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7313A -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7313A
KR20220157313A KR1020220059884A KR20220059884A KR20220157313A KR 20220157313 A KR20220157313 A KR 20220157313A KR 1020220059884 A KR1020220059884 A KR 1020220059884A KR 20220059884 A KR20220059884 A KR 20220059884A KR 20220157313 A KR20220157313 A KR 20220157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dca
treatment
inflammatory
group
pharmaceutically accep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승용
한선애
Original Assignee
(주)샤페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페론 filed Critical (주)샤페론
Publication of KR2022015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7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우로데옥시콜린산(taurodeoxycholic acid, TDCA)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이용하여 신종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임상적 증상을 치료하고, 염증 완화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능을 통한 조기 완치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포함한 하기도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COVID-19 comprising taurodeoxycholic acid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타우로데옥시콜린산(taurodeoxychol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를 포함한 하기도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2019년 처음 그 존재가 확인된 이후 지금까지 2억명 이상의 확진자가 발생하고 4백만명 이상이 사망한 전세계적으로 심각하게 인류의 보건을 위협하는 유행병이다. COVID-19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해 전파되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질환이다. SARS-CoV-2는 코로나바이러스군(Coronaviridae)에 속하며 사스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CoV,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와 유사한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다. 아직까지 명확한 감염원인 숙주와 감염경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박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사람 간 밀접접촉에 의한 전파가 가능하다고 보고되었다.
SARS-CoV-2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유전자 크기 27 ~ 32 kb의 RNA 바이러스이다. SARS-CoV-2는 잠복기가 약 2주일 가량이며 발열을 동반한 기침, 호흡곤란, 숨가쁨, 가래 등 호흡기 증상을 주로 보이고, 그 이외에도 두통, 오한, 콧물, 근육통 뿐만 아니라 식욕부진, 메스꺼움, 구토, 복통, 설사 등 소화기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또한, SARS-CoV-2는 하기도 감염을 유발한다. 하기도 감염은 기관지염, 폐렴, 폐농증 등의 성대를 중심으로 아래쪽에 위치한 호흡기에 병원체가 침입하여 나타나는 질환으로 폐렴이 대표적인 하기도 감염증이다. 폐렴에 걸리면 폐에 염증이 생겨서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겨 발생하는 폐 증상과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폐 증상으로는 호흡기계 자극에 의한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며 구역, 구토, 설사와 같은 소화기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SARS-CoV-2는 특징적으로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ytokine Release syndrome) 또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을 유발하기도 한다. 사이토카인 폭풍은 암, 자가면역질환, 감염성질환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전신 염증 증후군으로 사이토카인의 과다 분비와 면역세포의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사이토카인 폭풍은 전신적인 면역반응을 유발하여 고열, 림프샘 장애, 간과 비장비대, 혈구감소증, 과페리틴증, 중추신경계 이상등을 초래하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 다발성 기관 장애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전신적인 면역체계의 과민 반응으로 여러 장기의 2차 기능부전을 유발하여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한다(Fajgenbaum et, al. N Engl J Med. 2020 Dec 3;383(23):2255-2273). 현재 COVID-19가 유발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으로 인한 장기부전이 주요 사망 원인으로 밝혀졌으며, 병리학적으로 사이토카인 폭풍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NLRP3 염증복합체(inflammasome)의 과도 활성화이다. 현재 사이토카인 폭풍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계열의 스테로이드를 병용 투여하고 있지만 전신적인 면역체계의 과도한 억제 부작용과 대사 부작용으로 인하여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COVID-19 입원환자의 치료를 목적으로 미국 FDA에서 정식으로 승인한 약물은 항바이러스제인 렘데시비르 (Remdesivir)가 대표적이며, 감염으로 인한 전신 염증과 이로 인한 조직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약물은 아직까지 제한적이다. 현재는 보전적 관리 요법을 위한 약제로서 덱사메타손과 같은 스테로이드제가 사망위험을 낮추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으며, 항염즘 용도의 약물로서는 IL-6 수용체 차단제인 토실리주맙 (Tocilizumab)과 JAK 억제제인 바리시티닙 (Baricitinib)이 긴급승인을 받아 사용되고 있지만,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미국 NIH의 공식 COVID-19 가이드라인인 'COVID-19 Treatment Guidelines Panel'에 의하면 FDA 및 NIH의 전문가 의원들은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제인 덱사메타손을 비롯한 스테로이드 제제와 토실리주맙, 바리시티닙의 부작용과 위험성에 대해서 언급하여 임상의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한계와 경고를 내리고 있다. 예를들어, 스테로이드 제제에 대해서는 전신대사 부작용 때문에 10일 이상 장기 투여를 금지하고 있으며, 진균 기회 감염 또는 바이러스의 재활성화와 같은 2차 감염의 위험성을 크게 높인다고 경고하고 있다. 토실리주맙의 경우에는 총 5건의 대규모 임상시험을 분석한 결과 치료효능에 대한 평가가 임상시험마다 다른 경우가 많았는데 'REMAP-CAP'과 'RECOVERY trials'의 2건의 임상시험에서만 유의미한 치료효과를 확인하였고, 스테로이드 병용 없이는 효과가 낮은 한계점을 확인하여 사용시 필수적으로 스테로이드와 병용할 것을 조건으로 조건부 긴급승인을 받았으며, 간효소 수치 상승, 호중구 저하증, 혈전증, 2차 감염 상승의 부작용 우려를 경고받았다. 바리시티닙의 경우에는 2건의 대규모 임상실험을 분석한 결과 'ACTT-2 trial'에서는 치료효과를 확인했으나 ‘COV-BARRIER trial’에서는 위중증 환자군에서만 치료효과를 확인하는 등 약효 해석에 대한 한계가 있었기에 스테로이드와 병용할 것을 조건으로 조건부 긴급승인을 받았으며, 심각한 감염과 혈전관련 부작용 위험성이 관찰되어 사용에 경고받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도 COVID-19에 의한 전신 염증을 유효하게 감소시키면서 부작용이 적은 치료제의 개발은 계속 필요하다. 또한 엔데믹으로 COVID-19의 양상이 바뀌더라도 전신 염증으로 인해 입원하는 환자는 계속해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변이로 인한 재유행의 가능성이 있기에 안전성, 유효성이 담보된 항염증제는 필요할 것이다.
SARS-CoV-2 감염 후 P2X7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한 NLRP3 염증복합체의 과도 활성화가 COVID-19 환자 폐렴의 주요 원인이다. P2X7 수용체는 면역세포, 폐 상피세포 및 중추신경계 세포등 전신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SARS-CoV-2를 포함한 병원체의 감염이 일어나면 (1)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과 바이러스 진입 수용체인 ACE2의 상호작용이 일어나고 (2) 안지오텐신 2의 상승으로 인해 (3) ComC 조절자가 활성화 된다. 상기 일련의 반응에 더하여 바이러스의 증식으로 유도된 세포의 괴사와 이로 인하여 방출된 ATP가 P2X7 수용체를 활성화 시켜 NLRP3 염증복합체의 과도한 활성화를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한 전신염증반응이 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하거나 폐섬유화와 같은 심한 후유증을 일으킨다.
P2X7 수용체는 P2Xn 퓨린 수용체군에 속하는 복합체로 구성된 이온 통로 수용체이며, P2X7을 자극하면 칼륨이온의 세포밖 방출과, 칼슘이온 및 나트륨이온의 세포안으로의 빠른 이동이 촉진된다. 감염과 같은 질병 상태에서 세포가 괴사되고 이로인해 세포 외 ATP의 농도가 크게 상승하여 P2X7 수용체가 활성화한다. 활성화된 P2X7은 NLRP3 염증복합체를 활성화하며 이는 칼륨이온의 배출과 세포내 이온 불균형에 의하여 증폭된다. NLRP3 염증복합체가 활성화되된 pro-IL-1β/18이 활성화되어 조직으로 유리되며 사멸된 세포와 더불어 주변조직의 염증 반응을 심화시킨다.
