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058A - 감응식 액세스 처리부를 구비하는 식품 제조 시스템 및 식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감응식 액세스 처리부를 구비하는 식품 제조 시스템 및 식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058A
KR20220158058A KR1020227036998A KR20227036998A KR20220158058A KR 20220158058 A KR20220158058 A KR 20220158058A KR 1020227036998 A KR1020227036998 A KR 1020227036998A KR 20227036998 A KR20227036998 A KR 20227036998A KR 20220158058 A KR20220158058 A KR 20220158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put
processing unit
access
ge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이 미구엘 나베이로
Original Assignee
노바델타-코메르시오 이 인더스트리아 드 카페즈, 엘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델타-코메르시오 이 인더스트리아 드 카페즈, 엘디에이 filed Critical 노바델타-코메르시오 이 인더스트리아 드 카페즈, 엘디에이
Publication of KR2022015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1Warming devices or 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 A47J31/4425Supports for beverage containers when filled or while being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Tea And Coffee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 물질의 분량, 예를 들어 캡슐 내의 커피에 기초하여 식품, 예를 들어 에스프레소 커피 등과 같은 향 음료의 제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시스템은 식품의 수집을 위해 용기(10, 10')를 수납하도록 설계된 용기 수납 처리부(2), 장치의 하우징(3) 및 상기 용기 수납 처리부(2) 및 분량 도입 통로(8)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적인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처리부(4)를 포함하는 장치(1)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1)는 바로 근처에서 수행되는 비접촉식 입력 제스처 및 입력 표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세스 처리부(4)와 연관된 입력 표면에서 수행되는 터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용기 수납 처리부(2) 및 상기 분량 도입 통로(8)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적인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감응식 액세스 처리부를 구비하는 식품 제조 시스템 및 식품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특히 각각의 식용 물질을 추출하는 것에 의해 향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 음료를 특히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음료 용기의 내부로 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 시스템 및 식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음료 제조 기계에서 음료를 배출하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에스프레소 종류의 커피와 같은 향 음료의 경우, 음료 배출은 음료 용기에 얻어지는 음료의 품질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프로세스이다. 실제로, 특히 에스프레소 종류의 커피의 경우, 배출 흐름의 주된 특성이 컵 내부에서의 크림 생성 및 유지, 및 컵에 배출되는 동안 공기에 노출되는 것에 따른 온도 변화와 같은 몇 가지 측면을 결정한다.
특허 문헌 DE 2009 048233 A1은 음료 배출 수단을 포함하는 뚜껑형 처리부(lid-like disposition)를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식용 물질의 분량이 수집 공간으로 제공되는 본 발명과 같은 유형의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안은 구조적인 복잡성과 인체공학적 제약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상기 뚜껑형 처리부는 음료 배출 수단에 대한 선택적인 액세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특허 문헌 WO 2014/086915 A1은 식용 물질의 분량을 도입하기 위한 개구 및 비슷한 높이에 제공되는 음료 배출구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유사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 문헌에서는 상기 요소의 콤팩트하고 인체공학적인 처리부를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출원인의 특허 문헌 WO 2017/200409 A1은 개선된 음료 배출 처리부를 구비하는 향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시하는 한편, 장치의 유리한 형태를 또한 제시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식용 물질을 함유하는 캡슐을 삽입하기 위한 액세스 처리부의 작동이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손이 완전히 비어 있을 것을 요구하는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의 양 손을 실질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면 본 발명과 같은 유형의 장치를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면, 한 손에는 음료 용기를 쥐고 있고 다른 손에는 이동통신기기를 쥐고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 있어서 액세스 처리부가 인체공학적으로 더 잘 작동하는 것, 특히 식용 물질 분량을 도입하기 위한 통로에 대한 그리고 필요한 경우 음료 용기를 놓는 지지대에 대한 선택적인 액세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 물질의 분량, 예를 들어 캡슐 또는 포드(pod) 내의 커피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에스프레소 커피 종류의 식품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특히 장치 및 식품의 배출과 연관되어 작동하도록 상기 장치의 용기 배치 처리부 위에 놓이는 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는 적어도 장치의 작동 수단에 힘을 인가하거나 혹은 또는 압력을 가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인터페이스, 특히 각기 다른 작동 버튼들, 기계식 처리부 및 이와 유사한 것을 구비하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액세스 처리부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식품 제조 시스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특히, 상술한 목적은, 특히 인접한 주변에서 비접촉 상호작용 제스처로 그리고/또는 장치의 외부 표면, 특히 상기 액세스 처리부 및/또는 이와 관련된 다른 입력 표면과의 햅틱 상호작용 제스처로 수행되는 입력 제스처의 감지에 기초하여 용기 배치 처리부 및 이와 관련된 제품 배출구, 그리고 분량 도입 통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적어도 용기 배치 처리부에 대한 선택적인 액세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처리부를 구비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장치는 터치를 하지 않는 빈손 제스처, 터치하지 않으면서 용기를 쥐고 하는 손 제스처, 용기를 각각의 용기 배치 처리부 위에 놓는 제스처, 용기를 상기 용기 배치 처리부 상에서 옮기는 제스처, 입력 표면 위에서의 터치 제스처, 장치의 입력 표면 위에 용기를 놓는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유형을 감지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력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장치는 인접한 주변에 있는 그리고/또는 장치의 각각의 조작 수단에 놓인 각기 다른 유형의 물체, 특히 각기 다른 유형의 식용 물질의 분량 및 용기, 바람직하게는 기준점에 대한 물체의 표식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고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력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입력 수단은 장치의 인접한 주변에 있는 3차원 입력 공간 및 장치 하우징의 입력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일어나는 광학 상호작용, 적외선에 의한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전자기 상호작용, 자기 상호작용 및 바람직하게는 상호작용하는 물체의 무게보다 작거나 혹은 이와 동일한 기계적 힘 상호작용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입력 공간"이라는 표현은 장치 바로 옆에서 장치의 하우징으로부터 최대 0.5m, 바람직하게는 최대 0.3m의 거리로 외부로 확장하는 공간적 하우징으로 이해되며, 이러한 공간적 하우징은 적어도, 입력 수단에 의해 획정되거나 혹은 한정되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직교 투영면 또는 상기 입력 수단에서 볼 때 주변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입력 표면"이라는 표현은 2개의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이웃한 지점을 구비하는 외부 표면으로 이해되며, 지점 중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어 정전용량 기기와 같이 압력을 가할 필요가 없는 손가락 터치를 제공하며, 버튼식 기기 등이 없다.
