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278A -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 Google Patents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278A
KR20220159278A KR1020220062680A KR20220062680A KR20220159278A KR 20220159278 A KR20220159278 A KR 20220159278A KR 1020220062680 A KR1020220062680 A KR 1020220062680A KR 20220062680 A KR20220062680 A KR 20220062680A KR 20220159278 A KR20220159278 A KR 20220159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cap
hinge
shaft receiv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어모스 케이.케이., 써모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어모스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220159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11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being completely removed from the opening during dispens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18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and elastically biased towards the open posi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65D2251/1058Latch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과제] 기능성이 높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한 캡 유닛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제1 가압 부재(26)의 가압에 저항하여, 통액구(13)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덮개체(9)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36)를 구비하고, 덮개 락 기구(36)는, 캡 본체(7)에 제2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일단측에 마련된 일방의 걸림부(44)가 덮개체(9)측에 마련된 타방의 걸림부(45)에 걸리는 락 위치와, 일방의 걸림부(44)와 타방의 걸림부(45)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락 부재(38)와, 제2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장착됨과 아울러, 락 부재(38)를 회동 방향의 락 위치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46)를 가진다.

Description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Cap unit and cap-equipped container}
본 발명은,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마개체)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캡 유닛은,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閉塞)함과 아울러,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구(通液口)가 마련된 캡 본체와, 캡 본체에 제1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캡 유닛은, 제1 힌지부에 마련된 제1 가압 부재에 의해 통액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덮개체를 가압함과 아울러,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통액구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 락 기구는, 덮개체에 제2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락 부재를 가지고 있다. 락 부재는, 그 일단측에 마련된 일방의 걸림부가 캡 본체측에 마련된 타방의 걸림부에 걸리는 락 위치와, 일방의 걸림부와 타방의 걸림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된다. 또한, 덮개 락 기구는, 락 부재를 회동 방향의 락 위치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를 가지고 있다.
덮개 락 기구에서는, 제2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락 부재를 압압 조작하여, 덮개체의 고정(락 상태)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서는, 덮개 락 기구에 의한 덮개체의 락 상태를 해제하여,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통액구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통액구를 매개로 하여 용기 본체 내의 음료를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0-23854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서는, 타사와의 상품의 차별화가 어렵고, 상품의 차별화에 의한 시장 셰어의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서, 한층 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캡 유닛에서는, 기능성이 높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덮개 락 기구를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덮개 락 기구에서는, 상술한 제2 가압 부재를 락 부재와 덮개체의 측면과의 사이에 안정된 상태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능성이 높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한 캡 유닛, 및 그와 같은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구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제1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힌지부에 마련된 제1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통액구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상기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캡 본체에 제2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일단측에 마련된 일방의 걸림부가 상기 덮개체측에 마련된 타방의 걸림부에 걸리는 락 위치와, 상기 일방의 걸림부와 상기 타방의 걸림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락 부재와,
상기 제2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락 부재를 회동 방향의 상기 락 위치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락 부재에 마련된 제1 힌지축 받이부와, 상기 캡 본체에 마련된 제2 힌지축 받이부 및 제3 힌지축 받이부와, 상기 제2 힌지축 받이부와 상기 제3 힌지축 받이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힌지축 받이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축 받이부에 마련된 축 구멍을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장착된 힌지축을 가지고,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축을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키는 축 구멍을 가지며, 상기 락 부재와 함께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캡 유닛.
[3]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1 힌지축 받이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일방의 걸림부가 마련된 제1 암부와, 상기 제1 힌지축 받이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2 암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상기 제2 암부와 상기 덮개체의 측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변형부를 가지고,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제2 암부측을 압압 조작했을 때에, 상기 제2 암부와 상기 덮개체의 측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탄성 변형부가 압축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락 부재를 회동 방향의 상기 락 위치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캡 유닛.
[4]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상기 탄성 변형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축 구멍이 마련된 지지편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힌지축 받이부에 마련된 슬릿부의 내측에 상기 지지편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 부재가 상기 락 부재와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캡 유닛.
[5]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2 암부에 마련된 감합 오목부 또는 감합 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상기 감합 오목부 또는 감합 구멍부에 감합되는 감합 볼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캡 유닛.
[6]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7]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에 기재된 캡 부착 용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성이 높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한 캡 유닛, 및 그와 같은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캡 부착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유닛의 폐색시에 락 부재가 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캡 유닛의 폐색시에 락 부재가 락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캡 유닛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입구 형성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걸림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고, (a)는 그 전(前)측에서 본 사시도, (b)는 그 후(後)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덮개 락 기구를 전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덮개 락 기구를 후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락 부재 및 제2 가압 부재를 전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락 부재 및 제2 가압 부재를 후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락 부재 및 커버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락 부재에 커버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락 부재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락 부재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락 부재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1 힌지부를 구성하는 제1 힌지축 받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1 힌지부를 구성하는 제1, 제2 및 제3 힌지축 받이부를 일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1 힌지부를 구성하는 제1, 제2 및 제3 힌지축 받이부를 타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1 힌지부를 구성하는 제1 가압 부재, 힌지축 및 대면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1 힌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회동 댐퍼 기구를 일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회동 댐퍼 기구를 타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회동 댐퍼 기구를 일방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회동 댐퍼 기구를 타방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회동 댐퍼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회동 댐퍼 기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예를 들면 도 1~도 28에 나타내는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캡 유닛(1)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캡 부착 용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캡 유닛(1)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캡 유닛(1)의 폐색시에 락 부재(38)가 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캡 유닛(1)의 폐색시에 락 부재(38)가 락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캡 유닛(1)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캡 유닛(1)의 개방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입구 형성 부재(12)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걸림 부재(17)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그 전측에서 본 사시도, (b)는 그 후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덮개 락 기구(36)를 전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덮개 락 기구(36)를 후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락 부재(38) 및 제2 가압 부재(46)를 전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락 부재(38) 및 제2 가압 부재(46)를 후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락 부재(38) 및 커버 부재(49)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락 부재(38)에 커버 부재(49)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6은, 락 부재(38)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49)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락 부재(38)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49)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락 부재(38)에 장착되는 커버 부재(49)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1 힌지부(8)를 구성하는 제1 힌지축 받이부(5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1 힌지부(8)를 구성하는 제1, 제2 및 제3 힌지축 받이부(52, 53, 54)를 일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1 힌지부(8)를 구성하는 제1, 제2 및 제3 힌지축 받이부(52, 53, 54)를 타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1 힌지부(8)를 구성하는 제1 가압 부재(26), 힌지축(55) 및 대면 부재(56)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1 힌지부(8)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회동 댐퍼 기구(51)를 일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회동 댐퍼 기구(51)를 타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회동 댐퍼 기구(51)를 일방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회동 댐퍼 기구(51)를 타방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회동 댐퍼 기구(51)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회동 댐퍼 기구(51)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과, 이 캡 유닛(1)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용기 본체(2)를 구비하고 있다. 캡 부착 용기(100)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이 용기 본체(2)에 수용된 음료(내용물)를 보온 또는 보냉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용 용기이다.