그러나 P2X7에 의한 NLRP3 염증복합체의 활성화 기전에 대한 상세한 이해에도 불구하고 P2X7 길항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한 개체에 있어서 다양한 P2X7의 아형과 사람 간에 다양한 P2X7의 다형성은 P2X7 길항제 개발에 주요한 장벽으로 작용한다.
담즙산(bile acid)은 지질, 유해 대사산물 및 장내 영양소 흡수를 위한 담즙 분비에 있어 중요한 생리적 분자로, 인간의 간의 정맥주위 간세포(perivenous hepatocytes)에서 생산된다. 인체에서 형성되는 1 차 담즙산은 케노데옥시콜린산(chenodeoxycholic acid)과 콜린산(cholic acid)이다. 케노데옥시콜린산은 타우로케노데옥시콜레이트(taurochenodeoxycholate)와 글리코케노데옥시콜레이트(glycochenodeoxycholate)와 같은 총 8 가지 접합된 담즙산을 생성하기 위해 타우린(taurine) 또는 글리신(glycine)과 접합된다. 또한, 1 차 담즙산에 대한 장내 미생물의 영향으로 2 차 담즙산으로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리토콜린산(lithocholic acid), 우르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등이 형성된다. 콜린산은 데옥시콜린산으로 전환되고 케노데옥시콜린산은 리토콜린산 또는 우르소데옥시콜린산으로 전환된다. 또한, 데옥시콜린산에 타우린이 접합되어 타우로데옥시콜린산(taurodeoxycholic acid)이 형성된다. 이러한 담즙산은 식이 지질의 흡수와 콜레스테롤의 항상성 (homeostasis) 및 전신 내분비 기능 조절에서 신호 분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신호 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면역계 및 대사계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2차 담즙산으로 매우 소량만이 존재하는 우르소데옥시콜린산은 간 기능 개선이라는 약리적 효과가 입증되어 간 질환 치료제로 응용되고 있다. 일부에서 bile acid의 항염증 작용이 보고 되고 있으나 상세한 작용기전과 특히 염증 복합체 활성 제어에 대한 보고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SARS-CoV-2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하기도 감염 질환에서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이며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의 염을 이용하여 염증을 유발한 골수 유래 대식세포에서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이 GPCR19와 결합하여 GPCR19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P2X7의 발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GPCR19-P2X7의 복합체 형성을 증가시켜 P2X7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GPCR19은 P2X7 수용체와 케라틴 세포, 소교세포 그리고 대식세포 등에서 세포막에 상호간에 결합된 복합체로 존재하며, 염증이 유도된 세포에서 GPCR19의 발현은 현격히 줄고 P2X7 수용체의 발현은 현격히 높아져서 염증 반응이 증폭된다. 이러한 염증 조직에서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이 GPCR19와 결합하여 P2X7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NLRP3 염증복합체의 활성화가 억제되어 주요한 염증 반응들이 차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의 염을 이용하여 패혈증 동물모델에서 염증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고, COVID-19 환자에서 임상적 증상이 완화되고, 치료기간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COVID-19를 포함한 하기도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현재까지 COVID-19 치료를 위한 효과가 우수한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바이러스의 세포내 침투력을 중화시키는 항체 치료제는 경증 환자에서만 제한적인 유효성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SARS-CoV-2 감염후 P2X7 수용체의 활성화에 의한 NLRP3 염증복합체의 과도 활성화가 중등증 및 중증 COVID-19 환자 폐렴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 받고 있으나, 다양한 P2X7의 다형성으로 인해 P2X7 길항제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은 GPCR19 및 P2X7의 상호작용 기전을 규명하고, 이들의 상호작용을 조절하여 NLRP3 염증 복합체를 억제함으로써 COVID-19에 의한 폐렴을 치료할 수 있는 근본적인 치료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타우로데옥시콜린산(taurodeoxychol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하기도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우로데옥시콜린산(taurodeoxychol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하기도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타우로데옥시콜린산(taurodeoxycholic acid)의 염이 염증을 유발한 골수 유래 대식세포에서 GPCR19 및 P2X7의 상호작용을 조절하여 NLRP3 염증 복합체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과도한 염증 반응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의 염이 패혈증 동물모델에서 염증 반응을 완화하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및 이로 인한 폐렴 환자들에게 유발되는 임상적 증상을 개선하며, 회복기간을 단축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COVID-19를 포함한 하기도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타우로데옥시콜산나트륨(sodium taurodeoxycholate, 이하 "TDCA"라 함)가 염증복합체 활성의 개시단계를 제어함을 보여주고 있다. 체외 (in vitro) 마우스 골수 유래 대식세포 (mouse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mBMDM) 모델에서 지질 다당체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 (lipopolysaccharide, LPS)를 처리하여 염증개시 신호 유도 후 TDCA에 의한 cAMP 변화 (도 1a), ASC, NLRP3, Caspase1, IL-1β 전사의 억제 (도 1b), TNF-α 생성의 억제 (도 1c)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TDCA가 자신의 수용체인 GPCR19와 P2X7R의 발현을 조절 할 뿐만 아니라 두 수용체간의 물리적 결합을 조절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도이다. in vitro mBMDM 모델에서 LPS와 ATP 또는 BzATP를 처리하여 염증활성 신호 유도 후 TDCA에 의한 GPCR19, P2X7R 및 이들의 상호결합 변화 (도 2a), P2X7R의 작용제인 BzATP 처리후 TDCA가 IL-1β생성을 억제함을 (도 2b) 나타낸 도이다.
도 3a는 개에서 패혈증 모델 제작 및 TDCA 투여 방법을 모식화한 도이다.
도 3b 내지 도 3g는 개의 패혈증 모델에서 TDCA 투여에 따른 생존율 (도 3b), 혈압 (도 3c), 혈액요소질소 (Blood urea nitrogen; BUN, 도 3d), 크레아티닌(creatinine, 도 3e), IL-1β (도 3f), IL-8 (도 3g) 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COVID-19 폐렴 환자에서 TDCA를 유효성분으로 한 주사제제인 NuSepin 0.2mg/kg의 치료 효율을 위약과 비교한 도이다. NEWS2 임상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를 반영하여 위약대비 NuSepin 0.2 mg/kg의 치료효과 비율을 Cox 위험 비례 모델로 분석하였다. 이때 항바이러스 치료제 투여군과 내원시 중등 또는 중증환자에서 위약 대비 NuSepin 0.2 mg/kg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5는 COVID-19 폐렴 환자에서 NuSepin 0.2 mg/kg 정맥 주사제의 위약대비 치료일 단축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임상 시작일에 NEWS2가 5이상인 중등증 이상의 환자들에서 NuSepin 0.2 mg/kg 투약군과 위약군간에 NEWS2 기반의 임상 평가 지수로 판단한 치료 효율을 Kaplan-Meier survival curve로 비교분석하였고, 또한 Cox 위험 비례 모델로 회복비율 (recovery rate, RR)을 계산하였다. 도 5의 왼쪽 그래프는 intention-to-treatment (ITT) 분석군을 대상으로 치료기간 동안 회복된 환자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의 오른쪽 그래프는 임상 시험기간에 임상 프로토콜 위배가 없는 환자만으로 구성된 per-protocol (PP) 분석군에 대한 치료기간 동안 회복된 환자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COVID-19 폐렴 환자에서 NuSepin 0.2 mg/kg 또는 위약의 정맥 주사에 의한 산소호흡기 의존도 감소를 나타낸 도이다. 입원시 NEWS2 >5 이상인 중등 및 증증 환자에서 NuSepin 0.2 mg/kg 투약군과 위약군 간의 보조적 산소 치료 요법이 필요하지 않은 환자의 누적 분율을 Kaplan-Meier survival curve과 Cox 위험 비례 모델로 분석한 도이다.