장치는 각각의 인접한 주변에서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감지되고 그리고 상기 장치의 일부가 아닌 물체와 관련된 입력 데이터로 상기 음료 용기의 위치 및 상기 식용 물질의 분량의 상기 장치의 부품들에 대한 위치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리고 그 입력 데이터에 따라 음료 제조 사이클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장치는 상기 식품의 수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음료 용기를, 특히 용기 배치 처리부 위에 유지될 수 있게 작동되는 식으로 그리고 식품이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하기 위한 지지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용기 배치 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장치는 상기 용기 배치 처리부와 관련되고 상기 식품, 예를 들어 음료를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 식품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장치는 단일 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상기 장치의 적어도 대략 동일한 하우징 표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의 상부 부분의 하우징 표면에 용기 배치 처리부 및 분량 도입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장치의 상기 상부 부분이 상기 용기 배치 처리부 및 식용 물질의 분량의 상기 도입 통로만을 구비하고 장치의 외부에 대해 이 둘 다를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액세스 처리부가 구비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유형의 시스템의 작동 방법, 특히 사용자에 의한 2개 이상의 입력 제스처 또는 작동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시스템의 사용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5에 따른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은 단순화하여 도식화하여 표현되어 있다.
도 1: 본 발명과 같은 유형의 종래 기술에 따른 시스템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를 도시하는 측면도(좌측) 및 정면도
도 2: 종래 기술에 따른 장치(3)에 유체연결 식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는 용기 배치 처리부(2)에 배치되어 작동하는 음료 용기(1)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3: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액세스 처리부(4)가 닫힌 위치(I)에 있는 상태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평면도(우측)
도 4: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에 따라서 도시하는 도면들
도 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액세스 처리부(4)가 열린 위치(II)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상응하는 도면들
도 6: 액세스 처리부(4)가 닫힌 위치(I)를 향해 진행하는 상태로 도시하는 도 3에 상응하는 도면들
도 7: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다이어그램
도 8: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의 다이어그램
도 9: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장치(1)의 액세스 처리부(4)의 2개의 서로 다른 작동 순간을 도시하는 측면도들
도 10: 장치(1)의 액세스 처리부(4)의 2개의 서로 다른 작동 순간을 도 9에 따라 도시하는 측면도들
도 11: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의 다이어그램
도 12: 도 11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어서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13: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액세스 처리부(41, 42)가 닫힌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평면도(우측)
도 14: 도 13에 따른 실시예의 연속하는 2개의 작동 순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 도 13에 따른 실시예의 중간 작동 순간을 도시하는 정면도 및 평면도(우측)
도 16: 도 13에 따른 실시예의 연속하는 2개의 작동 순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다이어그램
도 18: 도 17에 따른 실시예를 이어서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도 19: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이어그램
도 20: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다이어그램
도 21: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액세스 처리부(4)가 닫힌 위치(I)에 있는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우측)
도 22: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액세스 처리부(4)가 열린 위치(II)에 있는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우측)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 유형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시스템에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1)의 측면도(도면의 좌측) 및 정면도를 도시하는데, 상기 장치(1)는 장치의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놓여서 작동되는 음료 용기들(10, 10')을 포함한다. 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시스템에서 식품 배출(BD)의 기능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1)는 제품 제조기기(5)를 구비하며, 이 경우 기기는 상기 장치의 장치 케이싱(3) 내부에 구비되고 2개의 부품들을 포함하는데, 그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은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어 제품 제조기기(5)가 예를 들어 캡슐 내부에 포함되는 음료의 전구물질이며 입구 통로(8)를 통해 도입되는 식용 물질의 분량(7)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는 유체 저장통(도시되지 않음), 및 흐름 가압기기 및 유체 가열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식용 물질과 상호작용하도록 온도가 60℃ 내지 100℃이고 압력이 1바 내지 20바인 흐름(FS)을 공급할 수 있다. 장치(1)는 각각의 음료 제조 사이클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6)을 더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수단을 알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보다 상세한 표현 또는 설명은 생략한다.
