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162A -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162A
KR20220160162A KR1020210067752A KR20210067752A KR20220160162A KR 20220160162 A KR20220160162 A KR 20220160162A KR 1020210067752 A KR1020210067752 A KR 1020210067752A KR 20210067752 A KR20210067752 A KR 20210067752A KR 20220160162 A KR20220160162 A KR 20220160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data
area
data
block
inpu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신
송인복
백성열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7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0162A/ko
Priority to US17/665,893 priority patent/US11830404B2/en
Publication of KR2022016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162A/ko
Priority to US18/384,539 priority patent/US2024007127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잔상 보상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잔상 보상부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1 블록 사이즈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와 상이한 제2 블록 사이즈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보상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보상된 계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1 블록 사이즈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2 블록 사이즈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잔상 보상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입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을 표시하고,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 및 복수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누적 정보를 기초로 픽셀 별 사용량을 계산하여 열화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열화 정도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여 잔상을 보상할 수 있다.
사용량을 픽셀 별로 누적하게 되면 저장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매우 크기 때문에 메모리 사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 n×n 픽셀을 포함하는 블록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량을 누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블록의 사이즈를 작게 설정하면, 잔상 보상 정밀도가 증가하지만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하여 소비 전력이 증가하고 표시 패널 구동부의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상기 블록의 사이즈를 크게 설정하면, 소비 전력과 표시 패널 구동부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잔상 보상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 사용을 감소시키고 보상 정밀도를 증가시키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잔상 보상부 및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잔상 보상부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1 블록 사이즈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와 상이한 제2 블록 사이즈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보상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보상된 계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는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가 큰 경우, 상기 입력 블록은 상기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잔상 보상부는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영역인지 상기 제2 영역인지 판단하는 에지 판단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로 누적하는 제1 누적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누적하는 제2 누적부 및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보상하는 계조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4,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3, 상기 입력 블록의 상부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2,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상부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1이라고 할 때, RX=BS4-BS1이고, RY=BS3-BS2이며, G=(RX2/4)+(RY2/4)일 수 있다. 쓰레스홀드 값을 th라고 할 때, G>th를 만족하면, 상기 에지 판단부는 상기 입력 블록을 상기 제2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동작 초기에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스트레스 데이터를 모두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로 저장할 수 있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 검출되면, 상기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보다 작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은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 영역 및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은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오프될 때,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온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 영역은 0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으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 영역은 1로 변경되고,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의 어드레스가 기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2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오프될 때,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3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잔상 보상부는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3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 및 상기 제2 블록 사이즈와 상이한 제3 블록 사이즈로 제3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는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3 블록 사이즈는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1 블록 사이즈로 저장하는 단계,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와 상이한 제2 블록 사이즈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된 계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가 1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보다 작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0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에지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에지 영역이 아니면,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에지 영역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를 1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가 2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보다 작은 제3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1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제1 에지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1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에지 영역이 아니면,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보다 작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1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에지 영역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를 2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3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0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제2 에지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0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2 에지 영역이 아니면,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0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2 에지 영역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를 1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1 블록 사이즈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2 블록 사이즈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잔상 보상부를 포함하므로, 메모리 사용 및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보상 정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 사용 조건에서 잔상은 화면 전체에 균일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패턴의 