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801A - 인서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서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801A
KR20220161801A KR1020210070005A KR20210070005A KR20220161801A KR 20220161801 A KR20220161801 A KR 20220161801A KR 1020210070005 A KR1020210070005 A KR 1020210070005A KR 20210070005 A KR20210070005 A KR 20210070005A KR 20220161801 A KR20220161801 A KR 20220161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lab layer
insert
layer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공진
신용석
Original Assignee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스이엔티 filed Critical (주)코리스이엔티
Priority to KR1020210070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1801A/ko
Publication of KR2022016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건축물의 천장에 매설되는 인서트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건축물에 축조되는 슬래브층, 및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몰탈층(TC)을 포함하는 인서트 구조체에서, 적어도 2개의 앵커부(21a, 21b)는 천장시설물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22)이 마련되고, 상기 슬래브층의 하부에 나사산(22)이 노출되도록 슬래브층의 상하로 관통하여 배치된다. 앵커연결부(23)는 상기 앵커부(21a, 21b)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앵커부(21a, 21b)를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몰탈층(TC)으로 매립된다. 따라서 천장시설물 설치를 위해 앵커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 공정 없이도 인서트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해서 설계에 따라 천장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고, 인서트(20)의 현장 설치가 어려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층에서 천장시설물 설치를 위해 앵커를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인서트(20) 설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단순화해서 인서트(20) 설치 공간의 절약화가 가능하고, 작업시간 단축, 효율적 운영, 공사비 절감 등의 작업성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서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INSER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에 매설되는 인서트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에 배관, 덕트, 전선지지대 등의 다양한 천장시설물을 설치할 경우, 설치가 용이하도록 슬래브 천장면에 인서트가 매설된다. 상기 인서트는 거푸집에 미리 배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하여 슬래브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인서트는 별도의 앵커 시공 없이 용이하게 천장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다양하게 공지된다. 그런데, 상기 인서트는 거푸집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관계로 그 구조 및 작업이 복잡하며 작업도중 부주의로 원래의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문제로 위치 설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 위치 설정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그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4745(배관지지가대 설치용 인서트플레이트 위치설정장치)로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높이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위치설정장치를 이용하여 인서트플레이트의 위치를 보다 정교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인서트플레이트의 위치설정에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는 것이어서 여전히 작업성이 개선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인서트는 천장구조물의 설치에 별도의 앵커 시공이 필요하지 않아 바람직하나, 거푸집에 고정되어 매설되는 관계로 그 구조나 작업이 복잡하고 위치설정에 어려움이 있으며, 더욱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층의 경우 인서트의 현장 설치가 어려워 앵커 시공으로 천장구조물이 설치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474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천장슬래브에 거푸집의 설치없이 인서트가 매설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는 단순한 구조의 인서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축물에 축조되는 슬래브층, 및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몰탈층을 포함하는 인서트 구조체에 있어서: 천장시설물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하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앵커부들; 그리고 상기 앵커부들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앵커부들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몰탈층으로 매립되는 앵커연결부;를 포함하는 인서트 구조체가 개시된다.
또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천장시설물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마련된 적어도 2개의 앵커부들, 상기 앵커부들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앵커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를 구비하고, 건축물의 슬래브층에 인서트를 매설하여 인서트 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층의 상하로 관통하는 앵커홀을 천공하는 슬래브층 천공단계; 상기 앵커부를 앵커홀에 삽입하여 슬래브층의 하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앵커연결부이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인서트를 배치하는 인서트 배치단계; 그리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몰탈층을 형성하는 몰탈층 형상단계;를 포함하는인서트 구조체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 슬래브층과 몰탈층으로 이루어진 인서트 구조체는 앵커 설치를 위한 별도의 거푸집 공정 없이도 인서트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해서 설계에 따라 천장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고, 인서트의 현장 설치가 어려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층에서 천장시설물 설치를 위해 앵커를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인서트 설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단순화해서 인서트 설치 공간의 절약화가 가능하고, 작업시간 단축, 효율적 운영, 공사비 절감 등의 작업성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중공슬래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인서트를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충진캡을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중공슬래브에 인서트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인서트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과 천장을 이루는 층간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의 경우, 현장 타설 슬래브층이나 피씨(PC) 슬래브 공법에 의한 프리캐스트 슬래브층으로 축조되고 있다. 