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633A -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633A
KR20210127633A KR1020210047742A KR20210047742A KR20210127633A KR 20210127633 A KR20210127633 A KR 20210127633A KR 1020210047742 A KR1020210047742 A KR 1020210047742A KR 20210047742 A KR20210047742 A KR 20210047742A KR 20210127633 A KR20210127633 A KR 20210127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mmunication
station
link
direc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27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40Resource management for direct mode communication, e.g. D2D or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04W74/081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with collision avo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66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a dedicated channel for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은, 제1 통신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구간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을 제1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인 제2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통신 구간 내에서 제2 통신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구간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들에게 빠른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술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무선랜 기술은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랩탑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임베디드 기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이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일 수 있다.
무선랜 기술을 사용하는 표준은 주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IEEE 802.11 표준으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 표준의 초기 버전은 1~2Mbps(mega bit per second)의 통신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IEEE 802.11 표준의 후속 버전들은 통신 속도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IEEE 802.11a 표준의 개정 버전은 5GHz 대역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을 사용하여 최대 54 M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IEEE 802.11b 표준은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방식을 활용하여 초기 버전이 동작하는 2.4 GHz 대역에서 최대 11M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더욱 향상된 속도에 대한 수요로 인해 고처리율(High Throughput, HT) 무선랜 기술을 지원하는 IEEE 802.11n 표준이 개발되었다. IEEE 802.11n 표준은 OFDM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IEEE 802.11n 표준에서 채널 대역폭의 확장 기술 및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이 지원됨으로써, 2.4GHz 대역 및 5GHz 대역에서 최대 통신 속도는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n 표준은 4개의 공간 스트림들(spatial steams) 및 40 MHz 대역폭을 사용함으로써 최대 600 M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무선랜 기술이 개발되고 보급됨에 따라, 무선랜 기술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다양화되었고, 더욱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는 무선랜 기술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IEEE 802.11ac 표준에서 사용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최대 160MHz 대역폭" 또는 "80+80MHz 대역폭")은 확대되었고, 지원되는 공간 스트림들의 개수도 증가되었다. IEEE 802.11ac 표준은 1Gbps(gigabit per second) 이상의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는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기술일 수 있다. IEEE 802.11ac 표준은 MIMO 기술을 활용하여 다수의 스테이션들을 위한 하향링크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밀집된 환경에서 주파수 효율을 높이기 위한 IEEE 802.11ax 표준이 개발되었다. IEEE 802.11ax 표준에서 통신 절차는 MU(multi-user)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IEEE 802.11ax 표준에서 상향링크 통신은 MU MIMO 기술 및/또는 OFDMA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더 높은 처리율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실시간 전송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발생함에 따라, 극고처리율(Extreme High Throughput, EHT) 무선랜 기술인 IEEE 802.11be 표준이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be 표준의 목표는 30Gbps의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 IEEE 802.11be 표준은 전송 지연을 줄이기 위한 기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IEEE 802.11be 표준은 더욱 확대된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320MHz 대역폭), 다중 대역(Multi-band)을 사용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다중 링크(Multi-link) 전송 및 결합(aggregation) 동작, 다중 AP(Access Point) 전송 동작, 및/또는 효율적인 재전송 동작(예를 들어,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하지만, 다중 링크 동작은 기존 무선랜 표준에서 정의되지 않은 동작이므로, 다중 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환경에 따른 세부 동작의 정의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다중 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둘 이상의 대역이 가까운 경우,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인접 채널들(예를 들어, 인접 링크들) 간의 신호 간섭으로 인해 다중 링크를 통한 동시 전송 및 수신 동작이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인접 채널들 간의 신호 간섭 레벨이 특정 레벨 이상인 경우, 해당 간섭으로 인해 하나의 링크에서 전송 동작의 수행 중 다른 링크에서 전송을 위한 채널 센싱 동작 및 신호 수신 동작은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상황에서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파라미터(들)의 업데이트 방법과 업데이트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한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시스템(예를 들어,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직접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들이 필요하다.
한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은, 제1 통신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구간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을 제1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인 제2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통신 구간 내에서 제2 통신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구간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수신자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제3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직접 통신 프레임인 제4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스테이션이 상기 제4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통신 구간 내에서 상기 수신 응답 프레임의 전송 완료 후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자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제4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직접 통신 프레임인 제5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접 통신 구간은 상기 제1 통신 구간 내에서 상기 제3 프레임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제2 통신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프레임은 트리거 프레임 또는 MU RTS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자원 할당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프레임은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통신 구간 동안에 상기 제2 스테이션과 상기 제3 스테이션 간의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은 채널 접근 절차의 수행 없이 SIFS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제1 통신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구간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을 제1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인 제2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통신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통신 구간 내에서 제2 통신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구간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수신자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제3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직접 통신 프레임인 제4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제3 스테이션이 상기 제4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도록 실행된다.
여기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상기 제2 통신 구간 내에서 상기 수신 응답 프레임의 전송 완료 후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자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제4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직접 통신 프레임인 제5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제5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도록 더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접 통신 구간은 상기 제1 통신 구간 내에서 상기 제3 프레임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제2 통신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프레임은 트리거 프레임 또는 MU RTS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자원 할당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프레임은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통신 구간 동안에 상기 제2 스테이션과 상기 제3 스테이션 간의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은 채널 접근 절차의 수행 없이 SIFS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계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와 직접 통신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직접 통신을 위한 협상 절차는 신속히 수행될 수 있고, 전송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직접 통신 절차는 하나의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분산 접속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고, 통신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MLD들 간에 설정되는 다중 링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협상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직접 통신이 수행되는 제1 시나리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랜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노드(10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스테이션(station), AP(access point) MLD(multi-link device), 또는 non-AP MLD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AP를 의미할 수 있고, 스테이션은 STA 또는 non-AP STA을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 채널 폭(operating channel width)는 20MHz(megahertz), 80MHz, 160MHz 등일 수 있다. 스테이션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 채널 폭은 20MHz, 80MHz 등일 수 있다.
