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1544A -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1544A
KR20220161544A KR1020227017388A KR20227017388A KR20220161544A KR 20220161544 A KR20220161544 A KR 20220161544A KR 1020227017388 A KR1020227017388 A KR 1020227017388A KR 20227017388 A KR20227017388 A KR 20227017388A KR 20220161544 A KR20220161544 A KR 20220161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glass
thickness
layer
interlayer film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츠 니시노
고지 기도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77Surface roughness
    • B32B17/10596Surface roughness created by melt fr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Cuttability
    • B32B2307/581Resistant to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7Dimensions, e.g. volume or area
    • B32B2307/7375Linear, e.g. length, distance or width
    • B32B2307/7376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60K2370/152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서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의 비산량이 적고,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접합 유리는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가 알려져 있다. HUD에서는, 자동차의 프론트 글래스에,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인 속도 등의 계측 정보 등을 표시시킬 수 있고, 운전자는 프론트 글래스의 전방에 표시가 비추어져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의 일례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만곡된 2매의 유리판과, 다층의 수지제의 중간막이 적층된 차량용 접합 유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지제의 중간막은 상기 유리판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차량용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수지제의 중간막이, 접합 유리로서 차량에 설치되었을 때의 상변측의 두께가 하변측보다도 두꺼운 쐐기상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또한 적어도 제1 수지층과 제1 수지층보다 경도가 낮은 제2 수지층을 구비한 다층막이다. 상기 차량용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수지층의 두께가 하변으로부터 400mm 이하의 영역에서 0.3mm 이상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22388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와 같은 종래의 중간막에서는, 차음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층의 두께는 비교적 얇다. 그 때문에, 종래의 중간막에서는,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충분히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중간막」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대응 영역을 갖고,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중간막」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중간막을, JIS R3202: 1996에 준거한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배치하여, 세로 30cm 및 가로 30cm의 사이즈를 갖는 접합 유리 X를 얻고, 얻어진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하기 내관통성 시험을 했을 때,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다.
내관통성 시험: 상기 접합 유리 X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상기 접합 유리 X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보관 후의 1매의 상기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JIS R3212: 2015에 준거하여, 상기 접합 유리 X의 주면의 중앙 부분에, 질량 2260±20g 및 직경 82mm의 강구를, 6.5m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킨다. 상기 강구가 상기 접합 유리 X에 충돌하고 나서 5초 이내에, 상기 강구가 상기 접합 유리 X를 관통하지 않는 경우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중간막을, JIS R3202: 1996에 준거한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배치하여, 세로 15cm 및 가로 30cm의 사이즈를 갖는 접합 유리 Y를 얻고, 얻어진 접합 유리 Y에 대하여 하기의 광학 왜곡의 측정을 했을 때, 접합 유리 Y의 광학 왜곡값이 2.0 이하이다.
광학 왜곡의 측정: 조사광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과, 측정 대상물을 투과한 상기 조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면과, 상기 투영면을 촬영하여 농담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입력부와,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의 변동 정도에 기초하여 광학 왜곡값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준비한다. 상기 측정 대상물로서, 상기 접합 유리 Y와, 가시광선 투과율이 88%인 교정용 단층 중간막을, 두께 2.5mm의 클리어 플로트 유리 2매 사이에 배치하여 얻어진 교정용 접합 유리의 2개의 측정 대상물을 준비한다. 상기 접합 유리 Y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상기 접합 유리 Y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하기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을 행했을 때, 측정 대상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광학 왜곡값이 1.30이 되도록, 또한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1.14가 되도록 조정한 상기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접합 유리 Y의 광학 왜곡값을 측정한다.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에 따라서, 상기 농담 화상의 각 픽셀을 0 내지 255의 화소값으로 변환한다. 상기 농담 화상의 픽셀 좌표 (120, 40), (520, 40), (120, 440), (520, 440)의 4점을 연결하여 생긴 400 픽셀×400 픽셀의 영역을, 1윈도우당 100 픽셀×100 픽셀의 합계 16윈도우로 분할한다. 각 윈도우의 픽셀 좌표의 1열째 내지 100열째까지, 동일 열의 100 픽셀에 있어서, 「화소값의 분산값」을 각각 산출한다. 100개의 「화소값의 분산값」의 평균값을, 「윈도우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16개의 「윈도우의 광학 왜곡」의 평균값을, 「측정 대상물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중간막은 용융 파괴법에 의해 형성된 요철 형상을 표면에 갖는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상기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인,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로서,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상기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인,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하기 내관통성 시험을 했을 때,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다.
내관통성 시험: 접합 유리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접합 유리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보관 후의 1매의 접합 유리에 대하여 JIS R3212: 2015에 준거하여, 접합 유리의 주면의 중앙 부분에, 질량 2260±20g 및 직경 82mm의 강구를, 6.5m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킨다. 상기 강구가 접합 유리에 충돌하고 나서 5초 이내에, 상기 강구가 접합 유리를 관통하지 않는 경우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하기의 광학 왜곡의 측정을 했을 때,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2.0 이하이다.
광학 왜곡의 측정: 조사광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과, 측정 대상물을 투과한 상기 조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면과, 상기 투영면을 촬영하여 농담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입력부와,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의 변동 정도에 기초하여 광학 왜곡값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준비한다. 상기 측정 대상물로서, 접합 유리와, 가시광선 투과율이 88%인 교정용 단층 중간막을, 두께 2.5mm의 클리어 플로트 유리 2매 사이에 배치하여 얻어진 교정용 접합 유리의 2개의 측정 대상물을 준비한다. 접합 유리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접합 유리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하기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을 행했을 때, 측정 대상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광학 왜곡값이 1.30이 되도록, 또한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1.14가 되도록 조정한 상기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을 측정한다.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에 따라서, 상기 농담 화상의 각 픽셀을 0 내지 255의 수치로 변환한다. 상기 농담 화상의 픽셀 좌표 (120, 40), (520, 40), (120, 440), (520, 440)의 4점을 연결하여 생긴 400 픽셀×400 픽셀의 영역을, 1윈도우당 100 픽셀×100 픽셀의 합계 16윈도우로 분할한다. 각 윈도우의 픽셀 좌표의 1열째 내지 100열째까지, 동일 열의 100 픽셀에 있어서, 「화소값의 분산값」을 각각 산출한다. 100개의 「화소값의 분산값」의 평균값을, 「윈도우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16개의 「윈도우의 광학 왜곡」의 평균값을, 「측정 대상물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이며,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중간막이며,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이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대응 영역을 갖고,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로서,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광학 왜곡의 측정에 사용되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광학 왜곡의 측정에 사용되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의 (a), (b)는,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간막」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은 접합 유리에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중간막은 2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4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5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6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중간막은 이들 구조를, 중간막의 일부에 갖고 있어도 되고, 중간막의 전체에 갖고 있어도 된다. 중간막의 구조는 부분적으로 달라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는다.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는, 중간막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다.