구체적으로, 이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바닥을 가지는 통 모양의 외부 용기(3) 및 내부 용기(4)를 가지고, 외부 용기(3)의 내측에 내부 용기(4)를 수용한 상태에서 서로의 입가부를 접합한 이중 구조의 용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용기(3)와 내부 용기(4)와의 사이에는, 진공 단열층(5)이 마련되어 있다. 진공 단열층(5)은, 예를 들면, 고진공으로 감압(진공 퍼지)된 챔버 내에서, 외부 용기(3)의 저면 중앙부에 마련된 탈기공을 막는 것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본체(2)는, 대략 원형 모양의 저면부(2a)와, 저면부(2a)의 외주로부터 대략 원통 모양으로 기립한 몸통부(2b)와, 몸통부(2b)의 상부측에 있어서 축경(縮徑, 지름이 축소)된 대략 원통 모양의 구경부(2c)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구경부(2c)의 상단부는,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로서, 원형 모양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구경부(2c)의 내주면은, 몸통부(2b)의 내주면보다도 축경되어 있다. 또한, 구경부(2c)의 내주면에는, 링 모양의 장출부(張出部)(6)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모양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캡 부착 용기(100)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이즈나 디자인 등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기 본체(2)의 외주면에는, 도장이나 인쇄 등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은, 상술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하는 마개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캡 유닛(1)은, 도 3~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7)와, 캡 본체(7)에 제1 힌지부(8)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덮개체(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캡 본체(7)에 대해서 덮개체(9)가 제1 힌지부(8)를 매개로 하여 장착되는 측을 캡 유닛(1)(캡 부착 용기(100))의 「후(後)측(배면측)」으로 하고, 그것과는 반대측을 캡 유닛(1)(캡 부착 용기(100))의 「전(前)측(정면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캡 본체(7)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캡 본체(7)는, 용기 본체(2)의 몸통부(2b)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7a)와, 둘레벽부(7a)의 상부에 둘레벽부(7a)보다도 축경된 개구부(7b)가 형성된 상벽부(上壁部)(7c)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7)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나사 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둘레벽부(7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1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구경부(2c)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10)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캡 본체(7)의 개구부(7b)에는, 도 3~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둥이 또는 주입구(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둥이)를 형성하는 입구 형성 부재(1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2)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입구 형성 부재(12)에는, 용기 본체(2)의 내측과 연통되는 대략 원형 모양의 통액구(13)가 마련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2)는, 통액구(13)가 형성된 저벽부(12a)와, 저벽부(12a)의 주위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세워지는 통 모양의 둘레벽부(12b)와, 저벽부(12a)의 외주면의 하단측으로부터 링 모양으로 돌출된 하측 플랜지부(12c)와, 둘레벽부(12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반대측까지 서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2d)와, 둘레벽부(12b)의 전측의 상단으로부터 경사 컷 모양으로 돌출된 주둥이부(12e)를 가지고 있다.
캡 본체(7)와 입구 형성 부재(12)와의 사이에는, 캡 본체(7)의 개구부(7b)에 입구 형성 부재(12)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입구 탈착 기구(14)가 마련되어 있다. 입구 탈착 기구(14)는, 입구 형성 부재(12)의 전측에 제1 클로부(claw部)(15)와, 입구 형성 부재(12)의 후측에 제2 클로부(16)가 마련된 걸림 부재(17)를 가지고 있다.
제1 클로부(15)는, 둘레벽부(12b)의 외주면의 상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2 클로부(16)는, 걸림 부재(17)의 상단(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걸림 부재(17)는, 입구 형성 부재(12)의 후측의 하단부에 마련된 힌지부(18)를 매개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힌지부(18)는, 입구 형성 부재(12)에 마련된 제1 힌지축 받이부(12f)와, 걸림 부재(17)에 마련된 제2 힌지축 받이부(17a) 및 제3 힌지축 받이부(17b)와, 제2 힌지축 받이부(17a)와 제3 힌지축 받이부(17b)와의 사이에 제1 힌지축 받이부(12f)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축 받이부(12f, 17a, 17b)에 마련된 축 구멍(12g, 17c, 17d)을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장착된 힌지축(19)을 가지고 있다. 또한, 걸림 부재(17)의 상단부에는, 이 걸림 부재(17)를 손가락으로 회동 조작하기 쉽게 하기 위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진 조작부(17e)가 마련되어 있다.