형상을 따라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해 선택적으로 잔상 보상의 해상도를 증가시켜 메모리 사용 및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보상 정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 제어부의 잔상 보상부, 제1 메모리 및 제2 메모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패널의 제1 블록 사이즈 및 제2 블록 사이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잔상 보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a는 픽셀 단위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비교예에 따른 보상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3의 제1 블록 사이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비교예에 따른 보상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도 4의 에지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에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d는 도 2의 잔상 보상부에 따라 도 3의 제1 블록 사이즈 및 제2 블록 사이즈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상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제1 블록 사이즈를 갖는 제1 스트레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메모리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제2 블록 사이즈를 갖는 제2 스트레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메모리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에지 판단부에서 에지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2의 잔상 보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의 잔상 보상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잔상 보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의 잔상 보상부, 제1 메모리, 제2 메모리 및 제3 메모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구동 제어부(2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가 일체로 형성된 구동 모듈을 통합 구동부(ID)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AA) 및 상기 표시부(AA)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주변부(PA)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서브 픽셀들(P)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백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마젠타색(magenta) 영상 데이터, 황색(yellow) 영상 데이터 및 시안색(cyan)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제3 제어 신호(CONT3) 및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주변부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주변부 상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입력 받고,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도 2는 도 1의 구동 제어부(200)의 잔상 보상부(220), 제1 메모리(MEM1) 및 제2 메모리(MEM2)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패널(100)의 제1 블록 사이즈(BL1) 및 제2 블록 사이즈(BL2)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1 블록 사이즈(BL1)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와 상이한 제2 블록 사이즈(BL2)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를 보상하는 잔상 보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상 보상부(220)에 입력되는 입력 계조는 GIN이고, 상기 잔상 보상부(220)에 의해 보상된 출력 계조는 GOUT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보상된 계조(GOUT)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는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는 8행 8열의 픽셀들(P11 내지 P88)을 포함하는 8×8 픽셀인 것으로 예시하였고,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는 2행 2열의 픽셀들(P11, P12, P21, P22)을 포함하는 2×2 픽셀인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 및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에 한정되지 않는다.
잔상 보상은 서브 픽셀의 색에 따라 각각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이 레드 서브 픽셀, 그린 서브 픽셀 및 블루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고 할 때, 도 3의 8행 8열의 픽셀들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8행 8열의 레드 서브 픽셀들,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8행 8열의 그린 서브 픽셀들 또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8행 8열의 블루 서브 픽셀들을 의미할 수 있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일반 영역(상기 제1 영역)은 상대적으로 큰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로 상기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잔상 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큰 잔상 발생 영역(상기 제2 영역)은 상대적으로 작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로 상기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할 수 있다. 상기 잔상 발생 가능성이 큰 잔상 발생 영역(상기 제2 영역)에 대해 보상 해상도를 증가시키므로, 상기 잔상 발생 가능성이 큰 잔상 발생 영역(상기 제2 영역)에 대한 보상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상기 잔상 발생 가능성이 낮은 일반 영역(상기 제1 영역)에 대해 보상 해상도를 증가시키지 않아, 소비 전력 및 메모리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누적된 스트레스 데이터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 또는 상기 계조에 대응하는 휘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적된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표시 장치의 온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모리(MEM1)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모리(MEM1)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모리(MEM1)는 SRAM일 수 있다.
상기 잔상 보상부(220)는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MEM1)에 저장할 수 있고, 누적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누적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MEM1)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2 메모리(MEM2)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메모리(MEM2)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메모리(MEM2)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오프될 때,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2 메모리(MEM2)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온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상기 제2 메모리(MEM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오프되어 있다가 턴 온될 때, 상기 제1 메모리(MEM1)는 누적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누적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메모리(MEM2)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잔상 보상부(22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잔상 보상부(220)는 에지 판단부(222), 제1 누적부(224), 제2 누적부(226) 및 계조 보상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판단부(222)는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영역(잔상 발생 가능성이 낮은 일반 영역)인지 상기 제2 영역(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잔상 발생 영역)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가 큰 경우, 상기 입력 블록은 상기 잔상 발생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잔상 발생 영역은 에지 영역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누적부(224)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로 누적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적부(224)에서 누적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1 메모리(MEM1)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누적부(224)에서 누적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계조 보상부(228)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누적부(226)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로 누적할 수 있다. 상기 제2 누적부(226)에서 누적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1 메모리(MEM1)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누적부(226)에서 누적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계조 보상부(228)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계조 보상부(228)는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GIN)를 보상하여 보상된 계조(GOUT)를 출력할 수 있다.
