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276A - 무선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276A
KR20220159276A KR1020220061886A KR20220061886A KR20220159276A KR 20220159276 A KR20220159276 A KR 20220159276A KR 1020220061886 A KR1020220061886 A KR 1020220061886A KR 20220061886 A KR20220061886 A KR 20220061886A KR 20220159276 A KR20220159276 A KR 20220159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a
txop
shared communication
direc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현
강규민
박재철
오진형
임동우
최수나
김용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CN202280036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378276A/zh
Priority to PCT/KR2022/007345 priority patent/WO2022250414A1/ko
Priority to EP22811607.5A priority patent/EP4351261A1/en
Publication of KR20220159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에서 공유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제1 STA의 방법은, 공유 통신 구간을 할당하는 제1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필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제2 STA과 공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은 상기 AP와 제3 STA 간에 설정된 TXOP 내에서 설정된다.

Description

무선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본 발명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들에게 빠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무선랜 기술은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랩탑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임베디드 기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일 수 있다.
무선랜 기술을 사용하는 표준은 주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IEEE 802.11 표준으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 표준의 초기 버전은 1~2Mbps(mega bit per second)를 지원할 수 있다. 그 후에, 넓은 채널 대역폭 및 향상된 처리율을 지원하는 IEEE 802.11n 표준 및 IEEE 802.11ac 표준, 밀집된 환경에서의 향상된 주파수 효율을 지원하는IEEE 802.11ax 표준 등이 개발되었다.
최근, 더 높은 처리율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실시간 전송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발생함에 따라, 극고처리율(Extreme High Throughput, EHT) 무선랜 기술인 IEEE 802.11be 표준이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be 표준의 목표는 30Gbps의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 IEEE 802.11be 표준은 전송 지연을 줄이기 위한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IEEE 802.11be 표준은 더욱 확대된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320MHz 대역폭), 다중 대역(Multi-band)을 사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다중 링크(Multi-link) 전송 및 결합(aggregation) 동작, 다중 AP(Access Point) 전송 동작, 및/또는 효율적인 재전송 동작(예를 들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세부 동작들의 정의가 필요하다. 특히,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개시되는 경우, 직접 통신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이 실패한 경우, 해당 스테이션은 통신의 재개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상황에서 통신을 재개하기 위한 방법들이 필요하다.
한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랜에서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STA의 방법은, 공유 통신 구간을 할당하는 제1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필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채널 경쟁 절차 없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은 상기 AP가 설정한 TXOP 내에서 설정된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이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길이를 지시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STA의 방법은,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제2 프레임을 상기 AP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은 MU-RTS 프레임일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은 CTS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제1 STA의 방법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상기 제1 STA이 공유 통신을 상기 AP로부터 할당 받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보다 일찍 완료해야 할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제3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0으로 설정된 RDG/More PPDU 서브필드 또는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AP에 전송되는 QoS Null 프레임 또는 상기 제1 STA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전송하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AP의 방법은, TXOP에서 제1 STA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TXOP 내에 공유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을 할당하는 제1 프레임을 제2 STA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상기 제2 STA과 제3 STA 간의 공유 통신은 수행된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이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길이를 지시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의 방법은,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STA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은 MU-RTS 프레임일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은 CTS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AP의 방법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상기 제2 STA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 후에, 상기 TXOP에서 상기 제1 STA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제3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0으로 설정된 RDG/More