입구 형성 부재(12)와 걸림 부재(17)와의 사이에는, 걸림 부재(17)를 회동 방향의 후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20)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가압 부재(20)는, 이 가압 부재(20)의 후측에 마련된 장착 구멍(21)에, 걸림 부재(17)의 전측에 마련된 장착 볼록부(22)를 끼워넣는 것에 의해서, 걸림 부재(17)의 입구 형성 부재(12)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다.
가압 부재(20)는, 걸림 부재(17)의 선단측을 전방을 향하여 회동시켰을 때에, 걸림 부재(17)와 입구 형성 부재(12)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걸림 부재(17)를 후방을 향하여 가압한다.
입구 탈착 기구(14)는, 캡 본체(7)의 전측에 제1 피(被)걸림부(23)와, 캡 본체(7)의 후측에 제2 피걸림부(24)를 가지고 있다. 제1 피걸림부(23) 및 제2 피걸림부(24)는, 상벽부(7c)의 개구부(7b)에 따른 전후 위치에, 각각 마련된 단차부로 이루어진다.
입구 탈착 기구(14)에서는, 제1 피걸림부(23)에 대해서 제1 클로부(15)를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캡 본체(7)의 개구부(7b)의 내측에, 입구 형성 부재(12)를 하측으로부터 끼워넣는다. 이때, 캡 본체(7)의 상벽부(7c)의 하면에 한 쌍의 상측 플랜지부(12d)가 맞닿아진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클로부(15)가 제1 피걸림부(23)에 걸린다. 또한, 제2 클로부(16)가 캡 본체(7)의 개구부(7b)의 가장자리에 맞닿으면서, 제2 클로부(16)가 개구부(7b)의 가장자리를 타고 넘는 것에 수반하여, 걸림 부재(17)의 선단측이 전방을 향하여 회동한 후에, 걸림 부재(17)의 선단측이 후방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제2 클로부(16)가 제2 피걸림부(24)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2)는, 캡 본체(7)의 개구부(7b)에 장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입구 형성 부재(12)가 장착됨과 동시에, 캡 본체(7)의 개구부(7b)로부터 주둥이부(12e)가 외측(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상태가 된다.
한편, 입구 탈착 기구(14)에서는, 걸림 부재(17)의 선단측을 전방을 향하여 회동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제2 피걸림부(24)에 대한 제2 클로부(1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피걸림부(23)에 대한 제1 클로부(15)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서, 캡 본체(7)의 개구부(7b)의 하측으로부터 입구 형성 부재(12)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2)와 캡 본체(7)를 각각 따로 따로 세정할 수 있어, 입구 형성 부재(12)와 캡 본체(7)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입구 형성 부재(12)가 장착된 캡 본체(7)는, 용기 본체(2)의 구경부(2c)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2)가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를 폐색한다.
입구 형성 부재(12)의 하측 플랜지부(12c)에는,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수 패킹(25)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5)은, 장출부(6)(용기 본체(2))와 입구 형성 부재(12)(캡 본체(7))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링 모양의 씰 부재이다. 지수 패킹(25)은,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지수 패킹(25)은, 하측 플랜지부(12c)의 외주부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지수 패킹(25)은, 용기 본체(2)의 상부 개구부(2d)의 내측에 끼워넣어졌을 때에, 탄성 변형하면서 용기 본체(2)의 장출부(6)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장출부(6)와 입구 형성 부재(12)와의 사이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지수 패킹(25)은, 그 자체를 탄성 변형시키는(잡아당겨 늘리는) 것에 의해서, 하측 플랜지부(12c)(입구 형성 부재(12))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수 패킹(25)과 입구 형성 부재(12)를 각각 따로 따로 세정할 수 있어, 지수 패킹(25)과 입구 형성 부재(12)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덮개체(9)는, 입구 형성 부재(12)의 통액구(13)를 개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덮개체(9)는, 캡 본체(7)의 둘레벽부(7a)와 연속하도록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둘레벽부(9a)와, 둘레벽부(9a)의 천면(天面)을 덮는 천벽(天壁)부(9b)와, 천벽부(9b)를 관통한 상태에서 천벽부(9b)의 하면으로부터 내려지는 대략 원통 모양의 내벽부(9c)를 가지고 있다.
덮개체(9)는, 후술하는 제1 힌지부(8)의 내측에 마련된 제1 가압 부재(26)에 의해서, 입구 형성 부재(12)의 통액구(13)를 개방하는 방향(이하, 개방 방향이라고 함)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덮개체(9)의 내측에는, 입구 형성 부재(12)의 통액구(13)를 폐색하는 덮개 패킹(27)이 마련되어 있다. 덮개 패킹(27)은, 통액구(13)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 모양의 씰 부재이다. 덮개 패킹(27)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수 패킹(25)과 같은 재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덮개 패킹(27)은, 덮개체(9)의 내벽부(9c)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바닥을 가지는 원통 모양의 씰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 패킹(27)은, 그 내측의 중심 구멍(27a)에 내벽부(9c)가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내벽부(9c)의 하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덮개 패킹(27)의 선단은, 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패킹(27)은, 중심 구멍(27a)의 내측에 내벽부(9c)를 끼워넣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 유닛(1)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7)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덮개 패킹(27)이 탄성 변형하면서, 통액구(13)의 주위에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입구 형성 부재(12)의 통액구(13)를 폐색할 수 있다.