도 5a는 픽셀 단위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비교예에 따른 보상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도 3의 제1 블록 사이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비교예에 따른 보상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도 4의 에지 판단부(222)에 의해 판단되는 에지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d는 도 2의 잔상 보상부에 따라 도 3의 제1 블록 사이즈 및 제2 블록 사이즈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상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픽셀 단위(1×1 픽셀의 블록 사이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한 경우이며, 에지 영역이 잘 보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소비 전력이 크고 및 메모리의 용량이 큰 문제가 있다.
도 5b는 도 3의 제1 블록 사이즈(8×8 픽셀의 블록 사이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한 경우이며, 소비 전력과 메모리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보상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도 5c는 입력 블록 및 이웃 블록과의 누적 스트레스 차이를 기초로 판단된 에지 영역을 나타낸다. 도 5c에서 검정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일반 영역을 의미하고, 하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에지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에지 영역은 이웃 영역과의 누적 스트레스의 차이가 큰 영역을 의미하며, 잔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영역을 의미한다.
도 5d는 상기 일반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블록 사이즈(8×8 픽셀의 블록 사이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하고, 상기 에지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제2 블록 사이즈(2×2 픽셀의 블록 사이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하여 입력 영상 데이터를 보상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d에서는 상기 일반 영역에 대해 상기 제1 블록 사이즈(8×8 픽셀의 블록 사이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하므로 소비 전력 및 메모리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에지 영역에 대해 상기 제2 블록 사이즈(2×2 픽셀의 블록 사이즈)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누적하므로 보상의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제1 블록 사이즈(BL1)를 갖는 제1 스트레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메모리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제2 블록 사이즈(BL2)를 갖는 제2 스트레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메모리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일반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은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ADDR),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 영역(MSB) 및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SDAT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 영역(MSB)의 값이 0이면,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가 상기 일반 영역에 해당함을 의미한다. 반대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 영역(MSB)의 값이 1이면,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가 상기 일반 영역에 해당하지 않고 상기 에지 영역에 해당함을 의미한다.
상기 에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은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ADDR)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SDAT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영역과 달리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은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 영역(MSB)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동작 초기에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스트레스 데이터를 모두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로 저장하고,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 검출되면, 상기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보다 작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동작 초기에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전 영역(상기 제1 영역에 해당)의 인덱스 영역(MSB)의 값이 0일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사용 시간이 누적됨에 따라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 검출되면(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으로 변경),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 영역(MSB)의 값을 0에서 1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SDATA)에는 스트레스 데이터가 아닌 제2 메모리 영역의 어드레스를 기입할 수 있다.
오랜 시간 사용한 결과로, 상기 제1 영역이 모두 상기 제2 영역으로 변경되게 되면, 메모리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 변경되는 블록의 개수는 미리 설정된 한계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제2 영역으로 변경되는 블록의 개수는 전체 블록의 20%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에서,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는 8행 8열이고,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는 2행 2열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며, 이에 따르면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로 변경될 때 해상도가 16배 증가하게 되고, 상기 스트레스 데이터의 양도 16배 증가할 수 있다.
도 6에서, 제1 어드레스(ADDR=1)에 대응하는 인덱스(MSB)는 0이고, 스트레스 데이터는 SDATA1이다. 상기 제1 어드레스(ADDR=1)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1 영역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 제2 어드레스(ADDR=2)에 대응하는 인덱스(MSB)는 0이고, 스트레스 데이터는 SDATA2이다. 상기 제2 어드레스(ADDR=2)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1 영역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 제3 어드레스(ADDR=3)에 대응하는 인덱스(MSB)는 0이고, 스트레스 데이터는 SDATA3이다. 상기 제3 어드레스(ADDR=3)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1 영역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도 6에서, 제4 어드레스(ADDR=4)에 대응하는 인덱스(MSB)는 1이므로, 상기 제4 어드레스(ADDR=4)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인덱스(MSB)가 1인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영역(SDATA)에 상기 스트레스 데이터가 아닌 제2 메모리 영역의 어드레스가 기입된다. 상기 제4 어드레스(ADDR=4)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2 영역이므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16배 높은 해상도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4 어드레스(ADDR=4)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1001 어드레스로부터 제1016 어드레스에 저장된 SDATA10001 내지 SDATA10016일 수 있다.