상기 중간막은 예를 들어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이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중간막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은 정보를 양호하게 표시시킬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한다.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상기 중간막은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는다.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은,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층이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을 억제할 수 있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서, 차음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층의 두께를 단순히 두껍게 한 경우에는, 표면층 등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저하되거나, 광학 왜곡이 발생하거나 하기 쉽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음성을 높일 수 있고,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고, 광학 왜곡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한다. 상기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1층만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2층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3층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3층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과,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을, 1층만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2층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3층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3층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유리 전이 온도와,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6℃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2℃ 이하이다. 상기 차의 절댓값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점탄성 측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점탄성 측정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시험편을 실온 23±2℃, 습도 25±5%의 환경 하에 12시간 보관한다. 이어서, TA 인스트루먼트사제의 점탄성 측정 장치 「ARES-G2」를 사용하여, 점탄성을 측정한다. 지그로서 직경 8mm의 패럴렐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전단 모드, 3℃/분의 강온 속도로 100℃로부터 -20℃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그리고 주파수 1Hz 및 변형 1%의 조건에서 측정한다. 얻어진 측정 결과에 있어서,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 Tg(℃)로 한다.
중간막 자체를 사용하여, 점탄성 측정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 측정 결과로부터, 각 층에서 유래하는 tanδ의 피크 등을 판독해도 된다. 또한, 중간막의 각 층간을 박리하여, 측정 대상의 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해도 된다. 또한, 접합 유리의 경우에는, 액체 질소 등으로 접합 유리를 냉각 후에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박리하고, 박리한 중간막을 사용하여 점탄성 측정을 행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로 한다. X는 소정의 위치에서의 중간막의 두께이며, Y는 상기 소정의 위치와 동일 위치에서의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이다. 상기 중간막이,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1층만 갖는 경우, Y는 해당 층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중간막이,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2층 이상 갖는 경우, Y는 해당 층의 합계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중간막은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이하, 영역 A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갖는다. 즉, 상기 중간막은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Y)의, 상기 중간막의 두께(X)에 대한 비가 0.12 이상인 영역(영역 A)을 갖는다.
상기 영역 A에 있어서, 상기 Y/X의 값은, 바람직하게는 0.14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1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6 이하이다. 상기 Y/X의 값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 Y/X의 값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고, 또한 광학 왜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영역 A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0mm의 위치로부터 200mm의 위치까지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이 경우에, 상기 영역 A는 다른 위치에도 존재하고 있어도 됨). 이 경우에는, 접합 유리의 차음성 및 내관통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고, 또한 광학 왜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거리를 L이라 한다. 상기 영역 A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0L의 위치로부터 1.0L의 위치까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 A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0L의 위치로부터 0.4L의 위치까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0L의 위치로부터 0.2L의 위치까지 존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이 경우에, 상기 영역 A는 다른 위치에도 존재하고 있어도 됨). 상기 영역 A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0L의 위치로부터 0.1L의 위치까지 존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접합 유리의 차음성 및 내관통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고, 또한 광학 왜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해당 중간막은 2개의 표면층(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을 갖는다.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이하, 영역 B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에 있어서,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다. 상기 영역 B 또는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 있어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300㎛ 이상이면, 차음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표면층의 평균 두께의 상기 값은, 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 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쪽에 있어서 충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설명하는 표면층에 관한 바람직한 형태의 각각은, 제1 표면층 및 제2 표면층 내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충족되고, 양쪽에 있어서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 B 또는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9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 이하이다. 상기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 및 내관통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고, 또한 광학 왜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표면층으로서,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제1 표면층으로서,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구비하고, 제2 표면층으로서,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표면층은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접합 유리의 차음성 및 내관통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고, 또한 광학 왜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의 최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8m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mm 이하이다.
상기 중간막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L이라 한다. 중간막은,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0L의 위치로부터 0.2L의 위치의 영역에 최소 두께를 갖고,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일단부를 향해서 0L의 위치로부터 0.2L의 위치의 영역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0L의 위치로부터 0.1L의 위치의 영역에 최소 두께를 갖고,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일단부를 향해서 0L의 위치로부터 0.1L의 위치의 영역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일단부에 최소 두께를 갖고, 타단부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두께 균일 부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두께 균일 부위란,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cm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를 초과하여 변화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두께 균일 부위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cm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를 초과하여 변화되지 않는 부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두께 균일 부위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 두께가 전혀 변화되지 않거나, 또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cm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 이하로 변화되고 있는 부위를 말한다.
실용면의 관점, 그리고 접착력 및 내관통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의 최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4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이하이다.
실용면의 관점, 그리고 내관통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2개의 표면층 사이에 배치되는 층(중간층)의 최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0㎛ 이하이다.
상기 중간막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거리 L은, 바람직하게는 3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5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m 이상이다.
표시를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대응 영역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접합 유리의 설치 각도에 따라서, 중간막의 쐐기각 θ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쐐기각 θ는 중간막 전체에서의 쐐기각이다.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 θ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부분과 최소 두께 부분의 중간막의 일방측의 표면 부분(제1 표면 부분)을 연결한 직선과, 중간막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부분과 최소 두께 부분의 중간막의 타방측의 표면 부분(제2 표면 부분)을 연결한 직선의 교점에 있어서의 내각이다.
또한, 최대 두께 부분이 복수이거나, 최소 두께 부분이 복수이거나, 최대 두께 부분이 일정한 영역에 있거나, 또는 최소 두께 부분이 일정한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쐐기각 θ를 구하기 위한 최대 두께 부분 및 최소 두께 부분은, 구해지는 쐐기각 θ가 가장 커지도록 선택된다.
이중상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쐐기각 θ는 바람직하게는 0.05mrad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rad(0.00575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mrad(0.0115도) 이상이다. 또한, 상기 쐐기각 θ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트럭이나 버스 등의 프론트 글래스의 설치 각도가 큰 차에 적합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이중상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쐐기각 θ는 바람직하게는 2mrad(0.1146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rad(0.0401도) 이하이다. 또한, 상기 쐐기각 θ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스포츠카 등의 프론트 글래스의 설치 각도가 작은 차에 적합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θ), 상기 중간막의 두께의 측정에 사용하는 측정기로서는, 접촉식 두께 계측기 「TOF-4R」(야마분 덴키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두께의 측정은, 상술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막 반송 속도 2.15mm/분 내지 2.25mm/분으로,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최단 거리가 되도록 행한다.
또한, 상기 중간막의 각 층의 두께의 측정에 사용하는 측정기로서는, 「SE-3000」(SELMIC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의 각 층의 두께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할 수 있다. 면도기, 커터 등을 사용하여, 측정 위치에서 두께 방향으로 상기 중간막을 절단한다. 상기 중간막의 절단면을 상술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관찰한 후, 부속 소프트웨어 내의 계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각 층의 두께를 측정한다.