한편, 내벽부(9c)(덮개체(9))로부터 덮개 패킹(27)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 패킹(27)과 덮개체(9)를 각각 따로 따로 세정할 수 있어, 덮개 패킹(27)과 덮개체(9)와의 사이를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천벽부(9b)의 상면측에는, 내벽부(9c)의 상단측을 덮는 캡 부재(28)가 장착되어 있다. 캡 부재(28)는, 덮개체(9)와 같은 재질의 것을 이용하여, 대략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천벽부(9b)의 상면에는, 캡 부재(28)에 대응한 형상의 오목부(29)가 마련되어 있다. 캡 부재(28)는, 이 오목부(29)의 내측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캡 유닛(1)은, 덮개체(9)가 통액구(13)를 폐색하는 위치(이하, 폐색 위치라고 함)에서, 이 덮개체(9)를 제1 가압 부재(26)의 가압에 저항하여 캡 본체(7)에 대해서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36)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덮개 락 기구(36)는, 도 4~도 6 및 도 10~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본체(7)에 제2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락 부재(38)와, 캡 본체(7)에 제2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링 스토퍼(39)를 가지고 있다.
제2 힌지부(37)는, 락 부재(38)에 마련된 제1 힌지축 받이부(40)와, 캡 본체(7)에 마련된 제2 힌지축 받이부(41) 및 제3 힌지축 받이부(42)와, 제2 힌지축 받이부(41)와 제3 힌지축 받이부(42)와의 사이에 제1 힌지축 받이부(40)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축 받이부(40, 41, 42)에 마련된 축 구멍(40a, 41a, 42a)을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장착된 힌지축(43)을 가지고 있다.
락 부재(38)는, 캡 본체(7)의 전측의 측면(둘레벽부(7a))에 마련된 제2 힌지부(37)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락 부재(38)는, 제2 힌지부(37)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제1 암부(38a)와, 제2 힌지부(37)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2 암부(38b)를 가지고 있다.
제1 암부(38a)의 선단(락 부재(38)의 상단)에는, 일방의 걸림부가 되는 훅(hook)부(44)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덮개체(9)의 전측의 측면(둘레벽부(9a))에는, 락 부재(38)의 훅부(44)가 걸리는 타방의 걸림부가 되는 훅 받이부(45)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락 부재(38)는, 훅부(44)가 훅 받이부(45)에 걸리는 위치(이하, 「락 위치」라고 함)와, 훅부(44)가 훅 받이부(45)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위치(이하, 「락 해제 위치」라고 함)와의 사이에서 회동된다.
제2 암부(38b)와 둘레벽부(7a)와의 사이에는, 제2 가압 부재(46)가 배치되어 있다. 제2 가압 부재(46)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등의 내열성을 가지는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금속과는 다르게 착색하기 쉽게 되어 있다.
제2 가압 부재(46)는, 제2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락 부재(38)를 회동 방향의 락 위치측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제2 가압 부재(46)는, 제2 암부(38b)와 둘레벽부(7a)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변형부(46a)와, 탄성 변형부(46a)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축 구멍(46b)이 마련된 지지편부(46c)를 가지고 있다.
탄성 변형부(46a)는, 대략 타원 통 모양으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탄성 변형부(46a)의 전단에는, 대략 원기둥 모양의 감합 볼록부(46d)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락 부재(38)의 제2 암부(38b)에는, 이 감합 볼록부(46d)가 감합되는 감합 구멍부(47)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감합 구멍부(47)에 대해서는, 반드시 제2 암부(38b)를 관통한 구성일 필요는 없고, 감합 볼록부(46d)가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여도 된다.
지지편부(46c)는, 대략 평판 모양으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1 힌지축 받이부(40)에는, 이 지지편부(46c)가 삽입되는 슬릿부(48)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가압 부재(46)는, 감합 구멍부(47)에 감합 볼록부(46d)가 감합 됨과 아울러, 슬릿부(48)의 내측에 지지편부(46c)가 삽입된 상태에서, 락 부재(38)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압 부재(46)는, 축 구멍(46b)에 힌지축(43)을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락 부재(38)와 함께 제2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가압 부재(46)는, 락 부재(38)의 제2 암부(38b)측을 압압 조작했을 때에, 제2 암부(38b)와 둘레벽부(7a)와의 사이에서 탄성 변형부(46a)가 압축되는 것에 의해서, 락 부재(38)를 회동 방향의 락 위치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덮개 락 기구(36)는, 락 부재(38)에 씌워지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커버 부재(49)를 가지고 있다. 커버 부재(49)는, 락 부재(38)를 덮는 커버 본체(49a)와, 제1 힌지축 받이부(40)를 사이에 둔 양측에 위치하도록 커버 본체(49a)로부터 돌출됨과 아울러, 힌지축(43)을 관통시키는 축 구멍(49b)이 마련된 한 쌍의 지지 암(49c)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버 부재(49)의 판 두께는, 0.2~1.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부재(49)는, 한 쌍의 지지 암(49c)에 의해서 제1 힌지축 받이부(40)에 커버 부재(49)를 고정하는 고정 기구로서, 한 쌍의 지지 암(49c)의 선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볼록부(49d)와, 제1 힌지축 받이부(40)를 사이에 둔 양측에 걸림 볼록부(49d)가 걸리는 걸림 오목부(40b)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커버 부재(49)는, 락 부재(38)의 전측을 커버 본체(49a)가 덮음과 아울러, 제1 힌지축 받이부(40)의 걸림 오목부(40b)에 한 쌍의 지지 암(49c)의 걸림 볼록부(49d)가 걸린 상태에서, 락 부재(38)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49)는, 축 구멍(49b)에 힌지축(43)을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락 부재(38)와 함께 제2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커버 부재(49)는, 락 부재(38)에 씌워진 상태에서, 락 부재(38)와 함께 락 위치와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되게 된다.
