배출시켜 용기(c) 내에 낙하시킨다. 이와 같이 분리된 곤충은 별도의 장소에 보관 가능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곤충수용 챔버(100) 하부의 이물질수집 트레이(300)를 트레이 수납프레임(500)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물질을 수거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곤충 채집장치는, 곤충의 성충을 별도의 곤충수용 챔버(100)에 포집한 상태에서 성충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배설물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곤충과 이물질을 별도의 곤충수용 챔버(100) 내에서 분리하게 되므로 작업 시 발생하는 먼지 등을 비롯한 이물질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육틀(30)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따로 수집하여 손쉽게 배출할 수 있다.
이 분야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 곤충 채집장치 20: 사육대
21: 베이스 22: 수집대
30: 사육틀 100: 곤충수용 챔버
110: 확인창 120: 개구부
130: 배출구 140: 가이드
141: 개폐 조절 모터 150: 제어패널
151: 구동스위치 200: 분리망
210: 제1 분리망 220: 제2 분리망
300: 이물질수집 트레이 400: 진동모터
500: 트레이 수납프레임 550: 제1 손잡이
600: 회전 힌지 650: 제2 손잡이
700: 지지 프레임 710: 하부 프레임
720: 상부 프레임 730: 연결 프레임
740: 다리부 750: 이동용 바퀴
800: 접촉 센서 810: 송풍팬
900: 지지대
c: 용기

Claims (10)

  1. 곤충과, 사료 및 배설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곤충 채집장치로서,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지지 프레임 상에 곤충들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곤충수용 챔버;
    상기 곤충수용 챔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곤충과 상기 이물질을 크기별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망;
    상기 분리망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망을 통과한 상기 이물질을 별도로 수집하는 이물질수집 트레이; 및
    상기 곤충수용 챔버 내에 수용된 상기 곤충과 상기 이물질을 상기 분리망으로 낙하시켜 분리하기 위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 상의 상기 곤충수용 챔버의 하부에는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삽입 및 인출되는 트레이 수납프레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수용 챔버의 하부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삽입 및 인출되는 트레이 수납프레임의 상부가 서로 맞닿는 어느 일측에 상기 곤충수용 챔버를 경사지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힌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수용 챔버에는 상기 분리망에 걸러진 곤충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회전 힌지의 위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구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는 개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배출되는 상기 곤충들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트레이 수납프레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수납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진동모터에 의해 인가되는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 지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수용 챔버 내의 상기 배출구와 마주보는 대응 공간에는 상기 분리망에 의해 선별된 곤충들에 송풍을 인가하여 상기 배출구로 안내할 수 있는 송풍팬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 측의 상기 곤충수용 챔버의 하부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의 상부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곤충수용 챔버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 각각에 서로 접촉 가능하게 부착된 접촉 센서; 및
    상기 가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배출구의 개폐 정도를 설정하는 개폐 조절 모터; 및
    상기 접촉 센서로부터 접촉 여부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개폐 조절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곤충수용 챔버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접촉 상태인 경우, 상기 개폐 조절 모터를 통해 상기 가이드가 상기 곤충수용 챔버의 높이방향으로 접히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고, 상기 곤충수용 챔버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비접촉 상태인 경우, 상기 개폐 조절 모터를 통해 상기 가이드가 상기 곤충수용 챔버의 기울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을 더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기 곤충수용 챔버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접촉 상태인 경우,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진동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곤충수용 챔버와 상기 이물질수집 트레이가 비접촉 상태인 경우,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진동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채집장치.
KR1020210070730A 2021-06-01 2021-06-01 곤충 채집장치 KR102568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730A KR102568280B1 (ko) 2021-06-01 2021-06-01 곤충 채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730A KR102568280B1 (ko) 2021-06-01 2021-06-01 곤충 채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2367A true KR20220162367A (ko) 2022-12-08
KR102568280B1 KR102568280B1 (ko) 2023-08-21

Family

ID=8443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730A KR102568280B1 (ko) 2021-06-01 2021-06-01 곤충 채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2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182A (ko) * 2014-05-21 2015-12-01 김민기 밀웜 멀티 분변기
KR20170104375A (ko) * 2016-03-07 2017-09-15 정성희 유충 선별기
KR101805748B1 (ko) 2017-06-13 2017-12-07 임흥규 자동 포집기능을 갖는 터널식 곤충 대량사육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4182A (ko) * 2014-05-21 2015-12-01 김민기 밀웜 멀티 분변기
KR20170104375A (ko) * 2016-03-07 2017-09-15 정성희 유충 선별기
KR101805748B1 (ko) 2017-06-13 2017-12-07 임흥규 자동 포집기능을 갖는 터널식 곤충 대량사육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280B1 (ko) 202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4960B1 (ko) 유충 선별기
US11395474B2 (en) Harvesting and incubating systems for cultivation of insects
KR102013800B1 (ko) 애벌레 자동선별장치
KR101464734B1 (ko) 밀웜분리유닛과 이를 마련한 밀웜선별기
US6659045B2 (en) Multi purpose house for pets
US20110120383A1 (en) Automated Systems for Feeding Animals and Collecting Animal Excrement
JP2020533026A (ja) 双翅類昆虫の生産のための機器および方法
KR101873496B1 (ko)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KR102568280B1 (ko) 곤충 채집장치
JP2002320422A (ja) 動物に飼料を供給する装置
CN1846479A (zh) 具有供水和喂料装置的鸟笼
CN207308330U (zh) 一种全自动tmr饲料分级筛
KR101804507B1 (ko) 선별장치
JP3595284B2 (ja) 愛玩用鶏の飼育装置
US2688308A (en) Suckling and farrowing crate
CA2571948A1 (en) Automated feeding apparatus
CN103533829A (zh) 动物挑选装置
JP6914836B2 (ja) アレルゲンの環境濃度を生成及び測定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方法
KR102464075B1 (ko) 곤충 선별장치
KR102039803B1 (ko) 곤충 선별기
CN116685199A (zh) 饲养装置
CN209349033U (zh) 一种人工饲养昆虫的虫蛹分离装置
US20100269756A1 (en) Squirrel proof birdfeeder
DE2462623C3 (de) Vorrichtung zur Trennung spezifisch unterschiedlich schwerer Teilchen in einem Schüttgut
CN215235839U (zh) 一种试验用幼虫养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