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002A -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002A
KR20220159002A KR1020210066741A KR20210066741A KR20220159002A KR 20220159002 A KR20220159002 A KR 20220159002A KR 1020210066741 A KR1020210066741 A KR 1020210066741A KR 20210066741 A KR20210066741 A KR 20210066741A KR 20220159002 A KR20220159002 A KR 2022015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fabric
impregnated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662B1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Priority to KR102021006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66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2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ultrasonic or sonic; Corona discharge
    • D06M10/025Corona discharge or low temperature plasma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10Repellency against liquids
    • D06M2200/12Hydrophob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1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ob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방수층과의 연속성이 유지되고 탈리가 방지되며, 작업성을 높이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그 방수층 및 방법은 피착재 상에 배치된 방수직물층 및 방수직물층 상에 배치된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고, 방수직물층은 함침직물에 함침방수층이 함침된 층이고 함침직물은 섬유의 일부가 절단된 절단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이루고 표면층은 지지층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Waterproof layer having urethane using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abric}
본 발명은 방수층 및 함침직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레탄을 포함하면서 부직포와 같은 함침직물을 활용하는 방수층 및 그 방수층에 적합한 함침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피착재의 방수는 우레탄 방수나 탄성도막 방수 등과 같은 도막 방수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도막 방수방법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여 방수성능을 유지하려고 있지만, 실제는 피착재의 거동에 따른 도막방수층의 파단이나 절단이 자주 발생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종래의 도막 방수방법은 통기성의 확보가 어려워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 또는 실내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증발되지 못하며, 도막방수층의 하부에 잔류한다. 상기 잔류하는 수분에 의해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부식이 진행되면, 부식된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와 도막방수층이 함께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도막 방수방법은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에 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 중합된 폴리우레탄에 여러 무기충전제, 착색제를 혼합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방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 제2019-0056234호 등에서 부직포를 활용하여 도막방수층의 내구성 등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부직포는 재질 및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방수를 위한 방수물질을 흡수하는 능력 및 상기 방수물질과의 결합력이 부족하다. 즉, 부직포와 방수층과의 연속성이 끊어지고, 상기 방수층이 부직포로부터 탈리가 일어나기도 한다. 연속성이 끊어지고 탈리가 일어난 공간에는 수분이 수용되어 도막방수층의 박리를 야기되는 주요원인이 된다. 또한, 부직포는 자체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서, 작업성이 떨어지므로, 부직포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수층과의 연속성이 유지되고 탈리가 방지되며, 작업성을 높이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은 피착재 상에 배치된 방수직물층 및 상기 방수직물층 상에 배치된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방수직물층은 함침직물에 함침방수층이 함침된 층이고, 상기 함침직물은 섬유의 일부가 절단된 절단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이루고, 상기 표면층은 지지층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방수층에 있어서, 상기 함침직물은 부직포 또는 펠트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함침방수층은 상기 절단부가 제공하는 통로를 통하여, 프라이머층 및 방수접착층과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지지층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지지층의 섬유를 접합시켜, 상기 절단부의 형상을 고정시키는 경화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직물층 사이에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보강층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보강층은 상기 함침방수층과 동일한 재질을 가진 접합층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의 함침직물의 제조방법은 먼저, 함침직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섬유 중의 일부를 절단한 절단부가 존재하는 표면층을 형성한다. 