링 스토퍼(39)는, 일부가 개방된 링 모양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에 힌지축(43)을 관통시키는 축 구멍(39a)을 가지며, 제2 힌지부(37)(제2 및 제3 힌지축 받이부(41, 42))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링 스토퍼(39)는,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덮개체(9)의 전측의 측면(둘레벽부(9a))에는, 링 스토퍼(39)가 걸림 고정되는 스토퍼 받이부(50)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받이부(50)는, 링 스토퍼(39)의 내측에 대응한 형상으로, 훅 받이부(45)의 주위를 둘러싸는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덮개 락 기구(36)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7)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락 부재(38)의 훅부(44)가 훅 받이부(45)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가 캡 본체(7)의 상부를 폐색한 상태(이하, 「락 상태」라고 함)가 유지된다. 이 락 상태에서, 락 부재(38)의 제2 암부(38b)측을 압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훅 받이부(45)에 대한 훅부(44)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가압 부재(26)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를 개방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덮개 락 기구(36)에서는, 덮개체(9)가 캡 본체(7)의 상부를 폐색했을 때에, 링 스토퍼(39)가 스토퍼 받이부(50)에 걸림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덮개체(9)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덮개 락 기구(36)에서는, 락 부재(38)의 불필요한 조작에 의해서 덮개체(9)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커버 부재(49)에 대해서는, 상술한 걸림 오목부(40b)에 걸림 볼록부(49d)가 걸리는 고정 기구의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커버 부재(49)의 고정 기구로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암(49c)의 선단을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접어 구부린 한 쌍의 절곡편(49e)을 가지며, 이들 한 쌍의 절곡편(49e)에 의해 제1 힌지축 받이부(40)를 사이에 두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커버 부재(49)의 고정 기구로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암(49c)의 일부를 잘라 일으킨 걸림편(49f)을 가지며, 이들 한 쌍의 걸림편(49f)을 제1 힌지축 받이부(40)에 마련된 걸림 받이부(40c)에 걸리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커버 부재(49)에서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암(49c)에 마련된 축 구멍(49b)을 긴 구멍 형상으로 하고, 이 축 구멍(49b)에 제1 힌지축 받이부(40)에 마련된 돌기(40d)를 맞물림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1 힌지축 받이부(40)(락 부재(38))에 대한 커버 부재(49)의 위치 어긋남을 막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버 부재(49)는, 축 구멍(49b)에 힌지축(43)을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킨 상태에서, 락 부재(38)와 함께 제2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제2 힌지부(37)는 힌지로서 기능하면 되고, 힌지축(43)을 관통시킨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커버 부재(49)는, 락 부재(38)와 일체로 제2 힌지부(37)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이면 되고, 예를 들면 상기 고정 기구에 의해서 커버 부재(49)가 락 부재(38)와 일체로 장착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힌지부(37)는, 락 부재(38)에 마련된 제1 힌지축 받이부(40)와, 캡 본체(7)에 마련된 제2 힌지축 받이부(41) 및 제3 힌지축 받이부(4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락 부재(38)측과 캡 본체(7)측을 바꿔 넣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캡 본체(7)측에 제1 힌지축 받이부를 마련하고, 락 부재(38)측에 제2 힌지축 받이부 및 제3 힌지축 받이부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커버 부재(49)의 한 쌍의 지지 암(49c)은, 락 부재(38)에 마련된 제2 힌지축 받이부 및 제3 힌지축 받이부를 사이에 둔 양측에 위치하도록 커버 본체(49a)로부터 돌출되고, 커버 부재(49)는 힌지축(43) 또는 고정 기구에 의해서 제2 힌지축 받이부 및 제3 힌지축 받이부에 고정되게 된다.
그런데, 제1 힌지부(8)에는, 도 19~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가압 부재(26)의 가압에 의해 회동되는 덮개체(9)의 회동 속도를 감쇠시키는 회동 댐퍼 기구(51)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압 부재(26)는, 토션 스프링이며, 코일 모양으로 감겨진 권회부(26a)와, 권회부(26a)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된 일방의 암부(26b)와, 권회부(26a)의 타단측으로부터 연장된 타방의 암부(26c)를 가지고 있다.
제1 힌지부(8)는, 캡 본체(7)와 덮개체(9) 중 어느 한 쪽(본 실시 형태에서는 캡 본체(7))에 마련된 제1 힌지축 받이부(52)와, 캡 본체(7)와 덮개체(9) 중 어느 다른 쪽(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체(9))에 마련된 제2 힌지축 받이부(53) 및 제3 힌지축 받이부(54)와, 제2 힌지축 받이부(53)와 제3 힌지축 받이부(54)와의 사이에 제1 힌지축 받이부(52)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축 받이부(52, 53, 54)에 마련된 축 구멍(52a, 53a, 54a)을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장착된 힌지축(55)을 가지고 있다.
제1 힌지축 받이부(52)는,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52a)을 가지며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캡 본체(7)의 후측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2 힌지축 받이부(53)는,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53a)을 가지며 제1 힌지축 받이부(52)와 연속된 형상을 가지도록, 덮개체(9)의 후측 중앙부를 사이에 둔 일방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3 힌지축 받이부(54)는,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축 구멍(54a)을 가지며 제1 힌지축 받이부(52)와 연속된 형상을 가지도록, 덮개체(9)의 후측 중앙부를 사이에 둔 타방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제1 힌지축 받이부(52)에는, 제3 힌지축 받이부(54)와 대향하는 면측을 회동축 방향으로 대략 원통 모양으로 오목하게 한 수용 오목부(52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1 힌지축 받이부(52)에는, 제3 힌지축 받이부(54)와 대향하는 면측을 제1 가압 부재(26)의 일방의 암부(26b)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한 일방의 암 받이부(52c)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26)는, 권회부(26a)를 수용 오목부(52b)의 내측에 수용하고, 일방의 암부(26b)를 일방의 암 받이부(52c)에 맞물림시킨 상태에서, 제1 힌지축 받이부(5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3 힌지축 받이부(54)에는, 제1 힌지축 받이부(52)와 대향하는 면을 구성하는 대면 부재(56)가 마련되어 있다. 대면 부재(56)는, 힌지축(55)을 관통시키는 축 구멍(56a)을 가지며, 제3 힌지축 받이부(54)에 마련된 감합 오목부(54b)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또한, 대면 부재(56)의 제1 힌지축 받이부(52)와 대향하는 면에는, 수용 오목부(52b)의 형상에 대응하여 돌출된 감합 볼록부(56b)와, 제1 가압 부재(26)의 타방의 암부(26c)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한 타방의 암 받이부(56c)가 마련되어 있다.