상기 중간막을 접합 유리로 한 후의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θ), 상기 중간막의 두께, 상기 중간막의 각 층의 두께의 측정에 사용하는 측정기로서는, 비접촉 다층 막 두께 측정기 「OPTIGAUGE」(루메트릭스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측정기를 사용한 경우, 접합 유리인 채로 중간막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은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인 접합 유리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HUD용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HUD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상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6cm의 위치로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63.8c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상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8cm의 위치로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61.8c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중상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9cm의 위치로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60.8c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이중상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9.5cm의 위치로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60.3c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중상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cm의 위치로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59.8c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은,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여 상기 위치(예를 들어 63.8mm)까지의 영역 내의 일부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전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은,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 30cm 정도의 크기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중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6cm의 위치로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63.8c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중간막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8cm의 위치로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61.8c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중간막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중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9cm의 위치로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60.8c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중간막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이중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9.5cm의 위치로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60.3c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중간막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중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cm의 위치로부터,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59.8c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중간막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은,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하여 상기 위치(예를 들어 63.8mm)까지의 영역 내의 일부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전체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은,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 30cm 정도의 크기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셰이드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상기 표시 대응 영역과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예를 들어 태양 광선 또는 옥외 조명 등에 의해, 운전 중인 드라이버가 눈부심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서 마련된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차열성을 부여하기 위해 마련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중간막의 테두리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셰이드 영역은 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는, 색 및 가시광선 투과율을 바꾸거나 하기 위해서, 착색제 또는 충전제를 사용해도 된다. 착색제 또는 충전제는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일부 영역에만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전체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를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고, 시야를 보다 한층 확장시키는 관점에서는,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상기 셰이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상기 셰이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보다도 낮아도 된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상기 셰이드 영역의 가시광선 투과율보다도,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높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높다.
또한, 예를 들어 표시 대응 영역 및 셰이드 영역의 중간막에 있어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표시 대응 영역의 중심 위치 및 셰이드 영역의 중심 위치에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측정된다.
분광 광도계(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를 사용하여, JIS R3211: 1998에 준거하여, 얻어진 접합 유리의 파장 380nm 내지 780nm에 있어서의 상기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으로서, 두께 2mm의 클리어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범용성이 우수하므로,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의 폭 방향이,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대응 영역은 띠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MD 방향과 TD 방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예를 들어 용융 압출 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MD 방향은 중간막의 제조 시의 중간막의 흐름 방향이다. TD 방향은 중간막의 제조 시의 중간막의 흐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며, 또한 중간막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가, TD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을, JIS R3202: 1996에 준거한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배치하여, 세로 30cm 및 가로 30cm의 사이즈를 갖는 접합 유리 X를 얻고, 얻어진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하기 내관통성 시험을 했을 때,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한층 높일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 X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JIS R3202: 1996에 준거한 세로 30cm, 가로 30cm 및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 2매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적층체 X를 얻는다. 얻어진 적층체 X를 고무백 내에 넣고, 고무백을 흡인 감압기에 접속한다. 적층체 X의 온도가 70℃가 되도록 가열함과 동시에 16kPa의 감압 하에서 10분간 유지하여, 적층체 X를 예비 압착한다. 대기압으로 복귀시킨 후,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40℃ 및 압력 1300kPa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 X를 10분간 압착한다. 압착 후, 50℃ 및 대기압의 조건으로 복귀시켜, 접합 유리 X를 얻는다.
내관통성 시험: 상기 접합 유리 X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상기 접합 유리 X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보관 후의 1매의 상기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JIS R3212: 2015에 준거하여, 상기 접합 유리 X의 주면의 중앙 부분에, 질량 2260±20g 및 직경 82mm의 강구를, 6.5m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킨다. 상기 강구가 상기 접합 유리 X에 충돌하고 나서 5초 이내에, 상기 강구가 상기 접합 유리 X를 관통하지 않는 경우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상기 중간막을, JIS R3202: 1996에 준거한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배치하여, 세로 15cm 및 가로 30cm의 사이즈를 갖는 접합 유리 Y를 얻고, 얻어진 접합 유리 Y에 대하여 하기의 광학 왜곡의 측정을 했을 때, 접합 유리 Y의 광학 왜곡값은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광학 왜곡의 발생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 Y의 광학 왜곡값은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이하이다. 상기 광학 왜곡값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유리 Y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JIS R3202: 1996에 준거한 세로 15cm, 가로 30cm 및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 2매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적층체 Y를 얻는다. 얻어진 적층체 Y를 고무백 내에 넣고, 고무백을 흡인 감압기에 접속한다. 적층체 Y의 온도가 70℃가 되도록 가열함과 동시에 16kPa의 감압 하에서 10분간 유지하여, 적층체 Y를 예비 압착한다. 대기압으로 복귀시킨 후,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40℃ 및 압력 1300kPa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 Y를 10분간 압착한다. 압착 후, 50℃ 및 대기압의 조건으로 복귀시켜, 접합 유리 Y를 얻는다.
광학 왜곡의 측정: 조사광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과, 측정 대상물을 투과한 상기 조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면과, 상기 투영면을 촬영하여 농담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입력부와,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의 변동 정도에 기초하여 광학 왜곡값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준비한다. 상기 측정 대상물로서, 상기 접합 유리 Y와, 가시광선 투과율이 88%인 교정용 단층 중간막을, 두께 2.5mm의 클리어 플로트 유리 2매 사이에 배치하여 얻어진 교정용 접합 유리의 2개의 측정 대상물을 준비한다. 상기 접합 유리 Y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상기 접합 유리 Y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하기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을 행했을 때, 측정 대상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광학 왜곡값이 1.30이 되도록, 또한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1.14가 되도록 조정한 상기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접합 유리 Y의 광학 왜곡값을 측정한다.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에 따라서, 상기 농담 화상의 각 픽셀을 0 내지 255의 화소값으로 변환한다. 상기 농담 화상의 픽셀 좌표 (120, 40), (520, 40), (120, 440), (520, 440)의 4점을 연결하여 생긴 400 픽셀×400 픽셀의 영역을, 1윈도우당 100 픽셀×100 픽셀의 합계 16윈도우로 분할한다. 각 윈도우의 픽셀 좌표의 1열째 내지 100열째까지, 동일 열의 100 픽셀에 있어서, 「화소값의 분산값」을 각각 산출한다. 100개의 「화소값의 분산값」의 평균값을, 「윈도우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16개의 「윈도우의 광학 왜곡」의 평균값을, 「측정 대상물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도 6은, 광학 왜곡의 측정에 사용되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광학 왜곡의 측정에 사용되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의 (a), (b)는,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광학 왜곡 검사 장치(41)는 측정 대상물(W)의 광학 왜곡값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광학 왜곡 검사 장치(41)는, 광원 유닛(42)과, 슬릿부(43)와, 측정 대상물 적재부(44)와, 투영면(45)과, 화상 입력부(46)와, 화상 처리부(47)와, 가대(48)와, 평가부(49)를 구비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측정 대상물 적재부(44)에, 측정 대상물(W)이 적재되어 있다.
광원 유닛(42)은, 발광부(421)와, 광 파이버(422)와, 조사구(423)를 구비한다. 발광부(421)에서 발광되는 조사광이 광 파이버(422) 내를 경유하여, 조사구(423)로부터 슬릿부(43) 방향으로 조사된다. 발광부로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 램프의 시판품으로서는, 이와사키 덴키사제 「EYE DICHRO-COOL HALOGEN(15V100W)」 등을 들 수 있다.