도 6에서, 제8 어드레스(ADDR=8)에 대응하는 인덱스(MSB)는 1이므로, 상기 제8 어드레스(ADDR=8)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8 어드레스(ADDR=8)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는 상기 제2 영역이므로, 스트레스 데이터를 16배 높은 해상도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제8 어드레스(ADDR=8)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1017 어드레스로부터 제1032 어드레스에 저장된 SDATA1017 내지 SDATA10032일 수 있다.
도 8은 도 4의 에지 판단부(222)에서 에지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에지 판단부(222)는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영역(일반 영역)인지 상기 제2 영역(에지 영역)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4,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3, 상기 입력 블록의 상부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2,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상부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1 라고 할 때, RX=BS4-BS1이고, RY=BS3-BS2이며, G=(RX2/4)+(RY2/4)일 수 있다.
여기서, 쓰레스홀드 값을 th라고 할 때, G>th를 만족하면, 상기 에지 판단부(222)는 상기 입력 블록을 상기 제2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8에서 BS1, BS2, BS3, BS4는 표시 영역 내부를 의미하고, VBS1, VBS2, VBS3, VBS4, VBS5는 표시 영역 외부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가 BS2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 블록의 상부 블록 및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상부 블록이 표시 영역 내부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G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 BS2의 상부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VBS3로 임의로 생성하고, BS2의 좌측 상부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VBS2로 임의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VBS3은 상기 BS2를 복사하여 생성하고, 상기 VBS2는 상기 BS1을 복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가 BS2일 때, 상기 G는 VBS2, VBS3, BS1, BS2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가 BS3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블록 및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상부 블록이 표시 영역 내부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G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에 BS3의 좌측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VBS5로 임의로 생성하고, BS3의 좌측 상부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VBS4로 임의로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VBS5는 상기 BS3을 복사하여 생성하고, 상기 VBS4는 상기 BS1을 복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가 BS3일 때, 상기 G는 VBS4, BS1, VBS5, BS3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가 BS1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블록, 상기 입력 블록의 상측 블록 및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상부 블록이 모두 표시 영역 내부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수식을 이용하여 G를 구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블록(VBS4), 상기 입력 블록의 상측 블록(VBS2) 및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상부 블록(VBS1)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BS1을 복사하여 생성하는 경우, 상기 G를 얻기 위한 4개의 데이터가 모두 같은 값을 가지므로, BS1 블록은 상기 G를 통해서는 에지 영역으로 판단될 수 없다.
따라서, BS1 블록의 경우에는 상기 G를 통하여 상기 에지 영역을 판단하지 않으며, BS2, BS3, BS4의 블록이 모두 에지 영역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BS1 블록도 에지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반면, BS2, BS3, BS4의 블록 중 일부만이 에지 영역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BS1 블록은 에지 영역으로 판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잔상 보상부(22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100)의 구동 방법은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1 블록 사이즈로 저장하는 단계,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와 상이한 제2 블록 사이즈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GIN)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된 계조(GOUT)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상 보상부(22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단계 S10).
상기 잔상 보상부(220)는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MSB)가 1이면 (단계 S20),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 예컨대, 8×8 픽셀)보다 작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 예컨대, 2×2 픽셀)로 평균하여 누적할 수 있다 (단계 S30 & S40).
상기 잔상 보상부(220)는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MSB)가 0이면 (단계 S20),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에지 영역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0).
상기 잔상 보상부(220)는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에지 영역이 아니면 (단계 S50),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 예컨대, 8×8 픽셀)로 평균하여 누적할 수 있다 (단계 S60 & S70).