음료 흐름 배출(BD)은 상기 제품 제조기기(5)의 출구로부터 제품 배출구(21)를 포함하는 용기 배치 처리부(2)로 수행되어 음료 용기(10, 10') 내부에의 음료 배출이 용기의 기부(11)를 통해 전개된다.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의 경우, 음료 용기(10, 10')는 용기의 기부(11) 위에 배열되고 흐름 압력이 사전에 규정된 흐름압력보다 크면 음료 용기(10, 10')에의 흐름 도입만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흐름 조절 수단(13)을 구비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7은 이와 관련된 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는 이 경우에 장치(1)의 기하학적 형상과 체적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함께 획정하는 장치 하우징(3)과 액세스 처리부(4)를 포함한다.
액세스 처리부(4)는 유리하게는 용기 배치 처리부(2) 및 제품 배출구(21)에 대한 선택적인 액세스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장치(1)의 주어진 사용 위치가 주변 공기에 노출되는 결과로 인한 먼지나 기타 잔류물의 축적 가능성을 방지한다.
상기 액세스 처리부(4)는 예를 들어 기계적 작동 수단에 의해 도 3의 닫힌 위치와 도 5의 열린 위치(II) 사이에서 회전 이동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열린 위치는 용기 배치 처리부(2), 제품 배출구(21) 및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식용 물질의 분량(7)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분량 도입 통로(8)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액세스 처리부(4)는 상기 용기 배치 처리부(2) 중 하나와 적어도 대략 평행한 평면에서 활주 이동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열린 위치(II)에 인접해 있는 액세스 처리부(4)를 나타내는 도 6을 참조하라.
상기 액세스 처리부(4)가 예를 들어 제품 배출구(21)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지만 분량 도입 통로(8)에 대한 액세스는 제공하지 않는 반쯤 열린 위치에 상응하는, 닫힌 위치(I)와 열린 위치(II) 사이에서 적어도 중간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적어도 제품 배출구(21) 및 용기 배치 처리부(2)에 대한 선택적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액세스 처리부(4)는 액세스 처리부(4)가 닫힌 위치(I)에 있는 경우에 용기 배치 처리부(2) 및 제품 배출구(21)를 장치(1)의 외부에 대해 완전히 획정할 수 있다.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선택적 액세스를 제공하고 그리고 식용 물질의 분량(7)을 도입하도록 구성되고 용기 배치 처리부(2)가 배치되는 평면과 유사하거나 혹은 상이한 평면 및 레벨에 배치되는 외부에 대한 분량들의 도입 통로(8)를 획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 장치(1)의 외부에 대해, 적어도 용기(10, 10')가 제품 배출구 위에 놓이지 않는 경우에는 제품 배출구(21)를 포함하는 용기 배치 처리부(2) 및 분량들의 도입 통로(8) 중 적어도 하나를 막는 닫힌 위치(1)와,
- 용기(10, 10')를 그 위에 배치하기 위한, 특히 제품 배출구(21)에 대해 작동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용기 배치 처리부(2) 및 식용 물질의 분량(7)을 제품 제조기기(5)로 공급하기 위한 분량 도입 통로(8)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린 위치(II)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특히 장치의 하우징(3)과 결합되어 작동할 수 있다.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제품 배출구(21)를 포함하는 용기 배치 처리부(2) 및 분량 도입 통로(8)에 대해 별도로 선택적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액세스부들(41, 42)의 작동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유사 및 공통 중 적어도 하나이다.
액세스 처리부(4)는 제1 및 제2 액세스부들(41, 42)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액세스부(41)는 제품 배출구(21)를 포함하는 용기 배치 처리부(2)에 대한 액세스를 적어도 제한하고 제공하며, 제2 액세스부(42)는 도입 통로(8)에 대한 선택적 액세스를 제공한다.
제1 및 제2 액세스부들(41, 42)은 그것들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리는 것이 다른 것이 열려 작동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에만 이루어지도록, 예를 들어 용기(10, 10')가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놓여 작동 가능한 경우에만 제2 액세스부(42)의 분량 도입 통로(8)가 열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닫힌 위치(I)와 열린 위치(II) 사이에서의 이동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동으로 그리고/또는 비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바람직하게는 닫힌 위치(I)에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닫힌 위치(I)와 열린 위치(II) 사이에서 그리고 반대로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비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작동은 액세스 처리부(4; 41, 42)의 적어도 일부분의 회전 이동 및 병진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며, 상기 이동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용기 배치 처리부(2) 및 분량들의 도입 통로(8)를 따라 연장하는 평면과 다른 평면 및 적어도 대략 평행한 평면 중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서 수행되며, 상기 이동은 또한 단일 액세스부(4)의 이동, 제1 액세스부(41)의 이동 및 적어도 제2 액세스부(42)의 이동 중 적어도 하나에 상응하되, 바람직하게는 서로 조정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식 처리부에서의 복수의 액세스부의 관절식 이동에 상응한다.
용기 배치 처리부(2)는 닫힌 위치(I)와 열린 위치(II) 사이에서 그리고 반대로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 사이에서 비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어 배치 표면 위에 용기(10)를 배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용기(10)를 배치 표면 위에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뚜껑, 후드 또는 이와 유사한 종류, 도어, 창 또는 이와 유사한 종류, 예를 들어 평평한 종류의 일반적인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단일 조각 또는 복수의 조각들을 구비할 수 있다.