그후, 상기 절단부를 기립시킨다. 상기 표면층에 경화물질을 분무한다. 상기 경화물질을 경화시켜 절단부를 고정시킨다. 상기 함침직물에 방수물질을 함침하여, 함침방수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에 의하면, 부직포와 같은 함침직물 표면 일부의 섬유가 절단된 절단부를 활용함으로써, 방수층과의 연속성이 유지되고 탈리가 방지되며 작업성을 높인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방수직물층의 변형예인 제2 방수직물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방수직물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한편,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직포와 같은 함침직물 표면 일부의 섬유가 절단된 절단부를 활용함으로써, 방수층과의 연속성이 유지되고 탈리가 방지되며 작업성을 높이는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부직포 표면에서 절단된 섬유가 처리된 방수층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절단된 섬유가 처리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폴리우레탄 도막방수방법을 사례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아크릴 방식의 도막방수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폴리우레탄은 방수특성이 우수하여 방수층에 널리 채택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수층(100)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방수층(100)은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피착재(CT)에 부착된다. 피착재(CT)는 건물의 옥상, 지하 주차장의 바닥 등으로 방수가 필요한 곳이다. 방수층(100)은 프라이머층(10), 제1 방수직물층(20), 방수접착층(30) 및 우레탄 방수층(40)을 포함한다. 우레탄 방수층(40)은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에 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 중합된 폴리우레탄에 여러 무기충전제, 착색제를 혼합한 도막 방수방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수층(100)의 층구조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모르타르와 같은 물질에 의하여 방수층(100) 표면에서의 거칠기를 확보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10)은 피착재(CT)에 제1 방수직물층(20)의 부착이 잘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것으로, 프라이머 수지 및 첨가제로 구성된다. 프라이머층(10)은 이미 알려진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100중량%에 대하여, 초산비닐(EVA), 아크릴 에멀젼, 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우레아,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안료가 포함된 아크릴 에멀젼 등을 적절하게 혼합한 수지일 수 있다. 이때, 프라이머층(10)은 각각의 조성물의 함량을 변화시켜 점도를 달리하여, 점도가 다른 층을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이외에도, 부틸아크릴레이트, 프탈산 에스테르 에멀젼, 에폭시 에멀젼, 페놀 에멀젼 및 폴리옥시에틸렌 옥티페닐 에테르 에멀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부가할 수 있다.
한편, 방수접착층(30)은 우레탄 방수층(40)과 제1 방수직물층(20)과의 접착력을 보강한다. 다시 말해, 우레탄 방수층(40)을 제1 방수직물층(20)에 직접 접착하면, 접착력이 약하여 쉽게 떨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우레탄 방수층(40)의 친수성 성분이 소수성인 제1 방수직물층(20)에 제대로 접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방수직물층(20) 및 우레탄 방수층(40) 사이에 방수접착층(30)을 구비할 수 있다. 방수접착층(30)은 프라이머층(10)과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방수접착층(30)은 굳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EVA, 아크릴 수지, 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우레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부틸아크릴레이트 수지, 프탈산 에스테르 에멀젼, 에폭시 에멀젼 또는 페놀 에멀젼 및 폴리옥시에틸렌 옥티페닐에테르 에멀젼 등과 같은 물질이 조합될 수 있다.
우레탄 방수층(40)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은 알코올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사이의 첨가반응을 통해 우레탄기가 반복적으로 만들어지면서 생성된다. 폴리우레탄은 다이올 또는 폴리올과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또는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반응시켜 합성하기 때문에 열경화성인 경우가 많으며, 다이올과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어진 경우에는 열가소성일 수도 있다. 분자량이 크고 분자 당 알코올의 개수가 적은 폴리올을 사용하면 생성되는 폴리우레탄에서 유동성이 큰 연질부를 형성하고, 구조가 견고한 고리형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는 생성되는 폴리우레탄에서 자기들끼리의 수소 결합으로 인해 단단한 부분을 차지하는 경질부를 형성한다.
우레탄 방수층(40)은 폴리우레탄에 소수성 물질이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물질은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등과 같이 극성이 없어서 물분자와 친화성이 없는 관능기를 갖는 물질과 같이 물을 투과하지 않는 재질 중에 선택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표현되지 않았지만, 우레탄 방수층(40) 상에는 방수층(40)의 방수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코트층이 적층될 수 있다.