PPDU 서브필드 또는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AP에 전송되는 QoS Null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전송하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AP의 방법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3 STA에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전송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응답 프레임의 전송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2 STA과 상기 제3 STA 간에 상기 공유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P의 방법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3 STA에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전송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STA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으로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상기 제1 STA이, 공유 통신 구간을 할당하는 제1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필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을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제2 STA과 공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은 상기 AP와 제3 STA 간에 설정된 TXOP 내에서 설정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상기 제1 STA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제2 프레임을 상기 AP에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은 MU-RTS 프레임일 수 있고, 상기 제2 프레임은 CTS 프레임일 수 있고, 상기 MU-RTS 프레임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이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길이를 지시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상기 제1 STA이, 상기 제1 STA이 상기 공유 통신을 상기 공유 통신 구간보다 일찍 완료해야 할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AP에 전송되는 QoS Null 프레임 또는 상기 제1 STA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전송하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공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상기 제1 STA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의하면, 액세스 포인트는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을 위한 구간을 스테이션들에 설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은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설정된 구간에서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이 실패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직접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통신(예를 들어, 직접 통신)을 재개 및/또는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은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MLD들 간에 설정되는 다중 링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10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A 및 B 중에서 하나 이상"은 "A 또는 B 중에서 하나 이상" 또는 "A 및 B 중 하나 이상의 조합들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동작(예를 들어, 전송 동작)이 설정되는 것"은 "해당 동작을 위한 설정 정보(예를 들어,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파라미터)" 및/또는 "해당 동작의 수행을 지시하는 정보"가 시그널링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정보 요소(예를 들어, 파라미터)가 설정되는 것"은 해당 정보 요소가 시그널링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자원(예를 들어, 자원 영역)이 설정되는 것"은 해당 자원의 설정 정보가 시그널링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노드(10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스테이션(station), AP(access point) MLD(multi-link device), 또는 non-AP MLD일 수 있다. 통신 노드(100)는 장치로 지칭될 수 있고, MLD는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AP를 의미할 수 있고, 스테이션은 STA 또는 non-AP STA을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 채널 폭(operating channel width)는 20MHz(megahertz), 80MHz, 160MHz 등일 수 있다.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 채널 폭은 20MHz, 80MHz 등일 수 있다.
통신 노드(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송수신 장치(1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130)는 트랜시버(transceiver), RF(radio frequency) 유닛, RF 모듈(modul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170)가 아니라, 프로세서(1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송수신 장치(1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및 저장 장치(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MLD(multi-link device)들 간에 설정되는 다중 링크(multi-link)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LD는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MLD는 AP MLD와 non-AP MLD(예를 들어, STA MLD)로 분류될 수 있다. AP MLD와 STA MLD 간의 접속 절차 및/또는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협상 절차를 통해, 다중 링크의 개수 및 사용할 링크는 설정될 수 있다. STA MLD는 AP MLD가 지원하는 대역 정보를 모두 파악할 수 있다. AP MLD와 STA MLD 간의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협상 절차에서, STA MLD는 AP MLD가 지원하는 링크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다중 링크 동작에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중 링크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스테이션(예를 들어, IEEE 802.11a/b/g/n/ac/ax 스테이션)은 AP MLD가 지원하는 일부 링크에서 AP에 접속될 수 있다.
MLD는 하나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MLD는 AP MLD 및/또는 non-AP MLD(예를 들어, STA MLD)를 의미할 수 있다. MLD의 MAC 주소는 AP MLD와 STA MLD 간의 다중 링크 셋업 절차에서 사용될 수 있다. AP MLD의 MAC 주소는 STA MLD의 MAC 주소와 다를 수 있다. AP MLD는 각 링크에서 동작하는 AP를 포함할 수 있다. 즉, AP는 AP MLD에 연계될 수 있다. STA MLD는 각 링크에서 도작하는 ST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STA은 STA MLD에 연계될 수 있다.