상기 잔상 보상부(220)는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에지 영역이면 (단계 S50),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를 0에서 1로 변경하고 (단계 S80),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 예컨대, 2×2 픽셀)로 평균하여 누적할 수 있다 (단계 S90 & S10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1 블록 사이즈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2 블록 사이즈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상기 잔상 보상부(220)를 포함하므로, 메모리 사용 및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보상 정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 사용 조건에서 잔상은 화면 전체에 균일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패턴의 형상을 따라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해 선택적으로 잔상 보상의 해상도를 증가시켜 메모리 사용 및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보상 정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의 잔상 보상부(220A)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잔상 보상부(220A)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잔상 보상부의 구성 및 동작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9의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5a 내지 도 8,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1 블록 사이즈(BL1)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와 상이한 제2 블록 사이즈(BL2)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3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 및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와 상이한 제3 블록 사이즈로 제3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를 보상하는 잔상 보상부(2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상 보상부(220A)에 입력되는 입력 계조는 GIN이고, 상기 잔상 보상부(220A)에 의해 보상된 출력 계조는 GOUT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보상된 계조(GOUT)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는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블록 사이즈(BL3)는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는 8행 8열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8×8 픽셀일 수 있고,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는 4행 4열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4×4 픽셀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블록 사이즈(BL3)는 2행 2열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2×2 픽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 및 상기 제3 블록 사이즈(BL3)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잔상 보상부(220A)는 에지 판단부(222), 제1 누적부(224), 제2 누적부(226), 제3 누적부(227) 및 계조 보상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지 판단부(222)는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영역(잔상 발생 가능성이 낮은 일반 영역)인지, 상기 제2 영역(잔상 발생 가능성이 제1 영역보다 높은 영역)인지, 상기 제3 영역(잔상 발생 가능성이 제2 영역보다 높은 영역)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블록이 제1 영역인 상태에서,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가 큰 경우, 상기 입력 블록은 상기 제2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블록이 제2 영역인 상태에서,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가 큰 경우, 상기 입력 블록은 상기 제3 영역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누적부(224)는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로 누적할 수 있다. 상기 제1 누적부(224)에서 누적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1 메모리(MEM1)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누적부(224)에서 누적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계조 보상부(228)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누적부(226)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로 누적할 수 있다. 상기 제2 누적부(226)에서 누적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1 메모리(MEM1)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누적부(226)에서 누적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계조 보상부(228)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3 누적부(227)는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3 블록 사이즈(BL3)로 누적할 수 있다. 상기 제3 누적부(227)에서 누적된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1 메모리(MEM1)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누적부(227)에서 누적된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계조 보상부(228)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계조 보상부(228)는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GIN)를 보상하여 보상된 계조(GOUT)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잔상 보상부(220A)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단계 S110).
상기 잔상 보상부(220A)는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MSB)가 2이면 (단계 S120),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예컨대, 4×4 픽셀)보다 작은 상기 제3 블록 사이즈(예컨대, 2×2 픽셀)로 평균하여 누적할 수 있다 (단계 S130 & S140).
상기 잔상 보상부(220A)는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MSB)가 1이면 (단계 S150),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제1 에지 영역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60).
상기 잔상 보상부(220A)는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MSB)가 1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에지 영역이 아니면 (단계 S160),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예컨대, 8×8 픽셀)보다 작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예컨대, 4×4 픽셀)로 평균하여 누적할 수 있다 (단계 S170 & S180).
상기 잔상 보상부(220A)는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MSB)가 1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에지 영역이면 (단계 S160),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MSB)를 1에서 2로 변경하고 (단계 S190),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3 블록 사이즈(예컨대, 2×2 픽셀)로 평균하여 누적할 수 있다 (단계 S200 & S210).
상기 잔상 보상부(220A)는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MSB)가 0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제2 에지 영역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20).
상기 잔상 보상부(220A)는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MSB)가 0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2 에지 영역이 아니면 (단계 S220),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예컨대, 8×8 픽셀)로 평균하여 누적할 수 있다 (단계 S230 & S240).