액세스 처리부(4)는
- 닫힌 위치(I)에 있을 때 장치 하우징(3) 완전 위에서 연장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그 옆이 장치의 하우징으로 완전히 둘러싸이게 연장하는 것;
- 닫힌 위치(I)에 있을 때 장치 하우징(3)의 완전 위에서 연장하는 것;
- 장치(1)의 적어도 대부분에서, 바람직하게는 상부 구역 전부에서 연장하는 것
중 한 가지로 구성된다.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공동, 돌출부 또는 개구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장치의 하우징(3)의 상부 구역 및 정면 구역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액세스 처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닫힌 위치(I)에 있을 때 용기 배치 처리부(2) 및 분량 도입 통로(8)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에 대해 막고, 그리고 액세스 처리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열린 위치(II)에 있을 때 음료 용기(10, 10')가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배치될 수 있게 하고 식용 물질의 분량(7)이 도입 통로(8)를 통해 도입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1)는 예를 들어 캡슐 내의 식용 물질의 분량들(7)에 기초하여 음료, 예를 들어 향 음료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치(1)는 흐름 가압 기기의 하류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제품 제조기기(5) 및 식용 물질의 분량(7)의 도입, 식용 물질의 분량(7)의 제품 제조기기(5)에의 공급을 위한 각각의 분량 도입 통로(8)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르면, 장치(1)는 액세스 처리부(4)와 결합되어 작동되는 입력 수단(9)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입력 수단은 액세스 처리부(4)에 인접한 주변에서, 특히 상기 입력 수단(9)과 연관된 3차원 입력 공간(E)에서 생성되는 비접촉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접촉식 입력은 빈손에 의한 제스처, 또는 용기(10)를 쥐고 있는 손의 제스처, 특히 액세스 처리부(4)를 향해 용기(10)를 접근시키는 제스처일 수 있으며, 또한 선택적으로는 액세스 처리부(4) 근처에서 사전에 정해진 기간 동안 존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입력 수단(9)은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특히 장치(1)의 정면 구역 및 상부 구역에서 주변의 기하학적 공간을 최대화하도록 연장하는 요소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이게 배열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보거나 인식할 수 없도록 구비되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입력은 단일 지점에서의 터치, 하방으로 가압하는 터치, 정해진 방향으로 밀고 그리고/또는 끄는 터치를 포함하는 액세스 처리부(4)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손 터치 제스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 수단(9)은 햅틱 감지를 위해 구성될 수 있고(도 4 참조), 이에 따라 모든 상기 손 터치 제스처는 바람직하게는 지속 시간이 짧고 세기가 감소된 제스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입력 수단(9)은 가해지는 힘을 감지할 수 있게 힘을 측정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도 5 및 6 참조).
따라서 사용자와 장치(1)의 상호작용은 인접한 주변에서의 손 제스처 및 상기 액세스 처리부(4)에 대한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액세스 처리부(4)의 작동 입력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닫힌 위치(I)로부터 액세스 처리부의 작동이 촉발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고, 도 9 및 도 10은 관련된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액세스 처리부(4)는 별도로 작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액세스부들(41, 42)을 포함함으로써, 제1 액세스부(41)의 경우 용기 배치 처리부(2)와 제품 배출구(21)에 대한 그리고 제2 액세스부(42)의 경우 분량들의 도입 통로(8)에 대한 구분된 액세스를 제공한다.
상기 액세스부들(41, 42) 중 하나의 작동만이 입력 제스처를 요구하고 두 번째 액세스부의 작동은 제1 액세스부(41)와 연관되어 사전에 규정된 조건의 검증을 요구하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제1 액세스부(41)에 용기(10)를 접근시킴으로써, 입력 수단(9)에 의해 감지되고 제1 액세스부(41)의 열린 위치로의 작동을 촉발하여 용기 배치 처리부(2)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용기(10)가 입력 수단(9)에 인접한 주변에서 비접촉식 상호작용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단, 예를 들어 자기 수단을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용기(10)를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놓고, 용기(10)의 존재가 감지되면 제2 액세스부(42)의 작동이 자동으로 촉발되어 분량 도입 통로(8)가 열린다. 분량 도입 통로(8)를 통한 식용 물질의 분량(7)의 도입 및/또는 제품 제조기기(5) 내에서의 식용 물질 분량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액세스부(42)의 반대적인 닫힘 이동이 자동으로 촉발된다. 또한, 제어 수단(6)은 제2 액세스부(42)의 닫힘 이동이 종료되고 나면 식품의 제조 및 배출 흐름의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시작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입력 제스처 및 조작을 최소한으로 요구하는 하는 장치(1)와의 유리한 상호작용이 제공된다.
특히 사용자는 버튼을 누르거나 레버를 작동시킬 필요가 전혀 없다.
도 11과 도12, 도 13 내지 도 16, 및 도 17과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과 방법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제1 입력 수단(91)은 제1 액세스부(41)와 연관되어 제공될 수 있고, 제2 입력 수단(92)은 제2 액세스 부분(42)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수단들(91, 92)은 장치(1)의 상부 구역의 수직 투영면, 바람직하게는 또한 정면 구역의 투영면을 따라 연장하는 특별한 구역을 적어도 포함하는 인접한 주변에 있을 때, 제스처 및 물체, 예를 들어 식용 물질의 분량(7) 및/또는 용기(10, 10') 중 적어도 하나를 원격으로 감지하도록, 예를 들어 광학, 자기 또는 적외선 감지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식용 물질의 분량(7)과 분량의 도입 통로(8) 및 제품 제조기기(5) 중 적어도 하나의 상호 작용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제3 입력 수단(93), 및 용기(10)의 배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4 입력 수단(94)이 더 구비된다.