AP MLD에 연계된 AP들은 서로 다른 MAC 주소들을 가질 수 있고, STA MLD에 연계된 STA들은 서로 다른 MAC 주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MAC 주소들을 가지는 AP들 각각은 AP MLD가 지원하는 다중 링크 중 각 링크를 담당할 수 있다. AP MLD에 연계된 AP는 독립적인 AP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로 다른 MAC 주소들을 가지는 STA들 각각은 STA MLD가 지원하는 다중 링크 중 각 링크를 담당할 수 있다. STA MLD에 연계된 STA은 독립적인 STA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MLD는 STR(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MLD는 제1 링크에서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링크에서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R 동작을 지원하는 MLD는 STR MLD(예를 들어, STR AP MLD, STR non-AP MLD, STR STA MLD)로 지칭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링크는 채널 또는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STR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MLD는 NSTR(non-STR) AP MLD, NSTR non-AP MLD, 또는 NSTR STA MLD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AP, STA1, STA2, 및 STA3을 포함할 수 있다. STA1, STA2, 및 STA3 각각은 AP에 연결될(associated) 수 있다. 또는, STA3은 AP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AP는 STA1과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TXOP(Transmission Opportunity)를 설정할 수 있다. TXOP는 AP가 STA1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STA1로부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TXOP를 설정하는 다른 방법으로, AP는 CTS(Clear to send) 프레임(예를 들어, CTS-to-Self 프레임)의 수신자를 AP 자신으로 설정할 수 있고, 해당 CTS 프레임(예를 들어, CTS-to-Self 프레임)을 전송함으로써 TXOP를 설정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 또는 CTS-to-Self 프레임의 헤더(예를 들어,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duration) 필드는 TXOP 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AP는 STA1과 설정한 TXOP의 일부를 다른 STA에게 할당하는 TXOP 공유(sharing) 동작을 할 수 있다. TXOP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 또는 peer to peer communication)을 위해 공유될 수 있다. AP가 TXOP를 STA(예를 들어, STA1)에 공유하면, 해당 STA(예를 들어, STA1)은 공유된 TXOP 동안 다른 STA과 통신(예를 들어,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직접 통신을 위해 공유된 TXOP" 또는 "직접 통신을 위해 설정된 TXOP"는 P2P(peer to peer) TXOP로 지칭될 수 있다. P2P TXOP는 직접 통신 구간 및/또는 공유 통신 구간을 의미할 수 있다.
AP는 STA1과 설정한 TXOP 내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TXOP(예를 들어, P2P TXOP)를 STA2에 할당(또는, 공유)할 수 있다. AP가 STA2에 전송하는 MU-RTS(multi user-request to send) 프레임에 포함된 필드에서 공유 모드가 1로 설정된 경우, 이는 "P2P TXOP의 공유", "P2P TXOP의 할당", 또는 "P2P TXOP에서 직접 통신"을 지시할 수 있다. MU-RTS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을 위한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직접 통신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듀레이션 필드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길이를 지시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은 MU-RTS 프레임 내의 다른 파라미터(예를 들어, 다른 필드)에 의해 지시될 수도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은 MU-RTS 프레임 외의 다른 프레임(예를 들어, 관리 프레임, 제어 프레임, 및/또는 데이터 프레임)에 의해 할당 또는 공유될 수 있다. 다른 프레임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할당 또는 공유를 지시하는 공유 모드 필드 및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길이를 지시하는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STA2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을 지시하는 MU-RTS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MU-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CTS(clear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CTS 프레임은 채널 센싱 동작의 결과가 아이들(idle) 상태인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STA들 간의 직접 통신에서 CTS 프레임의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은 MU-RTS 프레임의 종료 시점 또는 CTS 프레임의 시작 시점부터 시작될 수 있다. STA2는 CTS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SIFS(Short Inter-Frame Space)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다른 STA(예를 들어,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STA3은 STA2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이상이 없는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의 디코딩이 성공한 경우), STA3은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후에 수신 응답 프레임(예를 들어, ACK(acknowledgement) 프레임, BA(block ACK) 프레임)을 STA2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는 MU-RTS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한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종료 전에 다른 STA와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은 조기 종료될 수 있다. STA2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후에 QoS(quality of service) Null 프레임을 AP에 전송함으로써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할 수 있다. QoS Null 프레임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를 지시할 수 있다. QoS Null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QoS Null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more data) 필드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AP는 STA2로부터 QoS Null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QoS Null 프레임에 포함된 필드(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AP는 QoS Null 프레임에 의해 지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STA2에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이 조기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P는 QoS Null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후에 STA1과 설정한 TXOP의 종료 시점까지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TA2에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2가 남은 데이터 프레임을 다른 STA(예를 들어, STA3)에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3에 마지막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More Data) 필드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후에 QoS Null 프레임의 전송을 위한 시간이 존재하는 경우, STA2는 QoS Null 프레임을 AP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QoS Null 프레임의 헤더(예를 들어, MAC 헤더)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필드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송수신되는 프레임을 엿들음(overhearing)으로써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필드가 1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AP는 STA2로부터 QoS Null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QoS Null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필드가 1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TA2가 전송한 프레임(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 및/또는 QoS Null 프레임)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필드가 1로 설정된 것이 확인된 경우, AP는 조용한 구간(quiet period)을 STA2에 할당할 수 있다. 