슬릿부(43)는 중앙부에 슬릿을 갖는다. 광원 유닛(42)으로부터 조사된 조사광은, 슬릿부(43)의 슬릿을 통과하여, 측정 대상물(W)에 도달한다. 슬릿의 형상으로서는, 원 형상 및 다각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측정 대상물(W)을 투과한 조사광은, 투영면(45)에 투영된다. 투영면(45)은, 광축(A)에 대하여 각도 θ로 기울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투영면으로서는, 백지 등을 들 수 있다. 투영면의 표면은, 광택이 없으면서 또한 요철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입력부(46)는, 투영면(45)을 촬영하고, 촬영된 상의 명암을 신호로 변환하여 농담 화상을 생성한다. 화상 입력부로서는, CCD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CCD 카메라의 시판품으로서는, 소니사제 「XC-ST70」 등을 들 수 있다.
화상 처리부(47)는, 농담 화상의 농담의 변동 정도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물(W)의 광학 왜곡을 검출한다. 농담 화상의 각 화소간의 농도값의 분산값을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47)는, 농담 화상의 농담에 따라서, 해당 농담 화상의 각 픽셀을 0 내지 255의 화소값으로 변환한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픽셀 좌표 (120, 40), (520, 40), (120, 440), (520, 440)의 4점을 연결하여 생긴 400 픽셀×400 픽셀의 영역을, 1윈도우당 100 픽셀×100 픽셀의 합계 16윈도우(윈도우W1 내지 W16)로 분할한다. 16윈도우 각각은 서로 중복되지 않고, 분할된다.
도 8의 (b)에서는, 1개의 윈도우만이 확대되어 나타나 있다. 1개의 윈도우의 동일 열(도 8의 (b)에 있어서의 파선 화살표)의 100 픽셀에 있어서, 「화소값의 분산값」을 산출한다. 윈도우의 1열째 내지 100열째의 각각에 대하여, 「화소값의 분산값」을 산출한다. 윈도우의 1열째에 있어서, 화소값의 분산값 V1이 산출된다. 윈도우의 2열째에 있어서, 화소값의 분산값 V2가 산출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화소값의 분산값 V3 내지 V100이 산출된다. 1개의 윈도우당, 100개의 「화소값의 분산값」(분산값 V1 내지 V100)이 얻어진다. 이 100개의 「화소값의 분산값」의 평균값을, 「윈도우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16개의 윈도우의 각각에 대하여 「윈도우의 광학 왜곡」을 산출한다. 16개의 「윈도우의 광학 왜곡」의 평균값을, 「측정 대상물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평가부(49)는, 화상 처리부(47)에 의해 산출되는 분산값과, 미리 정해진 허용 범위의 분산값을 비교하여, 측정 대상물(W)의 광학 왜곡을 평가한다.
가대(48)는 가대 본체(481)와 암(482)을 구비한다. 화상 입력부(46)는 암(482)에 적재되어 있다.
조사구(423), 슬릿부(43), 측정 대상물 적재부(44) 및 투영면(45)은, 가대(48) 위를 광축(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광학 왜곡 검사 장치(41)는,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의 일례이다. 또한, 광학 왜곡 검사 장치에 대하여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7-306152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광학 왜곡 검사 장치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측정 대상물(W)로서, 상기 접합 유리 Y와, 교정용 접합 유리의 2개의 측정 대상물을 사용한다.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는, 가시광선 투과율이 88%인 교정용 단층 중간막을, 두께 2.5mm의 클리어 플로트 유리 2매 사이에 배치하여 얻어진다.
상기 교정용 단층 중간막의 가시광선 투과율은, 분광 광도계(예를 들어, 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를 사용하여, JIS R3211: 1998에 준거하여, 파장 380nm 내지 780nm에서 측정된 값이다.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는, 상기 교정용 단층 중간막을 사용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JIS R3202: 1996에 준거한 세로 15cm, 가로 30cm 및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 2매 사이에 상기 교정용 단층 중간막을 끼워, 적층체를 얻는다.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백 내에 넣고, 고무백을 흡인 감압기에 접속한다. 적층체의 온도가 70℃가 되도록 가열함과 동시에 16kPa의 감압 하에서 10분간 유지하여, 적층체를 예비 압착한다. 대기압으로 복귀시킨 후,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40℃ 및 압력 1300kPa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10분간 압착한다. 압착 후, 50℃ 및 대기압의 조건으로 복귀시켜,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를 얻는다.
측정 대상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광학 왜곡값이 1.30이 되도록, 또한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1.14가 되도록, 조사구, 슬릿부, 측정 대상물 적재부, 투영면 및 화상 입력부 등의 위치, 슬릿의 형상 및 사이즈, 광원의 조도, 광축과 투영면의 각도 θ 등을 조정한다. 측정 대상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란, 상기 측정 대상물 적재부에 물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측정 대상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광학 왜곡값이 1.30이 되도록, 또한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1.14가 되도록 조정한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접합 유리 Y의 광학 왜곡값을 측정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의 (a)는, 도 1의 (b) 중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 및 후술하는 도면에 있어서의 중간막의 크기 및 치수는, 도시의 편의상, 실제의 크기 및 형상으로부터 적절히 변경되어 있다.
도 1의 (a)에서는, 중간막(11)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 1의 (a) 및 후술하는 도면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중간막 및 중간막을 구성하는 각 층의 두께, 그리고 쐐기각(θ)은 실제의 두께 및 쐐기각과는 다르게 나타나 있다.
중간막(11)은, 제1층(1)(중간층)과, 제2층(2)(표면층)과, 제3층(3)(표면층)을 구비한다. 제1층(1)의 제1 표면측에, 제2층(2)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층(1)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의 제2 표면측에, 제3층(3)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층(1)은 제2층(2)과 제3층(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1)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중간막(11)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1)은 3층의 구조를 갖는 다층 중간막이다.
제1층(1)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이다. 제2층(2) 및 제3 층(3)은 각각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이다.
중간막(11)은, 일단부(11a)와, 일단부(11a)의 반대측에 타단부(11b)를 갖는다. 일단부(11a)와 타단부(11b)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제1층(1), 제2층(2) 및 제3 층(3)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1층(1), 제2층(2) 및 제3 층(3)의 두께는, 타단부(11b)측의 쪽이 일단부(11a)측보다도 크다. 따라서, 중간막(11)의 타단부(11b)의 두께는 일단부(11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1)은 두께가 얇은 영역과,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1)은, 일단부(11a)측으로부터 타단부(11b)측에 걸쳐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1)에서는,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중에서, 일단부(11a)측으로부터 타단부(11b)측에 걸쳐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1)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대응 영역(R1)을 갖는다. 중간막(11)은 표시 대응 영역(R1)의 근처에 주위 영역(R2)을 갖는다. 중간막(11)은 표시 대응 영역(R1)과 이격되어, 셰이드 영역(R3)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3)은 중간막(11)의 테두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막은 도 1의 (a)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2층이어도 되고, 4층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중간막은 도 1의 (a)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표시 대응 영역을 갖지 않아도 되고, 셰이드 영역을 갖지 않아도 된다. 또한, 중간막은 도 1의 (a)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제1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제2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제3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중간막(11A)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중간막(11A)은, 제1층(1A)(중간층)과, 제2층(2A)(표면층)과, 제3층(3A)(표면층)을 구비한다. 중간막(11)과 중간막(11A)은,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의 증가량이 다르다.