대면 부재(56)는, 수용 오목부(52b)에 감합 볼록부(56b)를 감합시킴과 아울러, 제1 가압 부재(26)의 타방의 암부(26c)를 타방의 암 받이부(56c)에 맞물림시킨 상태에서, 제3 힌지축 받이부(54)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가압 부재(26)는, 덮개체(9)가 통액구(13)를 개방하는 위치(이하, 개방 위치라고 함)로부터, 이 덮개체(9)를 개방 방향과는 반대측(이하, 폐쇄 방향이라고 함)을 향하여 회동시켰을 때에, 일방의 암부(26b)와 타방의 암부(26c)와의 개방각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그 반발력에 의해 캡 본체(7)에 대해서 덮개체(9)를 개방 방향을 향하여 가압한다.
또한, 대면 부재(56)에 대해서는, 제1 힌지축 받이부(52)(캡 본체(7))와는 재질이 다른 것,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이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등의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의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1 힌지부(8)에서는, 이와 같은 내마모성이 뛰어난 대면 부재(56)를 제3 힌지축 받이부(54)와는 별체로 마련함으로써,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면 부재(56)에 대해서는, 제3 힌지축 받이부(54)와 별체로 마련된 구성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힌지축 받이부(54)와 일체화된 구성이어도 된다.
회동 댐퍼 기구(51)는, 제1 힌지축 받이부(52)와 제2 힌지축 받이부(53)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회동 댐퍼 기구(51)는, 제1 힌지축 받이부(52)에 장착된 제1 기어(57)와, 제1 기어(57)와 맞물림되는 제2 기어(58)와, 제2 기어(5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제2 기어(58)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는 로터리 댐퍼(59)와, 로터리 댐퍼(59)를 유지한 상태에서, 덮개체(9)와 일체로 회동되는 댐퍼 케이스(60)를 가지고 있다.
댐퍼 케이스(60)는, 제1 기어(57), 제2 기어(58) 및 로터리 댐퍼(59)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외부에서 이들 부재를 볼 수 없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제1 힌지부(8) 및 덮개체(9)의 내측의 한정된 공간 내에, 제1 가압 부재(26) 및 회동 댐퍼 기구(51)를 효율 좋게 배치하고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어(57, 58)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POM)이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등의 내마모성이 뛰어난 재질의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댐퍼 케이스(60)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 등의 치수 성형성이 뛰어난 재질의 것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제1 기어(57)는, 힌지축(55)을 관통시키는 축 구멍(57a)과, 제1 힌지축 받이부(52)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축(57b)을 가지고 있다. 제1 기어(57)는, 제1 힌지축 받이부(52)의 제2 힌지축 받이부(53)와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고정 구멍(52d)에 고정축(57b)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제1 힌지축 받이부(52)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제2 기어(58)는, 제1 기어(57)보다도 전방에 위치하여, 제1 기어(57)와 맞물림되도록 로터리 댐퍼(5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리 댐퍼(59)는, 내부에 충전된 오일의 점성 저항을 이용하여, 제2 기어(58)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하여, 회전 속도를 저하시킨다.
댐퍼 케이스(60)는, 힌지축(55)을 관통시키는 축 구멍(60a)과, 도 7에 나타내는 덮개체(9)의 내측에 마련된 걸림 구멍(9d)에 걸리는 걸림 클로(60b)를 가지며, 제2 힌지축 받이부(53)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댐퍼 케이스(60)에는, 제2 힌지축 받이부(53)와 대향하는 면측을 제2 기어(58) 및 로터리 댐퍼(59)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한 제1 오목부(60c)와, 제1 힌지축 받이부(52)와 대향하는 면측을 제1 기어(57)에 대응하여 오목하게 한 제2 오목부(60d)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오목부(60c)와 제2 오목부(60d)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있어서 연통되어 있다.
제1 기어(57)와 제2 기어(58)는, 제1 오목부(60c)와 제2 오목부(60d)를 통해 서로 맞물림되어 있다. 로터리 댐퍼(59)는, 제1 오목부(60c)의 내측에 마련된 한 쌍의 고정 핀(60e)을 관통시키는 고정 구멍(59a) 및 고정 홈(59b)을 가지며, 제1 오목부(60c)의 내측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회동 댐퍼 기구(51)에서는, 상술한 덮개 락 기구(36)에 의한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 제1 가압 부재(26)의 가압에 의해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는 덮개체(9)의 회동 속도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이 회동 댐퍼 기구(51)에서는, 제1 가압 부재(26)의 가압에 의해 덮개체(9)가 폐색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동될 때에, 이 덮개체(9)와 함께 댐퍼 케이스(60)가 회동된다.