통신 노드(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송수신 장치(13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130)는 트랜시버(transceiver), RF(radio frequency) 유닛, RF 모듈(modul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통신 노드(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공통 버스(170)가 아니라, 프로세서(110)를 중심으로 개별 인터페이스 또는 개별 버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송수신 장치(13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및 저장 장치(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MLD(multi-link device)들 간에 설정되는 다중 링크(multi-link)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MLD는 하나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MLD는 AP MLD 및/또는 non-AP MLD를 지칭할 수 있다. MLD의 MAC 주소는 non-AP MLD과 AP MLD 간의 다중 링크 셋업 절차에서 사용될 수 있다. AP MLD의 MAC 주소는 non-AP MLD의 MAC 주소와 다를 수 있다. AP MLD에 연계된 액세스 포인트(들)은 서로 다른 MAC 주소를 가질 수 있고, non-AP MLD에 연계된 스테이션(들)은 서로 다른 MAC 주소를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MAC 주소를 가진 AP MLD 내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각 링크를 담당할 수 있고, 독립적인 액세스 포인트(AP)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로 다른 MAC 주소를 가진 non-AP MLD 내의 스테이션들은 각 링크를 담당할 수 있고, 독립적인 스테이션(STA)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Non-AP MLD는 STA MLD로 지칭될 수도 있다. MLD는 STR(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MLD는 링크 1에서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링크 2에서 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R 동작을 지원하는 MLD는 STR MLD(예를 들어, STR AP MLD, STR non-AP MLD)로 지칭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링크는 채널 또는 대역을 의미할 수 있다. STR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는 NSTR(non-STR) AP MLD 또는 NSTR non-AP MLD(또는, NSTR STA MLD)로 지칭될 수 있다.
MLD는 비연속적인 대역폭 확장 방식(예를 들어, 80MHz + 80MHz)을 사용함으로써 다중 링크에서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다중 링크 동작은 멀티 대역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AP MLD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은 서로 다른 링크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은 하위 MAC 계층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은 "통신 노드" 또는 "하위 엔터티"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노드(즉, 액세스 포인트)는 상위 계층(또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non-AP MLD는 복수의 스테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스테이션들은 서로 다른 링크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스테이션들 각각은 "통신 노드" 또는 "하위 엔터티"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 노드(즉, 스테이션)는 상위 계층(또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MLD는 멀티 대역(multi-band)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LD는 2.4GHz 대역에서 채널 확장 방식(예를 들어, 대역폭 확장 방식)에 따라 40MHz 대역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5GHz 대역에서 채널 확장 방식에 따라 160MHz 대역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LD는 5GHz 대역에서 160MHz 대역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6GHz 대역에서 160MHz 대역폭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LD가 사용하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하나의 채널)은 하나의 링크로 정의될 수 있다. 또는, MLD가 사용하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링크들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LD는 2.4GHz 대역에서 하나의 링크를 설정할 수 있고, 6GHz 대역에서 두 개의 링크들을 설정할 수 있다. 각 링크는 제1 링크, 제2 링크, 제3 링크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는, 각 링크는 링크 1, 링크 2, 링크 3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링크 번호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링크별로 ID(identifier)가 부여될 수 있다.
MLD(예를 들어, AP MLD 및/또는 non-AP MLD)는 접속 절차 및/또는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협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다중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의 개수 및/또는 다중 링크 중에서 사용될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non-AP MLD(예를 들어, 스테이션)는 AP MLD와 통신이 가능한 대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non-AP MLD와 AP MLD 간의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협상 절차에서, non-AP MLD는 AP MLD가 지원하는 링크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링크들을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해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스테이션(예를 들어, IEEE 802.11a/b/g/n/ac/ax 스테이션)은 AP MLD가 지원하는 다중 링크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링크들에 접속될 수 있다.
다중 링크 간의 대역 간격(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에서 링크 1와 링크 2의 대역 간격)이 충분한 경우, MLD는 ST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LD는 다중 링크 중에서 링크 1를 사용하여 PPDU(PLCP(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rotocol data unit) 1을 전송할 수 있고, 다중 링크 중에서 링크 2를 사용하여 PPDU 2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다중 링크 간의 대역 간격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MLD가 STR 동작을 수행하면, 다중 링크 간의 간섭인 IDC(in-device coexistence)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링크 간의 대역 간격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MLD는 STR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상술한 간섭 관계를 가지는 링크 쌍은 NSTR(Non Simultaneous Transmit and Receive) 제한된(limited) 링크 쌍일 수 있다. 여기서, MLD는 NSTR AP MLD 또는 NSTR non-AP MLD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P MLD와 non-AP MLD 1 간에 링크 1, 링크 2, 및 링크 3을 포함하는 다중 링크가 설정될 수 있다. 링크 1과 링크 3 간의 대역 간격이 충분한 경우, AP MLD는 링크 1 및 링크 3을 사용하여 STR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AP MLD는 링크 1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링크 3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링크 1과 링크 2 간의 대역 간격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AP MLD는 링크 1 및 링크 2를 사용하여 STR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링크 2와 링크 3 간의 대역 간격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AP MLD는 링크 2 및 링크 3을 사용하여 STR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간의 접속(access) 절차에서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협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스테이션)는 MLD(multi-link device)로 지칭될 수 있다.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AP MLD로 지칭될 수 있고,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스테이션은 non-AP MLD 또는 STA MLD로 지칭될 수 있다. AP MLD는 각 링크를 위한 물리적 주소(예를 들어, MAC 주소)를 가질 수 있다. AP MLD는 각 링크를 담당하는 AP가 별도로 존재하는 것처럼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AP들은 하나의 AP MLD 내에서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AP MLD에 속하는 복수의 AP들간의 조율이 가능할 수 있다. STA MLD는 각 링크를 위한 물리적 주소(예를 들어, MAC 주소)를 가질 수 있다. STA MLD는 각 링크를 담당하는 STA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처럼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STA들은 하나의 STA MLD 내에서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STA MLD에 속하는 복수의 STA들간의 조율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MLD의 AP1 및 STA MLD의 STA1 각각은 제1 링크를 담당할 수 있고, 제1 링크를 사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AP MLD의 AP2 및 STA MLD의 STA2 각각은 제2 링크를 담당할 수 있고, 제2 링크를 사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STA2는 제2 링크에서 제1 링크에 대한 상태 변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STA MLD는 각 링크에서 수신된 정보(예를 들어, 상태 변화 정보)를 취합할 수 있고, 취합된 정보에 기초하여 STA1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협상 절차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프라스트럭쳐 BSS(basic service set)에서 스테이션(STA)과 액세스 포인트(AP) 간의 접속 절차는 액세스 포인트의 탐지 단계(probe step), 스테이션과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 간의 인증 단계(authentication step), 및 스테이션과 인증된 액세스 포인트 간의 연결 단계(association step)를 포함할 수 있다.