제1층(1A)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이다. 제2층(2A) 및 제3층(3A)는 각각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이다.
중간막(11A)은, 일단부(11a)와, 일단부(11a)의 반대측에 타단부(11b)를 갖는다. 일단부(11a)와 타단부(11b)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제1층(1A), 제2층(2A) 및 제3층(3A)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1층(1A), 제2층(2A) 및 제3층(3A)의 두께는, 타단부(11b)측의 쪽이 일단부(11a)측보다도 크다. 따라서, 중간막(11A)의 타단부(11b)의 두께는 일단부(11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1A)은, 두께가 얇은 영역과,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1A)은, 일단부(11a)측으로부터 타단부(11b)측에 걸쳐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1A)은,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중에, 일단부(11a)측으로부터 타단부(11b)측에 걸쳐 두께의 증가량이 커지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중간막(11A)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1A)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 중에,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에 걸쳐 쐐기각이 커지는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1A)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대응 영역(R1)을 갖는다. 중간막(11A)은 표시 대응 영역(R1)의 근처에 주위 영역(R2)을 갖는다. 중간막(11A)은 표시 대응 영역(R1)과 이격되어, 셰이드 영역(R3)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3)은 중간막(11A)의 테두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막은 도 2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2층이어도 되고, 4층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중간막은 도 2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표시 대응 영역을 갖지 않아도 되고, 셰이드 영역을 갖지 않아도 된다. 또한, 중간막은 도 2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제1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제2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제3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중간막(11B)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중간막(11B)은, 제1층(1B)(중간층)과, 제2층(2B)(표면층)과, 제3층(3B)(표면층)을 구비한다. 중간막(11)과 중간막(11B)은,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두께의 증가량이 다르다.
제1층(1B)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이다. 제2층(2B) 및 제3층(3B)는 각각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이다.
중간막(11B)은, 일단부(11a)와, 일단부(11a)의 반대측에 타단부(11b)를 갖는다. 일단부(11a)와 타단부(11b)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제1층(1B), 제2층(2B) 및 제3층(3B)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1층(1B), 제2층(2B) 및 제3층(3B)의 두께는, 타단부(11b)측의 쪽이 일단부(11a)측보다도 크다. 따라서, 중간막(11B)의 타단부(11b)의 두께는 일단부(11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1B)은, 두께가 얇은 영역과,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1B)은, 일단부(11a)측으로부터 타단부(11b)측에 걸쳐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1B)은,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중에, 일단부(11a)측으로부터 타단부(11b)측에 걸쳐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중간막(11B)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1B)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 중에,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에 걸쳐 쐐기각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1B)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대응 영역(R1)을 갖는다. 중간막(11B)은 표시 대응 영역(R1)의 근처에 주위 영역(R2)을 갖는다. 중간막(11B)은 표시 대응 영역(R1)과 이격되어, 셰이드 영역(R3)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3)은 중간막(11B)의 테두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막은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2층이어도 되고, 4층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중간막은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표시 대응 영역을 갖지 않아도 되고, 셰이드 영역을 갖지 않아도 된다. 또한, 중간막은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이며, 제1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제2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제3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중간막(11C)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나타나 있다.
중간막(11C)은, 일단부(11a)와, 일단부(11a)의 반대측에 타단부(11b)를 갖는다. 일단부(11a)와 타단부(11b)는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제1층(1C)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1층(1C)의 두께는, 타단부(11b)측의 쪽이 일단부(11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1C)의 타단부(11b)의 두께는 일단부(11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1C)은, 두께가 얇은 영역과, 두께가 두꺼운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1C)은, 일단부(11a)측으로부터 타단부(11b)측에 걸쳐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1C)에서는,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중에서, 일단부(11a)측으로부터 타단부(11b)측에 걸쳐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1C)은, 제1층(1C)(중간층)과, 제2층(2C)(표면층)과, 제3층(3C)(표면층)을 구비한다. 제2층(2C)과 제3층(3C)은, 일단부(11a)측 및 타단부(11b)측에 있어서 일체화되어 있다. 제1층(1C)은 제2층(2C)과 제3층(3C)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1C)은, 3층의 구조를 갖는 부분과, 1층의 구조를 갖는 부분을 갖는다.
제1층(1C)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이다. 제2층(2C) 및 제3층(3C)은 각각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이다.
중간막(11C)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대응 영역(R1)을 갖는다. 중간막(11C)은 표시 대응 영역(R1)의 근처에 주위 영역(R2)을 갖는다. 중간막(11C)은 표시 대응 영역(R1)과 이격되어, 셰이드 영역(R3)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3)은 중간막(11C)의 테두리부에 위치하고 있다.
표시 대응 영역(R1)에 있어서, 중간막(11C)은 3층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일단부(11a)로부터 타단부(11b)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 있어서, 중간막(11C)은 3층 구조를 갖는다.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1층이,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이어도 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이,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이어도 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이상인 층이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1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어도 되고,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상기 제1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어도 되고,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 사용할 수 있는 각 재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가소성 수지)
중간막은 수지(이하, 수지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 (0)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수지(이하,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수지(이하,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수지(이하,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열가소성 수지 (3)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1)과 상기 수지 (2)와 상기 수지 (3)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수지 (1)은 상기 수지 (2) 및 상기 수지 (3)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2)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3)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3)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0),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몰% 내지 99.9몰%의 범위 내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또는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4 또는 5여도 된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는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2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몰%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기계 강도가 보다 한층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0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30몰%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28몰% 이하이면 차음성이 더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1몰%를 초과하고, 더 한층 바람직하게는 31.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2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3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6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더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차음성을 더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3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25몰% 이하이면, 내관통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3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한다. 우선,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구한다. 얻어진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몰 분율을 구한다. 이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 아세탈화도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100중량% 이하여도 된다. 상기 중간막의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50중량% 이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제1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100중량% 이하여도 된다. 상기 제1층의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50중량% 이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제2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100중량% 이하여도 된다. 상기 제2층의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50중량% 이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제3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100중량% 이하여도 된다. 상기 제3층의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50중량% 이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
중간막의 접착력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에, 중간막(각 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로서, 종래 공지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일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일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일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데실산 및 벤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유변성 세바스산알키드 및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아디프산에스테르로서,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에 있어서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0)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0)의 함유량을, 함유량 (0)으로 한다. 상기 함유량 (0)은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0)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함유량 (0)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1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1) 함유량을, 함유량 (1)로 한다. 상기 함유량 (1)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1)은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2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2) 함유량을, 함유량 (2)로 한다. 상기 제3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3)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3) 함유량을, 함유량 (3)으로 한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중량부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45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2중량부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2)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3)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이다.