조용한 구간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AP는 추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추가 P2P TXOP)을 STA2에 할당하기 위해 상술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할당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AP, STA1, STA2, 및 STA3을 포함할 수 있다. STA1, STA2, 및 STA3 각각은 AP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STA3은 AP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AP는 STA1과 설정한 TXOP 내에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공유 또는 할당할 수 있다. 즉, AP는 STA2와 TXOP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3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종료 전에 다른 STA(예를 들어, STA3)과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은 조기 종료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하기 위해,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마지막으로 STA3에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EOSP(End of Service Period)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1로 설정된 EOS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종료(예를 들어, 조기 종료)를 지시할 수 있다.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종료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EOSP가 1로 설정되었다는 것은 이전에 전송되었던 데이터 프레임의 EOSP 필드가 0으로 설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송수신되는 프레임을 엿들음으로써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EOSP가 1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AP는 STA2에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이 조기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AP는 "STA2에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의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종료 시점"부터 "STA1과 설정된 TXOP의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에서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STA2는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EOSP 대신에 추가 데이터 필드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할 수 있다.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필드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를 지시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들 중에서,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추가 데이터 필드만 0으로 설정될 수 있고,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 외의 나머지 데이터 프레임들의 추가 데이터 필드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STA2는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HE variant HT 제어(Control) 필드의 CAS(Control And Status) 제어 서브필드에 포함된 RDG(reverse direction grant)/More PPDU(physical protocol data unit) 서브필드를 0으로 설정함으로써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할 수 있다. 0으로 설정된 RDG/More PPDU 서브필드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를 지시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들 중에서,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RDG/More PPDU 서브필드만 0으로 설정될 수 있고,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 외의 나머지 데이터 프레임들의 RDG/More PPDU 서브필드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 시점부터 TXOP의 종료 시점까지의 남은 구간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STA2는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을 이용하여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할 수 있다. STA2의 전송 대기열(Queue)에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 프레임이 없는 경우,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마지막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을 해당 데이터 프레임(예를 들어,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수신 시간까지로 설정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상술한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을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값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할 수 있다.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 시점부터 TXOP의 종료 시점까지의 남은 구간에서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AP, STA1, STA2, 및 STA3을 포함할 수 있다. STA1, STA2, 및 STA3 각각은 AP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STA3은 AP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AP는 STA1과 설정한 TXOP 내에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공유 또는 할당할 수 있다. 즉, AP는 STA2와 TXOP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3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종료 전에 다른 STA(예를 들어, STA3)과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은 조기 종료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종료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b) 내에 STA2와 STA3 간에 프레임이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AP는 STA2에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이 조기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시간(Tb) 내에 직접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이 조기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AP는 미리 설정된 시간(Tb) 후부터 STA1과 설정된 TXOP의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에서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Tb)은 PIFS(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 Inter-Frame Space)일 수 있다.
AP는 "미리 설정된 시간(Tb)"과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필드의 값"을 함께 고려하여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를 판단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필드를 0으로 설정할 수 있고,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을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예를 들어, BA 프레임)을 STA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상술한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엿들을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필드가 0으로 설정되고,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종료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b) 내에 STA2와 STA3 간에 프레임이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AP는 STA2에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이 조기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 후에, AP는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AP, STA1, STA2, 및 STA3을 포함할 수 있다. STA1, STA2, 및 STA3 각각은 AP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STA3은 AP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AP는 STA1과 설정한 TXOP 내에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공유 또는 할당할 수 있다. 즉, AP는 STA2와 TXOP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3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을 지시하는 MU-RTS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MU-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CTS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이 STA2와 STA3 간의 직접 통신을 위해 필요한 구간보다 긴 경우,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2는 CTS 프레임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을 STA2와 STA3 간의 직접 통신을 위해 필요한 구간의 길이로 설정할 수 있고, 해당 CTS 프레임을 MU-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할 수 있다. CTS 프레임은 P2P TXOP의 조기 종료 또는 수정된 P2P TXOP를 지시할 수 있다.