사용자는 분량 도입 통로(8) 위에서 연장하는 제1 액세스부(41)에서 수동 터치에 의해 입력 제스처를 수행할 수 있다.
이 수동 터치는 한 지점을 정확히 집기만 하거나(도 11), 혹은 작동 방향을 그림으로써 입력 표면에 대한 우발적인 터치의 가능성을 고려한 조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도 17).
터치는 입력 수단(9)에 의해 감지되고, 제1 액세스부(41)의 열린 위치(II)로의 이동이 촉발된다. 사용자는 이제 식용 물질의 분량(7)을 도입할 수 있다. 제1 액세스부(41)의 닫힘 이동은 식용 물질의 분량(7)의 통과 및/또는 존재를 감지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촉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식용 물질의 분량(7)과 관련된 코드로부터의 데이터 인식이 또한 자동으로 촉발된다.
제1 액세스부(41)의 닫힘 이동의 종료로 제2 액세스부(42)의 열림 이동이 자동으로 촉발될 수 있어, 용기(10)를 용기 배치 처리부(2)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용기(10)가 검출되면 상기 용기 배치 처리부(2)의 계합 부품의 특히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용기(10)의 유지 위치로의 이동이 촉발될 수 있다. 제어 수단(6)은 이제 제조 프로세스의 개시 및 식품의 용기(10)로의 배출을 촉발시킬 수 있다. 종료된 후에, 용기 배치 처리부(2)의 계합 부품이 유지 위치로부터 상기 용기(10)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자동으로 촉발될 수 있다.
상기 액세스부들(41, 42)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한 입력 제스처가 전혀 검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전에 정해진 기간이 지나고 난 후에, 상기 제2 액세스부(42)의 닫힘 이동이 자동으로 촉발될 수 있다.
이 기간의 카운트는 예를 들어 식용 물질의 분량을 제1 액세스부(41)에 접근시키는 것 또는 용기(10)를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놓는 것과 같은 입력 제스처가 있는 경우에 중단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장치(1)의 작동 수단을 터치할 필요가 없고, 일상적인 사용 제스처가 식품의 제조 및 배출을 위한 입력을 제공한다.
용기(10)를 제2 액세스부(42)에 접근시키는 제스처가 각각의 입력 수단(82)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제2 액세스부(42)의 자동 열림 작동을 위한 입력이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용기(10)를 회전시키는 것과 같은 특정 제스처를 포함하는 용기를 용기 배치 처리부(2)에 놓는 제스처는 식품 제조를 위한 흐름의 순환을 개시하기 위한 입력을 또한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10)는 제1 배치 위치와 제2 배치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고, 회전 방향 및 회전 범위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의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는 용기 배치 처리부(2)의 제1 배치 위치에서 용기(10)의 배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용기(10, 10')의 종류도 또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입력 수단(9)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에 의해 용기(10)가 유지 위치로 진행하도록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할 수 있다.
용기 배치 처리부(2)와 연관된 입력 수단(9)은 예컨대 코드의 형태로 된 상기 용기(10, 10')와 관련된 데이터 및 감지된 입력에 따라 식품을 배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감지할 수 있다.
단계들은 거꾸로 반복될 수 있고, 용기(10)를 처음 배치한 후 상기 용기 배치 처리부(2)로부터 용기가 제거됨을 검출할 때까지 전체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전개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유형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경우 장치(1)는 닫힌 위치(I)와 열린 위치(II)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액세스 처리부(4; 41, 42) 및 장치(1)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용기 배치 처리부(2)와 도입 통로(8)를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액세스 처리부(4; 41, 42)는 상기 제1 및 제2 액세스부들(41, 42)만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품 배출구(21)는 용기(10, 10')가 놓여서 식품을 수집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는 위치 위에 배치된다.
액세스 처리부(4)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위치(II)에 있는 경우에, 장치의 하우징(3)과 함께 일정한 기하학적 형상, 예를 들어 정육면체를 적어도 대략적으로 구성하고 돌출부 또는 공동이 없는 하우징을 제공하면 바람직하다.