탐지 단계에서, 스테이션은 패시브 스캐닝(passive scanning) 방법 또는 액티브 스캐닝(active scanning) 방법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지할 수 있다. 패시브 스캐닝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스테이션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전송하는 비콘 프레임을 엿들음(overhearing)으로써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지할 수 있다. 액티브 스캐닝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스테이션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전송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로부터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수신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탐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탐지된 경우, 스테이션은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들)와 인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션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과 인증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IEEE 802.11 표준에 따른 인증 알고리즘(algorithm)은 두 개의 인증 프레임을 교환하는 오픈 시스템(open system) 알고리즘, 네 개의 인증 프레임을 교환하는 공유 키(shared key) 알고리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스테이션은 IEEE 802.11 표준에 따른 인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인증 요청 프레임(authentication request frame)을 전송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인증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인증 응답 프레임(authentication response frame)을 수신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와의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와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테이션은 자신과 인증 단계를 수행한 액세스 포인트(들) 중에서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은 연결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연결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연결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수신함으로써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결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무선랜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동작이 지원될 수 있다. MLD는 해당 MLD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STA들을 포함할 수 있다. MLD는 논리적(logical) 엔터티(entity)일 수 있다. MLD는 AP MLD 및 non-AP MLD로 분류될 수 있다. AP MLD와 연계된 각 STA은 AP일 수 있고, non-AP MLD와 연계된 각 STA은 non-AP STA일 수 있다. 다중 링크를 설정(configure)하기 위해, 다중 링크 디스커버리(discovery) 절차, 다중 링크 셋업(setup) 절차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다중 링크 디스커버리 절차는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간의 탐지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ML IE(multi-link information element)는 비콘(beacon) 프레임, 프로브 요청 프레임, 및/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링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탐지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MLD에 연계된 AP)와 스테이션(예를 들어, MLD에 연계된 non-AP STA) 간에 다중 링크 동작이 사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정보 및 가용한 링크 정보는 교환될 수 있다.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협상 절차(예를 들어, 다중 링크 셋업 절차)에서, 액세스 포인트 및/또는 스테이션은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해 사용할 링크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협상 절차는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간의 접속 절차(예를 들어, 연결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정보 요소(들)은 협상 절차에서 액션(action) 프레임에 의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간의 접속 절차(예를 들어, 연결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가용한 링크(들)이 설정될 수 있고, 각 링크에 ID(identifier)가 할당될 수 있다. 그 후에, 다중 링크 동작을 위한 협상 절차 및/또는 변경 절차에서, 각 링크의 활성화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전송될 수 있고, 해당 정보는 링크 ID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다중 링크 동작이 사용 가능한지를 지시하는 정보는 스테이션과 액세스 포인트 간의 캐퍼빌러티 정보 요소(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예를 들어, EHT(extremely high throughput) 캐퍼빌러티 정보 요소)의 교환 절차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캐퍼빌러티 정보 요소는 지원 대역(supporting band)의 정보, 지원 링크의 정보(예를 들어, 지원 링크의 ID 및/또는 개수), STR 동작이 가능한 링크들의 정보(예를 들어, 링크들의 대역 정보, 링크들의 간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퍼빌러티 정보 요소는 STR 동작이 가능한 링크를 개별적으로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직접 통신이 수행되는 제1 시나리오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된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는 다른 통신 노드들(예를 들어, 차량 오디오, 태블릿, 디바이스들, 블랙박스, 카메라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은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한 통신 또는 직접 통신일 수 있다. 직접 통신은 P2P(peer to peer)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associated) 통신 노드들 중에서 다른 통신 노드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노드(예를 들어,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계 노드", "중계 스테이션", 또는 "중계 STA"으로 지칭될 수 있다.
중계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와 협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TXOP(transmission opportunity))을 획득할 수 있고, 직접 통신 구간에서 다른 스테이션(들)과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 간의 직접 통신은 중계 스테이션의 스케줄링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직접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동작은 스테이션이 하나의 링크에서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동일한 링크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된 프레임(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하여 수행될 수 있다. 중계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들)을 대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중계 스테이션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다른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associated)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지 않은 스테이션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되지 않은 스테이션은 중계 스테이션과 연결 절차를 수행한 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 스테이션은 직접 통신을 수행할 스테이션(이하, "피어(peer) 스테이션" 또는 "피어 STA"이라 함)을 탐색하기 위해 피어 스테이션의 정보 제공을 액세스 포인트에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중계 스테이션은 피어 스테이션을 탐색하기 위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피어 스테이션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은 피어 스테이션을 탐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P MLD의 AP1 및 STA MLDx의 STAx-1은 제1 링크에서 동작할 수 있고, AP MLD의 AP2 및 STA MLDx의 STAx-2는 제2 링크에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1, 2, 3, 4, 또는 5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MLD임을 식별할 수 있다. AP MLD(예를 들어, AP1 및/또는 AP2)는 직접 통신을 시작하기 위해 링크1과 링크2에서 채널 접근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접근 절차가 완료된 경우, AP MLD는 링크1과 링크2에서 제1 프레임(예를 들어, RTS(request to send)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1 프레임은 RTS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은 링크1과 링크2에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제1 프레임은 직접 통신이 개시되는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이하, "직접 통신 지시자"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직접 통신 지시자는 제1 프레임에 포함된 RA(receiver address) 필드 및 TA(transmitter address) 필드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제1 프레임에 포함된 RA 필드 및 TA 필드가 AP MLD의 MAC 주소(또는, AP1의 MAC 주소, AP2의 MAC 주소)로 설정된 경우, 이는 직접 통신이 개시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크에서 전송되는 제1 프레임의 RA 필드 및 TA 필드는 AP1의 MAC 주소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링크에서 전송되는 제1 프레임의 RA 필드 및 TA 필드는 AP2의 MAC 주소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링크에서 전송되는 제1 프레임의 주소 필드(예를 들어, RA 필드 및 TA 필드)는 제2 링크에서 전송되는 제1 프레임의 주소 필드와 다르게 설정되지만, STA MLDx는 각 링크에서 AP MLD(예를 들어, AP1 및 AP2)의 주소를 알고 있으므로 제1 프레임이 동일한 통신 노드(예를 들어, AP MLD)로부터 전송된 것임을 알 수 있다.
STA MLD1은 AP MLD로부터 제1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직접 통신 지시자(예를 들어, RA 필드 및 TA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이 개시(또는, 요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TA MLD1은 AP MLD에 의해 개시되는 직접 통신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직접 통신이 허용되는 경우, STA MLD1은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제2 프레임(예를 들어, CTS 프레임)을 제1 링크와 제2 링크에서 AP MLD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제2 프레임은 CTS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링크에서 전송되는 제2 프레임의 RA 주소는 AP MLD의 AP1의 MAC 주소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링크에서 전송되는 제2 프레임의 RA 주소는 AP MLD의 AP2의 MAC 주소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프레임이 STA MLD1로부터 수신된 경우, AP MLD는 직접 통신이 개시(예를 들어, 허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제2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예를 들어, RTS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과 CTS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에서 전체 통신을 위해 필요한 TXOP인 제1 통신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제1 프레임(예를 들어, RTS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은 TXOP를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술한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인 제2 프레임(예를 들어, CTS 프레임)이 송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TXOP가 설정될 수 있다. TXOP는 미리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SIFS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의 송수신 동작과 해당 프레임에 대한 ACK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AP MLD와 STA MLD1은 제1 프레임-제2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제1 통신 구간인 TXOP를 설정할 수 있다.