이때, 제1 기어(57)와 맞물림된 제2 기어(58)가 회전하는 것에 수반하여, 로터리 댐퍼(59)가 제2 기어(58)의 회전에 저항을 부여함으로써, 제2 기어(58)의 회전 속도를 저하시킨다. 이것에 의해,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는 덮개체(9)의 회동 속도가 로터리 댐퍼(59)의 저항에 의해 낮게 억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예를 들면 용기 본체(2)에 뜨거운 물을 넣은 경우 등,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상승해 있는 경우라도,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해제하여, 용기 본체(2) 내의 압력이 개방될 때의 기세에 의해서, 덮개체(9)가 개방 위치를 향하여 힘차게 회동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힌지부(8)에서는, 상술한 캡 본체(7)측에 제1 힌지축 받이부(52), 덮개체(9)측에 제2 힌지축 받이부(53) 및 제3 힌지축 받이부(54)가 마련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덮개체(9)측에 제1 힌지축 받이부(52), 캡 본체(7)측에 제2 힌지축 받이부(53) 및 제3 힌지축 받이부(54)가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1 힌지부(8)에서는, 상술한 제2 힌지축 받이부(53)측의 구성과, 제3 힌지축 받이부(54)측의 구성을 서로 바꿔 넣어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댐퍼 케이스(60)는,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리 댐퍼(59)를 유지한 상태에서, 캡 본체(7)와 일체로 마련된 구성이어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제2 힌지축 받이부(53)에 제1 기어(57)를 장착하여, 이 제1 기어(57)와 맞물림되는 제2 기어(58)와 로터리 댐퍼(59)를 유지한 댐퍼 케이스(60)를 제1 힌지축 받이부(52)에 일체로 마련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덮개 락 기구(36)에 있어서, 제2 가압 부재(46)가 제2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 락 기구(36)에서는, 락 부재(38)의 제2 암부(38b)와 캡 본체(7)의 둘레벽부(7a)와의 사이에 제2 가압 부재(46)가 빠지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에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조립시의 빠짐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이 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조립 후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덮개 락 기구(36)에서는, 상술한 제2 가압 부재(46)를 락 부재(38)와 일체로 장착한 상태에서, 이 제2 가압 부재(46)를 락 부재(38)와 함께 제2 힌지부(37)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덮개 락 기구(36)에서는, 제2 가압 부재(46)를 락 부재(38)의 제2 암부(38b)와 캡 본체(7)의 둘레벽부(7a)와의 사이에 용이하고 또한 안정된 상태에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 락 기구(36)에서는, 상술한 락 부재(38)의 제2 암부(38b)와 캡 본체(7)의 둘레벽부(7a)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메우도록, 제2 가압 부재(46)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은 틈새에 세정시의 물이나 먼지 등이 비집고 들어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또한, 제2 가압 부재(46)는, 상술한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색한 상태에서 성형할 수 있어, 금속제의 스프링 부재에 비해 착색하기 쉽고, 색미의 선택폭이 넓다. 따라서, 제2 가압 부재(46)를 캡 본체(7)나 락 부재(38)와 같은 색으로 한 경우에는, 이 제2 가압 부재(46)를 외관상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2 가압 부재(46)를 다른 색으로 했을 경우에는, 외관상의 디자인에 악센트를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 락 기구(36)에서는, 상술한 락 부재(38)에 씌워지는 금속제의 커버 부재(49)가 제2 힌지부(37)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 락 기구(36)에서는, 커버 부재(49)에 의해 락 부재(38)를 보호함과 아울러, 제2 힌지부(37)에 의해 회동 지지되는 때의 락 부재(38)의 지지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덮개 락 기구(36)에서는, 락 부재(38)에 금속제의 커버 부재(49)를 씌우는 것에 의해서, 지금까지는 강도 부족에 의해서 분열되어 버리는 사이즈로까지, 락 부재(38)를 작게 하거나, 가늘게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상은 수지제인 락 부재(38)의 외관을 금속의 질감으로 하고, 추가로 성형에 의한 플로 마크(flow mark) 등도 피복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락 부재(38)의 볼품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이 락 부재(38)의 내구성과 디자인성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제의 커버 부재(49)를 구비하는 것 대신에, 락 부재(38)를 금속제로 했을 경우에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훅부(44)가 수지로 이루어지는 훅 받이부(45)와 슬라이딩 접촉되게 된다. 이 경우, 덮개체(9)의 재료 선정 다음에는, 반복 사용에 의해, 강도가 약한 훅 받이부(45)가 마모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락 부재(38)를 금속제로 하는 것은, 그 복잡한 형상 때문에 가공이나 재료의 코스트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락 부재(38)의 중량도 증가해 버린다. 이것에 대해, 커버 부재(49)는, 판 두께가 얇기 때문에, 주물이나 깎아 냄에 의하지 않고, 금속판 프레스 등으로 염가에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기능성이 높고 또한 디자인성이 뛰어난 덮개 락 기구(36)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제1 가압 부재(26)의 가압에 의해 회동되는 덮개체(9)의 회동 속도를 감쇠시키는 회동 댐퍼 기구(51)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덮개 락 기구(36)에 의한 덮개체(9)의 락 상태를 해제했을 때에, 덮개체(9)가 개방 방향으로 힘차게 회동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덮개체(9)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될 때에, 이 덮개체(9)의 내측(특히 덮개 패킹(27))에 부착된 음료나 결로된 물방울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체(9)가 개방 방향을 향하여 힘차게 회동된 후에, 그 튀어올랐을 때의 반동에 의해서 덮개체(9)가 폐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덮개체(9)가 거의 일정한 속도로 개방 방향을 향하여 회동되기 때문에, 사용감이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제1 힌지축 받이부(52)와 제2 힌지축 받이부(53) 및 제3 힌지축 받이부(54)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모를 낮게 억제하여, 제1 힌지부(8)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캡 유닛(1)에서는, 상술한 제1 기어(57), 제2 기어(58) 및 로터리 댐퍼(59)가 모두 댐퍼 케이스(60)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것들을 외관상은 확인할 수 없어, 양호한 미관을 줄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57)와 제2 기어(58)와의 맞물림 부분에 작은 먼지 등이 비집고 들어감으로써 댐퍼 기능이 열화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캡 부착 용기(100)에서는, 이와 같은 캡 유닛(1)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 편의성의 한층 더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용기 본체(2)에 의해서 보온·보냉 기능을 갖게 한 음료용 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했을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을 구비한 캡 부착 용기에 대해서, 본 발명을 폭넓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캡 유닛 2…용기 본체
7…캡 본체 8…제1 힌지부
9…덮개체 12…입구 형성 부재
13…통액구 14…입구 탈착 기구
25…지수 패킹 26…제1 가압 부재
27…덮개 패킹 28…캡 부재
36…덮개 락 기구 37…제2 힌지부
38…락 부재 39…링 스토퍼