AP는 STA2로부터 CTS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CTS 프레임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P2P TXOP의 조기 종료" 또는 "수정된 P2P TXOP"를 확인할 수 있다. AP는 CTS 프레임에 의해 지시되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 맞추어 P2P TXOP를 조기 종료하거나 P2P TXOP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AP는 CTS 프레임에 의해 지시되는 P2P TXOP의 조기 종료 시점(예를 들어, 수정된 P2P TXOP의 종료 시점)부터 STA1과 설정한 TXOP의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에서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AP, STA1, STA2, 및 STA3을 포함할 수 있다. STA1, STA2, 및 STA3 각각은 AP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STA3은 AP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AP는 STA1과 설정한 TXOP 내에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공유 또는 할당할 수 있다. 즉, AP는 STA2와 TXOP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3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다른 STA(예를 들어, STA3)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STA3는 STA2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에 이상이 없는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디코딩 된 경우), STA3은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후에 수신 응답 프레임(예를 들어, BA 프레임, ACK 프레임)을 STA2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는 MU-RTS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한번 이상 수행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STA2와 STA3 간의 첫 번째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는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은 "데이터 프레임과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송수신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NACK을 지시하는 경우에도, 해당 수신 응답 프레임이 성공적으로 송수신되면, 해당 수신 응답 프레임에 연관된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는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해당 P2P TXOP를 지시하는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STA2와 STA3 간에 송수신되는 경우(예를 들어, P2P TXOP 이내의 시간을 지시하는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이 STA2에서 STA3로 송신되고, 듀레이션 필드가 P2P TXOP 이내의(예를 들어, P2P TXOP - 현재 수신 응답 프레임의 대상인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간 - SIFS 시간) 시간으로 설정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이 STA3에서 STA2로 송신되고, STA2가 응답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STA2가 P2P TXOP를 획득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STA2는 P2P TXOP 동안에 해당 P2P TXOP의 소유자(owner)로 동작할 수 있다. 즉, STA2는 P2P TXOP 동안에 PIFS 복구(recovery)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첫 번째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의 완료 후에 두 번째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은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STA2는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을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 두 번째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PIFS(예를 들어, SIFS(16us) + slot time(9us) = 25us) 내에 두 번째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STA3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경우, STA2는 PIFS가 경과한 시점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할 수 있다. "PIFS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은 PIFS 복구 동작으로 지칭될 수 있다. PIFS 복구 동작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될 수 있다. AP는 미리 설정된 횟수를 STA(들)에 설정할 수 있다. STA2는 PIFS 복구 동작에 따라 재전송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STA3으로부터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종료 시점까지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시간이 남아 있는 경우, STA2는 수신 응답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후에 다음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할 수 있다.
PIFS 복구 동작이 미리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3회)만큼 수행된 경우,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프레임의 송수신을 위한 시간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해당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하기 위해, STA2는 PIFS 복구 동작에 따른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PIFS) 후에 QoS Null 프레임을 AP에 전송할 수 있다. 즉, QoS Null 프레임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를 지시할 수 있다. QoS Null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고, QoS Null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필드 또는 RDG/More PPDU 서브필드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AP는 STA2로부터 QoS Null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QoS Null 프레임에 포함된 필드(들)의 값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이 조기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AP는 QoS Null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후에 STA1과 설정한 TXOP의 종료 시점까지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는 동일한 데이터(예를 들어,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PIFS 복구 동작의 수행 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P는 동일한 데이터에 대한 PIFS 복구 동작의 수행 횟수를 확인할 수 있고, PIFS 복구 동작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수행된 경우에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할 수 있다. PIFS 복구 동작에 기초한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PIFS) 후에,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할 수 있고,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 시점부터 STA1과 설정한 TXOP의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PIFS 복구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EOSP를 1로 또는 RDG/More PPDU 서브필드를 0으로 설정할 수 있고, 해당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을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EOSP=1 또는 RDG/More PPDU 서브필드=0은 PIFS 복구 동작에 따른 마지막 전송임을 지시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STA2는 PIFS 복구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되는 듀레이션 필드의 값을 해당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수신을 위해 필요한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고,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을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값으로 설정된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이 종료된 것을 지시할 수 있다.