AP MLD는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STA" 및/또는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STA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와 수신자"를 알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AP MLD는 STA의 BSR(buffer status report) 전송을 요청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다중 링크 중 하나의 링크(예를 들어, 제1 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TF(trigger frame)로 지칭될 수 있다. BSR 전송을 요청하는 트리거 프레임은 SBSRP(scheduled buffer status report poll)을 위한 트리거 프레임일 수 있다. STA(들)은 제1 링크에서 AP1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트리거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BSR을 제1 링크에서 AP1에 전송할 수 있다. BSR은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와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에서 트리거 프레임의 전송 동작과 BSR의 수신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AP MLD의 AP2는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2 링크에서 STA(들)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STA(들)은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STA(들)일 수 있다. STA(들)은 제2 링크에서 AP2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BA(block ACK) 프레임(또는, ACK 프레임)을 제2 링크에서 AP2에 전송할 수 있다. AP2는 제2 링크에서 STA(들)로부터 BA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링크에서 "TF-BSR 절차"의 종료 시점이 제2 링크에서 "데이터 전송 절차"의 종료 시점과 다른 경우, 종료 시점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패딩(padding)이 사용될 수 있다. TF-BSR 절차는 "트리거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과 BSR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절차는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과 BA 프레임(또는, ACK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크에서 데이터 전송 절차(예를 들어, DL 데이터 전송 절차) 대신에 TF-BSR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링크와 제2 링크에서 동일한 TF-BSR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링크와 제2 링크에서 동일한 TF-BSR 절차가 수행될 때 BSR 프레임을 전송할 대상 STA들은 링크별로 상이할 수 있다.
AP MLD는 TF-BSR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각 STA의 버퍼에 위치한 데이터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MU(multi user)-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부채널(sub-channel)에서 전송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다른 부채널에서 수신 동작은 수행될 수 없다. 예를 들어, STA MLD1의 STA1이 제1 링크의 제1 부채널을 사용하여 STA MLD2의 STA2-1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에 STA MLD3의 STA3-1이 제1 링크의 제2 부채널을 사용한 STA MLD1의 STA1로의 전송은 STA MLD1의 STA1에서 수신될 수 없다. 이 경우, AP MLD는 STA MLD들 간의 직접 통신이 다른 링크에서 수행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MLD는 STA MLD들의 STA들의 송수신 동작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STA MLD1가 제1 링크에서 부채널을 사용하여 전송하는 동안에 다른 STA MLD가 제1 링크의 다른 부채널을 사용하여 STA MLD1로의 전송을 수행하면, 다른 STA MLD의 전송은 STA MLD1에서 수신될 수 없다. 따라서 다른 STA MLD가 다른 링크를 사용하여 STA MLD1로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AP MLD는 해당 전송 동작의 스케줄링을 위한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STA들 간의 직접 통신은 AP의 경유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3-1은 AP의 경유 없이 데이터 프레임을 직접 STA4-1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STA3-1이 전송하는 프레임의 TA 주소는 STA3-1의 MAC 주소로 설정될 수 있고, STA3-1이 전송하는 프레임의 RA 주소는 STA4-1의 MAC 주소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 MLD3은 STA MLD4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STA MLD4는 STA MLD3로 송신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STA MLD(들)은 OFDMA 방식으로 부채널에서 전송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다른 부채널의 수신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STA MLD3의 전송 동작과 STA MLD4의 전송 동작이 동일한 링크에서 할당되면(즉, STA3-1이 제1 링크상으로 부채널을 사용하여 STA4-1로의 전송을 수행하고, 이 동작과 동시에 STA4-1가 다른 부채널을 사용하여 STA3-1로의 전송을 수행하면), STA3-1과 STA4-1 간의 직접 통신은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AP MLD는 "STA MLD3에서 STA MLD4로의 전송 동작이 제1 링크에서 수행되고(즉, STA3-1이 프레임을 STA4-1로 전송하고), STA MLD4에서 STA MLD3로의 전송 동작이 제2 링크에서 수행되도록(즉, STA4-2가 프레임을 STA3-2로 전송하도록)"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AP MLD는 송신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 어떠한 링크에서도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STA(들)은 AP MLD(예를 들어, AP1, AP2)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트리거 프레임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TA(들)은 자원 할당 정보를 사용하여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AP MLD에 의해 할당된 자원이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필요한 자원보다 큰 경우, AP MLD에 의해 할당된 자원이 모두 사용되도록 데이터에 패딩이 추가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예를 들어, 직접 통신)이 완료된 경우, AP MLD는 BA 프레임의 전송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BA 프레임은 상향링크 자원과 동일한 자원(예를 들어, 동일한 부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이 STA(들)로부터 수신된 경우, AP MLD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BA 프레임(또는, ACK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AP MLD의 BA 프레임의 전송을 위한 자원을 지시하는 트리거 프레임은 해당 AP MLD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STA(들)은 AP MLD(예를 들어, AP1, AP2)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BA 프레임의 수신을 위해 디코딩해야 하는 자원(예를 들어, 부채널(sub-channel))을 확인할 수 있다.
직접 통신 절차에서 STA(들)에 의한 BA 프레임의 전송 동작은 AP MLD로부터 전송되는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트리거링될 수 있다. 다중 링크 동작을 지원하는 STA(들)은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SIFS(short interframe space) 후에 트리거 프레임의 전송 없이 BA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과 BA 프레임은 동일한 부채널에서 송수신될 수 있다.
제1 프레임-제2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에 의해 설정된 TXOP(예를 들어, 제1 통신 구간)내에서 일부 구간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직접 통신 TXOP 또는 제2 통신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직접 통신 TXOP인 제2 통신 구간은 AP MLD가 전송하는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SBSRP를 위한 트리거 프레임(이하, "SBSRP 트리거 프레임"이라 함)의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은 "SIFS + BSR의 송수신 시간 + SIFS + 트리거 프레임의 송수신 시간 + SIFS + STA들 간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시간 + SIFS + 트리거 프레임의 송수신 시간 + BA 프레임의 송수신 시간"을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직접 통신 TXOP는 제1 프레임-제2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에 의해 설정된 TXOP 이전에 종료될 수 있다. AP MLD는 직접 통신 TXOP의 종료 시점부터 제1 프레임-제2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에 의해 설정된 TXOP의 종료 시점까지의 구간에서 다른 통신 노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XOP를 조기에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AP MLD는 0으로 설정된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하는 QoS(quality of service) 널(null) 프레임 또는 CF(contention free)-END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QoS 널 프레임 또는 CF-END 프레임이 전송되는 경우, 제1 프레임-제2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에 의해 설정된 TXOP는 조기에 종료될 수 있다.