Claims (22)

  1. 장치(1)를 포함하며, 식용 물질의 분량(7)을 통과하는 유체의 순환에 기초하여 식품, 예를 들어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장치가,
    - 제품 배출구(21), 특히 중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식품이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제품 배출구(21)로부터 나오는 식품을 수집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음료 용기(10, 10')를 배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된 용기 배치 처리부(2),
    - 장치의 하우징(3),
    - 적어도 장치(1)에서의 유체 순환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6),
    - 장치(1)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어 수단(6)과 연결되어 작동하는 입력 수단(9; 91, 92, 93, 94)을 구비하며,
    - 바람직하게는 식용 물질의 분량(7)을 제품 제조기기(5)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분량의 도입 통로(8)와 같은 분량 공급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장치(1)가 도입 통로(8)와 제품 배출구(2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액세스 처리부(4; 41, 42)를 구비하고, 그리고
    장치(1)는 적어도 아래의 작업, 즉
    - 상기 액세스 처리부(4; 41, 42)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또한 용기 배치 처리부(2)를 작동시키는 작업,
    - 예를 들어 분량의 도입 통로(8)와 같은 분량 공급 수단에 의해 식용 물질의 분량을 제품 제조기기(5)에 공급하는 것을 개시하는 작업,
    - 식용 물질의 분량(7)을 통과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체 순환 및 용기(10, 10')로 배출하는 것을 개시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작업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은
    - 장치(1)에 인접한 주변에서의 장치를 터치하지 않는 손 제스처, 및
    - 장치(1)의 외부 표면의 일부분에 대한 터치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제스처의 감지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장치(1)눈,
    상기 액세스 처리부(4; 41, 42)의 적어도 일부 및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용기 배치 처리부(2)와 제어 수단(6) 중 적어도 하나가
    - 장치(1)를 터치하지 않는 최대 2가지 서로 다른 유형의 빈손 입력 제스처,
    - 상호작용하는 물체의 무게를 넘는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서 전기전도성 상호작용 물체에 의해 장치(1)의 각각의 입력 표면과 적어도 근접 접촉하는 예를 들어 햅틱 유형의 최대 3가지 유형의 입력 제스처,
    - 장치(1)의 각각의 입력 표면에 대한, 상호작용하는 물체의 존재 및 상대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접촉 및 검출을 포함하는 최대 4가지 유형의 입력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입력 수단(9; 91, 92, 93, 94)이,
    - 장치(1)의 상부 및 정면 구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히 상기 액세스 처리부(4; 41, 42)와 연관되는, 예를 들어 액세스 처리부와 직교하는 투영면에서 연장하는 입력 공간(E) 내에서의,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식 또는 적외선 상호작용식, 자기 상호작용식의 원격 방식,
    - 특히 복수의 인접한 터치 가능 지점을 구비하는 입력 표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세스 처리부(4; 41, 42)와 연관된 표면의 적어도 한 지점에서 전기장의 변화를 생성하도록, 예를 들어 정전용량식의 햅틱 방식을
    포함하는 입력 제스처 중 적어도 한 가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가지 유형의 입력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9; 91, 92)이
    - 공간 경로의 제1 및 제2 형태를 갖는 인접한 주변, 특히 각각의 입력 공간(E, E')에서 손으로 수행되는, 단일 방향을 따르는 제스처, 적어도 제1 및 제2 방향을 따르는 제스처, 단일 평면에서의 제스처 및 적어도 제1 및 제2 평면에서의 제스처를 포함하는 목록 중의 적어도 한 가지 유형의 제스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적어도 2가지 유형의 비접촉식 입력 제스처;
    - 특히 액세스 처리부(4; 41, 42)의 외부 표면 위에서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으로 수행되는, 핀포인트(pinpoint) 터치, 슬라이딩(sliding) 터치, 드래깅(dragging) 터치를 포함하는 목록 중 적어도 한 가지 유형의 터치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적어도 2가지 유형의 터치 입력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9; 91, 92, 93, 94)이
    - 장치 하우징(3)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처리부(4; 41, 42)에 대한 터치 제스처의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 장치 하우징(3)의 일부분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처리부(4; 41, 42)에 대해 터치 제스처에 의해 그려지는 서로 다른 적어도 2개의 방향 및/또는 형태 중 적어도 하나;
    -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놓이는 용기(10)의 서로 다른 2개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및
    - 예를 들어 분량 도입 통로(8)와 같은 분량 공급 수단에 대한 식용 물질의 분량(7)의 서로 다른 2개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입력 제스처 및 물체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1) 위에서의 적어도 2개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9)이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액세스 처리부(4; 41, 42)에 인접한 주변에서 용기(10)의 접근, 및
    -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바람직하게는 용기(10)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 중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의 용기(10)의 배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경우 용기 배치 처리부(2)가 비수동으로 이동하는 작동을 촉발하는 입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9; 91, 92)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위치, 바람직하게는 장치 하우징(3)의 복수의 외부 입력 위치에 연관되고, 눈으로 볼 때 인접한 주변의 적어도 일부를 따르는 방향을 향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장치(1)의 상부 및 정면 구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과 연관된,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처리부(4)와 연관된 인접한 주변의 적어도 일부, 특히 각각의 입력 공간(E, E')에서의 원격 상호작용, 특히 존재, 존재 기간 궤적, 상대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단독으로 혹은 함께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혹은
    입력 수단(9; 91, 92)의 적어도 일부가 압력 없는 터치에 의한 입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인접한 위치를 포함하는 장치 하우징(3)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입력 표면과 연관되고, 상기 입력 수단(9; 91, 92)은 바람직하게는 외부 표면 아래에 예를 들어 상호 정전용량 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센서로 구비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장치(1)의 외부에서 보이거나 혹은 인식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9; 91, 92, 93, 94)이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처리부(4; 41, 42)를 포함하는 장치(1)의 부분에 대한 식용 물질의 분량(7) 및 용기(10, 10')의 근접 및 배치 중 적어도 하나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1 시작 위치 및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그리고
    입력 수단(9)이