특히 중공슬래브(HCS: 할로우코아 슬래브)는 장승팬 실현에 유리한 중공의 구조체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제작되어 슬래브층으로 축조된다. 이하 중공슬래브에 의해 축조되는 슬래브층을 일예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인서트 구조체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인서트 구조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인서트 구조체는, 건축물에 축조되는 슬래브층, 및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몰탈층을 포함하는 인서트 구조체에 있어서: 천장시설물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하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앵커부들; 그리고 상기 앵커부들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앵커부들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몰탈층으로 매립되는 앵커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래브층은, 중공부가 마련된 중공슬래브층이며; 상기 앵커부들은,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홀이 형성되어 앵커홀에 수용되는 캡본체,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캡본체에서 단면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충진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앵커연결부에는, 센터홀이 마련되고; 그리고 상기 센터홀을 통해 앵커연결부를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고정하는 나사못;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인서트 구조체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인서트 구조체 시공방법은, 천장시설물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마련된 적어도 2개의 앵커부들, 상기 앵커부들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앵커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를 구비하고, 건축물의 슬래브층에 인서트를 매설하여 인서트 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층의 상하로 관통하는 앵커홀을 천공하는 슬래브층 천공단계; 상기 앵커부를 앵커홀에 삽입하여 슬래브층의 하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앵커연결부이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인서트를 배치하는 인서트 배치단계; 그리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몰탈층을 형성하는 몰탈층 형상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슬래브층은, 중공부가 마련된 중공슬래브층이며; 상기 앵커부들은,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서트 배치단계는, 상기 앵커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홀이 형성되어 앵커홀에 수용되는 캡본체,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캡본체에서 단면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충진캡을 삽입하여 앵커홀과 앵커부와의 사이의 간극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충진캡 삽입단계; 그리고 상기 앵커연결부를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나사못으로 고정하여 앵커연결부가 슬래브층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앵커연결부 고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중공슬래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공슬래브(10)는 콘크리트 판체로서 전체 길이에 걸쳐서 관통되는 복수개의 중공부(12)가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는 바디부(11), 및 상기 바디부(11)에 폭 방향으로 배치된 긴장재(13)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슬래브(10)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할로우 코아 슬래브(HCS : Hollow Core Slab)로 공지되고 있으며, 공정에서 타설되어 제공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건설현장의 설계에 맞게 이동 및 배치된 이후에 현장 타설되는 덧침 콘크리트(Topping Concrete)로 마감 처리된다. 참고로, 상기 덧침 콘크리트는 바닥판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하중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목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또는 중공슬래브(10) 등의 기성콘크리트 바닥판 위에 타설하는 현장치기 콘크리트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는, 상기 중공슬래브에 연결된 인서트, 충진캡, 나사못을 포함하며, 이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인서트를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인서트(20)는, 건축물의 천장시설물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22)이 마련된 적어도 2개의 앵커부(21a, 21b), 및 상기 앵커부(21a, 21b)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앵커연결부(23)가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20)는 그 양측의 앵커부(21a, 21b)가 앵커연결부(23)를 중심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그 일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예의 경우 2개의 앵커부(21a, 21b)가 도시되고 있으며, 상기 앵커부(21a, 21b)는 천장시설물과의 연결에 따라 필요한 갯수만큼 2개 이상의 복수개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연결부(23)에는 나사못으로 슬래브층에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센터홀(24)이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21a, 21b)가 나사산(22)이 슬라부층에 관통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충진캡을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구조체에 적용되는 충진캡(30)은, 앵커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홀(32)이 형성되어 앵커홀에 수용되는 캡본체(31),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캡본체(31)에서 단면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33)를 구비하는 충진캡(30)을 포함한다. 상기 충진캡(30)은 인서트의 앵커부가 슬래브층에 삽입될 경우에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일예이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실런트나 폼재가 이용될 수 있으나, 도시된 일예와 같은 충진캡(30)을 사용하는 것이 누수 방지에 보다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중공슬래브에 인서트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공부(12)가 마련된 중공슬래브(10)에 상하로 관통하는 앵커홀(14)이 천공된다. 상기 앵커홀(14)은 인서트(10)에서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격하게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앵커부(21a, 21b)에 상응하는 개수로 천공된다. 중공슬래브(10)에 대한 앵커홀(14)의 천공은 통상의 드릴링 공구 또는 보링 공구 등을 이용해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건축 현장에서 천공되거나 중공슬래브(10) 제작시 건축 설계에 따라 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공슬래브(10)에 구성된 긴장재(13)는 서로 이웃하는 중공부(12) 사이에 위치하므로, 긴장재(13)가 앵커홀(14)의 천공에 간섭하지 않도록 앵커홀(14)이 중공부(12)를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중앙홀(32)이 형성된 충진캡(30a, 30b)의 캡본체(31; 도 3 참조)가 앵커홀(14)에 수용되고, 캡본체(31)에서 단면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33; 도 3 참조)는 중공슬래브(10)의 상부면에 위치한다.