도 6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TR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STA들 간에 직접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OFDMA 방식으로 부채널(들)에서 전송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다른 부채널(들)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STA들 간에 직접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STA들 간의 직접 통신은 AP의 경유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3은 AP의 경유 없이 데이터 프레임을 직접 STA4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STA3이 전송하는 프레임의 TA 주소는 STA3의 MAC 주소로 설정될 수 있고, STA3이 전송하는 프레임의 RA 주소는 STA4의 MAC 주소로 설정될 수 있다.
AP1은 직접 통신을 시작하기 위해 링크에서 채널 접근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접근 절차가 완료된 경우, AP1은 링크에서 제1 프레임을 STA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은 RTS 프레임이거나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프레임은 직접 통신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STA(예를 들어, STA1)는 AP1로부터 제1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직접 통신 지시자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이 개시(또는, 요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에 의해서 설정된 TXOP 내에 일부 시간 구간은 STA들 간의 직접 통신이 수행되는 구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STA는 AP1에 의해 개시되는 직접 통신의 허용 여부(즉, AP1이 STA를 위해 설정한 TXOP 중 일부 시간 구간을 직접 통신에 사용되는 것에 대한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직접 통신이 허용되는 경우, STA는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제2 프레임을 AP1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CTS 프레임이거나 ACK 프레임일 수 있다. AP1은 STA로부터 제2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이 AP1이 요청한 TXOP(예를 들어, RTS 프레임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에 상응하면, AP1은 STA이 직접 통신을 허용(예를 들어, 승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 또는 RTS 프레임)-제2 프레임(예를 들어, ACK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에서 전체 통신을 위해 필요한 TXOP인 제1 통신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프레임(예를 들어, RTS 프레임)의 MAC 헤더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은 TXOP를 지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상술한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예를 들어, CTS 프레임)이 송수신되는 경우에 해당 TXOP가 설정될 수 있다. TXOP는 해당 TXOP를 설정한 TXOP 소유자(holder)가 다수의 프레임 전송을 위해 필요한 최대 TXOP 내에서 SIFS 간격으로 다수의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과 응답(예를 들어, ACK 또는 BA)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AP1과 STA는 데이터-ACK의 송수신 절차 또는 RTS-CTS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TXOP를 설정할 수 있다.
AP1은 제2 프레임(예를 들어, ACK 프레임, BA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SIFS 후에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전송 시점 및/또는 전송 자원(예를 들어, 시간 자원 및/또는 주파수 자원)을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하나 이상의 STA들에 알려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해당 트리거 프레임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후에 해당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지시되는 STA들이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여 프레임 전송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직접 통신 TXOP)인 제2 통신 구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직접 통신 TXOP는 제1 프레임(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 또는 RTS 프레임)-제2 프레임(예를 들어, ACK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에 의해 설정된 TXOP(예를 들어, 제1 통신 구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 대신에 "복수의 STA들을 지정하는 MU(multi user) RTS 프레임" 또는 "변형된 MU RTS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MU RTS 프레임이 사용되는 경우, MU RTS 프레임을 수신한 STA(들)은 MU RTS 프레임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SIFS 후에 CTS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CTS 프레임의 전송 후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CTS 프레임은 여러 단말들이 동일한 프레임 포맷으로 동시에 전송하는 동시전송 CTS(Simultaneous CTS)일 수 있다. AP1은 STAx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예를 들어,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1, 2, 3, 4, 또는 5일 수 있다. STA(들)은 AP1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트리거 프레임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STA(들)은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예를 들어, 시간 및/또는 주파수 자원)에서 데이터 프레임(예를 들어, 직접 통신을 위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직접 통신 절차에서 STA들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프레임은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STA이 전송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의 RA 주소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한 AP1의 주소로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할당되는 시간 자원(예를 들어, 직접 통신 TXOP)인 제2 통신 구간은 제1 프레임(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 또는 RTS 프레임)-제2 프레임(예를 들어, ACK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의 송수신 절차에 의해 설정된 TXOP 인 제1 통신 구간 이내일 수 있다. AP MLD가 OFDMA 방식으로 부채널(들)에서 송신 중에 다른 부채널(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OFDMA STR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AP MLD는 송신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수신 동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 프레임의 전송 이후에 송신 자원은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AP1은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AP1은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종료 시점으로부터 SIFS 후에 수신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즉, 직접 통신 데이터는 AP1에 의해 재전송될 수 있다. STA3 및 STA4는 OFDMA 방식으로 부채널(들)에서 송신 중에 다른 부채널(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OFDMA STR 동작을 지원하지 못하므로, STA3으로부터 전송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은 송신 동작을 수행하는 STA4에서 수신되지 못할 수 있고, STA4로부터 전송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은 송신 동작을 수행하는 STA3에서 수신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P1은 STA3으로부터 수신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STA4-1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은 "R(STA3 → STA4)"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AP1은 STA4로부터 수신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은 "R(STA4 → STA3)"로 지칭될 수 있다.
R(STA3 → STA4)은 STA3으로부터 전송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이 STA4에서 수신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R(STA4 → STA3)은 STA4로부터 전송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이 STA3에서 수신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R(STA3 → STA4)" 또는 "R(STA4 → STA3)" 이후에 TF(trigger frame)는 BA 프레임의 전송 자원 할당을 위한 트리거 프레임일 수 있다. TF는 MU-RTS 프레임일 수도 있다. "R(STA3 → STA4)" 또는 "R(STA4 → STA3)"는 AP1이 수신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기 위해 반복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예를 들어, 수신된 프레임과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과 BA 프레임의 전송 자원 할당을 위한 TF를 함께 포함하는 A(aggregate)-MPDU(MAC protocol data unit)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즉, A-MPDU는 반복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과 TF를 포함할 수 있다.