제1 방수직물층(20)은 본 발명의 함침직물(21)에 함침방수층(22)이 함침된 층이다. 함침직물(21)의 하나의 사례는 함침방수층(22)의 함침 또는 침투가 용이하게 하는 메시(mesh) 구조인 부직포일 수 있다. 함침직물(21)의 다른 사례는 섬유의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배열하고 접착제 등으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일 수 있다. 즉, 함침직물(21)은 부직포, 펠트 등이다. 상기 펠트(felt)는 천, 털에 수증기, 열, 압력 등을 가하면 축융(felting)에 의해 섬유(filament)가 서로 엉키고 줄어드는데 이를 이용하여 천과 같이 만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동물의 털, 특히 양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펠트는 일측이 적층 부직포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직조공정을 거치지 않고, 섬유를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배열된 직물들을 접착 또는 융착으로 적층하여 만든 것이다. 상기 펠트 및 적층 부직포를 조합하면, 보다 정밀한 가공부하의 흡수를 구현할 수 있다.
함침직물(21)의 재질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터 등과 같은 합성수지가 주로 사용되며, 본 발명의 함침직물(21)은 함침방수층(22)과 결합력이 강한 재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함침방수층(22)은 특히 방수성이 우수한 아크릴, 초산비닐(EVA), 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우레아, 에폭시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이 적절하게 혼합한 수지일 수 있다.
함침직물(21)은 지지층(21a), 표면층(21b) 및 경화분말(21c)을 포함한다. 지지층(21a)은 표면층(21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절단부(23)가 존재하지 않는다. 표면층(21b)은 상기 섬유의 일부가 절단된 절단부(23)를 이룬다. 절단부(23)는 지지층(21a)을 기준으로 외부로 돌출된다. 표면층(21b)에서 섬유의 일부가 절단되면, 함침방수층(22)과 프라이머층(10) 및 함침방수층(22)과 방수접착층(30)과의 연속성을 높인다. 왜냐하면, 함침방수층(22)은 프라이머층(10) 및 방수접착층(30)의 연속성에 방해가 되는 섬유의 일부가 절단되어, 절단부(23)가 제공하는 통로를 통하여 함침방수층(22)이 프라이머층(10) 및 방수접착층(30)과 접착된다. 함침방수층(22)과 프라이머층(10) 및 함침방수층(22)과 방수접착층(30)과의 연속성이 유지되면, 제1 방수직물층(20)의 탈리가 방지된다.
표면층(21b)은 방수층(1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절단부(23)가 제공하는 통로를 막힐 수 있다. 경화분말(21c)은 표면층(21b)에 분말 형태로 부착되어, 상기 통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경화분말(21c)은 절단부(23)와 지지층(21a)의 섬유를 접합시켜서, 절단부(23)의 형상을 고정한다. 절단부(23)의 형상이 고정되면, 프라이머층(10) 및 방수접착층(30)과 접착되는 함침방수층(22)의 연속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절단부(23)는 지지층(21a)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면, 절단부(23)는 앵커 효과를 부여하여 함침방수층(22)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지층(21a)에서와 같이 섬유의 일부가 절단되면, 함침직물(21)의 탄성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작업성을 높인다.
경화분말(21c)는 소정의 점착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분말(21c)의 점착력을 가지면, 절단부(23)를 포함한 표면층(21b)과 방수접착층(30)과의 결합력을 높인다. 경화분말(21c)은 열경화성 점착층 또는 자외선 경화성 점착층일 수 있다. 열경화성 점착층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아크릴 수지, 수산기를 가지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1,000,000인 아크릴계 수지,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수산기 함유 아크릴 수지와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한 분자 안에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과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등이 있다.