도 7은 COVID-19 폐렴 환자에서 NuSepin 0.2 mg/kg에 의한 보조 산소 호흡기의 종류에 따라서 임상 상태의 호전도 향상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전체 시험 환자군과 임상 시험 시작일 기준 NEWS2 임상점수가 5이상인 중등증 이상의 환자에서 임상 9일차에 NuSepin 0.2 mg/kg을 투약한 환자와 위약을 투약한 환자 간의 산소 호흡기 의존도의 호전도를 비교하기 위해 호흡기 종류에 따른 임상 지표인 ordinal scale의 시작일 (baseline) 대비 감소율을 비교한 도이다.
도 8은 COVID-19 폐렴 환자에서 NuSepin 0.2 mg/kg에 의한 혈액내 염증지표인 CRP와 사이토카인의 감소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COVID-19 폐렴 임상 시험에서 NuSepin 0.2 mg/kg 투약군 및 위약군의 임상 시작일 당시 (day 1)의 혈중 CRP, IL-8, TNF-α, IL-6와 임상 4일차의 CRP 또는 임상 종료일 (EoS)의 혈중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비교한 도이다. 또한 관찰 시점에서 CRP 또는 사이토카인 농도가 정상 범위인 환자의 분율을 위약군과 NuSepin 0.2 mg/kg군과 비교하였다.
도 9는 TDCA가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기전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로 하기도 감염 질환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타우로데옥시콜린산(taurodeoxychol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하기도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은 동물의 사체, 예컨대 소, 돼지, 양, 개, 염소 또는 토끼와 같은 동물로부터 분리한 것, 시판되는 것, 합성한 것 모두 무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은 담즙산의 일종으로, 타우린이 접합된 데옥시콜린산(taurine-conjugated deoxycholic acid) 형태이며, 하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화학 구조를 갖고,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2]로 기재되는 화학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 상기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예컨대 TNF-α, IL-1β, IL-8 또는 IL-6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GPCR19 작용제로 도 9의 모식도와 같이 cAMP를 증가시켜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P2X7의 기능을 억제하여 NLRP3 염증 복합체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기도 감염 질환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유발되는 발열, 기침, 가래, 몸살, 인후통, 설사, 결막염, 두통, 피부발진, 호흡곤란, 급성기관지염, 폐렴, 폐화농증, 신부전, 신장 기능 장애, 패혈성 쇼크, 패혈증 및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갖는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및 신종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타우로데옥시콜린산뿐만 아니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라세미체, 또는 입체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을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혼합물에서 용매나 과량의 산을 증발시켜서 건조하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나트륨염을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자,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본 발명의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 kg 당 0.01 mg 내지 100 mg, 보다 구체적으로 0.1 mg 내지 15 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골수 유래 대식세포의 제작 및 염증조절복합체 자극을 통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석
<1-1> 골수 유래 대식세포의 제작
골수 유래 대식세포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C57BL/6N 마우스에서 추출한 골수를 10% FBS, 100 U/ml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55 μM 2-머캅토에탄올, 그리고 10 ng/ml 재조합 쥐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인자 (GM-CSF)를 첨가한 RPMI 배지에서 7일간 분화하였다. 7일차에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분화된 대식세포의 비율을 측정한 결과 94~96%로 측정되었다.
<1-2> 염증개시(inflammation priming) 신호로부터 유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생성 억제능 분석
상기 실시예 <1-1>의 골수 유래 대식세포를 배양접시에 다양한 밀도로 배양한 후 수집하였다(4 x 104, 5 x 105, 1 x 106 cells/well, 각각 96-well, 24-well, 그리고 12-well 배양접시). 다음날, 염증개시 신호 관련 인자로 NLRP3 염증복합체 구성요소인 ASC, NLRP3, Caspase1, 염증개시 신호로부터 유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의 평가를 위해서 골수 유래 대식세포에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ca serotype enteritidis)에서 유래한 10 ng/ml LPS와 함께 300 μM BzATP, 또는 300μM BzATP 및 400 ng/ml의 타우로데옥시콜산나트륨(sodium taurodeoxycholate, 이하, 'TDCA'로 명명함)를 1시간 처리하였다. 시간이 종료된 뒤 세포를 수집하여 -80℃에 보관한 뒤 qRT-PCR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의 평가를 위해서 골수 유래 대식세포에 10 ng/ml LPS를 3시간 동안 처리하여 염증개시 신호를 활성화한 뒤, 다양한 농도(0. 25. 100, 400 ng/ml)의 TDCA를 추가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간이 종료된 뒤 상층액을 수집하여 -80℃에 보관한 뒤 ELISA 분석을 실시하였다.
<1-3> 염증활성(inflammation activation) 신호로부터 유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의 생성 억제능 분석
상기 실시예 <1-1>의 골수 유래 대식세포를 배양접시에서 다양한 밀도로 배양한 후 수집하였다(4 x 104, 5 x 105, 1 x 106 cells/well, 각각 96-well, 24-well, 그리고 12-well 배양접시). 다음날, 염증활성 신호 관련 인자로 TGR5 및 P2X7, 상기 신호로부터 유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의 평가를 위하여 골수 유래 대식세포에 10 ng/ml LPS 및 300 μM BzATP를 3시간 동안 처리한 뒤 지정된 서로 다른 농도(0, 25, 100, 400 ng/ml)의 TDCA를 1시간 처리하였다. 시간이 종료된 뒤 상층액을 수집하여 -80℃에 보관한 뒤 ELISA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패혈증 동물모델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석
<2-1> 패혈증 동물모델 제작
각 실험군당 체중 30-35 kg의 Mongrel dog로 구성된 2개의 처리군에 도 3a에 도시된 프로토콜에 따라 LPS 0.5 mg/kg/ml를 정맥 투여하여 패혈증을 유발하고, 이후 TDCA 2 mg/kg/2 ml (위약군은 PBS를 투약)를 1시간 후에 정맥 주사하였고, TDCA 1 mg/kg/2 ml를 12시간 및 24시간 후에 정맥 투여하였다. LPS 투여 후 혈압을 1시간마다 모니터링하고, 0, 1, 3, 6, 12, 18, 24, 36, 48h 시점에서 채혈을 하고 48시간에 동물들을 희생하여 실험을 완료하였다.
<2-2> 생존율 분석
상기 실시예 <2-1>의 패혈증을 유발한 2개의 처리군에서 48시간 동안 사망한 비글견 수를 확인하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2-3> 혈압 및 신장기능 분석
상기 실시예 <2-1>의 패혈증을 유발한 2개의 처리군에서 48시간 동안 시간별로 혈압을 측정하였다.
또한, 신장기능 검사로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및 크레아티닌(ceratinine) 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1>의 패혈증을 유발한 2개의 처리군에서 48시간 동안 시간별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혈청 내 BUN과 크레아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2-4>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및 IL-8 분석
상기 실시예 <2-1>의 패혈증을 유발한 2개의 처리군에서 48시간 동안 시간별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한 후, 혈청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3> TDCA의 인체 안전성 확인-임상 1상시험
<3-1> 임상시험 대상자의 선정
국내 건강한 성인 남성 지원자 40명을 임상시험 대상자로 하였다. 임상시험은 서울대학교 병원(서울, 한국) 주체 하에 실시하였으며 [표 1]의 선정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순서 임상 선정 기준
1 스크리닝 방문 시 연령이 만 19 세 이상 45 세 이하인 건강한 남성
2 스크리닝 방문 시 BMI 측정 결과가 18.0 kg/m2 이상 - 27.0 이하 kg/m2 에 있는 자
3 병력 조사, 신체검진, 활력징후, 심전도 (ECG) 검사 및 적절한 임상실험실 검사 결과 임상적으로 건강한 것으로 확인된 자 (단, 정상 범위를 벗어날지라도 연구자 판단에 따라 참여할 수 있음.)