AP는 PIFS 복구 동작에 따라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예를 들어,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고, 해당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PIFS 내에서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이 조기 종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 시점부터 STA1에 설정된 TXOP의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에서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AP, STA1, STA2, 및 STA3을 포함할 수 있다. STA1, STA2, 및 STA3 각각은 AP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STA3은 AP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AP는 STA1과 설정한 TXOP 내에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공유 또는 할당할 수 있다. 즉, AP는 STA2와 TXOP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3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다른 STA(예를 들어, STA3)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실패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SIFS 후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오류 복구(error recovery) 동작은 수행될 수 있다. 오류 복구 동작을 위해, STA2는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PIFS(예를 들어, SIFS + PIFS) 내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면 해당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은 PIFS 복구 동작일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와 다르게, 도 8의 실시예에서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최초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부터 PIFS 복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PIFS 복구 동작의 수행 조건으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첫 번째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의 성공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은 STA2에 의해 획득된 P2P TXOP로 간주될 수 있다. STA2는 P2P TXOP 동안에 해당 P2P TXOP의 소유자로 동작할 수 있다. 즉, STA2는 P2P TXOP 동안에 PIFS 복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IFS 복구 동작이 실패한 경우,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은 종료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종료 방법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종료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9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AP, STA1, STA2, 및 STA3을 포함할 수 있다. STA1, STA2, 및 STA3 각각은 AP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STA3은 AP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AP는 STA1과 설정한 TXOP 내에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공유 또는 할당할 수 있다. 즉, AP는 STA2와 TXOP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3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다른 STA(예를 들어, STA3)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실패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SIFS 후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STA2는 TXOP 소유자가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에 데이터 프레임(예를 들어, 재전송 프레임 및/또는 추가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STA3은 MU-RTS 프레임을 사용하여 직접 통신 구간을 STA2에 할당한 AP와 연결된 STA(즉, associated STA)일 수 있다. 따라서 AP는 STA3이 전송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STA2의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PIFS 내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STA3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할 수 있고, 직접 통신 구간의 조기 종료 시점부터 STA1과 설정한 TXOP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에서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AP, STA1, STA2, 및 STA3을 포함할 수 있다. STA1, STA2, 및 STA3 각각은 AP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STA3은 AP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AP는 STA1과 설정한 TXOP 내에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공유 또는 할당할 수 있다. 즉, AP는 STA2와 TXOP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3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다른 STA(예를 들어, STA3)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실패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SIFS 후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STA2는 TXOP 소유자가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에 데이터 프레임(예를 들어, 재전송 프레임 및/또는 추가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STA3은 MU-RTS 프레임을 사용하여 직접 통신 구간을 STA2에 할당한 AP와 연결되지 않은 STA(즉, unassociated STA)일 수 있다. 따라서 AP는 STA3이 전송한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STA3가 전송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수신 여부는 STA2에서만 확인될 수 있다. STA2는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PIFS 내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STA3로부터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STA3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을 알리기 위해, STA2는 QoS Null 프레임을 AP에 전송할 수 있다. AP는 STA2로부터 QoS Null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QoS Null 프레임에 기초하여 "STA2가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STA3으로부터 수신하지 못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TA2은 QoS Null 프레임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설정(예를 들어, EOSP=1 또는 More Data=0 또는 RDG/More PPDU 서브필드=0)할 수 있고, 해당 QoS Null 프레임을 AP에 전송함으로써 "STA2가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STA3으로부터 수신하지 못한 것(즉, P2P TXOP 조기 종료)"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조기 종료할 수 있고,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조기 종료 시점부터 STA1과 설정한 TXOP의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에서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AP, STA1, STA2, 및 STA3을 포함할 수 있다. STA1, STA2, 및 STA3 각각은 AP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STA3은 AP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AP는 STA1과 설정한 TXOP 내에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공유 또는 할당할 수 있다. 즉, AP는 STA2와 TXOP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3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다른 STA(예를 들어, STA3)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실패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SIFS 후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STA2는 TXOP 소유자가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에 데이터 프레임(예를 들어, 재전송 프레임 및/또는 추가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STA3은 MU-RTS 프레임을 사용하여 직접 통신 구간을 STA2에 할당한 AP와 연결된 STA(즉, associated STA)일 수 있다. 