(차열성 물질)
상기 중간막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내의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차열성 물질은 상기 성분 X와 상기 차열 입자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성분 X:
상기 중간막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내의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물질이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된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시아닌 및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나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안트라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및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내의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다 한층 높은 레벨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내의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열 입자:
상기 중간막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물질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보다도 긴 파장(780nm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크고,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 불리고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로서는, 알루미늄 도프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프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프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프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프 산화티타늄 입자,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프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프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 및 6붕화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로서,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으며,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상기 차열 입자는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산화텅스텐 입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로서는,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및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해당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는, 식: Cs0.33WO3으로 표시되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평균 입자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열선의 차폐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평균 입자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평균 입자경」은 체적 평균 입자경을 나타낸다. 상기 평균 입자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닛키소사제 「UPA-EX150」)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각 함유량(특히 산화텅스텐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각 함유량 (특히 산화텅스텐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금속염)
상기 중간막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류 금속염 내의 적어도 1종의 금속염(이하, 금속염 M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 토류 금속이란, Be, Mg, Ca, Sr, Ba 및 Ra의 6종의 금속을 의미한다. 상기 금속염 M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과 유리판 등의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금속염 M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염 M은,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염은, K 및 Mg 내의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염 M으로서,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 알칼리 금속염 및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 M은,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중간막, 또는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에 있어서의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이다.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중간막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어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보다 한층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트리아진 화합물),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말론산에스테르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옥살산아닐리드 화합물) 및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에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에 대하여, 표면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 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5.0eV 이상의 밴드 갭 에너지를 갖는다.
상기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8」)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을 차폐하는 성능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BASF사제 「Chimassorb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ADEKA사제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BASF사제 「Tinuvin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 말론산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Hostavin B-CAP, Hostavin PR-25, Hostavin PR-31(모두 클라리안트사제)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살아닐리드(클라리안트사제 「SanduvorVSU」) 등의 질소 원자 상에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BASF사제 「Tinuvin12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 및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이다. 이 경우에는,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가 보다 한층 억제된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 및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하이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0.2중량% 이상임으로써,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중간막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 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티릭애시드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아인산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 245」, BASF사제 「IRGAFOS 168」, BASF사제 「IRGAFOS 38」,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사제 「스밀라이저 BHT」, 사까이 가가꾸 고교사제 「H-BHT」, 그리고 BASF사제 「IRGANOX 1010」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제1층, 제2층 또는 제3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03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첨가 효과가 포화되므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상기 중간막, 상기 제1층, 상기 제2층 및 상기 제3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서, 커플링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금속염 이외의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기타 상세)
중간막은 감겨서, 중간막의 롤체로 되어도 된다. 롤체는, 권취 코어와, 해당 권취 코어의 외주에 감긴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제2층과 상기 제3층이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 내의 적어도 한쪽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립 엠보스법(용융 파괴법), 엠보스 롤법, 캘린더 롤법 및 이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은 용융 파괴법, 또는 엠보스 롤법에 의해 형성된 요철 형상을 표면에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융 파괴법, 또는 0.10kN/cm 이하의 선압에 의한 엠보스 롤법에 의해 형성된 요철 형상을 표면에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표면층의 두께가 비교적 얇아도 요철 형상을 양호하게 부여할 수 있고, 그 결과, 광학 왜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접합 유리)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는다.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는, 접합 유리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다.
상기 접합 유리는, 예를 들어 헤드업 디스플레이이다. 상기 접합 유리가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경우에는, 해당 접합 유리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는다. 상기 표시 영역은 정보를 양호하게 표시시킬 수 있는 영역이다.
상기 접합 유리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접합 유리와, 화상 표시용의 광을 접합 유리에 조사하기 위한 광원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 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에 있어서 대시 보드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광원 장치로부터, 상기 접합 유리의 상기 표시 영역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한다.
상기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상기 중간막은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영역 A)을 갖는다.
상기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서의 중간막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거나, 또는 상기 표시 영역에서의 중간막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차음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광학 왜곡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2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3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32)와, 중간막(11)을 구비한다. 중간막(1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3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3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1)의 제1 표면(한쪽 표면)에, 제1 접합 유리 부재(3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1)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의 제2 표면(다른 쪽의 표면)에, 제2 접합 유리 부재(32)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1)에 있어서의 제2층(2)의 외측 표면에 제1 접합 유리 부재(3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1)에 있어서의 제3층(3)의 외측 표면에 제2 접합 유리 부재(32)가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중간막이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합 유리에서는, 하기 내관통성 시험을 했을 때,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관통성 시험: 접합 유리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접합 유리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보관 후의 1매의 접합 유리에 대하여, JIS R3212: 2015에 준거하여, 접합 유리의 주면의 중앙 부분에, 질량 2260±20g 및 직경 82mm의 강구를, 6.5m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킨다. 상기 강구가 접합 유리에 충돌하고 나서 5초 이내에, 상기 강구가 접합 유리를 관통하지 않는 경우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상기 접합 유리에서는, 하기의 광학 왜곡의 측정을 했을 때,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 왜곡의 발생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은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 이하이다. 상기 광학 왜곡값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다.
광학 왜곡의 측정: 조사광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과, 측정 대상물을 투과한 상기 조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면과, 상기 투영면을 촬영하여 농담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입력부와,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의 변동 정도에 기초하여 광학 왜곡값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준비한다. 상기 측정 대상물로서, 접합 유리와, 가시광선 투과율이 88%인 교정용 단층 중간막을, 두께 2.5mm의 클리어 플로트 유리 2매 사이에 배치하여 얻어진 교정용 접합 유리의 2개의 측정 대상물을 준비한다. 접합 유리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접합 유리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하기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을 행했을 때, 측정 대상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광학 왜곡값이 1.30이 되도록, 또한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1.14가 되도록 조정한 상기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을 측정한다.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에 따라서, 상기 농담 화상의 각 픽셀을 0 내지 255의 수치로 변환한다. 상기 농담 화상의 픽셀 좌표 (120, 40), (520, 40), (120, 440), (520, 440)의 4점을 연결하여 생긴 400 픽셀×400 픽셀의 영역을, 1윈도우당 100 픽셀×100 픽셀의 합계 16윈도우로 분할한다. 각 윈도우의 픽셀 좌표의 1열째 내지 100열째까지, 동일 열의 100 픽셀의 상기 수치로부터, 분산값을 각각 산출한다. 100개의 분산값의 평균값을, 「윈도우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16개의 「윈도우의 광학 왜곡」의 평균값을, 「측정 대상물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또한,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 측정은,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된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제1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제2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며, 또한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내의 적어도 한쪽으로서, 유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양쪽이 유리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 판유리, 선입 판유리 및 그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를 대신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해당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m 이상,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mm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해당 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5mm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에, 예를 들어 얻어진 적층체를 압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백에 넣어서 감압 흡인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하여, 약 120℃ 내지 150℃ 및 1MPa 내지 1.5MPa의 압력에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물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프론트 글래스, 사이드 글래스, 리어 글래스, 루프 글래스 또는 백라이트용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자동차의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는, 아세탈화에, 탄소수 4의 n-부틸알데히드가 사용되고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대하여는,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은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해 측정한 경우도,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수치를 나타냈다.