상기 잔상 보상부(220A)는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MSB)가 0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2 에지 영역이면 (단계 S220),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MSB)를 0에서 1로 변경하고 (단계 S250),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예컨대, 4×4 픽셀)로 평균하여 누적할 수 있다 (단계 S260 & S270).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3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모리(MEM1)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 상기 제2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제3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모리(MEM1)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모리(MEM1)는 SRAM일 수 있다.
상기 잔상 보상부(220A)는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MEM1)에 저장할 수 있고, 누적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누적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 및 누적된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MEM1)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3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2 메모리(MEM2)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메모리(MEM2)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메모리(MEM2)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1 블록 사이즈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2 블록 사이즈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3 블록 사이즈로 제3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상기 잔상 보상부(220A)를 포함하므로, 메모리 사용 및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보상 정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 사용 조건에서 잔상은 화면 전체에 균일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패턴의 형상을 따라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해 선택적으로 잔상 보상의 해상도를 증가시켜 메모리 사용 및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보상 정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의 잔상 보상부(220), 제1 메모리(MEM1), 제2 메모리(MEM2) 및 제3 메모리(MEM3)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은 메모리의 구성 및 동작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9의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1 블록 사이즈(BL1)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와 상이한 제2 블록 사이즈(BL2)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의 계조를 보상하는 잔상 보상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상 보상부(220)에 입력되는 입력 계조는 GIN이고, 상기 잔상 보상부(220)에 의해 보상된 출력 계조는 GOUT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보상된 계조(GOUT)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10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블록 사이즈(BL2)는 상기 제1 블록 사이즈(BL1)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메모리(MEM1)는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메모리(MEM2)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모리(MEM1) 및 상기 제2 메모리(MEM2)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메모리(MEM1)는 제1 SRAM이고, 상기 제2 메모리(MEM2)는 제2 SRAM일 수 있다.
상기 잔상 보상부(220)는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MEM1) 및 상기 제2 메모리(MEM2)에 각각 저장할 수 있고, 누적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누적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메모리(MEM1) 및 상기 제2 메모리(MEM2)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3 메모리(MEM3)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메모리(MEM3)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메모리(MEM3)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오프될 때,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상기 제3 메모리(MEM3)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온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상기 제3 메모리(MEM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오프되어 있다가 턴 온될 때, 상기 제1 메모리(MEM1)는 누적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3 메모리(MEM3)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제2 메모리(MEM2)는 누적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3 메모리(MEM3)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장치는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1 블록 사이즈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는 제2 블록 사이즈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상기 잔상 보상부(220)를 포함하므로, 메모리 사용 및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보상 정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 사용 조건에서 잔상은 화면 전체에 균일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패턴의 형상을 따라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해 선택적으로 잔상 보상의 해상도를 증가시켜 메모리 사용 및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보상 정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1 블록 사이즈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2 블록 사이즈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잔상 보상부를 이용하여 소비 전력 및 메모리 사용을 감소시키고 잔상 보상의 보상 정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구동 제어부
220, 220A: 잔상 보상부 222: 에지 판단부
224: 제1 누적부 226: 제2 누적부
227: 제3 누적부 228: 계조 보상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1 블록 사이즈로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와 상이한 제2 블록 사이즈로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보상하는 잔상 보상부; 및
    상기 보상된 계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고,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는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가 큰 경우, 상기 입력 블록은 상기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보상부는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영역인지 상기 제2 영역인지 판단하는 에지 판단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로 누적하는 제1 누적부;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누적하는 제2 누적부; 및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보상하는 계조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4,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3, 상기 입력 블록의 상부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2, 상기 입력 블록의 좌측 상부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BS1이라고 할 때, RX=BS4-BS1이고, RY=BS3-BS2이며, G=(RX2/4)+(RY2/4)이고,
    쓰레스홀드 값을 th라고 할 때, G>th를 만족하면, 상기 에지 판단부는 상기 입력 블록을 상기 제2 영역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의 동작 초기에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스트레스 데이터를 모두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로 저장하고,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 검출되면, 상기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보다 작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은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 영역 및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은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의 어드레스 영역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의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오프될 때,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온되어 있을 때에,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상기 제2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 영역은 0을 저장하고,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으로 변경되면,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 영역은 1로 변경되고,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의 어드레스가 기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2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가 턴 오프될 때, 상기 제1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3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상 보상부는