4 본 임상시험에 참여할 것을 자발적으로 결정하고 임상시험 준수사항을 반드시 이행할 것을 서면 동의한 자
단, 하기 [표 2]에 나타낸 항목에 해당되는 피험자들은 제외하였다.
순서 임상 제외 기준
1 Taurodeoxycholate 성분을 포함하는 약물이나 일반 약물 (아스피린, 항생제 등)에 대한 과민반응 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과민반응의 과거력이 있는 자
2 첫 투약일 전 2 주 이내에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의심되는 임상증상을 보였거나, 스크리닝 시 측정된 체온(고막)이 38.0℃ 이상의 수치를 보인 자
3 간, 신장, 소화기계, 호흡기계, 근골격계, 내분비계, 신경정신계,혈액·종양계, 심혈관계 등에 해당하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질환이 있거나 과거력이 있는 자
4 임상시험용의약품의 흡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장관계 질환 (예: 크론씨병, 궤양 등)이나 수술 (단, 단순 맹장수술이나 탈장수술은 제외)의 과거력이 있는 자
5 약물남용의 과거력이 있거나 소변 약물 스크리닝 검사에서 오남용 우려 약물에 대하여 양성반응을 보인 자
6 스크리닝 방문 시 3 분 이상 휴식 후 좌위에서 측정한 다음과 같은 혈압을 가진 자
A. 수축기 혈압(SBP): < 90 mmHg 혹은 > 150 mmHg
B. 이완기 혈압(DBP): < 50 mmHg 혹은 > 90 mmHg
7 첫 투약일 전 6 개월 이내에 다른 임상시험 또는 생동성시험에 참여하여 약물을 투여 받은 자 (기간은 이전 시험 마지막 투약일 기준으로 판단한다.)
8 첫 투약일 전 2 개월 이내에 전혈 헌혈 또는 1 개월 이내에 성분 헌혈을 하였거나, 1 개월 이내에 수혈을 받은 자
9 스크리닝 전 1 개월 이내에 바르비탈류 약물 등의 약물대사효소 유도 및 억제 약물을 복용 한 자
10 첫 투약 3 일 이내에 그레이프프루트(자몽)/카페인 함유 음식물을 섭취한 자 및 입원 3 일 전부터 퇴원일까지 그레이프프루트(자몽) 함유 음식물의 섭취를 금할 수 없는 자
11 첫 투약일 전 2 주 이내에 전문의약품 또는 한약을 복용하였거나, 1 주 이내에 일반의약품 (OTC)을 복용한 자 (단, 시험자의 판단에 따라 다른 조건이 합당한 경우에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다.)
12 카페인 과다 섭취자, 알코올 과다 섭취자 또는 과다 흡연자 (카페인 >5 units/일, 알코올 > 21 units/주 (1 unit = 순수 알코올로써 10 mL),담배 > 10 개비/일)
13 특이한 식습관 (예: 지속적인 채식 위주의 식습관 등)을 가졌거나 본 임상시험에서 제공하는 식사를 섭취할 수 없는 자
14 기타 시험자가 임상시험대상자로 부적합하다고 판정한 자
또한 임상시험 진행 도중, [표 3]의 기준에 해당하는 피험자는 중도탈락 하였다.
순서 중도 탈락 기준
1 시험대상자가 임상시험 중 임상시험용의약품의 투여 중단을 요구하거나, 시험참여 동의를 철회하는 경우
2 시험대상자가 임상시험 중 시험약의 안전성이나 약동학을 평가하는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약물을 투여한 경우
3 중대한 이상반응/약물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
4 시험대상자의 약동학/안전성 검사를 위한 채혈의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
5 임상시험 중 중대한 계획서 위반 사항이 새롭게 발견된 경우
6 의뢰자 혹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중단 요청이 있는 경우
7 기타 임상시험책임자/담당자가 시험을 중지하여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
<3-2> 임상 1상 시험 진행 및 관리
임상시험 대상자에서 약물 안전성/내약성(tolerability) 및 약물 동력학(pharmacokinetic, PK)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배정, 이중 맹검, 표준치료기반 위약대조군 시험군을 배정하였다. 또한 치료제로서는 TDCA가 함유된 주사형 임상제제인 NuSepin을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
건강한 남성 자원자에 한하여 임상시험용의약품 첫 번째 투약일 (1d)로부터 4주 이내 (-28d ~ -4d)에 스크리닝 검사를 시행하여, 본 임상시험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시험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시험대상자는 임상시험용의약품 투약 4 일 전 오후에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에 입원하여, NuSepin 0.1, 0.2, 0.4, 0.8, 1.6 mg/kg 용량 투여 또는 위약군 중 하나에 무작위 배정한 후 TDCA 베이스라인 확인을 위한 약동학 채혈을 3일 간 (-3d ~ -1d) 시행하였다. 그리고 임상시험용의약품 투약일 (1d) 오전에 약동학 분석용 채혈, 안전성 평가 등 정해진 검사를 시행 후 공복상태에서 시험약 또는 위약을 정맥투여 하였다. 시험대상자들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임상시험을 수행하고 투약 1일 뒤 (2d)에 퇴원하였으며, 모든 임상시험일정을 마친 대상자는 4d ~ 6d 사이에 종료방문 (post-study visit) 검사를 수행하였다.
[평가 방법]
● 안전성 및 내약성 평가
- 자·타각 증상 등 이상반응 모니터링
- 신체검사
- 활력징후
- 심전도 (12-Lead ECG) 검사
- 임상실험실 검사
- 국소 독성 평가
- 연속 ECG, SpO2 모니터링
● 약동학적 평가
임상시험용의약품 정맥투여 후 최대 24 시간까지 HY209 의 약동학적 평가를 위한 채혈이 이루어졌다;
- 채혈 시각: 투약 전 -3d 0 시간, 1 시간, 2 시간, 4 시간, 8 시간, 12 시간, -2d 0 시간, 1 시간, 2 시간, 4 시간, 8 시간, 12 시간, -1d 0 시간, 1 시간,2 시간, 4 시간, 8 시간, 12 시간, 1d 투약 직전 (0h), 투약 시작 후 15 분,30 분, 1 시간, 2 시간, 4 시간, 8 시간, 12 시간, 24 시간 (2d)
- 평가 변수: AUCinf, AUClast, Cmax, Tmax, t1/2
- 비임상 자료를 통해 산출된 추정치를 통해 산출된 약물의 반감기는 약 1 시간 정도로 추정하였다.
[자료 분석]
● 안전성 및 내약성 분석
이상반응은 중증도 및 임상시험용의약품과의 인과관계에 근거하여 용량군 및 치료군 별로 기술하고, 이상반응 발생 시험대상자 수의 빈도, 백분율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활력징후, 심전도 검사, 임상실험실검사, 신체검사, 자·타각 증상 등 이상반응 모니터링, 연속 ECG, SpO2 모니터링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된 항목에 한하여 필요에 따라서 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 약동학 평가
본 임상시험을 완료한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적절하고 검증된 약동학 소프트웨어(예: Phoenix WinNonlin® (Version 8.0 이상, Pharsight, CA, USA)를 사용하여 비구획 분석 방법으로 약동학 변수를 구하고, 용량군 및 치료군 별로 기술통계량 (평균, 표준편차 등)을 구하였다.