(실시예 1)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작: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3000, 수산기의 함유율 22몰%, 아세틸화도 13몰%, 아세탈화도 6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30중량부
얻어지는 제1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Tinuvin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326」)
얻어지는 제1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제2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작:
하기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에서 충분히 혼련하여, 제2층 및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5몰%, 아세틸화도 1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8중량부
얻어지는 제2층 및 제3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Tinuvin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326」)
얻어지는 제2층 및 제3층 중에서 0.2중량%가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중간막의 제작: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제2, 제3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3층의 구조(제2층/제1층/제3층)를 갖는 엠보스 가공 전의 중간막을 얻었다. 얻어진 엠보스 가공 전의 중간막에 대하여, 엠보스 롤법에 의해 0.10kN/cm의 선압에서 엠보스 가공하여, 중간막(도 1의 형상을 갖는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또한, 얻어진 중간막은 롤상으로 권취하였다.
(실시예 2 내지 5 및 비교예 1)
중간막의 구성을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3층의 구조(제2층/제1층/제3층)를 갖는 중간막(도 1의 형상을 갖는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7)
중간막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중간막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부여하기 위한 선압을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 중간막의 구성을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3층의 구조(제2층/제1층/제3층)를 갖는 중간막(도 1의 형상을 갖는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중간막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용융 파괴법에 의해 표면에 요철 형상을 부여하게 변경한 것, 중간막의 구성을 표 2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3층의 구조(제2층/제1층/제3층)를 갖는 중간막(도 1의 형상을 갖는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평가)
(1) 유리 전이 온도 Tg
중간막을 실온 23±2℃, 습도 25±5%의 환경 하에 12시간 보관하였다. 이어서, TA 인스트루먼트사제의 점탄성 측정 장치 「ARES-G2」를 사용하여, 점탄성을 측정하였다. 지그로서 직경 8mm의 패럴렐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전단 모드, 3℃/분의 강온 속도로 100℃로부터 -20℃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그리고 주파수 1Hz 및 변형 1%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에 있어서,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 Tg(℃)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중간막에 있어서의 제1층, 제2층, 제3층의 유리 전이 온도를 구하였다.
(2) 두께
접촉식 두께 계측기 「TOF-4R」(야마분 덴키사제)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중간막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비접촉 다층막 두께 측정기 「OPTIGAUGE」(루메트릭스사제)를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1층, 제2층, 제3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 의해 Y/X를 측정하고,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영역 A)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또한, 중간막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영역 B)에 있어서의 각 표면층의 평균 두께를 산출하였다.
(3) 내관통성 시험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접합 유리 X를 제작하였다. 접합 유리 X를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내관통성 시험을 행하였다. 또한, 내관통성 시험은, 강구를 6.5m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키는 시험과, 5.5m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키는 시험으로 행하였다. 표 중, 강구가 접합 유리 X에 충돌하고 나서 5초 이내에, 강구가 접합 유리 X를 관통하지 않는 경우를 「A」로 나타내고, 강구가 접합 유리 X에 충돌하고 나서 5초 이내에, 강구가 접합 유리 X를 관통하는 경우를 「B」로 나타냈다.
(4) 광학 왜곡값
얻어진 중간막을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접합 유리 Y를 제작하였다. 접합 유리 Y를 사용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광학 왜곡의 측정을 행하였다.
(5) 차음성
얻어진 중간막을 세로 55cm×가로 55cm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이어서, 1매의 클리어 플로트 유리(세로 50cm×가로 50cm×두께 2mm)와 1매의 클리어 플로트 유리(세로 50cm×가로 50cm×두께 1.6mm)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를 고무백 내에 넣고, 2.6kPa의 진공도에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채 오븐 내에 옮기고, 또한 90℃에서 30분간 유지하여 진공 프레스하고,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MPa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음향 투과 손실에 의해 평가하였다. 음향 투과 손실은 20℃에서 JIS A1441-1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음원실과 수음실의 개구부에 제작한 접합 유리를 설치하였다. 수음실측의 니쉐 개구부 내의 샘플로부터 13cm 이격된 부분에서, RION사제 음향 인텐시티 프로브 「SI-34」를 사용하여 스캐닝함으로써, 평균 음향 인텐시티 레벨을 측정하였다. 스캐닝 시간은 25초 내지 40초로 하고, 스캔 속도는 0.15m/s 내지 0.2m/s로 하였다. 2종류의 스캔 패턴의 평균으로부터, 소리 주파 6300Hz에서의 음향 투과 손실(TL값)을 구하였다. 차음성을 하기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차음성의 판정 기준]
○: 소리 주파 6300Hz에서의 TL값이 39.5 이상
×: 소리 주파 6300Hz에서의 TL값이 39.5 미만
중간막의 구성 및 결과를 하기 표 1,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1, 1A, 1B, 1C: 제1층
2, 2A, 2B, 2C: 제2층
3, 3A, 3B, 3C: 제3층
11, 11A, 11B, 11C: 중간막
11a: 일단부
11b: 타단부
21: 접합 유리
31: 제1 접합 유리 부재
32: 제2 접합 유리 부재
41: 광학 왜곡 검사 장치
42: 광원 유닛
43: 슬릿부
44: 측정 대상물 적재부
45: 투영면
46: 화상 입력부
47: 화상 처리부
48: 가대
49: 평가부
421: 발광부
422: 광 파이버
423: 조사구
481: 가대 본체
482: 암
A: 광축
R1: 표시 대응 영역
R2: 주위 영역
R3: 셰이드 영역
W: 측정 대상물

Claims (10)

  1.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2.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표시 대응 영역을 갖고,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 대응 영역에서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간막을, JIS R3202: 1996에 준거한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배치하여, 세로 30cm 및 가로 30cm의 사이즈를 갖는 접합 유리 X를 얻고, 얻어진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하기 내관통성 시험을 했을 때,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내관통성 시험: 상기 접합 유리 X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상기 접합 유리 X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보관 후의 1매의 상기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JIS R3212: 2015에 준거하여, 상기 접합 유리 X의 주면의 중앙 부분에, 질량 2260±20g 및 직경 82mm의 강구를, 6.5m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킨다. 상기 강구가 상기 접합 유리 X에 충돌하고 나서 5초 이내에, 상기 강구가 상기 접합 유리 X를 관통하지 않는 경우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막을, JIS R3202: 1996에 준거한 두께 2.5mm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배치하여, 세로 15cm 및 가로 30cm의 사이즈를 갖는 접합 유리 Y를 얻고, 얻어진 접합 유리 Y에 대하여 하기의 광학 왜곡의 측정을 했을 때, 접합 유리 Y의 광학 왜곡값이 2.0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광학 왜곡의 측정: 조사광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과, 측정 대상물을 투과한 상기 조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면과, 상기 투영면을 촬영하여 농담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입력부와,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의 변동 정도에 기초하여 광학 왜곡값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준비한다. 상기 측정 대상물로서, 상기 접합 유리 Y와, 가시광선 투과율이 88%인 교정용 단층 중간막을, 두께 2.5mm의 클리어 플로트 유리 2매 사이에 배치하여 얻어진 교정용 접합 유리의 2개의 측정 대상물을 준비한다. 상기 접합 유리 Y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상기 접합 유리 Y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하기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을 행했을 때, 측정 대상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광학 왜곡값이 1.30이 되도록, 또한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1.14가 되도록 조정한 상기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접합 유리 Y의 광학 왜곡값을 측정한다.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에 따라서, 상기 농담 화상의 각 픽셀을 0 내지 255의 화소값으로 변환한다. 상기 농담 화상의 픽셀 좌표 (120, 40), (520, 40), (120, 440), (520, 440)의 4점을 연결하여 생긴 400 픽셀×400 픽셀의 영역을, 1윈도우당 100 픽셀×100 픽셀의 합계 16윈도우로 분할한다. 각 윈도우의 픽셀 좌표의 1열째 내지 100열째까지, 동일 열의 100 픽셀에 있어서, 「화소값의 분산값」을 각각 산출한다. 100개의 「화소값의 분산값」의 평균값을, 「윈도우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16개의 「윈도우의 광학 왜곡」의 평균값을, 「측정 대상물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 파괴법에 의해 형성된 요철 형상을 표면에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6.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7.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상기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를 향해서 100mm의 위치로부터 400mm의 위치까지의 영역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인, 접합 유리.
