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6238A -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 Google Patents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6238A
KR20220156238A KR1020210063977A KR20210063977A KR20220156238A KR 20220156238 A KR20220156238 A KR 20220156238A KR 1020210063977 A KR1020210063977 A KR 1020210063977A KR 20210063977 A KR20210063977 A KR 20210063977A KR 20220156238 A KR20220156238 A KR 20220156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heelchair
passengers
information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121B1 (ko
Inventor
노주현
권지아
서민주
손소현
장하늘
양한규
이민혁
차수빈
류성한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3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1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56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the occupant to get in or out of the vehicle, e.g. stowing a seat forw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60N2002/025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산부 및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의 좌석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산부석 및 휠체어를 위한 좌석을 예약하여, 예약이 없는 경우 일반 승객이 좌석을 사용하다가 임산부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예약한 구간의 경우 예약 안내를 통해 임산부 및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해당 좌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어 휠체어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을 도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Public transport seat reservation system for pregnant women and wheelchair-driven passengers}
본 발명은 임산부 및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의 좌석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산부석 및 휠체어를 위한 좌석을 예약하여, 예약이 없는 경우 일반 승객이 좌석을 사용하다가 임산부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예약한 구간의 경우 예약 안내를 통해 임산부 및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해당 좌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어 휠체어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을 도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에는 다양한 교통약자 전용 좌석이 존재한다. 이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과 도시철도법 등에 따라 전동차량과 같은 대중교통에 10분의 1 이상을 교통약자 전용 구역으로 배정하게 되어있는 교통약자석 관련 규정으로 인하여 더욱 활성화 되었다. 하지만 교통약자석도 좌석 설치를 법적으로 강제했을 뿐 교통약자가 아닌 사람이 이용하는 걸 금지하는 규정은 없다.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해당 좌석에 대하여 일반인이 앉아 있다가 해당좌석의 이용이 필요한 임산부 혹은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했을 때, 개인의 자발적인 배려를 기대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임신 초기에는 임신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워 해당 좌석을 이용하고 있는 임산부에게 임신하지 않았는데 임산부석을 이용한다는 항의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더불어 임산부석이 너무 눈에 띄어 사람들의 시선이 의식된다는 설문조사 결과도 있었다.
더불어 대중교통수단의 좌석이 현저히 부족한 상황에서 교통약자석을 무조건 비워두는 것에 대해서 일반 승객들의 반감을 사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종래의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10-1543505호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기술은 지하철 승객의 하차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객차의 일부 자리에 대한 좌석 교환을 통해서 지하철 이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기술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임산부석 또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의 좌석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일반승객에게 해당 좌석을 이용하고자 하는 임산부 또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의 유무에 대한 안내하는 기능이 없어 임산부 또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 해당 좌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직접 해당좌석에서 이용승객에게 양보를 요청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더불어,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의 경우, 대중교통수단과 휠체어의 견고한 체결이 어려워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흔들림 또는 쏠림에서 휠체어가 고정되지 못해 다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3505호(2015.08.04.)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임산부 및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의 좌석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산부석 및 휠체어를 위한 좌석을 예약하여, 예약이 없는 경우 일반 승객이 좌석을 사용하다가 임산부 또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예약한 구간의 경우 예약 안내를 통해 임산부 및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해당 좌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어 휠체어 사용자의 대중교통 이용을 도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은,
버스 또는 지하철에 구비되는 좌석(200),
사용자가 좌석 예약을 위한 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단말(300),
상기 사용자단말(300)에 입력된 예약정보를 전송받는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과,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수신된 좌석이용상황정보가 저장되는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과,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좌석 이용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좌석관리수단(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석관리부(110),