<실시예 4> TDCA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환자 대상 치료제로서 약효 확인-임상 2상시험
<4-1> 임상 2상 시험 대상자의 선정
임상시험 대상자로는 유럽 루마니아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감염자 중 [표 4]의 기준을 모두 만족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순서 환자 선정 기준
1 18세 이상, 80세 미만의 남성 또는 여성
2 무작위 배정 전, 144시간 이내 SARS-CoV-2 감염이 실험실 PCR검사에 의해 처음으로 확진이 된 경우
3 방사선 투과 이미지(chest x-ray, CT scan) 그리고 다음 중 3가지의 임상적 증상이 발생한 경우(새로 발생한 기침, 열, 피로, 객담(하루종일), 빈호흡, 호흡곤란, 늑막성 흉통) 그리고 CRP>10mg/L 이상인 경우
4 환자의 혈중 백혈구 수>4.0 x 109/L, 림프구 수>0.7 x 109/L 인 경우
5 스크리닝 단계에서 실내 SpO2≤94% 또는 Pa02/FI02 ratio<300mmHg 인 경우
6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자유의사에 의해 임상시험에 참여하겠다는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사람
7 가임기 여성의 경우,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효과적인 피임법을 임상시험 마지막 투약 90일 이후까지 지속할 것에 동의한 사람
단, 하기 [표 5]에 나타낸 항목에 해당되는 피험자들은 제외하였다.
순서 환자 제외 기준
1 ALT(Alanine Transaminase) 또는 AST(Aspartate Transaminase)>5xULN 인 경우
2 eGFR<30 ml/min, 혈액 투석 또는 혈액 여과를 받아야 하는 신기능 감소를 보이는 경우
3 임부 또는 수유부
4 다발성 장기부전의 징후가 보이는 경우
5 임상시험 참여 72시간 전, 스테로이드 투약을 받은 경우
6 COVID-19와 관련된 임상시험에 참여한 경우
7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것이 환자에게 최선의 선택이 아니거나, 임상 프로토콜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의사가 판단한 경우
또한 임상시험 진행 도중, [표 6]의 기준에 해당하는 피험자는 중도탈락 하였다.
순서 환자의 중도 탈락 기준
1 Lab abnormalities를 포함하여 임상시험자 판단에 따른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2 환자가 임상시험을 제대로 준수하지 않는 경우
3 프로토콜에서 심각한 일탈이 발견된 경우
4 금지된 약물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Steroid)
5 중간에 임신을 한 경우
6 어떠한 이유에서라도 연구책임자가 환자의 임상시험 진행 중단을 결정한 경우
<4-2> 임상시험 진행 및 관리
모집된 임상시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배정, 이중 맹검, 표준치료기반 위약대조군 시험군을 배정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치료제로서는 TDC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료제인 NuSepin을 사용하였다.
[진행단계]
환자 스크리닝 (Day -5 ~ 0)
임상시험 참가를 원하는 환자는 환자 정보 시트 및 사전 동의양식에 서명을 한 뒤, 선별 검사를 수행하였다. 선별번호는 각 환자에게 부여되며, 인구 통계학적 정보, 환자 병력, 과거 및 현재 약물 복용력, 현재 병력, 활력 징후(혈압, 심박수, 체온, 호흡수, 의식 수준), 신체 검사, 심전도, 실험실 검사, COVID-19 PCR test, 동맥혈 가스 분석 및 폐 침윤 평가를 위한 흉부 x-ray 또는 CT 촬영을 수행하였다. 가임기 여성의 경우, 혈청 임신검사를 수행하였다.
환자 기준 설정 (Day 1)
활력 징후(혈압, 심박수, 체온, 호흡수, 의식 수준)의 모니터링 후 경피적 산소포화도 (SpO2), 신체 검사, 임상시험 포함/제외 기준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환자의 임상적 상태는 6단계 척도로 평가하였다.
환자는 NuSepin 0.1, 0.2 mg/kg 또는 항바이러스제를 이용한 표준치료를 병행하는 위약군 중 하나에 무작위 배정하였다. 이후 약물 투여는 1일 차부터 14일 또는 퇴원일까지 1일 2회 정맥 투약하였다. 투약기간 동안, 약물 이상 반응(AE) 및 환자가 투약받는 약물의 모든 내용을 수집하고 기록하여 관리하였다.
임상평가 진행 (Day 2 ~ Day 14)
시험 기준 일로부터 2 ~ 14일 동안 활력징후(혈압, 심박수, 체온, 호흡 수, 의식 수준), SpO2, 신체검사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하며, 환자의 임상적 상태를 평가하고 실험실 검사(혈청 화학 분석, 혈액 검사, 소변 검사, 간/신장 기능 검사, 염증 파라미터), 12-lead ECG, 약물 이상반응 및 환자 투여 약물의 변화를 수집하고 기록하였다. 연구자 및 임상의사의 판단에 따라 참여자의 조기퇴원 여부를 결정하고, 조기퇴원 대상자는 후속관리와 최종 종료 시험과정을 거쳐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후속관리
투약실험 14일 이후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약 종료 후 활력 징후 모니터링(혈압, 심박수, 체온, 호흡 수 , 의식수준), SpO2 측정, 6단계 임상상태 평가, 신체검사, 12-lead ECG, 소변 임신 테스트(가임기 여성), 실험실 분석(혈청 화학, 소변검사, 간/신장 기능 검사, 염증 지표 검사), 그리고 약물 이상반응과 투약기간 중 약물 변화에 대한 수집을 종료하였다.
임상시험 종료
최종적으로 28일차에 임상 추적 방문(Clinical follow-up visit), 신체검사, SpO2 측정, 실험실 분석(혈청 화학, 혈액 검사, 소변 검사, 간/신장 기능 검사, 염증 지표 검사)를 수행하여 약물이상반응, 병용 약물의 변화 및 생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임상 평가 지표]
1. NEWS2 (National Early Warning Score 2)
NEWS2 임상 지수는 산소호흡기 필요 유무, 체온, 혈압, 심박수, 체온, 호흡 수, 의식수준, 산소포화도 측정데이터를 바탕으로 [표 7]의 기준에 의거해 점수화하고 이를 종합하여 환자의 병증 정도를 평가하고 치료 단계를 평가/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임상 평가지수이다. 임상 평가 지표로서 NEWS2를 1 ~ 15일 및 종료일에 평가하여 기록하였다. NEWS2 지수가 5 이상이면 중등증 이상의 위험군 환자로 분류되어 고위험군의 환자로서 하위집단 분석 (subgroup analysis) 및 층화분석 (Stratification Analysis)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NEWS2 지수가 0점인 완전관해 상태를 24시간 유지하는 데까지 소요된 시간을 NEWS2 기반 치료일로써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physiological parameter NEWS2 Score
3 2 1 0 1 2 3
respiration rate (per minute) ≤8 9-11 12-20 21-24 ≥25
SpO2 Scale 1(%) ≤91 92-93 94-95 ≥96
SpO2 Scale 2(%) ≤83 84-85 86-87 88-92
≥93 on air
93-94 on oxygen 95-96 on oxygen ≥97 on oxygen
Air or oxygen? oxygen Air
Systolic blood pressure(mmHg) ≤90 91-100 101-110 111-219 ≥220
Pulse(per minute) ≤40 41-50 51-90 91-110 111-130 ≥131
Consciousness Alert CVPU
Temperature(℃) ≤35.0 35.1-36.0 36.1-38.0 38.1-39.0 ≥39.1
2. OS (Ordinal scale)
OS는 산소호흡 치료요법의 심화도에 따라 [표 8]의 기준에 의거해 6단계로 나뉘어 점수화하는 임상지표이며 점수가 낮아질수록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어 감을 의미한다. COVID-19 폐렴환자의 임상 평가 지표로서 OS를 1 ~ 15일 및 종료일에 평가하여 기록하였다.