따라서 AP는 STA3이 전송한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STA2의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PIFS 내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STA3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다시 STA2에 할당하기 위해 MU-RTS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재할당을 위한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최초 할당을 위한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재할당을 위한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남은 구간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재할당을 위한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최초 할당을 위한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과 다를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재할당하는 MU-RTS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재할당되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확인할 수 있다. STA2는 MU-RTS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다시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STA2는 MU-RTS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후에 CTS 프레임을 AP에 전송할 수 있고, CTS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SIFS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TXOP 소유자가 아니므로, TXOP 소유자인 AP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할당하는 경우에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STA2와 STA3 간의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의 완료 후에 남은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SIFS, PIFS, 또는 "PPDU의 최소 길이 + SIFS")보다 작은 경우,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종료할 수 있고, 남은 시간을 회수할 수 있다. AP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의 종료 후(예를 들어,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수신 후)",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의 종료 시점부터 SIFS 후", 또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의 종료 시점부터 PIFS 후"에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종료할 수 있다.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종료할 수 있고,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종료 시점부터 STA1과 설정한 TXOP의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에서 추가 채널 접속 절차(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 없이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STA들 간의 직접 통신 방법의 제10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은 AP, STA1, STA2, 및 STA3을 포함할 수 있다. STA1, STA2, 및 STA3 각각은 AP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STA3은 AP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AP는 STA1과 설정한 TXOP 내에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공유 또는 할당할 수 있다. 즉, AP는 STA2와 TXOP 공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AP에 의해 할당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STA3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다른 STA(예를 들어, STA3)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실패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SIFS 후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STA2는 TXOP 소유자가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이 실패한 경우에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예를 들어, 재전송 프레임 및/또는 추가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없다.
STA3은 MU-RTS 프레임을 사용하여 직접 통신 구간을 STA2에 할당한 AP와 연결되지 않은 STA(즉, unassociated STA)일 수 있다. 따라서 AP는 STA3이 전송한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STA3가 전송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수신 여부는 STA2에서만 확인될 수 있다. STA2는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PIFS 내에 해당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STA3로부터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STA3으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을 알리기 위해, STA2는 QoS Null 프레임을 AP에 전송할 수 있다. 즉, QoS Null 프레임의 수신자 주소는 AP일 수 있다. QoS Null 프레임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필드(예를 들어, MD(more data) 필드) 및/또는 RDG/More PPDU 서브필드는 1로 설정될 수 있고, QoS Null 프레임에 포함된 EOSP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QoS Null 프레임에 포함된 "EOSP = 1"은 종료를 지시할 수 있고, QoS Null 프레임에 포함된 "추가 데이터 필드 = 1"은 추가로 전송될 데이터 프레임이 존재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AP는 STA2로부터 QoS Null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QoS Null 프레임에 포함된 "EOSP = 1" 및 "추가 데이터 필드 = 1" 또는 "RDG/More PPDU 서브필드=1"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추가 데이터 프레임이 STA2에 존재하는 것이 확인된 경우, AP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재할당하기 위해 QoS Null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또는 PIFS 후에 MU-RTS 프레임을 STA2에 전송할 수 있다.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재할당을 위한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최초 할당을 위한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재할당을 위한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남은 구간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재할당을 위한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의 최초 할당을 위한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과 다를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재할당하는 MU-RTS 프레임을 AP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MU-RTS 프레임에 포함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재할당되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확인할 수 있다. STA2는 MU-RTS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다시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STA2는 MU-RTS 프레임의 수신 시점부터 SIFS 후에 CTS 프레임을 AP에 전송할 수 있고, CTS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SIFS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 내에서 TXOP 소유자가 아니므로, TXOP 소유자인 AP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을 STA2에 할당하는 경우에 STA2는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P2P TXOP)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제1 STA(station)의 방법으로서,
    공유 통신 구간을 할당하는 제1 프레임을 AP(access point)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프레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필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채널 경쟁 절차 없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은 상기 AP가 설정한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내에서 설정되는, 제1 STA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이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길이를 지시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하는, 제1 STA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STA의 방법은,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제2 프레임을 상기 AP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MU-RTS(multi user-request to send) 프레임이고, 상기 제2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 프레임인, 제1 STA의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STA의 방법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상기 제1 STA이 공유 통신을 상기 AP로부터 할당 받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보다 일찍 완료해야 할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1 STA의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제3 프레임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헤더에 포함된 0으로 설정된 RDG/More PPDU 서브필드 또는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제1 STA의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AP에 전송되는 QoS(quality of service) Null 프레임 또는 상기 제1 STA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전송하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인, 제1 STA의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STA의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STA의 방법.