상기 좌석(200)의 착석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송신하는 좌석이용확인수단(121)과, 상기 좌석관리수단(113)의 좌석 이용 정보에 따라 상기 좌석(200)에 음성 및 LED 조명을 이용한 안내를 수행하는 좌석이용알림수단(122),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예약정보 중 휠체어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좌석(200)을 들어 올리는 시트이동수단(123)으로 구성되는 좌석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시트이동수단(123)은 휠체어를 고정하는 휠체어고정구(123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석이용알림수단(122)은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되어 있는 좌석 예약자의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을 이용하여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시트이동수단(123)은 시트 위에 승객 또는 물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시트확인장치(123b)와,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휠체어 정보에 따라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의 위치를 조정하는 고정구위치조정장치(123c)와,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휠체어 정보에 따라 전동 휠체어일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을 진행하는 충전장치(123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는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의 위치조정 또는 휠체어와 고정해제를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고정수동조정장치(123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좌석 예약 취소정보를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은, 임산부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탑승 전에 미리 교통약자를 위한 좌석에 대한 예약을 진행하여, 예약한 구간의 경우 예약 안내를 통해 임산부 및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해당 좌석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예약이 없는 경우 해당 좌석을 일반 승객에게도 사용하게 할 수 있어 좌석 이용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더불어,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의 경우, 휠체어고정구를 통하여 휠체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고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될 수 있는 휠체어의 넘어짐으로 인한 승객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시트이동수단은 시트에 승객 또는 물건이 있을 경우 시트확인장치의 확인을 통하여 무리하게 접히지 않아 시트가 접힐 때 발생될 수 있는 승객의 부상 또는 물건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휠체어의 높이와 휠체어고정구의 높이가 맞지 않을 경우 고정구위치조정장치를 통해 승객이 직접 휠체어고정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임산부나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좌석 예약뿐만 아니라 취소 또한 사용자단말을 통해 수행할 수 있어, 취소할 수 없을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좌석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의 인터페이스 실시예: 임산부의 화면 구성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의 인터페이스 실시예: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의 화면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좌석이용알림수단의 작동 실시예: 임산부가 좌석을 이용하는 경우
도 5는 본 발명의 좌석이용알림수단의 작동 실시예: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 이용하는 경우
도 6은 본 발명의 시트이동수단의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시트이동수단의 작동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실시예이며,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의 인터페이스 실시예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좌석이용알림수단의 작동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시트이동수단의 실시예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시트이동수단의 작동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은 도 1 내지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또는 지하철에 구비되는 좌석(200);
사용자가 상기 좌석(200) 예약을 위한 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단말(300);
상기 사용자단말(300)에 입력된 예약정보를 전송받는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과,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수신된 좌석이용상황정보가 저장되는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과,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좌석(200) 이용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좌석관리수단(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석관리부(110); 및
상기 좌석(200)의 착석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송신하는 좌석이용확인수단(121)과, 상기 좌석관리수단(113)의 좌석 이용 정보에 따라 상기 좌석(200)에 음성 및 LED 조명을 이용한 안내를 수행하는 좌석이용알림수단(122)과,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예약정보 중 휠체어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좌석(200)을 들어 올리는 시트이동수단(123)으로 구성되는 좌석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시트이동수단(123)은 휠체어를 고정하는 휠체어고정구(123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버스 또는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는 임산부 또는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 상기 사용자단말(300)을 통하여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전에 미리 도 2 및 3에서 도시한 예시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이 탑승할 시간의 대중교통을 선택하여 상기 좌석(200)을 선택하여 예약한다. 즉, 사용하고자 하는 대중교통의 종류, 이용시간, 이용구간, 좌석 등을 미리 예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가입할 때 입력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임산부증이나 산모수첩, 임신확인서, 장애증서, 경로우대증 등을 통해서 교통약자인 것을 미리 확인한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단말(300)에 출발지정보 및 도착지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을 통하여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좌석이용상황을 전달받아, 상기 좌석이용상황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좌석(200)을 선택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은 좌석(200)의 예약유무, 상기 좌석이용확인수단(121)을 통해서 확인된 좌석(200)의 사용유무, 일반인의 사용여부, 예약자의 사용여부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석이용확인수단(121)은 무게센서 또는 비젼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석이용확인수단(121)이 비젼센서로 구성될 경우, 해당 위치에 대한 검출 및 혼잡도 측정에 대해서 AI를 이용한 기계학습을 통하여 알고리즘을 고도화 시킬 수 있다.
또한 해당 상기 좌석(200)에는 QR코드가 비치되어 예약자가 탑승 후에 해당 QR코드를 통하여 인증을 하여, 해당 좌석이 예약자에 의해 사용 중이라는 정보를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전달할 수 있다.