    - 액세스 처리부(4) 및/또는 용기 배치 처리부(2)에 대한 용기(10, 10')의 근접;
    -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의 용기(10, 10')의 배치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9)이
    - 시작 위치(I)로부터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 배치 처리부(2);
    - 닫힌 위치(I)로부터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액세스 처리부(4; 41, 42);
    - 용기 배치 처리부(2) 및 액세스 처리부(4; 41, 42)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한 장치 하우징(3)의 부분, 바람직하게는 용기 배치 처리부 및 액세스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장치(1)의 면의 부분;
    - 식용 물질의 분량(7)과 연관된 코드를 감지하는 것에 기초하는 것을 포함하여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어 수단(6)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입력 수단(9; 91, 92)이 장치(1), 특히 액세스 처리부(4)와 연관된 인접한 주변, 특히 입력 공간(E) 및 하우징(3), 특히 입력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서 일어나는 광학 상호작용, 예를 들어 이미지 캡처, 예를 들어 적외선에 의한 전자기 상호작용, 자기 상호작용, 바람직하게는 상호작용하는 물체, 예를 들어 손가락의 무게보다 크지 않는 힘으로 터치하는 것에 의한 정전용량형 상호작용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입력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용기 배치 처리부(2)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어 전자기계식 수단에 의해,
    - 적어도 각각의 닫힌 위치(I)로부터 열린 위치(II)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반대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 용기의 초기 배치 위치(I)로부터 용기의 유지 위치(II)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반대로 유지 위치로부터 배치 위치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비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입력 수단(9; 91, 92, 93, 94)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에 의해 그리고 그 입력에 따라 촉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액세스 처리부(4; 41, 42)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어 전자기계식 수단에 의해,
    - 닫힌 위치(I)로부터 열린 위치(II)로,
    - 열린 위치(II)로부터 닫힌 위치(I)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비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입력 수단(9; 91, 92, 93, 94)에 의해 감지되는 입력에 의해 그리고 그 입력에 따라 촉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장치(1)는 액세스 처리부(4; 41, 42)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또한 용기 배치 처리부(2)가
    - 장치(1) 상의 물체, 예를 들어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의 용기(10)의 존재 검출;
    - 상기 비접촉, 햅틱 또는 존재 검출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전에 정해진 기간의 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추가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용기 배치 처리부(2) 및 액세스 처리부(4; 41, 42)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입력 수단(9)에 의해 감지된 입력이 상기 닫힌 위치(I)로부터의 열림 이동만을 촉발하도록 그리고 열린 위치(II)로부터의 닫힘 이동은
    - 예를 들어 장치(1)에서 작업 상태에 있는 식용 물질의 분량(7)과 용기(10, 10')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 검출 또는 각각의 작업 상태에 대한 다른 표시와 같은, 장치(1)의 사전에 정해진 작업 이벤트,
    - 장치(1)의 사전에 정해진 작업 이벤트 이후 사전에 정해진 기간, 특히 입력 수단(9)에 의한 다른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기간의 자동 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촉발되도록 구성되는 작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식품, 예를 들어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 식용 물질의 분량(7)을 제품 제조기기(5)에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 제품 배출구(21)로부터 나오는 식품을 수집할 수 있도록 용기(10, 10')를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배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품 제조 사이클을 포함하는 방법에 있어서,
    식품 제조 사이클이,
    - 장치(1)의 하우징에 인접한 주변의 일부 및 하우징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입력 제스처를 수행하는 단계;
    - 입력 수단(9; 91, 92, 93, 94)에 의해 입력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 장치(1)에 의한 식품 제조 사이클의 각각의 작업이 촉발되도록, 감지된 입력 제스처에 기초하여 제어 수단(6)에 작업 입력을 제공하는 단계;
    - 입력 수단(9)에 의해 감지된 입력 제스처 이후에 그리고 입력 제스처에 따라 식품 제조 사이클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이에 따라 식품 제조 사이클이 장치(1)의 임의의 부분에서 사용자에 의한 직접적인 터치 제스처 또는 힘을 가하는 제스처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고 그리고 명시적이거나 혹은 가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식품 제조 사이클의 상기 작업 중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모든 단계가
    - 물체의 특성, 옮김 작업의 공간적 특성 및 식용 물질의 분량(7)과 용기(10, 1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 기간의 카운트가 종료될 때까지 임의의 특성, 치수 또는 이벤트를 감지하거나 혹은 감지하지 않는, 예를 들어 사전에 정해진, 기간의 카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후에 그리고 그것에 따라 자동으로 촉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식품 제조 사이클이 사용자에게 장치(1)와 연관된 입력 제스처를 반드시 2회를 초과하게, 바람직하게는 1회를 초과하게 수행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입력 제스처가,
    - 장치의 하우징(3)의 적어도 일부에 인접한 주변, 특히 3차원 입력 공간,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처리부(4; 41, 42)에서의, 예를 들어 빈손으로 하는, 터치하지 않는 접근 제스처;
    - 예를 들어 손가락을 이용한, 특히 입력 표면,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하우징(3) 및 액세스 처리부(4; 41, 42)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입력 표면 위에서의 터치 제스처;
    - 용기를 장치(1)에 인접한 주변,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처리부(4; 41, 42)의 적어도 일부에 적어도 인접한 주변에 접근시키는 제스처;
    - 용기(10)를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놓는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장치(1)의 버튼식 또는 이와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터치 제스처는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인접한 주변에서의 원격 제스처가,
    - 단일 방향 및 단일 평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르는 제스처;
    - 적어도 제1 및 제2 방향, 및 적어도 제1 및 제2 평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따르는 연속적인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액세스 처리부(4; 41, 42)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의 터치 제스처는,
    - 복수의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서의 핀포인트 터치 및 일련의 핀포인트 터치, 및