40…제1 힌지축 받이부 41…제2 힌지축 받이부
42…제3 힌지축 받이부 43…힌지축
46…제2 가압 부재 49…커버 부재
51…회동 댐퍼 기구 52…제1 힌지축 받이부
53…제2 힌지축 받이부 54…제3 힌지축 받이부
55…힌지축 56…대면 부재
57…제1 기어 58…제2 기어
59…로터리 댐퍼 60…댐퍼 케이스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 유닛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과 연통되는 통액구가 마련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제1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제1 힌지부에 마련된 제1 가압 부재에 의해서 상기 통액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통액구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제1 가압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상기 통액구를 폐색하는 위치에서 상기 덮개체를 고정하는 덮개 락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 락 기구는, 상기 캡 본체에 제2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됨과 아울러, 일단측에 마련된 일방의 걸림부가 상기 덮개체측에 마련된 타방의 걸림부에 걸리는 락 위치와, 상기 일방의 걸림부와 상기 타방의 걸림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락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되는 락 부재와,
    상기 제2 힌지부를 매개로 하여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락 부재를 회동 방향의 상기 락 위치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제2 가압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락 부재에 마련된 제1 힌지축 받이부와, 상기 캡 본체에 마련된 제2 힌지축 받이부 및 제3 힌지축 받이부와, 상기 제2 힌지축 받이부와 상기 제3 힌지축 받이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힌지축 받이부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들 제1, 제2 및 제3 힌지축 받이부에 마련된 축 구멍을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장착된 힌지축을 가지고,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축을 회동축 방향으로 관통시키는 축 구멍을 가지며, 상기 락 부재와 함께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1 힌지축 받이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일방의 걸림부가 마련된 제1 암부와, 상기 제1 힌지축 받이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 제2 암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상기 제2 암부와 상기 덮개체의 측면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변형부를 가지고,
    상기 락 부재의 상기 제2 암부측을 압압 조작했을 때에, 상기 제2 암부와 상기 덮개체의 측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탄성 변형부가 압축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락 부재를 회동 방향의 상기 락 위치측을 향하여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상기 탄성 변형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축 구멍이 마련된 지지편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힌지축 받이부에 마련된 슬릿부의 내측에 상기 지지편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 부재가 상기 락 부재와 일체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락 부재는, 상기 제2 암부에 마련된 감합 오목부 또는 감합 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가압 부재는, 상기 감합 오목부 또는 감합 구멍부에 감합되는 감합 볼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유닛.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 유닛과,
    상기 캡 유닛이 장착된 용기 본체를 구비하는 캡 부착 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진공 단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부착 용기.
KR1020220062680A 2021-05-25 2022-05-23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20159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87787 2021-05-25
JP2021087787A JP2022180977A (ja) 2021-05-25 2021-05-25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278A true KR20220159278A (ko) 2022-12-02

Family

ID=8185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680A KR20220159278A (ko) 2021-05-25 2022-05-23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094645A1 (ko)
JP (1) JP2022180977A (ko)
KR (1) KR20220159278A (ko)
CN (1) CN115384938A (ko)
TW (1) TWI808770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3854A (ja) 2008-07-16 2010-02-04 Thermos Kk 飲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1745B2 (ja) * 2016-03-01 2020-04-15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649838B2 (ja) * 2016-04-13 2020-02-19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FR3075764B1 (fr) * 2017-12-22 2019-11-22 Seb S.A. Bouteille munie d'un dispositif de verrouillage dans le bouchon
BR112020022428A2 (pt) * 2018-05-10 2021-02-09 Runway Blue, Llc tampa de recipiente com botão de liberação e trava
US11396408B2 (en) * 2019-08-05 2022-07-26 Yeti Coolers, Llc Lid for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3854A (ja) 2008-07-16 2010-02-04 Thermos Kk 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94645A1 (en) 2022-11-30
TW202246139A (zh) 2022-12-01
TWI808770B (zh) 2023-07-11
CN115384938A (zh) 2022-11-25
JP2022180977A (ja) 202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983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6681745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EP3366168B1 (en) Lid having a pre-venting lid lever and a seal arm assembly
US9456714B2 (en) Kettle with lid damping mechanism
JP683974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JP2018135107A (ja) 開閉式容器
KR20220159278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20159280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KR20220159279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CN110638344A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JP2011251706A (ja) 飲料容器の蓋構造
JP6554356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EP4140912B1 (en) Cap unit and drink container
CN110811362B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JP2022016048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115067724A (zh) 盖单元以及带盖容器
JP2024004083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KR20230140340A (ko) 캡 유닛 및 캡 부착 용기
JP2021191685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