더불어, 예약 없이 탑승한 교통약자가 해당 QR코드를 통하여 인증할 경우, 해당 좌석은 교통약자가 이용 중인 좌석으로 인식되어 목적지까지의 이용이 불가하게 예약 블록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예약 정보는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을 통하여 전달하여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좌석 예약 취소정보를 상기 이용자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해당 좌석에 대한 이용을 취소할 수 있어 보다 유연한 좌석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좌석관리수단(113)은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예약정보를 바탕으로 미리 정해진 정거장 전에 상기 좌석이용알림수단(122)을 통하여 해당 좌석을 이용하고 있는 일반인 또는 주위 좌석을 이용하는 일반인에게 해당 좌석의 사용을 미리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석이용알림수단(122)은, 도 4 및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되어 있는 좌석 예약자의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을 이용하여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임산부인 경우 핑크색,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의 경우 파란색, 기타 교통약자의 경우에는 노란색을 출력하여 해당 좌석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 또는 주변의 사람들에게 해당 좌석의 사용자를 알려줄 수 있다.
더불어, 미리 녹음된 음성 안내를 통하여 해당 좌석의 사용자 또는 주위의 승객에게 보다 확실하게 해당 좌석의 사용이 곧 시작될 것이라는 것을 인지시켜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이 해당 좌석으로 접근하기 위해 주변 승객이 움직여야 되는 경우 이를 미리 인지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해당 좌석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 통해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 탑승한 휠체어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즉, 종래에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 이용하는 좌석은 휠체어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제공으로 끝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경우에는 대중교통의 급정거 또는 다른 탑승객의 밀침으로 인하여 휠체어의 넘어짐 등이 발생되어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뿐만 아니라 주변의 승객이 부상을 당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휠체어고정구(123a)를 구비하여, 해당 좌석에 휠체어와 결합하는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를 통하여 휠체어를 고정할 수 있어 휠체어가 넘어져 발생할 수 있었던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과 상기 좌석(200) 주변 승객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시트이동수단(123)은,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위에 승객 또는 물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시트확인장치(123b)와,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휠체어 정보에 따라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의 위치를 조정하는 고정구위치조정장치(123c)와,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휠체어 정보에 따라 전동 휠체어일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을 진행하는 충전장치(123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좌석(200)을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 사용하게 될 경우, 시트가 접히는 동작을 상기 시트이동수단(123)을 통하여 수행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시트확인장치(123b)를 통하여 시트에 올려져 있는 물체 혹은 이용자가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트확인장치(123b)는 무게를 확인하는 센서 또는 비젼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시트확인장치(123b)를 통하여 시트 위에 승객 또는 기타 물체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물건 낙하로 인한 물건 파손, 대중교통 이용 승객의 부상 및 시트에서 낙상하여 발생될 수 있는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시트확인장치(123b)를 통해 시트 위에 승객 또는 물체가 위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고정구위치조정장치(123c)를 통하여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가 상기 사용자단말(300)로 입력된 휠체어의 정보에 맞추어 높이를 조절하여 휠체어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휠체어의 형태에 따른 맞춤형 대응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와 휠체어의 고정이 견고하지 않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트이동수단(123)은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의 위치조정 또는 휠체어와 고정해제를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고정수동조정장치(123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 필요에 따라서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의 위치 또는 고정해제에 대하여 직접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어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승객이 사용하는 휠체어가 전동휠체어일 경우 상기 충전장치(123d)를 이용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전동휠체어의 사용 전력을 대중교통을 탑승하여 이동하는 중에 수행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0: 좌석
300: 사용자단말
110: 좌석관리부
111: 이용정보송신수단 112: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
113: 좌석관리수단
120: 좌석부
121: 좌석이용확인수단 122: 좌석이용알림수단
123: 시트이동수단
123a: 휠체어고정구 123b: 시트확인장치
123c: 고정구위치조정장치 123d: 충전장치
123e: 고정수동조정장치

Claims (6)

  1. 버스 또는 지하철에 구비되는 좌석(200);
    사용자가 좌석 예약을 위한 예약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단말(300);