    - 방향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그리는 복수의 인접한 지점 위에서의 연속적인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그리고
    터치가 요구되는 이동 방향과 유사한 방향 및 요구되는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입력 제스처가,
    - 장치(1)의 작업 상태의 "대기" 상태로부터 준비 상태로의 전환;
    - 식품 제조를 위해 이용 가능한 유체의 준비 상태 및 장치(1)의 작업 기기의 작업 상태의 자동 확인;
    - 액세스 처리부(4; 41, 42)의 적어도 일부를 열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한 용기 배치 처리부(2)와 분량 도입 통로(8)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액세스 제공;
    - 제품 제조기기(5)의 열림 이동
    중 적어도 하나를 촉발하되,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단계들 중 적어도 2개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자동으로 촉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방법이,
    - 용기(10, 10')를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놓는 단계;
    - 용기 배치 처리부(2) 상의 용기(10, 10')의 존재를 검출하는 단계;
    - 특성 치수 및 코드형 표시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10, 10')와 연관된 특성을 감지하는 단계;
    - 용기(10)를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서 유지하도록 유지 이동을 하는 단계;
    - 예를 들어 회전 이동에 의해, 용기 배치 처리부(2)의 제1 배치 위치로부터 제2 배치 위치로 진행하도록 용기(10, 10')를 옮기는 단계;
    - 용기(10)가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서 올바르게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 식용 물질의 분량(7)이 제품 제조기기(5)로 공급되는 것을 분량 도입 통로(8), 제품 제조기기(5)의 바로 상류 및 바로 하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검출하는 단계;
    - 식용 물질의 분량(7)이 분량 도입 통로(8)의 근처 및 제품 제조기기(5)의 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 식용 물질의 분량(7)과 연관된 데이터를 감지하고 데이터를 제어 수단에 공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술한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 이후에
    - 감지된 데이터에 기초한 식품 제조 파라미터들의 자동 선택;
    - 액세스 처리부(4; 41, 42)의 적어도 일부의 닫힘 이동;
    - 식품 제조를 위한 유체 순환 및 용기(10, 10')로의 식품 배출의 개시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분량 도입 통로(8)와 연관된 액세스 처리부(42)의 열림 이동이,
    - 용기(10)가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 용기(10)가 용기 배치 처리부(2) 위에서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액세스 처리부(4)의 액세스부들(41, 42) 각각에 대한 입력이 각각의 해당 액세스부(41, 42)와 관련되며 다른 액세스부(41, 42)와는 독립적인, 예를 들어 전기기계식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열림 이동을 포함하는 동작을 촉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7036998A 2020-03-24 2021-03-23 감응식 액세스 처리부를 구비하는 식품 제조 시스템 및 식품 제조 방법 KR202201580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T116183 2020-03-24
PT11618320 2020-03-24
PCT/PT2021/050007 WO2021194363A1 (pt) 2020-03-24 2021-03-23 Sistemas e processos de preparação de produtos edíveis com disposições de acesso sencien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058A true KR20220158058A (ko) 2022-11-29

Family

ID=7595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6998A KR20220158058A (ko) 2020-03-24 2021-03-23 감응식 액세스 처리부를 구비하는 식품 제조 시스템 및 식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404319A1 (ko)
EP (1) EP4129126A1 (ko)
JP (1) JP2023520984A (ko)
KR (1) KR20220158058A (ko)
CN (1) CN115334945A (ko)
AU (1) AU2021244074A1 (ko)
BR (1) BR112022018574A2 (ko)
CA (1) CA3171897A1 (ko)
WO (1) WO20211943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49464A1 (en) * 2005-08-01 2007-02-07 Saeco IPR Limited Control panel for an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hot beverages and automatic machine comprising such a control panel
JP6285534B2 (ja) * 2013-03-22 2018-02-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コードを備えたカプセル及び自動化された飲料調製システム
ES2877520T3 (es) * 2015-10-23 2021-11-17 Nestle Sa Interfaz de usuario de una máquina para la preparación de bebidas
PT109389A (pt) * 2016-05-16 2017-12-06 Novadelta - Comércio E Indústria De Cafés S A Sistema de preparação de bebidas aromáticas com disposição de descarga de bebidas optimizada e processo de operação do referido sistema
WO2019054081A1 (ja) * 2017-09-12 2019-03-21 富士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及び飲料供給方法
EP3683777B1 (en) * 2017-09-14 2023-10-04 Novadelta - Comércio e Indústria de Cafés, Unipessoal Lda Semi-autonomous device for dispensing edible products and process for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4319A1 (en) 2023-12-21
CA3171897A1 (en) 2021-09-30
WO2021194363A1 (pt) 2021-09-30
BR112022018574A2 (pt) 2022-11-08
JP2023520984A (ja) 2023-05-23
CN115334945A (zh) 2022-11-11
EP4129126A1 (en) 2023-02-08
AU2021244074A1 (en)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3582B2 (ja) 飲料準備マシン
EP3166459B1 (en) Capsule processing unit of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EP3222176B2 (en) Machine and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liquid products using capsules
RU2727826C2 (ru) Машина по приготовлению напитко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WO2016005417A1 (en) Capsule processing unit of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KR20220158058A (ko) 감응식 액세스 처리부를 구비하는 식품 제조 시스템 및 식품 제조 방법
RU2812414C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предусмотренные с воспринимающими средствами обеспечения доступа
KR20220158059A (ko) 비터치 상호작용을 갖는 식품 제조 시스템 및 식품 제조 방법
RU2812410C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родуктов пита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EP4186397A1 (en) Systems and processes of distribution of edible products to a recipient regulated by a circular disposition
US20210393073A1 (en) Systems and processes of distribution of edible products with selective access dispositions
EP3871568A1 (en) Systems of distribution of edible products with improved access arrangements and geome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