DL2 구간에서 AP1은 수신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또한, DL2 구간에서, AP1은 UL1 구간에서 다른 STA(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BA 프레임(또는, ACK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UL1 구간에서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한 STA3 및 STA4는 DL2 구간에서 AP1으로부터 직접 통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STA3 및 STA4(예를 들어, TF에 의해 지정된 STA)는 TF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여 BA 프레임(또는, ACK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OFDMA 방식으로 부채널(들)에서 송신 중에 다른 부채널(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OFDMA STR 동작을 지원하지 못하는 STA3 및 STA4는 UL2 구간에서 BA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DL3 구간에서, AP1은 UL2 구간에서 STA3으로부터 수신된 BA 프레임을 STA4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은 "R(STA3 → STA4)"로 지칭될 수 있다. DL3 구간에서, AP1은 UL2 구간에서 STA4로부터 수신된 BA 프레임을 STA3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동작은 "R(STA4 → STA3)"로 지칭될 수 있다. DL3 구간에서 R(STA3 → STA4)은 STA3으로부터 전송된 BA 프레임이 STA4에서 수신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DL3 구간에서 R(STA4 → STA3)은 STA4로부터 전송된 BA 프레임이 STA3에서 수신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통신 노드들(예를 들어, STA들) 간의 직접 통신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채널 접근 절차를 수행할 수 있고, 채널 접근 절차가 완료된 경우에 제1 프레임(예를 들어, RTS 프레임 또는 데이터 프레임)을 제2 통신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에 포함된 듀레이션 필드의 값은 제1 통신 구간(예를 들어, 제1 TXOP의 길이)을 지시할 수 있다.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로부터 제1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프레임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SIFS 후에 제2 프레임(예를 들어, CTS 프레임 또는 BA 프레임)을 제1 통신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일 수 있다. 제2 통신 노드는 제1 프레임에 의해 지시되는 제1 통신 구간(예를 들어, TXOP)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는 제2 프레임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다른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구간 + SIFS" 또는 "SIFS") 후에 제1 통신 구간(예를 들어, TXOP)내에서 제2 통신 구간(예를 들어, 제2 TXOP의 길이)를 지시하는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예를 들어, 트리거 프레임, MU RTS 프레임, 또는 변형된 MU RTS 프레임)을 제3 통신 노드(또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에 전송할 수 있다. 제3 통신 노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제2 통신 구간(예를 들어, TXOP)내에서 통신(예를 들어,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통신 구간(예를 들어, TXOP)은 직접 통신 TXOP일 수 있다.
제2 TXOP는 제1 통신 구간(예를 들어, TXOP)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제2 통신 구간(예를 들어, TXOP)의 길이는 제1 통신 구간(예를 들어, TXOP)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3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로부터 제3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제3 프레임에 의해 지시되는 제2 통신 구간(예를 들어, TXOP)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통신 노드는 제3 프레임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CTS 프레임의 송수신 구간 + SIFS" 또는 "SIFS") 후에 제4 프레임(예를 들어,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제4 통신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제4 통신 노드는 제3 통신 노드로부터 제4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제4 프레임에 대한 BA 프레임(또는, ACK 프레임)을 제3 통신 노드에 전송할 수 있다. 제4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은 제2 통신 구간(예를 들어, TXOP)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5 통신 노드는 제4 프레임의 종료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제4 프레임에 대한 BA 프레임의 송수신 구간 + SIFS" 또는 "SIFS") 후에 제5 프레임(예를 들어,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제5 통신 노드는 제5 프레임의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구간(예를 들어, SIFS) 후에 제5 프레임에 대한 BA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OFDMA 방식으로 부채널(들)에서 송신 중에 다른 부채널(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OFDMA STR 동작을 지원하지 않는 STA들 간에 직접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AP1은 다른 통신 노드(예를 들어, STAx)와 협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직접 통신 구간(예를 들어, 직접 통신 TXOP)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x는 1, 2, 3, 4, 또는 5일 수 있다. AP1은 STA(들)의 버퍼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OFDMA 방식으로 부채널(들)에서 송신 중에 다른 부채널(들)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OFDMA STR 동작을 지원하는 STA(들)을 포함하는 타입1 그룹과 OFDMA 방식으로 부채널(들)에서 송신 중에 다른 부채널(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는 OFDMA STR 동작을 지원하지 못하는 STA(들)을 포함하는 타입2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AP1은 타입1 그룹 및 타입2 그룹 각각을 위한 통신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AP1은 직접 통신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직접 통신 지시자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예를 들어, 데이터 프레임 또는 RTS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STA1은 AP1로부터 제1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직접 통신 지시자에 기초하여 직접 통신이 개시(또는, 요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TA1은 AP1에 의해 개시되는 직접 통신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직접 통신이 허용되는 경우, STA1은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제2 프레임(예를 들어, ACK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을 AP1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직접 통신 구간을 허용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이 STA1로부터 수신된 경우, AP1은 전체 TXOP 직접 통신이 개시(예를 들어, 허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P1은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STA" 및/또는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STA이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와 전송하려는 대상"을 알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AP1은 STA의 BSR 전송을 요청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BSR 전송을 요청하는 트리거 프레임은 SBSRP 트리거 프레임일 수 있다. SBSRP 트리거 프레임은 UORA(uplink OFDMA random access) 트리거 프레임일 수 있다.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STA(들)은 부채널(예를 들어, 서브채널 또는 서브캐리어)를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부채널을 사용하여 BSR을 전송할 수 있다.