    상기 사용자단말(300)에 입력된 예약정보를 전송받는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과,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수신된 좌석이용상황정보가 저장되는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과, 상기 예약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좌석 이용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좌석관리수단(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좌석관리부(110); 및
    상기 좌석(200)의 착석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송신하는 좌석이용확인수단(121)과, 상기 좌석관리수단(113)의 좌석 이용 정보에 따라 상기 좌석(200)에 음성 및 LED 조명을 이용한 안내를 수행하는 좌석이용알림수단(122)과,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예약정보 중 휠체어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좌석(200)을 들어 올리는 시트이동수단(123)으로 구성되는 좌석부(120);를 포함하는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이동수단(123)은 휠체어를 고정하는 휠체어고정구(123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이용알림수단(122)은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되어 있는 좌석 예약자의 분류에 따라 각각 다른 색상을 이용하여 알림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이동수단(123)은
    시트 위에 승객 또는 물체가 있는지 확인하는 시트확인장치(123b)와,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휠체어 정보에 따라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의 위치를 조정하는 고정구위치조정장치(123c)와, 상기 좌석이용상황저장수단(112)에 저장된 휠체어 정보에 따라 전동 휠체어일 경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을 진행하는 충전장치(123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이동수단(123)은
    상기 휠체어고정구(123a)의 위치조정 또는 휠체어와 고정해제를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고정수동조정장치(123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300)은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좌석 예약 취소정보를 상기 이용정보송수신수단(111)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KR1020210063977A 2021-05-18 2021-05-18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KR102525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977A KR102525121B1 (ko) 2021-05-18 2021-05-18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977A KR102525121B1 (ko) 2021-05-18 2021-05-18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238A true KR20220156238A (ko) 2022-11-25
KR102525121B1 KR102525121B1 (ko) 2023-04-21

Family

ID=8423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977A KR102525121B1 (ko) 2021-05-18 2021-05-18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1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05B1 (ko) 2013-04-29 2015-08-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승객의 하차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4768A (ko) * 2017-12-01 2019-06-11 윤영섭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505B1 (ko) 2013-04-29 2015-08-2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승객의 하차 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64768A (ko) * 2017-12-01 2019-06-11 윤영섭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121B1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001B1 (ko) 버스정류소 교통약자 승차 예약 시스템
Abeyratne Proposals and guidelines for the carriage of elderly and disabled persons by air
KR20150038195A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장치
KR20170021542A (ko)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장치, 교통약자 배려석 안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안내시스템
EP1875840A3 (en) Airplane lavatory reservation system
KR102525121B1 (ko) 임산부와 휠체어를 사용하는 승객을 위한 대중교통 좌석예약시스템
JP2007102390A (ja) 空席予約システム
KR101996980B1 (ko) 대중교통수단의 예약 좌석 알림 시스템
KR101713294B1 (ko) 임산부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JP2008287499A (ja) 空席案内システム及び空席案内方法
EP1787883A1 (en) Vehicle with two level access and a barrier free transit for wheelchairs between said levels
KR20200100969A (ko) 스마트폰 앱과 비콘을 활용한 지하철 임산부석 안내 및 광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76168A (ko) 장애인용 차량 호출 시스템
KR102263208B1 (ko) 임산부 좌석 배려 시스템
KR102133000B1 (ko) 임산부 배려를 위한 지하철 임산부 좌석 예약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예약 좌석 운용 방법
JP2006264843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102569798B1 (ko) IoT 기반 임산부 배려석 사전 안내 시스템
JP7021525B2 (ja) 介助支援端末、介助支援システム、介助支援方法、および介助支援プログラム
KR102197583B1 (ko) 좌석안내 시스템 및 좌석안내 시스템을 이용한 좌석안내 방법
JP2020140341A (ja) 乗合車両および予約管理システム
KR102157262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KR20210060166A (ko)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약자좌석 이용방법
WO2023053474A1 (ja) 介助要員手配システム、介助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介助要員手配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20210022385A (ko) 교통약자 버스 승하차 지원시스템
KR20230083585A (ko) 승하차 알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