인서트(20a, 20b)의 앵커부(21)가 충진캡(30)의 중앙홀(32)을 통해 앵커홀(14)에 관통된다. 충진캡(30)의 캡본체(31)는 하단부가 앵커부(21)에 밀착되는 절두원추 형태이므로, 앵커부(21)의 둘레면을 감싸는 캡본체(31)는 앵커부(21)가 앵커홀(14)에 삽입시 이끌리며 앵커홀(14)에 강제로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캡본체(31)는 나사산(22)이 마련된 앵커부(21)의 둘레면에 긴밀히 결착된다. 앵커부(21)와 더불어 앵커홀(14)에 삽입된 캡본체(31)는 앵커홀(14)과 앵커부(21) 사이의 간극을 충진한다. 충진캡(30)의 플랜지부(33)는 중공슬래브(1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캡본체(31)의 앵커홀(14) 삽입을 저지한다. 따라서 플랜지부(33) 역시 중공슬래브(10)의 상부면에서 앵커홀(14)의 주변을 덮어서 앵커홀(14)과 앵커부(21) 사이의 틈새를 마감한다. 결국, 충진캡(30)은 앵커부(21)와 앵커홀(14) 간의 간극에 긴밀히 충진되어서 간극으로의 단열소실 또는 누수를 차단한다. 충진캡(30)은 앵커홀(14)과 앵커부(21)에 긴밀히 밀착하기 위한 탄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캡(30)은 실란트 또는 폼재료로 대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앵커부(21a, 21b)가 앵커홀(14)을 관통해서 중공슬래브(10)의 하부에 앵커부(21a, 21b)의 나사산(22)이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에 노출된 앵커부(21a, 21b)의 나사산(22)에 각종 천장시설물의 브래킷을 연결너트(미도시)로 체결해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앵커부(21a, 21b)를 일체로 연결하는 앵커연결부(23)는 중공슬래브(1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앵커연결부(23)에 형성된 센터홀(24)을 통해 나사못(B)을 관통시켜서 중공슬래브(10)에 볼팅하여 꽂아 넣는다. 따라서 나사못(B)에 의해 지지되는 앵커연결부(23)가 중공슬래브(10)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앵커부(21a, 21b)의 나사산(22)이 중공슬래브(10)의 하부에 노출된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실시 예 이외에 다른 실시 예로서 앵커부(21a, 21b)의 단부에 연결너트(미도시)가 일부 연결되고 앵커홀(14)을 관통해서 중공슬래브(10)의 하부에 상기 연결너트의 너트홀이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에 노출된 너트홀에 각종 천장시설물의 연결볼트가 끼워져서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인서트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20a, 20b)가 설치된 중공슬래브(10a, 10b, 10c)는 건축 현장에서 기 시공된 보(미도시)와 보 사이에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축조해서 슬래브층을 형성하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몰탈을 타설해서 몰탈층(TC)을 형성한다. 상기 슬래브층과 몰탈층(TC)을 형성해 이루는 인서트 구조체에서 인서트(20a, 20b)가 설치되는 중공슬래브(10a, 10b, 10c)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슬래브층과 몰탈층(TC)에 관해 설명한다.
인서트(20a, 20b)가 설치된 중공슬래브(10a, 10b, 10c)의 양단을 보와 보 사이에 올려 놓는다. 중공슬래브(10a, 10b, 10c)는 보를 따라 폭 방향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연속해 배치되어서 슬래브층을 이룬다.
상기 슬래브층이 형성되면 덧침 콘크리트의 몰탈을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타설 및 양생해서 몰탈층(TC)을 형성한다. 몰탈은 서로 이웃하는 중공슬래브(10a, 10b, 10c)의 간극(S)에도 타설되어서 몰탈층(TC)이 슬래브층을 긴밀히 마감한다. 몰탈층(TC)의 강도와 슬래브층과의 결속을 강화하여 인서트 구조체의 수평전단 성능과 슬래브층과의 일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극(S)에 슬래브층과 연결된 철근(미도시)을 배근할 수 있다.
한편, 중공슬래브(10a, 10b, 10c)에 설치된 인서트(20a, 20b)는 앵커연결부(23)가 중공슬래브(10a, 10b, 10c)의 상부면에 돌출된 형태이므로, 나사못(B)에 고정된 앵커연결부(23)는 몰탈층(TC)에 매립되어서 인서트(20a, 20b)의 지지력이 보강된다.