Score Criteria
1 Complete Clinical Remission
2 Hospitalization, not requiring supplemental oxygen
3 Hospitalization, requiring supplemental oxygen (such as Low Flow Nasal Canula or facial mask)
4 ICU/Hospitalization, requiring Non-invasive ventilation/High Flow Nasal Canula therapy
5 ICU, requir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nd/or invasive mechanical ventilation
6 Death
3. 산소호흡 치료 종료일
COVID-19 폐렴환자의 호흡기 기능회복의 지표로서 최종적으로 산소호흡 치료를 종료하는 일을 1 ~ 15일 및 종료일에 걸쳐서 관찰/기록하였다.
4. CRP, IL-6, IL-8, TNF-α
COVID-19 폐렴환자에서 급성염증 인자로서 CRP를,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서 IL-6, IL-8, TNF-α의 혈중 농도를 1 ~ 15일 및 종료일에 걸쳐서 측정/기록하였다.
<실험예 1> in vitro mBMDM 모델에서 TDCA의 염증 관련 인자 억제능 확인
염증성 신호로 인한 사이토카인 방출증후군을 TDCA가 억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in vitro mBMDM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1-1> 염증개시 신호에서 TDCA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및 TNF-α 억제능 확인
상기 실시예 <1-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mBMDM을 분리/추출하고 LPS 등으로 염증자극을 일으킨 세포에 TDCA를 처리하여 in vitro 상에서 TDCA에 의한 염증신호 억제효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NF-κB pathway를 통한 염증인자 관련 유전자 전사를 억제하는 세포 내 cAMP의 농도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BMDM 세포에서 대조군, 100 ng/ml LPS을 30분 처리한 실험군, 100 ng/ml LPS와 400ng/ml TDCA를 동시에 30분 처리한 실험군을 준비한 후에 각 실험군 세포의 cAMP 농도를 화학발광 (chemiluminescent)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에 의한 염증신호에 의해 감소된 cAMP가 TDCA에 의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염증 상황에서 TDCA에 의한 염증 관련 인자의 전사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mBMDM에 10 ng/ml LPS와 300 μM BzATP를 1시간 처리한 실험군과 10 ng/ml LPS, 300 μM BzATP, 400 ng/ml TDCA를 동시에 1시간 처리한 실험군에서 염증관련 인자인 ASC, NLRP3, Caspase1, IL-1β의 전사 발현을 qRT-PCR 실험을 통해 측정하여 염증 상황 대비 TDCA가 얼마나 발현을 감소시키는지 감소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BzATP에 의한 염증 상황에서 TDCA 처리에 의해서 세포내 ASC, NLRP3, Caspase1, IL-1β의 전사 발현이 모두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발현에 미치는 TDCA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BMDM에 10 ng/ml LPS를 3시간 동안 처리한 뒤 각기 0, 25, 100, 400 ng/ml의 TDCA를 1시간 처리한 실험군에서 TNF-α를 ELISA를 통해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도 1c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에 의해 생성된 TNF-α가 TDCA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도 9에 나타낸 모식도와 같이 TDCA에 의해 증가된 cAMP가 NF-κB를 억제하여 ASC, NLRP3, Caspase1와 같은 염증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며, 결과적으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의 발현을 억제하는 염증신호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1-2> 염증활성 신호에서 TDCA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억제능 확인
상기 실시예 <1-3>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mBMDM을 분리/추출하고 염증자극을 일으킨 세포에서 TDCA에 의한 GPCR19-P2X7의 발현 및 상호작용 변화와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억제효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TDCA에 의한 GPCR19, P2X7의 발현 및 상호작용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정상상태의 mBMDM, 10 ng/ml LPS와 300 μM BzATP 자극을 동시에 주입한 mBMDM, 10 ng/ml LPS + 300 μM BzATP 자극 상태에서 400 ng/ml TDCA를 처리한 mBMDM에 면역형광염색과 공초점현미경 통해 GPCR19(녹색형광신호)와 P2X7(적색형광신호)의 발현과 패턴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증신호가 활성화 되면 GPCR19의 발현이 감소하며 동시에 P2X7의 발현은 증가하며, 이때 TDCA를 처리하면 GPCR19의 감소와 P2X7의 증가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서 염증신호 활성시에는 GPCR19-P2X7의 co-localization 형광신호(황색형광신호)가 감소하고 TDCA의 처리에 의해 다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TDCA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억제효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LPS+ATP 또는 LPS+BzATP로 염증을 활성화 시킨 mBMDM에 TDCA를 0, 25, 100, 400 ng/ml을 처리한 후 IL-1β 농도를 ELISA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염증이 활성화 되어 생성된 IL-1β의 농도가 처리한 TDCA의 양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도 9에 나타낸 모식도와 같이 염증이 활성화된 이후 TDCA에 의해 GPCR19, P2X7R의 발현이 조절되며 두 단백질 간의 상호결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신호전달로 인하여 NLRP3 염증 복합체의 활성화가 억제되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의 생성이 저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통해 도 9에 나타낸 모식도와 같은 기전으로 TDCA가 면역세포의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TNF-α 및 IL-1β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TDCA가 SARS-CoV-2 감염으로 인한 사이토카인 폭풍을 예방, 치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2> in vivo 전신 염증유발 동물모델에서 TDCA의 치료효과 확인
COVID-19 폐렴환자는 전신 염증으로 인한 사이토카인 폭풍으로 인해 장기 부전 혹은 사망위험이 높아지기에 in vivo에서 전신 염증반응시 TDCA로 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에서 LPS를 정맥 투여하여 전신 염증을 유발시킨 대형 동물모델에서 TDCA를 12시간 간격으로 2 mg/kg, 1 mg/kg, 1 mg/kg를 각각 3회 투약하였을 때, TDCA 투약 동물 실험군에서 사망률 및 장기부전지표가 감소하며 사이토카인 폭풍이 감소하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b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신염증 유발 동물실험에서 위약 실험군은 실험 종료 시점인 48시간에 절반이 사망한 반면 TDCA를 투약한 동물은 48까지 전원 생존하여 생존율 향상의 치료 효과를 보여주었다. 도 3c에서 나타나듯이 심혈관계 부전의 지표인 혈압의 관찰에서 위약동물군에서는 저혈압 쇼크가 일어나지만 TDCA를 투약한 동물군은 혈압이 저혈압쇼크가 억제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도 3d와 3e에서 나타나듯이 신장 부전의 지표인 BUN과 creatine의 혈중 수치가 위약군에서는 상승하는데 반해 TDCA 투약군에서는 상승이 억제되는 치료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도 3f와 3g에서 나타나듯이 사이토카인 폭풍의 원인에 속하는 IL-1β와 IL-8이 LPS로 인한 전신염증에 의해 유발되며, 이때 TDCA를 투약한 동물은 위약군보다 사이토카인이 억제되는 치료양상을 보여주었다.