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모든 STA들이 호출될 수 있고, 모든 STA들은 BSR을 전송할 수 있다. BSR은 전송하려는 데이터의 크기 정보와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TA2는 AP1로 전송될 데이터를 가질 수 있고, STA3은 STA4로 전송될 데이터를 가질 수 있고, STA4는 STA3으로 전송될 데이터를 가질 수 있고, STA5는 AP1로 전송될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한 AP1의 주소가 RA(receiver address)로 설정되지 않은 데이터 프레임은 직접 통신 데이터 프레임일 수 있다. "STA3 → STA4"의 전송 동작과 "STA4 → STA3"의 전송 동작이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수행되는 경우, STA3은 STA4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고, STA4는 STA3으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AP1이 BSR 요청을 하지 않아서 STA들이 직접 통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의 수신자를 알지 못할 경우, AP1은 STA들 간에 직접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STR을 지원하지 않는 STA들이 동일 시간 구간에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호간 송신한 데이터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3과 STA4가 STR을 지원하지 않는 STA들이고,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제1 주파수를 사용하여 STA3이 STA4로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 AP1은 제2 주파수를 사용하여 STA4가 STA3으로 데이터를 송신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P1은 다른 시간 구간에서 수신된 데이터들을 STA들 대신에 반복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TA1이 STA2로 전송한 데이터는 제1 시간 구간에서 AP1에 의해 반복 전송될 수 있고, STA2가 STA1로 전송한 데이터는 제2 시간 구간에서 AP1에 의해 반복 전송될 수 있다. STA들은 전송 구간과 다른 시간 구간에 반복 전송된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L1 구간에서 "STA3 → STA4"로의 데이터는 제1 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부채널 또는 링크)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고, 동일 시간 구간에서 "STA4 → STA3"으로의 데이터는 제2 주파수 자원(예를 들어, 부채널 또는 링크)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STA3과 STA4가 STR을 지원하지 않으면, AP1은 SIFS 시간 후에 수신한 데이터를 반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반복된 데이터는 STA가 전송할 때 사용한 주파수 자원과 동일한 자원(예를 들어, 부채널 또는 링크)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STA3 → STA4"의 전송 동작과 "STA4 → STA3"의 전송 동작은 서로 다른 시간 구간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1 구간에서 "STA2 → AP1"의 전송 동작과 "STA3 → STA4"의 전송 동작이 수행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고, UL2 구간에서 "STA5 → AP1"의 전송 동작과 "STA4 → STA3"의 전송 동작이 수행되도록 스케줄링될 수 있다. UL1 구간에서 전송 동작이 완료된 경우, AP1은 BA 프레임의 송수신을 위한 BA1 구간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UL2 구간에서 전송 동작이 완료된 경우, AP1은 BA 프레임의 송수신을 위한 BA2 구간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간에서 전송할 데이터 프레임 및/또는 BA 프레임이 존재하는 경우, AP1은 데이터 프레임 및/또는 BA 프레임의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STA(들)은 AP1로부터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트리거 프레임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에서 AP1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및/또는 BA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AP1은 자신이 전송하는 BA 프레임임에도 불구하고 트리거 프레임에 할당 정보를 넣음으로써 다른 단말이 BA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AP가 자신에게 할당하는 자원에 사용할 AP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AP 식별자는 STA에게 할당하지 않는 예약된 AID(Association ID)일 수 있다. 또는, 트리거 프레임은 어떤 STA에게도 할당되지 않는 자원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AP는 해당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예를 들어, 어떤 STA에게도 할당되지 않은 자원)을 사용하여 BA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 방법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직접 통신 절차에서 하향링크 전송 동작은 상향링크 전송 동작과 분리될 수 있다. 다중 링크가 사용 가능한 경우, 직접 통신 TXOP(예를 들어, 직접 통신 구간)을 지시하는 듀레이션 필드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예를 들어, RTS 프레임)은 다중 링크에서 전송될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예를 들어, STA MLD1)는 제1 프레임을 두 개 이상의 링크들에서 전송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링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링크에서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제2 프레임(예를 들어, CTS 프레임)을 제2 통신 노드(예를 들어, AP MLD)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이 수신된 링크는 직접 통신이 가능한 링크일 수 있다. 제1 통신 노드가 STA MLD1인 경우, 제2 통신 노드는 AP MLD일 수 있다. 또는, 제1 통신 노드가 AP MLD인 경우, 제2 통신 노드는 STA MLD1일 수 있다.
직접 통신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STA1-1은 제1 링크에서 직접 통신 지시자 및 TXOP(예를 들어, 직접 통신 TXOP)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예를 들어, RTS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고, STA1-2는 제2 링크에서 직접 통신 지시자 및 TXOP(예를 들어, 직접 통신 TXOP)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예를 들어, RTS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AP MLD(예를 들어, AP1 및 AP2)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에서 제1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프레임에 포함된 직접 통신 지시자 및 TXOP(예를 들어, 직접 통신 TXOP)를 확인할 수 있다. AP MLD는 제1 프레임에 의해 요청되는 직접 통신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직접 통신이 허용되는 경우, AP MLD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에서 제2 프레임(예를 들어, CTS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프레임은 직접 통신(예를 들어, 직접 통신 TXOP)이 허용된 것을 지시할 수 있다.
AP MLD는 직접 통신을 위해 트리거 프레임을 제1 프레임의 TA(transmitter address)에 해당하는 STA MLD1에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의 전송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 대신에 MU RTS 프레임 또는 변형된 MU RTS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MU RTS 프레임이 사용되는 경우, 직접 통신은 MU RTS 프레임에 대한 응답인 CTS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MU RTS 프레임이 사용되는 경우, 직접 통신은 CTS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 없이 수행될 수 있다.
OFDMA 방식으로 부채널(들)에서 송신 중에 다른 부채널(들)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OFDMA STR 동작을 지원하지 않은 OFDMA NSTR(non-STR) MLD는 다중 링크에서 하향링크 동작과 상향링크 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하나의 링크에서 OFDMA 다중 사용자 하향링크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다른 링크에서 OFDMA 다중 사용자 상향링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고,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통신 노드(예를 들어, NSTR MLD)는 하향링크 동작이 수행되는 하나의 링크에서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링크는 하향링크 동작이 수행되는 링크일 수 있고, 제2 링크는 상향링크 동작이 수행되는 링크일 수 있다.
STA MLD1은 AP MLD로부터 직접 통신을 위한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OFDMA 다중 사용자 하향링크 동작을 위해 제1 링크를 사용할 수 있고, OFDMA 다중 사용자 직접 통신 상향링크 동작을 위해 제2 링크를 사용할 수 있다. OFDMA 다중 사용자 직접 통신 하향링크 동작은 "STA1-1 → STAx-1"의 전송 동작일 수 있고, OFDMA 다중 사용자 직접 통신 상향링크 동작은 "STAx-2 → STA1-2"의 전송 동작일 수 있다. 여기서, x는 2, 3, 4, 또는 5일 수 있다. STA MLD1(예를 들어, STA1-1)은 OFDMA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예를 들어,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STA1-1은 주파수 다중화 방식에 기초하여 데이터 프레임들을 복수의 STA들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프레임과 함께 BA 프레임의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트리거 프레임이 전송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과 A-MPDU 형태로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프레임(예를 들어, 트리거 프레임 + 데이터 프레임)은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트리거 프레임은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 후에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 프레임의 종료 시점과 트리거 프레임의 시작 시점 간의 간격은 xIFS 이상일 수 있다. xIFS는 SIFS, DIFS(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interframe space), PIFS(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 interframe space), 또는 AIFS(arbitration interframe space)일 수 있다. STAx-1은 STA1-1로부터 데이터 프레임 및 트리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STAx-1은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에서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BA 프레임을 STA1-1에 전송할 수 있다.