전술한 인서트 구조체와 시공 방법을 통해 별도의 거푸집 공정 없이도 인서트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해서 설계에 따라 천장시설물을 설치할 수 있고, 인서트의 현장 설치가 어려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층에서 천장시설물 설치를 위해 앵커를 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인서트 설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단순화해서 인서트 설치 공간의 절약화가 가능하고, 작업시간 단축, 효율적 운영, 공사비 절감 등의 작업성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10, 10a, 10b, 10c : 중공슬래브 11 : 바디부
12 : 중공부 13 : 긴장재
20, 20a, 20b : 인서트 21, 21a, 21b : 앵커부
22 : 나사산 23 : 앵커연결부
24 : 센터홀 30, 30a, 30b : 충진캡
31 : 캡본체 32 : 중앙홀
33 : 플랜지부 B : 나사못
TC : 몰탈층

Claims (7)

  1. 건축물에 축조되는 슬래브층, 및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몰탈층을 포함하는 인서트 구조체에 있어서:
    천장시설물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하로 관통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앵커부들; 그리고
    상기 앵커부들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앵커부들을 일체로 연결하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몰탈층으로 매립되는 앵커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층은, 중공부가 마련된 중공슬래브층이며;
    상기 앵커부들은,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구조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홀이 형성되어 앵커홀에 수용되는 캡본체,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캡본체에서 단면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충진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연결부에는, 센터홀이 마련되고; 그리고
    상기 센터홀을 통해 앵커연결부를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고정하는 나사못;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구조체.
  5. 천장시설물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마련된 적어도 2개의 앵커부들, 상기 앵커부들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연결하는 앵커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를 구비하고, 건축물의 슬래브층에 인서트를 매설하여 인서트 구조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층의 상하로 관통하는 앵커홀을 천공하는 슬래브층 천공단계;
    상기 앵커부를 앵커홀에 삽입하여 슬래브층의 하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앵커연결부이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인서트를 배치하는 인서트 배치단계; 그리고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몰탈층을 형성하는 몰탈층 형상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구조체 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층은, 중공부가 마련된 중공슬래브층이며;
    상기 앵커부들은,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구조체 시공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배치단계는,
    상기 앵커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앙홀이 형성되어 앵커홀에 수용되는 캡본체, 상기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캡본체에서 단면확장된 형상의 플랜지부를 구비하는 충진캡을 삽입하여 앵커홀과 앵커부와의 사이의 간극으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충진캡 삽입단계; 그리고
    상기 앵커연결부를 슬래브층의 상부면에 나사못으로 고정하여 앵커연결부가 슬래브층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앵커연결부 고정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 구조체 시공방법.
KR1020210070005A 2021-05-31 2021-05-31 인서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61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005A KR20220161801A (ko) 2021-05-31 2021-05-31 인서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0005A KR20220161801A (ko) 2021-05-31 2021-05-31 인서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801A true KR20220161801A (ko) 2022-12-07

Family

ID=8444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005A KR20220161801A (ko) 2021-05-31 2021-05-31 인서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618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745B1 (ko) 2010-03-31 2011-12-16 성화시스템챤넬(주) 배관지지가대 설치용 인서트플레이트 위치설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745B1 (ko) 2010-03-31 2011-12-16 성화시스템챤넬(주) 배관지지가대 설치용 인서트플레이트 위치설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US20110192111A1 (en) Cast-in Shear Wall Anchor
JP4902504B2 (ja) 布基礎補強構造及び布基礎補強構造の施工方法並びに補強金物
RU2378455C1 (ru) Способ усил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иления конструкции из гофрированных стальных листов
KR102017871B1 (ko) 캔틸레버 데크를 이용한 교량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190022132A (ko) 각형강관과 합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을 활용한 pc 탑다운공법
JP3677715B2 (ja) 組積造建物の免震化工法
CN110924522B (zh) 一种钢筋混凝土梁与柱的钢板界面连接结构及连接方法
JP5865567B2 (ja) 連結用スラブ及びその構築方法
CN111364520A (zh) 一种预制多通电缆井及其施工方法
KR20220161801A (ko) 인서트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320805Y1 (ko) 층 공간부에서 연결되는 기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부재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기둥의 연결구조
KR102298436B1 (ko) 콘크리트 수직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23676B1 (ko) 다층 연성골조용 피씨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접합부의 시공방법
KR102140407B1 (ko) 단부 거푸집 강판을 이용한 psc 거더의 제작 방법
JP2001032409A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耐震壁の接合方法及び接合構造
JP2520354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梁及び柱並びにこれらを使用した耐震壁の構築工法
JP2001303592A (ja) ブロックの設置固定工法
KR20120124129A (ko) 하이브리드 거푸집 보를 이용한 무지보 철근콘크리트 역타공법
JP2515227B2 (ja) 現場打ちコンクリ―ト布基礎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壁版との取付け方法
CN212153462U (zh) 一种预制多通电缆井
JP4511080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7269197B2 (ja) 道路構造体及び道路構造体の製造方法
JP7290940B2 (ja) 免震装置据付用部材、免震装置架台構造及び免震装置架台の構築方法
KR100495243B1 (ko) 자립식 옹벽설치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