상기의 결과는 전신염증이 유발된 생체 내에서 TDCA에 의한 사망률, 장기부전 위험성, 사이토카인 폭풍 감소 치료효과를 제시하였으며, 결과적으로 COVID-19 폐렴환자의 위험 병인인 전신염증에 의한 사망, 장기부전, 조직손상 등을 TDCA로 방지/치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3> TDCA의 인체 안전성 확인
TDCA의 약물 안전성/내약성(tolerability) 및 약물 동력학(pharmacokinetic, PK)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에 기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임상시험 대상자 중 3명에서 부작용이 나타났고, 1명에서 경증의 IMD (immunomodulatory drugs) 관련 부작용이 나타났으며, 상기 부작용 모두 심하지 않고 치료 없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PK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TDCA가 우수한 인체 안전성 및 내약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TDCA의 COVID-19 폐렴 환자 임상 치료효능 확인
실제 COVID-19 폐렴 환자에게서 TDCA에 의한 치료효능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DC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주사형 임상 의약품인 NuSepin의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임상평가 모니터링과 치료시점을 확인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4>에서 기재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임상환자를 모집하고 실험을 진행하여 위약 대조군 20명과 NuSepin 0.2 mg/kg 정맥 투여군 22명의 임상 약효평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임상 환자들의 기본적인 인구통계학적 지표는 [표 9]과 같았으며 병의 중증도 분포는 [표 10]과 같았다.
  NuSepin
(n=22)
Placebo
(n=20)
Gender
Female 10 (45%) 10 (50%)
Male 12 (55%) 10 (50%)
Age, years
Median (IQR) 59 (54-68) 63 (56-69)
18-60 years 13 (59%) 9 (45%)
>60 years 9 (41%) 11 (55%)
Race
Caucasian 22 (100%) 20 (100%)
Comorbidities
Obesity 6 (27%) 4 (20%)
Type 2 diabetes 7 (32%) 3 (15%)
Hypertension 12 (55%) 14 (70%)
Cardiac disorders 3 (14%) 3 (15%)
Lab.
C-reactive protein, mg/L 77.1 (50.8) 84.1 (62.7)
TNFα, pg/ml 10.3 (7.2) 11.4 (3.2)
IL-1β, pg/ml 4.6 (5.4) 3.5 (2.7)
IL-6, pg/ml 19.0 (18.4) 51.0 (138.2)
IL-8, pg/ml 22.1 (18.7) 22.0 (14.1)
*N (%) or mean (SD)
  NuSepin
(n=22)
Placebo
(n=20)
Disease severity
Mild(NEWS2 < 5) 4 (18%) 7 (35%)
Moderate (NEWS2 = 5 or 6) 3 (14%) 4 (20%)
Severe (NEWS2 ≥ 7) 15 (68%) 9 (45%)
Fever (temperature >37.3℃) 8 (36%) 3 (15%)
Respiratory rate >24 breaths/min 0 (0%) 0 (0%)
Pulse ≥125 beats/min 0 (0%) 0 (0%)
Respiratory support
All patients requiring supplemental oxygen, N 21 19
LFNC or facial mask 15 (71%) 17 (89%)
Noninvasive ventilation orhigh-flow nasal cannula 6 (29%) 2 (11%)
Moderate (NEWS2 5 and 6), N 3 4
LFNC or facial mask 3 (100%) 3 (75%)
Noninvasive ventilation orhigh-flow nasal cannula 0 (0%) 1 (25%)
Severe (NEWS2 ≥ 7), N 15 9
LFNC or facial mask 9 (60%) 8 (89%)
Noninvasive ventilation orhigh-flow nasal cannula 6 (40%) 1 (11%)
*N (%)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NuSepin 투약환자의 위약군 대비 NEWS2 임상지표 기반 치료일 (NEWS2가 0점을 24시간 유지하는데 까지 소요된 일자)을 연령, 성별, 기저질환, 중등도, 병용 약물 등의 기저 요인을 반영하여 Cox 위험비례 모델로 치료비 (Recovery rate ratio)를 계산하여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항바이러스제 사용과 NEWS2 5점 이상의 중등증 이상의 위험군 환자가 변인일 경우 NuSepin에 의한 유의미한 치료효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항바이러스제 변인 요소 반영 시 NuSepin 투약환자는 위약군 대비 치료비가 3.7 [95% C.I. 1.4~10.2]이며 p=0.01로 유의한 치료증가 효과를 보였으며, NEWS2≥5의 증등증 변인 요소를 반영하여 분석하면 NuSepin 투약군의 위약군 대비 치료비가 2.7 [95% C.I. 1.2~6.4]이며 p=0.02로 유의한 치료증가 효과를 보였다. 항바이러스제 병용과 위중증 (NEWS2≥5) 변수를 동시에 반영하여 분석하면 NuSepin 투약환자는 위약군 대비 치료비가 3.4 [95% C.I. 1.5~7.4]이며 p=0.003으로 유의한 치료증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에 나타낸 카플란-메이어 생존 곡선 (Kaplan-Meier survival curve) 비교 그림은 NEWS2 5이상의 중등증 이상의 환자군에서 NEWS2 기반 치료일의 누적 패턴을 비교한 결과로서 NuSepin 투약군이 위약 대조군보다 치료일이 더 단축되는 치료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등증 이상의 ITT (intend to treated) 환자 대상으로 비교 시, 위약군은 NEWS2 기반 치료일의 중앙값이 12.5 [95% C.I. 8.0~25.0] 일인 반면 NuSepin 투약군은 9.0 [95% C.I. 7.0~12.0] 일로 치료일을 산술적으로 3.5일 단축시켰으며, 치료비는 1.9 [95% C.I. 0.9~4.3]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PP (Per protocol) 환자 대상으로 비교 시, 위약군은 NEWS2 기반 치료일이 12.5 [95% C.I. 8.0~25.0] 일인 반면 NuSepin 투약군은 9.0 [95% C.I. 7.0~11.0] 일로 치료일을 3.5일 단축시켰으며, Log-Rank 검정으로 계산된 통계 유의성은 p=0.01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때 콕스-위험비례 모델에 의해 계산된 치료비는 2.7 [95% C.I. 1.2~6.4]이며 p=0.02로 유의한 치료증가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소호흡 치료 종료일까지 걸리는 시간을 평가지표로서 중증도(NEWS2≥5)를 조정변수로 치료비를 계산한 결과 중등증 이상의 환자에서 NuSepin 투약군이 위약군 보다 산소호흡 치료를 더 일찍 종료하는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위약군은 9일 [95% C.I. 7.9~10.1]에 종료하는 반면에 투약군은 8일 [95% C.I. 7.4~8.6]에 종료하여 산소 호흡 치료일 1일 단축되며, 콕스-위험비례 모델에 의해 계산된 치료비는 2.2 [95% C.I. 1.0~4.6]이며 통계 유의성은 p=0.04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흡기 기반 OS 임상지표 호전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 시험 시작일 대비 임상 시험 9 일차의 OS 점수의 감소율을 비교 확인하였고, 그 결과 NuSepin 투약군이 위약보다 감소율이 높음으로써 호전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체 환자에서 위약군은 OS 점수의 감소율이 평균 30.9% 감소된 반면, NuSepin 투약군은 43.9% 감소되었다. 그리고 NEWS2 5이상의 중등증 이상의 환자에서는 위약군은 24.3% 감소된 반면, NuSepin 투약군에서는 41.7% 감소하였으며, Wilcoxon Rank sum 검정으로 계산된 통계 유의성은 p=0.028로 위약군과 NuSepin 투약군의 약효 차이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환자에서 NuSepin 투약군이 위약군보다 CRP 및 사이토카인의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환자의 비율이 높은 치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임상 4일차에서 CRP가 위약군은 20%가 정상화 수준(10 mg/ml 미만)에 도달한 반면, 투약군은 52%가 정상화 되었다. 임상시험 마지막 날에 혈중 TNF-α 수치가 위약군은 11%가 정상화 수준 (6 pg/ml 미만)에 도달한 반면, 투약군은 35%가 정상화 되었다. 또한 종료일 시점에 위약군의 TNF-α 평균수치(±SEM)는 24.8 (±12.3)인데 반해 NuSepin 투약군은 평균 7.4 (±0.7)로 낮았으며, Wilcoxon Rank sum 검정으로 계산된 통계 유의성은 p=0.007로 위약군과 NuSepin 투약군의 약효 차이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임상시험 마지막 날에 혈중 IL-8 수치가 위약군은 33%가 정상화 수준(10 mg/ml 미만)에 도달한 반면, 투약군은 55%가 정상화 되었다. 또한 위약군은 임상 종료 시점의 IL-8 수치가 시작일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지 않은 반면 NuSepin 투약군은 임상 시작 시점에 IL-8 수치가 22.1 (±4.0)에서 종료일에 12.8 (±2.2)로 감소하였으며, Wilcoxon Rank sum 검정으로 계산된 통계 유의성은 p<0.05 으로 치료 약물에 의한 유의미한 감소임을 확인하였다. IL-6의 경우에는 임상 시험 종료시점에 위약군은 33%가 정상화 수준 (3.3 pg/ml 미만)에 도달한 반면, 투약군은 60%가 정상화 되었다.