STA1-2는 OFDMA 다중 사용자 직접 통신 상향링크 동작을 위해 트리거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트리거 프레임은 OFDMA 다중 사용자 직접 통신 상향링크 동작을 수행하는 STAx-2를 지시하는 정보 및 상향링크 동작을 위한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TAx-2(예를 들어,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지시되는 STAx-2)는 트리거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STA1-2에 전송할 수 있다. STA1-2는 STAx-2로부터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고,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수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멀티-STA BA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OFDMA 다중 사용자 직접 통신 하향링크 동작의 종료 시점과 OFDMA 다중 사용자 직접 통신 상향링크 동작의 종료 시점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OFDMA 다중 사용자 직접 통신 하향링크 동작의 종료 시점과 OFDMA 다중 사용자 직접 통신 상향링크 동작의 종료 시점을 동일하게 맞추기 위해, 패딩이 사용될 수 있다. 직접 통신에 참여하는 STA(들)은 상향링크 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하향링크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상향링크 동작은 피드백(feedback) 정보(예를 들어, 짧은 패킷)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은 TCP에서 동작에 적합할 수 있다. TCP에서, 하나의 전송 방향으로 많은 패킷(예를 들어, 데이터)이 전송될 수 있고, 다른 전송 방향으로 적은 패킷(예를 들어, ACK)이 전송될 수 있다.
STA MLD1이 아닌 다른 통신 노드에서 전송할 패킷(예를 들어, 데이터)이 많은 경우, 다른 통신 노드는 상술한 STA MLD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통신 노드는 직접 통신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상술한 OFDMA 다중 사용자 전송 방식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하향링크 동작과 상향링크 동작은 두 개의 통신 노드들에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STA MLD1과 STA MLD2 간에 직접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제1 링크는 "STA MLD1의 STA1-1 → STA MLD2의 STA2-1"의 전송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제2 링크는 "STA MLD2의 STA2-2 → STA MLD1의 STA1-2"의 전송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대일 직접 통신 절차에서 데이터 프레임은 트리거 프레임의 전송 없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통신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구간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을 제1 스테이션(station)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인 제2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통신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통신 구간 내에서 제2 통신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구간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수신자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제3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직접 통신 프레임인 제4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스테이션이 상기 제4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2 통신 구간 내에서 상기 수신 응답 프레임의 전송 완료 후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자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제4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직접 통신 프레임인 제5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5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접 통신 구간은 상기 제1 통신 구간 내에서 상기 제3 프레임에 포함된 듀레이션(duration)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제2 통신 구간으로 설정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트리거(trigger) 프레임 또는 MU(multi-user) RTS 프레임인,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자원 할당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프레임은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에서 송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구간 동안에 상기 제2 스테이션과 상기 제3 스테이션 간의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은 채널 접근 절차의 수행 없이 SIFS(short interframe space) 간격으로 수행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7.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제1 통신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1 통신 구간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을 제1 스테이션(station)에 전송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한 응답 프레임인 제2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제1 통신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을 수신한 후, 상기 제1 통신 구간 내에서 제2 통신 구간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제2 통신 구간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프레임을 제2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수신자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제3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직접 통신 프레임인 제4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제3 스테이션이 상기 제4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도록 실행되는, 액세스 포인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상기 제2 통신 구간 내에서 상기 수신 응답 프레임의 전송 완료 후 일정 시간 후에 상기 제2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제3 프레임에 의해 할당된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자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아닌 제4 스테이션에 전송하는 직접 통신 프레임인 제5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제5 프레임에 대한 수신 응답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확인하도록 더 실행되는, 액세스 포인트.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직접 통신 구간은 상기 제1 통신 구간 내에서 상기 제3 프레임에 포함된 듀레이션(duration)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제2 통신 구간으로 설정되는, 액세스 포인트.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트리거(trigger) 프레임 또는 MU(multi-user) RTS 프레임인, 액세스 포인트.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자원 할당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프레임은 상기 자원 할당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에서 송수신되는, 액세스 포인트.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구간 동안에 상기 제2 스테이션과 상기 제3 스테이션 간의 프레임의 송수신 동작은 채널 접근 절차의 수행 없이 SIFS(short interframe space) 간격으로 수행되는, 액세스 포인트.
KR1020210047742A 2020-04-14 2021-04-13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1276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45329 2020-04-14
KR1020200045329 2020-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633A true KR20210127633A (ko) 2021-10-22

Family

ID=7808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742A KR20210127633A (ko) 2020-04-14 2021-04-13 무선랜 시스템에서 직접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35332A1 (ko)
KR (1) KR20210127633A (ko)
CN (1) CN115702597A (ko)
WO (1) WO20212108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370A1 (ko) * 2021-12-14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외부 장치들과의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896A1 (ko) * 2021-06-22 2022-12-29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공유 txop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
WO2023216113A1 (en) * 2022-05-10 2023-11-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ccess point,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8603A1 (en) * 2007-11-28 2009-05-28 Qualcomm Incorporated Protection for direct link setup (dls)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JP2011223135A (ja) * 2010-04-06 2011-11-04 Sony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EP2641429B1 (en) * 2010-11-16 2015-01-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irect link operation
CN104919723B (zh) * 2012-12-12 2018-03-27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接收与关联标识符相关的信息的方法及其装置
US20180184451A1 (en) * 2016-12-28 2018-06-28 Intel Corporation Contention based spatial shar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370A1 (ko) * 2021-12-14 2023-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외부 장치들과의 무선랜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0896A1 (ko) 2021-10-21
CN115702597A (zh) 2023-02-14
US20230135332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4869A (ko) 멀티 링크 무선랜에서의 다중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80135950A (ko) 랜덤 액세스 기반의 상향 다중 사용자 전송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180040505A (ko) 무선랜에서 초기 협상 방법 및 장치
KR20210007881A (ko) 무선랜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전송을 위한 링크 설정 방법 및 장치
EP41140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parameters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link
US202301353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lan system
CN112217759B (zh) 发送关于缓冲状态信息的无线通信方法和无线通信终端
US202300409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 in wireless lan that supports multi-links
US20220338251A1 (en) Method for sharing multilink in next-generation wireless lan
US202301648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rect communication in wireless lan
KR20210053798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블록 ack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3224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lock ack in multiple link of wireless lan communication system
US202301567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US2023011428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nel conn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KR20200093470A (ko) 분산된 무선랜에서의 다중 사용자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10135159A (ko)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을 지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41141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CN116326154A (zh) 支持多个链路的通信系统中的非str操作的方法和装置
EP42587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KR20230116722A (ko) Emlsr 동작을 지원하는 무선랜에서 저지연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49431A (ko) 다중 링크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43764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str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links
KR20230043759A (ko) 통신 시스템에 신속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26269A (ko) 무선랜에서 양방향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8044279A (zh) 用于在支持多链路的通信系统中发送用于nstr操作的同步信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