    제3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3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 및 상기 제2 블록 사이즈와 상이한 제3 블록 사이즈로 제3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며,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3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보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2 영역보다 잔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영역이며,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는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보다 작고,
    상기 제3 블록 사이즈는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1 스트레스 데이터를 제1 블록 사이즈로 저장하는 단계;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와 상이한 제2 블록 사이즈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제2 스트레스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계조를 보상하는 단계; 및
    상기 보상된 계조를 기초로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 패널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가 1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보다 작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0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에지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에지 영역이 아니면,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에지 영역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를 1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의 입력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인덱스가 2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보다 작은 제3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1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제1 에지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1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에지 영역이 아니면,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보다 작은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1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1 에지 영역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를 2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3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0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 및 상기 입력 블록에 이웃한 이웃 블록의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블록이 제2 에지 영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0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2 에지 영역이 아니면,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가 0이고, 상기 입력 블록이 상기 제2 에지 영역이면, 상기 입력 블록의 상기 누적 스트레스 데이터의 상기 인덱스를 1로 변경하고, 상기 입력 블록의 신규 스트레스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록 사이즈로 평균하여 누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0210067752A 2021-05-26 2021-05-26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20220160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752A KR20220160162A (ko) 2021-05-26 2021-05-26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US17/665,893 US11830404B2 (en) 2021-05-26 2022-02-0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18/384,539 US20240071276A1 (en) 2021-05-26 2023-10-2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752A KR20220160162A (ko) 2021-05-26 2021-05-26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162A true KR20220160162A (ko) 2022-12-06

Family

ID=8419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752A KR20220160162A (ko) 2021-05-26 2021-05-26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830404B2 (ko)
KR (1) KR20220160162A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53B1 (ko) * 2005-06-10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71195B1 (ko) * 2011-02-17 2018-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 보상부,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및 발광 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KR20150034948A (ko) 2013-09-27 2015-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112325B1 (ko) * 2014-01-08 2020-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313733B1 (ko) * 2014-11-13 2021-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픽셀들의 열화를 보상하는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227636B1 (ko) * 2014-12-31 2021-03-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데이터 저장 장치 및 이의 저장 방법
KR102236561B1 (ko) * 2014-12-31 2021-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 보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열화 보상 방법
KR102549919B1 (ko) * 2016-07-08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529270B1 (ko) * 2016-07-08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KR102370442B1 (ko) * 2017-08-1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2532972B1 (ko) 2017-12-29 2023-05-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의 보상 방법 및 보상값 저장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094692A (ko) * 2020-01-21 2021-07-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잔상 방지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05700A (ko) * 2020-07-07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집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71276A1 (en) 2024-02-29
US20220383794A1 (en) 2022-12-01
US11830404B2 (en)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774B1 (ko) 고속 응답을 위해 구동 보상을 행하는 액정표시장치의제어회로
KR10042952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951902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JP4878622B2 (ja) 液晶表示装置、その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939064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49144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9548016B2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2356647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CN110782851B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90052195A (ko) 휘도 불균일 보상 방법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
KR20160053284A (ko) 타이밍 컨트롤러,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102533624B1 (ko) 표시 장치의 감마 보정 장치, 표시 장치의 감마 보정 방법, 및 표시 장치
KR10216470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2300888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grayscale data, device, and screen drive board
JP2010107843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の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4431951B2 (ja) 表示装置
KR2022002196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49166A (ko) 적응적 블랙 클리핑 회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적응적 블랙 클리핑 방법
KR20180018898A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20210034165A (ko) 구동 제어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US20080297497A1 (en)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WI405171B (zh) 具有補償顯示缺陷能力之視頻顯示裝置
KR20170049701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149199B2 (en) Driving system and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20220160162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