자외선 경화성 점착층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 등에 여러 가지의 아크릴 단위체와 자외선 경화 촉매를 배합해서 만든다. 자외선에 의한 경화물질의 구체적인 사례로써, 자외선 반응성 코팅물질로서 우레탄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개시제 및 레벨링제를 혼합한다.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지방족, 환상의 지방족, 방향족 화합물 또는 이들 화합물의 올리고머를 함유하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분자구조상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식을 갖는다. 반응성 모노머로는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아크를레이트, 펜타에리스티롤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아릿티롤 헥사아크릴레이트를 경도 및 부착력을 고려하여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조절한다. 광개시제는 자외선에 의해 활성을 띠는 통상의 중합개시제를 사용하며, 특히 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페놀, 페닐-2-히드록시-2-페닐케톤을 주로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방수직물층(20)의 변형예인 제2 방수직물층(50)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때, 제2 방수직물층(50)은 제1 방수직물층(20)의 내부에 다공성 보강층(60)을 삽입한 것으로, 제1 방수직물층(2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공성 보강층(60)은 격자 형태로써 복수개의 관통홀(v)이 존재한다. 다공성 보강층(60)은 우레탄 폼(foam)과 같이 유연성을 가지는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다공성 보강층(60)은 다공성 본체(61) 및 본체(61)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62)을 포함한다. 제1 방수직물층(20)과 다공성 보강층(60)은 제1 방수직물층(20)에서의 함침방수층(22)과 동일한 재질과 역할을 하는 접합층(63)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접합층(63)은 다수의 기공(62)의 침투하여 제1 방수직물층(20)과의 결합력을 높인다. 제2 방수직물층(50)은 복수의 제1 방수직물층(20)을 적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수층(100)의 방수효과를 보다 향상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방수직물층(20)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때, 제1 방수직물층(2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에 의하면, 제1 방수직물층(20)은 먼저, 필요한 경우 함침직물(21)의 표면을 처리한다(S10). 상기 표면처리는 예를 들어,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 또는 이들의 연속처리를 통하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의 경우, 대기압 플라즈마, 감압 플라즈마, 코로나 플라즈마 등의 플라즈마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코로나 처리의 경우, 코로나 방전기술을 이용하여 처리대상이 되는 함침직물(21)의 표면의 접착력을 증가시킨다. 그후, 함침직물(21)을 적절한 크기로 재단한다(S11). 함침직물(21) 표면에 존재하는 섬유 중의 일부를 절단하여, 절단부(23)가 존재하는 표면층(21b)을 마련한다(S12). 절단부(23)는 펀칭, 칼날, 레이저 등과 같이 공지의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절단부(23)를 기립시킨다(S13). 절단부(23)의 기립은 다양한 방식, 정전기력, 점착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기력, 점착제 등에 의한 절단부(23)를 기립시키는 과정은 공지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점착제에 의한 기립은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필름을 표면층(21b)에 접촉시킨 후, 상기 필름을 떼어내면 절단부(23)는 기립한다. 그후, 절단부(23)를 기립된 함침직물(21)의 표면에 경화물질을 분무시킨다(S14). 상기 경화물질의 분무는 가압분무, 정정분무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화물질은 열 또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되는 물질일 수 있다.
함침직물(21)의 표면에 상기 경화물질이 분무되면, 열 또는 자외선으로 상기 경화물질을 경화시켜 경화분말(21c)을 형성하여 절단부(23)를 고정한다(S15). 절단부(23)의 형상이 고정되면, 프라이머층(10) 및 방수접착층(30)과 접착되는 함침방수층(22)의 연속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절단부(23)가 지지층(21a)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면, 절단부(23)는 앵커 효과를 부여하여 함침방수층(22)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함침직물(21)에 방수물질을 함침하여 함침방수층(22)을 형성한다(S16). 함침방수층(22)이 형성되면, 제1 방수직물층(20)이 완성된다.
제2 방수직물층(50)은 다수개의 제1 방수직물층(20)가 존재하고, 제1 방수직물층(20) 사이에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보강층(50)을 삽입하여 압착하여 제조한다.이때, 다공성 보강층(50)은 함침방수층(22)과 동일한 재질을 가진 접합층(63)에 의해 접합된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프라이머층
20, 50; 제1 및 제2 방수직물층
21; 함침직물 21a; 지지층
21b; 표면층 21c; 경화분말
22; 함침방수층 23; 절단부
30; 방수접착층 40; 우레탄 방수층
60; 다공성 보강층 61; 다공성 본체
62; 기공

Claims (12)

  1. 피착재 상에 배치된 방수직물층 및 상기 방수직물층 상에 배치된 우레탄 방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직물층은,
    함침직물에 함침방수층이 함침된 층이고, 상기 함침직물은 섬유의 일부가 절단된 절단부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이루고, 상기 표면층은 지지층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직물은 부직포 또는 펠트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방수층은 상기 절단부가 제공하는 통로를 통하여, 프라이머층 및 방수접착층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지지층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지지층의 섬유를 접합시켜, 상기 절단부의 형상을 고정시키는 경화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직물층 사이에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보강층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보강층은 상기 함침방수층과 동일한 재질을 가진 접합층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8. 함침직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섬유 중의 일부를 절단한 절단부가 존재하는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단부를 기립시키는 단계;
    상기 표면층에 경화물질을 분무하는 단계;
    상기 경화물질을 경화시켜 절단부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함침직물에 방수물질을 함침하여, 함침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의 함침직물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직물의 표면은 플라즈마 처리 또는 코로나 처리 또는 이들의 연속처리에 의해 개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의 함침직물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직물은 부직포 또는 펠트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의 함침직물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직물층는 다수개가 존재하고, 상기 방수직물층 사이에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는 다공성 보강층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의 함침직물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보강층은 상기 함침방수층과 동일한 재질을 가진 접합층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의 함침직물 제조방법.