  8. 헤드업 디스플레이인 접합 유리로서,
    일단부와, 상기 일단부의 반대측에 타단부를 갖고,
    상기 타단부의 두께가 상기 일단부의 두께보다도 크고,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갖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상기 중간막은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을 적어도 1층 구비하고,
    상기 중간막의 두께를 X㎛라 하고,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15℃ 미만인 층의 합계 두께를 Y㎛라 했을 때, Y/X의 값이 0.12 이상인 영역을 갖고,
    상기 표시 영역에서의 상기 중간막의 표면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300㎛ 미만인, 접합 유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하기 내관통성 시험을 했을 때,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 접합 유리.
    내관통성 시험: 접합 유리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접합 유리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보관 후의 1매의 접합 유리에 대하여 JIS R3212: 2015에 준거하여, 접합 유리의 주면의 중앙 부분에, 질량 2260±20g 및 직경 82mm의 강구를, 6.5m의 높이로부터 낙하시킨다. 상기 강구가 접합 유리에 충돌하고 나서 5초 이내에, 상기 강구가 접합 유리를 관통하지 않는 경우에, 강구가 관통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의 광학 왜곡의 측정을 했을 때,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2.0 이하인, 접합 유리.
    광학 왜곡의 측정: 조사광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과, 측정 대상물을 투과한 상기 조사광을 투영하는 투영면과, 상기 투영면을 촬영하여 농담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입력부와,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의 변동 정도에 기초하여 광학 왜곡값을 산출하는 화상 처리부를 구비하는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준비한다. 상기 측정 대상물로서, 접합 유리와, 가시광선 투과율이 88%인 교정용 단층 중간막을, 두께 2.5mm의 클리어 플로트 유리 2매 사이에 배치하여 얻어진 교정용 접합 유리의 2개의 측정 대상물을 준비한다. 접합 유리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표면 온도가 23℃가 되도록, 접합 유리 및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를, 23±2℃의 환경 하에서 4시간 이상 보관한다. 하기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을 행했을 때, 측정 대상물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광학 왜곡값이 1.30이 되도록, 또한 상기 교정용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이 1.14가 되도록 조정한 상기 광학 왜곡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접합 유리의 광학 왜곡값을 측정한다.
    화상 처리부에서의 처리 조작: 상기 농담 화상의 농담에 따라서, 상기 농담 화상의 각 픽셀을 0 내지 255의 수치로 변환한다. 상기 농담 화상의 픽셀 좌표 (120, 40), (520, 40), (120, 440), (520, 440)의 4점을 연결하여 생긴 400 픽셀×400 픽셀의 영역을, 1윈도우당 100 픽셀×100 픽셀의 합계 16윈도우로 분할한다. 각 윈도우의 픽셀 좌표의 1열째 내지 100열째까지, 동일 열의 100 픽셀에 있어서, 「화소값의 분산값」을 각각 산출한다. 100개의 「화소값의 분산값」의 평균값을, 「윈도우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16개의 「윈도우의 광학 왜곡」의 평균값을, 「측정 대상물의 광학 왜곡」으로 한다.

KR1020227017388A 2020-03-30 2021-03-30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201615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60539 2020-03-30
JPJP-P-2020-060539 2020-03-30
PCT/JP2021/013565 WO2021200961A1 (ja) 2020-03-30 2021-03-30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544A true KR20220161544A (ko) 2022-12-06

Family

ID=7792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388A KR20220161544A (ko) 2020-03-30 2021-03-30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59935A1 (ko)
EP (1) EP4129946A4 (ko)
JP (1) JPWO2021200961A1 (ko)
KR (1) KR20220161544A (ko)
CN (1) CN115315416A (ko)
TW (1) TW202142400A (ko)
WO (1) WO202120096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883A (ja) 2005-12-26 2007-09-06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6152A (ja) 1994-03-16 1995-11-21 Sekisui Chem Co Ltd 光学的歪検査装置
JP2011088785A (ja) * 2009-10-22 2011-05-06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0173396B2 (en) * 2012-03-09 2019-01-08 Solutia Inc. High rigidity interlayers and light weight laminated multiple layer panels
US9975315B2 (en) * 2014-12-08 2018-05-22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CN107848881B (zh) * 2015-07-31 2021-11-23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夹层玻璃用中间膜的制造方法和夹层玻璃
WO2017099166A1 (ja) * 2015-12-08 2017-06-15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EP3816131A4 (en) * 2018-06-29 2022-03-23 Kuraray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883A (ja) 2005-12-26 2007-09-06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9946A1 (en) 2023-02-08
TW202142400A (zh) 2021-11-16
EP4129946A4 (en) 2024-05-01
CN115315416A (zh) 2022-11-08
US20230059935A1 (en) 2023-02-23
WO2021200961A1 (ja) 2021-10-07
JPWO2021200961A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21740C2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слой для ламинированного стекла, рулон и ламинированное стекло
EP3192780B1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KR102609906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609909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60989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341992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N109311747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KR102338547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N111918849A (zh)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
KR102416206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302429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롤체 및 접합 유리
TWI827698B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CN111225887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
KR20220057668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20159343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20161544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51336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WO2021246506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23004220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20062426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롤체 및 접합 유리
KR20230019066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30029577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20110725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2002192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롤체 및 접합 유리
CN111225886A (zh)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