  9. AP(access point)의 방법으로서,
    TXOP(transmission opportunity)에서 제1 STA(station)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TXOP 내에 공유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을 할당하는 제1 프레임을 제2 STA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상기 제2 STA과 제3 STA 간의 공유 통신은 수행되는, AP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이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길이를 지시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하는, AP의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P의 방법은,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STA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MU-RTS(multi user-request to send) 프레임이고, 상기 제2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 프레임인, AP의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P의 방법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상기 제2 STA으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 후에, 상기 TXOP에서 상기 제1 STA과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AP의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는 상기 제3 프레임의 MAC(medium access control) 헤더에 포함된 0으로 설정된 RDG/More PPDU 서브필드 또는 0으로 설정된 추가 데이터 필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AP의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AP에 전송되는 QoS(quality of service) Null 프레임 또는 상기 제2 STA이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전송하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인, AP의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P의 방법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3 STA에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전송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응답 프레임의 전송 후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에 상기 제2 STA과 상기 제3 STA 간에 상기 공유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P의 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AP의 방법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상기 제2 STA이 상기 제3 STA에 전송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의 전송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P의 방법.
  17. 제1 STA(station)로서,
    프로세서(processor);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적(electronic)으로 통신하는 메모리(memory);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명령들(instru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상기 제1 STA이,
    공유 통신 구간을 할당하는 제1 프레임을 AP(access point)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필드들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을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제2 STA과 공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은 상기 AP와 제3 STA 간에 설정된 TXOP(transmission opportunity) 내에서 설정되는, 제1 STA.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상기 제1 STA이,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제2 프레임을 상기 AP에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MU-RTS(multi user-request to send) 프레임이고, 상기 제2 프레임은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고, 상기 MU-RTS 프레임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이 할당되는 것을 지시하는 제1 필드 및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길이를 지시하는 제2 필드를 포함하는, 제1 STA.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공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상기 제1 STA이,
    상기 제1 STA이 상기 공유 통신을 상기 공유 통신 구간보다 일찍 완료해야 할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며,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AP에 전송되는 QoS(quality of service) Null 프레임 또는 상기 제1 STA가 상기 공유 통신 구간에서 전송하는 마지막 데이터 프레임인, 제1 STA.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공유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상기 제1 STA이,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고; 그리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유 통신 구간의 종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더 야기하도록 동작하는, 제1 STA.
KR1020220061886A 2021-05-25 2022-05-20 무선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59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36901.9A CN117378276A (zh) 2021-05-25 2022-05-24 在无线lan中用于直接通信的方法和装置
PCT/KR2022/007345 WO2022250414A1 (ko) 2021-05-25 2022-05-24 무선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22811607.5A EP4351261A1 (en) 2021-05-25 2022-05-24 Method and device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l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856 2021-05-25
KR20210066856 2021-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276A true KR20220159276A (ko) 2022-12-02

Family

ID=84413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886A KR20220159276A (ko) 2021-05-25 2022-05-20 무선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5927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3002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US8730884B2 (en) Method for managing resources in high capacit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8141325B (zh) 用于上行链路多用户传输的ack/nack信号处理方法及装置
EP41140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parameters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link
JP7176050B2 (ja) Txopを使用する無線通信方法及びそれを使用する無線通信端末
WO2017084558A1 (zh) 基于信道检测的数据传输方法及装置
KR20210124917A (ko)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27633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35159A (ko)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지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22138A (ko)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43259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KR20230116722A (ko) Emlsr 동작을 지원하는 무선랜에서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59276A (ko) 무선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43512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lan
KR20220104644A (ko)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27103A (ko) 무선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7378276A (zh) 在无线lan中用于直接通信的方法和装置
KR20230049032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속 데이터의 역방향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43764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str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KR20220169407A (ko)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 데이터의 길이를 고려한 프레임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43759A (ko) 통신 시스템에 신속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43257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esponse frame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KR20240035353A (ko) 무선랜에서 오류 복구의 방법 및 장치
KR20240015604A (ko) 다중 링크의 동적 재설정의 방법 및 장치
KR20220151556A (ko)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