KR1020210066741A 2021-05-25 2021-05-25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 KR102586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741A KR102586662B1 (ko) 2021-05-25 2021-05-25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741A KR102586662B1 (ko) 2021-05-25 2021-05-25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002A true KR20220159002A (ko) 2022-12-02
KR102586662B1 KR102586662B1 (ko) 2023-10-10

Family

ID=8441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741A KR102586662B1 (ko) 2021-05-25 2021-05-25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66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46B1 (ko) * 2010-10-29 2011-03-09 정춘수 섬유에 파일사 필라를 형성한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복합방수공법
KR101394466B1 (ko) * 2014-02-06 2014-05-13 (주) 수향방수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36550B1 (ko) * 2014-03-12 2014-09-03 (주)본텍 복합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646B1 (ko) * 2010-10-29 2011-03-09 정춘수 섬유에 파일사 필라를 형성한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복합방수공법
KR101394466B1 (ko) * 2014-02-06 2014-05-13 (주) 수향방수 메쉬망을 이용한 방수용 부직포 복합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36550B1 (ko) * 2014-03-12 2014-09-03 (주)본텍 복합방수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6662B1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8548B2 (en) Interlayer adhesive, waterproof structure and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ES2674933T3 (es) Una composición aglutinante para formar un material fibroso seco para la posterior infusión de resina
EP2612970B1 (en) Steel structur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ment body, and material for forming elastic layer for steel structure reinforcement
JP4185940B2 (ja) 床基材の製造方法及び床材の製造方法
WO2005091792A2 (en) Fiber mat having improved tensile strength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4929385B2 (ja) 床版防水工法の施工法
KR102586662B1 (ko) 함침직물을 활용한 우레탄 포함 방수층 및 그 함침직물 제조방법
KR101978686B1 (ko) 폴리하이브리드 방수 공법
EP1110712A1 (en) Reinforcing material for wood and reinforced wood
JP2015516469A (ja) 流体搬送ラインシステムの修復のためのライニングホース
JPH1171823A (ja) シート防水工法、その防水構造体及びシートの製造方法
JP6184000B2 (ja) 防水仕上げ構造及び防水仕上げ方法並びにこれらに使用する通気性シート体
JP2000220302A (ja) 構造物の補修・補強方法
JPH10114020A (ja) 積層仕上材
KR100524830B1 (ko) 구조물의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하는 집속섬유시트 접착용 조성물
JP3868060B2 (ja) 光硬化性のプリプレグシートを用いた防水の施工方法
JP3855031B2 (ja) 複合防水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1329511A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およびその補強方法
JP3398438B2 (ja) 樹脂強化複合繊維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17368A (ja) 床版防水工法の施工法及び床版防水構造
JP4753333B2 (ja) 繊維強化多孔質硬化物の製造方法
CN117799274A (zh) 镶板、用于浸渍或涂覆镶板的组合物以及制造镶板的方法
JPH05140339A (ja) 複合パネルの製造方法
JP2738994B2 (ja) コンクリートの防水構造
JP3446271B2 (ja) 複合被覆工法、複合被覆構造体及び絶縁脱気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