상기의 임상 2상 실험결과를 통해 NuSepin이 COVID-19 폐렴환자의 치료일을 단축시키고 전신 염증을 억제하는 약효 유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임상 실험 중 NuSepin 0.1 mg/kg 및 0.2 mg/kg 투약에 의한 발생한 심각한 부작용 사례는 없었으며, 부작용 사례는 적을 뿐만 아니라 위약군과 비교해도 차이가 없었다. 발생한 부작용은 병증이 매우 경미하였으며 임상 시험 도중에 모두 회복되는 일시적인 증상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실험의 치료제인 TDCA의 안전성과 우수한 내약성을 확인하였다.
NuSepin
0.1 mg/kg
(n=22)
NuSepin
0.2 mg/kg
(n=22)
Placebo (n=20)
Patients with ≥1 adverse event, No. (%) 6 (27) 6 (27) 4 (20)
Patients with severe adverse event
Any severe adverse event 0 (0) 1 (5) 0 (0)
Study drug related severe adverse event 0 (0) 0 (0) 0 (0)
Relationship
Possibly 5 (23) 3 (13) 2 (10)
Unassesible 1 (5) 3 (13) 2 (10)
Fatal event 0 (0) 0 (0) 0 (0)
Patients with adverse events of specific organs, No. (%)
- Blood system
Anemia 1 (5) 1 (5) 0 (0)
Leukocytosis 1 (5) 0 (0) 0 (0)
Neutrophilia 1 (5) 0 (0) 0 (0)
- Cardiovascular system
Tachycardia 1 (5) 0 (0) 3 (15)
Hypotension 1 (5) 1 (5) 0 (0)
- Gastrointestinal tract
Diarrhea 0 (0) 1 (5) 0 (0)
- Hepatobiliary system
ALT increased 1 (5) 2 (9) 2 (10)
AST increased 2 (9) 2 (9) 0 (0)
GGT increased 2 (9) 2 (9) 0 (0)
- Metabolism
Hypokalemia 0 (0) 1 (5) 0 (0)
- Nervous system
Headache 0 (0) 2 (9) 2 (10)
- Thorax
Dyspnea 0 (0) 1 (5)* 0 (0)
- Skin and subcutaneous tissue
Exanthema 1 (5) 0 (0) 0 (0)
* Severe adverse event, not related to NuSepin
결과적으로 상기 <실험예 4>의 결과는 도 9에 나타낸 모식도와 같은 기전으로 TDCA가 면역세포의 과도한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COVID-19 폐렴 환자에게 유효한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시사한다.

Claims (7)

  1. 타우로데옥시콜린산(taurodeoxychol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하기도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로데옥시콜린산은 하기 [화학식 2]로 기재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나트륨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TNF-α, IL-1β, IL-8, IL-6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cAMP를 증가시켜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P2X7의 기능을 억제하여 NLRP3 염증 복합체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GPCR19 작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기도 감염 질환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유발되는 발열, 기침, 가래, 몸살, 인후통, 설사, 결막염, 두통, 피부발진, 호흡곤란, 급성기관지염, 폐렴, 폐화농증, 신부전, 신장 기능 장애, 패혈성 쇼크, 패혈증 및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증상을 갖는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바이러스는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및 신종코로나바이러스(SARS-CoV-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220059884A 2021-05-20 2022-05-17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73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64758 2021-05-20
KR1020210064758 2021-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313A true KR20220157313A (ko) 2022-11-29

Family

ID=8414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884A KR20220157313A (ko) 2021-05-20 2022-05-17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42475A1 (ko)
JP (1) JP2024519835A (ko)
KR (1) KR20220157313A (ko)
CN (1) CN117597131A (ko)
WO (1) WO2022245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42665B (zh) * 2023-09-21 2023-12-12 广州市朝利良生物科技有限公司 Kappa阿片受体拮抗剂在制备抗冠状病毒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275B1 (ko) * 2013-08-26 2015-02-24 서울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Gpcr19 경로의 활성화에 의한 골수 유래 면역 조절 세포 및 면역 조절 b 림프구의 체내외 증폭
EP3356516B1 (en) * 2015-10-02 2021-11-10 Baylor College of Medicine Cultivation of human norovir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5089A1 (ko) 2022-11-24
CN117597131A (zh) 2024-02-23
JP2024519835A (ja) 2024-05-21
EP4342475A1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6258B1 (en) Method of treating prader-willi syndrome
CN107427502A (zh) 使用川地匹坦的治疗方法
EP3305291B1 (en) Uses of benzimidazole derivative for nocturnal acid breakthrough
US20180153886A1 (en) Use of trimethazine in preparation of drug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iver diseases
JP2019501190A (ja) Dglaを含む薬学的組成物及びその使用
UA122974C2 (uk) Комбінований лікарський засіб, який містить канагліфлозин і фентермін, для лікування ожиріння й пов&#39;язаних з ожирінням порушень
KR20220157313A (ko)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치료용 조성물
CN117677385A (zh) 用于治疗肝病的培马贝特和/或托格列净
CN113082039B (zh) 一种用于治疗索拉菲尼耐药肿瘤的组合物及其应用
US20140221472A1 (en) Use of myricetin or derivatives thereof as a cathepsin k inhibitor
WO2022101395A1 (en)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angioedema
CN102648279A (zh) 用于治疗药物诱发的手足综合征的组合物与方法
CA3066874A1 (en) Methods for reducing or preventing cardiovascular events in patients with type ii diabetes mellitus
WO2021185234A1 (zh) 作为c-Met激酶抑制剂的化合物的联用药物组合物及其用途
CN110227083A (zh) 一种含氯化钆和双胍类降糖药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KR20230027226A (ko) 화학요법-유발 설사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CN110446505A (zh) 用于治疗皮肤病的联合疗法
CN109568302A (zh) 一种治疗晚期肝癌的药物复合物及其应用
KR20230043598A (ko) 타우로데옥시콜린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항바이러스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치료용 조성물
CN113368107B (zh) 包含小檗碱和苦参碱的药物组合物及其治疗或预防非酒精性脂肪性肝病的用途
CN113616651B (zh) 一种复方降压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2552481A (zh) 一种通络降压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Yang et al. HS-10296–a novel third generation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 results of the first-in-human phase 1 trial in patients with previously treated EGFR mutant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WO2016167855A1 (en) Combination of albuterol and caffeine as synergistic treatment for obesity or sarcopenia
EP4337212A1 (en) Use of complement factor d inhibitor for treatment of generalized myasthenia grav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